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8665A -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665A
KR20120038665A KR1020100100231A KR20100100231A KR20120038665A KR 20120038665 A KR20120038665 A KR 20120038665A KR 1020100100231 A KR1020100100231 A KR 1020100100231A KR 20100100231 A KR20100100231 A KR 20100100231A KR 20120038665 A KR20120038665 A KR 2012003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arth anchor
vegetation mat
net
str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102010010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665A/ko
Publication of KR2012003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65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공사 및 일반 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 즉,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 또는 식재된 초목류 식생매트를 도포한 후 식생매트를 보강하기 위한 어스앵커를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씨앗의 발아를 촉진 또는 초목류 식생매트의 활착을 촉진시켜 녹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법면과 부착구조물간의 일체화를 이루도록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어스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공사 및 일반 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 즉,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 또는 식재된 초목류 식생매트를 도포한 후 식생매트를 보강하기 위한 어스앵커를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씨앗의 발아를 촉진 또는 초목류 식생매트의 활착을 촉진시켜 녹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법면과 부착구조물간의 일체화를 이루도록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절개지는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교통수단의 발달로 늘어나는 도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산의 일부나 강, 하천 등의 일부에 도로를 시공하면서 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개지는 엘니뇨, 라니냐 등 지구의 이상기온으로 예상치 못한 폭우가 내리게 됨으로써 70~80%의 절개지에서 물이 흘러내림과 함께 미처 흘러내리지 못한 물이 지중으로 침투되어 도로 또는 절개지의 토질이 약한 부분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중으로 과다하게 물이 스며들게 되면, 절개지 법면이 붕괴되거나 파손되는데, 법면의 붕괴로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이 매몰되거나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차량의 통행이 막히게 되어 인명은 물론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입게 된다.
이러한 절개지의 토질은 암석을 굴착하거나 토사로 이루어는데, 토사의 대부분을 이루는 흙은 암석의 오랜 세월 동안 물리화학적인 작용 및 생물학적 풍화작용을 통하여 생성된다.
또한, 암석에서 생성된 흙의 주요 구성요소는 암석의 풍화 산물인 광물과 함께 동물, 식물의 잔해로부터 형성된 유기물과 유기물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 탄산가스, 산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산이나 하천 등의 절개지는 절개지 시공 후 대략 5~10년이 지나야 토질의 생물학적 풍화작용으로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토질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절개지에는 장마철의 폭우, 집중 호우 등에 의하여 훼손되지 않도록 잔디, 관목 등의 관상 식물을 심어 녹화함으로써 절개지 법면이 붕괴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절개지 법면의 녹화 공법은 절개지 법면에 복토를 하고, 이에 잔디, 관목 식물의 씨앗을 파종한 다음 볏짚, 섬유망 등의 보온재를 덮어 습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발아된 씨앗이 성장하여 절개지 법면에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절개지 법면의 녹화는 씨앗을 파종하고 씨앗이 성장하게 되는데 미처 뿌리내리지 못한 법면 부위나 지질적인 취약점이 나타난 법면 부위에 폭우나 집중호우 등이 내리면 절개지 법면이 세굴(洗掘)되어 붕괴되거나 훼손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절개지는 그 토질에 따라 리핑암(풍화암), 연암, 경암 등으로 구분되는데, 리핑암, 경암일 경우 절개지 시공 후 절개지 법면에 철망이나 섬유망 등을 설치한 다음 하수 오니, 음식물 오니, 산업폐기물, 슬러지, 오니 등으로 이루어진 배양토로 복토한 다음 철망이나 섬유망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씨앗을 파종하여 녹화시켰다.
그러나, 상기 철망이나 섬유망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철재나 플라스틱재로 구비된 고정말뚝(앙카핀)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고정말뚝이 법면에 박혀있는 상태가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지면의 풍화작용 및 다년간 기온차로 인한 결속부위 지면이 헐거워져 고정말뚝이 이탈되는 우려가 발생하여 이에 파생된 폭우 및 기온차로 인해 토사의 유실로 연쇄적인 고정말뚝의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산의 일부를 깍아 내는 등의 토목공사 후에는, 그 해당부분을 녹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절취된 부분의 녹화는 수해 예방 또는 산사태 방지의 측면에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녹화구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제안이 있었으나, 가장 현저하게 대두되는 문제점은 녹화구조가 토목공사후의 경사면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폭우에 의하여 녹화된 부분 전체 또는 일부가 물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아서, 실질적으로 녹화사업 자체에 그리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법면을 녹화하기 위해 볏짚거적을 씌워 씨앗이 발아하여 식물로 성장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볏짚거적 하면에 형성된 종자층이 성장하여 법면 지면에 뿌리가 활착하지 못하고 법면 지면상에 식물이 미활착한 상태로 존재하여 폭우 등과 같이 빗물에 쓸려 손실되어 법면이 붕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도로공사 및 일반 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 즉,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 또는 식재된 초본류 매트를 도포 한 후 상기 식생매트 상부에 어스앵커를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하고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어스앵커를 사용하기 위해 법면의 상면에 도포하는 식생매트층을 다양화하여 초본류의 씨앗이 빠르게 성장하며,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초본류가 성장과정중 식생매트층 모두 초본류의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자연분해되는 소재를 사용하도록 하여 법면에 어스앵커를 이용한 식생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법면의 표면에 식생매트가 적층되어 상기 식생매트 상면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법면 지중에 고정되는 어스앵커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는,
수평 단면이 사각형이며, 하부의 둘레면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제1날개편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하향으로 뾰족해지는 첨예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와 연결되어 원반형을 이루며, 저면에 돌출된 보강살이 복수개 형성되는 머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한편, 몸체부와 첨예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상기 몸체부 하부의 둘레면에 제1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선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와 볼트 사이에 형성되며, 판상의 형태로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2날개편 한쌍이 십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어스앵커를 법면에 시공함에 있어, 법면의 절취사면에 토사를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절취사면 전면(全面)에 다수개 타공된 홀(Hole)부직포를 씌우는 단계; 상기 씌워진 홀부직포 전면(全面)에 볏짚네트를 씌우는 단계; 상기 씌워진 볏짚네트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어스앵커를 박아 넣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를 이용한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법면 녹화구조에 따른 법면에 초본류 식생매트를 적층하여 법면 지면과 초본류 식생매트의 일체화를 구성하도록 고정시키는 어스앵커로서, 상기 어스앵커는 법면의 지중에 박히면, 쉽게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아 법면의 녹화구종에 따른 녹생토가 법면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식생 녹화가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사시도(1).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어스앵커의 사시도(2)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또다른 형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법면에 식생매트를 적층하여 고정하는 시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법면의 지중에 설치하는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설치구성도의 “A”부위의 확대도.
도 12는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해 법면 상면에 적층되는 식생매트 구조도.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해 법면 상면에 적층되는 식생매트 (a)의 분리도.
도 15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해 법면 상면에 적층되는 식생매트 (b)의 분리도.
도 16은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해 법면 상면에 적층되는 식생매트 (c)의 분리도.
도 17은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해 법면 상면에 적층되는 식생매트 (d)의 분리도.
도 18은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해 법면 상면에 적층되는 식생매트 (e)의 분리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어스앵커의 용도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른 어스앵커가 사용되는 용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됨을 알리는 바입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법면(10)의 표면에 식생매트(200a)가 적층되어 상기 식생매트(200a) 상면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법면(10) 지중에 고정되는 어스앵커(100a)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100a)는, 수평 단면이 사각형이며, 하부의 둘레면에 체결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11)을 통해 중앙 일면에 관통된 관통구(141)가 형성되어 양측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판상의 제1날개편(140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하향으로 뾰족해지는 첨예부(120)와, 상기 몸체부(110) 상부와 연결되어 원반형을 이루며, 저면에 돌출된 보강살(131)이 복수개 형성되는 머리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100a)를 제공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스앵커(100a)를 구성하는 몸체부(110), 첨예부(120) 및 머리부(130)가 일몸체를 이루며, 일몸체를 이루는 어스앵커(100a)를 성형제작시 상기 몸체부(110)의 체결홈(111)에 제1날개편(140a)을 체결하여 완료된 어스앵커(100a)를 제작하게 되며, 즉 성형시 어스앵커(100a) 금형에 제1날개편(140a)을 설치하여 합성수지액을 금형에 주입하여 압출성형하여 어스앵커(100a)를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날개편(140a)의 중앙 일면에 관통구(141)가 형성되어 성형시 합성수지액을 주입시 상기 몸체부(110)를 형성하는 합성수지가 상기 관통구(141)를 통해 주입되어 몸체부(110)를 이루는 합성수지 성형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된다.
이에 몸체부(110), 첨예부(120) 및 머리부(130)가 일체로 된 어스앵커(100a)를 제작하게 되며, 상기 어스앵커(100a)의 몸체부(110)가 수평단면이 사각형외에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날개편(140a)이 각 면(面)에 형성되지만, 한쌍의 제1날개편(140a)이 대면하는 각 면(面)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제작된 어스앵커(100a)를 식생매트(200a)가 씌워진 법면(10)의 지중에 고정시 상기 어스앵커(100a)의 머리부(110)를 항타하여 지중에 고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머리부(130) 하단부에 형성된 제1날개편(140a)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법면(10)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결국 법면(10)의 상면에 덮여진 식생매트(200a)를 강하게 고정하여 폭우로 인한 식생매트(200a)의 유실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법면(10)의 지중 환경 또는 식생매트(200a)의 두께에 따라 어스앵커(100b)의 길이가 다르게 설치되어야 함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어스앵커(100b)를 제작하게 된다.
상술한 일체형을 가진 어스앵커(100a)와는 달리 몸체부(110)와 첨예부(120)는 일체를 이루며, 머리부(130)가 분리/조립되는 어스앵커(100b)를 제공되며 다음과 같이 구성하게 된다.
도 4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 원반형의 머리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 하단부에 첨예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상기 몸체부(110) 하부의 둘레면에 제1나사선(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선(112)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20a)와 볼트(20a) 사이에 형성되며, 판상의 형태로 중앙에 관통구(141)가 형성된 제2날개편(140b) 한쌍이 십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100b)를 제공한다.
도 7과 같이 상기 몸체부(110) 상/하부에 제1(112)이 형성되어 한쌍의 볼트(20a, 20b)가 몸체부(110)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110) 하부에 형성된 볼트(20a)와 볼트(20a) 사이에 제2날개편(140b)이 형성되며, 상기 제2날개편(140b)의 중앙에 관통구(141)가 형성되어 상기 첨예부(120)를 통해 내속되어 볼트(20a)를 채워 체결하게 된다.
이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날개편(140b)은 십자형을 이루도록 한쌍의 제2날개편(140b)이 내속되게 되거나, 제2날개편(140b)이 1개 또는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3개 이상이 더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스앵커(100a)를 법면에 시공함에 있어, 법면(10)의 절취사면에 토사를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절취사면 전면(全面)에 다수개 타공된 홀(Hole)부직포(220)를 씌우는 단계; 상기 씌워진 홀(Hole)부직포(220) 전면(全面)에 볏짚네트(210)를 씌우는 단계; 상기 씌워진 볏짚네트(210)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어스앵커(100a)를 박아 넣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를 이용한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2와 같이 상기 홀(Hole)부직포(220)와 그 상면에 적층되는 볏짚네트(210)로 구성되는 식생매트(200a)와는 달리, 도 13의 (a), (b), (c), (d)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3을 각각 분리도로 나타낸 도 14의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코아네트(23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b), 도 15의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황마네트(240) 그리고 상기 황마네트(240) 상면에 볏짚네트(21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c), 도 16의 홀부직포(220) 상면에 천연 펄프지층(250) 그리고 상기 펄프지층(250) 상면에 볏짚네트(21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d), 도 17의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황마네트(240) 그리고 상기 황마네트(240) 상면에 천연 펄프지층(250) 그리고 상기 펄프지층(250) 상면에 볏짚네트(21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e) 또는 도 18의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그물망(260) 그리고 상기 그물망(260) 상면에 코이어솜(270) 그리고 상기 코이어솜(270) 상면에 그물망(260)이 형성되는 식생매트(200f) 중 택일하여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Hole)부직포층 상면 또는 내부에 초본류 씨앗이 내포되어 형성되며, 법면에 상기 다양한 식생매트(200a)가 형성되어 초본류 씨앗이 성장하면서 상기 식생매트(200a)에서 볏짚네트, 코이어솜, 황마네트, 펄프지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분해로 인한 부토화로 거름으로 진행되어 초분류의 뿌리가 활착하는데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법면 : 10, 볼트 : 20a, 어스앵커 : 100a, 100b, 몸체부 : 110, 체결홈 : 111, 제1나사선 : 112, 첨예부 : 120, 머리부 : 130, 보강살 : 131, 제1날개편 : 140a, 제2날개편 : 140b, 관통구 : 141, 식생매트 : 200a, 볏짚네트 : 210, 홀(Hole)부직포 : 220, 코아네트 : 230, 황마네트 : 240, 펄프지층 : 250, 그물망 : 260, 코이어솜 : 270

Claims (4)

  1. 법면(10)의 표면에 식생매트(200a)가 적층되어 상기 식생매트(200a) 상면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법면(10) 지중에 고정되는 어스앵커(100a)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100a)는,
    수평 단면이 사각형이며, 하부의 둘레면에 체결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11)을 통해 중앙 일면에 관통된 관통구(141)가 형성되어 양측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판상의 제1날개편(140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하향으로 뾰족해지는 첨예부(120)와, 상기 몸체부(110) 상부와 연결되어 원반형을 이루며, 저면에 돌출된 보강살(131)이 복수개 형성되는 머리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100a) 대신에 상단부에 원반형의 머리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 하단부에 첨예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상기 몸체부(110) 하부의 둘레면에 제1나사선(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선(112)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20a)와 볼트(20a) 사이에 형성되며, 판상의 형태로 중앙에 관통구(141)가 형성된 제2날개편(140b) 한쌍이 십자형으로 구성되는 어스앵커(100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3. 어스앵커(100a)를 법면(10)에 시공함에 있어, 법면의 절취사면에 토사를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절취사면 전면(全面)에 다수개 타공된 홀(Hole)부직포(210)를 씌우는 단계; 상기 씌워진 홀부직포(210) 전면(全面)에 볏짚네트(220)를 씌우는 단계; 상기 씌워진 볏짚네트(220)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어스앵커(100a)를 박아 넣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를 이용한 식생매트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Hole)부직포(220)와 그 상면에 적층되는 볏짚네트(210)로 구성되는 식생매트(200a) 대신에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코아네트(23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b),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황마네트(240) 그리고 상기 황마네트(240) 상면에 볏짚네트(21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c), 홀부직포(220) 상면에 천연 펄프지층(250) 그리고 상기 펄프지층(250) 상면에 볏짚네트(21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d),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황마네트(240) 그리고 상기 황마네트(240) 상면에 천연 펄프지층(250) 그리고 상기 펄프지층(250) 상면에 볏짚네트(210)로 형성된 식생매트(200e) 또는 홀(Hole)부직포(220) 상면에 그물망(260) 그리고 상기 그물망(260) 상면에 코이어솜(270) 그리고 상기 코이어솜(270) 상면에 그물망(260)이 형성되는 식생매트(200f) 중 택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를 이용한 식생매트의 시공방법.
KR1020100100231A 2010-10-14 2010-10-14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Abandoned KR20120038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31A KR20120038665A (ko) 2010-10-14 2010-10-14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31A KR20120038665A (ko) 2010-10-14 2010-10-14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65A true KR20120038665A (ko) 2012-04-24

Family

ID=4613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231A Abandoned KR20120038665A (ko) 2010-10-14 2010-10-14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6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11B1 (ko) * 2014-10-06 2015-01-08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환경친화적 생분해성 잔디 홀씨 식생용기 고정구조
KR20200093771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온실의 바닥 고정구조
KR20200123700A (ko) 2019-04-22 2020-10-30 복기찬 절개지의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앵커
KR102666888B1 (ko) 2023-09-14 2024-05-17 (주)디와이산업 앵커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KR102765506B1 (ko) 2023-12-20 2025-0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분해성 돌기가 구비된 일체형 앵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보강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11B1 (ko) * 2014-10-06 2015-01-08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환경친화적 생분해성 잔디 홀씨 식생용기 고정구조
KR20200093771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온실의 바닥 고정구조
KR20200123700A (ko) 2019-04-22 2020-10-30 복기찬 절개지의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앵커
KR102666888B1 (ko) 2023-09-14 2024-05-17 (주)디와이산업 앵커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KR102731608B1 (ko) 2023-09-14 2024-11-18 (주)디와이산업 앵커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KR102765506B1 (ko) 2023-12-20 2025-0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분해성 돌기가 구비된 일체형 앵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534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KR200448984Y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CN106900342B (zh) 一体化半岩质高边坡植被重建保护方法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38119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0454179Y1 (ko) 어스와이어앵커
JP2014073105A (ja) 植生マット
CN104612102B (zh) 一种河道生态过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621174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네트
KR102443511B1 (ko) 피스톤식 고정용 앵커를 이용한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1002043B1 (ko) 법면녹화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법면 녹화시공방법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JP5699291B2 (ja) 植生工法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KR102293493B1 (ko) 사면 녹화공법
KR200404060Y1 (ko) 짚코 원단 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1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