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7511A - 친환경 해충 포집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해충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511A
KR20120017511A KR1020100080121A KR20100080121A KR20120017511A KR 20120017511 A KR20120017511 A KR 20120017511A KR 1020100080121 A KR1020100080121 A KR 1020100080121A KR 20100080121 A KR20100080121 A KR 20100080121A KR 20120017511 A KR20120017511 A KR 2012001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s
container
light emitting
present
at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용
Original Assignee
이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용 filed Critical 이남용
Priority to KR102010008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7511A/ko
Publication of KR2012001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해충 포집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포집기는 모기나 파리 등의 농작물 해충을 포획하는 포집기로써, 투명의 용기; 상기 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으로 조립된 기판에 등간격으로 3개 이상의 LED 램프가 구비되어 그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끌어 모으는 발광부; 상기 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페로몬 향을 발산하여 상기 발광부와 더불어 해충을 끌어 모으는 향 발산부; 상기 용기의 외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와 향 발산부에 의해 모인 해충이 점착되어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끈끈이;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해충 포집기{Eco-friendly harmful insect grasping equipment}
본 발명은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램프와 페로몬향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도하고, 유도된 해충이 끈끈이 붙어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은 각종 병원균을 옮기는 전염체로 사람은 물론 가축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준다.
이에 종래에는 이러한 각종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일환으로 각종 살충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살포되고 있으나, 대다수가 스프레이 방식으로 이루어져 한정된 공간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축사와 같이 개방된 장소에서는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살충제에 인체 해로운 독성이 포함되어 특히 농작물에 잔류 농약이 남아 인체에 매우 해롭고, 동식물에도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살충제가 아닌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모기나 파리를 잡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 537635호의 포집장치는 유인등에 의하여 유인등갓으로 유인되는 해충을 포집하고자 몸체부 내측에 설치된 흡입휀과, 상기 흡입휀에 의하여 해충이 포집되는 필터로 이루어진 해충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측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원추형 유도구의 재치환턱이 재치되고 상기 원추형 유도구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록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환홈에는 필터 상측의 걸림환턱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에는 복수개의 날개부를 갖는 흡입휀을 결합구성하되 상기 몸체부의 상측 외주연에는 후크가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유인등갓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클립과 결합하여 연결구성된 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 또한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위 장치는 기본적으로 흡입력을 이용하는 해충을 포획하는 것으로, 흡입휀이 동작 과정에서 소음이 심하고, 해충이 흡입휀이 점착되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흡입휀의 설치에 따른 각종 구성 요소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기나 파리 등의 농작물에 해를 주는 해충이 좋아하는 향과 LED 램프의 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끌어 모아 일시에 제거하는 친환경 해충 포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 친화적인 방식으로 사람의 인체와 동식물에 무해하고, 제작이 용이한 친환경 해충 포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당이나, 농작물, 하우스, 과수원, 논, 밭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모든 해충을 포획함으로써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 농사에 무농약의 농업이 가능하며, 식당을 경영하는 업주는 파리, 모기 등 해충류가 일소되어 식당 내부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해충 포집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소모품을 적절한 시기에 교환하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해충 포집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을 포획하는 포집기로써, 투명의 용기; 상기 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으로 조립된 기판에 등간격으로 3개 이상의 LED 램프가 구비되어 그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끌어 모으는 발광부; 상기 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페로몬 향을 발산하여 상기 발광부와 더불어 해충을 끌어 모으는 향 발산부; 상기 용기의 외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와 향 발산부에 의해 모인 해충이 점착되어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끈끈이;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LED 램프의 빛과 페로몬 향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도하고, 모여진 해충을 용기 표면에 구비된 끈끈로 포획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제작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해충 포집기는 하우스나, 과수원, 논밭에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된 포집기가 모든 해충을 포획함으로써, 농작물이 해충으로부터 공격을 받지 않도록하여 다 수확과 안정한 농작물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농산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의 해충 포집기는 모기나 파리 및 각종 해충류를 일소하므로 식당에서는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축산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좋은 환경을 유지시켜 축산 농가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해충 포집기는 자연 친화적인 방식으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광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끈끈이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광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끈끈이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해충 포집기(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용기(10)와, 이 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20)와, 페로몬 향을 발산하는 발산통(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10) 외측면에 구비되어 해충을 포획하는 끈끈이(4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이동식으로 후술하는 덮개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이동시키며 사용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붙박이 형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원형을 기본으로 하는 도 5와 같이 사각 형태 혹은 다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반투명 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상부에는 운두부(12)가 구비되어 덮개(50)가 덮어지도록 하여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고, 측면 및 저면에는 다수개의 구멍(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4)은 후술하는 향 발산통(30)에서 발산되는 향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모기나 파리 등을 끌어 모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발광부(20)는 원칙적으로 LED 램프(22)가 이용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구 등 다른 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LED 램프(22)는 12v 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사각으로 조립된 기판(24) 각각에 3cm 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방식은 반드시 정해진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 예컨데 도 6과 같이 한면에 6개, 12개, 24개 혹은 그 이상이 포집기의 설치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LED 램프(22)의 개수가 증가하면 발광면적이 확대되므로 넓은 공간에서 사용할 때는 LED 램프(22)의 개수를 늘리고, 반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때는 LED 램프(22)의 개수를 줄이면 될 것이다.
상기 향 발산통(30)은 페로몬 향을 발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다른 향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페로몬 향은 동물이 분비하는 내인성 화학물질로, 같은 종에 속하는 한 개체가 다른 개체로부터 독특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분비하는 향인 것이다.
본 발명의 포집기(100)는 이러한 향과 LED의 빛을 사용함으로써 모기나 파리 등을 끌어 드리고, 끌어 모아진 해충은 용기 표면에 구비된 끈끈이(40)로 포획하는 것이다.
상기 끈끈이(40)는 용기(10)의 외측면에 도포 또는 분사 방식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접착 방식의 경우 도 4 및 도 5와 같이, 박리지(42)와 접착제(44) 그리고 끈끈이 즉 해충 포획층(46)으로 구성된 끈끈이 사용되며, 사용자는 박리지(42)를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10)에 붙혀 사용하는 것이다.
분사 방식은 끈끈액을 용기 분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끈끈이(40)에는 상기 용기(10)에 천공된 구멍과 같이 통공(46)이 형성되어 페로몬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하되, 구멍과 통공의 크기는 대략 2mm 정도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과수원, 하우스, 축산, 논밭은 물론 식당, 일반 가정에 설치된다.
투명 용기(10)의 내부에 LED 램프(22)가 실장된 발광부(20)를 구비하고, 이 발광부의 상부 혹은 하부에 향 발산부(30)가 구비된 상태에서 LED 램프(22)를 점등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이 빛을 보고 모인 해충을 페로몬 향으로 끌어들여 끈끈이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덮개에 매달리게 되고, 향 발산부(30)는 덮개에 매립 형식으로 혹은 발광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조립된다.
또한, LED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은, 지속적으로 발광상태가 유지되더라도 농작물에 전혀 피해를 주지 않으며 오히려 농작물에 성장과 품질 향상으로 수확량이 증가된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용기 20 : 발광부
22 : LED 램프 30 : 향 발산통
40 : 끈끈이

Claims (2)

  1.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을 포획하는 포집기로써,
    투명의 용기;
    상기 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으로 조립된 기판에 등간격으로 3개 이상의 LED 램프가 구비되어 그 빛을 조사하여 해충을 끌어 모으는 발광부;
    상기 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페로몬 향을 발산하여 상기 발광부와 더불어 해충을 끌어 모으는 향 발산부;
    상기 용기의 외측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와 향 발산부에 의해 모인 해충이 점착되어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끈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해충 포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사각 혹은 다각 형으로 구성되어 각각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램프가 구비되고, 용기 상부에 구비된 운두부에 덮어지는 덮개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운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해충 포집기.
KR1020100080121A 2010-08-19 2010-08-19 친환경 해충 포집기 KR20120017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21A KR20120017511A (ko) 2010-08-19 2010-08-19 친환경 해충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21A KR20120017511A (ko) 2010-08-19 2010-08-19 친환경 해충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511A true KR20120017511A (ko) 2012-02-29

Family

ID=458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121A KR20120017511A (ko) 2010-08-19 2010-08-19 친환경 해충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5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3490A (zh) * 2013-01-18 2013-04-24 陈德鑫 一种简易诱捕器
KR101388088B1 (ko) * 2012-07-27 2014-04-29 김성호 해충 포획장치
KR20200115404A (ko) * 2018-10-24 2020-10-07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WO2023129620A1 (en) * 2021-12-28 2023-07-06 Ap&G Co., Inc. Inflatable flying insect tra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088B1 (ko) * 2012-07-27 2014-04-29 김성호 해충 포획장치
CN103053490A (zh) * 2013-01-18 2013-04-24 陈德鑫 一种简易诱捕器
KR20200115404A (ko) * 2018-10-24 2020-10-07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WO2023129620A1 (en) * 2021-12-28 2023-07-06 Ap&G Co., Inc. Inflatable flying insect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296A1 (en) Fruit-Shaped Fruit Fly Trap
US20200404897A1 (en)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1825680B1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US20120055075A1 (en) Insect Controlling Devices and Methods
JP2004521641A (ja) 虫取り器
US20200196587A1 (en) Mosquito attract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101194928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2217379B1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 조명등과 끈끈이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WO2020081031A2 (en) A catcher device developed for harmful flies and insects
KR20120017511A (ko) 친환경 해충 포집기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KR101168513B1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US20210076654A1 (en) Insect Trapping Instrument
JP2013153669A5 (ko)
JP2013153669A (ja) 飛翔性害虫駆除装置
JP2011103787A (ja) ナガマドキノコバエの捕虫方法およびその捕虫器
KR101151824B1 (ko) 살충기
JP2015042157A (ja) 捕虫装置
JP4129673B2 (ja) 害虫誘引捕獲器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755008B1 (ko) 해충 트랩 장치
JP7109073B2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229

Appeal identifier: 2011101003325

Request date: 2011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509

Effective date: 201202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0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509

Decision date: 20120229

Appeal identifier: 2011101003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