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372A - Multi-fuse - Google Patents
Multi-f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7372A KR20120017372A KR1020100080037A KR20100080037A KR20120017372A KR 20120017372 A KR20120017372 A KR 20120017372A KR 1020100080037 A KR1020100080037 A KR 1020100080037A KR 20100080037 A KR20100080037 A KR 20100080037A KR 20120017372 A KR20120017372 A KR 201200173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 body
- fuse
- confirmation window
- melted
- bus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퓨즈(10)는 외관과 골격을 퓨즈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퓨즈몸체(11)의 하부로는 상기 내부공간이 연통슬릿을 통해 연통된다. 퓨즈몸체(110의 상부로는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어 확인창(12)이 형성된다. 상기 확인창(12)을 차폐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커버(14)가 설치된다. 상기 퓨즈몸체(11)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게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16)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슬릿을 통해서는 퓨즈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결레그(20)들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레그(20)는 각각의 부품들로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에는 버스바(22)가 상기 연결레그(20)의 일부와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레그(20)의 상단과 상기 버스바(22)의 상단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확인창(1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용단부(24)가 설치된다. 상기 용단부(24)는 상기 부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녹아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24)는 제1연결부(26)를 통해 상기 버스바(22)와 연결되고 제2연결부(28)를 통해 상기 연결레그(2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용단부(24)가 퓨즈몸체(11)의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확인창(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단부(24)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fuse. In the multi-fu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se body 11 forms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An inner space is formed inside the fuse body 11, and the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use body 11 through a communication slit. The inner space is op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use body 110 to form a confirmation window 12. A cover 14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is installed to shield the confirmation window 12. The fuse body 11 A connecting terminal 16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one side thereof, and the connecting legs 20 are disposed to protrude out of the fuse body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slit. The bus bar 22 is installed in the fuse body 11 so as to face a part of the connecting leg 20,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leg 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A melting end 24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window 12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22. The melting end 24 is melted and broken when the component is overloaded. The melted portion 24 is connected to the bus bar 22 through a first connecting portion 26. The connecting leg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eg 20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art 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lting part 24 is formed in the confirmation window 12 which is formed to ope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use body 11. Since it is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melted portion (24).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몸체의 상면에서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se to be able to check the state of the mel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use body.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들은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퓨즈박스를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공급된다.There are many different electronics that use power in a vehicle. For example, there are a motor, a spark plug, and the like. These electronics require power for their operation. These electronics are supplied from a battery or generator through a fuse box.
상기 퓨즈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으로는 퓨즈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The fuse box is provided with a fuse that prevents an overcurrent from flowing through the respective electrical appliances. Therefore, while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each electric appliance through the fuse,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 fuse is blown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appliance.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멀티퓨즈(1)는 다수개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주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주로 대전류가 필요한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실제로 다수개의 퓨즈를 합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의 골격을 퓨즈몸체(3)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3)는 대략 납작하고 일방향으로 긴 육면체형상이다. 상기 퓨즈몸체(3)의 내부에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를 때,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버스바와 용단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용단부는 상기 퓨즈몸체(3)의 측면에 형성된 투명창(4)을 통해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multi-fuse 1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and serves to prevent overcurrent from flowing to each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The multi-fuse 1 mainly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s used basically,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s requiring large currents. The
상기 퓨즈몸체(3)에서는 다수개의 연결레그(5)가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레그(5)는 각각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레그(5)에는 각각의 전장품과 연결된 커넥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멀티퓨즈(1)에는 총 9개의 연결레그(5)가 있다.In the
상기 퓨즈몸체(3)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7,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7,7')에는 각각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7,7')는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단자(7)는 발전기와 연결되고, 제2 연결단자(7')는 배터리와 연결된다.Both ends of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1)에서 상기 퓨즈몸체(3)의 내부에 용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4)이 퓨즈몸체(3)의 측면에 있어, 멀티퓨즈(1)가 박스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투명창(4)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멀티퓨즈(1)를 박스에서 분리해 내어야만 상기 투명창(4)을 통해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the multi-fus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blowout part is provided insid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구비되는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멀티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ulti-fuse capable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melt portion provided therein while being mounted in the box.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의 내부공간이 하부에 형성된 연통슬릿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부로는 확인창이 형성되는 퓨즈몸체와,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을 차폐하도록 퓨즈몸체의 확인창에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와, 상기 퓨즈몸체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통슬릿을 통해 퓨즈몸체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각각의 부품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연결레그와,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퓨즈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연결레그의 일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및 연결레그와 각각 제1 및 제2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에 과부하가 걸릴 때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slit formed in the lower inner space of the fuse body and the upper side of the fuse body, the fuse body of th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coupled to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to shield the confirmation window, a connection terminal exposed to one side of the fuse body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use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slit; A connection leg disposed to distribute power to each component, a bus ba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positioned to face a portion of the connection leg in an internal space of the fuse body, and the bus bar and the connection leg respectively to a first portion.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and melted and broken when the part is overload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nd.
상기 용단부는 상기 버스바와 각각의 연결레그의 상부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의해 상기 버스바와 연결레그에 연결되어 설치된다.The melted end is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the connecting leg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and each connecting leg.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연결레그가 연결되는 부품에 따라 달리 설계된다.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de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mponent to which the connecting leg is connected.
상기 퓨즈몸체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상부로 상기 확인창이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fuse body has a flat hexahedron shape so that the confirmation window is opened upward.
상기 용단부는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보다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에 결합되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The melt part is disposed at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and the cover has a hexahedron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check window of the fuse body is opened to surround the fuse part.
상기 용단부는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에 대응되는 내부공간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확인창을 차폐하도록 그 가장자리가 퓨즈몸체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판형상이다.
The melted portion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and the cover has a plate shape in which an edge thereof is coupled to the fuse body so as to shield the confirmation window.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에서는 멀티퓨즈의 퓨즈몸체에 확인창이 형성되고, 상기 확인창에 인접한 상기 퓨즈몸체의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도록 하였으므로, 멀티퓨즈가 박스에 설치된 상태로 작업자가 상기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nfirmation window is formed on the fuse body of the multi-fuse, and the blow-out part is located inside the fuse body adjacent to the check window, the operator can check the state of the blow-out part with the multi-fuse installed in the box.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venience is increa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멀티퓨즈가 박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fu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ox.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퓨즈(10)의 외관과 골격을 퓨즈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11)는 대략 납작하고 긴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퓨즈몸체(11)의 하부로 연통되게 연통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레그(20)가 관통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기 퓨즈몸체(11)의 상부로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게 형성되는데, 이 부분, 즉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가 확인창(12)을 형성한다. 상기 확인창(12)에는 커버(14)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4)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14)는 본 실시예에서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커버(14)가 상기 퓨즈몸체(11)의 확인창(12)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퓨즈몸체(11)와 협력하여 퓨즈몸체(11)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한다. 상기 커버(14)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작업자는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공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퓨즈몸체(11)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게 연결단자(16)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16)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단자(16)를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단자(16)에는 체결공(18)이 형성된다.A
상기 퓨즈몸체(11)의 하부로는 상기 연통슬릿을 통해 연결레그(20)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레그(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박스몸체(30)에 구비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레그(20)는 상기 퓨즈몸체(11)의 하부로 다수개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레그(20)들은 각각의 부하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레그(20)들은 다수개가 나란히 배열된다.A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자(16)에 연결되어 버스바(22)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22)는 상기 연결단자(16)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단자(16)와 일체이다. 상기 버스바(22)는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22)는 긴 직사각형의 판상인데, 상기 버스바(22)의 일면은 상기 연결레그(20)들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물론, 상기 버스바(22)의 하단보다 상기 연결레그(20)가 더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는 상기 버스바(22)는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레그(20)는 상기 퓨즈몸체(11)의 하부로 돌출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버스바(22) 및 상기 각각의 연결레그(20)와 연결되게 용단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용단부(24)는 상기 버스바(22)의 상단과 상기 연결레그(20)의 상단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용단부(24)는 상기 퓨즈몸체(11)의 확인창(12)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A
상기 용단부(24)는 상기 버스바(22) 및 연결레그(20)와 제1연결부(26)와 제2연결부(28)를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버스바(22)와 용단부(24)는 제1연결부(2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용단부(24)와 연결레그(20)는 상기 제2연결부(2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6)와 제2연결부(28)의 길이는 각각 달리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각각의 용단부(24)가 녹아 끊어지는 조건을 달리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26,28)의 길이를 달리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용단부(24)는 해당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리면 녹아서 끊어져, 해당 전장부품으로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melted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박스몸체이고, 32는 상기 박스몸체(30)에 설치된 릴레이이다.In the figur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below that the multi-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멀티퓨즈(10)는 하나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수개의 연결레그(20)를 통해 각각의 부품으로 전원을 배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퓨즈(10)는 박스몸체(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연결레그(20)들은 상기 박스몸체(30)에 구비된 상대 터미널들과 각각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multi-fuse 10 receives power from one power source and distributes power to each component through a plurality of
상기 멀티퓨즈(10)를 상기 박스몸체(30)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연결단자(16)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한다. 상기 터미널은 예를 들면 배터리 측과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단자(16)상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공(18)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After the multi-fuse 10 is installed o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을 통해 전원이 상기 연결단자(16)에 공급되면, 상기 연결단자(16)에서 버스바(22)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버스바(22)에서는 각각의 제1연결부(26)를 통해 각각의 용단부(24)로 전원이 배분되어 공급된다. 상기 용단부(24)로 전달된 전원은 상기 제2연결부(28)를 통해 상기 각각의 연결레그(2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레그(20)로 전달된 전원은 상기 박스몸체(30)에 설치된 터미널을 통해 각각의 부품으로 공급된다.In this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 부품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용단부(24)가 과열되면서 녹아 용단부(24)가 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녹아서 끊어진 용단부(24)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던 부품으로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In the process of supplying power and using a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may be overloaded. In this case, the melted
한편, 작업자는 상기 다수개의 용단부(24)의 상태를 필요한 경우에 확인하게 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몸체(30)에 멀티퓨즈(1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14)를 통해 상기 커버(14)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용단부(24)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will check the state of the plurality of melted
이와 같이 박스몸체(30)에 멀티퓨즈(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용단부(24)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박스몸체(30)의 상단에 확인창(12)을 형성하고, 상기 확인창(12)에 해당되는 위치에 용단부(24)가 있도록 상기 버스바(22)와 연결레그(2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결레그(20)와 버스바(22)의 상단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용단부(24)를 두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ate of the melted
즉, 상기 버스바(22)와 연결레그(20) 각각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용단부(24)가 위치되도록 상기 용단부(24)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연결부(26)와 제2연결부(28)가 상기 버스바(22) 및 연결레그(20)와 연결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That is, the first connecti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면, 상기 버스바(22)와 연결레그(20)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버스바(22)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단자(16)가 상기 퓨즈몸체(11)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도면상 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그리고, 상기 커버(14)의 형상을 판상으로 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퓨즈몸체(11)의 확인창(12)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공간의 내부에 용단부(24)가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용단부(24)가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위치에 있다. 물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도 상기 용단부(24)가 퓨즈몸체(11)의 내부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는 용단부(24)의 상태를 확인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워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10: 멀티퓨즈 11: 퓨즈몸체
12: 확인창 14: 커버
16: 연결단자 18: 체결공
20: 연결레그 22: 버스바
24: 용단부 26: 제1연결부
28: 제2연결부 30: 박스몸체
32: 릴레이10: Multi-fuse 11: fuse body
12: confirmation window 14: cover
16: connector 18: fastener
20: connecting leg 22: busbar
24: melt part 26: first connection part
28: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the box body
32: relay
Claims (6)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을 차폐하도록 퓨즈몸체의 확인창에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와,
상기 퓨즈몸체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통슬릿을 통해 퓨즈몸체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각각의 부품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연결레그와,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퓨즈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연결레그의 일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및 연결레그와 각각 제1 및 제2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퓨즈몸체의 확인창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에 과부하가 걸릴 때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A fuse body which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sli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and a confirmation window is formed at the top there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coupled to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to shield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A connection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fuse body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connection leg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fuse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slit and distributes power to each component;
A bus ba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positioned to face a portion of the connection leg in an inner space of the fuse body;
The bus bar and the connecting leg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respectively, are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and comprises a melted portion that is melted and broken when the component is overloaded Multifuse.
The multi-fuse of claim 1, wherein the melt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the connecting leg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bus bars and the connecting legs.
The multifus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art to which the connection leg is connected.
The multi-fu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use body has a flat hexahedron shape and the confirmation window is opened upward.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lted portion is disposed in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and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fuse body to surround the melted body is an open hexahedral shape Multifu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037A KR20120017372A (en) | 2010-08-18 | 2010-08-18 | Multi-f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037A KR20120017372A (en) | 2010-08-18 | 2010-08-18 | Multi-f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7372A true KR20120017372A (en) | 2012-02-28 |
Family
ID=4583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0037A Ceased KR20120017372A (en) | 2010-08-18 | 2010-08-18 | Multi-f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1737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061A (en) | 2014-12-30 | 2016-07-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ulti-fuse |
EP4104197A4 (en) * | 2020-02-11 | 2023-08-09 | Littelfuse, Inc. | SPACE-SAVING BUILT-IN FUSE MODULE |
-
2010
- 2010-08-18 KR KR1020100080037A patent/KR2012001737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061A (en) | 2014-12-30 | 2016-07-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ulti-fuse |
EP4104197A4 (en) * | 2020-02-11 | 2023-08-09 | Littelfuse, Inc. | SPACE-SAVING BUILT-IN FUSE MOD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1300B1 (en) | Fuse unit | |
CN101312287B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US8488303B2 (en) |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 |
CA2604368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20100328018A1 (en) | Fusible link unit | |
GB2493058A (en) | Bus bar designed to reduce wastage of material | |
JP4096431B2 (en) | Multiple fuse element and multiple fuse using the multiple fuse element | |
KR20190057883A (en) | Junction Block | |
KR100925951B1 (en) | Power distribution box of the vehicle | |
CN103026448B (en) | Fuse block device | |
KR20160148932A (en) | Multi fuse | |
JP2006320147A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20120017372A (en) | Multi-fuse | |
KR100830698B1 (en) | Fuse Box with Multi Fuse | |
KR20100084891A (en) | Fuse box | |
KR20110107169A (en) | Multi Fuse | |
CN111226302B (en) | Fuse box, fuse box assembly and vehicle comprising fuse box | |
KR100711102B1 (en) | Side connection type circuit breaker | |
JP2004127704A (en) | Fusible link unit | |
KR101503319B1 (en) | Terminal Cover for Circuit Breaker | |
KR20110007778U (en) | Multi fuse | |
KR200464160Y1 (en) | Multi-fuse mounting structure | |
KR100609449B1 (en) | Junction box | |
JP2020188533A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KR200450936Y1 (en) | Junction box signal transmiss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