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6370A -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 Google Patents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370A
KR20120036370A KR1020127004380A KR20127004380A KR20120036370A KR 20120036370 A KR20120036370 A KR 20120036370A KR 1020127004380 A KR1020127004380 A KR 1020127004380A KR 20127004380 A KR20127004380 A KR 20127004380A KR 20120036370 A KR20120036370 A KR 2012003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otating body
striker
clamping
assist mechani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카즈 니즈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3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3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double-acting springs, e.g. for closing and opening or checking and closing no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도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틀에 구비되어 도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이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후에 이동해서 회동체의 왕동종료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어시스트 기구이다. 스트라이커는 지지 아암에 지지됨과 아울러, 이 지지 아암을 도어에 장착되는 베이스에 조정수단을 통해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정 가능하게 조립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ASSIST MECHANISM FOR ROTATING BODY}
본 발명은, 왕동(往動)종료위치를 향해 왕동되는 회동체에 대해, 소정의 왕동위치로부터 왕동종료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그 왕동을 어시스트(보조)하도록 기능하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어에 설치한 핀에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결합함과 아울러 부세수단(付勢手段)에 의해 회동하여 도어의 닫힘(閉止)을 어시스트하는 결합체를 도어틀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door closer)가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와는 반대로, 핀을 도어틀측에 설치하고 도어측에 이러한 핀에 결합함과 아울러 스프링의 부세에 의해 회동하여 도어의 닫힘을 어시스트하는 아암을 도어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도어체 닫힘 장치(door-body closing device)가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이 종류의 기구에 있어서는, 도어를 소정 위치까지 닫았을 때 상기 결합체와 아암의 결합지점에 핀이 위치되지 않으면 이러한 결합체와 아암에 핀이 적절히 포착(捕捉)되지 않게 되어 왕동 기구의 소기의 동작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이 핀의 위치맞춤은, 특허문헌 1 및 2에 도시되는 기구에서는, 핀을 도어 혹은 도어틀로부터 떼어내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여 바로잡는 수밖에 없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7-17745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12014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 종류의 어시스트 기구에 있어서, 받이부재(receiving member)에 포착되는 스트라이커(striker)의 위치조정을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를, 회동체 및 이 회동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와, 이들의 다른쪽에 구비되어 회동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이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후에 이동하여 회동체의 왕동종료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어시스트 기구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는 지지 아암에 지지됨과 아울러, 이 지지 아암을 회동체 및 지지체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되는 베이스에 조정수단을 통해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정 가능하게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회동체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왕동시키면 스트라이커가 받이부재에 포착되고, 이 포착 후의 받이부재의 이동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통해 왕동종료위치로 향한 도어의 왕동이 어시스트된다. 그런데 이러한 왕동의 어시스트는, 스트라이커와 받이부재가 각각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다. 이 배치가 부적절하면, 도어를 왕동시켜도 받이부재에 스트라이커가 적절히 포착되지 않아 어시스트 기구의 소기의 동작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베이스에 대한 지지 아암의 조립위치, 즉, 스트라이커의 포지션을 베이스의 장착 교정을 발생시킴이 없이 상하좌우로 자유도(自由度) 높게 조정하여 받이부재에 스트라이커가 적절히 포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형태로서는, 상기 조정수단을, 베이스를 전후로부터 끼워 붙이는 한 쌍의 협지체(挾持體)와, 지지 아암과 베이스를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체결시킴과 아울러 이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협지체를 베이스에 압접(壓接)시키는 조여넣기수단으로 구성시킨다. 이 경우에는 또한, 한 쌍의 협지체 중 한쪽은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한 쌍의 협지체 중 다른쪽은 이 한쪽 협지체에 대해 이 한쪽 협지체가 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때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한쪽 협지체가 베이스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때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조임수단에 의한 조여넣기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지지 아암의 위치, 즉, 스트라이커의 포지션을 상하좌우로 이동 조정할 수 있고, 이 조정 후 조여넣기수단을 조여넣음으로써 지지 아암을 베이스에 고정시켜 스트라이커를 회동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받이부재에 적절하게 포착되도록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협지체에 각각, 조여넣기수단의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베이스로 죄어드는 스파이크부(spike部)를 구비시켜 두면, 베이스에 대한 지지 아암의 고정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스트라이커를 소정의 포지션에 안정적으로 위치를 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또한, 이러한 스파이크부를 금속제 협지체에 그 일면측으로부터, 관통구멍을 형성시킬 때 그 타면측에 형성되는 테두리 형상 돌부(周回狀突部)에 의해 구성시킨 경우, 테두리 형상 돌부의 돌출선단에 위치되는 연부(緣部)는 각별한 배려를 하지 않아도 날카롭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에 스파이크부를 강고하게 죄어들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여넣기수단은 베이스 후면측에 위치되는 협지체에 형성된 너트부(nut部)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하는 것이 최적이다. 이 경우에 이러한 조여넣기수단을 구성하는 볼트를, 지지 아암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선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두어 볼트의 중심선을 교차시키도록 배치시켜 두면, 단일 볼트로써, 베이스에 대해 지지 아암을 안정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또한, 이러한 볼트는 지지 아암의 하부측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통해 베이스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협지체에 형성된 너트부에 하방으로부터 나사결합되도록 해 두면, 하방으로부터 이러한 볼트를 조여넣기 조작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예를 들면,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를 도어 및 도어틀 상부에 구비시킨 경우, 스트라이커의 포지션 조정을 위한 볼트의 나사후퇴 조작 및 이 조정 후의 나사전진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이부재에 포착되는 스트라이커의 위치조정을, 스트라이커측의 떼어내기를 발생시킴이 없이 행할 수 있어, 이러한 위치조정을 용이하면서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어시스트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며, 도어 상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보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어시스트 기구의 받이부재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 받이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구성도이며, 받이부재가 대기(待機)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어시스트 기구의 받이부재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 받이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구성도이며, 받이부재가 스트라이커를 포착하여 돌아 들어가기(회입(回入))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측의 부재와, 이것을 조립하기 위한 파내기를 행한 도어의 상부측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측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측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측 부재를 도 6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측 부재를 구성하는 전측(前側) 협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측 부재를 구성하는 후측(後側) 협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후측 협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후측 협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회동체(M)의 어시스트 기구는, 왕동종료위치를 향해 왕동되는 회동체(M)에 대해, 소정의 왕동위치로부터 왕동종료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그 왕동을 어시스트(보조)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체(M)는, 지지체(F)에 왕동회동(往動回動) 및 복동회동(復動回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전형적으로는, 도어나 여닫이 문 등을 들 수 있지만, 지지체(F)에 왕동회동 및 복동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면 충분하고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예에서는, 어시스트 기구를 도어(Ma)와 도어틀(Fa)에 구비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는, 지지체(F)로서의 도어틀(Fa)의 도어멈춤부(Fb)에 왕동시에 선두(先頭)가 되는 일면(Mb)을 부딪치게 한 닫힘위치(왕동종료위치)에서 도어틀(Fa) 안쪽의 개구부(開口部)(Fc)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체(M)로서의 도어(Ma)는, 이러한 개구부(Fc)를 폐색하지 않는 열림위치로부터, 상기 닫힘위치를 향해 왕동 조작되면, 이 왕동 과정에서,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받이부재(1)에 어시스트 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4)가 접촉하여, 이러한 닫힘위치까지 어시스트 기구의 작용을 받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스트라이커(4)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체(F)로서의 도어틀(Fa)측에 받이부재(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와는 별개로, 스트라이커(4)를 지지체(F)로서의 도어틀(Fa)측에 장착하고, 받이부재(1)를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측에 구비시켜도, 이러한 회동체(M)의 왕동을 그 도중(途中)에서부터 어시스트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스트라이커(4)는, 지지 아암(5) 및 베이스(6)를 통해 도어(Ma)에 있어서의 왕동시에 선두가 되는 일면(Mb)의 전방에 위치가 정해져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스트라이커(4)는 도어(Ma)의 도어 힌지측(Mc)에서 도어(Ma)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6)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에 대한 장착부(후술하는 머리부(頭部)(60)의 양단부)를 갖는다. 한편, 상기 지지 아암(5)은 그 아암 선단부(5b)에서 스트라이커(4)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 아암(5)은 아암 기부(5a)에서 후술하는 조정수단(7)을 통해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정 가능하게 베이스(6)에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라이커(4)는, 이 지지 아암(5)의 아암 선단부(5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축 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스트라이커(4)의 상단은 도어(Ma)의 상단면(Me)보다 약간 아래의 레벨에 위치되어, 도어(Ma)의 닫힘위치로 향한 왕동시에 있어서, 도어틀(Fa)의 틀 상부에 구비되는 받이부재(1)에, 도어(Ma)가 닫히기 직전에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 아암(5)은, 받이부재(1)를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후술하는 본체(2) 하부의 레벨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받이부재(1)는, 회동체(M)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스트라이커(4)를 포착한 후에 이동하여 회동체(M)의 왕동종료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받이부재(1)는, 대기위치와 회입위치 사이에 걸쳐 회동 가능하게 본체(2)에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2)는, 천정부(2a)를 도어틀(Fa)의 틀 상부로의 장착부로 하고 있으며, 받이부재(1)는 이 본체(2)의 천정부(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수직축(2b)을 써서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받이부재(1)는, 저면(底面)에서 본 모습이 대략 부채꼴 형상의 윤곽을 가짐과 아울러, 이 부채꼴 형상의 요부(要部)에 상기 수직축(2b)에 대한 축구멍(1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받이부재(1)에는, 상기 부채꼴 형상의 호형(弧形) 둘레(1b)에서 개방됨과 아울러, 이 호형 둘레(1b)로부터 축구멍(1a)측을 향해 오목한 포착오목부(捕捉凹所)(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받이부재(1)의 포착오목부(1c)의 입구(1d)가 왕동시의 도어(Ma) 접근측, 즉 전방측으로 향하게 됨과 아울러, (도 2) 이 대기위치에 있는 받이부재(1)의 포착오목부(1c)에서 도어(Ma)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왕동시키면 스트라이커(4)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 왕동시에는 대기위치에 있는 포착오목부(1c)의 입구(1d)측에 있는 오목부 내벽(凹所內壁)(1e, 1f) 중 전측(前側) 내벽(1e)은 스트라이커(4) 이동궤적(x)의 측방으로 빠지고, 후측 내벽(1f)이 이 이동궤적(x)(도 2)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포착오목부(1c)에 스트라이커(4)가 들어가면, 받이부재(1)가 포착오목부(1c)의 입구(1d)를 후방측으로 향하게 하는 회입위치를 향해 정회전됨과 아울러, 이 정회전에서 그 도중으로부터 부세수단(3)의 부세력이 작용하여, 이와 같이 정회전되는 받이부재(1)에 의해 도어(Ma)의 왕동종료위치로 향한 왕동이 어시스트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부세수단(3)을, 스프링 일단(一端)(3b)을 받이부재(1)의 호형 둘레(1b)측에 고정하고, 또, 스프링 타단(3c)을 본체(2)에 고정함과 아울러, 이 스프링 양단(3b, 3c) 사이의 치수가 받이부재(1)의 대기위치와 회입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가장 크게 되도록 본체(2)에 구비하여 고정된 인장 코일스프링(3a)에 의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3a)에 의해, 상기 도어(Ma)의 왕동 어시스트와 받이부재(1)의 대기위치 및 회입위치에 있는 상태의 유지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스프링(3a)은 스프링 양단(3b, 3c)과 수직축(2b)이 거의 동일한 가상 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중간위치에서 가장 길어지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스트라이커(4)를 포착오목부(1c)에 받아들인 받이부재(1)가 도어(Ma)의 왕동에 의해 대기위치로부터 중간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동반하여 이동되면 중간위치로부터 우선은 받이부재(1)는 회입위치까지 상기 스프링(3a)의 부세에 의해 강제적으로 정회전하여 도어(Ma)의 왕동을 어시스트한다. 또한, 받이부재(1)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는 받이부재(1)의 정회전은 상기 스프링(3a)의 인장을 초래하고, 또한, 받이부재(1)가 회입위치에 있을 때도 받이부재(1)의 역회전은 상기 스프링(3a)의 인장을 초래하는 것이므로, 받이부재(1)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와 회입위치에 있는 상태는 각각 이러한 스프링(3a)에 의해 유지된다. 받이부재(1)의 상기 정회전에 도시하지 않은 댐퍼(damper) 장치 등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해 두면, 어시스트된 도어(Ma)의 왕동을 천천히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왕동종료위치에 있는 도어(Ma)를 복동시키면, 스트라이커(4)를 포착하고 있는 받이부재(1)는 대기위치까지 이에 동반하여 역회전되며, 대기위치에 이르면 포착오목부(1c)로부터 스트라이커(4)가 빠져나가서 해방되어 도어(Ma)의 복동이 허용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어시스트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라이커(4)는, 상기 조정수단(7)을 통해 베이스(6)에 조립되는 지지 아암(5)에 의해,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정 가능하게, 도시된 예에서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측에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스트라이커(4)의 포지션을, 도어(Ma)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동체(M)로서의 도어(Ma)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왕동시키면 스트라이커(4)가 받이부재(1)에 포착되고, 이 포착 후의 받이부재(1)의 이동에 의해 스트라이커(4)를 통해 왕동종료위치로 향한 도어(Ma)의 왕동이 어시스트된다. 그런데 이러한 왕동의 어시스트는, 스트라이커(4)와 받이부재(1)가 각각 적절히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다. 이 배치가 부적절하면, 도어(Ma)를 왕동시켜도 받이부재(1)에 스트라이커(4)가 적절히 포착되지 않아 어시스트 기구의 소기의 동작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수단(7)에 의해 베이스(6)에 대한 지지 아암(5)의 조립위치, 즉, 스트라이커(4)의 포지션을 베이스(6)의 장착 교정을 발생시킴이 없이 상하좌우로 자유도 높게 조정하여 받이부재(1)에 스트라이커(4)가 적절히 포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 아암(5)은, 아암 기부(基部)(5a)와 아암 선단부(5b) 사이에서 굴곡되어 있고, 아암 선단부(5b)는 아암 기부(5a)의 측방에 위치되어 있다. 아암 기부(5a)에는 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는 좌판(座板)(5c)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5)은 이 좌판(5c)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암 기부(5a)의 하부측에는 요소(凹所)(5d)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좌판(5c)의 중앙부와 이 요소(5d)에 있어서의 좌판(5c)측에 위치되는 벽부(壁部) 사이에 걸쳐, 후술하는 조여넣기수단(72)이 되는 볼트(72a)의 통과구멍(5e)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과구멍(5e)은, 상기 요소(5d)측 구멍입구를 좌판(5c)측 구멍입구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이 통과구멍(5e)에 요소(5d)측으로부터 삽입관통되는 볼트(72a)는 지지 아암(5)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선(L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두어 볼트(72a)의 중심선(L2)을 교차시킨다. (도 5) 이러한 볼트(72a)는 지지 아암(5)의 하부측에 형성된 통과구멍(5e)을 통해 베이스(6)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후술하는 후측(後側) 협지체(71)에 형성된 너트부로서의 나사구멍(71e)에 하방으로부터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이러한 볼트(72a)의 나사전진 조작, 즉 조여넣기 조작과, 나사후퇴 조작은 하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머리부(60)와, 이 머리부(60)의 양단 사이에서 상부를 이 머리부(60)에 일체로 연접시킨 주체부(主體部)(61)를 구비하고 있다. 주체부(61)는 대략 사각형의 전면(61a) 및 후면(61b)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전면(61a) 및 후면(61b)을 관통하는 사각형의 창구멍(62)을 그 중앙부에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체부(61)의 전면(61a) 및 후면(61b)은 각각, 상변, 하변 및 좌우 측변을 갖고 있다. 또한, 주체부(61)의 전면(61a) 및 후면(61b)은 각각, 이들 각(各) 변을 따라 형성된 상벽(63), 하벽(64) 및 좌우 측벽(65, 65)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여 있다. 또한, 머리부(60)의 양단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 머리부(60)를 관통한 나사 통과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에 형성시킨 홈(Md)을 이용하여, 이 도어(Ma)의 일면(Mb)측으로부터 지지 아암(5)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해서, 이 도어(Ma)의 상단측에 베이스(6)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4) 이러한 홈(Md)은, 도어(Ma)의 상단면(Me)과 도어(Ma)의 일면(Mb)측에서 각각 개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베이스(6)의 주체부(61)의 하부측을 우선으로 하여 이러한 홈(Md)에 상방으로부터 베이스(6)를 들여넣은 후에 상기 통과구멍(60a)을 통해 도어(Ma)측에 나사(S)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도어(Ma)에 베이스(6)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베이스(6)의 전면(61a)은 도어(Ma)의 일면(Mb)측에서 이 측에 있는 홈(Md)의 개방지점을 향해, 그곳으로부터 전방으로 지지 아암(5)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조정수단(7)은,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6)를 전후로부터 끼워 붙이는 한 쌍의 협지체와, 지지 아암(5)과 베이스(6)를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체결시킴과 아울러, 이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협지체를 베이스(6)에 압접시키는 조여넣기수단(7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협지체 중 한쪽은 베이스(6)의 주체부(61)의 전면(61a)측에 있고, 이 베이스(6)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하, 이 한쪽 협지체를 전측 협지체(70)라고 한다.) 또한, 한 쌍의 협지체 중 다른쪽은 베이스(6)의 주체부(61)의 후면(6lb)측에 있고, 전측 협지체(7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하, 이 다른쪽 협지체를 후측 협지체(71)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측 협지체(70)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측 협지체(70)는, 상하방향 치수를 베이스(6)의 주체부(61) 전면(61a)측의 상벽(63)과 하벽(64)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함과 아울러, 좌우방향 치수를 이 전면(61a)측의 좌우 측벽(65, 65)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측 협지체(70)는, 전측 협지체(70)의 상변을 상기 상벽(63)에 하변을 상기 하벽(64)에 안내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6)에 조립되어 있다. 전측 협지체(70)의 중앙에는, 베이스(6)의 창구멍(62)에 연통하는 가이드 창구멍(7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창구멍(70a)은 상하방향을 길이측으로 한 장방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측 협지체(70)의 좌변 및 우변에는 각각,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70b)는 전측 협지체(70)를 구성하는 금속판에 구부림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 협지체(70)의 가이드 창구멍(70a)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는 각각, 조여넣기수단(72)의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베이스(6)를 구성하는 주체부(61)의 전면(61a)으로 죄어드는 스파이크부(70c)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창구멍(70a)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 각각, 4지점의 스파이크부(70c)가 인접하는 스파이크부(70c)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열되어 있다. 각(各) 스파이크부(70c)는 각각, 전측 협지체(70)에 그 전면측으로부터 관통구멍(70d)을 형성시킬 때 그 후면측에 형성시킨 이 관통구멍(70d)의 구멍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테두리 형상 돌부(70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9)
한편, 후측 협지체(71)도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측 협지체(71)는, 상변, 하변 및 좌우 측변을 구비한 대략 사각형의 틀부(71a)와, 이 틀부(71a)의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 사이에 걸치는 가교부(架橋部)(71b)와, 이 가교부(71b)의 상하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부(71c, 71c)를 구비하고 있다. 이 후측 협지체(71)의 틀부(71a)는, 상하방향 치수를 베이스(6)의 주체부(61) 후면(61b)측의 상벽(63)과 하벽(64)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하고, 또, 좌우방향 치수를 이 후면(61b)측의 좌우 측벽(65, 65)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71c, 71c)는 각각, 틀부(71a)의 전면보다 지지선단을 전방에 위치시키고, 또, 판면(板面)을 상하방향을 따르게 한 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71c, 71c)의 상하방향 치수는 전측 협지체(70)의 가이드 창구멍(70a)의 상하방향 치수보다 작고, 또, 한 쌍의 지지부(71c, 71c)의 외면 사이의 간격은 전측 협지체(70)의 가이드 창구멍(70a)의 좌우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측 협지체(71)는, 베이스(6)의 후면(61b)에 틀부(71a)를 덧붙여 장착시킨 상태에서 이 베이스(6)의 창구멍(62)을 통해 전측 협지체(70)의 가이드 창구멍(70a)에 한 쌍의 지지부(71c, 71c)의 지지선단을 들어가게 하여, 이 가이드 창구멍(70a)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측 협지체(70)에 조립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측 협지체(71)의 가교부(71b) 및 틀부(71a)에 있어서의 이 가교부(71b)와의 연접지점은 금속판을 전방으로 요소(71d)가 형성되도록 절곡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이들 지점은 틀부(71a)의 후면(61b)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틀부(71a)에 있어서의 상변측에서의 가교부(71b)와의 연접지점에는,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기 조여넣기수단(72)이 되는 볼트(72a)를 받아들이는 너트부로서의 나사구멍(7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 협지체(71)의 틀부(71a)의 상변측과 하변측에는 각각, 가교부(71b)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 각각, 조여넣기수단(72)의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베이스(6)를 구성하는 주체부(61)의 후면(61b)으로 죄어드는 스파이크부(71f)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가교부(71b)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 각각, 2지점의 스파이크부(71f)가 인접하는 스파이크부(71f)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각 스파이크부(71f)는 각각, 후측 협지체(71)의 틀부(71a)에 그 전면측으로부터 관통구멍(71g)을 형성시킬 때 그 후면측에 형성시킨 이 관통구멍(71g)의 구멍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테두리 형상 돌부(71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1)
전측 협지체(70)의 좌우 돌출부(70b) 사이의 간격은 지지 아암(5)의 좌판(5c)의 좌우 치수와 거의 동일하고, 지지 아암(5)은 이 전측 협지체(70)의 전면(61a)에 좌판(5c)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측 협지체(70)의 좌우 돌출부(70b) 사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 아암(5)의 좌판(5c)의 상하 치수는 베이스(6)의 주체부(61) 전면(61a)의 상벽(63)과 하벽(64)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조여넣기수단(72)로서의 볼트(72a)는, 지지 아암(5)의 통과구멍(5e)을 통해 전측 협지체(70)의 가이드 창구멍(70a)과 베이스(6)의 창구멍(62)을 통과하여 후측 협지체(71)의 나사구멍(71e)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볼트(72a)를 나사전진시키면, 다시 말해 조여넣기 하면, 지지 아암(5)의 좌판(5c)은 전측 협지체(70)의 전면에 밀어 붙여짐과 아울러, 전측 협지체(70)의 후면과 후측 협지체(71)의 틀부(71a)의 전면 사이에서 베이스(6)의 주체부(61)는 끼워 붙여지고, 이에 의해 베이스(6)에 지지 아암(5)이 고정되어 스트라이커(4)가 소정의 포지션에 위치가 정해진다.
한 쌍의 협지체, 다시 말해, 상기 전측 협지체(70) 및 후측 협지체(71)는 각각, 조여넣기수단(72)의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베이스(6)로 죄어드는 스파이크부(70c, 71f)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므로, 베이스(6)에 대한 지지 아암(5)의 고정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스트라이커(4)를 소정의 포지션에 안정적으로 위치를 정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베이스(6)를 합성수지제로 만들고, 베이스(6)보다 한 쌍의 협지체를 경도(硬度)가 높은 재료로 구성시킨다.
이러한 스파이크부(70c, 71f)를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제 협지체에 그 일면측으로부터, 전형적으로는 펀칭가공에 의해, 관통구멍(70d, 71g)을 형성시킬 때 그 타면(他面)측에 형성되는 테두리 형상 돌부(70e, 71h)에 의해 구성시킨 경우, 테두리 형상 돌부(70e, 71h)의 돌출선단에 위치되는 연부(緣部)는 각별한 배려를 하지 않아도 날카롭게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베이스(6)에 스파이크부(70c, 71f)를 강고하게 죄어들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여넣기수단(72)을 구성하는 볼트(72a)를, 지지 아암(5)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선(L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두어 볼트(72a)의 중심선(L2)을 교차시키도록 배치시켜 되는 것이므로, 단일 볼트(72a)를 써서, 베이스(6)에 대해 지지 아암(5)을 안정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체 중 한쪽, 도시된 예에서는 전측 협지체(7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6)에 지지되고, 한 쌍의 협지체 중 다른쪽, 도시된 예에서는 후측 협지체(7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측 협지체(70)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조임수단을 구성하는 볼트(72a)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지지 아암(5)의 위치, 다시 말해, 스트라이커(4)의 포지션을 상하좌우로 이동 조정할 수 있고, 이 조정 후 볼트(72a)를 조여넣기 함으로써 지지 아암(5)을 베이스(6)에 고정시켜 스트라이커(4)를 회동체(M)의 소정의 왕동위치에 두어 받이부재에 적절히 포착되도록 위치를 정할 수 있다.
2009년 10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9-250131호의 명세서, 특허청구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8)

  1. 회동체 및 이 회동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와, 이들의 다른쪽에 구비되어 회동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이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후에 이동하여 회동체의 왕동종료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어시스트 기구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는 지지 아암에 지지됨과 아울러, 이 지지 아암을 회동체 및 지지체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되는 베이스에 조정수단을 통해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정 가능하게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조정수단을, 베이스를 전후로부터 끼워 붙이는 한 쌍의 협지체(挾持體)와, 지지 아암과 베이스를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체결시킴과 아울러 이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협지체를 베이스에 압접(壓接)시키는 조여넣기수단으로 구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협지체 중 한쪽은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한 쌍의 협지체 중 다른쪽은 이 한쪽 협지체에 대해 이 한쪽 협지체가 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때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한쪽 협지체가 베이스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때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협지체는 각각, 조여넣기수단의 조여넣기 조작에 의해 베이스로 죄어드는 스파이크부(spike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금속제 협지체에 그 일면측으로부터 관통구멍을 형성시킬 때 그 타면측에 이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테두리 형상 돌부(周回狀突部)를 형성시켜, 이 테두리 형상 돌부를 스파이크부로 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6. 제2 항에 있어서,
    조여넣기수단을, 베이스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협지체에 형성된 너트부(nut部)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7. 제6 항에 있어서,
    볼트를, 지지 아암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두어 볼트의 중심선을 교차시키도록 배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8. 제7 항에 있어서,
    볼트는, 지지 아암의 하부측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통해 베이스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협지체에 형성된 너트부에 하방으로부터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KR1020127004380A 2009-10-30 2010-10-14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Ceased KR20120036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0131 2009-10-30
JP2009250131A JP5377227B2 (ja) 2009-10-30 2009-10-30 回動体のアシスト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370A true KR20120036370A (ko) 2012-04-17

Family

ID=4392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380A Ceased KR20120036370A (ko) 2009-10-30 2010-10-14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95384A1 (ko)
JP (1) JP5377227B2 (ko)
KR (1) KR20120036370A (ko)
CN (1) CN102597403A (ko)
WO (1) WO2011052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5199B2 (ja) * 2009-02-12 2013-07-03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アシスト機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6070U (ja) * 1982-06-04 1983-12-10 吉村 富雄 掛け金具における台座部の取付構造
JPS58195754U (ja) * 1982-06-22 1983-12-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錠受の取付構造
JPH01126181U (ko) * 1988-02-24 1989-08-29
JP3051640U (ja) * 1998-02-20 1998-09-02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幕体開閉装置の取付け構造
JP4772566B2 (ja) * 2005-04-27 2011-09-14 株式会社Lixil 手摺用支柱の取付構造
JP4796816B2 (ja) 2005-10-28 2011-10-19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体閉止装置
JP4661592B2 (ja) * 2005-12-27 2011-03-30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
JP2009250131A (ja) 2008-04-07 2009-10-29 Mitsuba Corp 冷却装置
JP5210927B2 (ja) * 2009-03-09 2013-06-12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体閉止装置用の係止ピン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394A1 (ja) 2011-05-05
JP2011094401A (ja) 2011-05-12
JP5377227B2 (ja) 2013-12-25
EP2495384A1 (en) 2012-09-05
CN102597403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502B2 (en) Door device
KR100980874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CN113840969B (zh) 配件装置
US8303021B2 (en) Door edge protection device
JPH09328952A (ja) 戸棚の頂壁に水平方向旋回軸線を中心にヒンジ留めされた扉の保持留め金具
US20040000852A1 (en) Front panel mounting device for a drawer
US20090218827A1 (en) Locking Unit
US20070289100A1 (en) Casement Window Hinge
JP2009511793A (ja) 回転開き戸を開口し且つ保持する装置
CA1118285A (en) Pivot mechanism for pivoted windows
US5287602A (en) Powered toggle latch clamp
CN110306896B (zh) 门体移动装置
US7971319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RU22653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ушной бирки
KR100737008B1 (ko) 차량용 도어힌지 장착지그
KR20120036370A (ko) 회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CN104220689A (zh) 合叶装置
WO2007096540A1 (fr) Dispositif de montage articule d'une vitre sur une porte sans cadre de vehicule de type cabriolet ou coupe
US7607199B2 (en) Frameless glass door hinge
US20080000159A1 (en) Zero-Moment Adjuster for Window Assembly
FR2597539A1 (fr) Ensemble de verrouillage pourvu d'au moins un pene reglable dans le sens de la longueur
KR20210012865A (ko) 도어힌지장치
KR100972685B1 (ko) 도어힌지
WO2012098953A1 (ja) 可動体の往動機構
JPH02224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