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6223A -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223A
KR20120016223A KR1020117026032A KR20117026032A KR20120016223A KR 20120016223 A KR20120016223 A KR 20120016223A KR 1020117026032 A KR1020117026032 A KR 1020117026032A KR 20117026032 A KR20117026032 A KR 20117026032A KR 20120016223 A KR20120016223 A KR 2012001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qi
subframe
cell
unit
en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396B1 (ko
Inventor
야스아키 유다
세이고 나카오
아야코 호리우치
다이치 이마무라
마사유키 호시노
아츠시 스마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1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8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with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ifferent frequencies each representing one cod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접 셀의 간섭이 없는 상태의,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정밀도 좋게 측정하는 것.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단말은, 기지국과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셀이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있는 영역에서,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국제적인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4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LTE-Advanced(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의 표준화가 시작되었다. LTE-A에서는, 비특허문헌 1과 같이, 커버리지(coverage)의 확대나 캐패시티(capacity)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중계국(Relay Node)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릴레이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 도 20을 참조하여 릴레이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 eNB는 기지국, RN은 중계국, UE는 무선 통신 단말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UE1은 eNB에 접속되는 무선 통신 단말, UE2는 RN에 접속되는 무선 통신 단말을 각각 나타낸다.
LTE-A에서는, RN도 eNB와 같이, 개별의 셀 ID를 가지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UE에서 보면, RN도 eNB와 같이 하나의 셀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eNB는 유선 통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한편, RN은 무선 통신으로 eNB와 접속하고 있다. RN과 eNB를 접속하는 통신 회선은, 백홀(backhaul) 회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에 반해, eNB 또는 RN과 UE를 접속하는 통신 회선은 액세스(access) 회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향 회선(downlink channel)에서는, 예컨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RN은 백홀 회선에서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도면 중 화살표 A)하고, RN의 액세스 회선에서 UE2에 대해 신호를 송신(도면 중 화살표 B)한다. 백홀 회선과 액세스 회선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는 경우, RN이 송수신을 동시에 행하면 피드백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RN은 송수신을 동시에 행할 수 없다. 따라서, LTE-A에서는, 백홀 회선과 RN의 액세스 회선을 시간 영역(서브프레임 단위)으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Relay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상술한 Relay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Relay 방식에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기호 [n, n+1, …]은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도면 중의 박스는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eNB의 송신 서브프레임(도면 중 그물망 표시부), UE1의 수신 서브프레임(도면 중 공백부), RN의 송신 서브프레임(도면 중 우측 사선부), UE2의 수신 서브프레임(도면 중 좌측 사선부)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화살표(굵은 선)로 나타낸 바와 같이, eNB로부터, 모든 서브프레임 [n, n+1, …, n+6]에서 신호가 송신되어 있다. 또한, 도 21의 화살표(굵은 선) 또는 화살표(파선)로 나타낸 바와 같이, UE1에서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의 화살표(파선) 또는 화살표(얇은 선)로 나타낸 바와 같이, RN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n+2, n+6]를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 또한, 도 21의 화살표(얇은 선)로 나타낸 바와 같이, UE2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n+2, n+6]를 제외한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RN은 서브프레임 번호[n+2, n+6]의 서브프레임에서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즉, RN에서는, 서브프레임 번호[n+2, n+6]의 서브프레임이 백홀 회선으로서 기능하고, 그 이외의 서브프레임은 RN의 액세스 회선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RN이 백홀로서 기능하는 서브프레임[n+2, n+6]에서, RN이 eNB로부터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면, RN의 존재를 모르는 LTE의 무선 통신 단말에서, RN의 품질을 측정하는 메저먼트(measurement) 동작이 기능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LTE-A에서는, LTE에 규정되어 있는 MBSFN(Multicast/Broadcast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은, 장래적으로 MBMS(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 준비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이다.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선두 2심볼에서 셀 고유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 MBMS용의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LTE의 무선 통신 단말은,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선두 2심볼을 사용하여 메저먼트를 행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은, RN 셀에서 의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RN 셀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의 선두 2심볼에서는, RN 셀 고유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는 MBMS용의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문에, RN 셀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백홀 회선의 수신 서브프레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RN 셀에서 의사적으로 이용한 MBSFN 서브프레임을,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도 21에 있어서의 RN의 서브프레임[n+2, n+6]에서는, RN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UE1에 있어서는,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없어져, SIR(신호대 간섭 전력비)가 개선된다. eNB는, SIR가 개선되는 UE를, 서브프레임[n+2, n+6]에서 적극적으로 할당하여, UE에서의 사용자 스루풋(user throughput)을 향상하고, 이에 의해 셀 전체의 스루풋이 향상된다. 그래서, 셀 전체의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eNB는 UE에서의 회선 품질을 알 필요가 있다.
비특허문헌1: 3GPP TR36814 v04,1(2009-02) "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 Physrcal Layer Aspects(Release9)" 비특허문헌 2: 3GPP TS36,213 v8.5.0(2008-12) "Physical layer procedures(Release8)"
그러나, LTE의 CQI 측정에서는, eNB 제어 하의 UE1은, CQI를 측정하는 리소스에서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있으면,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없는 경우의 CQI를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없다.
여기서, CQI(Channel Quarity Indicator)란, 수신측에서 본 수신 회선의 품질이다.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으로 CQI를 피드백하고, 송신측이 피드백된 CQI에 따라, 수신측에 송신할 신호의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셀의 간섭이 없는 상태의,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기지국과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셀이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있는 영역에서,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중계국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상기 중계국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상기 중계국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셀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복수회 측정하고, 복수의 회선 품질을 평균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 중에서 가장 고품질인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복수의 상기 중계국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측정부에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 중에서 가장 고품질인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에 의하면, 인접 셀의 간섭이 없는 상태 하에서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eNB 제어 하의 UE가 CQI 측정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3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300A)에서서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중계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기지국(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600)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기지국(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900)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Relay 방식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있어서, eNB는 기지국(100), RN은 중계국(200), UE1은 무선 통신 단말(300A), UE2는 무선 통신 단말(300B)를 각각 나타낸다. 무선 통신 단말(300A)(UE1)은 기지국(100)에 접속되는 무선 통신 단말이고, 무선 통신 단말(300B)(UE2)은 중계국(200)(RN)에 접속되는 무선 통신 단말이다. 무선 통신 단말(300A)(UE1)이 기지국(100)의 제어 하의 무선 통신 단말(UE)이다. 또한, 중계국(200)(RN)은 기지국(100)에 접속하는 중계국이다.
여기서, 중계국(200)(RN)은 LTE-A에서 검토되고 있는 개별의 셀 ID를 갖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무선 통신 단말(300A)에 인접하는 중계국(200)(RN)은, 무선 통신 단말(300A)에서 보면, 인접 셀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을 위해, 기지국(100)을 eNB, 중계국(200)을 RN, 무선 통신 단말(300A)(UE1)을 UE1, 무선 통신 단말(300B)을 UE2라고 기재한다.
또한,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RN은, 백홀 회선에서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도면 중 화살표 C)하고, RN의 액세스 회선에서 UE2에 대해 신호를 송신(도면 중 화살표 D)한다. 백홀 회선과 액세스 회선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 중에 수용하고, 백홀 회선과 RN의 액세스 회선을 시간 영역(서브프레임 단위)으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Relay 방식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eNB 제어 하의 UE1이,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없는 경우의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eNB 제어 하의 UE1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소정의 영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란, RN 셀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의 선두 2심볼에서는 RN 셀 고유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는 MBMS용의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우선, eNB 제어 하의 UE1에서는, RN으로부터의 신호의 유무에 따라, eNB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간섭량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RN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 eNB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SIR이 개선하게 된다. 「RN이 백홀로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서브프레임의 관점과 심볼의 관점에서, RN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우선, 서브프레임의 관점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이, 「RN이 백홀로서 MBSFN 서브프레임」에 의해, RN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면, 간섭량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변화된다. LTE에서는, MBSFN 서브프레임은, 사전 결정된 위치에 할당되어 있고, 셀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MBSFN 서브프레임의 할당 위치는, 시스템 정보로서 SIB2(System Information BIock 2)에서 eNB 또는 RN에 의해 UE에 대해 통지되어 있고, 사용자 할당과 같이 순간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긴 주기로 변경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RN이 백홀로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이더라도,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셀(RN)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즉, eNB 제어 하의 UE1이더라도, 인접하는 RN의 백홀로서 이용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알면, 그 서브프레임이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적은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심볼의 관점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 의해, RN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2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RN은, 선두 2심볼에서 셀 고유의 제어 정보 등의 신호를 송신하고, 3심볼째 이후에서, 송신으로부터 수신으로 스위칭하여,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eNB 제어 하의 UE1에서 보면, 도 2에 나타내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선두 2심볼은 간섭으로 보이지만,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는 간섭이 없어진다. 즉, 선두 2심볼의 영역과 3심볼째 이후의 영역 사이에서 간섭량이 변화되고 있다. 그래서, eNB 제어 하의 UE1이더라도, 인접하는 RN에 대하여,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알면, 그 MBSFN 서브프레임에서,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적은 심볼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LTE에서는, 인접하는 셀간은 동기되어 있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접 셀 사이에서는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가령 인접 셀에서 송신하고 있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있었다고 해도, 자신의 셀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간섭이 있는 부분과, 간섭이 없는 부분으로서 보이고 있었다. 또한, 인접 셀의 신호의 심볼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인접 셀에 대해 서브프레임 동기를 취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eNB와 그 eNB에 접속되는 RN 사이에서는, eNB로부터 송신되는 백홀의 서브프레임과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 동기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eNB와 그 eNB에 접속되는 RN 사이에서는, eNB로부터 송신되는 백홀의 서브프레임과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서브프레임 단위로 동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eNB에 접속되고 있는 UE1은, eNB에 접속하는 RN이 인접 셀이더라도, 전파 지연 시간 정도의 지연 시간은 존재하지만, 서브프레임 단위에서는 실질적으로 동기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 eNB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RN은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다.
상술한 2개의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NB가, 자신의 제어 하의 UE1에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통지하고, eNB 제어 하의 UE1은,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의 신호를 이용해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우선, eNB는, 자신의 제어 하의 UE1에, eNB에 접속하고 있는 RN에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통지한다. 통지 방법으로서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Block)나 상위 레이어의 제어 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도 3를 참조하여, eNB 제어 하의 UE1이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는 서브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eNB 제어 하의 UE1이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NB 제어 하의 UE1에서는, 도 3에서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내의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이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는 CQI 측정 모드를 마련한다. 그리고,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CQI 측정 모드에서, eNB로부터 UE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 중,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n+2, n+6]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은 상술한 CQI 측정 모드에서 eNB로부터 UE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eNB가, 자신의 제어 하의 UE1에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통지하고, eNB 제어 하의 UE1은,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eNB로부터 UE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면,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없는 경우의 CQI를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eNB 제어 하의 UE1인 무선 통신 단말(300A)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3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300A)은 안테나(301)와, 스위치(SW)(303)와, 수신 RF부(305)와, 수신 처리부(307)와,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와, 제어 정보 취득부(317)와, CQI 측정 제어부(319)와, RN 정보 취득부(311)와, 신호 추출 제어부(313)와,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와, 심볼 추출부(321)와, CQI 측정부(323)와, CQI 메모리부(325)와, 피드백 정보 생성부(327)와, 송신 처리부(329)와, 송신 RF부(331)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 RF부(305)는, 안테나(301)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통신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IF 주파수대 또는 베이스밴드대에 주파수 변환을 행하여, 수신 처리부(307)에 출력한다.
수신 처리부(307)는 수신 RF부(305)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307)는, 수신 신호에 다중되어 있는 데이터와, 참조 신호와, 제어 정보와, RN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고, 각각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처리부(307)는, AD 컨버터 등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 처리, 복호 처리 등을 행한다.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는, 수신 처리부(307)에서 분리된 수신 신호 내의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추출하고,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에 출력한다.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에서는, 예컨대, 소망 신호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참조 신호가 있다. 또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로서, 예컨대, 간섭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신호가 있다.
제어 정보 취득부(317)는, 수신 처리부(307)에서 분리된 제어 정보 중에서, 무선 통신 단말(300A)에 대한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통신 단말(300A)에 대한 CQI 측정에 관한 제어 정보를 CQI 측정 제어부(319)에 출력한다.
CQI 측정 제어부(319)는 제어 정보 취득부(317)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인 무선 통신 단말(300A)에 대한 CQI 측정에 관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CQI 측정 방법을 제어하도록, 신호 추출 제어부(313)에 지시를 출력한다. CQI 측정 제어부(319)가 제어하는 CQI 측정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 이용하는 CQI 측정 방법과, 통상의 CQI 측정 방법이다. CQI 측정 제어부(319)는, 제어 정보 취득부(317)로부터 출력된 CQI 측정에 관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CQI 측정 방법을 이용할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신호 추출 제어부(313)에 지시한다.
RN 정보 취득부(311)는, 수신 처리부(307)에서 분리된 RN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신호 추출 제어부(313)에 출력한다. RN에 관한 정보로서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가 있다. 여기서, RN에 관한 정보는 eNB에 접속되어 있는 RN에 관한 정보이다.
신호 추출 제어부(313)는, CQI 측정 제어부(319)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RN 정보 취득부(311)로부터 출력되는 RN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서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와 심볼 추출부(321)에 지시를 출력한다. CQI 측정 제어부(319)로부터,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측정 방법으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도록 지시된 경우, 신호 추출 제어부(313)는 RN 정보 취득부로부터 출력되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를 추출하도록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에 지시하고, 또한,「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추출하도록 심볼 추출부(321)에 지시한다. 또한, CQI 측정 제어부(319)로부터 통상의 CQI 측정 방법을 행하도록 지시된 경우, 신호 추출 제어부(313)는, 모든 서브프레임을 출력하도록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에 지시하고, 모든 심볼의 영역을 추출하도록 심볼 추출부(321)에 지시한다.
서브프레임 추출부(315)는,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에서 추출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심볼 추출부(321)에 출력한다.
또, 서브프레임 추출부(315)는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에서 추출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버퍼링하는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또한, 서브프레임 추출부(315)는,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버퍼링한 신호로부터 서브프레임 단위로 신호를 추출하고 출력하더라도 좋다.
심볼 추출부(321)는,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에서 추출한 서브프레임 단위의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심볼 영역에서 추출하고, CQI 측정부(323)에 출력한다.
CQI 측정부(323)는, 심볼 추출부(321)에서 추출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의 측정을 행하고, 측정한 CQI를 CQI 메모리부(325)에 출력한다. 예컨대, 소망 신호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CQI 측정부(323)는, 수신 신호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고, 그 채널 추정 결과로부터 소망 신호 성분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CQI 측정부(323)는, 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소망 데이터의 수신 전력을 뺌으로써 간섭 성분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소망 데이터의 수신 전력은 상술한 소망 신호 성분의 수신 전력으로부터 구한다고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CQI 메모리부(325)는 CQI 측정부에서 측정한 CQI를 기억하고, 피드백 정보 생성부(327)에 출력한다.
피드백 정보 생성부(327)는, CQI 메모리부(325)에 기억한 CQI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피드백될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 처리부(329)에 출력한다.
송신 처리부(329)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327)에서 생성한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100)에 피드백할 수 있도록 송신 처리를 행하고, 당해 정보를 송신 RF부(331)에 출력한다. 송신 처리의 예로는, 예컨대, 송신 데이터나 피드백 정보 등의 신호의 다중화나,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 등이 있다.
송신 RF부(331)는, 송신 처리부에서 송신 처리된 송신 신호에 대해, RF 주파수로의 주파수 변환, 전력 증폭, 송신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301)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기지국(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기지국(100)은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와, 제어 정보 생성부(111)와, 신호 다중부(109)와, 송신 처리부(107)와, 송신 RF부(105)와, 수신 RF부(123)와, 수신 처리부(121)와, CQI 정보 추출부(119)와, CQI 메모리부(117)와, 스케줄링부(1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다중부(109)에 입력되는 것으로서, 참조 신호와, 송신 데이터와, RN 정보가 있다. 참조 신호는, 송수신 사이에서 기지(known)의 신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신호 다중부(109)에 입력된다. 참조 신호는, 예컨대, 수신측의 복조용의 회선 추정이나, CQI 측정 등에 사용된다. 송신 데이터는 각 무선 통신 단말(300A, 300B)에 대한 송신 데이터이고, 신호 다중부(109)에 입력된다. RN 정보는, 기지국(100)에 접속되어 있는 중계국(RN)에 관한 정보이고, 신호 다중부(109)에 입력된다.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는 무선 통신 단말(300A)에서 이용하는 CQI 측정을 제어하는 지시를 제어 정보 생성부(111)에 출력한다.
또,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는 무선 통신 단말(300A)이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무선 통신 단말(300A)이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300A)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CQI 측정 방법을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300A)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의 CQI 측정과 통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CQI 측정을 항상 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경우에는,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가 불필요하다.
제어 정보 생성부(111)는,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로부터 출력되는 CQI 측정을 제어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300A)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신호 다중부(109)에 출력한다.
신호 다중부(109)는, 입력된 참조 신호, 각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송신 데이터, RN 정보, 제어 정보를 다중화하고, 당해 결과를 송신 처리부(107)에 출력한다. 신호 다중부(109)는, 후술하는 스케줄링부(115)로부터 출력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각 무선 통신 단말(300A, 300B)에 대한 송신 데이터를 배치할당하고, 사용자 다중화를 행하고, 다른 신호와 다중한다.
송신 처리부(107)는, 신호 다중부(109)에서 다중화된 신호에 대해 송신 처리를 행하고, 송신 RF부(105)에 출력한다. 송신 처리의 예로는,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 등이 있다.
송신 RF부(105)는, 송신 처리부(107)에서 송신 처리된 송신 신호에 대해, RF 주파수로의 주파수 변환, 전력 증폭, 송신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101)에 출력한다.
수신 RF부(123)는,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통신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IF 주파수대 또는 베이스밴드대로 주파수 변환을 행하고, 수신 처리부(121)에 출력한다.
수신 처리부(121)는, 수신 RF부(123)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를 행하여, 수신 데이터, 제어 정보 등의 분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처리부(121)는, AD 컨버터 등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 처리, 복호 처리 등을 행한다.
CQI 정보 추출부(119)는, 수신 처리부(121)에서 분리한 제어 정보 중에서 CQI 정보를 추출하고, CQI 메모리부(117)에 출력한다.
CQI 메모리부(117)는, CQI 정보 추출부(119)에서 추출한 CQI 정보를 기억하고, 스케줄링부(115)에 출력한다.
스케줄링부(115)는, CQI 메모리부(117)에 기억한 CQI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행하고, 당해 스케줄링 정보를 신호 다중부(109)에 출력한다. 스케줄링에서는, 스케줄링부(115)는, CQI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서브프레임 및 송신 주파수(리소스 블록)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300A)에서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단말(300A)에서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ST001)에서는, 안테나(301)에서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RF부(305) 및 수신 처리부(307)에서 수신 처리를 행한다.
단계(ST002)에서는,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가, 단계(ST001)에서 수신 처리한 신호로부터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추출한다.
단계(ST003)에서는, 제어 정보 취득부(317)가, 단계(ST001)에서 수신 처리한 신호로부터, eNB 제어 하의 UE1에 대한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ST004)에서는, RN 정보 취득부(311)가, 단계(ST001)에서 수신 처리한 신호로부터 RN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ST005)에서는, CQI 측정 제어부(319)가, 단계(ST003)에서 취득한 제어 정보에 의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측정 모드 ㅁ및 통상의 CQI 측정 모드 중 어느 모드로 CQI를 측정할지를 선택한다.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측정 모드의 경우>
단계(ST006-1)에서는, 신호 추출 제어부(313)가, 단계(ST004)에서 취득한 RN에 관한 정보로부터,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을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와 심볼 추출부(321)에 지시한다.
단계(ST007-1)에서는, 서브프레임 추출부(315)가, 단계(ST006-1)에서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 지시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계(ST002)에서 추출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로부터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을 추출한다.
단계(S008-1)에서는, 심볼 추출부(321)는, 단계(ST006-1)에서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 통지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계(ST007-1)에서 추출한 서브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선두 2심볼을 제외한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통상의 CQI 측정 모드의 경우>
단계(ST006-2)에서는, 신호 추출 제어부(313)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추출하도록 서브프레임 추출부(315)와 심볼 추출부(321)에 지시한다.
단계(ST007-2)에서는, 서브프레임 추출부(315)는, 단계(ST006-2)에서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 지시된 바와 같이, 단계(ST002)에서 추출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의 전체 서브프레임을 추출한다.
단계(ST008-2)에서는, 심볼 추출부(321)는, 단계(ST006-2)에서 신호 추출 제어부(313)로부터 지시된 바와 같이, 단계(ST007-2)에서 추출한 전체 서브프레임의 신호에서 전체 심볼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단계(ST009)에서는, CQI 측정부(323)는 단계(ST008-1) 또는 (ST008-2)에서 추출한 신호를 이용하여 CQI측정을 행한다.
단계(ST010)에서는, CQI 메모리부가, (ST009)에서 측정한 CQI를 기억한다.
단계(ST011)에서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327)가, 단계(ST010)에서 기억한 CQI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T012)에서는, 송신 처리부(329) 및 송신 RF부(331)는 단계(ST011)에서 생성한 피드백 정보에 대해 송신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eNB에 송신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eNB 제어 하의 UE1은,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이용하여 CQI를 측정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서브프레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eNB 제어 하의 UE1은,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이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고 있지 않은 서브프레임에서는, 선두 2심볼분을 CQI 측정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CQI 정밀도의 약간의 저하는 있지만, eNB는, 인접하는 RN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 등을 통지하는 것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eNB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참조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대시키더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eNB 제어 하의 UE1의 CQI 측정 모드에서는, 선두 2심볼을 CQI 측정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분만큼의 전력을 증대시킴으로써 CQI 측정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eNB는 얼마만큼 송신 전력을 증대했는지를 eNB 제어 하의 UE1에 통지한다. 또한, 3심볼째 이후의 데이터 영역의 일부에, CQI 측정용으로 참조 신호를 삽입하더라도 좋다. 선두 2심볼을 CQI 측정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분만큼의 참조 신호를 삽입함으로써, CQI 측정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eNB는 CQI 측정용으로 참조 신호를 삽입한 것을 eNB 제어 하의 UE1에 통지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Periodic CQI의 경우에 있어서, CQI를 피드백하는 서브프레임보다 4개 앞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4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앞으로 가장 가까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은 상술한 CQI 측정 모드로 CQI를 측정하더라도 좋다.
도 5를 참조하여, 소정수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앞으로 가장 가까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이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Periodic CQI의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n+8]의 상향 회선으로 보고하는 Periodic CQI는, 그 4 서브프레임 앞인, 서브프레임[n+4]의 하향 회선에서 측정한 CQI를 측정한다. 그러나, 이 서브프레임[n+4]에서는, RN은 통상의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CQI 측정으로 CQI를 측정할 수 없다. 그래서, 서브프레임[n+4]로부터 앞으로, 서브프레임[n+4]에 가장 가까운, 「RN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n+2]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이, 상술한 본 실시예의 CQI 측정 모드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고, 서브프레임[n+8]의 상향 회선으로 eNB에 보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Aperiodic CQI의 경우에 있어서, eNB로부터 통지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eNB로부터 CQI를 측정하도록 eNB 제어 하의 UE1이 지시된 경우, eNB 제어 하의 UE1이, 본 실시예의 CQI 측정 모드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마찬가지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eNB가, eNB 제어 하의 UE1에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를 통지하고 있으면, eNB 제어 하의 UE1은 「RN의 백홀로서 이용하고 있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n+2]에서, eNB 제어 하의 UE1이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도록 지시된 경우, eNB 제어 하의 UE1은 본 실시예의 CQI 측정 모드에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Aperiodic CQI의 경우에 있어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측정 모드에서 측정하도록, eNB가, eNB 제어 하의 UE1에 PDCCH 내로 지시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PDCCH의 format0에서, 「RN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request를 추가한다. 이것에 의해, eNB가, 인접하는 RN의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eNB 제어 하의 UE1에 통지하지 않더라도, eNB 제어 하의 UE1은 본 실시예의 CQI 측정 모드에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eNB 제어 하의 UE1은,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복수회 측정을 행하고, 그것을 평균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성분을 측정하는 범위를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한정하고, 간섭 성분을 측정하는 범위를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한정한다. 이것에 의해,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의 측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eNB와 그 eNB에 접속하는 RN에 대해 설명했지만, 복수의 eNB에서, 한쪽의 eNB로부터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로서, eNB로부터 UE로의 회선의 CQI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핸드오버를 행할 때에 측정하는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NB에 접속하는 RN이 1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하나의 eNB에 복수의 RN이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하나의 eNB에 복수의 RN이 접속하는 경우, 각 RN에서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은, 각 RN에서의 백홀의 용량은, RN마다 다르기 때문에,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 수가 동일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복수의 RN의 백홀을 동일한 서브프레임으로 하면, 트래픽이 집중되게 되어, 각 RN에 대하여 충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게 되어, 효율이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RN에서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가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RN에서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가 다르면, eNB 제어 하의 UE의 위치에 의해, 각 RN으로부터의 간섭량이 다르기 때문에, 서브프레임마다 간섭량이 변화된다. 즉, eNB 제어 하의 UE의 위치가, RN에서 가까우면, 그 RN으로부터 받는 간섭이 강하고, RN으로부터 멀면, 그 RN으로부터 받는 간섭은 약하다. 따라서, eNB 제어 하의 UE는, 보다 간섭이 약한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송신해 주는 쪽이 좋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 1에서는, 도 9에서, eNB는 기지국(400), RN1은 중계국(500A), RN2는 중계국(500B), UE1은 무선 통신 단말(600)을 각각 나타낸다. 무선 통신 단말(600)(UE1)은 기지국(400)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 단말, 바꿔 말하면, 기지국(400) 제어 하의 무선 통신 단말이다. 변형예 1에서는, 동일한 기지국에 접속하는 중계국이 2개 존재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단말(600)과, 중계국(500A)(RN1)과 중계국(500B)(RN2)의 위치 관계는, 중계국(500B)(RN2)쪽이 중계국(500A)(RN1)보다 무선 통신 단말(600)(UE1)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백홀 회선과 액세스 회선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 중에 수용하고, 백홀 회선과 RN의 액세스 회선을 시간 영역(서브프레임 단위)으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Relay 방식으로 한다. 이하, 설명을 위해, 기지국(400)을 eNB, 중계국(500A)을 RN1, 중계국(500B)을 RN2, 기지국(400) 제어 하의 무선 통신 단말(600)을 UE1이라고 기재한다.
여기서, 중계국(500A)(RN1) 및 중계국(500B)(RN2)은 LTE-A에서 검토되고 있는 개별의 셀 ID를 갖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무선 통신 단말(600)에 인접하는 중계국(500A)(RN1) 및 중계국(500B)은, 무선 통신 단말(600)에서 보면, 인접 셀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0에서, RN1에서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서브프레임[n+2, n+6]이다. 한편, RN2에서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서브프레임[n+4]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1은, 서브프레임[n, n+1, n+3, n+5]에서는, 화살표(파선)로 나타낸 바와 같이, RN1과 RN2의 양쪽의 간섭을 받고 있다. 그러나, 서브프레임[n+2, n+6]과 서브프레임[n+4]에서는, UE1은 각각 RN2으로부터의 간섭과 RN1로부터의 간섭을 받고 있지만, 2개의 RN1, RN2로부터의 간섭량이 다르다. 즉, RN1이 RN2보다 UE1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RN1로부터 UE1이 받는 간섭량은 RN2으로부터 UE1이 받는 간섭량보다 약하다. 그 때문에, UE1이 RN1, RN2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비교하면, UE1이 RN2로부터 간섭을 받는 서브프레임[n+2, n+6]보다, UE1이 RN1로부터 간섭을 받는 서브프레임[n+4]의 쪽이, UE1이 RN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이 약하다.
상술한 UE1이 받는 각 RN으로부터의 간섭량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eNB 제어 하의 UE1에 대해, eNB 제어 하의 모든 RN에서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통지하고, eNB 제어 하의 UE1은, 간섭이 적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함께 그 서브프레임 위치를 eNB에 피드백한다. 이하, UE가 받는 각 RN으로부터의 간섭량을 고려한 변형예 1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eNB는, 자신의 제어 하의 UE1에 대해, eNB에 접속하고 있는 모든 RN에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통지한다. 통지 방법으로서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Block)나 상위 레이어의 제어 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지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eNB 제어 하의 UE1은, eNB로부터 통지된 서브프레임에서,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CQI 측정 모드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그리고, UE1은, 그 통지된 서브프레임 중에서 CQI가 높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그 CQI와 서브프레임 위치를 eNB에 피드백한다. 예컨대, 도 9, 도 10에서 상정한 환경에 대해 설명하면, UE1은, 서브프레임[n+2, n+4, n+6]에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측정을 행하고, 그 중에서, 간섭량이 작은 서브프레임[n+4]를 검출하고, 서브프레임[n+4]에서의 CQI와 서브프레임 번호를 피드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eNB는, eNB 제어 하의 UE1에 대해, eNB 제어 하의 모든 RN에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통지하고, eNB 제어 하의 UE1은, 간섭이 적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함께 그 서브프레임 위치를 eNB에 피드백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eNB 제어 하의 UE1에서, RN으로부터의 간섭이 보다 적은 서브프레임에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UE1인 무선 통신 단말(6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600)이 도 6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300A)과 다른 점은, 고품질 서브프레임 검출부(601) 및 피드백 정보 생성부(603)를 구비하는 점이다. 이 점 이외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도 11에 있어서, 도 6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품질 서브프레임 검출부(601)는 CQI 메모리부(325)에 기억되어 있는 CQI 중에서 품질이 가장 높은 CQI를 검출한다. 그리고, 고품질 서브프레임 검출부(601)는, RN 정보 취득부(311)에서 취득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용의 CQI 측정을 행하고, 고품질 CQI로 되는 서브프레임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서브프레임 번호 및 서브프레임에서의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피드백 정보 생성부(603)에 출력한다.
피드백 정보 생성부(603)는, 고품질 서브프레임 검출부(601)에서 검출한 서브프레임 정보(서브프레임 번호)와, CQI 메모리부(325)에 기억되어 있는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 처리부(329)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eNB인 기지국(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기지국(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기지국(400)이 도 7에 나타내는 기지국(100)과 다른 점은, CQI 메모리부(117) 대신에 CQI/서브프레임 메모리부(401)를 구비하는 점이다. 이 점 이외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도 12에 있어서, 도 7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CQI/서브프레임 메모리부(401)는, CQI 정보 추출부(119)에서 추출한, UE1로부터 피드백된 서브프레임 정보와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기억하고, 스케줄링부(115)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600)(UE1)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도 13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600)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600)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이 도 8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300A)에서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과 다른 점은, 단계(STO10)와 단계(STO11) 사이에, 새롭게 단계(STO13)의 처리가 추가된 점이다. 이 점 이외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도 13에 있어서, 도 8과 공통되는 단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공통되는 단계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TO13)에서는, 고품질 서브프레임 검출부(601)가, 단계(STO1O)에서 기억한 CQI에서, 높은 품질로 되는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STO11)에서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603)가, 단계(STO10)에서 기억한 CQI와, (STO13)에서 검출한 서브프레임 정보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eNB는, 접속하고 있는 모든 RN에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자신의 제어 하의 UE1에 통지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eNB는, 각 RN의 번호와, RN마다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RN의 번호를 관련지어, eNB 제어 하의 UE1에 통지한다. 그리고, UE1은, CQI가 최대로 되는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그 서브프레임이 어떤 RN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검출함으로써, 그 서브프레임 위치 또는 RN 번호와 측정한 CQI를 eNB에 피드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NB가, RN마다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자신의 제어 하의 UE1에 통지함으로써, 동일한 RN의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측정한 CQI를 평균화하는 것에 의해, CQI의 측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변형예 2)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서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eNB로부터 UE1로 통지하고, UE1은 그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CQI 측정 모드를 스위칭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UE1 자신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14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 2에서는, 도 14에 있어서, eNB는 기지국(700), RN은 중계국(800), UE1은 무선 통신 단말(900A), UE2는 무선 통신 단말(900B)을 각각 나타낸다. 무선 통신 단말(900A)(UE1)은 기지국(700)에 접속되는 무선 통신 단말이고, 무선 통신 단말(900B)(UE2)은 중계국(800)(RN)에 접속되는 무선 통신 단말로 한다. 무선 통신 단말(900A)(UE1)이 기지국(700) 제어 하의 무선 통신 단말(UE1)이다.
이하, 설명을 위해, 기지국(700)을 eNB, 중계국(800)을 RN, 무선 통신 단말(900A)(UE1)을 UE1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이하, 변형예 2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RN은 백홀 회선에서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도면 중 화살표 E)하고, RN의 액세스 회선에서 UE2에 대해 신호를 송신(도면 중 화살표 F)한다. 백홀 회선과 액세스 회선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 수용하고, 백홀 회선과 RN의 액세스 회선을 시간 영역(서브프레임 단위)으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Relay 방식으로 한다.
여기서, 중계국(800)(RN)은 LTE-A에서 검토되고 있는 개별의 셀 ID를 갖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무선 통신 단말(900A)(UE1)에 인접하는 중계국(800)(RN)은, 무선 통신 단말(900A)에서 보면, 인접 셀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UE1 자신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6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의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심볼에서 RN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서브프레임의 어떤 심볼을 이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의 측정에 행하더라도, CQI는 근사된 값을 나타낸다. 즉, 전체 심볼의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는 가까운 값으로 된다.
한편,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심볼째(심볼 #2) 이후의 심볼에서, RN으로부터 eNB로 신호가 송신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선두 2심볼을 포함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의 측정을 행하는 경우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사용하여 eNB의 CQI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서는, UE1이 RN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이 다르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중에서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쪽이, 도 16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중에서 선두 2심볼 및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보다, 높은 회선 품질을 나타내는 값으로 된다. 즉, 전체 심볼의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에서는, 후자의 쪽이 높은 회선 품질을 나타내는 값으로 된다.
그래서, 전체 심볼의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비교함으로써, 그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UE1 자신이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선두 2심볼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비교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그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UE1 자신이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UE1은, 선두 2심볼을 이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이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를 판단해서, UE1은 각각 적합한 eNB의 CQI 측정을 행하고, eNB에 피드백한다.
이하, UE1 자신이,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를 판정하는 구체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UE1은, 전체 심볼 영역을 사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하고, 다음으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사용하여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이하, 설명을 위해, 전체 심볼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CQI_all로 나타내고,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CQI_part로 나타낸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CQI"의 뒤에 연속하는 밑줄 _은 밑줄 _의 뒤에 연속하는 문자 또는 단어(예컨대, all이나 part)가, 밑줄 _의 직전에 있는 "CQI"의 아래첨자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UE1은, CQI_all과 CQI_part를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한다. 예컨대, UE1은, CQI_all과 CQI_part의 차이의 절대값(이하, CQI의 차이라고 함)에 대해, 어떤 임계값 Th를 미리 설정해 두고, CQI의 차이와 임계값 Th를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CQI의 차이가 임계값 Th 미만이면, UE1은, CQI_all과 CQI_part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하여,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CQI의 차이가 임계값 Th 이상이면, UE1은, CQI_all과 CQI_part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여,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상술한 CQI의 차이와 임계값 Th로 표현되는 판단 조건은 CQI_all, CQI_part, Th를 이용하여 다음 식 (1) 및 식 (2)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즉, CQI_all, CQI_part, 임계값 Th가 식 (1)을 만족하고 있으면,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CQI_all, CQI_part, 임계값 Th가 식 (2)을 만족하고 있으면,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식 (1) 및 식 (2)를 이용하여 판단한 RN의 서브프레임에 따라, 예는, 이하와 같이 UE1은 CQI 측정 방법을 선택한다.
UE1이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판단한 경우,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에서는 동일한 품질로 되기 때문에, 다수의 심볼을 이용하여 평균화함으로써 CQI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UE1은, 서브프레임의 모든 영역을 사용하는 CQI 측정 모드를 선택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한편, UE1이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단한 경우, UE1은, 변형예 1과 같이,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사용하는 CQI 측정 모드를 선택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그리고, UE1은, 측정한 CQI와 합쳐서, 어느 측정 모드에서 측정했는지를 eNB에 피드백 정보로서 피드백한다.
또한, 선두 2심볼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CQI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해결 방법이 있다.
CQI 측정에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UE1에서, 선두 3심불을 이용하는 CQI 측정으로서, 심볼 #0에 삽입되어 있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고, 또한,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이용하는 CQI 측정으로서는, 심볼 #7에 삽입되어 있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CQI 측정을 행한다. 그 CQI 측정 결과를 CQI_symO, CQI_sym7이라고 각각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들 CQI_symO, CQI_sym7을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한다. 예컨대, CQI_symO과 CQI_sym7의 차이의 절대값(이하, CQI_sym의 차이라고 함)에 대해, 임의의 임계값 Th_sym을 미리 설정해 두고, UE1은, CQI_sym의 차이와 임계값 Th_sym을 비교함으로써,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CQI_sym의 차이가 임계값 Th_sym 미만이면, UE1은 CQI_sym0과 CQI_sym7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서브프레임 내의 어떤 심볼에서도 동일한 품질이라고 판단하고,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CQI_sym의 차이가 임계값 Th_sym 이상이면, UE1은, CQI_symO과 CQI-ym7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선두 2심볼과 3심볼째 이후의 심볼에서는 품질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고,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상술한 CQI_sym의 차이와 임계값 Th_sym로 표현되는 판단 조건은 CQI_sym0, CQI_sym7, Th_sym을 이용하여 다음 식 (3) 및 식 (4)으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즉, CQI_symO, CQI_sym7, Th_sym이 식 (3)을 만족하고 있으면,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CQI_symO, CQI_sym7, Th_sym이 식 (4)를 만족하고 있으면,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UE1에서 판단한 RN의 서브프레임에 따라 CQI 측정 방법을 선택한다.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인 경우,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에서는 동일한 품질로 되기 때문에, 수많은 심볼을 이용하여 평균화함으로써 CQI 측정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으므로, UE1은, 서브프레임의 모든 영역을 사용하는 CQI 측정 모드를 선택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한편,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변형예 1과 같이, UE1은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을 사용하는 CQI 측정 모드를 선택하고,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측정한다. UE1은, 측정한 CQI와 합쳐, 어느 측정 모드에서 측정했는지를 피드백 정보로서 eNB에 피드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UE1은 선두 2심볼을 이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이용하여 측정한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비교한다.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UE1은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한다. 또, 그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UE1은, 각각 적합한 eNB의 CQI 측정을 행하고, 측정한 CQI와 합쳐, 어느 측정 모드에서 측정했는지를 피드백 정보로서 eNB에 피드백한다. 그 때문에, eNB 제어 하의 UE1에서,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없는 경우의 eNB로부터 UE1로의 회선(자신의 셀의 회선)에 관한 CQI를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eNB로부터 UE1로, RN에 관한 정보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져, 본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변형예 2에서는, 하향 회선의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보다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9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900)은 안테나(301)와, 스위치(SW)(303)와, 수신 RF부(305)와, 수신 처리부(307)와,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와, 심볼 추출부(901)와, CQI 측정부(903A)와, CQI 측정부(903B)와, 서브프레임 판정부(905)와, CQI 메모리부(907)와, 피드백 정보 생성부(909)와, 송신 처리부(329)와, 송신 RF부(33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7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900)이 도 6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단말(300A)과 다른 점은 심볼 추출부(901)와, CQI 측정부(903A)와, CQI 측정부(903B)와, 서브프레임 판정부(905)와, CQI 메모리부(907)와, 피드백 정보 생성부(909)이다. 이들 이외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도 17에 있어서, 도 6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심볼 추출부(901)는,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로부터 추출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로부터,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CQI 측정부(903A)에 출력한다.
CQI 측정부(903A)는, 심볼 추출부(901)에서 추출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의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실시 형태와 동일한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되는 경우의 CQI 측정을 행하고, 측정한 CQI를 서브프레임 판정부(905)에 출력한다.
CQI 측정부(903B)는,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모든 심볼을 이용해서 CQI 측정을 행하고, 측정한 CQI를 서브프레임 판정부(905)에 출력한다.
서브프레임 판정부(905)는, CQI 측정부(903A)와 CQI 측정부(903B)에서 측정한 CQI를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그 판정 결과와 함께 CQI를 CQI 메모리부(907)에 출력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판정부(905)가,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 경우, CQI 측정부(903B)로부터의 CQI 측정 결과를 CQI 메모리부(907)에 출력한다. 한편, 서브프레임 판정부(905)가,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 경우, CQI 측정부(903A)로부터의 CQI 측정 결과를 CQI 메모리부(907)에 출력한다.
CQI 메모리부(907)는, 서브프레임 판정부(905)로부터 입력되는 CQI의 값과, RN의 서브프레임의 판정 결과를 기억하고, 피드백 정보 생성부(909)에 출력한다.
피드백 정보 생성부(909)는, CQI 메모리부(907)에 기억한 CQI와 RN의 서브프레임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기지국(700)에 피드백할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 처리부(329)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기지국(7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기지국(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18에 나타내는 기지국(700)이 도 7에 나타내는 기지국(100)과 다른 점은, CQI 정보 추출부(119)와 CQI 메모리부(117) 대신에, CQI 정보/판정 결과 추출부(701)와 CQI/판정 결과 메모리부(703)가 있는 점과, RN 정보와 CQI 측정 방법 지시부(113)가 없는 점이다. 이들 이외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도 18에 있어서, 도 7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CQI 정보/판정 결과 추출부(701)는, 수신 처리부(121)에서 분리한 제어 정보 중에서, 무선 통신 단말(900)로부터 피드백된 서브프레임 정보와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CQI를 추출하고, CQI/판정 결과 메모리부(703)에 출력한다.
CQI/판정 결과 메모리부(703)는, 무선 통신 단말(900)로부터 피드백된 서브프레임 정보와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CQI를 기억하고, 스케줄링부(115)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900)(UE1)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도 19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단말(900)의 CQI 측정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ST101)에서는, 안테나(301)에서 eN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RF부(305) 및 수신 처리부(307)에서 수신 처리를 행한다.
단계(ST102)에서는,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309)가, 단계(ST1O1)에서 수신 처리한 신호로부터,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를 추출한다.
단계(ST103)에서는, 심볼 추출부(901)가, 단계(ST102)에서 추출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에서, 선두 2심볼을 제외한 영역의 심볼을 추출한다.
단계(ST104-1)에서는, CQI 측정부(903A)가, 단계(ST103)에서 추출한 신호를 이용하여 CQI 측정을 행한다. CQI 측정부(903A)의 CQI 측정 결과를 CQI1이라고 한다.
단계(ST104-2)에서는, CQI 측정부(903B)가, 단계(ST102)에서 추출한 CQI 측정에 이용하는 신호에서, 전체 심볼 영역의 신호를 사용하여 CQI 측정을 행한다. CQI 측정부(903B)의 CQI 측정 결과를 CQI2라고 한다.
단계(ST105)에서는, 서브프레임 판정부(905)가, 단계(ST104-1)과 단계(ST104-2)에서 측정한 CQI의 측정 결과인 CQI1과 CQI2를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의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정한다. 또, 판정 방법은, 예컨대, 식 (1) 및 식 (2)를 이용하여 판정하는 방법이나, 식 (3) 및 식 (4)을 이용하여 판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단계(ST106-1)에서는, CQI 메모리부(907)는, 단계(ST105)에서, RN의 서브프레임이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 경우, 그 판정 결과와 CQI1을 기억한다.
단계(ST106-2)에서는, CQI 메모리부(907)는, 단계(ST105)에서,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한 경우, 그 판정 결과와 CQI2를 기억한다.
단계(ST1O7)에서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909)는, 단계(ST106-1) 또는 단계(ST106-2)에서 기억한 서브프레임 판정 결과와 CQI의 값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T108)에서는, 송신 처리부(329) 및 송신 RF부(331)는 단계(ST107)에서 생성한 피드백 정보에 대해 송신 처리를 행하고, eNB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UE1은 선두 2심볼을 이용하여 측정한 eNB의 CQI와, 3심볼째 이후의 심볼을 이용하여 측정한 eNB의 CQI를 비교하여, RN의 서브프레임이 통상 서브프레임인지 또는 「RN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판단하고, UE1은 각각 적합한 eNB의 CQI 측정을 행하고, eNB에 피드백한다.
그 때문에, eNB 제어 하의 UE1에서, RN으로부터의 간섭이 없는 경우의 CQI를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eNB로부터 UE1로, RN에 관한 정보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하향 회선의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로서 설명했지만, 안테나 포트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킨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LTE에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Reference signal을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는 Precoding vector의 가중치를 승산하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더라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콘피큐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는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없이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09년 5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제2009-119104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시켜 둔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은, 인접 셀의 간섭이 없는 상태의,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 등으로서 유용하다.
100, 400, 700: 기지국 105: 송신 RF부
107: 송신 처리부 109: 신호 다중부
111: 제어 정보 생성부 113: CQI 측정 방법 지시부
115: 스케줄링부 117: CQI 메모리부
119: CQI 정보 추출부 121: 수신 처리부
123: 수신 RF부 200, 500A, 500B, 800: 중계국
300A, 300B, 600,900A, 900B: 무선 통신 단말
301: 안테나 303: 스위치(SW)
305: 수신 RF부 307: 수신 처리부
309: CQI 측정용 신호 추출부 311: RN 정보 취득부
313: 신호 추출 제어부 315: 서브프레임 추출부
317: 제어 정보 취득부 319: CQI 측정 제어부
321: 심볼 추출부 323: CQI 측정부
325: CQI 메모리부 327: 피드백 정보 생성부
329: 송신 처리부 331: 송신 RF부
401: CQI/서브프레임 메모리부 601: 고품질 서브프레임 검출부
603: 피드백 정보 생성부 701: CQI 정보/판정 결과 추출부
703: CQI/판정 결과 메모리부 901: 심볼 추출부
903A: CQI 측정부 903B: CQI 측정부
905: 서브프레임 판정부 907: CQI 메모리부
909: 피드백 정보 생성부

Claims (8)

  1.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셀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영역에서,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중계국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상기 중계국이 백홀(backhaul)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상기 중계국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복수회 측정하고, 평균화하는 무선 통신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 중에서 가장 고품질인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 셀인 복수의 상기 중계국이 백홀로서 이용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선두 2심볼을 제외한 3심볼째 이후의 영역에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 중에서 가장 고품질인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검출하는
    무선 통신 단말.
  8.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셀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영역에서,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상기 자신의 셀의 회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통신 방법.
KR1020117026032A 2009-05-15 2010-05-14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Active KR101654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9104 2009-05-15
JPJP-P-2009-119104 2009-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223A true KR20120016223A (ko) 2012-02-23
KR101654396B1 KR101654396B1 (ko) 2016-09-05

Family

ID=4308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032A Active KR101654396B1 (ko) 2009-05-15 2010-05-14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8) US9392480B2 (ko)
EP (1) EP2432291B1 (ko)
JP (2) JP5674205B2 (ko)
KR (1) KR101654396B1 (ko)
CN (2) CN102428737B (ko)
AU (1) AU2010248656B2 (ko)
BR (1) BRPI1012199B1 (ko)
DK (1) DK2432291T3 (ko)
ES (1) ES2690659T3 (ko)
HU (1) HUE040028T2 (ko)
PL (1) PL2432291T3 (ko)
PT (1) PT2432291T (ko)
RU (1) RU2532271C2 (ko)
SG (1) SG175416A1 (ko)
WO (1) WO20101314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92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홀을 통하여 기지국들 간 정보를 공유하는 멀티 셀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3125B (zh) 2009-06-10 2021-01-12 太阳专利托管公司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US9438366B2 (en) * 2010-02-19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ccess for heterogeneous networks
EP2624487B1 (en) * 2010-09-30 2018-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mputing a channel quality indicator by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US20150072719A1 (en) * 2011-12-13 2015-03-12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2000093B1 (ko) * 2012-01-27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871592A (zh) * 2013-01-15 2015-08-26 富士通株式会社 基站间功能的协商方法、装置和系统
US9590878B2 (en) * 2013-01-16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design for long-term evolu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CN107852271B (zh) * 2015-05-15 2021-04-2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跨多个子帧接收或传送下行链路传送的方法和装置
ES2919023T3 (es) 2017-05-31 2022-07-21 Fraunhofer Ges Forschung Aparato, sistema de medición para probar un aparato y métodos para operar el mismo
WO2023117157A1 (en) 2021-12-20 2023-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a channel quality indicator measur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1596A1 (en) * 2002-02-28 2005-05-26 Magnus Olsson Signal receiver devices and methods
KR20080076131A (ko) *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80232396A1 (en) * 2007-03-21 2008-09-25 Motorola,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antenna channel quality data acquisition in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network using a multicast symbol
KR20090007129A (ko) *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51B1 (ko) 2002-04-06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링크 파라미터 갱신 방법
US7209712B2 (en) 2002-09-23 2007-04-24 Qualcomm, Incorporated Mean square estimation of channel quality measure
US9184898B2 (en) 2005-08-01 2015-1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JP4952135B2 (ja) 2006-08-17 2012-06-1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中継局、無線基地局及び通信方法
MX2009004605A (es) * 2006-11-01 2009-05-15 Qualcomm Inc Multiplexacion de control y datos con diversos desplazamientos de energia en un sistema sc-fdma.
CN101222728B (zh) * 2007-01-09 201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在ofdma系统中使用时频资源的方法及系统
US8532683B2 (en) 2007-10-01 2013-09-10 Nokia Corporation Simple distributed coordination among cells to achieve efficient dynamic single-frequency network (SFN) operation
JP5332184B2 (ja) 2007-11-16 2013-11-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腸管内挿入用カテーテル
US8942080B2 (en) * 2008-04-17 2015-0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bundled ACK/NAK bits
WO2010052566A2 (en) * 2008-11-10 2010-05-14 Nokia Corporation Reduction of unnecessary downlink control channel reception and decoding
US8855062B2 (en) * 2009-05-28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lection of subframe formats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1596A1 (en) * 2002-02-28 2005-05-26 Magnus Olsson Signal receiver devices and methods
KR20080076131A (ko) *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80232396A1 (en) * 2007-03-21 2008-09-25 Motorola,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antenna channel quality data acquisition in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network using a multicast symbol
KR20090007129A (ko) *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2: 3GPP TS36,213 v8.5.0(2008-12) "Physical layer procedures(Release8)"
비특허문헌1: 3GPP TR36814 v04,1(2009-02) "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 Physrcal Layer Aspects(Release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92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홀을 통하여 기지국들 간 정보를 공유하는 멀티 셀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28424A1 (en) 2020-04-23
US12185150B2 (en) 2024-12-31
ES2690659T3 (es) 2018-11-21
US10560861B2 (en) 2020-02-11
RU2011144126A (ru) 2013-06-20
WO2010131487A1 (ja) 2010-11-18
US20160295445A1 (en) 2016-10-06
SG175416A1 (en) 2011-12-29
HUE040028T2 (hu) 2019-02-28
US9713028B2 (en) 2017-07-18
RU2532271C2 (ru) 2014-11-10
US10986524B2 (en) 2021-04-20
BRPI1012199A2 (pt) 2016-08-16
US10034193B2 (en) 2018-07-24
CN102428737B (zh) 2016-01-20
BRPI1012199B1 (pt) 2021-02-09
US20180279154A1 (en) 2018-09-27
EP2432291A4 (en) 2017-03-29
US20120063343A1 (en) 2012-03-15
US11889340B2 (en) 2024-01-30
US20170265098A1 (en) 2017-09-14
EP2432291A1 (en) 2012-03-21
AU2010248656A9 (en) 2013-01-31
AU2010248656B2 (en) 2015-04-23
PT2432291T (pt) 2018-11-07
JP5877238B2 (ja) 2016-03-02
AU2010248656A1 (en) 2011-11-10
PL2432291T3 (pl) 2018-12-31
EP2432291B1 (en) 2018-07-18
US20240114377A1 (en) 2024-04-04
JPWO2010131487A1 (ja) 2012-11-01
KR101654396B1 (ko) 2016-09-05
JP5674205B2 (ja) 2015-02-25
US11582630B2 (en) 2023-02-14
CN102428737A (zh) 2012-04-25
US20210204159A1 (en) 2021-07-01
DK2432291T3 (en) 2018-11-12
JP2015073318A (ja) 2015-04-16
US20230189043A1 (en) 2023-06-15
CN105207748B (zh) 2018-10-02
US9392480B2 (en) 2016-07-12
CN105207748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396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871540B1 (ko)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10979185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with information on state of channel
KR20140037131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JP201423955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3108135A1 (en) A method of canceling cell reference signal interferences
WO2010131488A1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1114729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57774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