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292A -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3292A KR20120033292A KR1020110099396A KR20110099396A KR20120033292A KR 20120033292 A KR20120033292 A KR 20120033292A KR 1020110099396 A KR1020110099396 A KR 1020110099396A KR 20110099396 A KR20110099396 A KR 20110099396A KR 20120033292 A KR20120033292 A KR 201200332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station
- mobile station
- emergency
- st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국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계산 정보를 수신하며, 위치 계산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동국은 계산된 위치를 기초로 자신이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 이동국은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을 벗어난 이동국에 동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한다.The mobile station receives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receives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calculates its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The mobile station determines whether it is located at the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within the cell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position. If so, the mobile station broadcasts an emergency preamble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station outside the cell area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지국 및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서의 기지국 및 이동국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최근 들어 미국에서의 911 테러, 동남아시아에서의 쓰나미, 아이티에서의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서, 긴급 구조의 상황과 기지국 등 기존 통신망이 붕괴된 상황에서의 통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 상황 발생 등의 이유로 인해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여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으로부터 긴급 통화가 요구 될 때, 셀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의 도움으로 기지국과 통신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isasters such as 911 terrorism in the United States, tsunamis in Southeast Asia, and earthquakes in Haiti have increased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in the event of emergency rescue and collapse of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base stations. 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call is required from a mobile station (MS), which is out of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due to a disaster situation and can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a technique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with the help of the mobile station within the cell coverage is provided. It is propo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긴급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긴급 통화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1 illustrates a network topology for emergency call setup for supporting a wireless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먼저 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이동국 A는 셀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들에게 헬프 신호를 전송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후, 이 헬프 신호를 수신한 셀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 B, C, D는 각각 기지국으로 이동국 A의 존재를 알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중계용 앰블을 할당 받은 후, 할당 받은 앰블을 방송한다. 그러면, 방송되는 앰블을 수신한 이동국 A는 앰블을 전송한 이동국들 중 하나의 이동국을 선택하여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국 A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이동국들은 할당 받은 중계용 앰블을 기지국에 반납한다.First, the mobile station A, which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impossible, requests an emergency call service by transmitting a help signal to the mobile stations within the cell coverage. Subsequently, the mobile stations B, C, and D in the cell coverage receiving the help signal inform the base station of the existence of the mobile station A, receive the relay amble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n broadcast the assigned amble. Then, when receiving the broadcast amble, the mobile station A selects one of the mobile stations that transmitted the amble and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At this time, the mobile stations that do not receive the access request message from the mobile station A return the allocated relay amble to the base station.
이러한 긴급 통화 설정 절차에서 이동국 A는 셀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들과 동기가 맞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셀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들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헬프 신호의 검출 타이밍을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이동국 A는 임의의 시간에 헬프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임의의 시간 동안 응답 신호인 중계용 앰블을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커버리지 내의 중계 이동국 B, C, D의 경우에도 언제 헬프 신호가 전송될 지 알 수 없으므로, 헬프 신호 검출을 위하여 지속적인 수신 신호 처리 과정이 필요하므로, 상당한 전력소모가 요구된다.In this emergency call setup procedure, the mobile station A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mobile stations in the cell coverage, so the mobile stations in the cell coverage cannot know the timing of detection of the help signal transmitted to it. Therefore, the mobile station A repeatedly transmits a help signal at any time and searches for a relay amble that is a response signal for another arbitrary time.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relay mobile stations B, C, and D in coverage, when the help signal is not known, a continuous reception signal processing process is required for the help signal detection, which requires considerable power consumption.
이러한 이유로 기존 기술에서는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자 하는 이동국과 중계 역할을 수행할 후보 이동국의 전력 소모가 크고, 전송 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셀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면서 긴급 통화를 필요로 하는 이동국에게 많은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이동국 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station that exists outside cell coverage and wants to announce its existence and a candidate mobile station that performs a role of relaying is high and transmission performance is low.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thod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between mobile stations without being burdened by the mobile station which is out of cell coverage and needs an emergency call.
셀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과 커버리지 밖의 이동국 간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두 이동국간의 동기 획득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order to establish a link between a mobile station in cell coverage and a mobile station out of coverage, synchronization should be obtained between the two mobile stations.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이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stimating synchronization of a downlink frame by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이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를 추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2 illustrates a network topology for estimating synchronization of a downlink frame by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들(12, 13, 14)는 기지국(11)에 의해 서빙되고 있고, 이동국(15)은 어느 기지국에 의해서도 서빙되지 못하고 있는 긴급 상황하에 있다. 이동국(12)은 이동국(15)과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이동국들(13, 14)는 이동국(15)과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프레임을 보여준다.3 shows a communic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을 포함한다. 기지국의 셀 경계부분에 위치한 이동국들(12, 13, 14)는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의 가장 앞의 위치에는 채널 상태나 ACK/NACK의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 존재한다. 또한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기지국의 송신전력에 비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이동국들(12, 13, 14)은 효율적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시간 축으로 긴 시간-주파수 자원영역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As shown in FIG. 3, the communication frame includes a downlink frame and an uplink frame. It is assumed tha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셀 영역을 벗어나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의 수신 전력의 그래프를 보여준다.4 shows a graph of the received power of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out of the cell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셀 영역을 벗어나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은 연속된 시간으로 이동국들의 수신 전력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이동국(15)은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하향링크 구간에서는 낮은 레벨의 전력이 수신되거나 수신전력이 검출되지 않을 것이다. 기지국(11)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이 끝난 후, 이동국들(12, 13, 14)은 할당 받은 시간-주파수 자원영역을 통해 각각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긴급 호를 요청하고자 하는 이동국(15)은 높은 수신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연속된 프레임 동안 수신 전력 레벨을 모니터링하면 긴급 호를 요청하고자 하는 이동국(15)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 지점과 상향링크 프레임의 시작 지점을 추정할 수 있다.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이 전체 프리앰블 코드 세트 중에서 긴급 호 요청을 위해 정의된 코드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추정한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간에 맞추어 선택된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들과 동기를 맞출 수 있다. The
이러한 상황에서는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이 실제 프리앰블 전송 구간보다 지연된 시간에 긴급 호를 요청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면, 셀 내에 위치한 이동국들의 정보 수신에 간섭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은 추정된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 지점보다 약간 앞선 시간에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이 전송한 프리앰블 신호에 대한 ACK를 수신하지 못하면, 소정의 타임 시프트를 주면서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이동국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수는 있다.In such a situation, if the
그러나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의 위치에 따라 프리앰블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이 달라지고 이외에도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아 얼마의 시간만큼 앞선 시간에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이 좋을 지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정확한 동기를 이루기가 어렵다. 또한,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15)은 연속된 시간 동안 채널을 모니터링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크게 된다.However, since the arrival time of the preamble signal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긴급 호가 필요한 이동국에게는 전력 소모가 매우 중요하므로, 긴급 호가 필요한 이동국에게 전력이나 연산 측면에서 많은 부담을 주지 않은 방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Since power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for a mobile station requiring an emergency call,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thod that does not burden the mobile station requiring an emergency call in terms of power and comput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이 중계 후보 이동국과 효율적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synchronizing with a relay candidate mobile station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 동작 방법은,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게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그리고 위치 계산 정보를 방송하여 상기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계산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계산하고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긴급 상황용 프리앰블을 방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s provided. The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may include: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ence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broadcasting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o one or more mobile stations within a service radius of the base station if an emergency occurrence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And broadcasting loc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so that at least one mobile station within the service radius calculates a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is located at a cell edge toward an adjacent base st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broadcasting.
상기 기지국 동작 방법은,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broadcasting information on a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to one or more mobile stations within the service radiu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은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동국에 해당할 수 있다.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may correspond to a mobile station located at a cell edge toward the adjacent base station.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계산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방송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a, and the loc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may be broadcast through one message.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는, 주 수퍼프레임 헤더 내의 사용 보류된 하나 이상의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broadcas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one or more reserved bits in the primary superframe hea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게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를 방송하여 상기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면 긴급 상황용 프리앰블을 방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may include: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ence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Broadcasting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broadcasting information on a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so that one or more mobile stations within the service radius select the relay mobile st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Checking whether the criterion is satisfied and broadcasting the emergency preamble when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is satisfi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이동국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계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계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동국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을 벗어난 제2 이동국에 동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mobile station is provide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may include receiving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djacent base station from a serving base station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eiving loc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based on the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a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mobile station is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he first mobile station is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f present, broadcasting an emergency preamble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outside the cell area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는,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하여 공통의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of the emergency preamble may include broadcasting a common emergency preamble for a macro diversity effect.
상기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상기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될 필요가 있으면, 상기 제1 이동국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uplink resource allocated to the first mobile station if the response message needs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셀 영역을 벗어난 이동국에 대한 중계 절차를 중단할 수 있다.If the first mobile station is not located at the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he relay procedure for the mobile station outside the cell area can be sto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이동국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한다면 상기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을 벗어난 제2 이동국에 동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mobil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djacent base station from a serving base station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eiving information on a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mobile station satisfies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first mobile station satisfies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Broadcasting an emergency preamble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동국에 해당할 수 있다.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may correspond to a mobile station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within the cell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는,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하여 공통의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of the emergency preamble may include broadcasting a common emergency preamble for a macro diversity ef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은,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인접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제2 이동국이 송신하는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로부터 상기 제2 이동국과의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획득한 동기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mobile statio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ence of a serving base station, receiving an emergency preamble transmitted by a second mobile station serv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and the emergency Obtaining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mobile station from the context preamble,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emergency situation preamble to the second mobile station using the obtained synchronization.
상기 제1 이동국의 동작 방법은,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재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재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cell search procedure and attempting to reconnect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In this case, receiving the emergency preamble may include receiving the emergency preamble when reconnection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is not made.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의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mobile station may be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within the cell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이 중계 후보 이동국과 효율적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can efficiently synchronize with a relay candidate mobile st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긴급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긴급 통화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이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를 추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프레임을 보여준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셀 영역을 벗어나 긴급 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의 수신 전력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에서 셀 반경 외의 이동국의 동기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llustrates a network topology for emergency call setup for supporting a wireless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llustrates a network topology for estimating synchronization of a downlink frame by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shows a communic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shows a graph of the received power of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out of the cell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5 shows a network top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of a mobile station other than a cell radius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obile station (MS) includes a terminal,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d a user equipment. It may also refer to a user equipment (UE),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device,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 ( Mobile Multihop Relay) -B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part of functions such as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n MMR-BS.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명한다.Next, a network top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5 shows a network top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1)과 기지국(102)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동국들(103, 104, 105)은 기지국(101)에 의해 서빙되고 있고, 이동국(106)은 기지국(102)에 의해 서빙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먼저, 인접 기지국(102)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가정한다. 인접 기지국(102)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한 기지국(101)은 셀 내의 이동국들(103, 104, 105)에게 긴급 상황 발생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와 셀 내의 이동국들(103, 104, 105)이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담긴 메시지를 방송한다. 기지국(101)이 관장하는 셀 내의 이동국들(103, 104, 105)은 인접 기지국(102)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위치 계산을 통해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한 이동국들(104, 105)은 자신의 도움이 필요한 셀 커버리지 밖의 이동국(106)을 찾기 위해 긴급 상황용으로 미리 약속된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이때,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모든 이동국들이 같은 프리앰블을 사용함으로써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The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한 셀 커버리지 밖의 이동국(106)은 다시 기지국을 찾기 위해 셀 탐색(cell search) 과정을 수행하고, 셀의 가장자리 이동국들이 송신하는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들의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Recognizing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e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설명한다.Next,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긴급 상황 인지부(210),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전송부(220),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 전송부(230) 및 위치 계산 정보 메시지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기지국(200)의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the
다음은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설명한다. Next,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7은 셀 영역을 벗어난 이동국에게 중계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국이 포함하는 기능 블록을 보여주고, 도 8은 셀 영역을 벗어나 긴급호를 요청하는 이동국이 포함하는 기능 블록을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 중계 가능 이동국의 기능 블록과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의 기능 블록을 별도로 설명하였지만, 한 이동국이 중계 가능 이동국의 기능 블록과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의 기능 블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FIG. 7 illustrates a functional block included in a mobile station capable of providing relaying to a mobile station out of a cell area, and FIG. 8 illustrates a functional block included in a mobile station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out of a cell a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al block of the relay capable mobile station and the functional block of the emergency call capable mobile station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but one mobile station may include both the functional block of the relay capable mobile station and the functional block of the emergency call capable mobile sta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가능 이동국(300)은 긴급 상황 인지부(310) 및 긴급 상황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중계 가능 이동국(300)의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shown in FIG. 7, the relay capab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은 긴급 상황 인지부(410), 프리앰블 탐색부(420), 동기 처리부(430) 및 응답 메시지 전송부(440)를 포함한다.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의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8, the emergency call callable
다음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이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의 중계 가능 이동국(300)과의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with the relay capabl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에서 셀 반경 외의 이동국의 동기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of a mobile station other than a cell radius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기지국(200)의 긴급 상황 인지부(210)는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한다(S101).First, the emergency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기지국(200)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전송부(220)는 기지국(200)의 서비스 반경 내의 이동국들에게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한다(S103).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전송부(220)는 주기적으로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전송부(220)는 주 수퍼프레임 헤더(Primary Superframe Header, P-SFH)내의 사용 보류(reserved )된 3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할 수도 있다.When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기지국(200)의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 전송부(230)는 기지국(200)의 서비스 반경 내의 이동국들에게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를 방송한다(S105).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으로서 기지국(200)의 셀 영역 내에서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은 셀 가장자리를 결정하기 위한 거리 조건 또는 신호 세기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이 미리 공유되어 있다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는 방송될 필요가 없다.When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으로서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 기지국(200)의 위치 계산 정보 전송부(240)는 기지국(200)의 서비스 반경 내의 이동국들에게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계산 정보를 방송한다(S107). 이 위치 계산 정보는 위치 기반 서비스 통지 메시지(location-based service advertisement message, LBS-ADV message)를 통해 방송될 수 있다.When it is required to be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an adjacent base st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as a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the position calculation
기지국(200)은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 위치 계산 정보를 서로 다른 메시지를 통해 방송할 수도 있지만, 빠른 긴급 상황 지원을 위하여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 위치 계산 정보 중 둘 이상을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방송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중계 가능 이동국(300)의 긴급 상황 인지부(310)는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인접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S109).The emergency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중계 가능 이동국(300)의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파악한다(S111).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이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동국인 경우에,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위치 계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계산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계산된 위치를 통해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한다.When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the emergency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지 않으면, 중계 가능 이동국(300)은 셀 영역을 벗어난 이동국에 대한 중계 절차를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If the relay capable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면,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중계 가능 이동국(300)의 동작 모드를 긴급 상황 모드로 전환한다(S113).When the relay capable
긴급 상황 모드에서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긴급 상황 용으로 미리 예약된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송신한다(S115). 이때,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하여,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다른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사용하는 긴급 상황 프리앰블과 동일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 즉 공통의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 있다.In the emergency situation mode, the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의 긴급 상황 인지부(410)는 서빙 기지국과의 링크 연결의 해제의 파악 등을 통해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한다(S117).The emergency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의 프리앰블 탐색부(420)는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여 서빙 기지국과의 재연결을 시도한다(S119).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the
서빙 기지국과의 재연결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프리앰블 탐색부(420)는 중계 가능 이동국(300)이 송신하는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한다(S115).In a situation in which the reconnection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is not performed, the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의 동기 처리부(430)는 수신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로부터 중계 가능 이동국(300)과의 동기를 획득한다(S121).The
긴급 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의 응답 메시지 전송부(440)는 획득한 동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중계 가능 이동국(300)에 전송하여 중계 가능 이동국(300)과의 링크를 설정한다(S123).The
중계 가능 이동국(300)의 긴급 상황 제어부(330)는 긴급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응답 메시지가 기지국(200)에 전송될 필요가 있으면, 자신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200)에 전송한다(S125).The emergenc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기지국(200), 긴급 상황 인지부(210),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전송부(220),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 정보 전송부(230),
위치 계산 정보 메시지 전송부(240), 중계 가능 이동국(300),
긴급 상황 인지부(310), 긴급 상황 제어부(330),
긴급호 호출 가능 이동국(400), 긴급 상황 인지부(410),
프리앰블 탐색부(420), 동기 처리부(430), 응답 메시지 전송부(440)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Loc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Emergency
Emergency call callable
Claims (20)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게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및
위치 계산 정보를 방송하여 상기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계산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계산하고 긴급 상황의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긴급 상황용 프리앰블을 방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ence of a neighbor base station;
Broadcasting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o one or more mobile stations within a service radius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emergency occurrence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And
Broadcast the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so that at least one mobile station within the service radius calculates a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an adjacent base st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broadcasting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Broadcasting the information on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a to one or more mobile stations within the service radiu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은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동국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2,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corresponds to a mobile station located at a cell edge toward the adjacent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계산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방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3,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a, and the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re broadcasted through a single message.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Broadcas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는
주 수퍼프레임 헤더 내의 사용 보류된 하나 이상의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Broadcas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Broadcas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using one or more reserved bits in a primary superframe header;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게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를 방송하여 상기 서비스 반경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국이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면 긴급 상황용 프리앰블을 방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ence of a neighbor base station;
Broadcasting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to one or more mobile stations within a service radius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emergency occurrence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And
When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recognized, information on a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is broadcast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mobile station within the service radius satisfies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Broadcasting an emergency preamble if the criteria are satisfied.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은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동국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corresponds to a mobile station located at a cell edge toward the adjacent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 및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방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a are broadcasted through a single message.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상기 제1 이동국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계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계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동국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을 벗어난 제2 이동국에 동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eiving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djacent base station from a serving base station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eiving loc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first mobile station based on the position calculation information;
Confirming whether the first mobile station is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position; And
If the first mobile station is located at a cell edge toward the adjacent base station, broadcasting an emergency preamble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outside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Containing
How it works.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는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하여 공통의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Broadcasting the emergency preamble is
Broadcasting a common emergency preamble for a macro diversity effect;
How it works.
상기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How it works.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될 필요가 있으면, 상기 제1 이동국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If the response message needs to be sent to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via an uplink resource allocated to the first mobile station.
How it works.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셀 영역을 벗어난 이동국에 대한 중계 절차를 중단하는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If the first mobile station is not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stopping the relay procedure for the mobile station out of the cell area;
How it works.
상기 제1 이동국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긴급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에 만족한다면 상기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을 벗어난 제2 이동국에 동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eiving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djacent base station from a serving base station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eiving information on a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Confirming whether the first mobile station satisfies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an emergency preamble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outside the cell area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f the first mobile station satisfies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How it works.
상기 중계 이동국 선정 기준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동국에 해당하는
동작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lay mobile station selection criterion corresponds to a mobile station located at a cell edg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n the cell reg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How it works.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는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위하여 공통의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Broadcasting the emergency preamble is
Broadcasting a common emergency preamble for a macro diversity effect;
How it works.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인접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제2 이동국이 송신하는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로부터 상기 제2 이동국과의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동기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mobile station,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ence of a serving base station;
Receiving an emergency preamble transmitted by a second mobile station serv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Obtaining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mobile station from the emergency preamble;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for the emergency preamble to the second mobile station using the obtained synchronization;
How it works.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이 인지되면,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재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재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긴급 상황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If it is recogniz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f a serving base station occurs, performing a cell search procedure and attempting to reconnect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Receiving the emergency preamble is
If the reconnection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is not made, receiving the emergency preamble;
How it works.
상기 제2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의 방향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mobile station is located at a cell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within the cell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How it 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94487 | 2010-09-29 | ||
KR1020100094487 | 2010-09-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3292A true KR20120033292A (en) | 2012-04-06 |
Family
ID=4613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9396A Withdrawn KR20120033292A (en) | 2010-09-29 | 2011-09-29 |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3329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9345B1 (en) * | 2025-01-10 | 2025-03-11 |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 optical multiplexing system |
-
2011
- 2011-09-29 KR KR1020110099396A patent/KR2012003329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9345B1 (en) * | 2025-01-10 | 2025-03-11 |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 optical multiplex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383862B (en) |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ositioning-related signaling exchange | |
US10517027B2 (en) | Communications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 |
US10368261B2 (en) |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2D communication | |
EP3286974B1 (en) | Common random access channel resource based coordinated random access | |
JP5382135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handover execution method | |
US9532389B2 (en) |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 |
EP3047687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synchronization | |
KR10171449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mergency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651322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evice to device (D2D) synchronization signal | |
KR20200108810A (en)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 |
EP2800442B1 (en) | Emergency D2D Communication | |
WO2014158064A1 (en) | A method and a device for selecting a synchronization reference | |
KR10249333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signal for positioning of mobile communication ue | |
US2012022565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y station mode of mobil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10694495B2 (en) | Paging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 |
KR20120033292A (en) |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50629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communication path of a terminal that is not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
JP5561321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9560572B2 (en) | Handov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hierarchical cell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time periods for uplink communication | |
KR10245859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2D communication network | |
KR20120071113A (en) | Relay method of terminal for communicaion of emergency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226140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nchronization IN D2D Communication | |
KR10216326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2D Communication | |
KR1024497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OMMUNICATION IN mobile wireless backhaul network | |
GB2628818A (en) |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