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8639A - 선박 긴급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긴급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639A
KR20120038639A KR1020100100193A KR20100100193A KR20120038639A KR 20120038639 A KR20120038639 A KR 20120038639A KR 1020100100193 A KR1020100100193 A KR 1020100100193A KR 20100100193 A KR20100100193 A KR 20100100193A KR 20120038639 A KR20120038639 A KR 2012003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ixing
blocking plate
fixe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479B1 (ko
Inventor
이강현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이강현
이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현, 이현재 filed Critical 이강현
Priority to KR102010010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4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63B17/0036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16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16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 B63C7/22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using electromagnet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나 충돌로 인해 선박이 파손될 때 그 파손부위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선박 긴급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의 파손 부위 주변에 부착되는 다수의 고정블록과; 선박의 파손 부위를 덮어주도록 테두리부위가 각 고정블록위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의 선박 대향면으로부터 2개의 격벽이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전체적으로 연결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패킹이 삽입되어 선박의 파손 부위 주변을 수밀성있게 차단해주는 차단판과; 차단판의 격벽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차단판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선박의 파손 부위를 통해 유출된 물질을 우회시키는 우회관이 연결되는 우회관 연결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긴급 보수장치{Apparatus to mend vessle urgently}
본 발명은 선박 긴급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충돌로 인해 선박이 파손될 때 그 파손부위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선박은 사람, 가축, 물자 등을 싣고 수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현재 전 세계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가까워지면서 교역량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고속 수송에 대한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화물을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어 차량장치 및 비행장치와 더불어 현대 산업에서 없으면 안 될 수송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생활에 대한 욕구도 커져 호화 유람선이나 고속 여객선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렇게 선박의 효용성이 늘어감에 따라 항해 중에 발생하는 선체의 손상, 암초와의 충돌, 타선박과의 충돌, 부두에 접안 시 선체와 부두의 충돌 등 선박의 파손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박의 파손으로 인해 선박의 전복이나 침몰이 유발되고, 선박내의 물자의 유실 및 기름, 가스 등이 바다로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등 그 여파가 적지 않은 현실이다. 일례로 얼마 전에 태안반도에서 발생된 기름 유출사건에서 보듯이 그 자연환경의 오염 및 그 복구기간을 감안할 때 선박의 파손으로 인해 미치는 파장은 어마어마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선박의 파손 시 대응할 수 있는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른 관련기술을 살펴보면, 공기팩 등의 수납실 구조를 갖는 공간을 선체 옆면에 만들고, 선체에 경사검출기 등을 배치하여 선체가 파손 등으로 경사지게 되면 경사검출기의 작동신호가 액츄에이터에 보내지고 액츄에이터를 통해 가스 발생기가 작동하여 수납실의 공기팩이 팽창하여 선박의 부력을 개선시켜 선박의 파손 시 선박의 전복이나 침몰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기술이 있는데, 이는 선박의 전복 및 침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지만 파손된 부분에서 기름 및 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바다 내에 유입될 수 있으며 선박 외부에 경사검출기 및 가스 발생기 등 고가의 장비가 구비되어 비교적 소형 선박에는 구비하기 부담스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선체가 파손된 부분을 유연성이 있는 방수시트로 감싸고 케이블을 통해 고정한 다음 시트의 가장자리에 압력을 주입하여 부풀려진 방수시트에 의해 임시적으로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는 방수시트가 바다 내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훼손될 염려가 있으며, 케이블로 인한 고정 시 그 고정강도가 높지 않아 케이블이 풀려버려 방수효과가 뛰어나지 않으며 방수시트에 압력을 주입하는 작업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 그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선박의 파손 시 용이하면서도 긴급하게 보수가 가능하며, 그 보수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파손부위의 수밀력이 강화되는 선박보수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 충격이나 충돌로 인해 선박이 파손될 때 그 파손부위를 신속하면서도 수밀성있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파손부위를 통해 물이 선박 내부로 유입되거나 선박 내부의 기름이나 가스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선박 긴급 보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의 파손 부위 주변에 부착되는 다수의 고정블록; 상기 선박의 파손 부위를 덮어주도록 테두리부위가 상기 각 고정블록위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의 선박 대향면으로부터 2개의 격벽이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패킹이 삽입되어 상기 선박의 파손 부위 주변을 수밀성있게 차단해주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의 격벽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선박의 파손 부위를 통해 유출된 물질을 우회시키는 우회관이 연결되는 우회관 연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블록은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흡착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판의 테두리에는 플렌지가 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블록과 상기 플렌지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차단판의 테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고정대가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대와 상기 각 고정블록의 사이에 고정벨트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의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패킹의 사이에는 누름편이 개재되며, 상기 삽입홈에 공압 또는 유압을 주입하여 상기 누름편을 통해 상기 패킹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의 외측으로 상기 삽입홈과 통하는 다수의 주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회관 연결부는, 상기 차단판의 격벽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박의 파손부위를 통해 유출되는 물질을 모아주는 깔때기와, 상기 우회관이 원터치 연결되거나 밀폐뚜껑이 덮이도록 상기 깔때기의 중간부에 형성된 우회관 연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파손시 이러한 파손된 부위 주변에 자석 또는 흡착기구로 된 다수의 고정블록을 먼저 고정한 후 그 위에 차단판을 고정해주는 것이며, 차단판에는 파손된 부위 주변을 수밀성있게 밀폐하는 패킹이 구비되어 있어 파손된 부위로 물이 유입되거나 파손된 부위로부터 기름 또는 가스 등의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단판에 형성된 우회관 연결부에 우회관을 연결할 수 있어 파손된 부위로부터 기름 또는 가스 등이 유출되더라도 우회관을 통해 자신의 탱크 또는 다른 선박의 탱크로 기름 또는 가스를 우회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기름 또는 가스의 손실을 막아줄 수 있고, 차단판을 선박에 설치할 때 기름 또는 가스의 배출에 따른 압력을 우회관을 통해 상쇄시킬 수 있어 차단판의 설치가 용이하며, 기름 또는 가스 유출로 인한 환경 오염도 차단해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의 선박 설치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의 패킹부위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선박 또는 유조선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선박 파손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특히 유조선의 파손시 그 파손부위를 신속하게 보수하는데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선박 긴급 보수장치를 유조선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는, 크게 선박(1)의 파손시 그 파손부위(2) 주변에 부착되는 고정블록(10)과, 고정블록(10) 위에 고정되면서 선박(1)의 파손부위(2) 주위를 수밀성있게 패킹해주는 차단판(20)으로 구성된다.
유조선과 같은 선박의 외측면은 통상 철재로 이루어지거나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여기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0)은 선박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전자석이나 영구자석 등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흡착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크게 제한하지는 않으나 취급의 편의성을 위해 장방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차단판(20)은 선박(1)의 파손부위(2)를 충분히 덮어줄 수 있는 넓이를 가져야 되며, 고정블록(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차단판(20)의 테두리에 플렌지(21)를 형성하여 각 고정블록(10)과 차단판(20)의 플렌지(20)를 볼트(11)에 의해 고정하거나, 차단판(20)의 테두리에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고정대(22)를 고정하고, 각 고정대(22)와 각 고정블록(10)의 사이에 고정벨트(12)를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고정벨트(12)에는 조임장치(13)를 구비하여 고정벨트(12)를 고정블록(10)과 고정대(22)에 걸어준 후 조임장치(13)를 통해 팽팽하게 조여주면 된다.
이때, 볼트(11)를 통해 차단판(20)을 고정블록(10)에 고정시켜주는 경우 차단판(20)의 플렌지(21)에는 관통공(21a)이 형성되어 볼트(11)가 이 관통공(21a)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블록(11)에 고정되는데, 고정블록(10)은 선박의 파손부위(2)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므로 작업시 고정블록(10)과 플렌지(21)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운바, 플렌지(21)에 형성되는 관통공(21a)은 볼트(11)의 직경보다는 충분히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볼트(11) 역시 충분히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며, 관통공(21a)보다는 충분히 큰 면적을 갖는 와셔(15)를 볼트(11)의 헤드와 플렌지(21) 사이에 개재하여 차단판(20)을 고정블록(10)에 고정시켜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판(20)의 중간부 선박 대향면으로부터 2개의 격벽(23)을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하여 그 사이에 전체적으로 연결된 삽입홈(24)이 형성되도록 하고, 삽입홈(24)에는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패킹(25)을 삽입하여 선박(1)의 파손부위(2)를 수밀성있게 차단해주게 되는데, 차단판(20)에 플렌지(21)가 형성되어 고정블록(10) 상부에 볼트(11)로 고정되는 경우 격벽(23)의 높이는 고정블록(10)의 높이보다는 높게 구성하여 차단판(20)을 고정블록(10)에 고정할 때 약간의 여유 간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정블록(10)의 위치와 플렌지(21)의 관통공(21a) 위치가 약간 어긋나더라도 충분히 긴 길이를 갖는 볼트(11)를 통해 차단판(20)과 고정블록(10)을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삽입홈(24)의 중간에는 걸림턱(26)을 형성하고, 걸림턱(26)과 패킹(25)의 사이에는 누름편(27)을 개재하며, 삽입홈(24)에 공압 또는 유압을 주입하여 누름편(27)을 통해 패킹(25)을 눌러줄 수 있도록 차단판(20)의 외측으로 삽입홈(24)과 통하는 다수의 주입돌기(28)를 각각 돌출 형성하게 된다.
누름편(27)은 공압 또는 유압이 작용되면 패킹(25)의 밀착되지 않은 부위측을 집중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갖는 정도의 두께로 구성해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입돌기(28)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압력 주입 후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체크밸브를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뚜껑을 구비할 수도 있다.
패킹(25)은 고무, 라텍스, 유연한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가능하며, 패킹(25)의 내부가 모두 채워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중간에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패킹(25)의 높이는 적어도 격벽(23)의 외측 단부로부터 걸림턱(26)까지의 길이보다는 높게 구성하여 차단판(20)의 고정시 패킹(25)이 선박(1) 외면에 눌리면서 선박(1) 외면과의 밀착도를 높여주도록 구성하게 된다.
한편, 유조선의 탱크 부위가 파손되면 탱크 내부의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므로 이를 보수하기 위해 차단판(20)을 고정블록(10)에 고정시킬 때 외부로 유출되는 기름의 유출압력이 차단판(20)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는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단판(20)의 격벽(23)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차단판(20)의 이면에 우회관 연결부(30)를 구성하게 된다.
우회관 연결부(30)는 차단판(20)의 격벽(23)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차단판(20)의 이면에 형성되어 선박(1)의 파손부위(2)를 통해 유출되는 기름 등을 모아주는 깔때기(31)와, 우회관(33)이 원터치 연결되거나 밀폐뚜껑(미도시)이 덮이도록 깔때기(31)의 중간부에 형성된 우회관 연결구(32)로 구성되며, 이러한 우회관 연결구(32)와 자신의 탱크 또는 타선박의 탱크 사이에 우회관(33)을 연결해주게되면 선박(1)의 파손부위(2)를 통해 유출된 기름 등이 우회관(33)을 통해 다시 회수될 수 있게 되며, 유조선이 아닌 일반 선박의 경우에는 파손부위를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에는 우회관 연결구(32)를 밀폐뚜껑으로 막아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긴급 보수장치는, 선박의 항해 도중 선체의 손상, 암초와의 충돌, 타선박과의 충돌, 부두에 접안 시 선체와 부두의 충돌 등에 의해 선박(1)의 파손이 발생되면 다수의 고정블록(10)을 파손 부위 주변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 고정시켜주고, 고정블록(10) 위에 차단판(20)을 고정시켜주면 되는데, 고정블록(10)은 자석 또는 흡착기구로 이루어져 있고, 선박(1)의 파손부위(2)와는 직접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각 고정블록(10)을 선박(1)에 고정할 때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되며, 이러한 고정블록(10)의 위에 차단판(20)을 볼트(11)를 통해 직접 고정하거나 고정벨트(12)를 통해 간접 고정해주면 된다.
그런데, 선박(1)이 파손부위(2)는 물속일 수도 있고 물 밖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파손부위(2)가 물속일 경우에는 고정블록(100을 선박(1)의 파손부위(2) 주위에 고정시킬 때 조류, 시계, 파손부위(2)의 크기, 선박(1)의 형상 등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고정블록(10)을 항상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기 어려우며, 따라서 고정블록(10)과 플렌지(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울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플렌지(21)에 형성되는 관통공(21a)은 볼트(11)의 직경보다는 충분히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볼트(11) 역시 충분히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며, 관통공(21a)보다는 충분히 큰 면적을 갖는 와셔(15)를 구비한 것으로, 각 고정블록(10)이 플렌지(21)의 관통공(21a) 중심으로부터 약간 어긋나더라도 관통공(21a)이 볼트(11)의 직경보다 충분히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11)를 관통공(21a)이 이루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고정블록(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와셔(15)가 볼트(11)의 헤드와 플렌지(21)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므로 차단판(20)을 고정블록(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설혹 고정블록(10)과 관통공(21a)의 위치가 관통공(21a)의 크기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고정블록(10)과 플렌지(21)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있으므로 볼트(11)를 비스듬히 박아 차단판(20)과 고정블록(10)을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는 것이다.
차단판(20)에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고정대(2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한 고정벨트(12)를 고정블록(10)과 고정대(22)에 각각 걸어 조임장치(13)를 통해 조여주면 되므로 고정블록(10)의 고정위치와 크게 상관없이 차단판(20)을 고정블록(10)에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조선의 탱크부위가 파손되어 탱크 내부로부터 기름이 유출되는 경우 유출되는 기름의 압력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차단판(2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차단판(20)의 고정전에 차단판(20) 이면의 우회관 연결부(30)의 우회관 연결구(32)에 우회관(33)을 연결한 후 차단판(20)을 그 고정위치측으로 접근시키면 유출되는 기름이 깔때기(31)를 통해 모아져 우회관(33)으로 우회되면서 유출 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차단판(20)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우회관(33)은 파손 초기 타선박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의 탱크로 연결되도록 하고, 타선박이 도착한 후에는 타선박의 탱크로 연결하여 기름을 아무런 손실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차단판(20)이 고정블록(10)에 고정됨과 동시에 차단판(20)의 선박 대향면에 구비된 패킹(25)은 그 형상적 특징에 따라 파손부위(2)의 주변 선박 외면에 폐쇄되는 형상으로 연속 밀착될 수 있으며, 특히 패킹(25)의 높이가 삽입홈(24) 형성을 위한 격벽(23)의 외측단부로부터 삽입홈(24) 중간부의 걸림턱(26) 사이의 길이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차단판(20)의 고정시 패킹(25)이 선박(1) 외면과의 사이에서 눌리면서 그 밀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판(20)의 고정 후 차단판(20)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주입돌기(28)를 통해 공기 또는 오일을 주입시켜주게 되면 이러한 공기압과 유압에 의해 누름편(27)이 눌리면서 패킹(25)의 밀착성이 저하된 부위를 집중적으로 압착시켜 선박(1)과 패킹(25) 사이가 수밀성있게 보다 강력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며, 공기 또는 오일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돌기(28)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체크밸브에 의해 공기 또는 오일이 역류하지 않거나, 밀폐뚜껑이 닫혀 주입된 공기 또는 오일의 역류를 방지해주게 된다.
여기서, 고정블록(10)의 부착력은 차단판(20)의 고정시 가해지는 압력이나, 주입돌기(28)를 통해 주입되는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가 되도록 설계해야 하며, 차단판(20)의 고정시 또는 주입돌기(28)를 통한 압력 주입시 너무 과한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정블록(10)이 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적정한 압력을 가해주어야 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1)의 파손 발생시 신속하게 그 파손부위(2)의 주변을 완벽하게 패킹해주게 되어 파손부위(2)를 외부로부터 차단해 줄 수 있고, 선체 내부로부터 기름 등의 물질이 유출되는 경우에는 우회관(33)을 통해 우회시켜 기름 등을 손실없이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기름 유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우회관(33), 차단판(20), 고정블록(10)을 선체로부터 차례로 제거해주면 된다.
1 : 선박 2 : 파손부위
10 : 고정블록 11 : 볼트
12 : 고정벨트 13 : 조임장치
15 : 와셔 20 : 차단판
21 : 플렌지 21a : 관통공
22 : 고정대 23 : 격벽
24 : 삽입홈 25 : 패킹
26 : 걸림턱 27 : 누름편
28 : 주입돌기 30 : 우회관 연결부
31 : 깔때기 32 : 우회관 연결구
33 : 우회관

Claims (5)

  1. 선박의 파손 부위 주변에 부착되는 다수의 고정블록;
    상기 선박의 파손 부위를 덮어주도록 테두리부위가 상기 각 고정블록위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의 선박 대향면으로부터 2개의 격벽이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패킹이 삽입되어 상기 선박의 파손 부위 주변을 수밀성있게 차단해주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의 격벽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선박의 파손 부위를 통해 유출된 물질을 우회시키는 우회관이 연결되는 우회관 연결부를 포함하여서 된 선박 긴급 보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흡착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긴급 보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테두리에는 플렌지가 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블록과 상기 플렌지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차단판의 테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고정대가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대와 상기 각 고정블록의 사이에 고정벨트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긴급 보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중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패킹의 사이에는 누름편이 개재되며, 상기 삽입홈에 공압 또는 유압을 주입하여 상기 누름편을 통해 상기 패킹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의 외측으로 상기 삽입홈과 통하는 다수의 주입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긴급 보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관 연결부는,
    상기 차단판의 격벽 중 내격벽 안쪽 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박의 파손부위를 통해 유출되는 물질을 모아주는 깔때기와,
    상기 우회관이 원터치 연결되거나, 밀폐뚜껑이 덮이도록 상기 깔때기의 중간부에 형성된 우회관 연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긴급 보수장치.
KR1020100100193A 2010-10-14 2010-10-14 선박 긴급 보수장치 KR10129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93A KR101293479B1 (ko) 2010-10-14 2010-10-14 선박 긴급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93A KR101293479B1 (ko) 2010-10-14 2010-10-14 선박 긴급 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39A true KR20120038639A (ko) 2012-04-24
KR101293479B1 KR101293479B1 (ko) 2013-08-08

Family

ID=4613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193A KR101293479B1 (ko) 2010-10-14 2010-10-14 선박 긴급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39B1 (ko) * 2014-02-28 2014-12-24 정광현 선체 파공으로부터의 기름유출방지 매니폴드
KR20160038341A (ko) * 2014-09-30 2016-04-07 권기생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778B1 (ko) 2021-06-16 2023-05-15 대한민국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95Y1 (ko) 2008-01-04 2010-02-12 권혁수 유조선용 원유 유출 방지장치
KR20080000137U (ko) * 2008-01-09 2008-02-04 최규수 액체 분출구 임시긴급 차폐장비.
KR100906330B1 (ko) 2008-09-11 2009-07-06 강철규 유체 긴급차단 장치
KR20100006740U (ko) * 2008-12-24 2010-07-02 장광근 수중용코팅제와 자석이 부착된 철편을 이용한 침수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39B1 (ko) * 2014-02-28 2014-12-24 정광현 선체 파공으로부터의 기름유출방지 매니폴드
KR20160038341A (ko) * 2014-09-30 2016-04-07 권기생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479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0027A (en) Flotation device
CN202642053U (zh) 船舶抗沉气囊装置
KR101635909B1 (ko) 선박의 유체 누설 차단장치
KR101001761B1 (ko)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KR101293479B1 (ko) 선박 긴급 보수장치
KR20180005980A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JP200523914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EP0557397B1 (en) Tanker vessel
US5203273A (en) Oil spill rapid response, containment and stoppage method and apparatus
US5107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eding the spillage of a liquid cargo from a damaged water-traveling vessel
CN212149207U (zh) 一种深水用穿心浮筒
KR101487943B1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CN204802046U (zh) 一种抗沉防倾覆气囊装置
US50708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eding the spillage of a liquid cargo from a damaged water-traveling vessel
KR20140015982A (ko) 밸러스트 탱크의 공기 배출구용 도어
US49826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eding the spillage of a liquid cargo from a damaged water-traveling vessel
KR20080045103A (ko) 선박 피공 응급 보완구
JPH07156864A (ja) 船舶用油流出防止タンク構造および油輸送船
KR101471139B1 (ko) 선체 파공으로부터의 기름유출방지 매니폴드
CN108698670A (zh) 用于集装箱和船体自动下沉的装置
CN202345883U (zh) 船用排水挡冲装置
KR20120013476A (ko) 오일 펜스의 자동설치 장치
RU2521900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лотнения грузовых трюмов безлюк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озов
US8590471B2 (en) Oil leak containment system for a ship hard aground
CN203717595U (zh) 水下螺母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