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57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5757A KR20120015757A KR1020100078160A KR20100078160A KR20120015757A KR 20120015757 A KR20120015757 A KR 20120015757A KR 1020100078160 A KR1020100078160 A KR 1020100078160A KR 20100078160 A KR20100078160 A KR 20100078160A KR 20120015757 A KR20120015757 A KR 201200157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adjustment
- information
- terminal
- power
- base s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2370 Secondary transmi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700026140 MAC combinat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369 Primary transmi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44 thermoplastic co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안을 제공한다. 상기 방안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전력조정의 모호성으로 인한 기지국의 스케줄링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주어진 단말 또는 요소 반송파별 최대송신전력에 적응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안을 제공한다. 상기 방안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전력조정의 모호성으로 인한 기지국의 스케줄링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주어진 단말 또는 요소 반송파별 최대송신전력에 적응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의 후보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이 개발되고 있다. 802.16m 규격은 기존 802.16e 규격의 수정이라는 과거의 연속성과 차세대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규격이라는 미래의 연속성인 두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802.16m 규격은 802.16e 규격에 기반한 Mobile WiMAX 시스템과의 호환성(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진보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하나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2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200KHz ~ 1.25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5MHz ~ 10 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송신 용량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의 3GPP LTE 또는 802.16m은 20MHz 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 그 대역폭을 확장하고 있다. 송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요구되는 서비스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큰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은 커다란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대역폭와 중심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정의하고, 복수의 반송파를 통해 광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요소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협대역과 광대역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반송파가 5MHz의 대역폭에 대응된다면,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이다.
기지국이 단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단말의 전력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전력제어 기술은 무선통신에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간섭요소를 최소화하고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필수 핵심기술이다. 단말은 기지국이 할당해주는 전송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변조 및 코딩 수준(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대역폭등의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요소 반송파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단말의 전력제어는 더욱 복잡해진다. 이러한 복잡성은 단말의 최대송신전력(Maximum Transmission Power)의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허용가능한 범위의 송신전력인 최대송신전력보다 낮은 전력에 의해 동작해야 한다. 만약 기지국이 상기 최대송신전력 이상의 송신전력을 요구하는 스케줄링을 할 경우, 실제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최대송신전력을 초과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다중 요소 반송파의 전력제어가 명확히 정의되지 않거나, 또는 단말과 기지국간에 상향링크 전송전력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공유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구성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를 고려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가변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RRC 연결재구성 절차를 통해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가변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RRC 연결재구성 절차를 통해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환경을 고려하여 설정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CC 개수 및 RF 개수의 의해 결정되는 스케줄링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지원가능한 RF의 개수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환경과, 상기 통신환경하에서 허용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간의 맵핑관계인 복수의 시퀀스로 구성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전력조정 테이블 저장부, 상기 전력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 최대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RRC 메시지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지원가능한 RF의 개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향링크 전송의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RRC 메시지 송수신부,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스케줄링부,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이 상기 최대전송전력이내의 범위에서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부, 및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의 범위를 기지국에게 명시적으로(explicitly) 알려줌으로서, 전력조정의 모호성으로 인한 기지국의 스케줄링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주어진 단말 또는 요소 반송파별 최대송신전력에 적응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말에 구성되는 요소 반송파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전력 조정에 관한 정보를 시그널링함에 따라, 스케줄러의 스케줄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같은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같은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같은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단말의 전송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량과 최대송신전력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같은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같은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같은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단말의 전송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량과 최대송신전력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L3(제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연결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MAC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물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은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단말이 PUCCH 또는 PUSCH를 전송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단말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또는 측정된 공간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한 PMI(Precoding Metrix Index), 또는 RI(Rank Indicator)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하여 PUCCH를 구성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일정한 개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기지국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일 예로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n+4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로 구성된 PUCCH를 전송한다. 만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PUCCH상으로 ACK/NACK 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또는 ACK/NACK를 전송할 수 있는 PUCCH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지 못한 경우, ACK/NACK 정보를 PUSCH에 실어 보낼 수 있다.
제2 계층인 무선 데이터링크 계층은 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으로 구성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 사이의 매핑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RLC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적절한 전송채널을 선택하고, 필요한 제어 정보를 MAC PDU(Protocol Data Unit)의 헤더(header)에 추가한다. RLC 계층은 MAC의 상위에 위치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있는 전송을 지원한다. 또한 RLC 계층은 무선 구간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RLC SDU(Service Data Unit)들을 분할(Segmentation)하고 연결(Concatenation)한다. 수신기의 RLC 계층은 수신한 RLC PDU들로부터 원래의 RLC SDU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의 재결합(Reassemble)기능을 지원한다. PDCP 계층은 패킷교환 영역에서만 사용되며, 무선채널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IP패킷의 헤더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3 계층인 RRC 계층은 하위 계층을 제어하는 역할과 함께,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무선자원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단말의 통신 상태에 따라 휴지모드(Idle Mode), RRC 연결모드(Connected Mode)등 다양한 RRC 상태가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 RRC 상태간 전이가 가능하다. RRC 계층에서는 시스템 정보방송, RRC 접속 관리 절차, 다중 요소 반송파 설정절차,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제어절차, 보안절차, 측정절차, 이동성 관리 절차(핸드오버)등 무선자원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절차들이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는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이하 CC)라고 한다. 각 CC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CC가 할당된다면,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CC들은 활성화 여부에 따라 1차(primary) CC(이하 PCC)와 2차(secondary) CC(이하 SCC)로 나뉠 수 있다. PCC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송파이고, SCC는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단말은 하나의 PCC만을 사용하거나, PCC와 더불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CC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PCC 및/또는 SCC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반송파 집성은 도 2와 같은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 도 3과 같은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 그리고 도 4와 같은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으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내 인접 반송파 집성은 동일 밴드내에서 연속적인 CC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 CC#3, ... , CC #N이 모두 인접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밴드내 비인접 반송파 집성은 불연속적인 CC들 사이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는 서로 특정 주파수만큼 이격되어 존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간 반송파 집성은 다수의 CC들이 존재할 때, 그 중 하나 이상의 CC가 다른 주파수 대역상에서 집성되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 #1은 밴드(band) #1에 존재하고, CC #2는 밴드 #2에 존재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CC 수와 상향링크 CC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또한, CC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CC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CC(carrier #0) + 20MHz CC(carrier #1) + 20MHz CC(carrier #2) + 20MHz CC(carrier #3) + 5MHz CC(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하향링크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이하 DL CC) D1, D2, D3이 집성되어(aggregated) 있고,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이하 UL CC) U1, U2, U3이 집성되어 있다. 여기서 Di는 DL CC의 인덱스이고, Ui는 UL CC의 인덱스이다(i=1, 2, 3). 적어도 하나의 DL CC는 PCC이고, 나머지는 SCC이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UL CC는 PCC이고, 나머지는 SCC이다. 예를 들어, D1, U1이 PCC이고, D2, U2, D3, U3은 SCC이다.
FDD 시스템에서 DL CC와 UL CC는 1:1로 연결 설정되며, D1은 U1과, D2는 U2와, D3은 U3과 각각 1:1로 연결 설정된다. 단말은 논리채널 BCCH가 전송하는 시스템정보 또는 DCCH가 전송하는 단말전용 RRC메시지를 통해, 상기 DL CC들과 UL CC들간의 연결설정을 한다. 각 연결설정은 셀 특정하게(cell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 특정하게(UE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DL CC와 UL CC간의 1:1 연결설정만을 예시로 들었으나, 1:n 또는 n:1의 연결설정도 성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잉여전력(Power Headroom; PH)에 관하여 설명된다.
잉여전력은 현재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전력이외에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범위의 송신전력인 최대송신전력이 10W인 단말을 가정해 보자. 그리고 현재 단말이 1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9W의 전력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단말은 1W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잉여전력은 1W가 된다.
여기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20Mhz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면, 9W×2=18W의 전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단말의 최대 전력이 10W이므로, 상기 단말에게 20Mhz를 할당한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모두 사용할 수 없거나, 혹은 전력이 부족하여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은 잉여전력이 1W임을 기지국으로 보고하여, 기지국이 잉여전력 범위내에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고를 잉여전력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라 한다.
잉여전력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주기적 (Periodic) 잉여전력 보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주기적 잉여전력 보고 방식에 따르면, 단말은 주기적 타이머 (Periodic timer)가 만료되면, 잉여전력 보고를 트리거링(triggering)하고, 잉여전력이 보고되면, 주기적 타이머를 재구동한다.
또한, 단말이 측정한 경로손실(Path Loss; PL) 추정치(Estimate)가 일정 기준 값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도 잉여전력 보고는 트리거링될 수 있다. 경로손실 추정치는 RSRP(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에 기반하여 단말에 의해 측정된다.
잉여전력(PPH)은 수학식 1과 같이 단말에 설정된(configured) 최대송신전력 Pmax과 상향링크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estimated간의 차이로 정의되며, dB로 표현된다.
잉여전력(PPH)은 전력 헤드룸(PH), 잔여 전력(remaining power), 또는 여분 전력(surplus power)라 불릴 수도 있다. 즉,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단말의 최대송신전력에서 각 요소반송파에서 사용하고 있는 송신 전력의 합인 상기 Pestimated 을 제외한 나머지 값이 PPH값이 된다.
일 예로서, Pestimated는 물리 상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이하 PUSCH)의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PUSCH와 같다. 따라서, 이 경우 PPH는 수학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Pestimated는 PUSCH의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PUSCH및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이하 PUCCH)의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PUCCH의 합과 같다. 따라서, 이 경우 잉여전력은 수학식 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3에 따른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그래프로 표현하면 도 6과 같다. 이는 하나의 CC에 대한 잉여전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의 설정된 최대송신전력 Pmax는 PPH(605), PPUSCH(610) 및 PPUCCH(615)로 구성된다. 즉, Pmax에서 PPUSCH(610)및 PPUCCH(615)를 제외한 나머지가 전력이 PPH(605)로 정의된다. 각 전력은 매 전송시간구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단위로 계산된다.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은 PUCCH를 전송할 수 있는 UL PCC를 보유하는 유일한 서빙셀이다. 따라서,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에서는 PUCCH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잉여전력은 수학식 2와 같이 정해지며, 수학식 3에 의해 정해지는 잉여전력의 보고방법에 대한 파라미터 및 동작은 정의되지 않는다.
반면, 주서빙셀에서는 수학식 3에 의해 정해지는 잉여전력의 보고방법에 대한 동작과 파라미터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여 주서빙셀에서 PUSCH를 전송하여야 하고 정해진 규칙에 의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PUCCH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잉여전력보고가 트리거링되는 시점에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따른 잉여전력을 모두 계산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설정된 CC에 관해 개별적으로 잉여 전력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를 시간-주파수축에서 그래프로 표현하면 도 7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의 설정된 최대송신전력 Pmax는 각 CC #1, CC #2,..., CC #N에 대한 최대송신전력 PCC #1, PCC #2,..., PCC #N의 합과 같다. 각 CC당 최대송신전력을 일반화하면 다음의 수학식과 같다.
CC #1의 PPH(705)는 PCC #1-PPUSCH(710)-PPUCCH(715)와 같고, CC #n의 PPH(720)는 PCC #n-PPUSCH(725)-PPUCCH(730)와 같다. 이와 같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은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송신전력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단일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최대송신전력과는 달리 정의된다.
단일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든,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든,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은 단말의 전력조정(Power Coordination; PC)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력조정이란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을 허용된 일정한 범위내에서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최대전력감소(Maximumn Power Reduction; MPR)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전력조정에 의해 감소되는 전력량을 전력조정량이라 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상향링크 스케줄링이 단말의 전송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시간(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 t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허락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PDCCH를 통해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은 t0에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라 송신전력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우선 시간 t0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USCH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800) 값 및 송신전력제어(TPC, 805) 값과 기지국과 단말간의 경로손실(path loss, 이하 PL, 810)에 가중치인 a값(기지국으로부터 수신)을 고려하여 1차 송신전력(825)을 계산한다. 1차 송신전력(1st Tx Power, 825)은 주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경로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의 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파라미터에 의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QPSK 변조방식(modulation) 및 10개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할당을 지시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815)를 고려하여 2차 송신전력(2nd Tx Power, 830)을 계산한다. 2차 송신전력(830)은 기지국의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통하여 변경되는 송신전력이다.
따라서, 단말은 1차 송신전력(825) 및 2차 송신전력(830)을 모두 합하여 최종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종 상향링크 송신전력은 설정된 단말의 최대송신전력(configured maximum UE transmit power, PCMAX)을 초과할 수 없다. 상기 도 8의 예에서는 t0의 시간에 최종 송신전력이 PCMAX값보다 작으므로 설정된 파라미터에 준하는 상향링크 정보 송신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로 설정할 수 있는 송신전력에 대한 여유분인 잉여전력(power headroom, 820)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잉여전력(82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한 규칙에 의해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시간 t1에, 기지국은 잉여전력(820)의 정보를 통해 단말에게 추가로 설정 가능한 송신전력을 고려하여, 16QAM 변조방식 및 50개의 자원블록의 할당을 지시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850)로 변경한다. 단말은 스케줄링 파라미터(850)에 따라 2차 송신전력(865)을 재설정하게 된다. t1에서의 1차 송신전력(860)은 PUSCH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835) 값 및 송신전력제어(TPC, 840) 값과 기지국과 단말간의 PL(845)에 가중치인 a값(기지국으로부터 수신)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여기서는 t0에서의 1차 송신전력(825)와 같다고 가정한다.
시간 t1에, PCmax가 PCmax _L에 가까운 값으로 변경되는데 반해, 스케줄링 파라미터(850)에 의해 요구되는 2차 송신전력(865)과 1차 송신전력(860)의 합은 PCmax를 초과한다. 즉, PCmax _H-PCmax만큼의 잉여전력 추정값 오류(855)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잉여전력정보만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을 진행한 경우, 기지국이 기대하는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단말은 설정할 수 없으므로 성능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요소반송파 집성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잉여전력 추정값 오류(855)는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전력조정(Power Coordination; PC)이라 한다.
단일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든,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든,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은 단말의 전력조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력조정이란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을 허용된 일정한 범위내에서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최대전력감소(Maximum Power Reduction; MPR)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전력조정에 의해 감소되는 전력량을 전력조정량이라 한다.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을 감소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단말내 하드웨어 구성(특히 RF(Radio Frequency))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하여야 하는 신호의 형태에 의해 최대송신전력을 제한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내 하드웨어 구성은 RF을 포함하며, RF 체인(chain)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상기 RF는, 상기 단말내 하드웨어 구성 중 파워앰프(Power amp), 필터(filter), 안테나(antenna) 등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RF는 파워앰프, 필터, 안테나 각각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RF는 하나의 단말에 하나가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의 RF가 하나의 단말에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는 제 1 필터와 연결된 제 1 파워앰프와 연결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안테나가 제2필터와 연결된 제2파워앰프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단말은 두 개의 RF 체인을 구성한다.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이 결정되면 해당 신호는 필터에 의해 설정된 대역폭에 대해서만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대역폭의 넓이가 넓을수록 필터를 구성하는 탭(예를 들어, 레지스터) 의 개수가 늘어나게 된다. 이상적인 필터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동일한 대역폭이라 하더라도 필터의 설계 복잡도 및 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필터의 특성에 의해 상향링크로 전송하지 않아야 하는 대역에 대한 간섭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전력을 줄이려면, 전력조정을 통해 최대송신전력을 줄여 발생하는 간섭전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전력조정을 고려한 최대송신전력의 범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다.
여기서, Pmax는 단말에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이고, Pmax -L는 Pmax의 최소값, Pmax -H는 Pmax의 최대값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Pmax -L과 Pmax -H는 각각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서, MIN[a,b]는 a와 b중 작은 값이고, PEmax는 기지국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전력이며, △TC는 대역의 가장자리(edge)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있는 경우 적용되는 전력량으로서, 대역폭에 따라 1.5dB 또는 0dB를 가진다. Ppowerclass는 시스템에서 다양한 단말의 사양을 지원하기 위해 정의해 놓은 수개의 전력클래스(power class)에 따른 전력값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에서는 전력클래스 3을 지원하며, 전력클래스 3에 의한 Ppowerclass는 23dBm이다. PC는 전력조정량이고, APC(Additional Power Coordination)는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추가적인 전력조정량이다.
전력조정은 특정한 범위(range)로 설정되거나, 특정한 상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전력조정은 단말 단위로 정의될 수도 있고, 각 CC단위로 정의될 수도 있고, 각 CC단위내에서 다시 범위 또는 상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력조정은 각 CC의 PUSCH 자원할당이 연속적인지 또는 비연속적인지에 따른 범위 또는 상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조정은 PUCCH 존재 여부에 따른 범위 또는 상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량과 최대송신전력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단말에는 하나의 UL CC만이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TC=0이라 가정할 때, 최대송신전력(Pmax)의 최대값(Pmax-H)은 전력클래스 3에 해당하는 23dBm일 수 있다. 최대송신전력(Pmax)의 최소값(Pmax-L)은 최대값(Pmax-H)에서 전력조정량(PC, 900)과 추가적인 전력조정량(APC, 905)를 뺀 값이다. 즉, 단말은 전력조정량(PC, 900)과 추가적인 전력조정량(APC, 905)을 이용하여 최대송신전력(Pmax)의 최소값(Pmax-L)을 감소시킨다. 최대송신전력(Pmax)은 최대값(Pmax-H)과 최소값(Pmax-L)사이에서 결정된다.
한편, 상향링크 송신전력(930)은 대역폭(BW), MCS, RB에 의해 결정되는 전력(915), 경로손실(PL, 920), 그리고 PUSCH 전송전력제어(PUSCH TPCs, 925)의 합으로 나타난다. 잉여전력(PH, 910)은 최대송신전력(Pmax)에서 상향링크 송신전력(930)을 뺀 값이다.
도 9에서는 하나의 UL CC만이 설명되어 있으나, 다수의 UL CC가 할당된 경우에는 최대송신전력은 UL CC단위가 아닌 단말 단위로 주어질 것이며, 단말 단위의 최대송신전력은 모든 UL CC에 대한 각각의 최대송신전력의 합으로 주어질 수 있다.
최대송신전력의 계산에 있어서 PEmax, △TC, Ppowerclass, 추가적인 전력조정량(APC)은 기지국이 알거나 알 수 있는 정보이다. 그러나, 기지국은 전력조정량(PC)을 알 수 없으므로, 전력조정량(PC)에 따른 최대송신전력도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단말이 잉여전력을 기지국으로 보고한 때, 기지국은 잉여전력을 통해 최대송신전력이 대략 어느 정도 범위인지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기지국은 추정된 최대송신전력내에서 불확실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므로, 최악의 경우 단말에 대해 최대송신전력 이상의 송신전력을 요구하는 변조/채널 대역폭/RB로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더 현저하게 발생할 수 있다.
요소 반송파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 및/또는 무선 주파수(RF)가 하나 이상 존재할 경우, 형성되는 통신 환경은 매우 다양할 것이며, 상향링크 스케줄링의 경우의 수도 매우 많을 것이다. 이는 전력조정의 변화량(variance) 또한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파라미터(변조, 채널 대역폭, RB개수 등)뿐만 아니라, 요소 반송파와 무선 주파수를 고려하여, 여러가지 경우의 수에 따른 전력조정이 새롭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정의, 형식(format), 그리고 전송절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통신 환경이 다양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조정의 범위도 1dB~2dB 정도이면 커버가능하다. 이 경우 기지국이 전력조정의 범위를 예측하기 쉬우므로 전력조정에 관한 별도의 정보가 없이도 스케줄링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단말은 집성가능한 CC의 개수, 사용가능한 RF의 개수, 변조 방식,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폭 및 자원블록의 양의 조합에 의해 구체적으로 정의되는 다양한 통신 환경에 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통신 환경은 2개의 CC, 1개의 RF, 16QAM 변조, 20MHz 대역폭, 10개의 자원블록으로 특정되고, 또 다른 통신 환경은 1개의 CC, 1개의 RF, QPSK 변조, 10MHz 대역폭, 5개의 자원블록으로 특정된다. 즉, 각각의 통신 환경은 매우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통신 환경은 필연적으로 전력조정에 대한 다양한 변화량(variance)을 요구한다. 따라서, 단말은 다양한 통신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지원해야하고, 기지국은 단말이 지원하는 다양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알아야 정확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정확한 스케줄링을 위해, 기지국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에 관한 정보이다.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환경별로 특정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기지국에 제공한다.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scheduling)에 관한 파라미터,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단말에 지원되는 RF(radio frequency)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된다. 단말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게 명시적으로(explicitly) 알려줌으로서, 전력조정의 모호성으로 인한 기지국의 스케줄링 오류를 줄이고, 주어진 단말 또는 요소 반송파별 최대송신전력에 적응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2.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형식
(1) 일 예로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할당받은 단말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형식의 정보이다.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변조(modulation),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자원블록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란, 각각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에 임의의 값을 적용한 경우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은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일 예이다.
스케줄링 파라미터 |
Modulation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
1.4 MHz |
3.0 MHz |
5 MHz |
10 MHz |
15 MHz |
20 MHz |
||
시퀀스 0 | QPSK | > 5 | > 4 | > 8 | > 12 | > 16 | > 18 |
시퀀스 1 | 16 QAM | ≤5 | ≤4 | ≤8 | ≤12 | ≤16 | ≤18 |
시퀀스 2 | 16 QAM | > 5 | > 4 | > 8 | > 12 | > 16 | > 18 |
표 1을 참조하면,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시퀀스(sequence) 0, 시퀀스 1, 시퀀스 2 중 어느 하나이다. 시퀀스 0인 경우에 각각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에 어떤 임의의 값이 적용되는지를 보면, 시퀀스 0은 변조방식이 QPSK인 상태에서 1.4MHz의 채널 대역폭과 5개 이상의 자원블록의 개수를 할당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변조방식이 QPSK인 상태에서 3.0MHz의 채널 대역폭과 4보다 큰 자원블록의 개수를 할당하는 상태도 또한 시퀀스 0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6개의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시퀀스 0에 해당한다.
또한, 변조방식이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상태에서 임의의 채널 대역폭과 임의의 자원블록의 개수에 기초한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시퀀스 1 또는 시퀀스 2에 해당한다.
동일한 시퀀스에 속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모두 동일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에 맵핑되고, 다른 시퀀스에 속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간에는 서로 다른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에 맵핑될 수 있다. 즉, 시퀀스는 동일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에 맵핑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집합을 나타낸다. 이에 관한 일 예는 표 2와 같다.
스케줄링 파라미터 |
Modulation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 MHz |
3.0 MHz |
5 MHz |
10 MHz |
15 MHz |
20 MHz |
|||
시퀀스 0 | QPSK | > 5 | > 4 | > 8 | > 12 | > 16 | > 18 | ≤1 |
시퀀스 1 | 16 QAM | ≤5 | ≤4 | ≤8 | ≤12 | ≤16 | ≤18 | ≤2 |
시퀀스 2 | 16 QAM | > 5 | > 4 | > 8 | > 12 | > 16 | > 18 | ≤3 |
표 2를 참조하면, 시퀀스 0에 해당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1dB이하 범위의 전력조정량(PC)에 맵핑되고, 시퀀스 1에 해당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2dB이하 범위의 전력조정량에 맵핑되며, 시퀀스 2에 해당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3dB이하 범위의 전력조정량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시퀀스 1에 속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 중, 20MHz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해 16QAM의 변조, 18RB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가정하면, 해당 단말의 전력조정량의 최대값은 2dB까지이다. 따라서, 단말은 설정된 최대송신전력을 2dB까지 감소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표 2의 각 시퀀스하에서 일정 양 또는 범위의 전력조정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처럼, 전력조정량이 요구사항의 성격을 가지는 이유는 단말의 구현(implementation)형태 또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특성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전력조정량이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급사양(High-end)의 단말은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 전력조정량의 변화가 크기 않지만, 저급사양(Low-end)의 단말은 전력조정량의 변화가 클 수 있다.
시퀀스는 단말에 설정되는 CC의 개수 또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RF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2가 1개의 CC가 설정되고 1개의 RF가 사용되는 경우라 하면, 아래의 표 3은 2개의 CC가 설정되고 1개의 RF가 사용되는 경우이다.
스케줄링 파라미터 | 변조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MHz | 2.5MHz | 5MHz | 10MHz | 15MHz | 20MHz | |||
시퀀스 0 | QPSK,QPSK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1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2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2≤x≤3 |
시퀀스 3 | 16QAM×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4 | 16QAM×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2≤x≤3 |
시퀀스 5 | 16QAM×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5 |
표 3에서 x는 전력조정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CC의 개수와 RF의 개수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새로운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는 단말의 고유한 사양에 의해 결정되는 요소이므로, 단말마다 시퀀스의 개수 및 시퀀스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가 다를 수 있으며, 단말만이 알고 있는 정보이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별로 정의되는 시퀀스 및 각 시퀀스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알려주어야 한다.
표 4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일 예이다.
표 4를 참조하면, UE PC information은 단말에 특정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시퀀스 인덱스(SQ_index)는 각 시퀀스(SEQUENCE)를 구별하는 인덱스로서, 0~31까지의 정수이고, 31은 최대 시퀀스 인덱스(maxSQ_index)에 해당한다. 시퀀스의 크기(size)는 1부터 최대 시퀀스 인덱스까지 가변적이다. 전력조정 최소값(PCValue_Low)은 단말에 적용되는 전력조정의 최소값이고, 전력조정 최대값(PCValue_High)은 단말에 적용되는 전력조정의 최대값이다. 전력조정 오프셋(PC_offset)은 단말의 스케줄링과 무관하게 항상 설정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dB)이다.
또한, 전력조정 값이 범위값으로 정의되지 않는 경우, 전력조정 최소값(PCValue_Low) 및 전력조정 최대값(PCValue_High)을 대신하여 하나의 전력조정값(PCValue)가 포함될 수 있다. 시퀀스의 크기와 전력조정의 최소값, 최대값 또는 전력조정값은 반드시 표 4와 같이 정의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에 2개의 CC가 설정되고 1개의 RF가 지원되는 경우, 시퀀스가 상기 표 3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CC1, CC2에 대해 모두 QPSK, 20MHz, 20RB라 하자. 이는 시퀀스 0에 포함된다. 따라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시퀀스 0을 지시하는 시퀀스 인덱스 0, 시퀀스 0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범위인 1≤x≤2를 나타내도록 아래의 표 5와 같이 구성된다.
시퀀스는 0~5까지 존재하므로, 시퀀스의 크기는 6이고, 시퀀스 인덱스(PC_index)=0, 전력조정 최소값(PCValue_Low)=1dB, 전력조정 최대값(PCValue_High)=2dB, 전력조정 오프셋=0dB이다.
통신환경은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한다. 일 예로서 기지국이 단말에 할당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변경된 스케줄링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시퀀스 인덱스 및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포함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이 단말에 설정하는 CC의 개수 또는 단말에 적용되는 RF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변경된 CC의 개수 또는 RF의 개수에 따른 새로운 시퀀스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모든 경우의 수를 포함하도록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즉, 단말과 기지국은 상기 새로운 시퀀스를 서로 알고 있다. 다만, 기지국이 모르는 것은 상기 새로운 시퀀스에 대해 단말에 고유하게 결정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이다. 따라서, 단말은 새로운 시퀀스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단말에 할당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시퀀스 인덱스 및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포함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스케줄링 파라미터, CC의 개수, RF의 개수와 같은 통신환경이 변경될 때마다, 단말은 새로운 시퀀스 인덱스 및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포함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해줌으로써, 기지국이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 다른 예로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모든 통신환경에 따른 시퀀스와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맵핑하는 전력조정 테이블(PC table)을 지시하는 인덱스 정보이다. 상기 전력조정 테이블은 다양한 단말의 사양별로 정의된다. 즉, 동일한 시퀀스를 가지는 전력조정 테이블끼리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가 다를 수 있다.
아래의 표 6 내지 8은 단말의 집성가능한 CC의 개수가 총 2개, 지원가능한 RF가 1개인 경우의 통신환경 Case1에서 정의되는 전력조정 테이블의 일 예들이다.
스케줄링 파라미터 | 변조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MHz | 2.5MHz | 5MHz | 10MHz | 15MHz | 20MHz | |||
시퀀스 0 | QPSK,QPSK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4 |
시퀀스 1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4 |
시퀀스 2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5≤x≤6 |
시퀀스 3 | 16QAM×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4 |
시퀀스 4 | 16QAM×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5≤x≤6 |
시퀀스 5 | 16QAM×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8≤x≤10 |
스케줄링 파라미터 | 변조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MHz | 2.5MHz | 5MHz | 10MHz | 15MHz | 20MHz | |||
시퀀스 0 | QPSK,QPSK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1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2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2≤x≤3 |
시퀀스 3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4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2≤x≤3 |
시퀀스 5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4≤x≤5 |
스케줄링 파라미터 | 변조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MHz | 2.5MHz | 5MHz | 10MHz | 15MHz | 20MHz | |||
시퀀스 0 | QPSK,QPSK | >5,>5 | >4,>4 | >8, >8 | >12, >12 | >16, >16 | >18, >18 | 0≤x≤1 |
시퀀스 1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0≤x≤1 |
시퀀스 2 | QPSK,16QAM | >5,>5 | >4,>4 | >8, >8 | >12, >12 | >16, >16 | >18, >18 | 1≤x≤2 |
시퀀스 3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0≤x≤1 |
시퀀스 4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0≤x≤1 |
시퀀스 5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2≤x≤3 |
표 6 내지 표 8은 각각 전력조정 테이블로서, 동일한 개수의 CC, RF에 의한 통신환경하에서 동일한 시퀀스를 가지는 전력조정 테이블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들은 동일한 시퀀스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가 다르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표 6 내지 표 8의 각 시퀀스는 모두 동일한데, 각 시퀀스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가 다르다. 예를 들어, 시퀀스 0을 고려하면, 표 6의 시퀀스 0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범위는 3≤x≤4, 표 7의 시퀀스 0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범위는 1≤x≤2, 그리고 표 8의 시퀀스 0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범위는 0≤x≤1이다.
상기 표 6 내지 표 8의 전력조정 테이블은 각각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 0, 1, 2로 지시된다. 단말은 이 중에서 상기 단말의 사양에 해당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의 인덱스를 기지국으로 전송해준다. 따라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모든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도록, 그 비트수가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NPC - info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비트수이고, Celing[a]는 a보다 큰 최소의 정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MAX(a, b, c,....,z)는 a, b, c,...,z 중에서 가장 큰 정수를 의미한다. CaseM은 서로 다른 CC의 개수, RF의 개수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통신환경 M이고, NcaseM은 통신환경 M에서 존재할 수 있는 전력조정 테이블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6 내지 표 8을 Case1에서 존재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이고, 하기 표 9 내지 11은 Case2에서 존재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이며, 하기 표 12는 Case3에서 존재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Ncase1=3, Ncase2=3, Ncase3=1이다. 이는 예시일 뿐 Ncase1, Ncase2, Ncase3의 값은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환경 Case별로 적어도 하나의 전력조정 테이블이 존재하고, 각 전력조정 테이블을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로써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가 인덱스 정보라는 것은 곧 기지국과 단말이 이미 전력조정 테이블을 알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단말과 기지국은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모든 경우의 전력조정 테이블과 각 전력조정 테이블의 인덱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단말이 특정 전력조정 테이블의 인덱스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인덱스의 전력조정 테이블을 선택하여 단말의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알아낼 수 있다. 전력조정 테이블 자체를 전송해주지 않고 인덱스 정보만을 이용하므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에 소요되는 제어자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표 6 내지 표 8은 단말의 집성가능한 CC의 개수가 총 2개인 경우의 전력조정 테이블로서, 만약 CC의 개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새로운 시퀀스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조정 테이블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집성가능한 CC의 개수가 총 2개인 통신환경 Case2인 경우, 아래의 표 9 내지 표 11의 전력조정 테이블이 존재할 수 있다.
스케줄링 파라미터 | 변조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MHz | 2.5MHz | 5MHz | 10MHz | 15MHz | 20MHz | |||
시퀀스 0 | QPSK,QPSK | >5,>5 | >4,>4 | >8, >8 | >12, >12 | >16, >16 | >18, >18 | ≤2 |
시퀀스 1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5 |
시퀀스 2 | QPSK,16QAM | >5,>5 | >4,>4 | >8, >8 | >12, >12 | >16, >16 | >18, >18 | 5≤x≤7 |
시퀀스 3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5≤x≤7 |
시퀀스 4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7≤x≤9 |
시퀀스 5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9≤x≤11 |
스케줄링 파라미터 | 변조 | Channel bandwidth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RB) | PC (dB) |
|||||
1.4MHz | 2.5MHz | 5MHz | 10MHz | 15MHz | 20MHz | |||
시퀀스 0 | QPSK,QPSK | >5,>5 | >4,>4 | >8, >8 | >12, >12 | >16, >16 | >18, >18 | ≤1 |
시퀀스 1 | QPSK,16QAM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1≤x≤2 |
시퀀스 2 | QPSK,16QAM | >5,>5 | >4,>4 | >8, >8 | >12, >12 | >16, >16 | >18, >18 | 3≤x≤4 |
시퀀스 3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4 |
시퀀스 4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3≤x≤5 |
시퀀스 5 | 16QAM ×2 | >5,>5 | >4,>4 | >8,>8 | >12,>12 | >16,>16 | >18,>18 | 4≤x≤6 |
상기 표 9 내지 표 11의 전력조정 테이블은 각각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 0, 1, 2로 지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집성가능한 CC의 개수가 총 5개인 통신환경 Case3인 경우, 아래의 표 12와 같은 전력조정 테이블이 존재할 수 있다.
표 12를 참조하면, 전력조정 테이블은 1개만 존재하는 경우로서,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는 0이다. 또한, 전력조정 테이블을 구성하는 시퀀스는 L+1개이다.
상기 표 6 내지 표 8의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가 각각 0, 1, 2이고, 상기 표 9 내지 표 11의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도 각각 0, 1, 2이며, 상기 표 12의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는 0이므로, 모든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가 서로 중복된다. 기지국은 자신이 직접 CC를 단말에 설정해주기 때문에, 현재 단말에 설정되는 CC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해당 전력조정 테이블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에 2개의 CC를 설정해주면, 기지국은 Case1에 따른 상기 표 6 내지 표 8의 전력조정 테이블이 단말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 0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표 6의 전력조정 테이블을 기초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 1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표 7의 전력조정 테이블을 기초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3) 또 다른 예로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통신환경정보로 구성된다. 통신환경정보는 전력조정에 관한 하드웨어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전력클래스, 지원가능한 송수신 RF의 개수, 단말의 집성가능한 CC의 개수를 포함한다. 통신환경정보에 의해 전력조정 테이블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가 아래의 표 13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 |
전력클래스 | 3 |
RF | 2 |
집성가능한 CC | 5 |
단말의 전력클래스가 3이고, 지원가능한 RF가 2개, 집성가능한 CC가 5개이므로, 상기 표 2의 전력조정 테이블이 특정될 수 있다. 다만, 단말과 기지국은 모든 경우의 전력조정 테이블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단말은 통신환경정보로 구성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알려주면,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전력조정 테이블 중 상기 통신환경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전력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4) 또 다른 예로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통신환경정보 및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통신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력조정 테이블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단말이 통신환경정보 및 해당 전력조정 테이블을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6 내지 표 12의 통신환경을 가정하자. 단말은 단말의 전력클래스가 3이고 현재 다중 요소 반송파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RF 체인의 개수가 2임을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로써 기지국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기지국은 현재 다중 요소 반송파 환경을 기반으로 단말이 동작하는 통신환경이 Case3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통신환경 Case3내의 전력조정 테이블의 총 개수가 10개라하고, 그 중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할 테이블이 10번째 전력조정 테이블이라면, 단말은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 = 10 정보를 상기 통신환경정보와 함께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에 포함시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3.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RRC 연결상태인 단말과 RRC 연결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절차를 수행하여 RRC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의 설정, 변경 또는 해제
- 핸드오버
- 측정의 설정, 변경 또는 해제
- 기지국이 NAS 전용(Non Access Stratum dedicated)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RRC 연결재구성 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CC의 개수등 기존의 통신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RRC 연결재구성에 의해 새로운 통신환경이 형성되는 경우, 단말은 새로운 통신환경에 부합하는 변경된 시퀀스 및 전력조정 테이블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변경된 시퀀스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기지국에 전송해주어야 한다. 이 때, 단말은 RRC 연결재구성완료 메시지에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RC 연결재구성절차에 의해 단말이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00).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할당받은 단말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형식의 정보일 수도 있고,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모든 통신환경에 따른 시퀀스와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맵핑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지시하는 인덱스 정보일 수도 있으며, 통신환경정보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고, 통신환경정보 및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다.
기지국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1005). 여기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은 상기 참조되는 전력조정 테이블상의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에 기초하여 단말의 최대송신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변조방식과 할당할 자원블록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따라 생성되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단말로 전송한다(S1010).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위한 형식(format) 0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로서, PDCCH상으로 전송된다.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하기의 표 14와 같이 구성된다.
표 1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그랜트는 RB, 변조 및 코딩 기법(MCS), TPC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RB개수, MCS, TPC등을 기초로 생성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15).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100).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CC 구성정보(CC 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CC의 추가(Add), 변경(Modify), 해제(Release) 등의 상세 CC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CC의 추가(Add), 변경(Mod), 해제(Release) 절차는 해당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확인하여 수행된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설정파라미터들을 추가, 변경 또는 해제한 후,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05).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할당받은 단말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형식의 정보일 수도 있고,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모든 통신환경에 따른 시퀀스와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맵핑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지시하는 인덱스 정보일 수도 있으며, 통신환경정보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고, 통신환경정보 및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RRC 연결설정절차에 편승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RC 관련 메시지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를 새롭게 가지게 된다. 이하의 도 12 및 도 13은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RRC 연결설정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다(S1200). RRC 재구성 메시지는 CC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C 구성 정보는, 각 CC의 고유정보와, 그리고 상기 CC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CC 인덱스 정보(CC Index Informa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C 인덱스 정보는, 각 CC의 고유정보와 매칭되어 해당 CC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ndicator)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상기 CC 인덱스 정보는 RRC 메시지 상에서 물리 계층에서의 CC를 구별하기 위하여 설정한 CC에 대한 지시 정보이다.
단말은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내에 CC 설정변경과 관련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205). 예를 들어, 상기 CC 설정변경과 관련된 메시지는 CC 추가 또는 제거 또는 변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RRC 재구성 메시지에 따른 RRC 재구성을 완료한 후,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10).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아래의 표 15와 같다.
여기서, Critical Extensions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기존의 기능을 위해 필수적으로 전송되어야 할 정보이다. UE-PC information은 상기 표 4에 따른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예시이다. 물론, UE-PC information의 형식은 상기 표 4뿐만 아니라,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모든 통신환경에 따른 시퀀스와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맵핑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지시하는 인덱스 정보일 수도 있으며, 통신환경정보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고, 통신환경정보 및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다(S1215).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기초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전력조정량을 설정한다(S1220).
단말은 상기 설정된 전력조정량을 고려하여 최대송신전력을 조정한 후 상향링크 송신전력 설정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25).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SR(scheduling request), BSR(buffer state report) 정보 등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계산한다. 또한 현재 기지국에서 가용한 자원 및 네트워크 정책 등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UL CC의 개수 및 UL CC 조합을 결정한다(S1300). 상기 UL CC 조합이라 함은 선택된 CC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게 할당할 UL CC의 개수가 3개이고, UL CC는 1 ~ 5번까지 존재하는 경우, 단말에게 할당하는 UL CC 조합은 {1,2,3} 또는 {1,3,5}와 같이 상기 5개의 UL CC 중에서 3개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UL CC의 개수 및 조합이 변경된 경우, 이를 고려하여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305).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로부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S1310).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할당받은 단말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형식의 정보일 수도 있고,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모든 통신환경에 따른 시퀀스와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맵핑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지시하는 인덱스 정보일 수도 있으며, 통신환경정보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고, 통신환경정보 및 전력조정 테이블 인덱스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다.
기지국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내에 CC 추가/변경/제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였으므로 단말로부터 전송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의 환경정보(UE context)를 구성한다(S1315).
기지국은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구성한다(S1320). 기지국은 스케줄링 유효성(scheduling validation)을 판단한다(S1325).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이란 전력조정의 추정값에 영향을 주는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잉여전력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변경된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의 관점에서 유효한지를 판단함을 의미한다.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의 일 예는 다음의 수학식 9와 같다.
수학식 9를 참조하면, ΔEPC은 현재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추정된 전력조정 추정값(Estimated Power Coordination; EPC)에서 이전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추정된 전력조정 추정값을 뺀 값이다. 전력조정 추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에는 자원블록의 개수, 변조방식, PUSCH 자원할당 형태(연속적 또는 비연속적 할당여부), PUCCH 존재여부(PUCCH와 PUSCH의 병렬전송인지 또는 PUSCH 단독 전송인지 여부)등이 있다.
한편, ΔTxPw=ΔPUSCH+ΔPUCCH이다. 여기서, ΔPUCCH는 주요셀의 경우에만 고려된다. ΔPUSCH는 현재 스케줄링 파라미터에 의해 계산된 PUSCH의 전력에서 가장 최근에 스케줄링한 PUSCH의 전력을 뺀 값이다. ΔPUCCH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주요셀을 통하여 수신될 PUCCH의 전력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PUCCH의 전력을 뺀 값이다. 여기서, PUCCH는 기지국에 의하여 각 단말마다 설정된 주기에 따라 단말의 주요셀을 통하여 수신되므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에 따라 PUCCH의 수신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이 수학식 9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만약, 수학식 9가 거짓(false)이면, 해당 기지국의 정책에 따라 ΔEPC 또는 ΔTxPw가 줄어들도록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수정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구성한다(S1320).
만약 수학식 9가 참(true)이면,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가 유효함을 나타내므로, 기지국은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전송한다(S133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는 전력조정 테이블 저장부(1405),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생성부(1410), RRC 메시지 생성부(1415), RRC 메시지 송수신부(1420), 상향링크 그랜트 수신부(1425) 및 데이터 송신부(1430)를 포함한다.
전력조정 테이블 저장부(1405)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저장한다. 전력조정 테이블의 예는 상기 표 6 내지 표 12와 같다.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생성부(1410)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단말이 처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환경별로 특정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기지국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상기 (1), (2), (3), (4)의 실시예로써 구성될 수 있다.
RRC 메시지 생성부(1415)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RRC 연결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본래 RRC 연결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컨텐츠(contents)뿐만 아니라,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RRC 메시지 송수신부(1420)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1450)로 전송한다.
상향링크 그랜트 수신부(1425)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1450)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다. 상향링크 그랜트의 일 예는 아래의 표 16과 같다.
데이터 송신부(1430)는 상기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른 스케줄링 파라미터 및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1450)로 전송한다.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1450)는 RRC 메시지 송수신부(1455), 스케줄링부(1460),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부(1465),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부(1470) 및 데이터 수신부(1475)를 포함한다.
RRC 메시지 송수신부(1455)는 CC 추가/변경을 위한 CC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를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로 전송하거나,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로부터 수신한다.
스케줄링부(1460)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의 채널상황, 버퍼상태보고, 네트워크 상황, 자원이용 상황등을 고려하여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에 대한 MCS, TPC, 자원할당정보와 같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부(1465)는 스케줄링부(1460)에 의해 전력조정의 추정값에 영향을 주는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1450)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잉여전력보고를 기반으로 상기 변경된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의 관점에서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의 일 예는 상기 수학식 9에 의해 수행된다.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부(1470)는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의 결과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스케줄링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부(1475)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1400)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CC의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동일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에 맵핑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집합인 시퀀스(sequence)를 지시하는 인덱스 및 상기 시퀀스에 맵핑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및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는 자원블록(resource block)의 개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단말에 적용되는 RF(Radio Frequency) 체인(chain)의 개수의 조합에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조정 테이블(table)을 지시하는 인덱스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조정 테이블은 동일한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에 맵핑되는 임의 상태의 스케줄링 파라미터의 집합인 시퀀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가능한 송수신 RF의 개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집성가능한 CC의 개수 정보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방법.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관한 상향링크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상향링크 그랜트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설정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정될 CC의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RRC 연결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RRC 연결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방법.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지원가능한 RF의 개수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환경과, 상기 통신환경하에서 허용되는 전력조정의 양 또는 범위간의 맵핑관계인 복수의 시퀀스로 구성되는 전력조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전력조정 테이블 저장부;
상기 전력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 최대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RRC 메시지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지원가능한 RF의 개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시퀀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인덱스(ind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 테이블은 상기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상기 지원가능한 RF의 개수의 조합에 따라 복수개가 존재하고,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력조정 테이블을 지시하는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전송의 최대전송전력을 조정하는 양 또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RRC 메시지 송수신부;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스케줄링부;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이 상기 최대전송전력이내의 범위에서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부; 및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 요소 반송파의 개수 및 지원되는 RF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이 상기 최대전송전력이내의 범위에서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160A KR20120015757A (ko) | 2010-08-13 | 2010-08-13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US13/704,126 US20130090146A1 (en) | 2010-08-13 | 2011-08-10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power coordination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
PCT/KR2011/005858 WO2012020994A2 (en) | 2010-08-13 | 2011-08-10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power coordination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160A KR20120015757A (ko) | 2010-08-13 | 2010-08-13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5757A true KR20120015757A (ko) | 2012-02-22 |
Family
ID=4556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8160A KR20120015757A (ko) | 2010-08-13 | 2010-08-13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090146A1 (ko) |
KR (1) | KR20120015757A (ko) |
WO (1) | WO2012020994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84670A1 (en) | 2012-06-09 | 2013-12-12 | Apple Inc. | Rf chain management in a carrier aggregation cap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KR101413351B1 (ko) * | 2013-01-21 | 2014-06-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트라 밴드 비연속적인 상향링크 반송파 집성에서 기준 감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감소된 개수의 전송 리소스 블록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단말 |
US9655088B2 (en) * | 2013-04-17 | 2017-05-16 | Qualcomm Incorporated | Utilizing unused uplink sequence shifts for signaling |
CN104426620A (zh) * | 2013-09-11 | 2015-03-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宽带频谱感知方法及装置 |
US9980257B2 (en) | 2014-09-26 | 2018-05-22 | Qualcomm Incorporated | Ultra-low latency LT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
US9844072B2 (en) * | 2014-09-26 | 2017-12-12 | Qualcomm Incorporated | Ultra-low latency LTE uplink frame structure |
US9955462B2 (en) | 2014-09-26 | 2018-04-24 | Qualcomm Incorporated | Ultra-low latency LTE control data communication |
US10455558B2 (en) * | 2016-05-13 | 2019-10-22 | Qualcomm Incorporated | Handling for interruption due to carrier switching and carrier switching capability indication |
CN108810874B (zh) * | 2017-05-05 | 2021-04-09 |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 一种终端能力信息上报、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
WO2024233905A2 (en) * | 2023-05-11 | 2024-11-14 | Hughes Network Systems, Llc | Communication parameter selection with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5818B1 (ko) * | 1995-04-29 | 1998-11-16 | 김광호 | 다중 반송파 전송시스템에서 적응형 전력 분배 방법 및 장치 |
CN102655446B (zh) * | 2004-06-30 | 2016-12-14 | 亚马逊科技公司 | 用于控制信号传输的装置和方法、以及通信方法 |
US7853282B2 (en) * | 2006-09-14 | 2010-12-14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1447750B1 (ko) * | 2008-01-04 | 2014-10-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
KR20100073976A (ko) * | 2008-12-23 | 2010-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1674940B1 (ko) * | 2009-01-29 | 2016-1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20100272091A1 (en) * | 2009-04-27 | 2010-10-28 | Motorola, Inc. | Uplink Scheduling Supoort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KR101670513B1 (ko) * | 2009-06-01 | 2016-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장치 |
ES2509240T3 (es) * | 2009-10-01 | 2014-10-17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étodos y aparato de control de potencia |
US8249091B2 (en) * | 2009-10-21 | 2012-08-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headroom report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20120015228A (ko) * | 2010-08-11 | 2012-02-21 | 주식회사 팬택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
2010
- 2010-08-13 KR KR1020100078160A patent/KR2012001575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08-10 US US13/704,126 patent/US201300901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8-10 WO PCT/KR2011/005858 patent/WO2012020994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20994A3 (en) | 2012-05-10 |
WO2012020994A2 (en) | 2012-02-16 |
US20130090146A1 (en) | 2013-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2477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ple element carrier wave system | |
US915505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 |
US2012008330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power coordina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US20120106477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regarding component carrier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 |
US201301420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power coordination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 |
US887349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KR20120015757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
US905556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US2014001812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 |
WO2012026719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US2013007071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US2013021586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about component carrier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KR20120001535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보고장치 및 방법 | |
KR20120048390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전력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 |
KR20110137446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
KR20130085884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전력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 |
KR20110139978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보고장치 및 방법 | |
KR20120050878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전력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 |
KR20120015879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
KR20120047123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
WO2012023812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KR20120048449A (ko)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전력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