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138A - Focusing apparatus, focusing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Focusing apparatus, focusing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1138A KR20120021138A KR1020100134869A KR20100134869A KR20120021138A KR 20120021138 A KR20120021138 A KR 20120021138A KR 1020100134869 A KR1020100134869 A KR 1020100134869A KR 20100134869 A KR20100134869 A KR 20100134869A KR 20120021138 A KR20120021138 A KR 201200211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cus
- evaluation value
- information
- lens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에 따라 합초시킨 초점 영역을 확대하지 않고 상기 초점 영역에 대한 초점 평가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초점 조절 장치, 초점 조절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초시킨 상기 초점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가 더욱 정확하고 미세하게 수동으로 초점 조절을 실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cus adjusting apparatus for informing a user of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for a focus region without enlarging a focus region converging according to auto focus adjustment, a focus adjust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perform the focus adjustment more precisely and finely with respect to the focused focus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점 조절 장치, 초점 조절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cus adjusting device, a focus adjust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자동 초점 조절 결과 초점이 맞은 초점 영역에 대하여 수동 초점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DMF(Direct Manual Focus)라 한다. 콘트라스트 AF 방식의 자동 초점 조절에 의해 초점이 맞은 초점 영역을 확대하여 사용자가 확대한 영상을 확인하면서 미세하게 초점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auto focus adjustment, manual focusing can be performed for the focused area of focus. This is called DMF (Direct (Manual Focus). The autofocus control of the contrast AF method can be used to magnify the focused focus area and to finely adjust the focus while checking the magnified image.
그러나, 영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초점을 조절하므로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행할 수 없다. 더욱이 눈으로 초점 확대 영상을 확인하면서 초점 조절을 실시하므로 확대 영상 이외의 나머지 영상 대비 초점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초점 조절을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focus is adjusted while checking the image directly with the eyes, the user cannot exactly perform it as desired. Furthermore, since the focus adjustment is performed while checking the focus magnification image with the eyes,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focus is in contrast with the remaining images other than the magnification imag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te focus adjustment cannot be performed.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에 따라 합초시킨 초점 영역에 대하여 더욱 정확하고 미세하게 수동으로 초점 조절을 실행할 수 있는 초점 조절 장치, 초점 조절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cusing apparatus, a focus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capable of performing the focusing adjustment more precisely and finely with respect to the focusing area combined according to the automatic focusing.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커스 렌즈 구동부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통해 입사한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2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는 초점 평가값 도출부와, 상기 제1 초점 평가값의 피크값을 도출하는 피크값 도출부와,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도출부와,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은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초점 영역의 영상 신호로부터 도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cus lens, a focus lens driver for moving the focus lens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 image pickup device for converting image light incident through the focus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generating an image signal, and the image signal The focus lens is automatically moved to derive a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nd the focus lens is manu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to obtain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 focus evaluation value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peak value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peak value of the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a focus lens position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position of the focus lens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wo focus evaluation values, and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Ratio, and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provides a focusing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derived from the image of the focus area have been derived by the peak value.
또한,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를 통해 입사한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초점 평가값의 피크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초점 영역의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포커스 렌즈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2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는 단계를 구비하는 초점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by converting image light incident through a focus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utomatically moving the focus lens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thereby providing a first focu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Deriving an evaluation value, deriving a peak value of the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deriving a position of the focus lens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 and image of a focus region from which the peak value is derived Manually moving the focus lens from a signal to derive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generat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focus focusing; It provides a focus adjust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forming the value information.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초점 조절에 따라 합초시킨 초점 영역을 확대하지 않고, 상기 초점 영역에 대한 초점 평가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미세하게 수동으로 초점 조절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는 초점 평가값들 간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내는 세밀부에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초점 평가값들 간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내는 조부에 대응하는 제2 정보로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초점 영역을 확대하지 않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미세하고 정확하게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focus adjustment more precisely and finely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for the focus area without enlarging the focus area combined according to the auto focus adjustment. In particular,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is represented as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il part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relatively large and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andfather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relatively small. Accordingly, the user may finely and precisely adjust the focus by confirm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ithout enlarging the focus area.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9는 도 5에서 도시하는 카메라 제어부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들이다.
도 10은 주피사체 영역으로 자동으로 검출하여 초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와 도 12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한 초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인식한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초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초점 상태에 관한 정보(Focus aid; FA)를 나타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n interchangeable lens digital camera as an embodiment of a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hown in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act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controller in detail in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
6 to 9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camera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5.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ocus area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main subject area.
11 and 12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focus area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FIG.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ocus area including a face area recognized according to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14 to 3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displaying a focus aid (FA) in a focu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1 to 40 are flowcharts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a focus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초점 조절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초점 조절 장치를 탑재한 캠코더, PDA, 휴대폰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camer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gital camera is illustrated as a focus adjusting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gital camera can be applied to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a camcorder, a PDA, a mobile phone, and the like equipped with the focu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n interchangeable lens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interchangeable lens digital camera illustrated in FIG. 1.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 전면에 교환렌즈(100)와 바디(200)가 분리되어 도시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교환렌즈(100)는 렌즈(Lens)와, 상기 렌즈(Lens) 주위에, 렌즈(Lens)의 초점 거리를 변환하는 줌링(Zoom ring), 수동 초점 조절을 위한 포커스 링(Focus Ring)을 구비한다. 그리고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 AF)와 수동 초점 조절(Manual focusing; MF)의 모드 변환 스위치(AF/MF Switch)를 구비한다. The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는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등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다이얼(MODE DIAL)을 구비한다. 또한, 반 누름 및 완전 누름에 따라 다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셔터 릴리스 버튼(SR)을 구비한다. 상기 반누름에 대응하여 자동 초점 조절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완전 누름에 대응하여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200)는 메인스위치(SM)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동영상 촬영을 개시하는 버튼(SMV)을 구비한다. 또한, 촬영 영상 또는 초점 조절시 초점 평가값 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하는 뷰파인더(EVF, 2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촬영한 영상을 비록 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06)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을 선택하는 메뉴 버튼(SN)을 구비한다. 상기 메뉴 버튼(SN)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초점 평가값 에 관한 정보의 표시 유무 변환, 초점 조절시 촬영 영상 확대 유무, 초점 조절을 위한 모드 선택, 예를 들어 멀티 알고리즘에 의한 초점 조절 모드, 선택 알고리즘에 의한 초점 조절 모드 등의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a button SMV for starting video shooting is provided. In addition, a viewfinder (EVF, 202)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ocus evaluation value when the captured image or focus is adjusted. And a
도 1과 2를 참조하여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는 메인 스위치(SM)를 ON에 맞추어 켜면, 동작을 시작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인 스위치(SM)의 회전 위치를 맞추어 카메라를 동작시킴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메인 스위치를 누르거나 또는 터치 등의 다양한 사용자의 조작 방법으로 카메라의 전원을 켤 수 있다. 1 and 2, the operation of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will be described.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tarts operation when the main switch SM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amera is operat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ain switch S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mera may be turned on by various user manipulation methods such as pressing or touching the main switch. .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는 라이브 뷰(Live View)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뷰파인더(202) 또는 표시부(206)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초점 상태에 관한 정보(Focus aid; FA)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초점 상태에 관한 정보(FA)를 뷰파인더(202) 또는/및 표시부(206)를 통하여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초점 조절을 제어하는 수동 초점 조절(MF) 시에 상기 초점 상태에 관한 정보(F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displays a Live View image.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그리고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라이브 뷰(Live View)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셔터 릴리즈 버튼(SR)을 반누름하여 S1 상태가 켜지면(on) 자동 초점 조절(AF)을 실행한다. 수동 초점 조절(MF)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포커스 링(focus ring)을 조절하여 수동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aking a still image, while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when the S1 state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SR halfway, auto focusing (AF) is executed. For manual focusing MF, a user may perform manual focusing by adjusting a focus ring. .
한편, 사용자가 줌 링(Zoom ring)을 조작하면, 줌 렌즈 군이 움직인다. 또한, 포커스 링(Focus ring)을 조작하면, 포커스 렌즈 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에서 포커스 링(focus ring)의 위치가 검출되어 렌즈 제어 회로는 감지한 신호에 따라 포커스 렌즈 군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초점 조절(AF)의 경우, 포커스 링(focus ring)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zoom ring, the zoom lens group moves. In addition, when the focus ring is manipulated, the position of the focus ring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group, and the lens control circui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group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Can be controlled to change. In the case of auto focusing AF, the focus ring may not move by a user's manipulation.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SR)을 완전 누름하면, S2 상태가 켜지고(ON),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노광을 실행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SR completely, the S2 state is turned on, and exposure for still image shooting is executed.
S2 상태가 켜짐에 따라 노광을 실해 하여 얻은 정지 영상은 메모리 카드 등에 기록하여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 영상은 뷰파인더(202) 또는/및 표시부(206)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 As the S2 state turns on, a still image obtained by performing exposure can be recorded and stored in a memory car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till image may be played back in the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교환식 렌즈(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식 렌즈(100)는 초점 검출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교환식 렌즈(100)의 포커스 렌즈(102)를 구동하는 기능을 구비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교환식 렌즈(100)는 줌 조절을 위한 줌 렌즈(102)와, 초점 위치를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104)를 구비하는 결상 광학계(101),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 포커스 렌즈 구동부(105),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 조리개(107), 조리개 구동부(108), 렌즈 제어부(110), 렌즈 마운트(109)를 포함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줌 렌즈(102), 포커스 렌즈(104)는 복수의 렌즈를 조합한 렌즈군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 및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는 각각 줌 렌즈(102)와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감지한다.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감지하는 타이밍은 렌즈 제어부(110) 또는 후술하는 카메라 제어부(209)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감지하는 타이밍은 영상 신호로부터 초점 검출을 수행하는 타이밍일 수 있다.The zoom
상기 포커스 렌즈 구동부(105) 및 조리개 구동부(108)는 렌즈 제어부(110)에 의해서 제어되어 각각 포커스 렌즈(104) 및 조리개(107)를 구동할 수 있다. 특히, 포커스 렌즈 구동부(105)는 포커스 렌즈(104)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한다.The
상기 렌즈 제어부(110)는 시각 측정을 위한 제1 타이머(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 제어부(110)는 감지한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를 본체부(200)로 송신한다.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 또는 카메라 제어부(209)로부터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렌즈 제어부(110)는 검출한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를 본체부(200)에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타이머(111)는 본체부(200)로부터의 리셋 신호에 의해서 리셋 될 수 있고, 상기 리셋 동작에 의해서 렌즈(100)와 본체부(200)의 시각이 동기화될 수 있다.The
상기 렌즈 마운트(109)는 렌즈 측 통신 핀을 구비하고, 후술하는 카메라 측 통신 핀과 서로 맞물려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의 송신 경로로 사용할 수 있다.The
이어서, 본체부(200)의 구성을 살펴본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본체부(200)는 뷰파인더(EVF; 202), 셔터(203), 촬상 소자(204), 촬상 소자 제어부(205), 표시부(206), 조작부(207), 카메라 제어부(209), 및 카메라 마운트(208)를 포함할 수 있다.The
뷰파인더(202)는 전자식 뷰파인더로서 액정 표시부(LCD)가 내장되어 있으며, 촬상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셔터(203)는 촬상 소자(204)에 빛이 인가되는 시간, 즉 노출 시간을 결정한다.The
촬상 소자(204)는 교환 렌즈(100)의 결상 광학계(101)를 통과한 영상 광을 촬상해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촬상 소자(204)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전전환부와, 상기 광전전환부로부터 전하를 이동시켜 영상 신호를 도출 하는 수평 전송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소자(204)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촬상 소자 제어부(205)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타이밍 신호에 동기 해 상기 촬상 소자(204)가 촬상하도록 제어한다. 또 촬상 소자 제어부(205)는, 각 주사선으로의 전하 축적이 끝나면 수평 방향 영상 신호를 차례차례 도출한다. 상기도출된 수평 방향 영상 신호는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초점 검출에 사용된다.The imaging
표시부(206)에는 각종 영상 및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부(206)로 OLED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LC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The
조작부(207)는 상기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1)의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조작부(207)로 셔터 릴리스 버튼, 메인 스위치, 모드 다이얼, 메뉴 버튼 등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버튼, 다이얼 등의 부재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의 내 외부에 장착된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카메라 제어부(209)는 촬상 소자(204)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해서 초점 검출을 수행해 초점 평가값을 산출한다. 또한, 촬상 소자 제어부(205)에서 생성한 타이밍 신호에 의한 매 초점 검출 시각으로의 초점 평가값을 저장하고, 교환렌즈(100)로부터 송신된 렌즈 위치 정보와 저장된 초점 평가값을 사용해 초점 위치를 계산한다. 상기 초점 위치의 계산 결과는 상기 교환렌즈(100)로 송신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209)는 시각 측정을 위한 제2 타이머(228)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타이머(111)와 동시에 리셋 되어 교환렌즈(100)와 본체부(200)가 동일한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카메라 마운트(208)는 카메라 측 통신 핀을 구비한다.
이하, 교환렌즈(100) 및 본체부(200)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schematic operations of the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조작부(207)에 포함된 메인 스위치를 조작해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을 개시한다.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1)는 일단 다음과 같이 라이브뷰 표시를 수행한다.When photographing a subject, the main switch included in the
결상 광학계(101)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 광이 촬상 소자(204)에 입사한다. 이때, 셔터(203)는 열린 상태이다. 촬상 소자(204)는 입사한 피사체 영상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204)는 촬상 소자 제어부(205)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의해서 동작한다. 생성된 상기 영상 신호는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어 뷰파인더(202) 및 표시부(206)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이 라이브뷰 표시이며, 라이브뷰 표시에 의해서 표시되는 라이브뷰 영상은 동영상으로서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Image light of the subject passing through the imaging
라이브뷰 표시가 수행된 후, 조작부(207) 중 하나인 셔터 릴리스 버튼을 반누름하면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1)는 AF 동작을 개시한다. 촬상 소자(204)에서 생성한 영상 신호를 사용해 AF 동작을 수행하는데, 콘트라스트 AF 방식으로는 콘트라스트 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 값으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한다. 초점 평가값은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산출된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상기 초점 평가 값으로부터 포커스 렌즈(104)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정보를 렌즈 마운트(109)와 카메라 마운트(208)에 구비된 통신 핀을 매개로 렌즈 제어부(110)로 송신한다.After the live view display is performe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which is one of the
렌즈 제어부(110)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포커스 렌즈 구동부(105)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 구동부(105)는 상기 포커스 렌즈(104)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켜 AF를 수행한다.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는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에 의해서 모니터링되어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The
줌 렌즈(102)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주밍 되었을 경우,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에서 줌 렌즈(102)의 위치가 검출되고, 검출한 줌 렌즈(102)의 위치는 렌즈 제어부(110)에서 포커스 렌즈(104)의 AF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밖의 다른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피사체 영상에 초점이 맞는 인포커스(infocus) 상태가 되면, 셔터 릴리스 버튼을 완전 눌러 S2 상태가 되어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1)는 노광을 수행한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209)는 일단 셔터를 완전하게 닫고, 렌즈 제어부(110)에 지금까지 취득한 측광 정보를 조리개 제어 정보로 송신한다. 렌즈 제어부(110)는 조리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조리개 구동부(108)를 제어하고, 조리개(107)의 값을 조절한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측광 정보를 기초로 셔터(203)를 제어하고, 적절한 노출 시간 정도 셔터(204)를 열어 촬영이 수행된 피사체 영상을 캡쳐한다.When the focus of the subject image is in focus,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fully pressed to the S2 state, and the interchangeable-lens
캡쳐한 영상은 영상 신호 처리 및 압축 처리가 수행되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 또한, 캡쳐한 상기 영상을 뷰파인더(202) 및 표시부(2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것 이외에, 촬영 후 곧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퀵 뷰 모드라고 하고, 큅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퀵 뷰 영상이라고 한다.The captured image is subjected to image signal processing and compression processing and stored in the memory card. In addition, the capture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의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렌즈가 착탈이 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한다. 본 실시 예는 도 3의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act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of Figure 3 illustrates a digital camera that the lens is not removable. This embodiment focuse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2)는 렌즈부(100')와 본체부(200')가 구성되어 렌즈부(100')의 교환이 불가능하다. 또한, 렌즈부(100')와 본체부(200')가 일체형이므로 렌즈 마운트(109) 및 카메라 마운트(208)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209')가 직접 렌즈 구동부(105'), 조리개 구동부(108) 등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 렌즈 구동부(105')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결상 광학계(101)를 구동할 수 있다. 결상 광학계(101)로 줌 렌즈(102), 포커스 렌즈(1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 구동부(108)도 상기 카메라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조리개(107)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209')는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로부터 위치 정보를 직접 수신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 제어부(209)는 도 3에서의 렌즈 제어부(110)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 타이머(228')를 사용해 초점 평가 값과 렌즈 위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mpact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교환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제어부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서 도시하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제어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하는 카메라 제어부는 렌즈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controller in detail in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control unit of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shown in FIG. 3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the camera control unit of the compact digital camera shown in FIG. 4. However, the camera controller shown in FIG. 4 further includes a lens controller.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제어부(209)는 사전 처리부(220), 신호 처리부(221), 압축 신장부(22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 CPU(224), 메모리 컨트롤러(225), 오디오 컨트롤러(226), 카드 컨트롤러(227), 제2 타이머(228), 메인 버스(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카메라 제어부(209)는 메인 버스(230)를 통해서 각종 지시 및 데이터를 각 구성 요소에 송신한다. The
상기 사전 처리부(220)는 촬상 소자(204)로 생성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위한 AWB(Auto White Balance) 평가값을 산출하는 AWB 평가값 도출부(220a), 노출 조절을 위한 AE(Auto Exposure) 평가값을 산출하는 AE 평가값 도출부(220b), 및 초점 조절을 위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하는 초점 평가값 도출부(220c)를 구비한다. The
신호 처리부(221)는 감마 보정 등, 일련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해 표시부에(202) 디스플레이 가능한 라이브뷰 영상이나 캡쳐-영상을 생성한다.The
압축 신장부(222)는 영상 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 신호의 압축과 신장을 수행한다. 압축의 경우, 예를 들면 JPEG 압축 형식 또는 H.264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에서 영상 신호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해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영상 파일은 메모리 카드(212)에 저장된다.The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는 뷰파인더(202) 또는 표시부(206) 등으로 영상 출력을 제어한다.The
CPU(224)는 각 부분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도 4에 따른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CPU(224)는 렌즈(1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The
메모리 컨트롤러(225)는 촬영된 캡쳐 영상이나 연상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210)를 제어하고, 오디오 컨트롤러(226)는 마이크나 스피커(211)를 제어한다. 또한, 카드 컨트롤러(227)는 캡쳐한 영상을 기록하는 메모리 카드(212)를 제어한다.The
제2 타이머(228)는 제1 타이머(111)와 동시에 리셋 되어 시각을 측정한다. The
이하, 카메라 제어부(209)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chematic operation of the
CPU(224)에 조작부(207)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CPU(224)는 촬상 소자 제어부(205)를 동작시킨다. 촬상 소자 제어부(205)는 타이밍 신호를 출력해 촬상 소자(204)를 동작시킨다. 촬상 소자(204)로부터 영상 신호가 사전 처리부(220)에 입력되면, AWB 및 AE 연산이 수행된다. 상기 AWB 및 AE 연산의 결과는 촬상 소자 제어부(205)로 피드백하여 상기 촬상 소자(204)로부터 적절한 색 출력 및 적절한 노출의 영상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한편,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이 개시되어 라이브뷰 표시가 수행되면, 카메라 제어부(209)는 적절한 노출에 촬영된 영상 신호를 사전 처리부(220)에 입력해 AE 평가값, AWB 평가값, 초점 평가값 등을 산출한다. 라이브뷰 표시를 위한 영상 신호는 메인 버스(23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신호 처리부(221)에 인가되어, 화소의 보간 처리 등의 영상 신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 신호는 메인 버스(23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를 경유해 뷰파인더(202), 표시부(206) 등에 표시된다. 라이브뷰 표시는 기본적으로 60fps(frame per second)의 주기로 갱신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20fps, 180fps, 240fps 등의 주기로 갱신할 수도 있다. 상기 갱신 속도는 측광 결과나 AF 조건 등을 기초로 CPU(224)에서 설정하고, 촬상 소자 제어부(205)에서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is started and the live view display is performed, the
셔터 릴리스 버튼을 반누름하면, CPU(224)는 반누름에 대응하는 S1 신호를 감지하고 카메라 마운트(208) 및 렌즈 마운트(109)에 구비된 통신 핀을 경유해 렌즈 제어부(110)에 AF 동작을 위한 포커스 렌즈(104)의 구동 개시를 지시한다. 또는 CPU(224)는 반누름 신호에 대응하는 S1 신호를 감지할 때, AF 동작을 위해서 포커스 렌즈(104)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CPU(224)는 주 제어부의 일례일 수 있다.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halfway, the
또한, CPU(224)는 촬상 소자(204)로부터 영상 신호를 획득하고, 사전 처리부(220)의 초점 평가값 도출부(220c)는 초점 평가값을 산출한다. 초점 평가값은 포커스 렌즈(104)의 이동에 따라서 산출된다. 초점 평가값의 변화로부터 피사체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는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104)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는 초점 평가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일련의 동작이 자동 초점 조절(AF) 동작으로, AF 동작 동안에도 라이브뷰 영상의 표시는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라이브뷰 영상에 사용되는 영상 신호와 초점 평가값의 산출에 사용되는 영상 신호는 동일한 영상 신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3과 같은 교환식 렌즈(100)를 사용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경우, AF 동작 동안 카메라 마운트(208)와 렌즈 마운트(109)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 핀을 사용하여 교환렌즈(100)와 본체부(200)의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핀은 평상시에 렌즈 정보나 제어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 시리얼 통신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시리얼 통신에서는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그러나 초점 평가값에 대한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를 시간 지연 없이 기록하지 않으면 정확한 AF 조절을 할 수 없다. 본체부(200)가 초점 평가값을 획득하는 타이밍을 교환렌즈(100)에 알린다든가, 렌즈(100)로부터 본체부(200)에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송신하는 시간을 줄이게 하기 위해서는 시간 지연을 포커스 렌즈(104)가 이동하는 속도에 비해 극단적으로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리얼 통신의 시간 지연을 극단적으로 짧게 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동기를 맞추기 위한 통신 핀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를 맞추는 것에만 사용되는 통신 핀을 구비하는 것은 통신 핀의 수를 증가시켜 카메라 마운트(208) 및 렌즈 마운트(109)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또 비용의 증가에서도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교환렌즈(100)와 본체부(200)에 동기를 맞추기 위한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특정 통신 핀에 대해서 처음에는 리얼타임 통신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리얼타임 통신에 의해서 렌즈(100) 내의 타이머 기능을 리셋 시킨 후에는 상기 통신 핀을 실시간 통신이 아닌 시리얼 통신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한편, 촬상 소자가 영상 신호를 획득한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의 궤적과 초점 평가값의 변화 추이를 통해 초점 평가값의 피크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ak position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 may be derived by the change of the trajectory and the focus evaluation value of the position of the
도 6 내지 10은 도 5에서 도시하는 카메라 제어부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들이다. 6 to 10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camera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5.
일 실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초점 평가값 도출부(220c)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초점 평가값을 도출한다. 우선, AF 모드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6, a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for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focus evaluation
그리고 CPU(224a)는 상기 제1 초점 평가값의 피크값을 도출하는 피크값 도출부(224a-1), 도출한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합초 위치로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도출부(224a-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CPU(224a)는 초점 평가값으로부터 생성한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224a-3)를 구비한다.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스 링을 조작하여 얻은 영상 신호로부터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초점 평가값 도출부(220c)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포커스 렌즈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2 초점 평가값도 도출한다.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은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초점 영역의 영상 신호로부터 도출한 것이다. 상기 그리고, 상기 정보 생성부(224a-3)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한다. The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림부로부터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초점 영역을 확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부로 오디오 콘트롤러(226)와 스피커/마이크(211)를 구비하여,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예시한다. 또는 상기 알림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와 표시부(202&206)를 구비하고,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초점 평가값 정보를 막대 영상, 블럭 영상, 화살표 영상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is informed to the user from the notification unit.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may be notified when the focus area is not enlarg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들 간에 차이를 크게 나타내는 제1 정보와 상기 차이를 작게 나타내는 제2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가수부일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지수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가수부의 선형 연산 수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지수부의 선형 연산 수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2진수의 유효 자리 수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2진수의 시프트 수치일 수 있다.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s and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a small difference. As an example,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a mantissa part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an exponent part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lternatively,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a linear operation value of the mantissa part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a linear operation value of the exponent part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s another example,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a significant digit of a binary number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a binary shift value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예를 들어,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은 0 초과 수백만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더라도 100 초과 수백만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초점 평가값을 지수 표현으로 하면 A*NB라고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가수부이고, N은 기수, B가 지수부이다. 예를 들면 100의 경우, N=10이면 1*102가 되어, A=1, B=2로 표현할 수 있다. 500만의 경우, N=10이면 5*106이 되어, A=5, B=6이 된다. 이는 10진수일 때를 예시한 것이며, 2 진수인 경우라면 N=2로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100의 경우, N=2이면 1.5625*26이 되어, A=1.5625, B=6이 된다. 500만의 경우, N=2이면, 1.192*222가 되어, A=1.1921, B=22가 된다. 여기서, FA 표시에서는, 지수부를 22, 가수부는 소수점 이하의 수치 19를 표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최대 표현을 지수부 25, 가수부 99를 설정해, 즉 최대 스케일의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확인가능하도록 지수부 및 가수부로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may have a value of more than 0 and millions or less, and may have a value of more than 100 and millions or less even without noise components. When the focus evaluation value is an exponential expression, it may be expressed as A * N B. Where A is a mantissa, N is a radix and B is an expon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100, N = 10 If 1 * is the 10 2, it can be expressed as A = 1, B = 2. In the case of 5 million, when N = 10, it becomes 5 * 10 <6> , and A = 5 and B = 6. This is an example of decimal number. If binary number, N = 2. For example, in the case of 100, when N = 2 is a 1.5625 * 26, and the A = 1.5625, B = 6. If only 500, when N = 2, is a 1.192 * 222, and the A = 1.1921, B = 22. Here, in the FA display, the exponent portion 22 and the mantissa portion can be the numerical value 19 of the decimal point or less. By setting the exponent part 25 and the mantissa part 99 as the maximum expression, i.e., determining the range of the maximum scale, it can be divided into the exponent part and the mantissa part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check.
제2 초점 평가값이 500만인 경우, N=10이면 5*106이 되어, A=5, B=6이 된다. 가수부 A는 초점 평가값들 간의 차이를 크게 나타낸 제1 정보, 즉 상세하게 나타내는 세밀부이고, 지수부 B는 초점 평가값 들 간의 차이를 작게 나타낸 제2 정보, 즉 압축 표시로서 조부라고도 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is 5 million, when N = 10, it is 5 * 10 6 , and A = 5 and B = 6. The mantissa part A is first information showing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that is, a fine detail showing in detail, and the exponent part B may be referred to as a grandfather as the second information representing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have.
또 다른 예로서 C=(B-2)*10으로 정의한다. 이것은 지수와 가수를 그대로 사용해, A와 B의 합계를 그래픽 표시하면, 작은 수치가 큰 수치 보다 큰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t is defined as C = (B-2) * 10. This can prevent the case where a small number is displayed in a graphic larger than a large value by using the exponent and mantissa as it is and displaying the sum of A and B graphically.
여기서 A의 범위는 1 내지 10, B의 범위는 0 내지 6이므로, C의 범위는 0 내지 40이다. 그리고 전체의 최대 스케일을 50으로 설정하면, 100 내지 1000만의 범위의 평가치가 A와 C의 값에 의해 표시 가능해진다. 이때, 최소치를 100으로 하고 있는 것은, 화상 노이즈의 영향을 고려해, 0 내지 100의 수치는 별로 신뢰성이 없기 때문이다. 초점 평가값의 크기가 클수록 이에 대응하여 큰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ince the range of A is 1 to 10 and the range of B is 0 to 6, the range of C is 0 to 40. When the maximum scale of the whole is set to 50, the evaluation values in the range of 1 million to 10 million can be displayed by the values of A and C. At this time, the minimum value is set to 100 because the numerical value of 0-100 is not very reliable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image noise. The larger the size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 is to inform the user as a correspondingly larger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 예로서, 2 진수로 표현하는 경우, 즉 N=2인 경우, 예를 들어 유효 자리수를 상위 6비트로 정의하면, CPU내에서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상위 6비트의 수치 부분을 도출할 때까지, 수치를 오른쪽으로 시프트 하게 된다. 상위 6비트와는 유효 수치가 십진수 표현으로 0에서 63인 것을 의미해, 오른쪽 시프트 회수는 2의 지수의 수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63의 유효 수치가 확정할 때까지, 15회 오른쪽으로 시프트 했다고 하면, 그 때의 상기 제2 초점 평가값 63X215라는 것이 된다. 이때, 63이 세밀부인 제1 정보, 15가 조부인 제2 정보라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현 방법도 가능하다.As another embodiment, in the case of binary representation, that is, when N = 2, for example, if the significant digits are defined as the upper six bits, the numerical value of the upper six bits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in the CPU. Until it does, it shifts the value to the right. The upper 6 bits mean that the significant digits are 0 to 63 in decimal representation, and the right shift count means the exponent of 2. For example, when until the effective value of the 63 confirmed, that the shift to the right 15 times, it is called that the first 2 63X2 15 focus evaluation value at the time. At this time, 63 is the first information of fine detail and 15 is grandfather. This representation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224a-3)는 상기 제2 초점 평가값들의 소정 시간전까지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피크 홀드값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피크 홀드값 정보를 더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들 중 피크값을 소정 시간 표시함으로써, 상기 피크값을 홀드할 수 있다. 상기 피크값을 상술한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로 생성하여 피크 홀드값 정보로서 알릴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제2 초점 평가값들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들의 변화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과 같은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change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For example, it can be not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카메라 제어부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CPU(224b)는 상기 초점 영역 설정부(224b-1), 피크값 도출부(224b-2), 포커스 렌즈 위치 도출부(224b-3), 정보 생성부(224b-4)를 구비한다. 상술한 도 6에서 초점 영역 설정부(224b-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초점 영역 설정부(224b-1)는 상기 제1 초점 평가값 도출을 위한 초점 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초점 영역 설정부(224-1)의 초점 영역 설정은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 인식부(222a)를 통하여 인식한 피사체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사체 인식부는 도 36에서 설명하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Face algorism)을 통하여 인식한 얼굴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블럭들에 대하여 초점 평가값들을 도출한 후, 피크값을 찾아내어,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블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주피사체 영역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피사체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5에서 도시하는 멀티 알고리즘(Multi algorism)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다분할 초점 검출 영역들로부터 자동 초점 조절을 실시하기 위해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초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amera control unit, referring to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CPU(224c)는 피크값 도출부(224c-2), 포커스 렌즈 위치 도출부(224c-3), 정보 생성부(224c-5)를 구비하며, 피사체가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근접 판단부(224c-4)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생성부(224c-5)에서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근접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로서 표시부(202&206) 또는/및 스피커/마이크(211)에서 상기 근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the
또한, 본 실시 예의 상기 CPU(224c)에서도 도 7에서 설명한 초점 영역 설정부(224c-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lso, th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CPU(224d)는 피크값 도출부(224d-2), 포커스 렌즈 위치 도출부(224d-3), 제2 초점 평가값에 대한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224d-5)를 구비하며,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확대하는지 판단하는 상기 영상 확대 판단부(224d-4)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알림부로서 표시부(202&206) 또는/및 스피커/마이크(211)는 확대하는 경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지 않을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the
또한, 본 실시 예의 상기 CPU(224c)에서도 도 7에서 설명한 초점 영역 설정부(224c-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lso, the
이하에서는 초점 영역 설정에 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ocus area sett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도 10은 주피사체 영역으로 자동으로 검출하여 초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5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상기 영역들 중 주피사체가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한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한다. 주피사체가 있는 영역을 결정함은 각 영역에 대한 초점 평가값들의 분포를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초점 평가값들의 피크값이 도출된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ocus area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main subject area. Referring to FIG. 10, a region in which the main subject is located is determined by dividing into 15 regions, and the determined region is set as a focus region. Determining the area of the main subject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s for each area. An area from which peak values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s are derived may be set as a focus area.
도 11와 도 12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한 초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1 and 12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focus area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촬상 화면 내의 특정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설정하고자 하는 초점 영역의 위치뿐만 아니라 사이즈도 변경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영역들을 선택가능함으로써, 복수의 초점 영역들을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t a specific area in the imaging screen as the focus area through the operation unit. In addition,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specific area, and thus the size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focus area to be set can be changed. Also, by selecting a plurality of regions, a plurality of focus regions can be set.
도 11은 인물 영역을 선택하여 초점 영역(A1)을 설정함을 예시한다. 도 12는 꽃 영역을 선택하여 초점 영역(A2)을 설정함을 예시한다.11 illustrates setting a focus area A1 by selecting a person area. 12 illustrates setting the focal region A2 by selecting the flower region.
도 13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인식한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초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사체 인식 알고리즘, 예를 들어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얼굴이 있는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한 영역을 파선의 테두리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검출한 얼굴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FIG.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ocus area including a face area recognized according to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example,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may detect a portion having a face and indicate the detected area as a dashed border. The detected face area can be set as a focus area.
본 실시 예에서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얼굴 인식뿐만 아니라 동식물, 물건, 장면 등의 다양한 피사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face recognition algorithm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cus area may be set using various subject recognition algorithms such as animals, plants, objects, and scenes as well as face recognition.
이렇게 설정된 초점 영역의 화상 정보에 따라, 초점 상태에 관한 정보(Focus aid; FA)를 도출하고, 사용자에게 FA를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FA를 확인함으로써 더욱 세밀하게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하게 촬영 화면을 변경하고 싶거나, 피사체가 이동했을 경우, 또는 촬영 의도로부터 포커스가 맞는 위치를 세밀하게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FA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서 작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ocus area thus set, information on a focus state (Focus aid) may be derived, and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FA. By checking the FA, the user can perform more precise focusing. For example, the FA may serve as useful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hooting screen finely, when the subject moves, or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focused position finely from the shooting intention.
또한, 자동 초점 조절(AF) 모드에서 상기와 같은 경우들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히 초점 조절 모드를 수행하고자, 모드 변경 없이 사용자의 포커스 링의 조작만으로 수동 초점 조절을 실행할 때에도 상기 FA로 인해 사용자가 더욱 효과적으로 초점 조절을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bove cases occur in the AF mode, in order to quickly perform the focusing mode, the FA is more effective when the user performs manual focusing only by operating the focus ring without changing the mode. Focus adjustment can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초점 평가값 정보(Focus aid; FA)를 알림에 관하여 도 14 내지 2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는 자동 초점 조절에 따라 합초된 초점 영역의 영상에 대하여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의 정보이다. 즉, 상기 합초된 초점 영역의 영상에 대하여 수동으로 조절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2 초점 평가값에 대한 정보이다. Hereinafter, the focus evaluation value F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28.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derived for an image of a focus area that is combined according to auto focus adjustment. That is, information on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which is manual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image of the focused focus region.
도 14를 참조하면, 초점 영역(A)에 대하여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의 세밀부에 대응하는 제1 정보와 조부에 대응하는 제2 정보를 각각 막대(bar) 형태의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옅은 색의 막대 영상(Lb1)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진한 색의 막대 영상(Mb1)으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살표(D1)는 막대 표시가 상하로 움직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막대 영상들(Lb1, Mb1)은 제2 초점 평가값의 크기에 따라 상하로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il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derived for the focus area A and the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andfather may be represented as a bar image. .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a light bar image Lb1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 dark bar image Mb1. Arrow D1 indicates that the bar display moves up and down. That is, the bar images Lb1 and Mb1 increase and decreas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로서 상기 막대 영상들(Lb1, Mb1)은 표시부의 표시 화면의 좌측에 세로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우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r images Lb1 and Mb1 are displayed vertically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as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또한, 세밀부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인 막대 영상(Lb1) 상단에 가는 선 영상(P)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선 영상(P)은 피크 홀드값 정보이다. 즉, 현재까지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들 중 가장 큰 값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상기 피크 홀드값 정보로서 선 영상(P)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와 함께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갱신될 수도 있다. 또는 일정 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초점 평가값의 크기 변화뿐만 아니라 피크 홀드값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초점 상태에 대하여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Further, a thin line image P is displayed on the upper end of the bar image Lb1 which is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tail part. The line image P is peak hold valu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value among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s thus far obtained. The line image P as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or may be updated. Or it may be displayed for a certain time or periodically.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focus state more easily by checking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도 15은 포커스 렌즈의 포커스 링을 조작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세밀부의 제1 정보와 조부부의 제2 정보로 구분하여 알리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notifying how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is changed by operating the focus ring of the focus lens by dividing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detail part and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grandfather part.
도 15를 참조하면, 세로축은 초점 평가값인 컨트라스트값을 나타내고, 각각의 막대(bar) 영상은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막대(Bar) 영상 표시 위에 상기 제1 정보 A를 표시하고, 막대(bar) 영상 아래에 상기 C=(B-2)*10의 식에서 상기 제2 정보 C를 표시한다. 또한, A는 초점 평가값의 가수부, B는 초점 평가값의 지수부이다. 도 15에서는 A가 Lb7로, C가 Mb7 일 수 있다. 그리고 포커스 링을 조작했을 때에 최대치인 A의 위치를 일정시간 표시한다. 소정 시간전까지의 상기 최대치를 피크값으로 보고,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값 정보를 생성하여 소정 시간 표시할 수 있다. 즉, 피크홀드(peakhold)의 표시 P를 더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contrast value, which is a focus evaluation value, and each bar image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The first information A is displayed on a bar image display, and the second information C is displayed in the equation C = (B-2) * 10 below the bar image. In addition, A is a mantissa part of a focus evaluation value, B is an exponent part of a focus evaluation value. In FIG. 15, A may be Lb7, and C may be Mb7. When the focus ring is operated, the position of the maximum value A i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aximum value up to a predetermined time may be viewed as a peak value, and peak hold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display P of the peak hold can be further displayed.
도 15의 그래프 중에서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막대 영상 표시만을 표시하면 도 16에 도시하는 막대 영상이다.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Lb 1, Mb 1)를 동일한 형태 및 색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게 하나의 정보로서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는 하나의 정보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If only the bar image display of the position of the current focus lens is displayed in the graph of FIG. 15, it is the bar image shown in FI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다른 예로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정보는 옅은 색의 막대 영상(Lb2) 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진한 색의 막대 영상(Mb2)으로 표시부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서는 상기 막대 영상의 표시가 좌우로 움직임임을 나타내는 화살표(D2)를 하단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또한 상기 제2 초점 평가값들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피크 홀드값 정보로서 선 영상(P)을 더 표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7,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 light bar image Lb2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 dark bar image Mb2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arrow D2 indicating that the display of the bar image is moved left and right may be displayed together at the bottom.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ine image P may be further displayed as peak hold value information indicating peak values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s.
도 18은 FA 표시를 블럭 영상으로 나타냄을 예시한다. 즉,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블럭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옅은 색의 블럭 영상(Lk1) 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짙은 색의 블럭 영상(Mk1)으로 나타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이 상하로 욺직임을 나타내는 화살표(D)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은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최대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8 exemplarily shows a FA display as a block image. That is,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 block image.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represented by a light block image Lk1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represented by a dark block image Mk1. In addition, the arrow D may indicate that the block is vertically up and down. 1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of the second maximum focus evaluation value.
도 18에 이어 도 19 내지 도 20는 사용자가 포커스 링을 조작함에 따라 도출한 다른 초점 평가값 정보들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18 to 2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other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derived as a user manipulates a focus ring.
구체적으로 도 19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포커스 링을 조작하여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블럭 영상들(Lk2, Mk2)로 나타낸다. 도 18은 도 18의 블럭 영상들(Lk1, Mk1) 보다 줄어든 블럭 영상들(Lk2, Mk2)을 도시한다. 이때, 도 18의 제2 초점 평가값이 도 19의 제2 초점 평가값 보다 크므로, 도 18의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값 정보를 피크 홀드(Peak Hold)로서 P로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2초 동안 피크 홀드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19,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derived by a user by operating a focus ring are represented as block images Lk2 and Mk2. FIG. 18 illustrates block images Lk2 and Mk2 that are smaller than the block images Lk1 and Mk1 of FIG. 18.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of FIG. 18 is larger than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of FIG. 19,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of FIG. 18 is also displayed as P as a peak hold. do. For example, you can peak hold for 2 seconds.
도 20를 참조하면, 도 19의 블럭 영상들(Lk2, Mk2) 보다 더 작은 블럭 영상들(Lk3, Mk3)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한 영상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은 도 19의 제2 초점 평가값 보다 작으므로, 초점이 맞지 않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block images Lk3 and Mk3 smaller than the block images Lk2 and Mk2 of FIG. 19 are illustrated. Therefore, since the focus evalu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hown in FIG. 20 is smaller than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of FIG. 19,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focus is not in focus.
도 18 내지 도 20에 따르며, 사용자가 미세하게 포커스 링을 조작하여 미세하게 차이가 나는 초점 평가값들을 표시함에 있어서, 세밀부인 제1 정보를 확연히 차이가 나도록 알림으로써 사용자는 초점 평가값들의 미세한 차이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S. 18 to 20,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ocus ring to display finely different focus evaluation values,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first information, which is a fine part,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Can be confirmed easily and accurately.
도 21은 제2 초점 평가값을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촬영 영상의 외곽에 세밀부의 제1 정보를 세로로 늘었다 줄었다 변하는 블록 영상(Lb3)으로 표시하고, 조부의 제2 정보를 막대 영상(Mb3)으로 표시함을 예시한다.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ing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Referring to FIG. 21,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detail part is vertically stretched and decremented on the outside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grandfather is displayed as a bar image Mb3.
도 22는 제2 초점 평가값을 표시하는 또 다른 예로서, 초점 영역(A) 근방에 화살표(Ab1, Ab2)로 표시함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사선 방향(D)으로 FA표시를 위한 막대 영상으로 표시한다. 세밀부를 나타내는 제1 정보는 화살표의 옅은 부분(Ab2)으로 표시하고, 조부를 나타내는 제2 정보는 화살표의 진한 부분(Ab1)으로 표시할 수 있다. 22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by arrows Ab1 and Ab2 in the vicinity of the focus area A. As illustrated in FIG. For example, a bar image for FA display is displayed in the diagonal direction (D). The first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etail may be represented by the light portion Ab2 of the arrow, and the second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grandfather may be represented by the dark portion Ab1 of the arrow.
도 23은 제2 초점 평가값을 표시하는 또 다른 예로서, 제1 정보의 최대값 및 제2 정보의 최대값을 막대 영상으로 표시하고, 현재의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여 세밀부를 나타내는 제1 정보와 조부를 나타내는 제2 정보의 경계 위치를 좌우로(D1) 조절하고, 상기 현재의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화살표(P)를 좌우로(D2)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IG. 23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displaying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wherein the maximum valu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second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a bar image, and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tail part in response to the current focus evaluation value; And adjust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grandfather to the left and right (D1), and adjust the arrow (P) to the left and right (D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도 24와 25는 중앙에 위치한 초점 영역(A)에 대한 제2 초점 평가값의 FA 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가수부를 나타내는 제1 정보로서 가는 선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지수부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굵은 선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피크 홀드값 정보는 o(P)로 나타낼 수 있다. 24 and 25 may be represented by a thin line image as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mantissa, as another example of FA display of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for a focus area A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an exponent portion. May be represented by a thick line image.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may be represented by o (P).
우선, 도 24을 참조하면, 제2 초점 평가값에 대한 초점 평가값 정보로서 상기 제1 정보와 제2 정보 각각을 가는 선 영상(Lb5)과 굵은 선 영상(Mb5)으로 나타냄을 예시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24,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information are represented as thin line images Lb5 and thick line images Mb5 as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for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s.
도 25를 참조하면, 포커스 링을 조작하여 도출한 제2 초점 평가값에 대한 제1 정보와 제2 정보 각각을 가는 선 영상(Lb6)과 굵은 선 영상(Mb6)으로 나타냄을 예시한다.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피크값을 피크 홀드(Peak hold)하고, 상기 제1 피크값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값 정보로서 o(p)를 함께 도시함을 예시한다. Referring to FIG. 25, each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on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derived by manipulating the focus ring is represented by a thin line image Lb6 and a thick line image Mb6. A peak hold of the peak value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is illustrated, and o (p) is also shown as peak hold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ak value.
도 26은 근접 정보를 더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초점 영역(A)에 포함된 피사체 거리를 확인하여 상기 피사체가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거리를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직접 판단할 수도 있으나, 상기 피사체 거리와 관계있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접 영역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범위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초점 평가값 도출을 위한 초점 영역으로서 근접한 꽃 피사체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proximity information is further displayed. Referring to FIG. 25, the object distance included in the focus area A may be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roximity area. Although the subject distance may be directly determined by using infrared rays or the lik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related to the subject distance is in the position range of the focus lens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reg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close-up flower subject image is included as a focus area for deriving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근접 정보로서 "NEAR"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정보는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옅은 색의 블럭 영상(Lk4) 및 상기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진한 색의 블럭 영상(Mk4)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피크 홀드값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P)도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예시한다. When located in the proximity region, a "NEAR" image may be displayed as proximity information. The proximit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light colored block image Lk4 represent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dark colored block image Mk4 representing the second informa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image P corresponding to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is also displayed.
도 27은 근접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촬영 영상 외곽에 점선의 ○(N2)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나타내는 블럭 영상들(Lk5, Mk5), 피크 홀드값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P)과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예시한다. FIG. 27 illustrates a dotted line ((N2) on the outside of the captured image as another embodiment of displaying proximity informa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block images Lk5 and Mk5 indicat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image P indicating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피사체가 근접 영역에 있는 경우, 정확한 피크값을 표시할 수가 없다. 포커스 렌즈의 종단에 있는 경우, 피크값을 도출하더라도 이는 정확한 피크값으로 결정할 수 없다. 더 정확한 피크값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를 피사체로 접근하면 실제의 피크값을 도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포커스 렌즈가 근접 영역에 대응하는 종단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근접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이 바람직하다. If the subject is in the proximity, the exact peak value cannot be displayed. When at the end of the focus lens, even if the peak value is derived, it cannot be determined as the correct peak valu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ore accurate peak values exist. In other words, if the digital camera approaches the subject, the actual peak value may be derived. Therefore, when the focus lens is located in the e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region, it is desirable to notify the user by displaying the proximity information.
본 실시 예에서는 근접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사체가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즉,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접 영역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피크 홀드값 정보의 알림을 제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roximity informat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information and / or the second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roximity area,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is in proximity. When located in a range of a focus lens corresponding to an area, notification of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may be removed.
도 28은 영상을 확대한 경우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알리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인물 피사체를 위주로 영상을 확대한 경우, 제2 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로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알림을 제거할 수 있다. 확대하는 경우 초점 영역의 영상을 직접 확인하여 초점 상태를 확인함에 전념하기 위해서 FA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FA 표시를 계속할 수도 있다. FIG.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 not informed when the image is enlarged. Referring to FIG. 28, when the image is enlarged around the human subject, the notifica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removed as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int evaluation value. In case of enlarging, the FA mark can be removed to focus on checking the focus state by directly checking the image of the focus area. On the other hand, FA display can be continued.
도 29는 영상의 중앙이 아닌 영역을 확대하는 경우, 확대 영역의 위치를 표시함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29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a location of an enlarged area when an area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image is enlarged.
도 30은 FA 표시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5의 그래프에서 피크 홀드값 정보 표시 대신에 현재 포커스 렌즈 위치를 더 표시한다. 포커스 링을 제1 방향으로 조작에 의하여 변화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제2 초점 평가값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포커스 링의 조작에 의한 검출 평가치를 차례차례 표시하고, 포커스 링을 제2 방향으로 조작하면 이미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였으므로, 현재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 R만을 더 표시할 수 있다.30 is another embodiment of an FA represent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rent focus lens position is further displayed instead of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display in the graph of FIG. 15.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for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that is changed by manipulating the focus r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sequentially displayed, the detection evaluation value by the operation of the focus ring is sequentially displayed, and the focus ring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ince the operation has already derived the focus evaluation value, only the position R of the current focus lens can be further displayed.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초점 평가값의 분포를 도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초점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by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the user can more easily check the focus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상기 실시 예들에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상기 영상의 종류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디자인, 색, 배치 등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는 수치를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초점 평가값 정보로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알리는 방법으로서 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s, a method of informing a user by display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s an image is illustrated. The type of the image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designs, colors, and arrangements. Alternatively, the numerical value can be displayed directly. In addition, as a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s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various forms such as audio as well as an image may be used.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초점 조절 방법의 실시 예들을 도 31 내지 도 3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focus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to 39.
우선, 도 31을 참조하면, 자동 초점 조절(AF)를 실행한다(S11). 따라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초점 영역에 대하여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고, 피크값을 도출하며,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찾는다. 상기 피크값 도출 및/또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함은 상기 초점 영역에 대하여 합초된 것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31, auto focusing AF is executed (S11). Therefore, while automatically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for the focus area, a peak value is derived, and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from which the peak value is derived is found. Deriving the peak value and / or deriv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is confocal with respect to the focus area.
상기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한 초점 영역을 수동 초점 조절을 위한 영역으로 결정한다(S12). A focus area from which the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is determined as an area for manual focus adjustment (S12).
합초 후, 상기 초점 영역에 대하여 수동 초점 조절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포커스 링을 조작하고(S13), 상기 초점 영역에 대하여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14). After focusing, manual focusing is performed on the focus area. The user may manipulate the focus ring (S13) and deriv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focus area. Then,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user (S14).
도 32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A1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operation A1 of the digital camera.
도 32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메인 스위치(SM)이 켜지면(ON) 디지털 카메라가 가동되고, 조작부인 키(key) 조작을 검출한다(S101). 키뿐만 아니라 모드 다이얼 등 다양한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when the main switch SM of the digital camera is turned ON, the digital camera is activated to detect key operation as an operation unit (S101). Not only keys but also various operation members such as a mode dial can be used to detect an input user's operation signal.
상기 키 조작에 대응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모드를 설정한다(S102). 예를 들어, 정지 영상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등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지 영상 촬영 모드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도 수행가능하다. In response to the key operation, the mode of the digital camera is set (S102). For example, a still image shooting mode, a video shooting mode, and the like can also be se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not only in the still image shooting mode but also in the moving picture shooting mode.
교환 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교환 렌즈로부터 디지털 카메라 동작에 필요한 렌즈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고, 포커스 링의 조작에 의한 수동 초점 조절의 구동 허가 명을 송신한다(S103). 예를 들어, 렌즈 제어 회로 내의 렌즈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렌즈 고유의 파라미터(parameter)인 AF, AE, AWB, 화질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교환 렌즈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는, AF/MF의 설정 상태를 렌즈로부터 입력하지만, 도 3과 같은 렌즈 일체형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키(KEY) 조작으로부터 AF/MF의 설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F/MF 설정 정보로부터 디지털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모드 또는 수동 초점 조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초점 조절은 셔터 릴리즈 버튼을 반누름하여 AF를 개시하지만, 수동 초점 조절은 포커스 링의 조작으로 초점 조절을 개시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the len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gital camera operation is received and input from the interchangeable lens, and the drive permission name for manual focus adjustment by the operation of the focus ring is transmitted (S103). For example, information necessary for AF, AE, AWB, and image quality control, which are lens-specific parameters recorded in the lens memory in the lens control circuit, are input. In the case of the interchangeable-lens digital camera, the setting state of the AF / MF is input from the lens, but in the case of the lens integrated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3,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AF / MF can be obtained from the key operation. From the AF / MF setting information, you can set the digital camera's auto focus mode or manual focus mode. While auto focusing starts AF b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halfway, manual focusing can initiate focusing by operating the focus ring.
이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수동 초점 조절에 대하여 포커스 렌즈가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 정보도 얻을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formation regarding manual focusing can be obtained as to whether the focus lens is located in the proximity region.
촬상 소자에서 주기적으로 촬상을 개시한다(S104). The imaging is started periodically by the imaging device (S104).
측광을 실시해 AE의 연산을 행하며, AWB의 연산을 실시한다(S105). 그리고 포커스 링을 조작하는지 판단한다. 즉, 수동 초점 조절을 위한 조작을 실시하는지 판단한다(S106). Photometry is performed to calculate AE, and AWB is calculated (S105). Then determine whether the focus ring is operated.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peration for manual focus adjustment is performed (S106).
조작되고 있으면 주기적으로 촬상한 영상 신호로부터 초점 평가값을 도출한다(S107). 여기서 초점 평가값은 이전에 자동 초점 조절에서 결정한 초점 영역에 대한 것이다. If it is operated, the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from the periodically picked-up image signal (S107). The focus evaluation value here is for the focus area previously determined by the auto focus adjustment.
조작되고 있지 않으면 S109 단계로 건너뛴다. If not, skip to step S109.
그리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A(Focus Aid) 표시를 실시한다(S108). 상기 FA에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뿐만 아니라, 피크 홀드값 정보, 근접 정보, 확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n, a FA (Focus #Aid) displa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s performed (S108). The FA may include not only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but also peak hold value information, proximity information, magn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그리고 라이브 뷰 영상을 표시한다(S109). 상기 라이브 뷰 영상과 상기 FA 표시는 실제적으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In operation S109, a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The live view image and the FA display may be actually displayed together.
메인 스위치(SM)가 꺼졌는지(off)를 판단한다(S110). 꺼지지 않았다면 상기 과정들을 반복하고, 꺼졌다면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을 정지한다(S111).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A1이 종료한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n switch SM is turned off (S110). If not turned off,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and if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is stopped (S111). Then, operation A1 of the digital camera ends.
도 33는 도 32에서 FA(Focus Aid) 표시 처리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3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A (Focus_Aid) display processing in FIG. 32.
도 33을 참조하면,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는다(S201). Referring to FIG. 33,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ocus lens is obtained (S201).
그리고 FA 표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02). 이는 사전에 메뉴(MENU)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FA 표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도 30으로 되돌아간다.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 display is set (S202). This information is set in advance in the menu. If the FA display is not set, the flow returns to FIG. 30 again.
FA 표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동 초점 조절(AF) 모드인지 판단한다(S203). If the FA display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F mode (S203).
자동 초점 조절(AF) 모드라면, 설정한 초점 영역에 대한 초점 평가값을 도출한다(S204). 상기 초점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피사체 영역을 도출하여 도출한 피사체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피사체 인식 알고리즘, 예를 들어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하여 인식한 피사체 영역(얼굴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If the AF mode, the focus evaluation value for the set focus area is derived (S204). The focus area may be set by a user's selection, or may be set as a focus area by automatically extracting a subject area, or a subject area (face area) recognized by a su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example,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 Can be set automatically to the focus area.
자동 초점 조절 모드가 아니라면, 디폴트로 설정된 중앙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판단하고 중앙 영역에 대하여 초점 평가값을 도출한다(S205). 또한, AF 시 피사체 영역을 자동으로 도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디폴트로 설정된 중앙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If not in the auto focus mode, the default center area is determined as the focus area and a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for the center area (S205). In addition, even when the subject area is not automatically derived during AF, the center area set as a default may be set as the focus area.
도출한 초점 평가값을 세밀부에 대응하는 제1 정보와 조부에 대응하는 제2 정보로 구분하여 생성한다(S206). 본 발명에서 세밀부는 초점 평가값들의 차이를 크게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가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부는 초점 평가값들의 차이를 작게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지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rived focus evaluation value is generated by being divided into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il part and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randfather (S20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 part is information representing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antissa part. In addition, the grandfather is information indicating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for example, may include an index portion.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초점 평가값의 분포를 상기 제1 정보의 분포 및 상기 제2 정보의 분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한다(S207). 이때, 포커스 렌즈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다가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기 도출한 포커스 평가값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포에 현재 위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2로 돌아갈 수 있다. The distribution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is displayed as at least one of the distribu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S207). In this case, when the focus lens is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previously derived focus evaluation value may be used, and thu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distribution. And return to FIG.
도 34는 도 32에서 FA(Focus Aid) 표시 처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3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 (Focus #Aid) display process in FIG. 32.
도 3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하여 영상을 확대하는지 판단한다(S301). Referring to FIG. 34,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mage is enlarged by a user's manipulation or the like (S301).
영상을 확대하는 경우, 확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302). 예를 들어, 5초간 화상을 확대할 수 있다. 이 처리를 통과하는 경우마다 5초가 리셋 된다. ,즉 수동 초점 조절 조작이 계속 행해지고 있으면 확대를 계속하고, 수동 초점 조절 조작을 하지 않은 채 5초가 경과하면 확대를 종료하는 것이다.When the image is enlarged, the enlarged image is displayed (S302). For example, the image can be enlarged for 5 seconds. Each time this process passes, 5 seconds are reset. In other words, if the manual focusing operation continues, the magnification is continued, and when 5 seconds elapse without the manual focusing operation, the magnification is terminated.
영상을 확대하지 않는 경우, FA 표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03). If the image is not enlarg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 display is set (S303).
FA 표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준 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한다(S304). 여기서 상기 기준 시간은 예를 들어 50ms 일 수 있으며, FA 표시의 갱신 주기이다. 이는 FA의 민감도이기도 하다. If the FA display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S304). The reference time may be, for example, 50 ms, and is an update period of the FA display. This is also the sensitivity of FA.
기준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동 초점 조절 모드인지 판단한다(S305). When the reference time elaps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o focusing mode is performed (S305).
자동 초점 조절 모드라면,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설정한 초점 영역에 대해 초점 평가값을 표시한다(S306). In the auto focus control mode, the focus evaluation value is displayed for the focus area set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S306).
자동 초점 조절 모드가 아니라면, 디폴트로 설정된 영역,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의 초점 영역에 대하여 초점 평가값을 표시한다(S307). If not in the auto focus mode, the focus evaluation value is displayed for the focus area of the default area, for example, the center area (S307).
구체적으로, 상기 초점 평가값을 세밀부의 제1 정보와 조부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으로써 상기 정보들을 영상으로서 표시함을 예시한다.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는 구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초점 평가값들의 차이가 미세한 경우일수록 적어도 세밀부에 관한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cus evaluation value may inform the us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detail part and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grandfather.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n image as a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not b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e small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cus evaluation values, the at least the first information about the detail unit may be displayed.
상기 초점 평가값 분만 아니라, 과거 일정 시간 예를 들면 1초 동안의 초점 평가값들 중 최고값도 계속하여 표시한다. 즉, 과거 1초 간의 종래의 피크값을 표시한다. 이를 피크 홀드(Peak Hold)라 한다.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값 정보를 표시한다(S308). 상기 초점 평가값과 상기 피크 홀드값 정보는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focus evaluation value, the highest value of the focus evaluation values for a certain time in the past, for example, 1 second, is continuously displayed. That is, the conventional peak value for the past 1 second is displayed. This is called peak hold. Peak hold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 is displayed (S308). The focus evaluation value and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and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영상을 확대한 후, 또는 상기 S303 단계에서 FA 표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또는 S304 단계에서 상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피사체가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309). 또는 S304 단계에서 상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FA표시 갱신을 실시하지 않기 위하여 근접 영역에 대한 표시를 행할지에 관한 단계로 넘어간다. 이는 빈번히 표시가 변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처리로, 안정적인 표시를 실시해, 포커스 링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After the image is enlarged or when the FA display is not set in step S303 or when the reference time has not elapsed in step S3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roximity region (S309). Or, if the reference time has not elapsed in step S304,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of whether to display the proximity area in order not to perform the FA display update. This is a process for preventing the display from changing frequently, to perform stable display and to facilitate operation of the focus ring.
그리고 피사체가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309). 이는 포커스 렌즈가 근접단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0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roximity region. This may correspond to determining whether the focus lens is located in the proximal end region.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근접 정보를 표시하며(S310), 근접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근접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S311).In the case of being located in the proximity area, the proximity information is displayed (S310). In case of not being located in the proximity area, the proximity information may not be displayed (S311).
그리도 다시 도 32로 되돌아 갈 수 있다.And again it can go back to FIG.
도 35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반누름하는 S1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 동작 A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gital camera operation A2 in the S1 state of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halfway.
도 35를 참조하면, S1 상태의 동작 A2를 개시한다. Referring to Fig. 35, operation A2 in the S1 state is started.
우선, 자동 초점 조절 모드인지 판단한다(S401). 자동 초점 조절 모드가 아니라면, 즉, 수동 초점 조절 모드인 경우 도 30의 동작 A1으로 돌아간다.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uto focus mode (S401). If not in the auto focus mode, that is, in the manual focus mode, the operation returns to operation A1 of FIG. 30.
자동 초점 조절 모드라면, 포커스 렌즈로부터 렌즈 정보를 입력하고 자동 초점 조절 중에는 수동 조절 금지 명령을 한다(S402). 그리고 초점 평가 값인 컨트라스트값의 피크값을 검출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촬상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다(S403). 촬상 타이밍 신호는 AF 검파를 개시하는 타이밍으로서, 초점 영역의 위치 설정에 맞추어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e auto focus control mode, the lens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focus lens and a manual adjustment prohibition command is issued during auto focus adjustment (S402). The imaging timing signal is input to start a scan operation for detecting the peak value of the contrast value which is the focus evaluation value (S403). The imaging timing signal is a timing at which AF detection is started and can b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cusing position setting.
촬상 소자로부터 카메라 제어 회로 내의 사전 처리부의 초점 평가값 도출부에서 초점 영역의 주사선을 AF검파한다(S404).The AF line of the focus region is detected by the focus evaluation value derivation unit of the preprocessing unit in the camera control circuit from the imaging device (S404).
그리고 초점 영역 설정 모드를 판단한다(S405). 예를 들어, 초점 영역이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얼굴 모드라면 얼굴 인식 알고리즘(Face algorism)을 수행한다(S407). In operation S405, the focus area setting mode is determined. For example, if the focus area is a face mode including the face area,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is performed (S407).
얼굴 인식 알고리즘은 도 3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face recognition algorith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6.
도 36을 참조하면, 얼굴 검출을 실행한다(S501). 여기서 얼굴 검출은 신호 처리부(도 5의 221) 피사체 인식부에서 영상 정보 입력에 따라 얼굴 정보를 상시 검출하고 있어,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과거의 얼굴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얼굴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6, face detection is performed (S501). Here, the face detection always detects 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input by the subject processing unit (221 of FIG. 5), so that the lates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Of course, past face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a plurality of faces.
그리고 얼굴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502).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멀티 알고리듬(multi。algorithm)을 수행한다(S503). 얼굴이 존재하는 경우, 얼굴 영역을 표시한다(S504). 검출한 얼굴의 안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In operation S502, it is determined whether a face exists. If not present, a multi-algorithm is performed (S503). If the face exists, the face area is displayed (S504). Inner range of detected face can be displayed.
그리고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초점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얼굴들이 검출된 경우, 얼굴의 크기가 최대인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카메라와 가까운 얼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것이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ace area may be selected as the focus area. When a plurality of faces are detected, the face size may be selected to be the largest. This is to focus on the face close to the digital camera.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얼굴 모드가 아니라면, 초점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spot 모드인지 판단한다(S406). spot 모드라면, 초점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다(S409).Referring back to FIG. 35, if it is not the face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focus area in the spot mode (S406). In the spot mode, the user selects a focus area (S409).
spot 모드가 아니라면, 멀티 알고리즘(Multi algorism)을 수행한다(S408). If not in the spot mode, a multi algorithm (Multi algorism) is performed (S408).
멀티 알고리즘은 도 3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ulti algorithm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7을 참조하면, 우선 촬영 영상의 중앙 영역의 배율을 얻었는지 판단한다(S601). 배율을 얻은 경우, 그 배율이 1/60 이상(초과)인지 판단한다(S602). 이상이라면, 중앙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선택한다(S603). 배율이 1/60 미만(이하)이면 최근접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선택한다(S604). Referring to FIG. 37,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a magnification of a central region of a captured image is obtained (S601). When the magnification is obta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gnification is 1/60 or more (greater than) (S602). If so, the center region is selected as the focus region (S603). If the magnification is less than 1/60 (less than or equal to), the nearest region is selected as the focus region (S604).
선택한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도 35로 돌아간다. The selected focus area is set, and the flow returns to FIG. 35.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도출한 초점 영역을 설정 및 저장하고,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S410), 그리고 합초하는 경우 상기 초점 영역을 다른 색, 예를 들어 녹색의 테두리로 표시할 수 있다(S411). Referring back to FIG. 35, the derived focus area may be set and stored, the focus lens may be driven (S410), and in the case of focusing, the focus area may be displayed with a different color, for example, a green border ( S411).
그리고 도 32에서 동작 A1으로 돌아와, 라이브 뷰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반복한다. 동작 A1에서는 수동 초점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 때문에, 자동 초점 조절 후의 수동 초점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32, operation A1 is returned to repeat the display of the live view image. Since manual focus adjustment is possible in operation A1, manual focus adjustment after auto focus adjustment may be possible.
도 38은 셔터 릴리즈 버튼을 완전 누름하는 S2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A3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operation A3 of the digital camera in the S2 state of full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본 실시 예에서는 AF 완료 후, 또는 MF mode중 라이브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셔터 릴리즈 버튼을 완전 눌러 S2 상태가 되고(ON), 디지털 카메라의 A3 동작이 실행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AF is completed or when the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in the MF_mode,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fully pressed to the S2 'state (ON), and the A3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is executed.
S2 상태가 되면, 포커스 렌즈에 수동 초점 조절(MF) 구동 금지 명령을 한다(S701). 정지 영상 노출(capture) 중에 영상의 상태가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S2 state is reached, a manual focus adjustment (MF) driving prohibition command is issued to the focus lens (S701). This is to prevent the state of the image from changing during still image capture.
AF 모드인지 판단하다(S702).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AF 'mode (S702).
AF 모드 인 경우, 합초가 완료되기 전에 S2가 on 되고 있다면, 포커스 렌즈가 합초 할 때까지 기다려, 포커스 렌즈가 합초 완료하고 나서 정지 영상 노출(capture)을 실시한다(S703). AF 모드가 아니라면, 즉 MF 모드라면 ㅈS702 단계로부터 S704 단계로 건너뛴다. 즉, 정지 화면을 캡쳐한다(S704). In the AF mode, if S2 is turned on before the focusing is completed, it waits until the focus lens is focused, and then captures still images after the focus lens is completed (S703). If not in the AF mode, that is, in the MF_ mode, the process skips from step S702 to step S704. In other words, a still image is captured (S704).
그리고 일정 시간 캡쳐한 영상의 표시를 실시한 후(S705), 도 34의 디지털카메라의 동작 A1으로 돌아가, 라이브 뷰 영상 표시를 반복한다.After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S705), the operation returns to operation A1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34, and the live view image display is repeated.
도 39는 동영상 촬영의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ase of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도 39를 참조하면, 동영상 촬영 버튼인 SMV 스위치가 켜지면(ON), 동영상 촬영 동작 A4가 실행된다.Referring to Fig. 39, when the SMV 'switch, which is a video shooting button, is turned on (ON), the video shooting operation A4 is executed.
우선, 포커스 렌즈의 구동 정지 명령을 포커스 렌즈에 송신한다(S801). 동영상 촬영 개시까지는 AF구동은 정지시킬 수 있다.First, a drive stop command of the focus lens is transmitted to the focus lens (S801). AF driving can be stopped until the start of motion picture recording.
그리고 동영상 촬영(capture) 개시한다(S802). In operation S802, video capture is started.
동영상 촬영 개시 후, 포커스 렌즈에 수동 초점 조절(MF) 구동 허가를 명령한다(S803). 수동 초점 조절의 구동은 동영상 노출중 초점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촬영자)가 타이밍을 보고 조작할 수 있다. After the start of motion picture shooting, the focus lens is commanded to permit manual focus adjustment (MF) (S803). The driving of manual focusing allows the user (photographer) to view and manipulate the timing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focus during video exposure.
수동 초점 조절(MF)의 조작이 있는지 판단한다(S804). 조작되고 있으면, 조작에 따른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고, 도출한 초점 평가값을 연산해 가수부와 지수부로 구분한다(S805). 그리고 상기 가수부를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상기 지수부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표시한다, 즉, FA표시를 실시한다(S806). FA표시는 도 20 내지 도 2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operation of the manual focus adjustment (MF) (S804). If it is operated, the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is derived, and the derived focus evaluation value is calculated and divided into a mantissa part and an index part (S805).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ntissa part and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exponent part are displayed, that is, FA display is performed (S806). FA display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9.
그리고 동영상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807). SMV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었는지를 판정해, off 되면 동영상 촬영(capture)을 종료한다(S808). on되어 있으면 계속하여 MF 조작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804). MF 조작이 검출되지 않으면, 동영상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807).In operation S807, it is determined whether a video recording end signal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V 'switch is turned on or off, and when it is turned off, video capturing ends (S808). If it is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F operation is detected continuously (S804). If the MF operation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video shooting end signal is input (S807).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동영상 촬영(capture)에서 AE, AWB를 실시하면서 라이브 뷰 영상 표시를 반복할 수 있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ve view video display may be repeated while performing AE and AWB in the video capture.
도 40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에 대한 교환 렌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changeable lens for the digital camera operation.
도 40을 참조하면, 교환 렌즈의 구동 동작을 시작하면, 교환렌즈로부터 디지털카메라 본체에 렌즈 정보를 출력한다(S901). 렌즈 정보는 카메라 본체가 교환 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로, AF, AE, AWB, 화질 제어에 필요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0, whe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interchangeable lens is started, lens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interchangeable lens to the digital camera body (S901). The lens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amera body to use the interchangeable lens, and may include AF, AE, AWB, information necessary for image quality control, and the like.
또한, 포커스 렌즈 구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S902). 예를 들어, 수동 초점 조절 동작 허가, 불허가 명령이나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포커스 렌즈의 구동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formation on driving the focus lens is input (S902). For example, driving information of a focus lens for allowing manual focusing operation, disallowing command, or auto focusing may be included.
그리고 포커스 링이 조작되었는지 판단한다(S903). 조작되면 펄스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하여 조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S9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cus ring is operated. When operated, a pulse signal is generated. The oper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ulse signal.
조작되는 경우, 카메라 본체로부터 수동 초점 조절(MF)가 허가되었는지 판단한다(S906). If it is op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manual focus adjustment (MF) is permitted from the camera body (S906).
MF가 허가되었다면, 포커스 링의 회전 방향을 판단한다(S907). 제1 방향으로 포커스 링을 회전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방향, 즉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를 전진 구동한다(S908). 제2 방향으로, 즉 왼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를 후진 구동한다(S909). If the MF is allowe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cus ring is determined (S907).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focus ring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rotate to the right. When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o the right, the focus lens is driven forward (S908). When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o the left, the focus lens is driven backward (S909).
포커스 렌즈가 전진 방향으로 조작되고 있는 경우는, 포커스 렌즈가 근접 영역에 있는지 판단한다(S910).When the focus lens is op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cus lens is in the proximal region (S910).
포커스 렌즈가 근접 영역에 위치함에 관한 정보를 카메라 본체에 송신한다(S911). 그리고 S902 단계로 다시 돌아온다.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in the proximity area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body (S911). 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S902.
상기 S906 단계에서 MF가 허가되지 않았다면, 또는 상기 S903 단계에서 상기 포커스 링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카메라로부터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렌즈 구동을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S904). If the MF is not permitted in step S906 or if the focus ring manipulation is not detected in step S903, it is determined whether a lens driving for auto focus adjustment is requested from the camera (S904).
구동 요구가 있는 경우 목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S905). 구동 요구가 있지 않은 경우, S902 단계로 돌아온다. 포커스 렌즈의 구동에서는 Contrast AF를 위한 수색 구동과 초점 검출 위치에 합초 구동 등을 포함한다. 이들 구동에 의하여 목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할 수 있다. If there is a driving request, the focus lens is driven to the target position (S905). If there is no drive request, the flow returns to step S902. The driving of the focus lens includes a search drive for Contrast AF and a focus drive at the focus detection position. These drives can drive the focus lens to the target position.
포커스 렌즈의 구동 동작은 카메라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렌즈가 분리될 경우 강제 종료될 수 있다.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focus lens may be forcibly terminated when power from the camera is not supplied or the lens is detached.
한편, 본 발명의 상술한 초점 조절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foc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flash memory.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and executing program data,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user interface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 key, a button, and the like.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or algorithm may be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s computer readable codes or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on the processo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The medium is readable by a computer, stored in the flash memory,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All documents including publications, patent applications, patents, etc. c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manner as each cited document individually and concretely, .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set forth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 terms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te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ll components conventionally conceiv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 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uch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 /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particular function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tegrated circuit configurations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 etc., which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by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It can be adopted.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ay be implemen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 C ++, and C ++, including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 Java (Java), assembler, and the like. Th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with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employ the prior art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 / 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configuration" and the like can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jun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particularly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the similar indicating term may be used in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the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abov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contradiction thereto),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abov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same. Finall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unless explicitly stated or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in detail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 limitation 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ppreciates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Claims (31)
상기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커스 렌즈 구동부;
상기 포커스 렌즈를 통해 입사한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2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는 초점 평가값 도출부;
상기 제1 초점 평가값의 피크값을 도출하는 피크값 도출부;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도출부;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은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초점 영역의 영상 신호로부터 도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Focus lens;
A focus lens driver for moving the focus lens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 imaging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signal by converting image light incident through the focus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utomatically moving the focus lens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to derive a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nd manually moving the focus lens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to adjust the focus le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 focus evaluation value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focus evaluation value;
A peak value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peak value of the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A focus lens position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position of the focus lens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
A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And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is derived from an image signal of a focus area from which the peak value is derived.
상기 초점 영역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지정하여 상기 초점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specifying the focus area.
And the focus area setting unit sets the focus area by designating by the user input signal.
상기 초점 영역 설정부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ubject recognizing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 subject reg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And the focus area setting unit sets a focus are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recognized subject area.
상기 알림부는 상기 피크 홀드값 정보를 더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peak hold value information indicating a peak value up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the notification unit further informs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상기 정보 생성부는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근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근접 정보를 더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ximity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roximity region.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proximity information when located in a proximity area,
And the notification unit further informs the proximity information.
상기 알림부는 확대하는 경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장치.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enlargement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enlarg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nd the notification unit does not notify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when the notification unit is enlarged.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1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초점 평가값의 피크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피크값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피크값을 도출한 초점 영역의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포커스 렌즈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제2 초점 평가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는 단계를 구비하는 초점 조절 방법.Generating an image signal by converting the image light incident through the focus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utomatically moving the focus lens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to derive a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Deriving a peak value of the first focus evaluation value;
Deriving a position of the focus lens corresponding to the peak value;
Deriving a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by manually moving the focus lens from the image signal of the focus region from which the peak value is derived; And
Generat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informing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상기 초점 영역을 확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초점 평가값의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forming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And inform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in a state where the focus area is not enlarged.
상기 영상 중 중앙 영역을 초점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ocus area setting step,
And a center region of the image as a focus region.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ocus area setting step,
And setting a focus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피사체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ocus area setting step,
Recognizing a subject area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And setting a focus are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recognized subject area.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얼굴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recognizing the subject area comprises:
And recognizing a face area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자동 초점 영역 도출 알고리즘에 따라 초점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ocus area setting step,
And setting a focus area according to an auto focus area derivation algorithm for the image signal.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다분할 초점 검출 영역들로부터 자동 초점 조절을 실시하기 위해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초점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ocus area setting step,
And setting any one of the focusing areas selected to perform auto focusing on the image signals from the multiple focusing detection areas.
상기 피크 홀드값 정보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peak hold value information representing a peak value up to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And informing the peak hold value information.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제2 초점 평가값들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들의 변화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form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comprises:
And notifying change of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상기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근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접 정보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located in a proximate region;
Generating proximity information when located in the proximity area;
And informing the proximity information.
확대하는 경우, 제2 초점 평가값에 대응하는 초점 평가값 정보를 알리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o magnif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nd when zooming in, not providing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상기 초점 평가값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forming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of the second focus evaluation value comprises:
And displaying the focus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178,651 US8525923B2 (en) | 2010-08-30 | 2011-07-08 |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84351 | 2010-08-30 | ||
KR1020100084351 | 2010-08-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1138A true KR20120021138A (en) | 2012-03-08 |
Family
ID=4612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4869A Ceased KR20120021138A (en) | 2010-08-30 | 2010-12-24 | Focusing apparatus, focusing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21138A (en) |
-
2010
- 2010-12-24 KR KR1020100134869A patent/KR20120021138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7650B1 (en) | Focusing Appratus | |
US8525923B2 (en) |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 |
US8774616B2 (en) | Camera system and interchangeable lens | |
US844717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ulti-autofocusing (AF) using contrast AF | |
US8300135B2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091959A (en) | A focus Aid System | |
CN103842903B (en) |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 |
JP5667726B2 (en) | Interchangeable lens camera and viewfinder display method | |
JP5546691B2 (en) |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 |
US8600226B2 (en) | Focusing methods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for recording the methods | |
US8737831B2 (en)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apply high-speed multi-autofocusing (AF) | |
JP567118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 |
JP2007225897A (en) | In-focus pos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09017517A (en) | Image-capturing device | |
JP2016025510A (en) |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 |
KR101720191B1 (en) | Focusing apparatus, focusing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 |
KR20120021138A (en) | Focusing apparatus, focusing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 |
JP2019106725A (en) | Imaging apparatus | |
JP6493594B2 (en) | Imaging device | |
JP496838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 |
JP2015106823A (en) | Imaging apparatus | |
JP2018004836A (en) | Imaging device and device main body | |
JP2025025064A (en) | Focus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JP2020088663A (en) | Imaging apparatus | |
JP2007114414A (en) | Imag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