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8180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180A
KR20120038180A KR1020100099799A KR20100099799A KR20120038180A KR 20120038180 A KR20120038180 A KR 20120038180A KR 1020100099799 A KR1020100099799 A KR 1020100099799A KR 20100099799 A KR20100099799 A KR 20100099799A KR 20120038180 A KR20120038180 A KR 2012003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rizontal
dimming
lin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903B1 (ko
Inventor
송재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블록별 디밍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들을 미리 정해진 블록 단위로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및 입력 데이터를 수평 라인 단위로 분석하여 라인 순차 방식으로 해당 수평라인에 배치된 블록들 각각에 대해 블록별 대표값을 도출하고, 상기 블록별 대표값에 따라 상기 블록별 디밍값을 결정하는 로컬디밍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표시영상의 콘트라스트 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은 콘트라스트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액정층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을 제어하여 액정층의 광투과율을 변조하는 방법만으로는 이 콘트라스트 특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콘트라스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디밍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백라이트 디밍 방법에는 표시면 전체의 휘도를 조정하는 글로벌 디밍 방법(Global dimming method)과, 국부적으로 표시면의 휘도를 조정하는 로컬 디밍 방법(Local dimming method)이 있다. 글로벌 디밍 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그 다음 프레임간에 측정되는 동적 콘트라스트(Dynamic contrast)를 개선할 수 있다. 로컬 디밍 방법은 한 프레임기간 내에서 표시면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글로벌 디밍방법으로 개선하기가 어려운 정적 콘트라스트(Static contrast)를 개선할 수 있다.
로컬 디밍 방법은 백라이트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블록별로 디밍값을 조절하여 영상이 밝은 블록의 백라이트 휘도를 높이는 반면, 영상이 어두운 블록의 백라이트 휘도를 낮춘다. 각 블록의 디밍값은 해당 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생성된다. 영상분석은 매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진다. 한 프레임에 대한 영상 분석이 끝나면 각 블록에 대한 디밍값이 백라이트로 전달되고, 각 블록에서 광원의 점등 듀티는 해당 디밍값을 기초로 조절된다.
이러한, 종래 로컬 디밍 방법에서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모든 블록들의 디밍값을 동시에 생성한 후, 생성된 디밍값을 도 1과 같이 수직 블랭크 기간(VB) 내의 특정 시점(t)에 백라이트로 동시에 전달하게 된다. 도 1에서, 'Vsync'는 수직 동기신호를 지시한다. 그리고, 수직 블랭크 기간(VB)은 이웃한 프레임들 사이에서 유효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기간을 지시한다. 그런데, 모든 블록들의 디밍값을 동시에 생성하기 위해서는 광원 블록 개수만큼의 영상분석기들이 필요하다. 영상분석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로컬 디밍 구현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하드웨어 리소스가 그만큼 커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프레임 단위로 영상 분석이 이루어지는 데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컬 디밍 구현시 FPGA나 ASIC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블록별 디밍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들을 미리 정해진 블록 단위로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및 입력 데이터를 수평 라인 단위로 분석하여 라인 순차 방식으로 해당 수평라인에 배치된 블록들 각각에 대해 블록별 대표값을 도출하고, 상기 블록별 대표값에 따라 상기 블록별 디밍값을 결정하는 로컬디밍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로컬디밍 제어회로는,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각 블록에서 픽셀의 최대값들을 도출하는 최대값 도출부; 상기 도출된 최대값들을 1 수평기간 동안 누산하고, 누산된 결과를 상기 블록별 대표값으로 산출하는 대표값 산출부; 및 상기 1 수평기간을 주기로 상기 대표값 산출부를 리셋시키기 위해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부를 구비한다.
상기 대표값 산출부는 상기 최대값들을 누산하기 위해 한 수평라인에 배치된 블록 개수만큼의 누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누산기들은 해당 수평 라인의 상기 블록별 대표값들을 출력한 직후에 상기 리셋 신호에 따라 리셋된다.
상기 블록별 디밍값이 상기 광원들에 적용되는 시점이 수평라인 단위로 달라진다.
제1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1 수평기간과 제2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1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고, 제2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2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2 수평기간과 제3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2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며, 제m-1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m-1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m-1 수평기간과 제m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m-1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고, 제m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m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m 수평기간과 제m+1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m 라인 블록들에 적용된다.
상기 로컬디밍 제어회로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최대 밝기로 점등시킨 경우에 각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을 지시하는 제1 광량과, 상기 블록별 디밍값으로 로컬 디밍시에 상기 각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을 지시하는 제2 광량을 도출하는 광량 도출부; 상기 제1 및 제2 광량에 기초하여 각 픽셀별로 픽셀 이득값을 산출하는 이득값 산출부;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픽셀 이득값을 곱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보상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라인 순차 방식에 따라 수평 라인 단위로 영상 분석을 실시하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로 영상 분석을 실시했던 종래에 비해 블록별 대표값들과 블록별 디밍값들의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디밍 구현시 FPGA나 ASIC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종래 대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로컬 디밍 구현시 디밍값이 적용되는 시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하드웨어 리소스를 줄일 수 있는 로컬디밍 제어회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영상 분석부와 디밍값 결정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로컬 디밍 구현을 위해 분할되는 다수의 블록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리셋 신호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로컬 디밍 구현시 블록별 디밍값이 광원들에 적용되는 시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해당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블록을 둘러싸는 P(블록수) × P(블록수) 크기의 분석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5120의 블록 개수에 대한 로컬 디밍 알고리즘 설계시 필요한 레지스터 수량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타이밍 콘트롤러(11),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3), 로컬디밍 제어회로(14), 백라이트 구동회로(15), 및 백라이트 유닛(16)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두 장의 유리기판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L)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GL)이 교차된다. 데이터라인들(DL)과 게이트라인들(GL)의 교차 구조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0)에는 액정셀(Clc)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액정셀(Clc)들 각각은 TFT, TFT에 접속된 화소전극(1),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등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2) 등이 형성된다. 공통전극(2)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1)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셀(Clc)들은 적색 표시를 위한 R 액정셀들, 녹색 표시를 위한 G 액정셀들, 청색 표시를 위한 B 액정셀들을 포함한다. R 액정셀, G 액정셀, 및 B 액정셀은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비디오 소스가 실장된 외부의 시스템 보드(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로컬디밍 제어회로(14)에 공급하고, 로컬디밍 제어회로(14)에 의해 변조된 변조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시스템 보드로부터의 타이밍신호들(Vsync, Hsync, DE, DCLK)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DDC, GDC)을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 신호의 프레임들 사이에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고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를 체배하여 60×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Hz의 프레임 주파수로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다수의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는 클럭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쉬프트레지스터, 입력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쉬프트레지스터로부터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1 라인분씩 저장하고 저장된 1 라인분의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래치, 래치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값에 대응하여 감마기준전압의 참조하에 정극성/부극성의 감마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정극성/부극성 감마전압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가 공급되는 데이터라인(DL)을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 및 멀티플렉서와 데이터라인(DL) 사이에 접속된 출력버퍼 등을 구비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변조 데이터(R'G'B')를 래치하고, 이 래치된 변조 데이터(R'G'B')를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을 이용하여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 후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는 쉬프트 레지스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액정셀의 TFT 구동에 적합한 스윙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출력 버퍼 등을 구비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스캔펄스(또는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게이트라인들(GL)에 공급함으로써, 데이터전압이 인가될 수평 라인을 선택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GIP(Gate In Panel) 방식에 따라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GIP 방식에서 레벨 쉬프터는 타이밍 콘트롤러(11)와 함께 콘트롤 보드(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로컬디밍 제어회로(14)는 입력 데이터(RGB)를 수평 라인 단위로 분석하여 블록별 대표값을 도출하고, 블록별 대표값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6)의 광원들을 블록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블록별 디밍값(DIM)을 결정한다. 그리고 블록별 디밍값(DIM)으로 인한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픽셀 이득값을 산출한 후, 이 픽셀 이득값을 토대로 입력 데이터(RGB)를 보상한다. 그리고, 보상된 데이터를 최종 변조 데이터(R'G'B')로 출력한다.
백라이트 구동회로(15)는 로컬디밍 제어회로(14)로부터 입력되는 블록별 디밍값(DIM)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 PWM)로 백라이트 유닛(16)의 광원들을 블록 단위로 구동한다. PWM 듀티비에 따라 광원들의 점등 듀티가 제어된다.
백라이트 유닛(16)은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액정표시패널(10)에 조사되는 면광원을 매트릭스 형태의 블록들로 분할한다. 백라이트 유닛(16)은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6)은 액정표시패널(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시트들과 확산판이 적층되고 확산판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16)은 액정표시패널(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시트들과 도광판이 적층되고 도광판의 측면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광원들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점광원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하드웨어 리소스를 줄일 수 있는 로컬디밍 제어회로(14)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컬디밍 제어회로(14)는 블록별 디밍값(DIM)을 도출하기 위해 영상 분석부(141)와 디밍값 결정부(142)를 구비한다.
영상 분석부(141)는 도 4와 같이 최대값 도출부(141A), 대표값 산출부(141B) 및 리셋부(141C)를 포함한다. 최대값 도출부(141A)는 입력 디지털 데이터(RGB)를 도 5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0)의 표시화면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나뉘어진 가상의 블록들(BLK[1,1] 내지 BLK[n,m]) 단위로 분석하여 각 블록에서 픽셀의 최대값들(MAX_D)을 도출한다. 가상의 블록들(BLK[1,1] 내지 BLK[n,m])은 광원 블록들에 1:1로 대응된다. 각 블록 내에는 다수의 픽셀들이 포함되어 있다. 픽셀의 최대값(MAX_D)은 픽셀의 RGB 값들 중에서 최대 계조값으로 선택된다. 대표값 산출부(141B)는 한 수평라인에 배치된 블록 개수만큼의 누산기들(AC#1~AC#m)을 포함한다. 누산기들(AC#1~AC#m) 각각은 최대값 도출부(141A)로부터 입력되는 대응 블록의 최대값들(MAX_D)을 1 수평기간 동안 누산하고, 누산된 결과를 블록별 대표값(RV_D)으로 출력한다. 리셋부(141C)는 도 6과 같이 수평 동기신호(Hsync) 또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의 타이밍신호에 기초하여 1 수평기간(H)을 주기로 리셋신호(RST)를 발생하여 누산기들(AC#1~AC#m)을 리셋시킨다. 누산기들(AC#1~AC#m)은 해당 수평 라인의 블록별 대표값(RV_D)을 출력한 직후에 리셋된다. 누산기들(AC#1~AC#m) 각각은 제1 수평라인에서 제n 수평라인까지 라인 순차적으로 대응 블록의 최대값들(MAX_D)을 누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누산기들(AC#1~AC#m)의 개수는 종래 대비 1/n로 줄어든다.
디밍값 결정부(142)는 영상 분석부(141)로부터의 블록별 대표값(RV_D)을 미리 설정된 디밍 커브에 맵핑하여 블록별 디밍값(DIM)을 결정한다. 블록별 디밍값(DIM)은 데이터의 대표값이 높은 블록에서 높게, 대표값이 낮은 블록에서 낮게 결정될 수 있다. 디밍값 결정부(142)는 디밍값 맵핑부(142A)와 디밍 커브 구현을 위한 룩업 테이블(142B)을 포함한다. 룩업 테이블(142B)에는 k 비트수의 블록별 대표값(RV_D)에 대응되는 j(j<k) 비트수의 블록별 디밍값(DIM)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디밍값 맵핑부(142A)는 블록별 대표값(RV_D)을 룩업 테이블(142B)에 맵핑하여 블록별 디밍값(DIM)을 결정한 후 백라이트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본원 발명과 종래 기술에서, 블록별 디밍값(DIM)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에 적용되는 시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과 같이 한 프레임에 대한 영상 분석이 완료된 이후의 수직 블랭크 기간(VB)에서 모든 블록별 디밍값(DIM)을 동시에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에 적용하였다. 반면, 본원 발명에서는 도 7과 같이 블록별 디밍값(DIM)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에 적용되는 시점이 수평라인 단위로 달라진다. 즉, 제1 수평라인(HL#1)에 배치된 제1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DIM)은 제1 수평기간과 제2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HB)에서 제1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고, 제2 수평라인(HL#2)에 배치된 제2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DIM)은 제2 수평기간과 제3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HB)에서 제2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며, 제m-1 수평라인(HL#m-1)에 배치된 제m-1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DIM)은 제m-1 수평기간과 제m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HB)에서 제m-1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고, 제m 수평라인(HL#m)에 배치된 제m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DIM)은 제m 수평기간과 제m+1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HB)에서 제m 라인 블록들에 적용된다. 도 7에서, 'Vsync'는 수직 동기신호를 'Hsync'는 수평 동기신호를 지시한다.
한편, 로컬디밍 제어회로(14)는 로컬 디밍으로 인한 휘도 감소를 픽셀 데이터의 변조를 통해 보상할 수 있도록 광량 도출부(143), 이득값 산출부(144) 및 데이터 변조부(1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광량 도출부(143)는 넌(non) 로컬 디밍시에 해당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넌디밍시 광량)과, 블록별 디밍값(DIM)으로 로컬 디밍시에 해당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디밍시 광량)을 픽셀별로 도출한다. 넌디밍시 광량은 백라이트의 모든 광원들을 최대 밝기로 점등시킨 경우에 해당 픽셀에 도달하는 총 광량을 지시한다. 디밍시 광량은 도 8과 같이 로컬 디밍시에 해당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블록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둘러싸는 P(블록수) × P(블록수)(P는 3이상의 양의 홀수) 크기를 갖는 분석 영역 내에서 해당 픽셀에 도달하는 총 광량을 지시한다. 디밍시 광량은 분석 영역 내의 블록들의 블록별 디밍값(DIM)에 의해 결정된다.
이득값 산출부(144)는 광량 도출부(143)로부터의 넌디밍시 광량과 디밍시 광량을 기반으로 각 픽셀별로 픽셀 이득값(G)을 계산한다. 이득값 산출부(144)는 넌디밍시 광량을 디밍시 광량으로 제산하고, 그 결과에 1/γ승 지수 연산을 수행하여 픽셀 이득값(G)을 산출한다.
데이터 변조부(145)는 이득값 산출부(144)로부터의 픽셀 이득값(G)을 입력 데이터(RGB)에 곱함으로써 입력 데이터(RGB)를 변조한다. 입력 데이터(RGB)는 로컬 디밍으로 인한 휘도 감소를 보상할 수 있는 값(R'G'B')으로 변조된다.
도 9는 5120(즉, 가로(80)×세로(60))의 블록 개수에 대한 로컬 디밍 알고리즘 설계시 필요한 레지스터(register) 수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9에서 '15'는 각 블록당 저장되어야 할 블록별 대표값(RV_D)의 데이터 비트수를 지시하고, '8'은 각 블록당 저장되어야 할 블록별 디밍값(DIM)의 데이터 비트수를 지시한다.
도 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 분석을 실시했기 때문에 한 프레임분의 블록별 대표값들(RV_D)과 블록별 디밍값들(DIM)을 한꺼번에 저장하기 위해 194,560개의 레지스터가 필요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라인 순차 방식에 따라 수평 라인 단위로 영상 분석을 실시하기 때문에 한 라인분의 블록별 대표값들(RV_D)과 블록별 디밍값들(DIM)의 저장을 위해 3,040개의 레지스터만으로 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디밍 구현시 FPGA나 ASIC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종래 대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액정표시패널 11 : 타이밍 콘트롤러
12 : 데이터 구동회로 13 : 게이트 구동회로
14 : 로컬디밍 제어회로 15 : 광원 구동회로
16 : 백라이트 유닛 141 : 영상 분석부
141A : 최대값 도출부 141B : 대표값 산출부
141C : 리셋부 142 : 디밍값 결정부
142A : 디밍값 맵핑부 142B : 룩업 테이블
143 : 광량 도출부 144 : 이득값 산출부
145 : 데이터 변조부

Claims (6)

  1. 액정표시패널;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블록별 디밍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들을 미리 정해진 블록 단위로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및
    입력 데이터를 수평 라인 단위로 분석하여 라인 순차 방식으로 해당 수평라인에 배치된 블록들 각각에 대해 블록별 대표값을 도출하고, 상기 블록별 대표값에 따라 상기 블록별 디밍값을 결정하는 로컬디밍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디밍 제어회로는,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각 블록에서 픽셀의 최대값들을 도출하는 최대값 도출부;
    상기 도출된 최대값들을 1 수평기간 동안 누산하고, 누산된 결과를 상기 블록별 대표값으로 산출하는 대표값 산출부; 및
    상기 1 수평기간을 주기로 상기 대표값 산출부를 리셋시키기 위해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산출부는 상기 최대값들을 누산하기 위해 한 수평라인에 배치된 블록 개수만큼의 누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누산기들은 해당 수평 라인의 상기 블록별 대표값들을 출력한 직후에 상기 리셋 신호에 따라 리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디밍값이 상기 광원들에 적용되는 시점이 수평라인 단위로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1 수평기간과 제2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1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고, 제2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2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2 수평기간과 제3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2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며, 제m-1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m-1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m-1 수평기간과 제m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m-1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고, 제m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m 라인 블록들의 디밍값들은 제m 수평기간과 제m+1 수평기간 사이의 수평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m 라인 블록들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디밍 제어회로는,
    상기 광원들을 모두 최대 밝기로 점등시킨 경우에 각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을 지시하는 제1 광량과, 상기 블록별 디밍값으로 로컬 디밍시에 상기 각 픽셀에 도달하는 광량을 지시하는 제2 광량을 도출하는 광량 도출부;
    상기 제1 및 제2 광량에 기초하여 각 픽셀별로 픽셀 이득값을 산출하는 이득값 산출부;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픽셀 이득값을 곱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보상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00099799A 2010-10-13 2010-10-13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170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99A KR101705903B1 (ko) 2010-10-13 2010-10-13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99A KR101705903B1 (ko) 2010-10-13 2010-10-13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80A true KR20120038180A (ko) 2012-04-23
KR101705903B1 KR101705903B1 (ko) 2017-02-10

Family

ID=4613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799A Active KR101705903B1 (ko) 2010-10-13 2010-10-1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9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0369A1 (en) * 2013-03-15 2014-09-25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lcd backlight control
KR20160083369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133691A (ko) * 2016-05-26 2017-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10319310B2 (en) 2015-10-29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29326B1 (ko) * 2021-03-18 2022-08-04 주식회사 글로벌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백라이트 장치
CN115657367A (zh) * 2022-10-19 2023-01-31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led背光模组高分区动态调光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877A (ko) * 2006-12-11 2008-06-1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80078095A (ko) * 2007-02-22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81290A (ko) * 2008-01-23 2009-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KR20100007198A (ko) * 2008-07-11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877A (ko) * 2006-12-11 2008-06-1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80078095A (ko) * 2007-02-22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81290A (ko) * 2008-01-23 2009-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KR20100007198A (ko) * 2008-07-11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0369A1 (en) * 2013-03-15 2014-09-25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lcd backlight control
US9552781B2 (en) 2013-03-15 2017-01-24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LCD backlight control
KR20160083369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319310B2 (en) 2015-10-29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70133691A (ko) * 2016-05-26 2017-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2429326B1 (ko) * 2021-03-18 2022-08-04 주식회사 글로벌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백라이트 장치
WO2022197097A1 (ko) * 2021-03-18 2022-09-22 주식회사 글로벌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백라이트 장치
CN115657367A (zh) * 2022-10-19 2023-01-31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led背光模组高分区动态调光方法
CN115657367B (zh) * 2022-10-19 2024-01-05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led背光模组高分区动态调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03B1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90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KR10129588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KR101318444B1 (ko) 픽셀 데이터 보상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3208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KR1020730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1014100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76140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51795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디밍 제어방법
KR2012005067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글로벌디밍 제어방법
KR10170590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4418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디밍 제어방법
KR101328793B1 (ko) 오차 확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02263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디밍 제어방법
KR10132352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6117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KR102438248B1 (ko) 디밍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KR10163311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디밍 제어방법
KR10160449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3311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화질 제어방법
KR20120065586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