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476A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6476A KR20120016476A KR1020100078856A KR20100078856A KR20120016476A KR 20120016476 A KR20120016476 A KR 20120016476A KR 1020100078856 A KR1020100078856 A KR 1020100078856A KR 20100078856 A KR20100078856 A KR 20100078856A KR 20120016476 A KR20120016476 A KR 201200164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region
- pixel
- pixels
- mo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44—Varying exp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로-민 노말라이즈드 크로스 코릴레이션(ZNCC)을 사용하여 영상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영상의 글로벌 모션을 보상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영상의 클러스터링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영상 처리 방법을 도면이다.
LDR1, LDR2, LDR3 : 제1영상, 제2영상, 제3영상
LDR1`, LDR2`, LDR3` : 제1`영상, 제2`영상, 제3`영상
FM1, FM2, FM3: 제1특징맵, 제2특징맵, 제3특징맵
FM1`, FM2`, FM3`: 제1`특징맵, 제2`특징맵, 제3`특징맵
FM1``, FM2``, FM3``: 제1``특징맵, 제2``특징맵, 제3``특징맵
FFM1, FFM2, FFM3: 제1최종특징맵, 제2최종특징맵, 제3최종특징맵
RM: 레디언스맵
Claims (22)
- 노출 정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을 제공하는 로우다이나믹레인지영상제공부;
제공된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 각각을 인텐시티값을 기준으로, 포화영역, 저포화영역 및 비포화영역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포화영역검출부;
상기 포화영역, 저포화영역 및 비포화영역으로 표시된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의 비포화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비포화영역의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 나타내는 특징맵들을 생성하는 특징맵생성부;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화소들을 움직임화소 및 정지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최종특징맵들을 도출하는 최종특징맵도출부;
상기 최종특징맵들과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에 포함된 움직임영역 및 정지영역을 정의하는 움직임영역정의부;
정의된 상기 움직임영역에 제1잡음제거필터를 사용하고, 정의된 상기 정지영역에 제2잡음제거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 및
잡음이 제거된 상기 움직임영역의 가중치를 잡음이 제거된 상기 정지영역의 가중치보다 낮게 하여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에 대응되는 레디언스맵을 생성하는 레디언스맵생성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정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 각각의 글로벌 모션을 보상하는 글로벌모션보상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특징맵도출부는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화소들을 특징값들을 기준으로, 움직임화소, 미정의화소 및 정지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는 3진변환부;
상기 3진변환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상기 미정의화소를 주변화소들의 밝기값의 평균을 임계값으로 하여 상기 움직임화소 또는 정지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2진변환부; 및
상기 2진변환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상기 움직임화소 및 정지화소를 클러스터링하여 최종특징맵들을 도출하는 클러스터링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다이나믹레인지영상제공부는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로서, 부족노출된 제1영상, 적정노출된 제2영상 및 과노출된 제3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영역검출부는
상기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 각각을 상기 포화영역, 저포화영역 및 비포화영역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징맵생성부는,
상기 포화영역이 표시된 제2영상을 기준영상으로 하여,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포화영역이 표시된 제1영상의 상기 비포화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비포화영역의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 제로-민 노말라이즈드 크로스 코릴레이션(ZNCC)을 사용하여 밝기값으로 나타내는 제1특징맵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포화영역이 표시된 제3영상의 상기 비포화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비포화영역의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 제로-민 노말라이즈드 크로스 코릴레이션(ZNCC)을 사용하여 밝기값으로 나타내는 제2특징맵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진변환부는,
상기 특징값이 제1특징값 및 제1특징값보다 밝기가 큰 제2특징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1특징맵 및 상기 제2특징맵에 포함된 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제1특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화소를 상기 움직임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특징맵 및 상기 제2특징맵에 포함된 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제1특징값보다 크고 제2특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화소를 상기 미정의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특징맵 및 상기 제2특징맵에 포함된 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제2특징값보다 큰 경우, 상기 화소를 상기 정지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진변환부는
상기 미정의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미정의화소는 상기 움직임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미정의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미정의화소는 상기 정지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링부는
상기 움직임화소 및 정지화소에 모폴로지연산을 적용함으로써 클러스터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영역정의부는
상기 최종특징맵들이 상기 제1특징맵에 대응하는 제1최종특징맵과 상기 제2특징맵에 대응하는 제2최종특징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최종특징맵과 상기 제1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움직임영역을 정의 및 상기 정지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제2최종특징맵과 상기 제3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움직임영역을 정의 및 상기 정지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영역을 정의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잡음제거필터는 상기 움직임영역의 3차원 스트럭처텐서를 사용하여 설계된 시공간잡음제거필터이며, 상기 제2잡음제거필터는 상기 정지영역의 2차원 스트럭처텐서를 사용하여 설계된 공간적잡음제거필터인 영상 처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디언스맵생성부는
잡음이 제거된 상기 움직임영역의 가중치를, 잡음이 제거된 상기 정지영역의 가중치보다 낮게 하여, 상기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레디언스맵을 드베벡 앤드 마릭의 방법으로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 노출 정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을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 각각을 인텐시티값을 기준으로, 포화영역, 저포화영역 및 비포화영역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화영역, 저포화영역 및 비포화영역으로 표시된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의 비포화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비포화영역의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 나타내는 특징맵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화소들을 특징값들을 기준으로, 움직임화소, 미정의화소 및 정지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상기 미정의화소는 주변화소들의 밝기값의 평균을 임계값으로 하여 상기 움직임화소 또는 정지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정의화소가 변환된 상기 특징맵들에 포함된 상기 움직임화소 및 정지화소를 클러스터링하여 최종특징맵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최종특징맵들과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에 포함된 움직임영역 및 정지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정의된 상기 움직임영역에 제1잡음제거필터를 사용하고, 정의된 상기 정지영역에 제2잡음제거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및
잡음이 제거된 상기 움직임영역의 가중치를 잡음이 제거된 상기 정지영역의 가중치보다 낮게 하여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에 대응되는 레디언스맵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정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 각각의 글로벌 모션을 보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은 부족노출된 제1영상, 적정노출된 제2영상, 과노출된 제3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 각각을 상기 포화영역, 저포화영역 및 비포화영역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징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화영역이 표시된 제2영상을 기준영상으로 하여,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포화영역이 표시된 제1영상의 상기 비포화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비포화영역의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 제로-민 노말라이즈드 크로스 코릴레이션(ZNCC)을 사용하여 밝기값으로 나타내는 제1특징맵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포화영역이 표시된 제3영상의 상기 비포화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비포화영역의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 제로-민 노말라이즈드 크로스 코릴레이션(ZNCC)을 사용하여 밝기값으로 나타내는 제2특징맵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화소, 미정의화소 및 정지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징값이 제1특징값 및 제1특징값보다 밝기가 큰 제2특징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1특징맵 및 상기 제2특징맵에 포함된 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제1특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화소를 상기 움직임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특징맵 및 상기 제2특징맵에 포함된 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제1특징값보다 크고 제2특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화소를 상기 미정의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특징맵 및 상기 제2특징맵에 포함된 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제2특징값보다 큰 경우, 상기 화소를 상기 정지화소로 정의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정의화소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미정의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미정의화소는 상기 움직임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미정의화소의 밝기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미정의화소는 상기 정지화소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화소 및 정지화소에 모폴로지연산을 적용함으로써 클러스터링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영역 및 정지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특징맵들이 상기 제1특징맵에 대응하는 제1최종특징맵과 상기 제2특징맵에 대응하는 제2최종특징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최종특징맵과 상기 제1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움직임영역을 정의 및 상기 정지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제2최종특징맵과 상기 제3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움직임영역을 정의 및 상기 정지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정지영역을 정의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잡음제거필터는 상기 움직임영역의 3차원 스트럭처텐서를 사용하여 설계된 시공간잡음제거필터이며, 상기 제2잡음제거필터는 상기 정지영역의 2차원 스트럭처텐서를 사용하여 설계된 공간적잡음제거필터인 영상 처리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레디언스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잡음이 제거된 상기 움직임영역의 가중치를, 잡음이 제거된 상기 정지영역의 가중치보다 낮게 하여, 상기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레디언스맵을 드베벡 앤드 마릭의 방법으로 생성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들은 잡음이 발생하는 촬영조건에서 촬영된 영상인 영상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856A KR101661215B1 (ko) | 2010-08-16 | 2010-08-16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US13/034,764 US8854489B2 (en) | 2010-08-16 | 2011-02-25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856A KR101661215B1 (ko) | 2010-08-16 | 2010-08-16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6476A true KR20120016476A (ko) | 2012-02-24 |
KR101661215B1 KR101661215B1 (ko) | 2016-09-30 |
Family
ID=4556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88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1215B1 (ko) | 2010-08-16 | 2010-08-16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854489B2 (ko) |
KR (1) | KR10166121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7445A (ko) * | 2016-11-22 | 2018-05-30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저선량 촬영한 동적 3차원 의료영상을 시공간 특징 기반으로 개선하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2270B1 (ko) * | 2004-04-15 | 2011-02-07 |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 낮은 동적 범위로부터 높은 동적 범위로 이미지를 변환하는방법 및 시스템 |
US20130044237A1 (en) * | 2011-08-15 | 2013-02-21 | Broadcom Corporation | High Dynamic Range Video |
US9235875B2 (en) * | 2012-11-01 | 2016-01-12 | Google Inc. | Image enhancement using learned non-photorealistic effects |
US9807099B2 (en) | 2013-03-15 | 2017-10-31 | Google Inc. | Utility portals for managing demand-response events |
CN104349066B (zh) * | 2013-07-31 | 2018-03-06 |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 一种生成高动态范围图像的方法、装置 |
KR102171387B1 (ko) * | 2014-03-06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포화 픽셀 데이터의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의 프로세싱 방법 |
SG11201608233WA (en) * | 2014-03-31 | 2016-10-28 | Agency Science Tech & Res | Image processing devices and image processing methods |
KR102273656B1 (ko) | 2014-11-24 | 2021-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역 역광 보정 영상의 노이즈 레벨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 |
US10122936B2 (en) * | 2015-09-02 | 2018-11-06 | Mediatek Inc. | Dynamic noise reduction for high dynamic range in digital imaging |
US9762893B2 (en) | 2015-12-07 | 2017-09-12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copic noise reduction and high-dynamic range |
JP2017139691A (ja) * | 2016-02-05 | 2017-08-10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US10467733B2 (en) * | 2017-07-27 | 2019-11-05 | Raytheon Company | Multiplexed high dynamic range images |
EP3493150A1 (en) * | 2017-11-30 | 2019-06-05 |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 Tone mapping adaptation for saturation control |
US10607047B2 (en) * | 2017-12-06 | 2020-03-31 | Cognex Corporation | Local tone mapping for symbol reading |
CN108564552A (zh) * | 2018-04-28 | 2018-09-21 |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 图像去模糊的方法及装置 |
US10846321B2 (en) | 2018-05-31 | 2020-11-24 | Robert Bosch Gmbh | System and method for large scale multidimensional spatio-temporal data analysis |
US11165966B2 (en) | 2018-09-19 | 2021-11-02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WO2020081330A1 (en) * | 2018-10-15 | 2020-04-23 | Bio-Rad Laboratories, Inc. | Saturation avoidance in digital imaging |
GB2588616B (en) * | 2019-10-29 | 2021-10-27 | Visidon Oy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2818268B1 (ko) | 2019-11-01 | 2025-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장치, 및 이미지 센서의 동작 방법 |
KR20220030016A (ko) | 2020-09-02 | 2022-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
KR102287407B1 (ko) * | 2020-12-18 | 2021-08-06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미지 생성을 위한 학습 장치 및 방법과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94687A (ja) * | 2006-01-17 | 2007-08-02 | Seiko Epson Corp | 撮像装置 |
JP2008306326A (ja) * | 2007-06-06 | 2008-12-18 | Sony Corp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JP2010103700A (ja) * | 2008-10-22 | 2010-05-06 | Ricoh Co Ltd |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
JP2011525058A (ja) * | 2008-06-19 | 2011-09-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撮像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ぶれ及びゴースト防止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79731B2 (en) * | 2003-04-29 | 2005-04-12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process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video |
-
2010
- 2010-08-16 KR KR1020100078856A patent/KR10166121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2-25 US US13/034,764 patent/US885448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94687A (ja) * | 2006-01-17 | 2007-08-02 | Seiko Epson Corp | 撮像装置 |
JP2008306326A (ja) * | 2007-06-06 | 2008-12-18 | Sony Corp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JP2011525058A (ja) * | 2008-06-19 | 2011-09-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撮像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ぶれ及びゴースト防止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JP2010103700A (ja) * | 2008-10-22 | 2010-05-06 | Ricoh Co Ltd |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7445A (ko) * | 2016-11-22 | 2018-05-30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저선량 촬영한 동적 3차원 의료영상을 시공간 특징 기반으로 개선하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854489B2 (en) | 2014-10-07 |
KR101661215B1 (ko) | 2016-09-30 |
US20120038797A1 (en) | 2012-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1215B1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
CN110062160B (zh) | 图像处理方法和装置 | |
CN110072051B (zh) | 基于多帧图像的图像处理方法和装置 | |
CN109068067B (zh) | 曝光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 |
CN109040609B (zh) | 曝光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JP6066536B2 (ja) | ゴーストのない高ダイナミックレンジ画像の生成 | |
KR20130031574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
JP6720881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KR20120114899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
JP2018041380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10740266B (zh) | 图像选帧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CN110166709A (zh) | 夜景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 |
WO2019124289A1 (ja) | 装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 |
US20200007732A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CN110166711A (zh) |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 |
US20190108625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9191573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exposure condition by calculating aphotmetric value for each object reg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10863103B2 (en) | Setting apparatus,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KR20180138530A (ko) | 검출 장치, 이미지 처리 장치, 검출 방법, 및 이미지 처리 방법 | |
JP2010183460A (ja) |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6029464B2 (ja) |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 |
US10021314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changing shading using a virtual light source | |
JP2016092513A (ja) | 画像取得装置、ブレ軽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663246B2 (ja) |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
JP2015080157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