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4638A - 극세 동축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극세 동축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638A
KR20120024638A KR1020117027922A KR20117027922A KR20120024638A KR 20120024638 A KR20120024638 A KR 20120024638A KR 1020117027922 A KR1020117027922 A KR 1020117027922A KR 20117027922 A KR20117027922 A KR 20117027922A KR 20120024638 A KR20120024638 A KR 2012002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oaxial cable
mass
resin composition
center 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고지마
유우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2002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63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01B3/004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with conductive additives or conductiv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95Particular featur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hrom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중심 도체(導體)(3)와, 중심 도체(3)의 주위를 덮는 절연체(5)와, 절연체(5)의 주위를 덮는 실드(shield)로서의 외부 도체(8)와, 외부 도체(8)의 주위를 덮는 쟈켓(8, jacket)을 구비하고, 절연체(5)는, 절연성 수지, 카본 블랙 및 소성(燒成)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소성 안료로서,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하는 극세(極細) 동축(同軸) 케이블(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극세 동축 케이블의 말단을 가공할 때, 절연체나 중심 도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극세 동축 케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극세 동축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MICRO COAXIAL CABLE AND RESIN COMPOSITION FOR SHIELDING LASER LIGHT}
본 발명은 극세(極細) 동축(同軸)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로 대표되는 전자 기기의 소형?경량화, 다기능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의 내부 배선재에 대하여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직경이 가늘 것, 실드 특성이 우수할 것, 신호의 고속 전송이 가능할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 중에는, LCD 화면 측의 하우징과 메인 보드 측의 하우징이 경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이러한 휴대 전화기에 신호 전송을 행하는 내부 배선재는, 높은 반복 굴곡 특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부 배선재로서, 휴대 전화기에 신호 전송을 행하는 내부 배선재로서 극세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극세 동축 케이블은,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중심 도체(導體)와, 중심 도체의 주위를 덮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와, 절연체의 주위를 덮는 실드(shield)로서의 외부 도체와, 외부 도체의 주위를 덮는 쟈켓(jacket)을 구비한다.
극세 동축 케이블과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도체(3), 절연체(105), 외부 도체(8)를 소정의 길이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통상적인 케이블이라면, 회전 날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기계적 방법이나, 에칭재를 사용하여 노출시키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노출이 행해지지만, 극세 동축 케이블과 같이 선 직경이 가늘면, 종래의 방법으로는 중심 도체(3)를 노출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중심 도체(3), 절연체(105), 외부 도체(8)의 노출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쟈켓(9) 및 절연체(105)를 절단할 때는, 파장이 긴 CO2 레이저(λ = 10.6㎛)가 사용되고, 외부 도체(8) 및 중심 도체(3)를 절단할 때는, 파장이 짧은 YAG 레이저(λ = 1065nm) 혹은 SHG 레이저(λ = 530nm)가 사용된다.
그런데, 레이저광을 극세 동축 케이블(101)에 조사하여 외부 도체(8)를 절단하고자 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도체(8)의 소선(素線)의 간극으로부터 레이저광이 내부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절연체(105)가 투명한 경우에는, 레이저광은 절연체(105)를 투과하여 중심 도체(3)에 손상을 입히고, 절연체(105)가 레이저광을 흡수하기 쉬운 재질인 경우에는, 절연체(105)가 타서 손상된다. 또한, 레이저광을 극세 동축 케이블(101)에 조사할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도체(8) 중 수 개가 절단되어 절연체(105)의 일부가 노출될 수도 있다. 레이저광은 1회만 조사하지 않고 수회로 나누어 외부 도체(8)에 조사하므로, 절연체(105)의 일부가 손상을 입은 후에, 다시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중심 도체(3)까지 손상된다.
그러므로, YAG 레이저 등으로 극세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8)를 절단할 때, 절연체(105), 중심 도체(3)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 극세 동축 케이블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절연체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카본 블랙을 첨가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내전압성(耐電壓性)이 뒤떨어지는 등의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2512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극세 동축 케이블의 말단을 가공할 때, 절연체나 중심 도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극세 동축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중심 도체와, 중심 도체의 주위를 덮는 절연체와, 절연체의 주위를 덮는 실드로서의 외부 도체와, 외부 도체의 주위를 덮는 쟈켓을 구비하고, 절연체는, 절연성 수지, 카본 블랙 및 소성(燒成)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소성 안료로서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절연성 수지, 카본 블랙 및 소성 안료를 포함하고, 소성 안료로서,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하는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극세 동축 케이블의 말단을 가공할 때, 절연체나 중심 도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극세 동축 케이블이 제공된다.
도 1은, 극세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극세 동축 케이블로부터 중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중심 도체가 레이저 가공 시에 손상을 입는 원인을 설명하는 개념도 1을 나타낸다.
도 4는, 중심 도체가 레이저 가공 시에 손상을 입는 원인을 설명하는 개념도 2를 나타낸다.
도 5는, 극세 동축 케이블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 1을 나타낸다.
도 6은, 극세 동축 케이블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 2를 나타낸다.
도 7은, 극세 동축 케이블의 제조 공정의 개략도 3을 나타낸다.
이하에,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설명을 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 중 동일한 기능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극세 동축 케이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극세 동축 케이블(1)은,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중심 도체(3)와, 중심 도체(3)의 주위를 덮는 절연체(5)와, 절연체(5)의 주위를 덮는 실드로서의 외부 도체(8)와, 외부 도체(8)의 주위를 덮는 쟈켓(9)을 구비하고, 절연체(5)는, 절연성 수지, 카본 블랙 및 소성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소성 안료로서,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한다.
중심 도체(3)는, AWG(American Wire Gauge) 46?40에 상당한 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수지로서는, 레이저광을 투과하지 않고, 절연 특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불소 수지,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PFA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절연성 수지에 대한 카본 블랙 및 소성 안료의 첨가량은, 절연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을 0.8?1.2 질량부, 소성 안료를 4?12 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극세 동축 케이블(1)의 말단을 가공할 때, 절연체(5)나 중심 도체(3)를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중심 도체(3)와 외부 도체(8)와의 사이의 절연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절연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을 0.8?1.2 질량부, 소성 안료를 4?6 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안료로서는,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소성 안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TiO2를 70?80 질량%, Sb2O5를 10?20 질량%, Cr2O3를 4?10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5)의 막 두께는, AWG 46?40의 도체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막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5)의 외주에 외부 도체(8)가 비스듬히 권취(laterally wound manner)되어 꼬여져(twisted)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쟈켓으로서는, 절연 특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불소 수지,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PFA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극세 동축 케이블의 제조 방법]
(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출 성형기(11)를 준비한다. 압출 성형기(11)는, 압출 성형기 본체(11a)와, 압출 성형기 본체(11a)의 상부에 설치된 호퍼(18)과, 압출 성형기 본체(11a)의 측부에 설치된 다이스(13, dice)를 가지고, 또한 압출 성형기 본체(11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중심 도체(3)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15a, 15b)를 가진다. 다이스(13)는, 다이스(13)의 내부를 중심 도체(3)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 그리고, 호퍼(18, hopper)로부터 투입한 수지 조성물(5)을 압출 성형기 본체(11a) 내에서 가열 혼련한다. 그 후, 다이스(13)로부터 수지 조성물(5)을 압출하면서, 다이스(13)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중심 도체(3)를 권취함으로써, 중심 도체(3)의 주위에 절연체(5)를 피복하여 케이블(1A)을 얻는다.
(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1A)의 절연체(5)의 외주에, 도체 권취 장치(15)에 의해, 외부 도체(8)를 나사형으로 권취한다. 그리고, 실드된 케이블(1B)을 권취기(16a)로 권취한다.
(라) 상기 (가)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7의 장치를 사용하여, 케이블(1B)의 외주에 쟈켓을 압출 피복한다. 이상에 따라, 도 1의 극세 동축 케이블(1)이 제조된다.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따라 기재했지만, 이 개시된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밝혀질 것이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의 절연체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을,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로서, 다음과 같은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 극세 동축 케이블보다 굵은 케이블의 절연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중심 도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레이저를 사용하여 외부 도체를 절단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은 중심 도체, 외부 도체의 2층의 도체로 구성되고 동심 구조를 하고 있지만, 동축 케이블 이외에도 금속의 평판이 2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예를 들면, FPC: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에 있어서, 제1층의 금속을 레이저에 의해 절단할 때, 바탕층에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을 깔아 둠으로써, 하층의 금속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된다.
(3) 금속이 레이저광의 파장과 유사한 광에 노출되는 환경에 놓여져 있는 경우, 그 표면에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금속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실시예]
[수지 조성물의 조정]
기재(基材)로 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PFA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1 질량부, 소성 안료 10 질량부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1)을 조제했다. 또한, 조성비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여, 수지 조성물(1)과 동일하게 행하여 수지 조성물(2?4)을 조제했다.
[시험용 케이블의 조제]
AWG 46 상당의 중심 도체의 외주에, 실시예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차례로, 수지 조성물(1)로 이루어지는 절연체, 외부 도체, 쟈켓을 설치하여, 실시예 1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을 제작하였다. 또한, 절연체로서 수지 조성물(1) 대신 수지 조성물(2, 3, 4)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실시예 2, 비교예 1, 2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절연체의 조성비 및 평가 결과]
실시예 1, 2, 비교예 1, 2에 따른 극세 동축 케이블에 대하여, YAG 레이저 및 SHG 레이저를 각각 사용하여 쟈켓, 외부 도체를 절단했을 때의, 중심 도체 손상, 절연체 외관, 내전압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관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평가 기준]
중심 도체 손상: CO2 레이저에 의해 절연체를 제거하여 중심 도체를 노출시키고, 그리고, 40개의 중심 도체 중 몇 개가 손상을 입었는지를 계수하고, 다음 식에 따라 손상을 입은 개수를 퍼센트(%)로 표시했다.
중심 도체의 손상(%)=(손상을 입은 개수/40개)×100
절연체 외관: 30배 실체 현미경을 사용하여 도체 중심 및 절연체의 손상을 관찰했다. 그리고, 양호한 것(손상이 없는 것)을 "○", 불량인 것(손상이 있는 것)을 "×"로서 평가했다.
내전압: 중심 도체와 외부 도체와의 사이의 내전압(절연내압) 시험을 행하였다. 내전압 시험용으로, 중심 도체 40개 및 외부 도체를 각각 일괄적으로 납땜하고, 그리고, 100V로부터 시작하여 극세 동축 케이블이 불량이 될 때까지 전압을 올렸다. 최대 전압을 내전압으로 하였다.
종합 평가로서 극히 양호한 것을 "◎", 양호한 것을 "○", 불량한 것을 "×"로서 평가했다.
[고찰]
표 1로부터, PFA 수지에 소성 안료(황색)를 부가한 비교예 2는, 중심 도체에 손상이 생겼다. 특허 문헌 1의 발명에 상당하는 PFA 수지에 카본 블랙을 혼합한 비교예 1은 중심 도체?절연체에 손상은 없었지만, 내전압의 값이 약 500V로서, 내전압성이 약간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카본 블랙 외에 소성 안료(황색)를 부가한 실시예 1, 2는, 중심 도체나 절연체 외관에 손상도 없고, 내전압성도 양호하였다. 특히 PFA 수지:소성 안료(황색):카본 블랙 = 100:5:1의 비율(질량부)로 배합한 실시예 2는,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카본 블랙 외에 소성 안료(황색)를 혼합함으로써 레이저광에 내성(耐性)이 생긴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카본 블랙만을 배합한 경우, 절연체는 광의 일부만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투과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소성 안료(황색)를 혼합함으로써 레이저광을 절연체 내에서 반사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출원은,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즉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9-109747호(출원일 2009년 4월 28일)에 기초한 우선권 주장을 따른 것으로서, 이들 명세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로서 여기에 원용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극세 동축 케이블의 말단을 가공할 때, 절연체나 중심 도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극세 동축 케이블이 제공된다.

Claims (8)

  1. 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중심 도체(導體);
    상기 중심 도체의 주위를 덮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주위를 덮는 실드(shield)로서의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의 주위를 덮는 쟈켓(jacket)
    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는, 절연성 수지, 카본 블랙 및 소성(燒成)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소성 안료로서,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하는, 극세(極細) 동축(同軸)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절연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카본 블랙을 0.8?1.2 질량부, 상기 소성 안료를 4?6 질량부 포함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안료로서, 상기 소성 안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TiO2를 70?80 질량%, Sb2O5를 10?20 질량%, Cr2O3를 4?10 질량% 포함하는, 극세 동축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는 불소 수지인, 극세 동축 케이블.
  5. 절연성 수지, 카본 블랙 및 소성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소성 안료로서, 티탄(Ti), 안티몬(Sb), 크롬(Cr)을 포함하는,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카본 블랙을 0.8? 1.2 질량부, 상기 소성 안료를 4?6 질량부 포함하는,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안료로서, 상기 소성 안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TiO2를 70?80 질량%, Sb2O5를 10?20 질량%, Cr2O3를 4?10 질량% 포함하는,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는 불소 수지인,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KR1020117027922A 2009-04-28 2010-04-20 극세 동축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Ceased KR20120024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9747 2009-04-28
JP2009109747A JP4619444B2 (ja) 2009-04-28 2009-04-28 極細同軸ケーブル及びレーザ光シールド用樹脂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638A true KR20120024638A (ko) 2012-03-14

Family

ID=4303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922A Ceased KR20120024638A (ko) 2009-04-28 2010-04-20 극세 동축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30741B2 (ko)
EP (1) EP2426675A4 (ko)
JP (1) JP4619444B2 (ko)
KR (1) KR20120024638A (ko)
CN (1) CN102414762A (ko)
TW (1) TW201110151A (ko)
WO (1) WO20101259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739A (ko) 2014-09-11 2016-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케이블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0702B2 (en) * 2009-05-26 2014-10-07 Cardiac Pacemakers, Inc. Cable consolidation with a laser
EP2561591B1 (en) * 2010-04-23 2014-06-11 Prysmian S.p.A. Shielding of high voltage cables
JP5356454B2 (ja) * 2011-06-01 2013-12-04 日星電気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
JP5974992B2 (ja) * 2013-07-10 2016-08-23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周波信号伝送用同軸ケーブル
CN110536696B (zh) 2017-04-13 2023-11-24 载度思生命科学有限公司 基于新的肽的pcsk9疫苗
JP6756692B2 (ja) * 2017-11-07 2020-09-16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電線
CN109102960A (zh) * 2018-07-26 2018-12-28 浙江兆龙互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弯曲的极细同轴信号传输电缆及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106A (en) * 1980-09-05 1982-03-20 Nippon Electric Co Insulating paste composition
DE3604317A1 (de) * 1986-02-13 1987-08-20 Basf Lacke & Farben Temperaturstabile rutilmischphasenpigmente
US6906257B2 (en) * 2001-01-29 2005-06-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allic coated dielectric substrates
JP4141818B2 (ja) * 2002-12-06 2008-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極細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A2516292C (en) * 2003-02-18 2011-05-3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JP2005025122A (ja) 2003-07-03 2005-01-27 Sony Corp 出力データ制御装置、および出力データ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664171B1 (en) * 2003-09-05 2007-10-1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JP4352935B2 (ja) * 2004-03-03 2009-10-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形成方法
JP4702224B2 (ja) * 2006-01-31 2011-06-15 日立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加工方法
US7928168B2 (en) * 2007-03-23 2011-04-1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White light-shielding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JP5180521B2 (ja) * 2007-06-15 2013-04-10 日立電線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信号伝送用ケーブル及び多心ケーブル
US20090022462A1 (en) * 2007-07-20 2009-01-22 Polymer Products Company, Inc. Fire resistant jacket composition for electrical coaxial and fiber optic cable
JP5082771B2 (ja) 2007-10-30 2012-11-28 ヤマハ株式会社 演奏端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739A (ko) 2014-09-11 2016-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케이블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30741B2 (en) 2013-09-10
EP2426675A4 (en) 2013-06-26
JP4619444B2 (ja) 2011-01-26
US20120037394A1 (en) 2012-02-16
CN102414762A (zh) 2012-04-11
EP2426675A1 (en) 2012-03-07
JP2010257899A (ja) 2010-11-11
TW201110151A (en) 2011-03-16
WO2010125944A1 (ja)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4638A (ko) 극세 동축 케이블 및 레이저광 실드용 수지 조성물
JP5180521B2 (ja) 信号伝送用ケーブル及び多心ケーブル
US8039749B2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signal cable and composite cable containing the same
TWI578337B (zh) Multi - core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0035762A1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多心同軸ケーブル
TW201110157A (en) Shielded electrical cable
SE529318C2 (sv) Kabel för differentiell signalöverföring
EP0898286B1 (en) Insulated wire
KR101852205B1 (ko) 절연 전선, 동축 케이블 및 다심 케이블
JP5227969B2 (ja) スライド型電子機器のケーブル配線構造およ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CN101110283A (zh) 同轴电缆及多芯同轴电缆
JP2008010328A (ja) 絶縁電線、絶縁電線複合線及びシールド電線
JP2007280762A (ja) ノンハロゲン同軸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
JP4352935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形成方法
JP2008257969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2011228298A (ja) 多心ケーブル
JP2008263264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4686931B2 (ja) 超極細同軸ケーブル
US11664138B2 (en) Composite cable including collective braided shield
JP2008257970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4591094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多心同軸ケーブル
JP5244271B2 (ja) ケーブル
JP2025095443A (ja) 多芯ケーブル
KR200467508Y1 (ko) 다심 케이블
JP2008262724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3101007054

Request date: 201309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27

Effective date: 201505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0927

Decision date: 20150520

Appeal identifier: 2013101007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