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0819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819A
KR20120030819A KR1020100092589A KR20100092589A KR20120030819A KR 20120030819 A KR20120030819 A KR 20120030819A KR 1020100092589 A KR1020100092589 A KR 1020100092589A KR 20100092589 A KR20100092589 A KR 20100092589A KR 20120030819 A KR20120030819 A KR 2012003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downlink control
mixed field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권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9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0819A/ko
Priority to PCT/KR2011/006590 priority patent/WO2012039556A2/ko
Publication of KR2012003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5Transmission of coding parameters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hybrid field)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DCI 포맷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제어정보를 추가할 수 있어, 블라인드 복호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또는 다양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상향링크 제어신호로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수행하기 위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가리키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새로운 시스템의 등장과 함께 요구되는 다른 새로운 절차나 새로운 정보를 다루기 위해서는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필수적으로 추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시스템과 호환가능한 포맷을 유지하되 새로운 필드(field)의 추가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포맷(format)은 매우 제한적이며, 새로운 필드의 추가의 여지가 낮다. 그리고, 만약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더라도 이는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부담이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할 새로운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추가되더라도 기존의 시스템의 구조에 변경을 최소화하고 호환가능하도록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포맷을 새로운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포맷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혼합필드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hybrid field)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전체 부호점(code point) 중 제1 부호점 그룹은 상기 주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제2 부호점 그룹은 상기 부 제어정보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전체 부호점 중 제1 부호점 그룹은 상기 주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제2 부호점 그룹은 상기 부 제어정보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구성하는 혼합필드 구성부,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구성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필드 구성부는 혼합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전체 부호점 중 제1 부호점 그룹을 상기 주 제어정보에 할당하고, 제2 부호점 그룹을 상기 부 제어정보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형식을 해석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해석부, 상기 해석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해석부는,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제1 방식에 의해 해석하고,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제2 방식에 의해 해석한다.
기존의 DCI 포맷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제어정보를 추가할 수 있어, 블라인드 복호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혼합필드의 부호점에 맵핑되는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DCI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RB(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 또는 심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내의 첫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이제 하향링크 물리채널인 PDCCH에 대해 기술한다.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UE 그룹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라고 한다. DCI는 그 포맷(format)에 따라 사용용도가 다르고, DCI내에서 정의되는 필드(field)도 다르다. 표 1은 DCI 포맷에 따른 DCI를 나타낸다.
DCI Format Description
0 used for the scheduling of PUSCH(Uplink grant)
1 used for th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1A used for the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and random access procedure initiated by a PDCCH order
1B used for the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with precoding information
1C used for very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and notifying MCCH change
1D used for the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with precoding and power offset information
2 used for scheduling PDSCH to UEs configured in spatial multiplexing mode
2A used for scheduling PDSCH to UEs configured in large delay CDD mode
3 used for the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with 2-bit power adjustments
3A used for the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with single bit power adjustments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DCI 포맷 1~2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DCI 포맷 3, 3A는 임의의 단말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가리킨다. DCI의 각 필드는 정보비트(information bit)에 순차적으로 맵핑된다. 예를 들어, DCI가 총 44비트 길이의 정보비트에 맵핑된다고 하면, 자원할당필드는 정보비트의 10 번째 비트 내지 23 번째 비트에 맵핑될 수 있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할당정보와 하향링크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자원할당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라 불릴 수 있고, 하향링크 자원할당정보는 하향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라 불릴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필드들(field)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플래그(Flag)는 1비트 정보로서 DCI 0과 DCI 1A를 구별하는 지시자이다. 호핑 플래그(hopping flag)는 1비트 정보로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주파수 도약이 적용되는지, 적용되지 않는지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호핑 플래그가 1이면 상향링크 전송시 주파수 도약을 적용하고, 0이면 상향링크 전송시 주파수 도약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자원블록할당 및 호핑 자원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은 자원할당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라 불리기도 한다. 자원할당필드는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물리적인 위치 또는 양을 지시한다. 상기 표 2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향링크 그랜트는 전체비트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잉여비트 또는 패딩비트(padding bit)를 포함한다. DCI는 여러가지 포맷이 있는데, 잉여비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포맷의 제어정보라 하더라도 비트의 길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이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2에서, FDD 20MHz의 대역에서 자원할당필드가 13비트라 하면, 상향링크 그랜트는 총 27비트(CIF필드와 CRC필드는 제외)이다. 만약, 블라인드 디코딩의 입력으로 정해진 비트의 길이가 28비트라 하면, 기지국은 스케줄링시 1비트의 잉여비트를 상향링크 그랜트에 추가하여 상향링크 그랜트의 총 비트수가 28비트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잉여비트는 특별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으므로, 모두 0으로 셋팅될 수 있다. 물론, 잉여비트의 개수는 2보다 적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DCI는 그 포맷에 따라 그 용도가 정해져 있고, DCI에 포함되는 필드(field)의 종류도 그 포맷에 따라 결정된다. 시스템의 구조가 진화함에 따라, 기존의 제어정보량이 증가하거나, 새로운 제어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DCI내에 기존의 필드 외의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는 것은 결국 DCI 포맷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것은 DCI 포맷을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인 블라인드 복호(blind decoding)의 복잡도를 증가시킨다. 블라인드 디코딩은 정해진 PDCCH의 영역에 일정한 복호시작점을 정의하고 주어진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가능한 모든 DCI 포맷에 대해 복호를 수행하고 CRC에 매스킹(masking)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부터 사용자를 구분하는 제어정보의 복호방법이다. 블라인드 복호는 복호되어야 할 DCI 포맷의 개수에 따라 복호 복잡도가 증가하고 DCI 크기의 차이는 복호되어야할 DCI 포맷의 개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로운 제어정보 또는 제어채널을 추가하더라도, 기존 DCI 포맷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기존 DCI 포맷에서 사용되지 않는 필드 자체를 새로운 제어정보로 구성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0에서는 잉여비트(padding bit)가 각 대역별로 1비트씩 존재한다. DCI 포맷 0와 DCI 포맷 1A를 같은 포맷으로 구성하려면, 이 잉여비트를 추가하여 서로의 크기를 맞추어야 한다. 잉여비트는 자원할당이 비연속(non-contiguous)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RA)인지, 또는 연속(contiguous) 자원 할당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DCI형식에서는 이러한 잉여비트가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지 않는 필드를 새로운 제어정보로 구성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DCI내에 2가지 이상의 제어정보(2 pieces of control information)에 대응하는 필드인 혼합필드(hybrid field)를 마련하는 것이다. 기존의 DCI 포맷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제어정보를 추가할 수 있어, 블라인드 복호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DCI 포맷 0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제어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제어채널 구성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DCI 포맷은 다양하므로, 혼합필드의 대상이 되는 필드의 종류도 다양하다. 본 발명에서는 DCI 포맷 0을 기준으로 혼합필드를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혼합필드는 DCI 포맷 0/1/1A/1B/1C/1D/2/2A/3/3A등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혼합필드는 주 제어정보(primary control information) 및/또는 부 제어정보(secondary control information)에 대응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주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MCS 관련정보이고, 부 제어정보는 비주기적(aperiodic) 사운딩 기준신호의 전송에 관련된 정보이다. 물론, 혼합필드는 2가지 이상의 제어정보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혼합필드 하나만으로, 다수의 제어정보를 담을 수 있다.
혼합필드의 비트수는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DCI 포맷에서 미리 정의된다. 예를 들어, 혼합필드의 비트수가 3비트, 5비트등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혼합필드의 비트수는 혼합필드가 표현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혼합필드의 비트수가 2비트이면, 혼합필드가 표현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총 22=4이다. 혼합필드가 표현할 수 있는 각각의 경우의 수를 부호점(code point)라 한다. 혼합필드의 비트수가 증가할수록, 부호점의 개수는 증가한다.
하나의 부호점은 혼합필드에 대응하는 제어정보의 일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혼합필드가 2비트이고, 부호점이 총 4개라 할 때, 각 부호점은 다음의 표와 같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와 같은 제어정보의 일 상태에 각각 맵핑될 수 있다.
혼합필드(2bits) 부호점 제어정보(MCS level)의 일 상태
00 0 BPSK
01 1 QPSK
10 2 8PSK
11 3 16QAM
표 3을 참조하면, 혼합필드 00으로 표현되는 부호점 0에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라는 제어정보의 일 상태에 맵핑된다. 마찬가지로, 혼합필드 11로 표현되는 부호점 3에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라는 제어정보의 일 상태에 맵핑된다.
또한, 혼합필드의 부호점은 그 범위에 따라 주 제어정보에 맵핑될 수도 있고, 부 제어정보에 맵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호점이 32개라 할 때, 그 중 20개는 주 제어정보에 맵핑되고, 나머지 12개는 부 제어정보에 맵핑된다. 이는 혼합필드에 의해 2가지 제어정보가 정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혼합필드의 부호점에 맵핑되는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혼합필드는 n비트이고, 혼합필드의 부호점은 총 2n개(0~2n-1)이다. 여기서, 부호점 0 내지 2k는 주 제어정보에 맵핑되고, 부호점 2k+1 내지 2n-1은 부 제어정보에 맵핑된다. 이와 같이 부호점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제1 부호점 그룹은 주 제어정보의 표현에 사용하고, 제2 부호점 그룹은 부 제어정보의 표현에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혼합필드로써 2개 이상의 제어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주 제어정보와 부 제어정보를 부호점의 관점에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주 제어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에서 임의로 가해지는 제한조건(limitation condition)에 의해 사용가능한 부호점의 수가 제한되는 제어정보이다. 부 제어정보는 주 제어정보에 가해지는 제한조건에 의해 남는 주 제어정보의 부호점에 맵핑되는 제어정보이다.
이하에서, 혼합필드에 대응하는 주 제어정보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 제어정보의 일 예는 변조 및 코딩법/잉여지수 정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nd Redundancy Version information; MCS & RV information, 이하 변조잉여정보)이다. 변조 및 코딩법은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변조차수(modulation order) 및 코딩을 나타낸다. 잉여지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서 데이터의 재전송시 사용되는 버전을 나타낸다.
표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주 제어정보이다.
Figure pat00002
표 4를 참조하면, 변조잉여정보에 관한 부호점(code point)은 총 32개(0 내지 31)이다. Q'm은 변조차수, ITBS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의 크기지수, rvidx는 잉여지수를 나타낸다. 이후에서, ITBS로 표현된 설명은 ITBS를 전송블록크기로 대체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각 부호점은 변조잉여정보의 일 상태(state) 또는 MCS지수(IMCS)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부호점 10은 변조차수가 2이고, 전송블록의 크기지수가 10이며, 잉여지수가 0인 상태의 변조잉여정보에 맵핑된다.
변조차수(Q'm)가 2이면 QPSK, 변조차수가 4이면 16QAM, 변조차수가 6이면 64QAM을 나타낸다. DCI 포맷 0에 의한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할당되는 상향블록의 크기는 ITBS와 자원할당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NPRB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rvidx는 할당되는 상향링크 그랜트 블록이 재전송블록일 때 최초전송블록에 대한 상대적인 중복상황을 나타낸다.
변조차수와 잉여지수를 결정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0≤부호점≤28에 대해서, 변조차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i) 만약 단말이 PUSCH에서 64QAM를 지원하고 상위계층에서 QPSK와 16QAM만을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변조차수는 위 표 4와 같이 주어진다. ii) 만약 단말이 PUSCH에서 64QAM를 지원하지 않거나 상위계층에서 QPSK와 16QAM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된 상황이라면 변조차수는 위 표 4에서 얻어진 변조차수를 이용하여 Qm=min(4,Q'm)에서 얻어진다. iii) 상위계층에서 제공하는 TTI 번들링(Bundling) 계수가 참(TRUE)으로 셋팅된다면 자원할당크기가 NPRB≤3로 제한되어지고 변조차수는 2로 셋팅된다.
29≤부호점≤31에 대하여, 변조차수는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가장 최근의 PDCCH에서 결정된 것과 같은 것으로 가정된다. 부호점=29이고 DCI 포맷 0의 “CQI 요청”비트가 1로 셋팅되고 NPRB≤4이라면 변조차수는 2로 셋팅된다.
이하에서, 혼합필드에 대응하는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DCI 포맷 0과 같은 제어채널을 구성하기 위해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signaling) 또는 별도의 제어채널에 의해서 일정 제한조건을 주 제어정보에 대해 부과한다. 또한, 제한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시그널링이나 별도의 제어채널로써 상기 변경된 제한조건에 따라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에 관한 새로운 부호점 그룹이 생성된다. 먼저, 혼합필드의 부호점을 제한조건이 부과된 주 제어정보에 할당한다. 이 후, 상기 제한조건이 부과된 주 제어정보에 맵핑되고 남은 부호점들은 부 제어정보에 할당된다.
표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이다.
Figure pat00003
표 5를 참조하면, 부호점 0 내지 20까지는 변조차수가 2, 4인 경우이고, 부호점 21 내지 28은 변조차수가 6인 경우이다. 부호점 0 내지 20, 그리고 부호점 29 내지 31은 제1 부호점 그룹으로서, 주 제어정보(변조잉여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시스템에서 64QAM에 대해 변조잉여정보를 할당하지 않는다는 제한조건을 가하면, 변조차수가 6인 부호점 21 내지 28은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는다. 표 5는 표 1과 동일하나,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는 부호점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표 5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부호점 21 내지 28은 제2 부호점 그룹으로서, 제2 부호점 그룹은 총 8개의 부호점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부호점 그룹은 3비트의 부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시스템에서 16QAM까지 할당하지 않는다는 제한조건을 가한다면, 제한조건은 제2 부호점 그룹은 11 내지 28로 확장된다. 따라서, 총 18개의 부호점으로 부 제어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표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이다.
Figure pat00004
표 6을 참조하면, 표 6은 표 1과 동일하나,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는 부호점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짝수인 부호점 0, 2, 4, ..., 28 및 부호점 29 내지 31은 제1 부호점 그룹으로서 주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홀수인 부호점 1, 3, 5,...27은 제2 부호점 그룹으로서 총 14개의 부호점을 포함한다. 제2 부호점 그룹은 부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혼합필드의 전체 부호점 중에서, 일정주기(일정패턴)에 해당하는 부호점을 주 제어정보에 할당하고, 나머지를 부 제어정보에 할당할 수 있다.
표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이다.
Figure pat00005
표 7을 참조하면, 표 7은 표 1과 동일하나,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는 부호점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음영으로 표시된 부호점 22, 24, 26, 28은 제2 부호점 그룹으로서 부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나머지 부호점들로 구성되는 제1 부호점 그룹은 주 제어정보에 할당된다. 여기서는 64QAM의 변조차수에 대해서만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고 부호점이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에 할당되도록 한 것이다. 제2 부호점 그룹은 4개의 부호점을 포함하므로, 혼합필드내에서 2비트의 부 제어정보가 구성될 수 있다.
표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이다.
Figure pat00006
표 8은 표 1과 동일하나,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는 부호점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음영으로 표시된 부호점 11, 21은 제2 부호점 그룹으로서 부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나머지 부호점들로 구성되는 제1 부호점 그룹은 주 제어정보에 할당된다. 여기서의 제한조건은, 변조차수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전송블록 크기를 가지는 부호점들 중 어느 하나만을 주 제어정보에 할당하고, 다른 하나를 부 제어정보에 할당한다. 즉, 전송블록의 크기는 ITBS에 따라 달라지고, 이 값이 같은 경우를 갖는 경우의 부호점들중에 일부를 선택하여 부 제어정보에 할당한다.
표 8에서, ITBS=10인 경우와 ITBS=19인 경우에 있어서, 변조차수가 큰 부호점 1개를 주 제어정보에 할당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물론 변조차수가 작은 부호점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 제어정보의 부호점을 제한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성능저하의 원인이 상당부분 제거될 수 있다.
표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주 제어정보 및 부 제어정보이다.
Figure pat00007
표 9는 표 1과 동일하나,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는 부호점은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음영으로 표시된 부호점 11, 21, 26, 27은 제2 부호점 그룹으로서 부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나머지 부호점들로 구성되는 제1 부호점 그룹은 주 제어정보에 할당된다. 제1 제한조건은, 변조차수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전송블록 크기를 가지는 부호점들 중 어느 하나만을 주 제어정보에 할당하고, 다른 하나를 부 제어정보에 할당한다. 즉, 전송블록의 크기는 ITBS에 따라 달라지고, 이 값이 같은 경우를 갖는 경우의 부호점들중에 일부를 선택하여 부 제어정보에 할당한다. 추가적인 제한조건은, 64QAM 변조차수에서 부호점 26과 27이 제한을 가지고 부 제어정보에 할당되므로, 2비트의 부 제어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표 4 내지 표 9와 같이 혼합필드의 주 제어정보(변조잉여정보)에 제한조건을 가하고, 상기 제한조건에 의해 남는 부호점을 이용하여 부 제어정보를 위한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혼합필드는 본래의 주 제어정보를 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부 제어정보를 위한 제어채널의 구성에 있어서 주 제어정보를 특정한 상태로 설정하여야 한다. 일 예로서, 가장 최근에 동일 단말에게 전송된 주 제어정보의 상태를 현재 기지국과 단말이 설정해야하는 가상적인 주 제어정보의 상태로 본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변조잉여정보가 부호점=10인 경우라 하자. 만약 단말이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상기 가장 최근의 변조잉여정보인 부호점 10을 가정하고, QPSK 및 ITBS=10을 기초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서, 제2 부호점 그룹의 특정 부호점에 대응하는 주 제어정보의 상태를 현재 가상적인 주 제어정보로 보고 동작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 8에서 기지국에 의해 혼합필드의 부호점 11에 해당하는 부 제어정보가 단말로 전송된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혼합필드는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은 주 제어정보를 특정한 상태라고 가정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때, 단말은 혼합필드가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였을 때 부호점 11에 해당하는 주 제어정보를 상기 특정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 경우, 변조차수가 2인 QPSK, ITBS=10이 된다. 또는 다른 예로 부호점 6에 해당하여 변조차수가 2인 QPSK, ITBS=6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주 제어정보를 가상의 특정 상태로 설정하는 것은 주 제어정보가 제한되는 모드 및/또는 특정한 규칙에 따라 선호도(priority)를 가지고 이뤄지거나, 상위계층에서 정하고 시그널링이나 별도의 제어채널에 의해 알려줄 수 있다.
혼합필드외에 추가적인 부호점이 부 제어정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부호점은 DCI 내의 다른 필드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부호점을 제공하는 필드를 추가필드(additional field)라 한다. 추가필드를 이용할 경우, 부 제어정보에 추가적인 부호점을 제공할 수 있으나, 그 반대로 추가필드의 본질은 상실된다. 예를 들어, 추가필드가 주파수 호핑필드(frequency hopping field)인 경우,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지 않는 제한조건이 가해질 수 있다. 이로써, 주파수 호핑 필드의 비트를 부 제어정보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잉여비트도 추가필드로서 부 제어정보에 할당될 수 있다. 추가필드가 부 제어정보에 할당되면, 추가필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므로, 추가필드와 관련된 제어정보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필드가 주파수 호핑필드일 경우, 추가필드는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가 아닌 부 제어정보를 담고 있다. 즉,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는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약속할 수 있다.
주 제어정보에 관한 제한조건은 제어채널의 실제 사용 예를 고려할 때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채널의 정보를 충분히 파악한 상황이 아니므로 낮은 차수의 변조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런 환경에서 주 제어정보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큰 성능저하를 가져오지 않는다.
이하에서, 부 제어정보에 관하여 설명한다. 부 제어정보는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신호(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ASRS)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하 ASRS 설정정보),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신호의 트리거링 on/off를 나타내는 정보,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l CSI)의 전송 설정에 관한 정보, ACK/NACK 전송 설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혼합필드가 제2 부호점 그룹의 어느 한 부호점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DCI가 ASRS의 설정정보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설정에 관한 정보 또는 ACK/NACK 전송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ASRS 설정정보는 표 10과 같이 ASRS의 전송에 필요한 여러가지 필드를 포함한다.
SRS Information Element Number of Bits Comment
SRS Activation 1 Interpretation of DCI format
Transmission BW 2 Four SRS BWs per operating BW
Frequency Position 3 or 5 Starting BW Position (3 bits for <=5 MHz)
Transmission Comb 1 Two combs
SRS Cyclic Shift 3 Eight cyclic shifts
SRS Configuration Index ISRS 9 configurations on subframes assigned for SRS transmission
Duration 0 One-Shot Transmission or Same Duration
SRS BW Configuration 0 One-shot or already known through SIB
CRC (UE ID) 16 UE ID masked in the CRC
TOTAL 35 or 37
표 10을 참조하면, SRS 활성화(Activation) 필드는 1비트 정보로서 해당 DCI가 ASRS의 전송에 관련된 포맷인지 아닌지를 지시한다. 주파수 위치(Frequency Position) 필드는 ASRS에 관한 상향링크 대역폭의 시작위치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다. 전송컴브(Transmission Comb)필드는 TDD 시스템에 있어서 특별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UpPTS구간을 정의하는 파라미터이다. SRS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필드는 AS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와 오프셋(offset)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다. 순환 시프트(Cyclic Shift)필드는 ASRS의 전송을 위한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하는 파라미터이다.
또 다른 부 제어정보의 예로서, CQI/PMI와 같은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트리거링, 또는 CSI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요소반송파, 또는 CSI의 대상이 되는 하향링크 요소반송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혼합필드는 CIF(carrier indicator format) 또는 CQI 요청(request)필드와 결합되어 부 제어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DCI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500). 일 예로서,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혼합필드가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혼합필드 지시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혼합필드 지시자는 1비트로서, 0이면 상기 혼합필드가 주 제어정보를 포함함을 표시하고, 1이면 부 제어정보를 포함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혼합필드의 전체 부호점 중 제1 부호점 그룹과 제2 부호점 그룹의 할당모드를 구별하는 부호점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호점 그룹 정보는 제1 부호점 그룹과 제2 부호점 그룹이 상기 표 4 내지 상기 표 9 중 어떤 모드로 할당되는지를 나타낸다.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는 물리계층의 메시지, MAC 계층의 메시지 및 RRC 계층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만약, 단말과 기지국간에 제1 및 제2 부호점 그룹에 관하여 미리 규약되어 있거나, 이미 단말이 알고 있는 경우, 기지국은 별도로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단계 S500은 생략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혼합필드를 구성한다(S505). 혼합필드(hybrid field)는 주 제어정보와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제어정보는 변조잉여정보일 수 있고, 부 제어정보는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신호(ASRS)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혼합필드가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제한하는 제한조건이 가해지는 경우, 제한조건에 의해 주 제어정보로 할당되지 않는 남는 제2 부호점 그룹이 부 제어정보로 사용된다.
기지국은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단말로 전송한다(S510).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DCI 포맷 0의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일 예는 아래의 표 11과 같다.
Figure pat00008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포함된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515). 만약,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변조잉여정보인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변조잉여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변조차수 및 잉여버전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ASRS 관련 정보인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임의의 시점에 사운딩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전송할 하향링크 제어정보(DCI)가 새로운 DCI 형식인지 판단한다(S600). 새로운 DCI 형식이란, DCI의 혼합필드가 기존의 주 제어정보의 용도가 아닌 다른 부 제어정보의 용도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새로운 DCI 형식인 경우, 기지국은 제한조건이 가해진 혼합필드를 구성한다(S605). 여기서, 제한조건이란 시스템에서 주 제어정보의 일부 상태를 사용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제한조건이 있다는 것은 일부의 부호점이 주 제어정보의 부호점으로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혼합필드의 부호점은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한다.
기지국은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고(S610), 이를 단말로 전송한다(S615).
한편, 상기 단계 S600에서, 만약, 전송할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새로운 DCI 형식이 아닌 경우, 기지국은 기존의 방식대로 주 제어정보로서 혼합필드를 구성하고(S620),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고(S610), 이를 단말로 전송한다(S61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PDCCH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수신한다(S700). 이는 블라인드 복호과정에 의해 수신된다.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포함된 혼합필드의 부호점이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705). 여기서, 혼합필드의 부호점이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하는지는, 상기 도 5에서 단계 S500에서와 같은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다. 만약, 상기 혼합필드의 부호점의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하면, 단말은 상기 혼합필드의 정보를 부 제어정보로 해석하고(S710), 상기 혼합필드의 원래 용도인 주 제어정보의 상태를 디폴트(default) 또는 규칙에 의해 정해진 값으로 결정한다(S715).
한편, 상기 단계 S705에서, 만약, 상기 혼합필드의 부호점의 제2 부호점 그룹이 아닌,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하면, 단말은 상기 혼합필드의 정보를 주 제어정보로 해석한다(S7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800)은 상향링크 그랜트 수신부(805), DCI 해석부(810), 데이터 생성부(815) 및 데이터 송신부(820)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그랜트 수신부(805)는 PDCCH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블라인드 복호에 의해 수신한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전송에 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파라미터 및 혼합필드를 포함한다.
DCI 해석부(810)는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혼합필드가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지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기지국(850)으로부터의 시그널링(signaling) 또는 별도의 제어채널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단말이 직접 혼합필드의 부호점이 제1 부호점 그룹 또는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하는지의 판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DCI 해석부(810)는, 상기 혼합필드의 부호점이 제1 부호점 그룹에 속하면, 상기 혼합필드는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필드의 부호점이 제2 부호점 그룹에 속하면, 상기 혼합필드는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815)는 DCI 해석부(810)의 결과에 따라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를 기초로 상향링크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상기 혼합필드가 변조잉여정보인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상향링크 정보는 상기 변조잉여정보의 변조차수 및 잉여버전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이다. 만약, 상기 혼합필드가 ASRS 관련 정보인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상향링크 정보는 상기 비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사운딩 기준신호이다. 상기 ASRS 관련 정보인 부 제어정보는 상기 사운딩 기준신호에 대한 트리거링 및 사운딩 설정제어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부(820)는 데이터 생성부(815)에 의해 생성되는 상향링크 정보를 기지국(85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850)은 혼합필드 구성부(855), 스케줄링부(860),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부(865) 및 데이터 수신부(870)을 포함한다.
혼합필드 구성부(855)는 혼합필드를 구성한다. 혼합필드는 주 제어정보와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제어정보는 변조잉여정보일 수 있고, 부 제어정보는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신호(ASRS)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혼합필드가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제한하는 제한조건이 가해지는 경우, 제한조건에 의해 주 제어정보로 할당되지 않는 남는 제2 부호점 그룹이 부 제어정보로 사용된다.
스케줄링부(860)는 혼합필드 구성부(855)에 의해 구성되는 혼합필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상기 표 11과 같은 정보 생성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이다.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부(865)는 스케줄링부(860)에 의해 설정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8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부(870)는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ASRS를 단말(800)로부터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870)가 단말(800)로부터 ASRS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ASRS에 대한 정보를 스케줄링부(860)로 보낼 수 있다(도면에 미표시). 이에 대해, 스케줄링부(860)는 상기 ASRS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에 있어서,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hybrid field)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전체 부호점(code point) 중 제1 부호점 그룹은 상기 주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제2 부호점 그룹은 상기 부 제어정보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채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신호인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비주기적인 전송을 트리거링(triggering)함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관한 할당정보인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인,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정보의 변조차수(modulation order), 전송블록의 크기(size of transport block), 잉여버전(redundancy vers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주 제어정보 및 상기 부 제어정보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점 그룹은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도록 제한되는 상태의 부호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7.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에 있어서,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전체 부호점 중 제1 부호점 그룹은 상기 주 제어정보에 할당되고, 제2 부호점 그룹은 상기 부 제어정보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채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신호인 사운딩 기준신호의 비주기적인 전송을 트리거링함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관한 할당정보인 상향링크 그랜트인,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정보의 변조차수, 전송블록의 크기, 잉여버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주 제어정보 및 상기 부 제어정보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혼합필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점 그룹은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주 제어정보로 사용되지 않도록 제한되는 상태의 부호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수신방법.
  13.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구성하는 혼합필드 구성부;
    상기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구성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필드 구성부는 혼합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전체 부호점 중 제1 부호점 그룹을 상기 주 제어정보에 할당하고, 제2 부호점 그룹을 상기 부 제어정보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주 제어정보 또는 부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혼합필드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형식을 해석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해석부;
    상기 해석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 해석부는,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제1 방식에 의해 해석하고, 상기 혼합필드가 상기 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제2 방식에 의해 해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00092589A 2010-09-20 2010-09-2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20030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589A KR20120030819A (ko) 2010-09-20 2010-09-2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PCT/KR2011/006590 WO2012039556A2 (ko) 2010-09-20 2011-09-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589A KR20120030819A (ko) 2010-09-20 2010-09-2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819A true KR20120030819A (ko) 2012-03-29

Family

ID=4587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589A KR20120030819A (ko) 2010-09-20 2010-09-2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30819A (ko)
WO (1) WO201203955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52A1 (ko) * 2017-06-23 2018-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4748B2 (en) 2018-05-11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dica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5G systems with legacy downlink control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676B1 (ko) * 2008-10-31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페이로드 크기결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52A1 (ko) * 2017-06-23 2018-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463222B2 (en) 2017-06-23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9556A2 (ko) 2012-03-29
WO2012039556A3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6404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JP6422129B2 (ja)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1573936B1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5960824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CN101652954B (zh) 基站装置、移动台、无线通信系统及通信控制方法
US8885556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ARQ in a multiple carrier system
JP638858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CN10585017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集成电路以及通信方法
CN110612765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2013005135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94919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973010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394918B2 (ja) 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1330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basic resource unit for NB-IO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465373B (zh) 终端装置、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JP2016519890A (ja)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制御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JP201450314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CN105493557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集成电路以及通信方法
CN109314964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JP6414752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3113537B1 (en) Termina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4148442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24533446A (ja) Harq-ack情報を送信する方法、ユーザ機器、プロセシング装置及び記憶媒体、並びにharq-ack情報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JP2018110278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2003081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