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830A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6830A KR20120016830A KR1020100079308A KR20100079308A KR20120016830A KR 20120016830 A KR20120016830 A KR 20120016830A KR 1020100079308 A KR1020100079308 A KR 1020100079308A KR 20100079308 A KR20100079308 A KR 20100079308A KR 20120016830 A KR20120016830 A KR 201200168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lectrode
- emitting device
- semiconductor layer
- conductive semicondu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4—Coatings, e.g. passivation layers or antireflective coatin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구조물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속되며, 상기 홀의 내벽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 충분한 전류 분산이 구현되면서도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을 형성함으로서 외부 광 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ight emitting structure, at least one hole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Provided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first electrod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formed to cover an inner wall of the ho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do.
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forming a first electrode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while achieving sufficient current disper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극에 의한 광 손실이 최소화되며, 전류 분산 효과가 개선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electrode structure in which light loss caused by an electrode is minimized and current dispersing effect can be improved.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를 구성하는 질화물 단결정은 사파이어 또는 SiC 기판과 같이 특정의 성장용 기판상에서 형성된다. 하지만, 사파이어와 같이 절연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극의 배열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 즉,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전극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전류흐름이 협소해지게 된다. 이러한 협소한 전류 흐름으로 인해, 발광소자의 동작 전압이 증가하여 전류효율이 저하되며, 이와 더불어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에 취약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류가 발광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도전형 및 제 2 전극을 각각 패드(Pad)와 핑거(Finger) 전극으로 나누어 서로 교대로 배치하는 등의 시도가 있다. The nitride single crystal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is formed on a specific growth substrate such as sapphire or SiC substrat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n insulating substrate such as sapphire, the arrangement of electrodes is greatly limited. That is, in the conventional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ince the electrodes are general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urrent flow becomes narrow. Due to such a narrow current flow,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creased to reduce the current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may be vulnerable to electrostatic discharge. In this case, in order to spread the current uniformly throughout the light emitting surface, there are attempts such as dividing the first conductive type and the second electrode into pads and finger electrodes and alternately disposing each other.
하지만, 패드와 핑거 주위에 전류가 집중되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불균일하게 주입되어 발광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패드와 핑거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광면에서 전극이 점유하는 면적도 함께 증가되며, 이렇게 증가된 전극 면적에 의하여 광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전류 분산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광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However, current is concentrated around the pad and the finger, and holes and electrons are unevenly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ereby reducing light emission efficiency. In addition, as the ratio of the pad and the finger is increased, the area occupied by the electrode in the light emitting surface is also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light loss is caused by the increased electrode area. Accordingly,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a method of obtaining an electrode structure having excellent current dispersion effect and minimizing light loss.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에 의한 광 손실이 최소화되며, 전류 분산 효과가 개선될 수 있는 반도체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light loss by the electrode is minimized and current dispersing effect can be impr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구조물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속되며, 상기 홀의 내벽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A light emitting structure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o expose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hole forme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covering an inner wall of the ho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formed on and includes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이 경우,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 영역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활성층 사이 영역에 각각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insulator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active layer.
또한,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제 1 전극 패드가,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중 상부에 상기 제 1 전극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제 2 전극 패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 패드는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electrode pad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ad may be disposed in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not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t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나아가, 상기 홀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은 상기 2개 이상의 홀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의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은, 반도체 발광 소자 상에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을 제외한 영역에 상기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holes may be provid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first electrode may be formed to connect regions of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exposed by the two or more holes, and the holes It may be arranged to form one or more columns o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the region excluding the hole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having the light transmitting property is not formed.
상기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는 컨택 금속이 형성될 수 있다.A contact metal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having the light transmission property an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와, 상기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 배선 구조를 포함하며,A substrate, a two or mo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 connection wiring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to each other and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구조물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 및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속되며, 상기 홀의 내벽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The at least two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s removed to expose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at least one hole,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inner wall of the hole and the first It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having a light-transmitting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이 경우, 상기 연결 배선 구조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이, 다른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wiring structure may be formed in which the firs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anothe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또한 이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 영역 중 상기 연결 배선 구조 상에, 전극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컨택 금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In this case, an electrode pad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connection wiring structure among regions of the two or mo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nd a contact metal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further include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 홀 구조를 통하여 충분한 전류 분산이 구현되면서도 전도성 투명 전극층을 사용함으로서 광 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의 패드와 핑거의 형성으로 인한 발광층의 면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using a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while implementing sufficient current dispersion through the hole struc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ea los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ad and the finger in the prior ar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각각 평면도 및, A-A`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반도체 발광 소자에서, 컨택 금속을 더욱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등가회로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회로도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b) 및 도 8(c)는 도 8(a)에서, 각각 B-B' 및 C-C'라인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제시된 발광 장치에서, 컨택 금속을 더욱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a) and 1 (b) schematically show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respectively.
FIG. 2 illustrate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contact metal i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3 to 6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quivalent circuit.
8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e circuit diagram of FIG. 7, and FIGS. 8B and 8C are diagrams of FIGS.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ections of lines BB 'and C-C', respectively.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contact metal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도 1(a)는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의 평면도를, 도 1(b)는 도 1(a)의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A-A` 라인에 대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1 schematically show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FIG. 1A is a plan view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IG. 1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우선,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 제공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100)는, 기판(110) 상에 적층된 발광 구조물과, 발광 구조물의 제 1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11, 121), 또한 이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극(112, 122), 그리고 이들 전극과 각각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113, 123)을 구비하며, 특히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제 1 전극(112)이 연결되기 위하여 홀(H) 구조를 가지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전극(112)은, 발광 구조물 상부 영역 중, 홀(H)이 형성되는 영역 및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113. 123)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 배치되며, 이는 전류 흐름을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부 영역에 집중시키지 않고 가능한 넓은 영역에서 흐르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발광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1A and 1B, the semiconductor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판(110)상에 발광구조물이 형성되며, 상기 발광구조물은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 활성층(131)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을 구비하는 구조에 해당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기판(110) 사이에는 그 위에 성장되는 반도체층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면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버퍼층이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구조물의 일부 표면에는,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 및 활성층(131)이 제거되어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이 외부로 노출된 홀(H)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의 일부 표면에는,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2 전극(122)이 형성되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접속되고 홀(H)의 내벽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의 상면을 덮도록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12) 상에 제 1 전극 패드(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112)과 제 1 전극 패드(11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극(122) 상부 영역 중 제 1 전극(112)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제 2 전극 패드(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22)의 상부 영역중 반도체 발광 소자(100)의 한쪽 가장자리 표면에 제 2 전극 패드(12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 패드(123) 및 홀(H) 표면을 제외한 모든 표면에는 절연층(141)이 형성된다. 즉, 제 1 전극(112)은, 홀(H)을 통하여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절연층(141)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12) 표면 중 제 2 전극 패드(123)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제 1 전극 패드(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112)과 제 1 전극 패드(11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전극 패드(113)와 제 2 전극 패드(123)는 반도체 발광 소자(100) 내에서 최대한 멀리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함으로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전류 흐름의 개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a light emitting structure is formed on the
또한,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112)은, 제 1 전극 패드(113)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홀을 통해 반도체 발광 소자(100) 전체에 분산하며,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전도성 투명물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112)은 반드시 반도체 발광 소자(100) 전면을 덮을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112)을 광투과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서, 빛이 흡수, 반사되어 소멸되는 것을 막고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절연층(141)은,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112)이 제 2 전극(122),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 또는 활성층(131)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제 1 전극(112)과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21) 사이 및, 제 1 전극(112)과 활성층(131) 사이 영역에 형성되며, 광학적으로 투과 역할을 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광 손실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insulating
이어서, 도 1(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 제공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전류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전자(electron)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정공(hole)의 흐름을 나타내며, 제 1 패드(113)를 통해 인가된 전자의 흐름은 반도체 발광 소자(100)의 표면 전체를 따라 홀(H)을 통하여, 제 1 도전형 반도체(111)상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제공된다. 또한 제 2 패드(123)를 통해 인가된 정공 역시, LED 칩(100)의 표면 전체를 따라 제 2 전극(122)을 통하여 제 2 도전형 반도체(121)상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Next, the current flow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provided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b). In this case, an arrow indicated by a solid line indicates a flow of electrons, an arrow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dicates a flow of holes, and a flow of electrons applied through the
종래의 수평구조 반도체 발광 소자에서는, 소자의 가장자리에 패드와 핑거를 형성하여 전류 확산을 도모하였으나, 전극 주변에 전류가 집중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으며, 패드와 핑거의 높은 광흡수율로 인하여 광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반도체 발광 소자(100)전면에 골고루 전류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광 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ds and fingers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devices to achieve current diffusion, but curr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lectrodes cannot be avoided, and light efficiency is increased due to high light absorption of the pads and fingers. Although there was a low problem,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current is evenly distribu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반도체 발광 소자(100)는,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113, 123)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전극(112, 122)을 거쳐 발광 구조물 전체적으로 고른 전류분포를 보이도록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또한, 발광 구조물 상의 일부에 홀(H)을 다수 형성하여 제 1 전극(112)과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이 경우, 홀(H)의 위치가 발광 구조물 전면에 적절히 퍼져서 분포하도록 형성하여 전류 흐름 특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본 실시 형태에서 제공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경우, 기판(110)은 질화물 반도체 단결정의 성장을 위하여 제공되며, 사파이어, Si, ZnO, GaAs, SiC, MgAl2O4, MgO, LiAlO2, LiGaO2 , GaN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파이어는 육각-롬보형(Hexa-Rhombo R3c) 대칭성을 갖는 결정체로서 c축 및 a측 방향의 격자상수가 각각 13.001Å과 4.758Å이며, C(0001)면, A(1120)면, R(1102)면 등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C면은 비교적 질화물 박막의 성장이 용이하며, 고온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특히, 질화물 반도체의 성장용 기판으로 주로 사용된다. 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제 1 도전형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02, 104)은 질화물 반도체, 구체적으로,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표현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aN, AlGaN, InGaN 등의 물질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11, 121) 사이에 형성되는 활성층(131)은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소정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방출하며, 양자우물층과 양자장벽층이 서로 교대로 적층된 다중 양자우물(MQW) 구조, 예컨대, InGaN/GaN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1 도전형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11, 121)과 활성층(131)은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MOCVD, MBE, HVPE 등과 같은 반도체층 성장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s 102 and 104 are nitride semiconductors, specifically, Al x In y Ga (1-xy) N composition formulas, where 0 ≦ x ≦ 1 and 0 ≦ y ≦ 1, 0 ≦ x + y ≦ 1),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GaN, AlGaN, InGaN, or the like. The
또한, 홀(H)은, 1개소 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홀(H)간의 간격이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반도체 발광 소자(100)의 특정 영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대칭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류 분산이 최적의 특성을 나타내도록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홀(H)은,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0)을 보았을 때 얻어지는 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등 필요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es H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locations, and the holes H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so as not to be bias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emiconducto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도 1 에 도시한 반도체 발광 소자에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제 1 전극(112)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양 구성요소 사이에 컨택 금속(250)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 이 경우, 컨택 금속(250)을 형성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에 도시한 반도체 발광 소자와 모두 동일한 구성의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제 1 전극(112) 사이에 컨택 금속(250)을 형성함으로써 전류 인가시의 저항 특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FIG. 2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도 3 내지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에서 도시한 반도체 발광 소자와 동일하나, 홀(H)의 형성 위치, 홀(H)의 형태 및, 제 1 전극의 형태를 달리 하여 구성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3 to 6 illustrat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 bu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hole H and the hole (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comprised by the form of H) and the form of a 1st electrode is shown.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절연층(341), 제 1 및 제 2 전극(312, 322),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313, 323)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동일한 구성임을 알 수 있고, 다만 홀(H)의 형성 위치가 상하좌우가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insulating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절연층(441), 제 2 전극(422),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413, 423) 및 홀(H)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동일한 구성임을 알 수 있고, 다만 제 1 전극(412)의 형태가 절연층(441)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홀(H)과, 이웃한 다른 홀(H)이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사이의 공간에는 제 1 전극(412)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제공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the insulating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절연층(541), 제 2 전극(522),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513, 523) 및 홀(H)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동일한 구성임을 알 수 있고, 다만 제 1 전극(512)의 형태가 절연층(541)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홀(H)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열과, 이웃한 다른 열 사이의 공간 중 일부 영역에는 제 1 전극(512)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제공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insulating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절연층(441), 제 2 전극(422), 제 1 및 제 2 전극 패드(413, 423)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반도체 발광 소자와 동일한 구성임을 알 수 있고, 다만 제 1 전극(412)의 형태가 절연층(441)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홀(H)이 세로 방향으로 이루는 열과, 이웃한 다른 열 사이의 공간 중 일부 영역에는 제 1 전극(412)이 형성되지 않음과 동시에, 홀(H)의 형성 위치가 상하좌우가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된다.6, the insulating
이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홀(H) 및 제 1 전극의 배치를 통하여 최적의 전류 분산 효과 및 저항 특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ptimum current dispersion effect and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 may be obtain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various holes H and the first electrode.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교류 구동형 발광 장치를 나타내며, 이 경우,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발광 장치 중 일부의 구성요소와 그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등가회로도이며, 도 8(a)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발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8(a)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B-B'라인 측단면도이며, 도 8(c)는 도8(a)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C-C'라인 측단면도이다. 7 to 8 illustrate an AC driven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FIG. 7 is an equivalent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som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nd a coupling relationship thereof. 8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8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FIG. 8C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우선, 도 7 을 참조하면, 전원이 인가되는 양 교류 전극(701, 702)에 병렬로 연결되되, 순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D1, D2)가 제공된다. 이는 후술할 도 8의 일부 구성요소를 간략히 나타낸 등가 회로의 예로서, 상기 양 전극(701, 702)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동작이 가능한 발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즉, 양 발광 다이오드(D1, D2) 중 하나가 전원에 대하여 역방향이어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가 반드시 순방향이 되도록 상보적으로 구성되어, 전원이 직류가 아닌 교류인 경우에도 작동이 가능하다. First, referring to FIG. 7, light emitting diodes D1 and D2 are provided, which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또한,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도 1 에서 제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2개 마련하고, 양 발광 소자를 도 7에서 제시하는 회로도의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발광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8 (a), 8 (b) and 8 (c),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configured by providing two and electrically connecting both light emitting elements in the form of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드시 두 개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반드시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발광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좌측에 형성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 우측에 형성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로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8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발광 소자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1, 811D2)은 n형, 제 2도전형 반도체층(821D1, 821D2)은 p형 반도체층일 것을 전제로 하여,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도 7 의 등가회로와 대응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도체층의 n, p형 여부는 실시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 배선 구조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제 1 전극(812D1, 812D2)을 채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 형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광 투과성 전도성 물질을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Prior to describing such a configura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nfig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same form as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two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as a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ormed on the right side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811D1 and 811D2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evices formed in FIG. 8 are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821D1 and 821D2 are p-type semiconductor layers. Assuming that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will be describ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 and p types of semiconductor layer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812D1 and 812D2 are integrally formed as connection wiring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connected using a light-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in an appropriate fo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제,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발광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에는 공통적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하나씩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 중 어느 하나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1, 811D2)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반도체발광 소자의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1, 821D2)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두 개의 제 1 전극(812D1, 812D2)이 제 1 및 제 2 구조물을 다리 형태로 연결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서 순환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평행하게 배치되는 각 제 1 전극(812D1, 812D2)의 중심부에는 제 1 및 제 2 교류 전극 패드(801, 802)가 형성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취함으로써,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회로도의 구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Now, the light emitting device presented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8B, and 8C. 8A, 8B, and 8C, on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in common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Two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811D1 and 811D2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821D1 and 821D2 of the othe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e electrodes 812D1 and 812D2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s in the form of legs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o form a circulation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812D1 and 812D2 are arrang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parallel electrodes. The second
즉,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는 도 7에서 좌측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D1)에 대응하고,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는 도 7에서 우측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D2)에 대응하고, 제 1 교류 전극 패드(801)는 도 7에서 회로도 상부에 위치한 교류 전극(701)에 대응하고, 제 2 교류 전극 패드(802)는 도 7에서 회로도 하부에 위치한 교류 전극(702)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2)과 상기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1)및 제 1 교류 전극 패드(801)을 한꺼번에 연결하는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812D2)은 도 7에서 좌, 우측 발광 다이오드(D1, D2)및 회로도 상부에 위치한 교류 전극(701)을 한꺼번에 연결하는 도선에 해당하고, 상기 제 1 발광 소자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1)과 상기 제 2 발광 소자의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2)및 제 2 교류 전극 패드(802)을 한꺼번에 연결하는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812D1)은 도 7에서 좌, 우측 발광 다이오드(D1, D2)및 회로도 하부에 위치한 교류 전극(702)을 한꺼번에 연결하는 도선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끼리 연결되는 방식을 취한다.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light emitting diode D1 formed on the left side in FIG. 7,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light emitting diode D2 formed on the right side in FIG. 7, and the first AC electrode pad ( 801 corresponds to the
또한, 제 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 사이의 영역은 기판(810)이 노출된 노출 영역으로 제공되며, 상기 노출 영역으로 인하여 제 1 및 제 2 구조물은 상기 제 1 및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812D1, 812D2)을 통하여 연결됨을 제외하고는 전기적인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provided as an exposed area wher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는, 각각 기판(810) 상에,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1, 811D2), 활성층(831D1, 831D2),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1, 821D2)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1, 811D2)이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 구조물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H)과,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1, 821D2) 상에 형성되어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1, 821D2)과 접속된 제 2 전극(822D1, 822D2)과, 제 1 도전형 반도체층(811D1, 811D2)과 접속되며, 상기 홀(H)의 내벽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821D1, 821D2)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811D1) 및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811D2)을 포함한다는 점은 도 1에서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are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811D1 and 811D2, the active layers 831D1 and 831D2,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n the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를 2 개 연결하여 이용하여 교류용 반도체 발광 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발광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configuring an AC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by connecting two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wo or mo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in the same mann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장치로서, 도 8(a) 에 도시한 반도체 발광 장치의 단면도에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911D1, 911D2)과 제 1 전극(912D1, 912D2)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양 구성요소 사이에 컨택 금속(950)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 이 경우, 컨택 금속(950)을 형성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 에 도시한 발광 장치와 모두 동일한 구성의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컨택 금속(950)을 형성함으로써 전류 인가시의 저항 특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9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8A,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911D1 and 911D2 and the first electrodes 912D1, 912D2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present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a form of forming a
본 발명은 서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are possible.
H: 홀(hole)
100: 반도체 발광 소자
110, 210, 810, 910: 기판
111, 211, 311, 411, 511, 611: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121, 221, 321, 421, 521, 621: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131, 231, 331, 431, 531, 631: 활성층
112, 212, 312, 412, 512, 612: 제 1 전극
122, 222, 322, 422, 522, 622: 제 2 전극
141, 242, 342, 442, 542, 642: 절연층
113, 213, 313, 413, 513, 613: 제 1 전극패드
123, 223, 323, 423, 523, 623: 제 2 전극패드
250: 콘택 금속
701: 제 1 교류 전극
702: 제 2 교류 전극
D1, D2: 발광 다이오드
811D1, 911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812D1, 912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813D1, 913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패드
821D1, 921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822D1, 922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전극
823D1, 923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전극패드
831D1, 931D1: 제 1 반도체 발광 소자의 활성층
841D2, 941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절연층
811D2, 911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812D2, 912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813D2, 913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패드
821D2, 921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822D2, 922D2: 제 2 반도체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전극
823D2, 923D2: 제 2 반도체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 2 전극패드
831D2, 931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활성층
841D2, 941D2: 제 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절연층
950: 콘택 금속H: hole
100: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110, 210, 810, 910: substrate
111, 211, 311, 411, 511, and 611: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21, 221, 321, 421, 521, and 621: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31, 231, 331, 431, 531, 631: active layer
112, 212, 312, 412, 512, 612: first electrode
122, 222, 322, 422, 522, 622: second electrode
141, 242, 342, 442, 542, 642: insulating layer
113, 213, 313, 413, 513, 613: first electrode pad
123, 223, 323, 423, 523, 623: second electrode pad
250: contact metal
701: first alternating electrode
702: second alternating electrode
D1, D2: light emitting diode
811D1 and 911D1: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12D1 and 912D1: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13D1 and 913D1: first electrode pad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21D1, 921D1: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22D1 and 922D1: second electrode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23D1 and 923D1: second electrode pad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831D1 and 931D1: active layer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841D2 and 941D2: Insulating Layer of Seco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811D2 and 911D2: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12D2 and 912D2: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13D2 and 913D2: first electrode pad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21D2 and 921D2: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f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22D2 and 922D2: second electrode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23D2 and 923D2: second electrode pad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31D2 and 931D2: active layer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841D2 and 941D2: Insulating Layer of Seco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950: contact metal
Claims (13)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구조물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속되며, 상기 홀의 내벽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Board;
A light emitting structure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t least one hole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o expos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formed to cover an inner wall of the ho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
상기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 배선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구조물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 및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접속되며, 상기 홀의 내벽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Board;
Two or mo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to each other and comprising a connection wiring structur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at least two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s removed to expose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at least one hole,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inner wall of the hole and the first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form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a two-conducting semiconductor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308A KR20120016830A (en) | 2010-08-17 | 2010-08-17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308A KR20120016830A (en) | 2010-08-17 | 2010-08-17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6830A true KR20120016830A (en) | 2012-02-27 |
Family
ID=4583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9308A Ceased KR20120016830A (en) | 2010-08-17 | 2010-08-17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16830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81251A1 (en) * | 2012-11-23 | 2014-05-30 | 일진엘이디(주) | Light-emitting device having excellent current spreading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WO2017030396A1 (en) * | 2015-08-18 | 2017-02-23 | 엘지이노텍(주) |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compris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
CN111987209A (en) * | 2015-11-18 | 2020-11-24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 emitting element |
US11658269B2 (en) | 2015-11-13 | 2023-05-23 | Epistar Corporation | Light-emitting device |
-
2010
- 2010-08-17 KR KR1020100079308A patent/KR2012001683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81251A1 (en) * | 2012-11-23 | 2014-05-30 | 일진엘이디(주) | Light-emitting device having excellent current spreading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WO2017030396A1 (en) * | 2015-08-18 | 2017-02-23 | 엘지이노텍(주) |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compris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
US10998478B2 (en) | 2015-08-18 | 2021-05-04 | Lg Innotek Co., Ltd. |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compris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
US11658269B2 (en) | 2015-11-13 | 2023-05-23 | Epistar Corporation | Light-emitting device |
US12176465B2 (en) | 2015-11-13 | 2024-12-24 | Epistar Corporation | Light-emitting device |
CN111987209A (en) * | 2015-11-18 | 2020-11-24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 emitting element |
CN111987210A (en) * | 2015-11-18 | 2020-11-24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 emitting element |
CN111987208A (en) * | 2015-11-18 | 2020-11-24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 emitting element |
CN111987208B (en) * | 2015-11-18 | 2023-07-04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emitting element |
CN111987209B (en) * | 2015-11-18 | 2024-11-12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emitting componen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87985B2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0974923B1 (en) | Light emitting diode | |
US9673355B2 (en)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electrode pads | |
KR100706944B1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JP4777293B2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 |
KR101978968B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 |
KR101276053B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 |
KR20140006485A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ulti-cell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9859331B2 (en) | Preparation method for high-voltage LED device integrated with pattern array | |
CN102468390B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30011767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20016830A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 |
US20140091351A1 (en) | Light emitting diode chip | |
KR20130087767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10117963A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48247B1 (en) |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1009441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10069374A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1037987B1 (en) |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electrode pattern | |
US20140131759A1 (en)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 |
KR102399278B1 (en) | Light emitting diode | |
KR101601625B1 (en) | Light emitting diod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20124640A (en) | Light emitting diode | |
KR20120028567A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ulti-cell array | |
KR101603773B1 (en)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