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0807A -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807A
KR20120020807A KR1020100084655A KR20100084655A KR20120020807A KR 20120020807 A KR20120020807 A KR 20120020807A KR 1020100084655 A KR1020100084655 A KR 1020100084655A KR 20100084655 A KR20100084655 A KR 20100084655A KR 20120020807 A KR20120020807 A KR 20120020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ard
payment
joint
mobile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연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0008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807A/ko
Publication of KR2012002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0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9Use of the SIM of a M-device as secur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공동 탑재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모두 송신할 수 있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와 관련하여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공동 사용이 허가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대한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의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결제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모두 송신하는 결제 정보 송신 모듈; 및 상기 등록 정보 관리 모듈,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결제 정보 송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Mobile card managing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car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하나의 모바일 법인 카드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신용 IC 카드, 체크 IC 카드, 현금 IC 카드, 공무원증 IC 카드, 학생증 IC 카드, 출입 통제용 카드, 신분 인식용 카드, 교통 카드 등의 다양한 IC 카드의 발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업무, 출입 통제, 신분 확인, 물품 대금 결제 등의 카드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사들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 나아가, 기업체 등 법인에서는 법인 명의의 법인 IC 카드를 발급받아, 법인에 속하는 직원들에게 법인 IC 카드를 직접 사용하도록 하여 비록 카드 사용은 법인 직원들에 의해 수행되지만 카드 결제 등은 법인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인 IC 카드가 특정 직원에 의해 점유되고 있는 경우 다른 직원들에 의한 법인 IC 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법인 IC 카드가 복수의 직원들에 의해 사용됨에 따라 그것의 현재 점유자가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법인 IC 카드를 법인에 속하는 복수의 직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공동 탑재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의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이동 단말기에 의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공동 탑재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 모두에게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공동 사용이 허가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대한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의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결제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모두 송신하는 결제 정보 송신 모듈; 및 상기 등록 정보 관리 모듈,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결제 정보 송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공동 사용이 허가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정당 결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정당 결제인 경우 결제 허락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허락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어느 이동 단말기에 의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모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하여 공동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법인 카드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둘째,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공동 탑재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특정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시 다른 이동 단말기에도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법인 카드의 사용자 간에 결제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카드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시 결제 정보를 공유하는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설정된 사용 한도액을 도시한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설정된 유효 기간을 도시한 테이블.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 내역을 도시한 테이블.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설정된 마일리지(또는 포인트)를 도시한 테이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모바일 카드란 전통적인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형태에서 벗어나, 이동 단말기의 통신 연결성 및 보안성을 활용하여 결제 등에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매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카드는 스마트 카드의 기능을 휴대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신용 카드, 직불 카드, 교통 카드, 신분증(ID 카드), 온라인 결제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는, 법인 명의의 모바일 카드로서 법인에 속하는 직원들에 의한 공동 사용이 허가된 모바일 카드를 의미하고, 직원들 각각의 이동 단말기에 공통되게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카드는 기존에 발급된 플라스틱 카드에 대응하여 동일한 카드 서비스를 단순히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받기 위한 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카드는 동일한 내용의 플라스틱 카드는 존재하지 않고, 새롭게 발급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카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카드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탑재된 이동 단말기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보안 영역(120-1, ..., 120-N),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200-1, ..., 200-N),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200-1, ..., 200-N)을 구동함에 따라 카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무선 통신 기능이 지원되므로, 카드 관리 서버(400)와 통신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 관리 서버(40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wireless lan)이란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이다. 상기 무선랜은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가 있을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이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1, ..., 100-N)와 상기 카드 관리 서버(400)는 이동 통신사의 통신망 예를 들어 3G망, 4G망을 통하여도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3G는 3세대 이동 통신으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 등이 대표적이며, 사용주파수는 2GHz로 전세계가 통일되어 있어 자동으로 국제 로밍 서비스가 가능하다. 4G는 4세대 이동 통신으로 3세대와 비슷하나 다운로드 속도가 10배 이상 늘어난 기술이다. 하지만, 이동 통신사의 통신망(예를 들어 3G망, 4G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 요금을 부담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e-book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를 공동 탑재할 수 있고,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의 서비스 관리를 위한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200-1, ..., 200-N)을 구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보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영역은 예를 들어 USIM이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100-N)에 대하여 동일한 카드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즉, 동일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가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100-N) 각각에 공동으로 탑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식별 정보에는, 신용 카드 번호, 유효기간, CVC(Card Verification Code)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란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써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USIM은 소형 CPU와 메모리로 구성되는데, CPU는 암복호화 기능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메모리는 부가서비스를 위한 저장공간으로 이용된다. 즉 상기 보안 영역(120)은 HSM(Hardware Security Module, 보안 토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200)은 상기 모바일 카드(300)의 기본 정보 및 서비스 내용을 관리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200)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특정 애플릿, 특정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는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메모리에 기록되어 관리되거나, USIM과 같은 보안 영역에 발급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카드(300)가 보안 영역(예를 들어 USIM)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보안 영역은 HSM(Hardware Security Module, 보안 토큰)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안 영역 안에 저장된 상기 모바일 카드 (300)에 관한 비밀 정보는 외부로 노출되거나 재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모바일 카드(300)는, 할인 쿠폰, 무이자 할부, 마일리지 카드, 제휴 마일리지 카드에 관한 서비스 내용(이하 카드 사용 부가 정보)을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100-N) 각각에 탑재된 모바일 카드(30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100-N)에 공통된 카드 사용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100-N)에 고유한 카드 사용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 및 관리하는 카드 관리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관리 서버(40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동 탑재되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 모듈(410),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에 대한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 정보 관리 모듈(420),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각각에 의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결제 정보 관리 모듈(430),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중 특정 이동 단말기에 의하여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를 이용한 결제시 결제 정보를 모든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로 송신하는 결제 정보 송신 모듈(440), 및 카드 발급 모듈(410), 등록 정보 관리 모듈(420), 결제 정보 관리 모듈(430), 결제 정보 송신 모듈(44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의 등록 정보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의 명의자(예를 들어, 법인 명칭 또는 법인 대표자 명칭 등), 사용자(예를 들어, 법인 소속 직원들 또는 법인 소속 직원들 중 특정 직급 이상의 직언들), 공동 모바일 카드(300)가 탑재되는 단말 정보(예를 들어, 단말 전화 번호, 단말 시리얼 번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정보는, 실시간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결제 장소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정보 등)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결제된 결제 내역 또는 사용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정보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통되어 관리되거나 개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드 관리 서버(400)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에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유효 기간, 사용 한도액, 적립 마일리지 정보, 쿠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부가 정보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통되어 관리되거나 개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동 탑재될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카드 발급 모듈(410)을 이용하여 발급한다(S310).
이때,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이 허가된 사용자들 각각이 소유한 이동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이 허가된 사용자들은, 법인 소속 직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급 단계(S310)에서 카드 관리 서버(400)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명의자(또는 소유자) 정보를 등록할 뿐만 아니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탑재될 이동 단말기들(100-1, ..., 100-N)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정보는, 등록 정보 관리 모듈(42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들(100-1, ..., 100-N)의 정보는, 단말기 명의자, 단말기 전화번호, 단말기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급 단계(S310)에서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등록 정보 관리 모듈(420)을 이용하여,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탑재될 이동 단말기들(100-1, ..., 100-N) 중 특정 이동 단말기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소유자로서 등록하고, 나머지 이동 단말기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자로서 등록할 수 있다.
발급 단계(S310)에서 카드 관리 서버(400)는, 이동 단말기들(100-1, ..., 100-N) 중 마스터 권한이 있는 특정 이동 단말기(100-1)로부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 발급을 위한 데이터를 요청받고, 특정 이동 단말기(100-1)에 대한 본인 인증에 성공하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 발급을 위한 데이터를 특정 이동 단말기(100-1)에 전송해 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이동 단말기(100-1)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 발급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200-1)을 통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카드 관리 서버(400)로부터 발급받을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방법으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받고자 하는 고객이 오프라인상에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 발급 신청을 하는 경우, 카드 관리 서버(400)는, 카드 발급을 위한 심사를 통과한 경우 상기 고객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공동 탑재를 요청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발급 단계(S310)에서 발급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동으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발급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는, 도 1에 도시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300)에 해당할 수 있다.
카드 관리 서버(40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중 어느 이동 단말기(이하 제 1 이동 단말기)에서 그것에 탑재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재가 수행된 경우,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다(S330).
이때, 카드 관리 서버(400)는, 결제 정보 수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요청 데이터에는, 결제 장소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를 수행한 제 1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신 단계(S330)에서 카드 관리 서버(400)는, 결제를 수행한 제 1 이동 단말기 또는 결제 장소에 구비된 결제 동작 입력 단말기(예를 들어, 카드 결제기)로부터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카드 관리 서버(400)는,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가 정당 결제인지를 확인한다(S340).
제어 모듈(450)은, 제 1 이동 단말기 또는 그것의 사용자가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정당 사용자로 카드 관리 서버(400)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동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명의자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카드 관리 서버(400)는, 확인 결과 정당 결제라고 확인된 경우, 제어 모듈 (450)의 제어에 따라, 결제 정보 송신 모듈(440)을 이용하여 결제 허락 데이터를 송신한다(S350). 이때, 결제 허락 데이터의 수신 주체는, 결제 요청 데이터를 송신한 주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허락 데이터에는, 결제 요청 데이터에 의해 요청된 결제를 승인함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결제 허락 데이터가 송신됨에 따라,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가 정상 결제로 승인될 수 있게 된다.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가 정상 결제로 승인된 경우,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제 1 이동 단말기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모두에게 결제 정보 송신 모듈 (340)을 이용하여 송신한다(S360).
예를 들어, 제 1 이동 단말기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에는, 결제 장소 정보, 결제를 수행한 제 1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결제 금액 정보, 해당 결제 결과 남은 사용 한도액 정보, 해당 결제 결과에 따른 적립 마일리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이동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에는, 해당 결제 정보가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 정보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시라도,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공동 탑재한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시 타 이동 단말기와 결제 정보를 공유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 의해 결제가 수행된 경우,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 의한 결제 정보를 제 1 이동 단말기(100-1)를 포함하여 결제를 수행하지 않은 제 2 및 제 3 이동 단말기(100-2, 100-3)로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된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 간에는 결제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된 이동 단말기들 중 특정 이동 단말기에는 결제 정보를 공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 한도액으로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통된 공통 사용 한도액 및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각각에 고유한 개별 사용 한도액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한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한도액은, 결제 정보 관리 모듈(4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카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 한도액을 언제라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별 사용 한도액은, 해당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5에 의하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공통 사용 한도액은 500만원이고,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는 공통 사용 한도액 500만원 중 200만원이 할당되고,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는 공통 사용 한도액 500만원 중 200만원이 할당되고, 제 3 이동 단말기(100-3)에는 공통 사용 한도액 500만원 중 100만원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공통 사용 한도액만 지정하고, 각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공통 사용 한도액 중 허여 액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공통 사용 한도액을 다 쓴 경우라도 무방하다.
또한, 공통 사용 한도액과 별개로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 각각에 대한 고유 사용 한도액이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공통 사용 한도액은 지정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 각각에 대한 고유 사용 한도액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유효 기간을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통 적용하거나 개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기간은, 등록 정보 관리 모듈(42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카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유효 기간을 언제라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별 유효 기간은, 해당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6에 의하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공통 유효 기간은 2012. 12. 12이고,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는 별도로 개별 유효 기간인 2013. 06. 30이 지정될 수 있고, 제 3 이동 단말기(100-3)에는 별도로 개별 유효 기간인 2011. 12. 12가 지정될 수 있다. 물론, 공통 유효 기간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설명하면, 개별 유효 기간이 설정되지 않은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는 공통 유효 기간을 적용하고, 개별 유효 기간이 설정된 제 2 및 제 3 이동 단말기(100-2, 100-3)에는 개별 유효 기간을 적용할 수 있다(개별 유효 기간이 우선함).
또한, 공통 유효 기간은 지정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 각각에 대한 개별 유효 기간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의한 일정 기간 결제 내역을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모두 또는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에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 정보와 함께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로서 단말기 명칭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 등)를 함께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정보 및 그것에 해당하는 특정 이동 단말기의 정보는, 결제 정보 관리 모듈(4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드 관리 서버(400)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의한 일정 기간 결제 내역의 확인 권한을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모두 또는 특정 이동 단말기에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확인 권한이 부여된 특정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서만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일정 기간 결제 내역이 확인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7a에 의하면, 카드 관리 서버(400)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일정 기간 동안의 결제 내역(또는 사용 내역)을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어느 이동 단말기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결제 내역 확인 권한이 부여된 특정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간 동안의 결제 내역은, 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되고, 결제 내역을 구성하는 결제 항목에는, 해당 결제를 수행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예를 들어, 명의자 또는 전화번호)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결제 내역 내에서 결제를 수행한 이동 단말기별로 해당 결제 항목을 식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간 동안의 결제 내역은, 특정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결제 내역만을 소팅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 1 키(701)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모듈(450)은,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 의해 수행된 결제 내역만을 소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 전체 키(704)가 선택되는 경우, 도 7a 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7a 또는 도 7b에서 제 2 키(702) 또는 제 3 키(703)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모듈(450)은, 제 2 이동 단말기(100-2) 또는 제 3 이동 단말기(100-3)에 의해 수행된 결제 내역만을 소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관리 서버(400)는, 제어 모듈(450)의 제어에 따라,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를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통 적립/공통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개별 적립 및 개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에 관한 정보는, 결제 정보 관리 모듈(4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카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마일리지를 언제라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별 마일리지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에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가 공동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 사용에 의한 마일리지 적립은,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에 의해 공통으로 수행될 수 있다(공통 전체 마일리지 20000 point).
이때, 카드 관리 서버(400)는, 공통 전체 마일리지 중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 각각에 의하여 적립된 마일리지 정보(제 1 이동 단말기_1000 point, 제 2 이동 단말기_5000 point, 제 3 이동 단말기_5000 point)를 개별 관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내지 제 3 이동 단말기(100-1 내지 100-3)는, 공통 전체 마일리지를 적립한 주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거나, 자신이 적립한 마일리지에 대하여서만 사용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관리 서버(400)는,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해당하는 쿠폰을 발행할 수 있는데,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에 공통된 쿠폰(이하 공동 쿠폰) 또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각각에 고유한 쿠폰(이하 고유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에 의해 공동 쿠폰이 사용되는 겨우 공동 쿠폰이 소멸하므로 다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공동 쿠폰이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 반면, 후자의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에 의해 고유 쿠폰이 사용되더라도 다른 이동 단말기의 고유 쿠폰은 그대로 존재하므로 다른 이동 단말기는 고유 쿠폰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는, 그것에 탑재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대한 비밀 번호를 공통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통 비밀 번호의 경우,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권한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1, ..., 100-N) 중 마스터 권한이 있는 특정 이동 단말기에만 부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1 내지 100-N 이동 단말기
120-1 내지 120-N 보안 영역 (USIM)
200-1 내지 200-N 모바일 카드 관리 모듈
300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
400 카드 관리 서버
410 카드 발급 모듈
420 등록 정보 관리 모듈
430 결제 정보 관리 모듈
440 결제 정보 송신 모듈
450 제어 모듈

Claims (17)

  1.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공동 사용이 허가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대한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의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결제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모두 송신하는 결제 정보 송신 모듈; 및
    상기 등록 정보 관리 모듈,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결제 정보 송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카드 식별 정보를 갖는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특정 이동 단말기를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소유자로서 등록하고, 나머지 이동 단말기를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자로서 등록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유효 기간을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통 적용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개별 적용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 한도액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통된 공통 사용 한도액 및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고유한 개별 사용 한도액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의한 일정 기간 결제 내역의 확인 권한을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특정 이동 단말기에만 부여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결제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상기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결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 의한 결제 정보인지를 식별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송신 모듈은,
    상기 어느 이동 단말기에 대한 결제 정보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어느 이동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이동 단말기에 더 송신하는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10.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동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공동 사용이 허가된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정당 결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정당 결제인 경우 결제 허락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허락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어느 이동 단말기에 의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모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급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카드 식별 정보를 갖는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발급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특정 이동 단말기를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소유자로서 등록하고, 나머지 이동 단말기를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자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유효 기간을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통 적용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개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의 사용 한도액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공통된 공통 사용 한도액 및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에 고유한 개별 사용 한도액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에 의한 일정 기간 결제 내역의 확인 권한을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특정 이동 단말기에만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공동 모바일 법인 카드를 결제한 이동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상기 결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어느 이동 단말기에 대한 결제 정보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어느 이동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이동 단말기에 더 송신하는 모바일 법인 카드 관리 방법.
KR1020100084655A 2010-08-31 2010-08-31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Ceased KR20120020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55A KR20120020807A (ko) 2010-08-31 2010-08-31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55A KR20120020807A (ko) 2010-08-31 2010-08-31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07A true KR20120020807A (ko) 2012-03-08

Family

ID=4612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655A Ceased KR20120020807A (ko) 2010-08-31 2010-08-31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8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26A1 (ko) * 2013-08-20 2015-02-26 (주)인스타페이 보안이 강화된 모바일카드 함께쓰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4286A (ko) * 2014-02-11 2015-08-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36757A (ko) * 2014-09-25 2016-04-05 김동현 사용자별 법인카드 관리 시스템
KR20170083436A (ko) * 2016-01-08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장치
WO2017135777A1 (en) * 2016-02-04 2017-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26A1 (ko) * 2013-08-20 2015-02-26 (주)인스타페이 보안이 강화된 모바일카드 함께쓰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4286A (ko) * 2014-02-11 2015-08-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36757A (ko) * 2014-09-25 2016-04-05 김동현 사용자별 법인카드 관리 시스템
KR20170083436A (ko) * 2016-01-08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장치
WO2017119763A3 (ko) * 2016-01-08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장치
WO2017135777A1 (en) * 2016-02-04 2017-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CN107038565A (zh) * 2016-02-04 2017-08-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电子支付的移动电子装置和方法
KR20170092897A (ko) * 2016-02-04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전자 결제방법
US11176526B2 (en) 2016-02-0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629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sioning and utilizing an aggregated soft card on a mobile device
US7360691B2 (en) Secure device and mobile terminal which carry out data exchange between card applications
CN101223546A (zh) 电子票券转让系统及电子票券转让方法
US20110246317A1 (en) System and device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through use of a proxy account code
CN106133768A (zh) 用于使数据集优先化的移动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JP2003509749A (ja) マルチアプリケーションデバイスの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
KR20150046080A (ko) 이동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비접촉 발권/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311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bscriber account
US118101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nd provisioning a token to an appliance
JP2015011498A (ja) Simカード及び携帯端末装置用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5276184A (ja) 無線サービス購買システム
KR20120020807A (ko)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Milutinovic et al. Privacy-preserving public transport ticketing system
JP5714712B2 (ja) サーバ装置、クーポン管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871425B1 (ko) 결제 시스템
JP2001168980A (ja) 移動通信端末の使用禁止方法、移動通信網及び移動通信端末
KR101223982B1 (ko)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54464A1 (e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payment
JP2002230385A (ja) 公共交通機関利用促進システム
JP4784022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運用システム、プリペイドカード運用方法
RU2666227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платы услуг,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ранспортных услуг
JP2005218029A (ja) 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間のデータ交換を行うセキュアデバイス及び携帯端末
KR100838296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7676792B2 (ja) 定期乗車券共用管理装置、携帯端末、定期乗車券共用システム、定期乗車券共用管理方法、および定期乗車券共用管理プログラム
KR100772817B1 (ko)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발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