[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8891A -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891A
KR20120038891A KR1020110097573A KR20110097573A KR20120038891A KR 20120038891 A KR20120038891 A KR 20120038891A KR 1020110097573 A KR1020110097573 A KR 1020110097573A KR 20110097573 A KR20110097573 A KR 20110097573A KR 20120038891 A KR20120038891 A KR 20120038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udio signal
speaker
degrees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김선민
유재현
서정일
강경옥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273,56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93323A1/en
Publication of KR2012003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9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3Application of parametric coding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최적의 현장감 및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Audio system and down mixing method of audio signals using thereof}
본원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사용자가 최적의 현장감 및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오디오를 청취할 때 느끼는 입체감 및 현장감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다수개의 스피커들을 통하여 재생하는 오디오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이라 한다. 여기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분리되는 다수개의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오디오 신호들 각각은 서로 다른 스피커들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1 채널을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은 6개의 오디오 신호들 각각을 6개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5개의 오디오 신호들(L, R, C, SL, SR)은 각각 전방 레이어(front layer)의 좌우(Left, Right), 전방 레이어의 중앙(Center), 및 후방 레이어(의 좌우(Left Surround, Right Surround)에 설치한 5개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및 중저음대역 오디오 신호는 중저음대역 전용(low frequency effect)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들에 포함되는 채널의 개수가 많아지고,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더욱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가 많아지면 오디오 시스템의 제작비용 및 소비 전력 등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스피커 개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몰입감, 현장감 및 입체감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몰입감, 현장감 및 입체감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과 기존의 2.0 채널, 5.1 채널, 또는 7.1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운 믹싱 방법 또는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사용자가 느끼는 현장감 및 입체감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서로 다른 채널 수를 갖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6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좌 후방 채널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6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우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우 후방 채널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주변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 후방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 주변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우 후방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퍼 스피커 세트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퍼 스피커 세트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또한, 상기 제1 채널 스피커 및 제2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100 내지 12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우 주변 채널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135 내지 150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135 내지 150 사이에 배치되는 좌 후방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후방 수직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소정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스피커 부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개수에 맞춰서 상기 소정 오디오 신호를 다운 믹싱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믹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 오디오 신호는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는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는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부는 7.1, 5.1, 및 2.0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다운 믹싱 방법은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에 대응는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는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7.1, 5.1 또는 2.0 채널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여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 또는 인접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일 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상기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상기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및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및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RH),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L) 및 우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R)를 포함하는 10.2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상기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상기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RH),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L) 및 우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R)를 포함하는 8.2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에서 이용되는 22.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현장감 및 입체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24개의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를 이용하여 22.2 채널(22.2 chennel)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하는 22.2 채널 오디오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22.2 채널 오디오 시스템은 22.2 채널 신호들, 즉, 24개의 독립적인 오디오 신호들, 각각을 24개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현장감 및 입체감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22.2 채널 오디오 시스템은 포함되는 스피커 개수가 많아서, 오디오 시스템의 제작비용 및 소모 전력 등이 증가하게 되며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10 개 내지 12개의 스피커만을 포함하면서도 22.2 채널 오디오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현장감 및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수평면 상으로는 도 1의 (a)와 같이 배치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110)를 포함하고, 수직면 상으로는 도 1의 (b) 및 (c)와 같이 배치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120, 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도 1의 (d)와 같이 배치되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평면에 배치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를 나타낸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수평면 스피커 세트(110)는 스윗 스팟(sweet spot)(111)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center channel speaker)(C), 좌 채널 스피커(left channel speaker)(L) 및 우 채널 스피커(right channel speaker)(R),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119)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윗 스팟은 오디오 시스템의 사용자인 청취자가 최적화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지점을 뜻한다. 수평면 스피커 세트(110)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스피커들은 스윗 스팟(sweet spot)(111)으로부터 동일 거리 선(11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면상에 있어서, 스윗 스팟(111)의 전방에 위치한 지점을 기준점(P1)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기준점(P1)은 사용자의 기준 위치인 스윗 스팟(111)에서 전방 0 도에 위치한다.
중앙 채널 스피커(C)는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P1)에 배치된다.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C)는 기준점(P1)에서 좌우 30 도(A1)에 각각 배치된다. 즉, 좌 채널 스피커(L)는 수평면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며 좌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우 채널 스피커(C)는 수평면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며 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119)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118)는 기준점(P1)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A2)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스피커(119) 및 제2 채널 스피커(118)는 각각 하나 또는 두개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에서는 제1 채널 스피커(119) 및 제2 채널 스피커(118)가 각각 두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스피커(119)는 기준점(P1)에서 좌측 60 내지 150 도 사이(A2)에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left side channel speaker)(LS) 및 좌 후방 채널 스피커(left back channel speaker)(LB)를 포함할 수 있다.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는 수평면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며, 좌 후방 채널 스피커(LB)는 수평면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는 기준점(P1)에서 좌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좌 후방 채널 스피커(LB)는 기준점(P1)에서 좌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2 채널 스피커(118)는 기준점(P1)에서 우측 60 내지 150 도 사이(A2)에 배치되는 우 주변 채널 스피커(right side channel speaker)(RS) 및 우 후방 채널 스피커(left back channel speaker)(RB)를 포함할 수 있다. 우 주변 채널 스피커(RS)는 수평면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며,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우 후방 채널 스피커(LB)는 수평면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며,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우 주변 채널 스피커(RS)는 기준점(P1)에서 우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우 후방 채널 스피커(RB)는 기준점(P1)에서 우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직면에 배치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직면에 배치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b) 및 도 1의 (c)를 참조하면, 수직면 스피커 세트(120)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left height channel speaker)(LH)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right height channel speaker)(RH), 및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enter height channel speaker)(CH)를 포함한다. 스윗 스팟(121, 131)은 도 1의 (a)의 스윗 스팟(111)과 동일 대응된다. 도 1의 (c)에서는 스윗 스팟(131)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전방 0 도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135)는 도 1의 (a)에 도시된 중앙 채널 스피커(C)와 동일 대응된다.
좌 수직 채널 스피커(LH)는 기준점(P1)에서 좌측 수평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B1) 및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B3)에 배치되며,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우 수직 채널 스피커(RH)는 기준점(P1)에서 우측 수평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B1) 및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B3)에 배치되며,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는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는 기준점(P1)의 맞은 편, 즉, 기준점(P1)에서 수평 방향으로 180 도 이동한 지점(P2)과 스윗 스팟(121)을 연결한 선(127)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는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도 이동한 지점(P3)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가 지점(P3)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는 수평면 상으로는 스윗 스팟(121, 13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는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150 도 이동한 지점(P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가 지점(P4)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는 수평면 상으로는 지점(P2)에 인접한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d)를 참조하면, 우퍼 스피커 세트(14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우퍼 스피커(sub woofer speaker 또는 low frequency effect speaker)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우퍼 스피커 세트(140)는 하나 또는 두개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퍼 스피커 세트(140)는 기준점(P1)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C1)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를 포함할 수 있다.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는 각각 좌 채널 우퍼 오디오 신호 및 우 채널 우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도 1의 (d)에서는 우퍼 스피커 세트(140)가 수평면의 좌 및 우 방향 각각에서 하나의 서브 우퍼 스피커(LFEL, LFER)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오디오 시스템이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7개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도 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면에 3개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도 1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시스템을 10.2 채널 오디오 시스템이라 한다.
또는, 우퍼 스피커 세트(140)는 기준점(P1)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 채널 우퍼 오디오 신호 및 우 채널 우퍼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시스템이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7개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도 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면에 3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며, 1개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10.1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시스템을 10.1 채널 오디오 시스템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200)은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 및 스피커 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소정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개수에 맞춰서 입력받은 소정 오디오 신호를 다운 믹싱(down mixing) 또는 업믹싱(upmixing)한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이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채널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 11.2 채널의 오디오 신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채널의 개수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개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스피커 부(220)는 입체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피커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부(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들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스피커 부(220)는 도 1에서 전술한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도 1의 (a), (b), (c) 및 (d)에서 도시한 다수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부(220)는 5.1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6개의 스피커들, 7.1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8개의 스피커들, 또는 2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2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200)이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으며, 스피커 부(220)는 5.1 채널을 출력할 수 있도록 6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의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로 다운 믹싱한다. 그러면, 스피커 부(220)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 각각을 6개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8에서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도 1에서 전술한 10.2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아 다운 믹싱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는 소정 채널 별 스피커에 대응되므로,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는 전술한 소정 채널 스피커와 동일 기호로 표기하였다. 예를 들어, 좌 채널 스피커(L)에 대응되며, 좌 채널 스피커(L)를 통하여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를 '좌 채널 오디오 신호(L)'라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은 도 2에서 도시한 오디오 시스템(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은 도 1에서 전술한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입력받는 단계와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소정 멀티 채널에 맞춰 다운 믹싱하여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단계의 구성을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3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301)의 주위에 배치되는 8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B, RB, LFE)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7.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서브 우퍼 스피커(LFE)를 제외하고는 도 1의 (a)에 도시된 수평면 스피커 세트(110)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 우퍼 스피커(LFE)는 도 1의 (d)에서 도시한 우퍼 스피커 세트(140)에 포함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 중 어느 하나에 동일 대응된다.
도 3의 (b)에 기재된 등식에 있어서, 좌측 항(321)에 기재된 오디오 신호들은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들인 다운 믹싱 신호들을 나타내며, 우측 항(325)에 기재된 오디오 신호들은 다운 믹싱 되기 이전인 입력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들에 포함되는 채널별 오디오 신호들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들(10.2 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가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150 도 이동한 지점(P4)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지점(P4)에 배치되는 스피커에 대응되는 경우의 다운 믹싱 수식을 나타낸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동일 또는 인접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다운 믹싱 신호는, 오디오 시스템(200)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들 중 동일 또는 인접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에 소정 계수(a, c, k, l)를 곱하여 합산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동일 또는 인접한 수직선상에 하나의 스피커만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합산을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준점(P1)의 수직 상하 방향으로 중앙 채널 스피커(C)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10.2 채널의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에 소정 계수(a)만을 곱하여 다운 믹싱 신호인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를 생성한다.
여기서, 다운 믹싱 수식에서 각 오디오 신호에 곱해지는 소정 계수(a, c, k, l)는 오디오 시스템(200)의 전체 소리 레벨(sound level), 최대 정격 출력 등의 제품 사양 또는 설계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 c, k 및 l 이 모두 1 값을 갖는 경우, 별도의 소리 레벨 조절을 하지 않고 다운 믹싱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좌 채널 스피커(L)에 인접하는 수직 상부에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LH)가 배치된다. 따라서, 331 수식을 참조하면, 좌 채널 스피커(311)를 통하여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는 10.2 채널에서 좌 채널 오디오 신호(L)에 소정 계수(a)를 곱한 값과 10.2 채널에서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에 소정 계수(c)를 곱한 값을 합한 값으로 생성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 신호인,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3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운 믹싱 수식은 도 3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b)에 있어서,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지점(P4)에 배치된 스피커에 대응되는 신호인 경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는 인접한 수직면상에 출력되는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및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믹싱되어 생성되는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는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에 소정 계수(a)를 곱한 값과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에 소정 계수(c) 및 소정 상수를 곱한 값을 합한 값으로 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도 1에서 전술한 10.2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아 다운 믹싱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401)의 주위에 배치되는 8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B, RB, LF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도 3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b)에 기재된 등식에 있어서, 좌측 항에 기재된 오디오 신호들은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들인 다운 믹싱 신호들을 나타내며, 우측 항에 기재된 오디오 신호들은 다운 믹싱 되기 이전인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들(10.2 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가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도 이동한 지점(P3)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지점(P3)에 배치된 스피커에 대응되는 경우의 다운 믹싱 수식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 있어서,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지점(P3)에서 출력되던 신호였던 경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는 동일 또는 인접한 수직면상에 출력되는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및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운 믹싱되어 생성되는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는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에 소정 계수(a)를 곱한 값과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에 소정 계수(c) 및 소정 상수를 곱한 값을 합한 값으로 산출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4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운 믹싱 수식은 도 4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도 1에서 전술한 10.2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아 7.1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501)의 주위에 배치되는 8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B, RB, LF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3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b)를 포함하여 본원의 다른 도면들에 기재된 다운 믹싱 수식에 있어서, 좌측 항에 기재된 오디오 신호들은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들인 다운 믹싱 신호들을 나타내며, 우측 항에 기재된 오디오 신호들은 다운 믹싱 되기 이전인 입력된 오디오 신호들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의 (b)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들(10.2 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가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도 내지 150 도 사이의 소정 지점(미도시)에 배치되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도 내지 150 도 사이의 소정 지점(미도시)에 배치된 스피커에 대응되는 신호였던 경우의 다운 믹싱 수식을 나타낸다.
도 5의 (b)에 있어서, 다운 믹싱 수식에서 이용되는 소정 계수, a, c, d 및 f는 수직 채널 스피커(CH)가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서 최적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10.2 채널의 입력 오디오 신호 포함되는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도 내지 150 도 사이의 소정 지점(미도시) 배치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는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및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좌 항에 기재된 다운 믹싱 신호인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및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를 산출할 때, 입력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가 도 5의 (b)에 기재된 다운 믹싱 수식에서와 같이 반영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5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7.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5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601)의 주위에 배치되는 6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FE)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중앙 채널 스피커(C),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R)는 각각 도 1의 (a)에서 설명한 중앙 채널 스피커(C),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R)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a)에 있어서,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 및 우 주변 채널 스피커(RS)는 각각 중앙 채널 스피커(C)가 배치되는 지점인 기준점(P1)에서 좌우 100 내지 12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5.1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부(220)는 하나의 서브 우퍼 스피커(LFE)를 포함한다.
스피커 부(220)가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 신호에 포함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6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서 도시한 5.1 채널의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는 도 1에서 도시한 10.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 좌 후방 채널 스피커(LB) 및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와 공간상 대응된다.
따라서, 611 수식을 참조하면, 5.1 채널의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는 10.2 채널의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및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6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701)의 주위에 배치되는 2 개의 스피커들 (L, R)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R)는 각각 도 1의 (a)에서 설명한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R)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부(220)가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각각은 도 7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10.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에 있어서, 도 7의 (a)에서 도시한 2.0 채널의 좌 채널 스피커(L)는 도 1에서 도시한 10.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기준점(P1)의 좌측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인 좌 채널 스피커(L),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 좌 후방 채널 스피커(LB), 좌 수직 채널 스피커(LH) 및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와 공간상 대응된다.
따라서, 711 수식을 참조하면, 2.0 채널의 좌 채널 오디오 신호(L)는 10.2 채널의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7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운 믹싱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오디오 시스템(200) 내에서,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를 참조하면, 오디오 시스템(200)의 스피커 부(220)가 10.2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12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801)의 주위에 배치되는 7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B, RB)을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801)을 중심으로 주변 수직 면에 배치되는 3개의 스피커들(LH, RH, CH)을 포함한다. 또한,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를 포함한다. 다만, 도 8의 (a)에 있어서, 도 1의 (d)에서 도시된 스피커들과 동일 대응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평면상(805)에 배치되는 7개의 스피커들은 도 1의 (a)에서 설명한 스피커들과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직면상(803)에 배치되는 3개의 스피커들은 도 1의 (b)에서 설명한 스피커들과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오디오 시스템(200)의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22.2 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 믹싱하여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다운 믹싱 방법은 도 8의 (b)에 기재된 다운 믹싱 수식에 따라서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한다.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 및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들의 구성은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b)의 다운 믹싱 수식에 기재된 소정 계수들(m, t, b, k, l)은 도 3의 (b)에서 설명한 소정 계수들(a, c, k, l)과 유사하게, 오디오 시스템(200)의 전체 소리 레벨(sound level), 최대 정격 출력 등의 제품 사양 또는 설계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에서 이용되는 22.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9의 (a)는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의 (b)는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의 (c)는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22.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은 22 개의 일반 대역 오디오 신호들과 2개의 저주파수 대역(LFE: low frequency effect)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한다.
도 9의 (a)에서 도시한 10.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은 도 1에서 설명한 오디오 시스템과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22.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은 20개의 일반 대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22 개의 스피커와 2개의 저주파수 대역(LFE: low frequency effect) 오디오 신호들 출력하는 2개의 우퍼 스피커들을 포함한다. 도 9의 (b)에서는 22개의 스피커인 제1 내지 제22 채널 스피커들(1ch 내지 22ch)을 도시하고, 2개의 우퍼 스피커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전술한 20 개의 일반 대역 오디오 신호들은 3 개의 계층인 상위 레이어(upper layer)(931), 중간 레이어(middle layer)(941) 및 하위 레이어(lower layer)(951)에 배치되는 20개의 스피커들을 통하여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upper layer)(931)에는 상위 전방 좌 채널 오디오 신호(TpFL: Top Front Left)를 출력하는 상위 전방 좌 채널 스피커(11), 상위 전방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TpFC: Top Front Center)를 출력하는 상위 전방 중앙 채널 스피커(12), 상위 전방 우 채널 오디오 신호(TpFR: Top Front Right)를 출력하는 상위 전방 우 채널 스피커(11), 상위 주변 좌 채널 오디오 신호(TpSiL: Top Side Left)를 출력하는 상위 주변 좌 채널 스피커(14), 상위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TpC: Top Center)를 출력하는 상위 중앙 채널 스피커(15), 상위 주변 우 채널 오디오 신호(TpSiR: Top Side Right)를 출력하는 상위 주변 우 채널 스피커(16), 상위 후방 좌 채널 오디오 신호(TpBL: Top Back Left)를 출력하는 상위 후방 좌 채널 스피커(17), 상위 후방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TpBC: Top Back Center)를 출력하는 상위 후방 중앙 채널 스피커(18), 및 상위 후방 우 채널 오디오 신호(TpBR: Top Back Right)를 출력하는 상위 후방 우 채널 스피커(19)가 도 9의 (b)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또한, 중간 레이어(941)에는 전방 좌 채널 오디오 신호(FL: Front Left)를 출력하는 전방 좌 채널 스피커(1), 전방 좌측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FLc: Front Left center)를 출력하는 전방 좌측 중앙 채널 스피커(2), 전방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FC: Front Center)를 출력하는 전방 중앙 채널 스피커(3), 전방 우측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FRc: Front Right center)를 출력하는 전방 우측 중앙 채널 스피커(4), 전방 우 채널 오디오 신호(FR: Front Right)를 출력하는 전방 우 채널 스피커(5), 주변 좌 채널 오디오 신호(SiL: Side Left)를 출력하는 주변 좌 채널 스피커(6), 주변 우 채널 오디오 신호(SiR: Top Side Right)를 출력하는 주변 우 채널 스피커(7), 후방 좌 채널 오디오 신호(BL: Back Left)를 출력하는 후방 좌 채널 스피커(8), 후방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BC: Back Center)를 출력하는 후방 중앙 채널 스피커(9), 및 후방 우 채널 오디오 신호(BR: Back Right)를 출력하는 후방 우 채널 스피커(10)가 도 9의 (b)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또한, 하위 레이어(951)에는 하위 전방 좌 채널 오디오 신호(BtFL: Bottom Front Left)를 출력하는 하위 전방 좌 채널 스피커(20), 하위 전방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BtFC: Bottom Front Center)를 출력하는 하위 전방 중앙 채널 스피커(21), 하위 전방 우 채널 오디오 신호(BtFR: Bottom Front Right)를 출력하는 하위 전방 우 채널 스피커(22), 제1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1: Low Frequency Effect 1)를 출력하는 제1 우퍼 스피커(23), 및 제2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2: Low Frequency Effect 2)를 출력하는 제2 우퍼 스피커(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b) 및 도 9의 (c)를 참조하면, 스윗 스팟(901)의 상부에 제15 채널(15ch)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인 상위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TpC)를 출력하는 상위 중앙(TpC: Top Center) 채널 스피커(15)가 배치된다.
22.2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아 10.2 채널 신호들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8의 (b)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평면 스피커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119)는 기준점(P1)에서 좌측 100 내지 120도(A1) 사이에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118)는 기준점(P1)에서 우측 100 내지 120도(A1) 사이에 배치되는 우 주변 채널 스피커(RS)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수평면 스피커 세트, 도 1의 (b) 및 (c)에 도시된 수직면 스피커 세트 및 도 1의 (c)에 도시된 우퍼 스피커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수평면 스피커 세트에 5개, 수직면 스피커 세트에 3개 및 우퍼 스피커 세트에 2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한다. 즉, 총 8개 (수평면 스피커 세트에 5개 + 수직면 스피커 세트에 3개) + 2개(우퍼 스피커 세트에 2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중앙 채널 스피커(C),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R)는 각각 도 1의 (a)에서 설명한 중앙 채널 스피커(C), 좌 채널 스피커(L) 및 우 채널 스피커(R)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12에서는 오디오 시스템(200)이 도 10에서 전술한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고 이를 5.1 또는 2.0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인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들을 나타낸다. 도 11의 (a)는 도 6의 (a)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의 (b)는 도 10에서 설명한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다운 믹싱하여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 믹싱 방법이 도시된다. 스피커 부(220)가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11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1201)의 주위에 배치되는 2 개의 스피커들 (L, R)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도 7의 (a)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오디오 시스템(200),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다운 믹싱한 다운 믹싱 신호를 스피커 부(220)로 출력한다.
스피커 부(220)가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각각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에서 도시한 2.0 채널의 좌 채널 스피커(L)는 도 10에서 설명한 8.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기준점(P1)의 좌측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인 좌 채널 스피커(L), 좌 주변 채널 스피커(LS), 좌 수직 채널 스피커(LH) 및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CH)와 공간상 대응된다.
따라서, 도 12의 (b)에 기재된 첫 번째 수식을 참조하면, 2.0 채널의 좌 채널 오디오 신호(L)는 8.2 채널의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8.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12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평면에 배치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를 나타낸다.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직면에 배치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수직면에 배치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수평면 상으로는 도 13의 (a)와 같이 배치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를 포함하고, 수직면 상으로는 도 13의 (b) 및 (c)와 같이 배치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1320, 13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도 13의 (d)와 같이 배치되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a) 및 (d)는 각각 도 1의 (a) 및 (d)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는 도 1의 (a)에서 설명한 수평면 스피커 세트(110)와 동일하게, 7개의 스피커(C, L, R, LS, RS, LB, R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5개의 스피커(C, L, R, LS, R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a)에서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가 7개의 스피커(C, L, R, LS, RS, LB, RB)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3의 (b) 및 (C)를 참조하면, 수직면 스피커 세트(1320, 1330)는 기준점()P1)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B12) 및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B3)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LH)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RH)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면 스피커 세트(1320, 1330)는 기준점(P1)에서 수평 방향으로 135 내지 150 도 사이(B22) 및 기준점(P1)에서 수직 방향으로 135 내지 150 도 사이(B4)에 각각 배치되는 좌 후방 수직 채널 스피커(LBH: Left Back Height) 및 우 후방 수직 채널 스피커(RBH: Right Back Height)를 포함한다.
도 1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에 7개의 스피커(C, L, R, LS, RS, LB, RB)가 포함될 경우, 총 11개의 일반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들, 즉,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에 7개의 스피커(C, L, R, LS, RS, LB, RB) 및 수직면 스피커 세트(1320, 1330)에 4개의 스피커(LH, RH, LBH, RBH)이 포함된다. 그리고, 2개의 저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 즉, 좌 채널 우퍼 스피커(LFEL)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LFER),이 포함된다. 따라서, 도 13에서 도시한 스피커 시스템은 11.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에서 설명한 11.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7.1, 5.1 또는 2.0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 믹싱 방법을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도 13에서 전술한 11.2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아 7.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4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1401)의 주위에 배치되는 8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B, RB, LF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도 3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운 믹싱 수식은 도 14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1501)의 주위에 배치되는 6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FE)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도 6의 (a)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부(220)가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11.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15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11.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15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6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1601)의 주위에 배치되는 2 개의 스피커들 (L, R)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도 7의 (a)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부(220)가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11.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각각은 도 16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에 있어서, 좌 후방 채널 스피커(LB) 및 우 후방 채널 스피커(RB)를 제외한, 5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1310)는 도 10에서 도시한 스피커들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피커는 총 11개((L, R, C, SL, SR/ LH, RH, LBH, RBH/ LFEL, LFER)가 되며, 오디오 시스템은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5.1 또는 2.0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 믹싱 방법을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7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1701)의 주위에 배치되는 6 개의 스피커들 (L, R, C, SL, SR, LFE)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의 (a)는 도 6의 (a)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부(220)가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및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 각각은 도 17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는데 이용되는 다운 믹싱 수식은 도 17의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스피커 부(220)에 포함되는 스피커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8의 (b)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가 수행하는 다운 믹싱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스피커 부(220)는 스윗 스팟(1801)의 주위에 배치되는 2 개의 스피커들 (L, R)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피커 부(220)는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의 (a)는 도 7의 (a)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 부(220)가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 한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다운 믹싱되어 출력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각각은 도 18의 (b)에 도시된 다운 믹싱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은 사용자가 체감하는 현장감 및 입체감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10.2, 8.2, 11.2 또는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들만을 이용하여, 22.2 채널의 오디오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현장감 및 입체감과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정도의 현장감 및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 믹싱 방법은 10.2, 8.2, 11.2 또는 9.2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7.1, 5.1 또는 2.0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로 다운 믹싱함으로써, 다운 믹싱 시 발생하는 현장감 및 입체감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오디오 시스템
210: 오디오 신호 생성부
220: 스피커 부

Claims (24)

  1.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6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좌 후방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6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우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우 후방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 주변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좌 후방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우 주변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우 후방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 스피커 세트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 스피커 세트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스피커 및 제2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100 내지 12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우 주변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8.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평면 스피커 세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135 내지 150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135 내지 150 사이에 배치되는 좌 후방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후방 수직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직면 스피커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6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좌 후방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6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우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우 후방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 주변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좌 후방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우 주변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6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우 후방 채널 스피커는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 150 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우퍼 스피커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 스피커 세트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 스피커 세트는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100 내지 12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주변 채널 스피커 및 우 주변 채널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4. 소정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스피커 부에 포함되는 스피커의 개수에 맞춰서 상기 소정 오디오 신호를 다운 믹싱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믹싱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오디오 신호는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는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는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부는
    7.1, 5.1, 및 2.0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6. 수평면의 전방 0 도인 기준점에 배치되는 중앙 채널 스피커에 대응는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도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스피커 및 우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60 내지 15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45도 사이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90 내지 150 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수직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는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7.1, 5.1 또는 2.0 채널 오디오 신호로 다운 믹싱하여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 또는 인접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일 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상기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상기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 및 좌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LB)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 및 우 후방 채널 오디오 신호(RB)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RH),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L) 및 우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R)를 포함하는 10.2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를 7.1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RH)는 각각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 150도에 인접한 스피커들인 상기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상기 우 수직 채널 스피커에 대응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1

    의 다운 믹싱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다운 믹싱 수식에서 좌 항은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나타내며 우 항은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를 7.1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RH)는 각각 상기 기준점에서 수직 방향 90도에 인접한 좌 수직 채널 스피커 및 우 수직 채널 스피커들에 대응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2

    의 다운 믹싱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다운 믹싱 수식에서 좌 항은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나타내며 우 항은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3

    의 다운 믹싱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다운 믹싱 수식에서 좌 항은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나타내며 우 항은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4

    의 다운 믹싱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다운 믹싱 수식에서 좌 항은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나타내며 우 항은 상기 10.2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중앙 채널 오디오 신호(C), 상기 좌 채널 오디오 신호(L) 및 상기 우 채널 오디오 신호(R), 좌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LS)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채널 오디오 신호 및 우 주변 채널 오디오 신호(RS)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채널 오디오 신호, 좌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LH) 및 우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RH), 중앙 수직 채널 오디오 신호(CH), 및 상기 기준점에서 좌우 30 내지 90 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좌 채널 우퍼 스피커 및 우 채널 우퍼 스피커에 각각 대응되는 좌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L) 및 우 우퍼 채널 오디오 신호(LFER)를 포함하는 8.2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상기 8.2 채널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5

    의 다운 믹싱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다운 믹싱 수식에서 좌 항은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나타내며 우 항은 상기 8.2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24.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상기 8.2 채널 오디오 신호를 2.0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6

    의 다운 믹싱 수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다운 믹싱 수식에서 좌 항은 상기 다운 믹싱 신호를 나타내며 우 항은 상기 8.2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소정 채널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KR1020110097573A 2010-10-14 2011-09-27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Withdrawn KR20120038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73,568 US20120093323A1 (en) 2010-10-14 2011-10-14 Audio system and method of down mixing audio signal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306610P 2010-10-14 2010-10-14
US61/393,066 2010-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91A true KR20120038891A (ko) 2012-04-24

Family

ID=461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73A Withdrawn KR20120038891A (ko) 2010-10-14 2011-09-27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89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745A (ko) * 2013-04-19 2014-10-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9774973B2 (en) 2012-12-04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providing apparatus and audio providing method
US9936327B2 (en) 2013-07-22 2018-04-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unit for mapping a plurality of input channels of an input channel configuration to output channels of an output channel configuration
CN108806704A (zh) * 2013-04-19 2018-11-13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多信道音频信号处理装置及方法
US10614820B2 (en) 2013-07-25 2020-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naural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 channel audio
KR20210124943A (ko) * 2014-05-09 2021-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및 스피커의 위치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4279A (ko) * 2013-01-15 2021-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운드 바를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9084B2 (en) 2012-12-04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providing apparatus and audio providing method
US9774973B2 (en) 2012-12-04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providing apparatus and audio providing method
US10341800B2 (en) 2012-12-04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providing apparatus and audio providing method
KR20210134279A (ko) * 2013-01-15 2021-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운드 바를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05640A (ko) * 2013-04-19 2020-09-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405738B2 (en) 2013-04-19 2022-08-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CN108806704A (zh) * 2013-04-19 2018-11-13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多信道音频信号处理装置及方法
US12231864B2 (en) 2013-04-19 2025-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US10701503B2 (en) 2013-04-19 2020-06-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US11871204B2 (en) 2013-04-19 2024-01-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KR20140125745A (ko) * 2013-04-19 2014-10-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806704B (zh) * 2013-04-19 2023-06-06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多信道音频信号处理装置及方法
KR20210123255A (ko) * 2013-04-19 2021-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9936327B2 (en) 2013-07-22 2018-04-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unit for mapping a plurality of input channels of an input channel configuration to output channels of an output channel configuration
US11272309B2 (en) 2013-07-22 2022-03-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first and second input channels to at least one output channel
US10154362B2 (en) 2013-07-22 2018-12-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first and second input channels to at least one output channel
US10798512B2 (en) 2013-07-22 2020-10-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unit for mapping a plurality of input channels of an input channel configuration to output channels of an output channel configuration
US10701507B2 (en) 2013-07-22 2020-06-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first and second input channels to at least one output channel
US11877141B2 (en) 2013-07-22 2024-01-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unit for mapping a plurality of input channels of an input channel configuration to output channels of an output channel configuration
US10950248B2 (en) 2013-07-25 2021-03-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naural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 channel audio
US11682402B2 (en) 2013-07-25 2023-06-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naural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 channel audio
US10614820B2 (en) 2013-07-25 2020-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naural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 channel audio
KR20210124943A (ko) * 2014-05-09 2021-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및 스피커의 위치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20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acoustic sig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341523B1 (ko) 스테레오 신호들로부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생성하는 방법
JP6386109B2 (ja) ヘッドレス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システムのための信号処理
KR20120038891A (ko) 오디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 믹싱 방법
US20120093323A1 (en) Audio system and method of down mixing audio signals using the same
US9247369B2 (en) Method for enlarging a location with optimal three-dimensional audio perception
CN1956606B (zh) 产生空间立体声的方法和装置
EP2177057B1 (en) Sound reproduction systems
JP4625671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再生装置
WO2012051535A2 (en) Generation of 3d sound with adjustable source positioning
US9161150B2 (en) Audio rendering device and audio rendering method
JP6824192B2 (ja) 音響システム
EP4236378B1 (en) Rendering audio objects with multiple types of renderers
WO2008018689A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encoding/decoding a multi-channel audio signal, and method medium, and system decoding a down-mixed signal to a 2-channel signal
US20140219458A1 (en) Audio signal reproduction device and audio signal reproduction method
JP6287191B2 (ja) スピーカ装置
JP2003087893A (ja) スピーカ装置の配置方法、および音響再生装置
KR20060005829A (ko) 최적 가상음원을 제공하는 음향재생장치 및 음향재생방법
KR20140025268A (ko) 사운드 바를 이용한 음장 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3477A (ko) 다채널 서라운드 스피커 시스템
Aarts Applications of DSP for sound reproduction improvement
JP2011139263A (ja) 立体音響生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