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491A -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8491A KR20120028491A KR1020100090350A KR20100090350A KR20120028491A KR 20120028491 A KR20120028491 A KR 20120028491A KR 1020100090350 A KR1020100090350 A KR 1020100090350A KR 20100090350 A KR20100090350 A KR 20100090350A KR 20120028491 A KR20120028491 A KR 201200284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ontext
- additional information
- item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d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time or du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text or character information, e.g. text accompanying an im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를 관련 데이터로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되어 표시 및 저장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로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를 관련 데이터로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되어 표시 및 저장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로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발전에 따라 증강현실(Augment Reality)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증강현실은 주로 카메라 위주로, 현재 촬영되는 이미지상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장소 또는 기억하기 위한 장소에 있을 때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사진을 저장매체로써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 촬영시간 정보 외에 GPS 정보 등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상기 GPS 정보를 바탕으로 구글어스(Google earth) 같은 사이트에서 사진 찍은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촬영된 사진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는 사진의 외적인 특성을 저장하고 있을 뿐, 실질적인 정보에 대해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장소의 위치정보는 에펠탑 앞, 맥도날드 앞 과 같이 구체적인 장소에 대한 정보가 아닌, 213,222,222 와 같이 촬영된 장소에 대한 GPS 정보가 그대로 저장되어, 사용자의 의도를 명확히 저장할 수 없다.
또한 블로그에서 업로드를 수행할 때도 간단한 정보 입력이지만 수동적인 입력 방식을 취해야 하고, 리스트에 일일이 선택하는 식의 다소 번거로운 입력 방식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부가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를 다양한 파일 형태로 저장, 업로드 및 공유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를 관련 데이터로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되어 표시 및 저장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로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이,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여 항목별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일일이 직접입력하지 않아도 되며, 이미지의 부가정보를 이루는 데이터들이 상세정보 제공주소/위치와 접속하기 위한 링크를 가지고 있음으로, 추후에도 상기 연결된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a-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상정보의 입력을 위해 항목별 분류정보에 따라 분류된 컨텍스트(context)의 관련 데이터들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각각 저장할 수 있는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는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하나의 이미지파일(JPG) 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파일 외에 다른 파일형태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와는 별도로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된 컨텍스트를 항목별 분류정보에 따라 분류하며, 웹 서버 또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 캘린더 및 스케줄에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매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는 장소(where), 시간(when), 대상(who) 및 목적(what)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를 관련 데이터로 표시 및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장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장소 컨텍스트 중 선택된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시간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캘린더 및 스케줄에서 현재날짜를 포함하는 캘린더 및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스케줄들을 검색하여 표시하고 상기 스케줄들 중 선택된 스케줄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대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대상 컨텍스트 중 선택된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주소록에서 검색하여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된 대상 컨텍스트 중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주소록에서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에 대한 공통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 중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가 검색되면,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를 상기 대상 항목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목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컨텍스트 중 선택된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표시하면서 문장을 작성하여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감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의 관련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문장을 작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장소, 시간, 대상 및 목적)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로 각각 표시 및 저장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 제공주소(URL)/위치에 접속 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부가정보를 웹 서버에 업로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상기 메모리(130)에 각각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이때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는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에 상기 부가정보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하나의 이미지파일(JPG) 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파일 외에 다른 파일형태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와는 별도로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하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컨텍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항목별 구분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 입력란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이미지와 함께 링크가 연결이 표시된 데이터로 이루어진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GPS수신부(170)는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동작을 도 2a -도 2c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도 2a-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context)를 추출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컨텍스트는 상기 이미지의 구성정보로써, 상기 이미지의 픽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구성이미지 예를 들어, 교회이미지, 다리이미지 및 사람이미지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구성이미지가 예를 들어 교회 , 다리 및 사람등 임을 나타내는 구성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204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웹 서버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주소록, 캘린더 및 스케줄등에서 상기 컨텍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매핑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GPS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 및 해당 컨텍스트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컨텍스트를 추출하여 관련 데이터와 매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를 항목별 분류정보(장소, 시간, 대상 및 목적)로 분류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의 선택에 따라 상기 204단계 - 상기 206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을 표시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는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인 장소(where)항목, 시간(when)항목, 대상(who)항목 및 목적(what)항목이 분류되어 표시된다.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장소(where)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장소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표시되는 장소 컨텍스트 중 해당 장소 컨텍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해당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해당 DB에 저장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해당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련 데이터와 매핑되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해당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에 접속 할 수 있는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한다. 이때 상세정보 제공 주소는 URL주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시간(when)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캘린더 및 스케줄을 통해 매핑된 현재 날짜가 포함된 캘린더 및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스케줄 정보를 표시하는 21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표시되는 스케줄정보에서 해당 스케줄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스케줄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해당 스케줄 데이터를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해당 DB에 저장하는 215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해당 스케줄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에 접속 할 수 있는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한다. 이때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캘린더 및 스케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대상(who)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대상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21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표시되는 대상 컨텍스트 중 해당 대상 컨텍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주소록을 통해 매핑된 상기 해당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해당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해당 DB에 저장하는 219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217단계에서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주소록과 매핑된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에서 공통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 중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가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를 상기 대상 항목에서 제외한다.
또한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해당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에 접속 할 수 있는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한다. 여기서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주소록 또는 SNS 대표 사이트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목적(what)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된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22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표시되는 컨텍스트 중 해당 컨텍스트 예를 들어, 얼굴을 확대하여 미소가 선택되거나, 사람 또는 대상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웹 서버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매핑된 상기 해당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상기 목적(what)을 위한 하나의 문장을 작성하여 표시하는 223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223단계에서 감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상기 문장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2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해당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목적(what)을 위한 하나의 문장을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23단계에서 상기 목적(what)을 위한 하나의 문장이 작성되어 표시된 후, 사용자는 수동 입력을 통해 상기 문장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문장 데이터를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상기 메모리(130)의 해당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해당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에 접속 할 수 있는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한다. 여기서 상세정보 제공 주소/위치는 상기 웹 서버, 상기 휴대단말기(캘린더, 스케줄 및 주소록) 및 SNS 대표 사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208단계 - 상기 223 단계를 통해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에 표시 및 저장된 각각의 관련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22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가 문장구성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에 표시 및 저장된 각각의 관련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표시하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편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부가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22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JPG)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파일 외의 다른 파일형태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상기 부가정보를 XML형태 또는 HTML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업로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부가정보와 함께 웹 서버에 업 로드하는 22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2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JPG)로 업로드 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파일 외의 다른 파일형태로 업로드 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상기 부가정보를 XML형태 또는 HTML형태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 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부가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이미지만 공유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부가정보를 모두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버에 접속 한 후 상기 201단계 - 225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부가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도 3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 중 장소(where)항목에서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장소(where)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장소 컨텍스트(church, Bridge)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이미지에 표시 중인 상기 장소 컨텍스트(church, Bridge) 중 해당 장소 컨텍스트(church)가 드래그를 통해 선택되면, 상기 도 3의 (c)와 같이 상기 해당 장소 컨텍스트(church)의 관련 데이터(front of The Lincoln Family Church)를 표시 한다.
상기 도 3의 (c)에서는 관련 데이터(The Lincoln Family Church)가 링크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3의 (c)에 표시되는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필요한 단어등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도 4는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 중 시간(when)항목에서 시간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시간(when)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도 4의 (b)와 같이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캘린더 및 현재 날짜에 해당하는 스케줄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도 4의 (b)에 표시되는 스케줄 중 해당 스케줄 데이터(Lunch with annul meeting)가 선택되면, 상기 도 4의 (c)와 같이 상기 해당 스케줄 데이터(Lunch with annul meeting)를 표시 한다. 상기 도 4의 (c)에서는 관련 데이터(annul meeting)가 링크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4의 (c)에 표시되는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필요한 단어등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도 5는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 중 대상(who)항목에서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의 (a)와 같이,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대상(who)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대상 컨텍스트가 표시된다.
상기 도 5의 (b)와 같이 드래그를 통해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가 표시되면, 매핑된 주소록에서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가 가지는 공통된 데이터(Browser team)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5의 (b)에서는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 중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501)는 상기 대상 항목에서 제외한다. 또한 상기 도 5의 (b)에서는 공통된 데이터(Browser team)가 링크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5의 (b)에 표시되는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필요한 단어등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도 6은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 중 목적(what)항목에서 목적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의 (a)에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목적(what)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추출된 모든 컨텍스트를 표시한다.
도 6의 (b) 및 (c)과 같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모든 컨텍스트 중 해당 컨텍스트들(Jain, Bridge)이 선택되면, 상기 해당 컨텍스트들(Jain, Bridge)의 관련 데이터들(Big smile because of Jain's, Lincoln Bridge)을 표시하면서 하나의 문장을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문장이 작성되어 표시된 후 상기 문장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필요한 단어등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의 (c)는 문장 중 관련 데이터(Jain, Lincoln Bridge)가 링크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도 3 - 도 6을 통해 항목별 분류정보에 따라 입력된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표시하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표시된 부가정도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으며, 상기 도 7에서는 관련 데이터가 링크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단말기,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170:GPS 수신부
160:표시부, 170:GPS 수신부
Claims (23)
-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를 관련 데이터로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되어 표시 및 저장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로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각각 저장하고, 상기 부가정보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는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하나의 이미지파일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파일 외에 다른 파일형태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와는 별도로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웹 서버 또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매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된 컨텍스트를 항목별 분류정보에 따라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와 함께 항목별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입력란을 표시하고,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컨텍스트의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장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장소 컨텍스트 중 선택된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고;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시간항목이 선택되면,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스케줄들 중 선택된 스케줄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대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대상 컨텍스트 중 선택된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목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컨텍스트 중 선택된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표시하면서 문장을 작성하여 표시 및 저장하며;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로 각각 표시 및 저장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는 장소(where), 시간(when), 대상(who) 및 목적(wha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 제공주소/위치에 접속 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부가정보를 웹 서버에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에 있어서,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하여 항목별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웹 서버 또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추출하여 매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이,
상기 이미지와 함께 항목별 분류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 입력란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 정보입력란에서 장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장소 컨텍스트 중 선택된 장소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시간항목이 선택되면,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스케줄들 중 선택된 스케줄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대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대상 컨텍스트 중 선택된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목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컨텍스트 중 선택된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문장을 작성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로 각각 표시 및 저장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별 분류정보는 장소(what), 시간(when), 대상(who) 및 목적(wha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시간항목이 선택되면, 휴대단말기의 캘린더 및 스케줄에서 현재날짜를 포함하는 캘린더 및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스케줄들을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부가정보 입력란에서 대상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에 대상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대상 컨텍스트 중 해당 대상 컨텍스트가 선택되면, 휴대단말기의 주소록에서 상기 선택된 대상 컨텍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대상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대상 컨텍스트 중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주소록에서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에 대한 공통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텍스트 중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가 검색되면, 상기 주소록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 컨텍스트를 상기 대상 항목에서 제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문장을 작성하는 과정은,
감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의 관련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문장을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각각 저장하고, 상기 부가정보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는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하나의 이미지파일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파일 외에 다른 파일형태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와는 별도로 XML형태 또는 HTML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상세정보 제공주소/위치에 접속 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텍스트의 관련 데이터에 링크를 설정 및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부가정보를 웹 서버에 업로드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관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0350A KR20120028491A (ko) | 2010-09-15 | 2010-09-15 |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US13/227,682 US20120062766A1 (en) | 2010-09-15 | 2011-09-08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data |
EP20110181218 EP2432209A1 (en) | 2010-09-15 | 2011-09-14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data and meta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0350A KR20120028491A (ko) | 2010-09-15 | 2010-09-15 |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8491A true KR20120028491A (ko) | 2012-03-23 |
Family
ID=4486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0350A Withdrawn KR20120028491A (ko) | 2010-09-15 | 2010-09-15 |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62766A1 (ko) |
EP (1) | EP2432209A1 (ko) |
KR (1) | KR20120028491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2520A1 (en) * | 2012-10-16 | 2014-04-24 | Realnetworks, Inc. | User-specified image grouping systems and methods |
WO2014065786A1 (en) * | 2012-10-23 | 2014-05-0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ugmented reality tag clipper |
KR101447992B1 (ko) * | 2013-02-05 | 2014-10-15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증강현실을 위한 3차원 표준 모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US9459759B2 (en) | 2012-12-20 | 2016-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e histor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US9465815B2 (en) | 2014-05-23 | 2016-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
WO2018156212A1 (en) * | 2017-02-24 | 2018-08-30 | Facebook, Inc. | Camera with reaction integration |
US10104208B2 (en) | 2015-12-29 | 2018-10-1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49424A1 (fr) * | 2001-12-03 | 2003-06-12 | Nikon Corporation | Appareil electronique, camera electronique, dispositif electronique, appareil d'affichage d'image et systeme de transmission d'image |
US8477994B1 (en) * | 2009-02-26 | 2013-07-02 | Google Inc. | Creating a narrative description of media content and applications thereof |
EP3292896B1 (en) | 2010-08-27 | 2019-05-15 | Mattel, Inc. | Wall mounted toy track set |
US9452366B2 (en) * | 2012-04-27 | 2016-09-27 | Mattel, Inc. | Toy track set |
US9457284B2 (en) | 2012-05-21 | 2016-10-04 | Mattel, Inc. | Spiral toy track set |
KR102100952B1 (ko) | 2012-07-25 | 2020-04-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20140068448A1 (en) * | 2012-08-28 | 2014-03-06 | Brandon David Plost | Production data management system utility |
EP2708269A1 (en) | 2012-09-12 | 2014-03-19 | Mattel, Inc. | Wall mounted toy track set |
EP2716339A1 (en) | 2012-10-04 | 2014-04-09 | Mattel, Inc. | Wall mounted toy track set |
US9317531B2 (en) * | 2012-10-18 | 2016-04-1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utocaptioning of images |
CN106133718B (zh) | 2014-03-24 | 2020-02-28 | 索诺瓦公司 | 包括音频设备和用于显示关于音频设备的信息的移动设备的系统 |
KR102411281B1 (ko) * | 2015-06-02 | 2022-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파일 생성 방법 |
CN105323252A (zh) * | 2015-11-16 | 2016-02-10 | 上海璟世数字科技有限公司 | 基于增强现实技术实现互动的方法、系统和终端 |
US10503738B2 (en) * | 2016-03-18 | 2019-12-10 | Adobe Inc. | Generating recommendations for media assets to be displayed with related text content |
US11070763B2 (en) * | 2018-06-27 | 2021-07-20 | Snap-On Incorporated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captured by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visible light camera and a thermal camera |
Family Cites Families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04920B1 (en) * | 1996-09-09 | 2002-06-11 | Hsu Shin-Yi | System for generalizing objects and features in an image |
KR100456438B1 (ko) * | 2000-08-16 | 2004-11-09 | 휴먼드림 주식회사 | 대화식 3차원 입체 표시 영상이 삽입 표시되는 전자카탈로그를 이용하여 홍보 상품에 대한 고객 선호도를조사하는 방법 및 조사분석시스템 |
JP2002202905A (ja) * | 2000-10-27 | 2002-07-19 | Canon Inc | データ蓄積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
US7194134B2 (en) * | 2001-01-02 | 2007-03-20 | Microsoft Corporation | Hierarchical, probabilistic, localized, semantic image classifier |
US20040174434A1 (en) * | 2002-12-18 | 2004-09-09 | Walker Jay S. | Systems and methods for suggesting meta-information to a camera user |
JP3984155B2 (ja) * | 2002-12-27 | 2007-10-0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被写体推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
US20040126038A1 (en) * | 2002-12-31 | 2004-07-01 | France Telecom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annotation and retrieval of remote digital content |
US7747625B2 (en) * | 2003-07-31 | 2010-06-2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Organizing a collection of objects |
FI116547B (fi) * | 2003-09-04 | 2005-12-15 | Nokia Corp | Menetelmä ja laitteisto matkaviestimeen tallennettavien kuvien nimeämiseksi |
EP1703415A4 (en) * | 2003-12-16 | 2010-03-10 | Sharp Kk | DEVICE FOR CREATING A PHRASE HAVING DECORATION INFORMATION |
US7707039B2 (en) * | 2004-02-15 | 2010-04-27 | Exbiblio B.V. | Automatic modification of web pages |
TWI369616B (en) * | 2004-02-27 | 2012-08-01 | Eplus Capit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user creation and direction of a rich-content life-cycle |
US7840033B2 (en) * | 2004-04-02 | 2010-11-23 | K-Nfb Reading Technology, Inc. | Text stitching from multiple images |
US7840586B2 (en) * | 2004-06-30 | 2010-11-23 | Nokia Corporation | Searching and naming items based on metadata |
US20060041632A1 (en) * | 2004-08-23 | 2006-02-23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to associate content types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US20060047704A1 (en) * | 2004-08-31 | 2006-03-02 | Kumar Chitra Gopalakrishna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relevant to visual imagery |
JP4646732B2 (ja) * | 2004-09-13 | 2011-03-0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US7751629B2 (en) * | 2004-11-05 | 2010-07-06 | Colorzip Medi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ixed code |
KR20060077988A (ko) * | 2004-12-30 | 2006-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컨텍스트 추출 및 이를 통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US7657126B2 (en) * | 2005-05-09 | 2010-02-02 | Like.Com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portions of objects in images and features thereof |
US8611676B2 (en) * | 2005-07-26 | 2013-12-17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eature extraction method, recording media, and program |
EP1755067A1 (en) * | 2005-08-15 | 2007-02-21 |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 Mutual-rank similarity-space for navigating, visualising and clustering in image databases |
KR100751396B1 (ko) * | 2005-11-03 | 2007-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문자 서비스 이모티콘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
US20070118509A1 (en) * | 2005-11-18 | 2007-05-24 | Flashpoint Technology, Inc. | Collaborative service for suggesting media keywords based on location data |
US7694226B2 (en) * | 2006-01-03 | 2010-04-06 | Eastman Kodak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work of communication with supplemental context |
JP5649303B2 (ja) * | 2006-03-30 | 2015-01-07 |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SRI International | メディア・ストリームに注釈を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
US8096069B2 (en) * | 2006-09-06 | 2012-01-17 |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 Repeatably displaceable emanating element display |
JP4870546B2 (ja) * | 2006-12-27 | 2012-02-08 | 株式会社岩根研究所 | レイヤー生成・選択機能を備えたcvタグ映像表示装置 |
US20080183525A1 (en) * | 2007-01-31 | 2008-07-31 | Tsuji Satomi | Business microscope system |
US7903904B1 (en) * | 2007-02-16 | 2011-03-08 | Loeb Enterpris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data related to a set of similar images |
GB0704402D0 (en) * | 2007-03-07 | 2007-04-18 | Communigate Ltd | Multi-media messaging system for mobile telephones |
US8027541B2 (en) * | 2007-03-15 | 2011-09-27 | Microsoft Corporation | Image organization based on image content |
US20090003797A1 (en) * | 2007-06-29 | 2009-01-01 | Nokia Corporatio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nt Tagging |
KR101513888B1 (ko) * | 2007-12-13 | 2015-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이메일 합성 장치 및 방법 |
KR100912264B1 (ko) * | 2008-02-12 | 2009-08-17 | 광주과학기술원 | 사용자 반응형 증강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US8290204B2 (en) * | 2008-02-12 | 2012-10-16 | Certusview Technologies, Llc | Searchable electronic records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ing operations |
US8250454B2 (en) * | 2008-04-03 | 2012-08-21 | Microsoft Corporation | Client-side composing/weighting of ads |
US20090278937A1 (en) * | 2008-04-22 | 2009-11-12 | Universitat Stuttgart | Video data processing |
US20090280859A1 (en) * | 2008-05-12 | 2009-11-1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Automatic tagging of photos in mobile devices |
US8406531B2 (en) * | 2008-05-15 | 2013-03-26 | Yahoo! Inc. | Data access based on content of image recorded by a mobile device |
US8122069B2 (en) * | 2008-07-09 | 2012-02-2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thods for pairing text snippets to file activity |
KR101380777B1 (ko) * | 2008-08-22 | 2014-04-02 | 정태우 |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색인하는 방법 |
GB0818089D0 (en) * | 2008-10-03 | 2008-11-05 | Eastman Kodak Co | Interactive image selection method |
US20110199511A1 (en) * | 2008-10-20 | 2011-08-18 | Camelot Co., Ltd. | Image photographing system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
US20100231687A1 (en) * | 2009-03-16 | 2010-09-16 | Chase Real Estate Servic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combining and displaying 360-degree "panoramic" or "spherical" digital pictures, images and/or videos, along with traditional directional digital images and videos of a site, including a site audit, or a location, building complex, room, object or event |
US8768313B2 (en) * | 2009-08-17 | 2014-07-01 | Digimarc Corpor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or audio recognition processing |
EP2372577A1 (en) * | 2010-03-31 | 2011-10-05 |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 Context system |
US8600143B1 (en) * | 2010-05-20 | 2013-12-03 | Kla-Tencor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hierarchical tissu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
US20130346347A1 (en) * | 2012-06-22 | 2013-12-26 | Google Inc. | Method to Predict a Communicative Action that is Most Likely to be Executed Given a Context |
-
2010
- 2010-09-15 KR KR1020100090350A patent/KR2012002849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09-08 US US13/227,682 patent/US2012006276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9-14 EP EP20110181218 patent/EP2432209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2520A1 (en) * | 2012-10-16 | 2014-04-24 | Realnetworks, Inc. | User-specified image grouping systems and methods |
WO2014065786A1 (en) * | 2012-10-23 | 2014-05-0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ugmented reality tag clipper |
US9459759B2 (en) | 2012-12-20 | 2016-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e histor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KR101447992B1 (ko) * | 2013-02-05 | 2014-10-15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증강현실을 위한 3차원 표준 모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US9465815B2 (en) | 2014-05-23 | 2016-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
US10104208B2 (en) | 2015-12-29 | 2018-10-1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WO2018156212A1 (en) * | 2017-02-24 | 2018-08-30 | Facebook, Inc. | Camera with reaction integration |
US10567844B2 (en) | 2017-02-24 | 2020-02-18 | Facebook, Inc. | Camera with reaction integr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062766A1 (en) | 2012-03-15 |
EP2432209A1 (en) | 2012-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28491A (ko) |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 |
US11714523B2 (en) | Digital image tagg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 |
JP5385598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管理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2549390A1 (en) |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633824B1 (ko) | 배경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
CN103023965A (zh) | 基于事件的媒体分组、回放和共享 | |
JP6108755B2 (ja) | 撮影機器、撮影画像送信方法及び撮影画像送信プログラム | |
CN102945276A (zh) | 生成和更新基于事件的回放体验 | |
US9973649B2 (en) |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hotographing control program | |
KR101592981B1 (ko) | 음성기반 이미지 파일 태깅장치 및 그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이미지 파일 검색방법 | |
KR20130072642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190066537A (ko) | 음성인식 기반의 사진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CN103403765B (zh) | 内容加工装置及其集成电路、方法 | |
JP2007266902A (ja) | カメラ | |
JP2009081785A (ja) | 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130096796A (ko) | 전자책의 리소스 검색 장치 및 방법 | |
KR20120111855A (ko) | 사용자 정보에 따른 스토리 생성 장치 및 방법 | |
WO2019082606A1 (ja) | コンテンツ管理機器、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 |
KR20150022639A (ko) |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캡쳐 이미지 이용 방법 | |
KR20150096552A (ko) | 사진 앨범 또는 사진 액자를 이용한 온라인 사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20150064613A (ko) |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
JP2010257266A (ja) |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 |
CN116708927A (zh) | 一种视频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WO2013153669A1 (ja) | 文書作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KR20170045533A (ko) |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