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7819A - 세탁기 및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819A
KR20120027819A KR1020100089610A KR20100089610A KR20120027819A KR 20120027819 A KR20120027819 A KR 20120027819A KR 1020100089610 A KR1020100089610 A KR 1020100089610A KR 20100089610 A KR20100089610 A KR 20100089610A KR 20120027819 A KR20120027819 A KR 20120027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filter
inner tank
pump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종
이규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819A/ko
Priority to PCT/KR2011/006687 priority patent/WO2012036421A1/en
Priority to CN2011800440379A priority patent/CN103119212A/zh
Priority to US13/229,442 priority patent/US20120060300A1/en
Publication of KR2012002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1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방법은, 세탁수를 순환시킬 시에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에 의해 세탁수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채집되고, 세탁수를 배수할 시에는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세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따로 필터 청소를 청소할 필요가 없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방법{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조로부터 배수된 세탁수를 순환시킬 시에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에 의해 세탁수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채집되고, 상기 외조 내의 세탁수를 배수할 시에는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기 및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써,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를 진행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한다.
이러한 통상의 세탁기는, 세탁물로부터 떨어져 나온 실밥(lint)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린트필터(lint filter)를 구비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린트필터를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린트필터를 제때 청소하지 않고 오염된 채로 방치하는 경우 곰팡이가 발생하고, 악취가 나는 등의 위생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는 지속적으로 린트필터의 오염 여부를 관찰하고 청소를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청소할 필요가 없는 세탁기 및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두 번째 과제는,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수시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조; 상기 내조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외조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되도록,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배수된 세탁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펌핑시키는 제 1 펌프; 상기 외조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되, 상기 필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유로; 및, 상기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로 안내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펌핑하는 제 2 펌프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조; 상기 내조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외조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 상기 외조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되, 상기 필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접속되는 배수유로; 및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되도록,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배수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펌핑하거나, 상기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로 안내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은, 펄세이터가 양방으로 교대로 회전하며 세탁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외조 내의 세탁수가 배수되어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를 정방향으로 통과한 후 분사노즐에 의해 내조 내로 분사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필터에 채집된 실밥 등의 이물질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조로부터 배수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며 배수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방법은 배수 시 자동적으로 필터가 청소되어 사용자가 필터를 별도로 청소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방법은 필터가 수시로 청소되기 때문에 항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방법은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방법은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수시로 제거되기 때문에 필터에 다량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가 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필터가 청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가 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필터가 청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4)와, 외조(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조(5)와, 내조(5)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6)와, 내조(5) 및/또는 펄세이터(6)를 구동하는 구동부(10)와, 캐비닛(1)의 개구된 상부를 덮고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대략 중앙부에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탑커버(2)와, 탑커버(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3)와,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8)와, 급수유로(8)를 단속하는 급수밸브(9)와,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11)를 포함한다. 내조(5)에는 세탁수가 내조(5)와 외조(4) 사이를 유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공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가 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내조(5)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12)과, 외조(4)와 분사노즐(12)을 연결하는 순환유로(17)와, 순환유로(17) 상에 구비되어 세탁수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집을 채집하는 필터(16)와, 세탁수가 순환유로(17)를 따라 분사노즐(12)로 유동하여 내조(5) 내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제 1 펌프(14)와, 외조(4)와 순환유로(17)를 연결하되, 순환유로(17)와 연결된 일단이 분사노즐(12)과 제 1 펌프(14) 사이에 접속되는 배수유로(19)와, 필터(16)에 채집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세탁수를 배수하는 제 2 펌프(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펌프(14)는, 외조(4)로부터 배수된 세탁수가 순환유로(17)를 경유한 후 분사노즐(12)을 통해 내조(4)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인 바 순환펌프라고 하고, 제 2 펌프(18)는 외조(4) 내의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하는 것인 바 배수펌프라고 정의한다.
또한, 외조(4) 내의 세탁수가 순환유로(17)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밸브(21)와, 순환유로(17) 내의 세탁수가 순환펌프(18)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 밸브(23)와, 배수유로(19)를 통해 순환유로(17)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3 밸브(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유로(19) 내에 잔수가 남지 않도록 외조(4)와 배수유로(19)가 연결되는 부분에도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급수밸브(9)가 개방되고, 급수유로(8)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를 경유하여 내조(5)와 외조(4) 내로 급수됨으로써, 외조(4) 내에 일정수위까지 세탁수가 급수되고, 이후, 내조(5) 및/또는 펄세이터(6)가 회전하며 세탁을 수행한다. 이러한 세탁시, 외조(4) 내의 세탁수가 외조(4)로부터 배수된 후 분사노즐(12)을 통해 다시 내조(5)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제 1 밸브(21)가 개방되고, 순환펌프 (14)가 작동된다.
여기서, 세탁수의 순환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외조(4)로부터 순환유로(17)로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16), 순환펌프 (14) 및 분사노즐(12)을 차례로 경유하여 내조(5) 내로 분사되는데, 필터(16)를 통과할 시 세탁수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채집된다.
한편, 순환펌프(14)가 작동하는 중에 펄세이터(6)가 양방향으로 교대로 짧게 회전하는 교반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펄세이터(6)가 1 회전 주기 내에서 일방향으로 짧게 회전한 후, 다시 1 회전 주기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짧게 회전하도록, 구동부(10)가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은 내조(5) 또는 펄세이터(6)를 다양한 패턴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펄세이터(6)가 회전할 시, 펄세이터(6)와 마찰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실밥 등의 이물질이 상당량 떨어져 나와 부유하게 되고, 세탁수가 순환유로(17)를 통해 순환하는 중에 상기 이물질이 필터(16)에 의해 효과적으로 채집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필터가 청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필터(16)에 채집된 이물질이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외조(4) 내의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할 시, 외조(4)로부터 배수된 세탁수가 필터(16)를 역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여기서, 세탁수가 필터(16)를 통과하는 방향과 관련하여 정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6)에 의해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세탁수가 필터(16)를 통과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정의하고, 이와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6)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세탁수가 필터(16)를 통과하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정의한다.
세탁수가 역방향으로 필터(16)를 통과하며 배수될 시, 필터(16)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은 배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 3 밸브(22)가 개방되어 외조(4)로부터 배수된 세탁수가 배수유로(19)를 통해 순환유로(17)로 유입되고, 제 2 밸브(23)가 개방되어 순환유로(17)를 통해 배수펌프(18) 내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배수펌프(18)가 작동된다. 한편, 배수 시에는 제 3 밸브(22)뿐만 아니라 제 1 밸브(21)도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조(5) 내의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시킬 시에는 내조(5)가 일방향으로 연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외조(4)의 회전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포(m)가 외조(4)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외조(4)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력에 의해 포(m)의 탈수가 일정 수준 이루어지며 배수가 되기 때문에, 배수완료 후 외조(4) 내에 잔류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외조(4) 내의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시키는 중에, 세탁물(m)을 헹구기 위해 분사노즐(12)을 통해 내조(5)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분사노즐(12)과 급수유로(8)를 연결하도록 유로가 구성될 수 있다. 외조(4) 내의 세탁수가 세탁기 외부로 배수되는 중에 분사노즐(12)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되고, 이와 동시에 내조(3)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분사노즐(12)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가 세탁물을 고르게 적셔 헹굼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탈수된 세탁수는 계속적으로 내조(5)에 형성된 수공을 통해 외조(4)로 배출됨으로써, 헹굼에 소요된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재차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내조(5)는 세탁물(m)이 내조(5)의 측벽에 달라붙을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한 원심력이 발생할 수 있는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가 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필터가 청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단순화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필터(16)에 의해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세탁수가 필터(16)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는 점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와 동일하고, 필터(16)를 청소하기 위해 세탁수가 필터(16)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점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하나의 펌프(28)에 의해 세탁수의 순환과 배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는 하나의 펌프(28)에 의해 세탁수의 순환 및 배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펌프(28)는 순환/배수 펌프라고 정의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필터(16)에 의해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외조(4) 내의 세탁수를 순환유로(17)로 배수하고, 배수된 세탁수가 필터(16)를 정방향으로 통과하여 분사노즐(12)로 안내된다. 이때, 순환/배수 펌프(28)는 세탁수가 순환유로(17)를 경유한 후 분사노즐(12)을 통해 분사되도록 펌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4) 내의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시킬 시, 외조(5)로부터 배수된 세탁수가 필터(16)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순환/배수 펌프(28)가 작동한다. 순환/배수 펌프(28)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세탁수의 순환 및 배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가 필터(16)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을 정방향 회전이라고 정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가 필터(16)를 역방향으로 통과할 시에는 상기 임펠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하나의 순환/배수 펌프(28)를 통해 세탁수를 순환시키거나 배수시키며, 세탁수를 순환시킬 시에는 필터(16)에 의해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채집되고, 세탁수를 배수시킬 시에는 필터(16)에 채집된 이물질이 배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기는 펄세이터(6)가 양방향으로 교대로 짧게 회전하는 교반세탁이 수행되고(S11), 교반세탁(S11)시 세탁물로부터 떨어져 나와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필터(16)에 의해 채집되도록, 외조(4) 내의 세탁수를 순환유로(17)로 배수시키고, 순환유로(17)로 배수된 세탁수가 순환유로(17) 상에 구비된 필터(16)를 정방향으로 통과하여 분사노즐(12)를 통해 다시 내조(5)로 분사되도록 세탁수를 순환시킨다(S12).
교반세탁(S11) 중에 구동부(10)는, 펄세이터(6)가 1 회전 주기 내에서 일방향으로 짧게 회전한 후 다시 1 회전 주기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짧게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세탁수 순환(S12)시에는, 세탁수가 외조(4)로부터 순환유로(17)로 배수되고, 펌프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필터(16)를 정방향으로 통과한 후 분사노즐(12)에 의해 분사된다. 이때, 제 1 밸브(21)가 개방되고, 제 2 밸브(23) 및 제 3 밸브(22)는 차단된다.
배수(S13)는, 외조(4)로부터 배수유로(19)로 배수된 세탁수가 순환유로(17)로 안내되어 필터(16)를 역방향으로 통과한 후 세탁기 외부로 배수되는 것이다. 배수(S13)시 급수유로(8)로부터 분지된 별도의 유로(미도시)를 통해 공급된 세탁수가 분사노즐(12)에 의해 분사될 수 있으며, 이때 내조(5)는 세탁물이 내조(5)의 측벽에 달라붙어 내조(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충분한 원심력이 발생할 수 있는 속도로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배수(S13)시 제 2 밸브(23) 및 제 3 밸브(22)는 개방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조;
    상기 내조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외조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되도록,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배수된 세탁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펌핑시키는 제 1 펌프;
    상기 외조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되, 상기 필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유로; 및
    상기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로 안내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펌핑하는 제 2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펌프가 작동되는 중에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내조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펌프가 작동하며 상기 내조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는 중에,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내조 내로 세탁수가 분사되는 세탁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는,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에 달라붙어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속도로 회전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배수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1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제 1 펌프가 작동할 시 개방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로부터 상기 제 2 펌프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제 2 펌프가 작동할 시 개방되는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안내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3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밸브는,
    상기 제 2 펌프가 작동할 시 개방되는 세탁기.
  13.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조;
    상기 내조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
    상기 외조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
    상기 외조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되, 상기 필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접속되는 배수유로; 및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되도록,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배수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펌핑하거나, 상기 필터에 채집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로 안내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를 더 포함하고,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펌프가 작동할 시, 상기 펄세이터가 양방으로 교대로 회전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펌프가 작동할 시, 상기 내조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는 세탁기.
  16. 펄세이터가 양방으로 교대로 회전하며 세탁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외조 내의 세탁수가 배수되어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필터를 정방향으로 통과한 후 분사노즐에 의해 내조 내로 분사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필터에 채집된 실밥 등의 이물질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조로부터 배수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며 배수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내조가 일방향으로 연속하며 회전되는 세탁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속도로 상기 내조가 회전되는 세탁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되는 세탁방법.

KR1020100089610A 2010-09-13 2010-09-13 세탁기 및 세탁방법 Ceased KR20120027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10A KR20120027819A (ko) 2010-09-13 2010-09-13 세탁기 및 세탁방법
PCT/KR2011/006687 WO2012036421A1 (en) 2010-09-13 2011-09-08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CN2011800440379A CN103119212A (zh) 2010-09-13 2011-09-08 洗涤方法及洗衣机
US13/229,442 US20120060300A1 (en) 2010-09-13 2011-09-09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10A KR20120027819A (ko) 2010-09-13 2010-09-13 세탁기 및 세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19A true KR20120027819A (ko) 2012-03-22

Family

ID=4613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10A Ceased KR20120027819A (ko) 2010-09-13 2010-09-13 세탁기 및 세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8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74A1 (ko) * 2014-10-27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9107905A1 (ko) * 2017-11-29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74A1 (ko) * 2014-10-27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10196769B2 (en) 2014-10-27 2019-02-0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19107905A1 (ko) * 2017-11-29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11098434B2 (en) 2017-11-29 2021-08-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564B2 (ja) 洗濯機
KR1017161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40018920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102418257A (zh) 滚筒式洗涤干燥机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42968B1 (ko) 세탁기
CA1059334A (en) Lint filter for automatic washer
KR20100059370A (ko) 세탁기
KR20120027819A (ko) 세탁기 및 세탁방법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1000991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204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879490B2 (ja) 洗濯機
KR10101629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70026923A (ko) 드럼 세탁기
KR101293230B1 (ko) 드럼 세탁기
KR20070084929A (ko) 세탁기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JP7702594B2 (ja) 洗濯機
KR101114329B1 (ko) 세탁기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JP2024010750A (ja) 洗濯機
JP3063467B2 (ja) 洗濯機
KR100320462B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JP2024022837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07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