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100A -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감정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감정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5100A KR20120035100A KR1020110085358A KR20110085358A KR20120035100A KR 20120035100 A KR20120035100 A KR 20120035100A KR 1020110085358 A KR1020110085358 A KR 1020110085358A KR 20110085358 A KR20110085358 A KR 20110085358A KR 20120035100 A KR20120035100 A KR 20120035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voice
- call
- analysis
- video c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23 real-tim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rket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sychia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스마트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연결 방식을 테이블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연결 방식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영상 통화 호 연결 절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영상 통화 호 연결 절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음성 분석 엔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에서의 감정 분석 결과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Claims (18)
-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대방의 감정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사용자 단말에서 상대방 단말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음성 분석 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제4 단계-여기에서,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됨-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통화 가능한 착신측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전화번호 목록을 받는 단계-여기에서, 상기 전화번호 목록은 상기 착신측 상대방 단말이 가입자 또는 비가입자에 대한 가입 정보와, 인터넷, 패킷교환망 및 회선교환망 중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구비함; 및
상기 착신측 상대방 단말의 상태 정보에 따라 통화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통화 경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인터넷이나 패킷교환망에서 로그인 상태인 상기 상대방 단말이 위치하는 인터넷 또는 패킷교환망으로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통화 경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인터넷이나 패킷교환망에서 로그아웃 상태인 상기 상대방 단말이 위치하는 인터넷 또는 패킷교환망으로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통화 경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인터넷이나 패킷교환망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이 위치하는 회선교환망으로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감정 분석 엔진이 탑재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감정 분석 엔진은,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통화 도중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음성분석 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메뉴의 선택에 응하여 상기 콘텐츠 전송 메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텍스트, 텍스트 형태의 이미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의 아이콘, 음향 효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대방 단말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감정 분석 서비스 설정을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감정 분석 서비스 설정에 따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상대방 단말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음성 분석 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음성 신호의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여기에서,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됨-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응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회선교환망, 패킷교환망, 또는 인터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판단 결과에 따라 회선교환망, 패킷교환망, 및 인터넷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감정 분석 서버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세션에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분석 서버는,
패킷교환망 또는 인터넷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회선교환망에 위치하는 상대방 단말 사이에서 감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감정 분석 서버에 탑재된 제1 감정 분석 엔진; 및
패킷교환망 또는 인터넷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과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회선교환망에 위치하는 상대방 단말 사이에서 감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감정 분석 서버에 탑재된 제2 감정 분석 엔진
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감정 분석 엔진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통화 도중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음성분석 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를 받고, 상기 콘텐츠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텍스트, 텍스트 형태를 가진 이미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의 아이콘, 음향 효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종료 이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방법.
-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대방의 감정 분석을 제공하는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장치로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을 위한 통화로를 설정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상대방 단말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를 분석하고, 음성 신호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감정 분석 엔진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분석 엔진은,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통화 도중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음성분석 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상기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장치.
-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상대방 단말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장치로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통화로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상대방 단말에 대한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응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감정 분석 서비스 설정을 확인하는 신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신호 처리 서버의 제어 신호 또는 상기 감정 분석 서비스 설정에 따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상대방 단말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을 분석하고, 음성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감정 분석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감정 분석 서버에 탑재되는 감정 분석 엔진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통화 도중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획득하는 입력부; 입력부로부터의 음성 스트리밍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음성분석 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음성 분석부; 및 음성 분석부로부터의 음성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 분석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감정 분석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324 | 2010-10-04 | ||
KR20100096324 | 2010-10-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5100A true KR20120035100A (ko) | 2012-04-13 |
Family
ID=4613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5358A KR20120035100A (ko) | 2010-10-04 | 2011-08-25 |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감정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35100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04048A1 (en) * | 2012-06-27 | 2014-01-03 | Intel Corporatio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nriching communications |
KR101404409B1 (ko) * | 2012-07-31 | 2014-06-0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통신 상대방 간에 심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
WO2015088213A1 (ko) * | 2013-12-12 | 2015-06-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KR20160104463A (ko) * | 2015-02-26 | 2016-09-05 | 김윤희 | 고객의 감정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안내 장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그리고 전화번호 안내 방법 |
US9471837B2 (en) | 2014-08-19 | 2016-10-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Real-time analytics to identify visual objects of interest |
US9600743B2 (en) | 2014-06-27 | 2017-03-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irecting field of vision based on personal interests |
WO2019050237A1 (ko) * | 2017-09-07 | 2019-03-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11544469B2 (en) | 2018-02-22 | 202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1
- 2011-08-25 KR KR1020110085358A patent/KR201200351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04048A1 (en) * | 2012-06-27 | 2014-01-03 | Intel Corporatio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nriching communications |
US10373508B2 (en) | 2012-06-27 | 2019-08-06 | Intel Corporatio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nriching communications |
KR101404409B1 (ko) * | 2012-07-31 | 2014-06-0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통신 상대방 간에 심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
WO2015088213A1 (ko) * | 2013-12-12 | 2015-06-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US9600743B2 (en) | 2014-06-27 | 2017-03-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irecting field of vision based on personal interests |
US9892648B2 (en) | 2014-06-27 | 2018-02-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 Directing field of vision based on personal interests |
US9471837B2 (en) | 2014-08-19 | 2016-10-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Real-time analytics to identify visual objects of interest |
KR20160104463A (ko) * | 2015-02-26 | 2016-09-05 | 김윤희 | 고객의 감정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안내 장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그리고 전화번호 안내 방법 |
WO2019050237A1 (ko) * | 2017-09-07 | 2019-03-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11544469B2 (en) | 2018-02-22 | 202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35100A (ko) | 스마트 단말에서의 영상 통화 중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감정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1242663B (zh) | 基于同号移动终端与软终端通话切换方法、系统及设备 | |
CN103179373B (zh) | 可视通信系统、终端网关、视频网关以及可视通信方法 | |
US807296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active sessions on a per user basis | |
CN100486367C (zh) | 一种实现彩像业务的系统和方法 | |
EP2028788A1 (en) | A stream media service system and a realization method thereof | |
CN102394989A (zh) | 在通话期间播放多媒体铃音的方法、服务器及终端设备 | |
CN101141519B (zh) | 用于决定主叫放音的方法和装置 | |
KR100969458B1 (ko) | 세션 설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0466761C (zh) | 内置视频网关的移动交换中心及实现多媒体互通的方法 | |
CN1976376B (zh) | 一种呼叫会话的方法、ip电话系统及ip电话终端 | |
CN101031000B (zh) | 窄带用户使用宽带彩铃的系统及方法 | |
CN101951491A (zh) | 一种播放视频业务的方法和系统 | |
CA2617243C (en) | Method for collecting user behavior during run-time in a mobile 3gpp ip based multimedia subsystem (ims) | |
CN102045535A (zh) | 一种实现用户视频选择客服人员的装置、系统及方法 | |
KR100657617B1 (ko) |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 |
KR100660739B1 (ko) | 통신시스템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 |
KR20070041262A (ko) |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 |
KR100715597B1 (ko) | Sip 기반 패킷 통신 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680290B1 (ko) |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착신 라우팅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1208119B1 (ko) |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963010B1 (ko) |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 |
KR100623917B1 (ko) | 통신시스템에서의 등록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 |
CN101764895A (zh) | 一种实现被叫终端多媒体彩振的方法、服务器及系统 | |
KR20060028338A (ko) | 번호기반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