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093A -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with insole - Google Patents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with ins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2093A KR20120032093A KR1020100093529A KR20100093529A KR20120032093A KR 20120032093 A KR20120032093 A KR 20120032093A KR 1020100093529 A KR1020100093529 A KR 1020100093529A KR 20100093529 A KR20100093529 A KR 20100093529A KR 20120032093 A KR20120032093 A KR 20120032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ole
- hallux valgus
- big toe
- protrusion
- to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과 접촉되는 바디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가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 상부 전방에 돌출 형성된 전방돌출구와, 엄지발가락 측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 상부 측방에 형성된 측방돌출구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보조기구와는 달리 강제적으로 발가락이나 뼈를 조이거나 당기는 방법이 아닌, 일반 슬리퍼처럼 평소에 신고 생활 하면서 자연스럽게 돌출부위를 반복적으로 맛사지 해주므로 편의성이 증가하였고, 가격이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싸지므로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provided with an insole for correcting the hallux valgus, the insole is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the front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in front of the upper body, so that between the big toe and index toe, and the side of the big toe Consists of a lateral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so as to contact the body, unlike the usual assistive devices, it is not a method of forcibly tightening or pulling the toes or bones, so it naturally massages the protruding part repeatedly while wearing a normal slipper. Convenience has increased, and because of the use of inexpensive materials, the cheaper price will increase the public prefer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인솔에 상측으로 돌출된 전면돌출구를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삽입시키고, 측면돌출구로 엄지발락락의 측면에 접촉시켜 무지외반증의 치료 효율을 극대화시킨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n insole for correcting the hallux valgus, the fron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in the insole into the big toe and index toe, the side protruding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ig toe to treat the valg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n insole for correcting valgus valgus that maximizes efficiency.
일반적으로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인 요인외에 하이힐처럼 굽이 높고 앞이 뽀족하여 볼이좁은 신발에 의한 후천적요인으로 발생한다. 참고로,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쪽으로 휘는 뼈의 기형으로 점차 변형이 커지고 심하면 다른 네개의 발가락도 함께 기울어지면서 발바닥에 굳은살이 박히거나 신경종등 여러질환을 유발하고 걸음걸이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무릎이나 엉덩이 관절 및 허리 통증까지 유발하여 수술을 통한 외과적인 치료까지 받아야한다.In general, hallux valgus is caused by acquired factors caused by shoes with narrow ball and high ball like high heels. For reference, hallux valgus is a malformation of the big toe of the big toe that is curved towards the little toe, and when the deformation grows more severe, the other four toes are also inclined together, causing calluses on the sole of the foot or neurosis, and causing problems in walking. As a result, knee and hip joints and back pain can be induced to undergo surgical treatment through surgery.
또한, 무지외반증은 수술을 통해 치료할 경우,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 후 몇달 동안 샌달처럼 앞이 터진 교정신발을 신거나 사회생활을 위하여 신발의 내측을 곡선으로 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만들어 신발의 앞쪽 볼폭을 확장한 정형외과적으로 고안된 별도의 특수 제작된 고가의 보조구두를 신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f hallux valgus is treated through surgery, the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he operation wear straight orthodontic shoes like sandals for several months after the surgery or straighten the inside of the shoes for the social life. It is designed to be worn as an extra orthopedic specially designed expensive auxiliary shoe.
또한,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엄지발가락이 더 이상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에 착용하는 위와 같은 보조기구를 지속적으로 착용하여 엄지발가락을 잡아당기게 하는 보존치료를 꾸준히 장기간 지속하여야 한다.In addition, if the surgery is not per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big toe from bending any more, a continuous preservation treatment to continuously pull on the big toe by continuously wearing such an auxiliary device to be worn on the foot should be continued for a long time.
그런데, 현재까지의 무지외반증을 치료하는 보조기구는 의료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중에 착용하기에는 디자인이 부담스러웠으며, 특히 여성들이 주요한 치료대상인 관계로 조악한 디자인의 보조기구는 외면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until now, the assistive devices for treating valgus valgus have been designed for medical use, so the design was burdensome to wear in daily life. Especially, since the women are the main treatment targets, the coarse design aids had to be ignored. .
또한, 무지외반증을 치료하는 보조기구는 밴드로 이루어져 강제적으로 발가락이나 뼈를 조이거나 당겨서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device for treating the hallux valgus has a problem that the pain is generated by forcing or tightening the toes or bones made of a band.
그리고, 무지외반증을 치료하는 보조기구는 가격이 비싸므로, 대중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ssistive device for treating hallux valgus is expensiv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ccess publicl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일상생활중에 착용하기가 쉬우며, 발가락이나 뼈를 강제적으로 조이거나 당기지 않고, 가격이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wear in everyday life, without forcing or tightening or pulling the toes or bones, inexpensive to inexpensive valgus valgus that can be popularly used inexpensive It relates to shoe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과 접촉되는 바디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가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 상부 전방에 돌출 형성된 전방돌출구와, 엄지발가락 측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 상부 측방에 형성된 측방돌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having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the insole is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the big toe and index finger to be inserted between the front, the body upper front A protruding front projection formed by the sid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ide projection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body to contact the side of the big toe.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구와 상기 측방돌출구는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 또는 스폰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ront proj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silicone or natural rubber or sponge.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구와 측방돌출구는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proj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prism shape.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구는 전면이 상기 인솔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양측은 접촉홈이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상기 접촉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projection has a front surface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ole, both sides are formed with a contac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g toe and index toe seated in the contact groove.
그리고, 상기 측방돌출구는 전면이 상기 인솔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후방 모서리는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ide projection is a front surface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insole, the rear ed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보조기구와는 달리 강제적으로 발가락이나 뼈를 조이거나 당기는 방법이 아닌, 일반 슬리퍼처럼 평소에 신고 생활 하면서 자연스럽게 돌출부위를 반복적으로 맛사지 해주므로 편의성이 증가하였고,As described above, unlike general assistive devices, it is not a method of forcibly tightening or pulling the toes or bones, but the convenience is increased because the user naturally massages the protruding part repeatedly while living as usual slippers,
가격이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싸지므로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다.
The use of inexpensive materials means that the prices will be lower, which will increase public prefer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돌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돌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을 도시하는 실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hoe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showing a shoe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hoe provided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돌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돌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을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hoe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teral protr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showing a shoe having an insole for correcting the hallux val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바닥과 접촉되는 바디(110)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가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110) 상부 전방에 돌출 형성된 전방돌출구(120)와, 엄지발가락 측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110) 상부 측방에 형성된 측방돌출구(130)로 이루어진 인솔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인솔(100)은 바디(110)와 전방돌출구(120) 및 측방돌출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10)는 친환경적인 합성수지재로 사람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부위이다. 사람의 체형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당업자에 따라 헬스 기능이 가능한 소재를 첨가 가능하다.The
보통, 신발의 인솔(100)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슬리퍼에서 발을 지지하는 밴드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Usually, the part corresponds to the
상기 전방돌출구(120)는 상기 바디(110) 상부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과 상기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부드럽게 벌려주면서 엄지발가락을 밀어주게 된다.
The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상기 바디(110) 상부 측방에 돌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 측면이 접촉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외측이 신발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측방돌출구(130)의 내측면이 엄지발가락의 측면을 밀어주게 된다. 즉,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보행 또는 러닝시 반복적으로 엄지발가락의 측면을 맛사지하듯이 뼈를 자극하여 엄지발가락의 측면이 돌출되는 것을 예방한다.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돌출구(120)와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 또는 스폰지 중 하나인 것이 좋다.Preferably, the
이는, 천연고무 탄성의 강도가 아주 좋아 탄력적이므로 엄지발가락과 접촉시 맛사지 효과가 좋으며, 스폰지는 천연고무에 비하여 가격은 저렴하나 탄성의 강도는 약하며, 실리콘은 스폰지와 천연고무의 중간으로 생각하면 된다. This is because the elasticity of natural rubber elasticity is very good and elastic, so the massage effect is good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big toe. The sponge is cheaper than natural rubber, but the strength of elasticity is weak, and the silicone is considered as the middle of the sponge and natural rubber. .
상술하면, 천연고무, 스폰지, 실리콘의 탄성강도가 좋아 엄지발가락에 있는 실핏줄에 압박을 주지 않아 혈액순환에도 큰 도움이 된다.In detail, the elastic strength of natural rubber, sponge, and silicone is good, and it does not put pressure on the blood vessels in the big toe, which is a great help for blood circulation.
따라서, 천연고무, 스폰지, 실리콘은 탄성강도가 좋아 탄력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가격차이가 발생하므로 당업자에 따라 선택가능하다.
Therefore, natural rubber, sponge, silicone can be used elastically good elastic strength, bu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ecause the price difference occur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방돌출구(120)와 측방돌출구(130)는 삼각기둥 형상인 것이 좋다.The
상기 전방돌출구(120)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삼각형의 양변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삽입되기에 편리하다.The
상기 측방돌출구(130) 또한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삼각형 상측의 꼭지점 부분이 엄지발가락 측면의 특정부위를 집중적으로 맛사지 가능하게 된다.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돌출구(120)는 전면이 상기 인솔(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양측은 접촉홈(122)이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상기 접촉홈(122)에 안착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이는, 상기 전방돌출구(120)는 상기 바디(110)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신발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신발 내부의 형상에 대응되어야 상기 바디(110)가 효과적으로 신발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즉, 상기 전방돌출구(120)의 전면(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됨)은 상기 바디(110) 전면의 라운드진 형상에 대응되게 된다.This, the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구(120)는 양측(삼각형의 양변에 해당됨)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안착되는 접촉홈(122)이 형성된다. 이는, 삼각형의 양변은 직선이므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삽입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너무 많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전방돌출구(120) 양측에 접촉홈(122)이 형성되어 과도하게 벌어지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완화 시키게 한다.
Theref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전면이 상기 인솔(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후방 모서리는 라운드지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이는,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상기 바디(110) 측방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신발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신발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어야 상기 바디(110)가 효과적으로 신발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즉, 상기 측방돌출구(130)의 전면면(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됨)은 상기 바디(1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된다.This, the
그리고,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후방 모서리(삼각형의 상측의 꼭지점)은 라운드지게 이루어져, 엄지발가락에 접촉시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이, 인솔의 전방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끼이도록 전방돌출구를 형성하고 엄지발가락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측방돌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a basic technical idea to form the front protrusion so that the big toe and index finger toe in the front of the insole and the side protrusion of the side of the big toe contact, this is merely exemplary,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인솔 110: 바디
120: 전방돌출구 122: 접촉홈
130: 측방돌출구100: insole 110: body
120: front exit 122: contact groove
130: side exit
Claims (5)
상기 인솔(100)은,
발바닥과 접촉되는 바디(110)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가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110) 상부 전방에 돌출 형성된 전방돌출구(120)와;
엄지발가락 측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110) 상부 측방에 형성된 측방돌출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In shoes with an insole that corrects hallux valgus,
The insole 100 is,
A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A front protrusion 120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0 to be inserted between the big toe and the index finger;
Shoes having an insole for correcting the hallux valg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ide projections 13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the big toe side contact.
상기 전방돌출구(120)와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 또는 스폰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rotrusion 120 and the side protrusion 130,
Shoes with an insole for correcting hallux valgus, characterized in that either silicone or natural rubber or sponge.
상기 전방돌출구(120)와 측방돌출구(130)는,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ront protrusion 120 and the side protrusion 130,
Shoes with an insole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prism shape.
상기 전방돌출구(120)는,
전면이 상기 인솔(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양측은 접촉홈(122)이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상기 접촉홈(12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protrusion 120,
The front surfac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ole 100, both sides of the contact grooves 122 are formed so that the big toe and index toe is fixed to the contact grooves 122,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ole to correct With shoes.
상기 측방돌출구(130)는,
전면이 상기 인솔(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후방 모서리는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de protrusion 130,
The front surfac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insole 100, the rear edge is rounded shoes with insoles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3529A KR20120032093A (en) | 2010-09-28 | 2010-09-28 |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with ins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3529A KR20120032093A (en) | 2010-09-28 | 2010-09-28 |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with ins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093A true KR20120032093A (en) | 2012-04-05 |
Family
ID=4613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3529A Ceased KR20120032093A (en) | 2010-09-28 | 2010-09-28 |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with ins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32093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89754A1 (en) | 2012-07-26 | 2014-01-29 | Vitry Freres | Device for protecting and correcting hallux valgus |
KR101636448B1 (en) * | 2015-03-03 | 2016-07-05 | 성순호 | Th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toe |
CN111436716A (en) * | 2020-04-28 | 2020-07-24 |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 A special shoe based on the soles of patients with missing toes |
US20210361462A1 (en) * | 2018-08-30 | 2021-11-25 | He Liu | Shoe-pad, shoe and hallux orthotic device |
-
2010
- 2010-09-28 KR KR1020100093529A patent/KR2012003209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89754A1 (en) | 2012-07-26 | 2014-01-29 | Vitry Freres | Device for protecting and correcting hallux valgus |
KR101636448B1 (en) * | 2015-03-03 | 2016-07-05 | 성순호 | Th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toe |
US20210361462A1 (en) * | 2018-08-30 | 2021-11-25 | He Liu | Shoe-pad, shoe and hallux orthotic device |
US12004597B2 (en) * | 2018-08-30 | 2024-06-11 | He Liu | Shoe-pad, shoe and hallux orthotic device |
CN111436716A (en) * | 2020-04-28 | 2020-07-24 |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 A special shoe based on the soles of patients with missing toes |
CN111436716B (en) * | 2020-04-28 | 2021-07-23 |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 A special shoe based on the soles of patients with missing to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578432A1 (en) | Sock for treating tibia pain | |
KR101269961B1 (en) | The structure of shoes' sole | |
KR200437328Y1 (en) | Shoes for Correcting Toes in Patients with Hallux Valgus | |
KR20120032093A (en) | 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with insole | |
KR101615520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JP2011045701A (en) | Toe footwear for toe correction | |
KR101588651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RU2763709C1 (en) | Shoes for massage of the inner side of the great toe | |
JP2010046304A (en) | Footwear for performing acupressure on reflex zone of instep | |
KR200296822Y1 (en) | Toe straightening | |
CN110742716B (en) | Shoe pad and shoe for correcting hallux valgus | |
KR200427477Y1 (en) | Toe correction and athlete's foot treatment | |
KR100457101B1 (en) | Shoe of insole | |
KR20100004395U (en) | sole of a shoe for acupressure | |
KR20080040371A (en) | Toe orthotic insole | |
KR102472896B1 (en)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plantar fasciitis and hallux valgus | |
KR102618264B1 (en) | Toe correcter | |
KR100446798B1 (en) | The shoes for weight loss and acupressure | |
RU2718262C1 (en) | Insol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
JP3064950U (en) | Health insole, footwear and health equipment using it | |
KR20110011414U (en) | Hallux valgus reformer | |
KR200313793Y1 (en) | Shoes with leg correction | |
RU125842U1 (en) | DEVICE FOR PREVENTION OF PLATFOOT IN CHILDREN | |
KR100804383B1 (en) | Shoes worn during sleep | |
KR20120014464A (en) | Comfortable insole and sole with comfortable t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