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8088A -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088A
KR20120028088A KR1020100090075A KR20100090075A KR20120028088A KR 20120028088 A KR20120028088 A KR 20120028088A KR 1020100090075 A KR1020100090075 A KR 1020100090075A KR 20100090075 A KR20100090075 A KR 20100090075A KR 20120028088 A KR20120028088 A KR 20120028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umption pattern
user
car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도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088A/ko
Publication of KR2012002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사와 카드사 간의 고객과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 결제를 유도하여 타겟 마케팅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주변의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생활을 즐길 수 있고,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 및 광고사업을 실행하여 가맹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은 소비환경과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target-marketing ser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사와 카드사 간의 고객과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 결제를 유도하여 타겟 마케팅을 실행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중적인 보급에 따라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전화기 본래의 기능인 음성 통화 기능 외에 디지털 카메라 촬영이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단말장치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기능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Smart Phone)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휴대전화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의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장치로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탑재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Personal Computer)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가 탑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기존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달리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는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의 소비를 촉진 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광고 및 사은품 행사 등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다.
하지만, 카드사는 기존의 광고 및 사은품 행사로 인하여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많은 인력이 낭비된다. 그리고,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광고 및 사은품 행사는 일시적인 충동과 자극을 줄 뿐 사용자의 소비 경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른 이용정보와 연관된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방문, 결제 및 이동 단계별로 가맹점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카드정보제공장치와,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라 카드정보제공장치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소비패턴정보에 따른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는 카드정보제공장치 및 단말장치와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라 카드정보제공장치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이용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고객정보와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의 매칭을 통해 생성되는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카드정보제공장치로부터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소비패턴정보는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용정보를 확인하고, 이용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고,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측위장치로 단말장치의 위치정보에 대한 측위를 요청하고, 측위된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MMS), 단문 문자메시지(SMS), 이메일 및 안내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을 통해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수의 가맹점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과금장치를 통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방문되는 가맹점으로 과금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른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용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용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고객정보와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의 매칭을 통해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비패턴정보는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는 단계는 이용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이용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는 단계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위를 실행하는 단계 및 측위된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는 단계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는 단계는 다수의 가맹점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방문되는 가맹점으로 과금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주변의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생활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 및 광고사업을 실행하여 가맹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은 소비환경과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 부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고객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기기, 일반 유선단말장치, 고정형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단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마케팅 시스템(100))은 단말장치(10), 서비스제공장치(20), 카드정보제공장치(30), 과금장치(40), 위치측위장치(50), 가맹점 단말장치(60) 및 통신망(70)으로 구성된다.
통신망(70)은 마케팅 시스템(100)에서 단말장치(10), 서비스제공장치(20), 카드정보제공장치(30), 과금장치(40), 위치측위장치(50) 및 가맹점 단말장치(6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통신망(70)은 단말장치(10), 서비스제공장치(20) 및 카드정보제공장치(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70)은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7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중, 통신망(70)이 와이파이 망으로 구성되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즉, 현재 위치한 장소 근처에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일 때, 단말장치(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와이파이 망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가맹점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소비패턴정보에 따른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단말장치(10)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로써, 카드 사용에 따른 결제정보를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소비패턴정보에 연관된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한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라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이용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등과 같은 고객정보와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등과 같은 가맹점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이용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추출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고,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즉, 서비스제공장치(20)는 위치측위장치(50)로 단말장치(1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위치측위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패턴정보는 사용자의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등과 같은 전송 수단을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칭하여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집하고,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칭하여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소비패턴정보는 개개의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시간, 날짜 및 요일에 따른 시간기준으로 구분하고, 가맹점, 장소, 위치 및 지역에 따른 장소기준으로 구분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제시된 시간기준과 장소기준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고객의 소비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청구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과금 청구를 위하여 과금장치(40)를 통해 다수의 가맹점으로 가맹점정보 제공에 따른 비용을 요청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단말장치(10)로 전송된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이용된 가맹점에 대해서만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장치(20)는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결제에 따른 이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 결제를 실행하는 과정은 날짜별로 구분되어 일, 주, 월 또는 년 단위로 해당되는 가맹점에 청구할 수도 있다.
카드정보제공장치(30)는 단말장치(10)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20)와 공유한다. 여기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는 사용자의 카드 결제에 따른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에 해당하는 이용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카드정보제공장치(30)는 확인된 이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과금장치(40)는 서비스제공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해당되는 가맹점으로 청구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과금장치(40)는 서비스제공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로 전송된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이용된 가맹점에 대해서만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과금장치(40)는 가맹점에 대한 과금 결제를 일, 주, 월 또는 년 단위의 날짜별로 구분하여 청구할 수도 있다.
위치측위장치(50)는 서비스제공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기능을 한다. 즉, 위치측위장치(50)는 단말장치(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하기 위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측위장치(50)는 단말장치(10)의 위도 및 경도 등을 확인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장치(60)은 사용자가 카드 결제를 실행하는 장소이고, 각각의 가맹점정보는 카드정보제공장치(30)에 저장된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장치(60)은 사용자의 카드 결제에 따라 카드정보제공장치(30)와 통신하여 해당되는 전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주변의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생활을 즐길 수 있고,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 및 광고사업을 실행하여 가맹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은 소비환경과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20)는 제어부(21), 저장부(22) 및 통신부(23)로 구성된다. 특히, 저장부(22)는 소비패턴정보(22a)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서비스제공장치(2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는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라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이용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등과 같은 고객정보와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등과 같은 가맹점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이용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1)는 추출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고,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21)는 위치측위장치(50)로 단말장치(1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제어부(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패턴정보는 사용자의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1)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등과 같은 전송 수단을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1)는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칭하여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21)는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집하고,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칭하여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소비패턴정보는 개개의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시간, 날짜 및 요일에 따른 시간기준으로 구분하고, 가맹점, 장소, 위치 및 지역에 따른 장소기준으로 구분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을 청구한다. 이때, 제어부(21)는 과금 청구를 위하여 과금장치(40)를 통해 다수의 가맹점으로 가맹점정보 제공에 따른 비용을 요청한다. 이때, 제어부(21)는 단말장치(10)로 전송된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이용된 가맹점에 대해서만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저장부(22)는 고객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고객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으며, 가맹점정보는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저장부(22)는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칭하여 생성되는 소비패턴정보(22a)를 저장한다. 이때, 소비패턴정보(22a)는 사용자의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통신부(23)는 단말장치(10), 카드정보제공장치(30), 과금장치(40), 위치측위장치(50) 및 가맹점 단말장치(60)과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주변의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생활을 즐길 수 있고,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 및 광고사업을 실행하여 가맹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은 소비환경과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단말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단말통신부(16) 및 GPS부(17)로 구성된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장치(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소비패턴정보와 연관된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카드 사용에 따른 결제정보를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소비패턴정보에 연관된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장치(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는 단말장치(1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에 터치되는 신호를 입력 받거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장치(10)에서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장치(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다수의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14)는 단말장치(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장치(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및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장치(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6)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에 따른 알람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오디오처리부(16)는 가맹점정보의 수신에 따라 알람소리, 진동, 램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6)는 단말장치(10)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통신부(16)는 통신망(70)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20) 및 위치측위장치(5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통신부(17)는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가맹점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GPS부(17)는 단말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의 위도, 경도 등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여 단말제어부(11)로 전송한다. 이때, GPS 모듈부(17)는 단말장치(1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삼각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부(17)는 현재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여 단말장치(1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은 먼저, 가맹점 단말장치(60)은 S11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카드 결제를 실행한다. 카드 결제가 실행되면, 가맹점 단말장치(60)은 S13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결제시간, 결제금액, 카드종류 및 방문시간 등과 같은 전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카드정보제공장치(30)는 S15 단계에서 결제정보의 수신에 따라 이용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이용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등에 해당하는 고객정보와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는 S17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장치(20)로 추출된 이용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S19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카드 사용에 따른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S21 단계에서 확인된 이용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소비패턴정보는 사용자의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S23 단계에서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가맹점을 검색하기 위하여 위치측위장치(50)로 위치정보의 측위를 요청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S25 단계에서 측위 요청에 따라 위치측위장치(5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위치측위장치(50)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한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S27 단계에서 위치정보와 가맹점정보를 통합하여 카드 사용자의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고,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S29 단계에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등과 같은 전송 수단을 통해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가맹점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장치(10)는 S31 단계에서 수신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시되는 가맹점정보 중 특정 가맹점을 선택하여 카드를 이용하 결제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카드정보제공장치(30)를 통해 결제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결제가 실행된 가맹점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된 가맹점정보에 포함되는 가맹점인지 판단한다.
가맹점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인 경우, 서비스제공장치(20)는 S33 단계에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금 부가를 과금장치(40)로 요청한다. 이에 과금장치(40)는 S35 단계에서 해당되는 가맹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과금장치(40)는 S37 단계에서 해당되는 가맹점에 과금 부가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S41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와 고객의 이용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공유를 요청한다. 즉, 서비스제공장치(20)는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S43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에 대한 이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공장치(20)는 S45 단계에서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칭하여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제공장치(20)는 개개의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시간, 날짜 및 요일에 따른 시간기준으로 구분하고, 가맹점, 장소, 위치 및 지역에 따른 장소기준으로 구분하여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20)는 S47 단계에서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패턴정보는 사용자의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소비패턴정보는 특정 고객이 카드 결제를 실행한 경우, 수집되는 이용정보에 따라 고객의 예상 이동경로 내의 가맹점정보를 검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제시된 시간기준과 장소기준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고객의 소비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장치(60)은 사용자로의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카드 결제를 실행하고,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제공장치(20)는 S51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용정보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등에 해당하는 고객정보와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한다.
이용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제공장치(20)는 S53 단계에서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른 이용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S55 단계에서 이용정보를 통해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S57 단계에서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가맹점을 검색하기 위하여 위치측위장치(50)로 위치 측위를 요청한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S59 단계에서 위치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제공장치(20)는 S61 단계에서 카드 사용자의 예상 이동경로를 추출한다. 즉, 서비스제공장치(20)는 위치 측위의 요청에 따라 위치측위장치(5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서비스제공장치(20)는 S63 단계에서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 한편,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비스제공장치(20)는 현재 단말장치(10)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위치측위장치(50)로 다시 요청한다.
가맹점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제공장치(20)는 S65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등과 같은 전송 수단을 통해 단말장치(10)로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주변의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생활을 즐길 수 있고,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 및 광고사업을 실행하여 가맹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은 소비환경과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 부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 부가 과정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장치(60)은 사용자로의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카드 결제를 실행하고,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제공장치(20)는 S71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한다.
이용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제공장치(20)는 S73 단계에서 수신된 이용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이용정보를 통해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서비스제공장치(20)는 S75 단계에서 카드정보제공장치(30)를 통해 사용자의 결제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가맹점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된 가맹점정보에 포함되는 가맹점인지 판단한다. 이때, 가맹점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인 경우, 서비스제공장치(20)는 S77 단계에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과금 부가를 과금장치(40)로 요청한다. 이에 과금장치(40)는 확인된 가맹점에 과금 부가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가맹점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가맹점인 경우, 서비스제공장치(20)는 도 6에서 카드 이용 고객의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단말장치(10)로 전송된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이용된 가맹점에 대해서만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장치(20)는 카드정보제공장치(30)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결제에 따른 이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금 결제를 실행하는 과정은 날짜별로 구분되어 일, 주, 월 또는 년 단위로 해당되는 가맹점에 청구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카드 결제가 실행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가 확인되면, 카드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문자메시지는 오늘의 추천코스에 대한 내용 및 의견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20)는 메시지를 이용한 전송 수단뿐 만 아니라 이메일 및 안내전화 등과 같은 전송 수단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 내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단말장치(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하여 획득되는 위치정보 및 카드정보제공장치(30)를 통해 수집된 이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소비패턴에 따라 매칭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단말장치(10)에 제공한다. 이때, 단말장치(10)는 서비스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된 가맹점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단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지도데이터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각각의 위치정보 및 주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제공장치(20)는 다수의 가맹점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가맹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단말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제공장치(20)는 가맹점의 영업시간, 좌석 수, 주차가능 여부, 메인 메뉴 및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사와 카드사 간의 고객과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 결제를 유도하여 타겟 마케팅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주변의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생활을 즐길 수 있고, 마케팅 정보제공에 동의한 고객에게 마케팅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타겟 마케팅 및 광고사업을 실행하여 가맹점의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은 소비환경과 소비습관을 가질 수 있다.
10: 단말장치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단말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단말통신부 17: GPS부
20: 서비스제공장치 21: 제어부
22: 저장부 23: 통신부
30: 카드정보제공장치 40: 과금장치
50: 위치측위장치 60: 가맹점 단말장치
70: 통신망 100: 마케팅 시스템

Claims (19)

  1. 단말장치로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카드정보제공장치;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라 상기 카드정보제공장치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서비스제공장치; 및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소비패턴정보에 따른 상기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카드정보제공장치 및 단말장치와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라 상기 카드정보제공장치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의 매칭을 통해 생성되는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정보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통해 상기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패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용정보를 통해 상기 소비패턴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고, 상기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치측위장치로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에 대한 측위를 요청하고,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가맹점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금장치를 통해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방문되는 가맹점으로 과금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11. 사용자의 카드 사용에 따른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용정보에 따른 소비패턴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소비패턴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번호, 성별, 나이 및 거주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카드가 사용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고객정보와 가맹점정보의 매칭을 통해 각각의 고객에 대한 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패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패턴과 연관되는 이용 품목, 가맹점 업종, 가맹점 위치, 결제 시간, 이용금액 및 방문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용정보를 통해 상기 소비패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소비패턴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에 연관된 예상 이동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이동경로 내에 다수의 가맹점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위치정보에 대한 측위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된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주변의 가맹점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단문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안내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가맹점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에 나타내어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방문되는 가맹점으로 과금을 부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090075A 2010-09-14 2010-09-14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8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75A KR20120028088A (ko) 2010-09-14 2010-09-14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75A KR20120028088A (ko) 2010-09-14 2010-09-14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088A true KR20120028088A (ko) 2012-03-22

Family

ID=4613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075A KR20120028088A (ko) 2010-09-14 2010-09-14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08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603A1 (ko) * 2012-10-25 2014-05-01 Park Ki Up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68125B1 (ko) * 2012-08-31 2014-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CN104603812A (zh) * 2012-10-25 2015-05-06 朴琪业 通过智能手机和接入点之间的短距离通信提供根据地区的商业机构广告及用户支付服务的方法
KR20190018127A (ko) * 2017-07-31 2019-02-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을 평가하고 마케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0400A (ko) * 2019-07-17 2021-01-27 김동현 포인트 코드를 활용한 포인트 운용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40902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다날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을 통해 고객의 광고 시청을 유도하기 위한 광고 대행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44198A (ko) * 2020-05-21 2021-11-30 남영우 블록체인 기반 환급형 통합 포인트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25B1 (ko) * 2012-08-31 2014-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4065603A1 (ko) * 2012-10-25 2014-05-01 Park Ki Up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N104603812A (zh) * 2012-10-25 2015-05-06 朴琪业 通过智能手机和接入点之间的短距离通信提供根据地区的商业机构广告及用户支付服务的方法
KR20190018127A (ko) * 2017-07-31 2019-02-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가맹점을 평가하고 마케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0400A (ko) * 2019-07-17 2021-01-27 김동현 포인트 코드를 활용한 포인트 운용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40902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다날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을 통해 고객의 광고 시청을 유도하기 위한 광고 대행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44198A (ko) * 2020-05-21 2021-11-30 남영우 블록체인 기반 환급형 통합 포인트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045B1 (ko) 크리티컬 대중 광고판
US93743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ssages to particular mobile devices
US9088867B2 (en) Location based recommendation method for mobile station content
KR20120028088A (ko)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08677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端末、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課金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1971199A (zh) 用于移动广告的多个动作和图标
CN101861740A (zh) 使用与移动应用的集成的移动设备上的广告
KR20130024345A (ko)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1895B1 (ko) 타겟 클라이언트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JP200906570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端末、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510622A (zh) 广告管理方法
US9275405B1 (en) Content provider sponsored data services system and methods
US98945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an appropriate wireless connection service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KR101803395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8554613B2 (en) Providing coupons based on user selected preference options
US95909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mobile device with near real time visualization to action
KR20150010854A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광고 서버
KR20140020593A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20042302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1077197A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226014A (ja)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配信装置
Chen et al.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an empirical study of user preferences
JP2010004108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用プログラム
KR20040106681A (ko) 이동 통신기기의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KR20120042254A (ko) 카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