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3965A - 정제된 합성 가스의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정제된 합성 가스의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965A
KR20120013965A KR1020117025911A KR20117025911A KR20120013965A KR 20120013965 A KR20120013965 A KR 20120013965A KR 1020117025911 A KR1020117025911 A KR 1020117025911A KR 20117025911 A KR20117025911 A KR 20117025911A KR 20120013965 A KR20120013965 A KR 2012001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tream
enriched
syngas
puri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덴 보른 이삭 코르넬리스 판
헤어링겐 헤이스베르트 얀 판
코르넬리스 야코뷔스 스미트
알렉스 프레데리크 볼드하위스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1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6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02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 C01B17/04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62Removing mixtures of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02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 C01B17/04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 C01B17/0404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by processes comprising a dry catalytic conversion of hydrogen sulfide-containing gases, e.g. the Claus process
    • C01B17/0408Pretreatment of the hydrogen sulfide contain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02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 C01B17/04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 C01B17/05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1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 C01B3/1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2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liquids; Regeneration of us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8Carbonoxysulfide CO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8Cyanides, e.g. hydrogen cyanide (H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15Purification by absorption in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75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85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a sulfur comp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dustrial Gases (AREA)
  • Catalys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물 합성 가스로부터, 정제된 합성 가스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a) 공급물 합성 가스를 전환하여 H2S 및 CO2 가 농후한 전환된 합성 가스를 얻는 단계;
b) 전환된 합성 가스를 흡착액과 접촉시켜 반 정제된 합성 가스와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을 얻는 단계;
c)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을 가열 및 감압함으로써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와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얻는 단계;
d)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스트리핑하여 재생된 흡착액과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를 얻는 단계;
e) 스트리핑 가스에서 H2S 를 황원소로 변환하는 단계; 및
f) 반 정제된 합성 가스를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과 접촉시켜 H2S 열화 합성 가스와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얻는 단계; 및
g)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생물반응기에서 산소의 존재하에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와 접촉시켜 황 슬러리와 재생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Description

정제된 합성 가스의 제조 공정{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YNTHESIS GAS}
본 발명은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급물 (feed)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생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합성 가스 스트림은 주로 일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가스 스트림은, 천연 가스, 석탄층 메탄, 증류 오일 및 잔여오일을 포함하는 탄화 수소의 부분 산화 또는 증기 (steam) 개질을 통해, 그리고 바이오매스 또는 석탄 또는 코크스와 같은 고형의 화석 연료의 기체화에 의해 생산된다.
바이오매스, 무연탄, 갈탄, 역청탄 (bitumous coal), 서브 (sub) 역청탄, 아탄 (lignite), 석유 코크스 및 이탄 (peat) 과 같은 고형의 연료를 포함하며 합성 가스 생성용 공급 원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고형의 또는 매우 중질인 (점성의) 화석 연료, 및 열 분해, 접촉 (catalytic) 분해, 수소화 분해 등과 같은 오일 변환 공정으로부터 또는 원유로부터 직접 유도되는, 360 ℃ 초과의 비등점을 갖는 잔여 오일 분류물과 같은 정제소로부터의 잔여물인 타르 샌드 (tar sand) 로부터 추출된, 예를 들어 탄화수소와 같은 중질 잔여물이 있다. 이러한 모든 종류의 연료는 탄소 및 수소 비율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로서 간주되는 물질이 다르다.
합성 가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공급 원료에 따라, 합성가스는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황화 카르보닐 및 이황화 카르보닐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함할 것이며, 또한 질소, 질소 함유 성분 (예컨대 HCN 및 NH3), 금속, 금속 카르보닐 (특히, 니켈 카르보닐 및 철 카르보닐) 및 몇몇의 경우에는 메르캅탄이 존재할 수 있다.
정제된 합성 가스는 접촉 화학 변환시 또는 발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세계 에너지 공급의 상당부분은 발전 설비에서 연료, 특히 천연 가스 또는 합성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제공된다. 합성 가스는 하나 이상의 가스 터빈에서 공기와 연소되고, 그 결과물 가스가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후, 이 증기는 발전을 위해 사용된다.
발전시 합성 가스를 사용하는 특히 적합한 시스템은 석탄가스화복합발전 (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시스템이다. IGCC 시스템은 가스 터빈 설비에서 연료의 공급원으로서 석탄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고안되었다. IGCC 는 2 개의 시스템의 조합이다. 제 1 시스템은 석탄을 사용하여 합성 가스를 만드는 석탄 가스화이다. 이후, 합성 가스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정제된다. 정제된 합성 가스는 발전을 위해서 연소 터빈에 사용될 수도 있다.
IGCC 에서 제 2 시스템은 상업 발전에 효과적인 방법인 복합 방식 (combined cycle) 또는 화력 방식 (power cycle) 이다. 복합 방식은 연소 터빈/발전기, 열 회수 증기 발생기 (HRSG), 및 증기 터빈/발전기를 포함한다. 연소 터빈으로부터 배출된 열은 HRSG 에서 회수되어 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후, 이러한 증기는 증기 터빈을 통해 더 많은 발전을 행하는 다른 발전기를 통과한다. 복합 방식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발전 시스템에 비해 더 효율적인데, 이는 폐열을 재사용하여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IGCC 시스템은 청정 시스템이며, 일반적으로 종래의 석탄 설비에 비해 더 효율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 가스가 발전용으로 사용될 때, 가스 터빈 부품 상으로의 오염 물질의 퇴적을 회피하기 위해서 오염 물질의 제거가 종종 요구된다.
합성 가스가 접촉 화학 변환에 사용될 때, 촉매 오염 (poisoning) 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 물질을 낮은 수준으로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고가의 라인업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컨대, 차가운 매탄올이 물리적 흡착에 의해 황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정제된 합성 가스에서 이들 오염 물질의 농도는 여전히 비교적 높을 것이다. 합성 가스가 접촉 변환되는 적용분야를 위해서는, 오염 물질의 농도가 낮은 것이 요구될 것이다. 메탄올 기반 공정을 사용하여 합성 가스 스트림을 높은 수준으로 정제하는 것은 메탄올 냉각 및 이후의 재생에 필요한 불균형적으로 많은 에너지 양으로 인해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된 합성 가스가 추가의 용도, 특히 발전에 적합하도록, 탄소질 연료의 범주로부터 유도된 합성 가스 스트림의 정제에 최적인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성분인 일산화탄소 및 수소 이외에, 황화 수소, 황화 카르보닐 및/또는 시안화 수소와 선택적으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a) 물 및/또는 증기의 존재 하에 시프트 (shift) 반응기에서 상기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과 수성 가스 (water gas) 시프트 촉매를 접촉시켜, 일산화탄소의 적어도 일부를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시안화 수소의 적어도 일부를 암모니아로, 및/또는 황화 카르보닐의 적어도 일부를 황화 수소로, 반응시켜 H2S 및 CO2 가 농후하며 선택적으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얻는 단계;
b)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흡착액과 접촉시켜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H2S 및 CO2 를 제거하여 반 정제된 합성 가스 및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을 얻는 단계;
c)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의 적어도 일부를 히터에서 가열하여 H2S 및 CO2 가 농후한 가열된 흡착액을 얻는 단계;
d) H2S 및 CO2 가 농후한 가열된 흡착액을 플래쉬 (flash) 용기에서 감압시킴으로써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와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얻는 단계;
e)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상승된 온도에서 스트리핑 가스와 접촉시킴으로써 H2S 가 스트리핑 가스에 전달되어 재생된 흡착액과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를 얻는 단계;
f)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에서 H2S 를 황원소로 변환 (converting) 하는 단계; 및
g) H2S 제거 영역에서 이러한 가스 스트림과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을 접촉시킴으로써 반 정제된 합성 가스로부터 H2S 를 제거하여 H2S 열화 합성 가스 스트림과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얻는 단계; 및
h)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생물반응기에서 산소의 존재하에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와 접촉시켜 황 슬러리와 재생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이 공정은 낮은 레벨, 특히 ppmv 또는 ppbv 의 오염 물질을 갖는 정제된 합성 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정제된 합성 가스는, 특히 HCN 및/또는 COS 에 관해 오염 물질의 레벨이 낮기 때문에, 많은 용도, 특히 발전을 위한 공급 원료로서의 용도 또는 접촉 화학 반응에서의 용도에 적합하다. 정제된 합성 가스는 특히 IGCC 에서의 용도에 적합하다.
이 공정의 중요한 이점은, 단계 d) 에서, CO2 농후 스트림이 비교적 고압, 바람직하게는 5 ~ 10 bara 의 범위에서 얻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CO2 농후 스트림의 추가의 압축에 필요한 설비 없이, 향상된 오일 회수, 또는 지하 구조물 또는 대수층으로의 재주입을 위해서 CO2 농후 스트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 공정의 다른 이점은, 단계 e) 에서, 상당량의 CO2 를 포함하는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을 처리할지라도, H2S 가 농후하고 CO2 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스트리핑 가스가 얻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에서 H2S 의 농도는 30 체적 % 초과일 것이다. 이러한 스트리핑 가스는 H2S 가 황원소로 변환되는 황 회수 유닛에 적합한 공급물이다. 황 회수 유닛으로의 공급물에서 고농도의 H2S 는, 더 작은 황 회수 유닛의 사용 그리고 이에 따라 더 적은 자본과 조업 비용을 가능케 한다.
통상, 공급물 합성 가스는 고온 개질기, 자열 개질기 또는 가스화기와 같은 합성물 생성 유닛에서 공급원료로서 생성된다. 예컨대, Maarten van der Burgt 등의 "The Shell Middle Distillate Synthesis Process", Petroleum Review 지 1990년 4월호 204 ~ 209 페이지 참조.
석탄 및 중유 잔여물 이외에, 무연탄, 갈탄, 역청탄, 서브 역청탄, 아탄, 석유 코크스 및 이탄과 같은 고형의 연료를 포함하며 합성 가스 생성용 공급원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고형의 또는 매우 중질인 (점성의) 화석 연료, 및 열 분해, 접촉 분해, 수소화 분해 등과 같은 오일 변환 공정으로부터 또는 원유로부터 직접 유도되는, 360 ℃ 초과의 비등점을 갖는 잔여 오일 분류물과 같은 정제소로부터의 잔여물인 타르 샌드로부터 추출된, 예를 들어 탄화수소와 같은 중질 잔여물이 있다. 이러한 모든 형식의 연료는 탄소 및 수소의 비율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오염 물질로서 간주되는 물질이 상이하다.
개질기에서 생성된 합성 가스는 통상, 주성분인 일산화탄소 및 수소 이외에, 이산화탄소, 증기, 다양한 불활성 화합물 및 HCN 및 황 화합물과 같은 불순물을 포함한다. 기체화기에서 생성된 합성 가스는, 통상 낮은 수준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합성 가스 생성 유닛을 나오는 합성 가스는 입자상 물질, 예컨대 매연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매연 입자는, 제거되는데, 예컨대 합성 가스 생성 유닛을 나가는 합성 가스와 매연 스크러버 (scrubber) 의 스크러빙 액체가 접촉함으로써, 입자상 물질, 특히 매연을 제거하고, 이에 의해 주성분인 CO 및 H2 이외에, H2S 및 선택적으로 CO2, HCN 및/또는 COS 를 포함하는 공급물 합성 가스를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공급물 합성 가스에서 H2S 의 양은 합성 가스를 기준으로, 1 ppmv ~ 20 체적 %, 통상 1 ppmv ~ 10 체적 % 일 것이다.
적용가능하다면, 공급물 합성 가스에서 CO2 의 양은, 합성 가스를 기준으로, 약 0.5 체적 % ~ 10 체적 %, 바람직하게는 약 1 체적 % ~ 10 체적 % 이다.
HCN 이 존재한다면, 공급물 합성 가스에서 HCN 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 ppbv ~ 약 500 ppmv 일 것이다.
COS 가 존재한다면, 공급물 합성 가스에서 COS 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 ppbv ~ 약 100 ppmv 일 것이다.
단계 a) 에서,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은 수성가스 시프트 촉매와 접촉되어 일산화탄소의 적어도 일부와 물을 반응시킨다. 물 시프트 변환 반응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 증기 형태의 물이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과 혼합되어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형성한다. 사용된 촉매는 이러한 반응을 위해 공지되어 있으며, 철, 크롬, 구리 및 아연을 포함하는 임의의 촉매일 수 있다. 산화 아연 구리가 특히 적합한 시프트 촉매이다.
단계 a) 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서 일산화탄소는 하나 이상의 고정층 반응기에서 존재하는 것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낮은 량의 증기로 변환된다. 일련의 시프트 반응기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각각의 반응기에서, 수성가스 시프트 변환 단계가 실행된다. 제 1 또는 단지 수성 가스 시프트 반응기에 공급된 바와 같은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서, 건량 기준으로,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체적 %, 더 바람직하게는 55 체적 % ~ 70 체적 % 이다.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촉매를 황화물로 그리고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황화 수소를 포함한다. 황화 수소의 최소 함량은, 시프트 반응기의 작동 온도, 공간 속도 (GHSV) 및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 존재하는 황 종류에 따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ppm 의 H2S 가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 존재한다. 촉매 활동도의 관점으로부터 H2S 의 최대량에 제한은 없다.
단계 a) 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시프트 반응기에 진입할 때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서 증기에 대한 일산화탄소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2 : 1 내지 0.9 : 1 이다. 시프트 반응기에 진입할 때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 ℃ ~ 230 ℃ 이다. 게다가, 입구 온도는, 각각의 수성 가스 시프트 변환 단계에 대해 공급물의 노점보다 10 ℃ ~ 60 ℃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의 공간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6000 h-1 ~ 9000 h- 1 이다.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2 MPa ~ 5 MPa 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 MPa ~ 4.5 MPa 이다.
일산화탄소의 변환은, 반응기의 공급물에 존재하는 증기의 아화학량론적 (sub-stoichiometric) 양으로 인해 통상 100 % 가 아닐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고정층 반응기를 사용하는 시프트 반응기 방출물에서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건량 기준으로 55 체적 % ~ 70 체적 % 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출발하면, 건량 기준으로 35 체적 % ~ 50 체적 % 일 것이며, 증기/CO 비율은 0.2 몰 ~ 0.3 몰일 것이다. 일산화탄소의 추가 변환이 소망된다면, 시프트 반응기 방출물이 다음의 수성 가스 시프트 변환 단계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속의 수성 가스 시프트 변환 단계에 대한 바람직한 증기/물 대 일산화탄소 몰비, 입구 온도 및 공간 속도는 제 1 수성 가스 시프트 변환 단계에 대해 기술된 것과 같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가스화 공정으로부터 얻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물 스크러빙 단계를 받게 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물이 증발되어 최종적으로 합성 가스 혼합물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러빙된 합성 가스에서 이루어진 증기 대 CO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제 1 수성 가스 시프트 변환 단계에 합성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합성 가스에 증기 또는 물이 추가될 필요가 없게 한다. 후속 단계를 위해 소망하는 증기 대 CO 몰 범위를 얻기 위해서, 증기 또는 보일러 공급수가 각각의 이전 단계의 방출물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수성 가스 시프트 단계는, 각각의 다음 시프트 반응기의 시프트 반응기 방출물에서 일산화탄소 함량을 건량 기준으로, 5 체적 % 미만의 CO 함량으로 계단식으로 낮추는 것을 반복할 수도 있다. 4 ~ 5 단계에서, 또는 다르게는, 4 ~ 5 개의 반응기에서, 이러한 CO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각각의 시프트 반응기에서 온도 상승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반응기에서 촉매 층의 최대 온도는 440 ℃ 를 초과하지 않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400 ℃ 를 초과하지 않도록 각각의 시프트 반응기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높을수록, 발열 메탄화 반응이 발생할 수 있어 그 결과 제어되지 않은 온도 상승이 유발된다.
시프트 반응기에 사용된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가스 시프트 촉매이며, 이 촉매는 메탄화와 같은 우호적인 부반응 없이 바람직한 낮은 증기 대 CO 몰비에서 활성이며, 그리고 비교적 낮은 입구 온도에서 활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촉매는 캐리어 및 몰리브덴 (Mo) 의 산화물 또는 황화물, 더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 (Mo) 및 코발트 (Co),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구리 (Cu), 텅스텐 (W) 및/또는 니켈 (Ni) 을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황화물의 혼합물을 갖는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칼륨 (K), 란타늄 (La), 망간 (Mn), 세륨 (Ce) 및/또는 지르코늄 (Zr)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촉진제/억제제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예컨대, 알루미나, MgAl2O4 또는 MgO-Al2O3-TiO2 와 같은 내화물 재료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촉매의 예는 활성 γ- Al2O3 캐리어, 1 ~ 8 중량 % CoO 및 6 ~ 10 중량 % MoO3 를 포함한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압출물로서 존재한다.
단계 a) 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은 적어도 50 체적 % 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시프트 반응기 (들) 에 진입할 때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서 증기 대 일산화탄소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2 : 1 내지 0.9 : 1 이며, 시프트 반응기 (들) 에 진입할 때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의 온도는 190 ℃ ~ 230 ℃ 이다.
단계 a) 에서 발생하는 추가의 반응은 HCN 의 암모니아로의 변환 및/또는 COS 의 H2S 로의 변환이다. 이에 따라, 단계 a) 에서 얻어진 시프트 가스 스트림에서는 HCN 및/또는 COS 가 열화되어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a) 에서 얻어진 전환된 가스 스트림은 냉각되어 물 및 적용가능하다면, 암모니아가 제거된다. 전환된 가스 스트림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의 물 및 적용가능하다면, 암모니아가 제거된다.
단계 b) 에서, 전환된 합성 가스는 흡착기에서 흡착액과 접촉되어 H2S 와 CO2 가 제거되며, 이에 의해 반 정제 합성 가스와 H2S 와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이 얻어진다.
적절한 흡착액은 물리적 용매 및/또는 화학적 용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리적 용매는 H2S 및/또는 CO2 와의 화학적 상호작용이 거의 없거나 없는 용매로 이해된다. 적절한 물리적 용매는 술포레인 (시클로-테트라메틸렌술폰 및 그의 유도체), 지방산 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N-알킬화 피롤리돈 및 대응 피페리돈, 메탄올,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디알킬에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적 용매는 H2S 및/또는 CO2 와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용매로 이해된다. 적절한 화학적 용매는 아민계 용매, 예컨대 1 차, 2 차 및/또는 3 차 아민, 특히 에탄올아민에서 유도된 아민, 특히 모노에탄올 아민 (MEA), 디에탄올 아민 (DEA), 트리에탄올 아민 (TEA), 디이소프로판올아민 (DIPA) 및 메틸디에탄올 아민 (MDE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흡착액은 물리적 용매 및 화학적 용매를 포함한다.
화학적 용매 및 물리적 용매 양자를 포함하는 흡착액을 사용하는 이점은, 이 흡착액이 적절한 투자 비용 및 조업 비용에 대해서 H2S 및/또는 CO2 에 대해 양호한 흡착 성능 및 양호한 선택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흡착액은 2 차 또는 3 차 아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아민 화합물, 더 바람직하게는, DIPA, DEA, 모노메틸-에탄올 아민 (MMEA), MEDA, 또는 디에틸-모노에탄올 아민 (DEMEA), 바람직하게는 DIPA 또는 MDEA 를 포함한다.
단계 b) 는, 바람직하게는 15 ℃ ~ 9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 더 바람직하게는 25 ℃ ~ 80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 ~ 65 ℃,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5 ℃ 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한 온도에서, H2S 및 CO2 의 보다 양호한 제거가 이루어진다. 단계 b) 는, 바람직하게는 15 bara ~ 90 bara, 더 바람직하게는 20 bara ~ 80 bara,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bara ~ 70 bara 의 압력에서 실행된다.
단계 b) 는, 5 ~ 80 개의 접촉 층, 예컨대 밸브 트레이, 버블 캡 트레이, 배플 등을 갖는 흡착기에서 바람직하게 실행된다. 또한, 구조화된 패킹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적절한 용매/공급물 가스 비는 1.0 ~ 10 (w/w), 바람직하게는 2 ~ 6 (w/w) 이다.
단계 c) 에서,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된다. 바람직하게는,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이 90 ℃ ~ 120 ℃ 의 온도에서 가열된다.
단계 d) 에서, 가열된 흡착액은 플래쉬 용기에서 감압되고, 이에 의해 CO2 농후 플래쉬 가스 및 H2S 농후 흡착액이 얻어진다. 단계 d) 는 단계 b) 의 압력에 비해 저압에서 실행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압을 초과하는 압력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많은 CO2 가 가열된 흡착액으로부터 방출되도록 감압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d) 는 2 bara ~ 10 bara, 더 바람직하게는 5 bara ~ 10 bara 의 압력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압력에서, CO2 의 대부분이 H2S 와 CO2 가 농후한 흡착액으로부터 분리되어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d) 에서, 적어도 5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 의 CO2 가 H2S 와 CO2 가 농후한 흡착액으로부터 분리된다. 단계 d) 는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와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유발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d) 에서 얻어진 플래쉬 가스는 10 체적 % ~ 100 체적 %, 바람직하게는 50 체적 % ~ 100 체적 % 의 CO2 를 포함한다.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가 추가의 사용에 적절하다. CO2 농후 가스가 고압으로 될 필요가 있는 적용 분야에서, 예컨대, 지하 구조물로의 주입에 사용되어야 할 때, CO2 농후 플래쉬 가스는, 이미 상승된 압력이기 때문에, 추가의 가압화에 요구되는 설비 및 에너지 요구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CO2 농후 플래쉬 가스는, 특히, 적소에서 오일에 용해되는 경향이 있는 향상된 오일 회수를 위해 사용되는 오일 저장소로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오일의 점성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제조 웰 (producing well) 을 향한 이동에 대해 더 활동적이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CO2 농후 가스 스트림은 보관을 위해 대수층 또는 빈 오일 저장소로 추가로 가압 펌핑된다.
모든 전술한 선택사항을 위해,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가 압축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는 60 bara ~ 300 bara, 더 바람직하게는 80 bara ~ 300 bara 의 압력으로 압축된다. 통상, 일련의 압축기가 소망하는 고압으로 CO2 농후 가스 스트림을 가압할 필요가 있다. 상압으로부터 약 10 bara 의 압력으로 CO2 농후 가스 스트림을 가압하는 것은 대형 및 고가의 압축기를 필요로 한다. 공정이 이미 상승된 압력으로 CO2 농후 가스를 생산하기 때문에, 압축기 설비에서의 절약이 실현될 수 있다.
단계 e) 에서, H2S 를 포함하는 흡착액은 상승된 온도에서 스트리핑 가스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 H2S 를 스트리핑 가스에 전달하여 재생된 흡착액과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를 얻을 수 있다. 단계 e) 는, 바람직하게는 재생기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e) 에서 상승된 온도는 70 ℃ ~ 150 ℃ 의 온도이다. 가열은 바람직하게는 증기 또는 고온의 오일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식 모드로 온도 상승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e) 가 1 bara ~ 3 bara, 바람직하게는 1 bara ~ 2.5 bara 의 압력에서 실행된다.
단계 f) 에서, 황화 수소는 촉매의 존재하에 이산화황과 반응하여 황원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반응은 클라우스 반응 (Claus reaction) 으로서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 및 SO2 를 포함하는 가스 스트림이 하나 이상의 클라우스 접촉 단계를 연속하여 포함하는 황 회수 시스템에 공급된다. 클라우스 접촉 단계 각각은 황 응축기에 결합되는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 (Claus catalytic reactor) 를 포함한다.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에서, 황원소를 형성하도록 H2S 와 SO2 사이에 클라우스 반응이 발생한다. 황원소 뿐만 아니라 미반응 H2S 및/또는 SO2 를 포함하는 생성 가스 방출물이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를 나가고,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에 연결된 황 응축기에서 황의 노점 미만으로 냉각되어 클라우스 반응기 방출물로부터 황원소의 대부분을 응축 분리한다. 황원소를 형성하는 H2S 와 SO2 간의 반응은 발열반응이며, 통상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에 걸친 온도 상승이 H2S 가 농후한 유입 스트리핑 가스에서 H2S 의 농도 증가를 유발한다. 30 % 초과 또는 심지어 15 % 초과인 H2S 농후 스트리핑 가스의 H2S 농도에서는, 충분한 SO2 가 존재하여 클라우스 반응에 따라 반응된다면, 클라우스 반응기의 온도가 소망하는 작동 범위를 초과하도록,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에서 발생한 열이 설정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우스 접촉 반응기의 작동 온도는 약 200 ℃ ~ 약 500 ℃,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0 ℃ ~ 350 ℃ 에서 유지된다.
단계 b) 는 반 정제된 합성 가스와 H2S 와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을 유발한다.
단계 b) 에서 얻어진 반 정제된 합성 가스는 주로 수소와 일산화탄소, CO2 와 낮은 수준의 H2S 와 선택적으로 다른 오염 물질을 포함한다.
단계 g) 에서, 반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은, H2S 제거 영역에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과 접촉하여 H2S 열화 합성 가스 스트림과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얻는다.
바람직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은 수산화물 수용액, 예컨대,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 수용액 및 (중)탄산염 수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g) 는 5 ℃ ~ 70 ℃, 더 바람직하게는 10 ℃ ~ 50 ℃ 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 는 1 bar(g) ~ 100 bar(g), 더 바람직하게는 1.5 bar(g) ~ 80 bar(g) 의 압력에서 실행된다.
선택적으로, 세정액은 완충된다. 바람직한 완충 화합물은 탄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특히 탄산나트륨 및/또는 중탄산나트륨이다.
완충 화합물의 농도는, 특히 가스 유동의 조성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세정액이 바람직한 pH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세정액의 pH 는 4.5 ~ 10, 더 바람직하게는 5.5 ~ 9.0 이다.
단계 h) 에서, 스크러빙 매체에서 황화 수소는 생물반응기 (bioreactor) 에서 산소의 존재하에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황원소로 변환된다.
참조로, 본원에서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는, 황화물을 황원소로 산화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이다. 바람직한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는, 예컨대 티오바실루스 (Thiobacillus) 및 티오미크로스피라 (Thiomicrospira) 속(genera) 의 공지된 독립 (autotropic) 호기성 배양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생물반응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 반응은 황과 황산염의 미생물학적 형성이다:
1a) 황 생성 : HS- + 1/2 O2 → 1/8 S8 + OH-
1b) 황 생성 : HS5 - + 1/2 O2 → 5/8 S8 + OH-
2) 황산염 생성 : HS- + 2 O2 + OH- → SO4 2 - + H2O
황 슬러리는, 황원소와 황산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 반응 생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생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은 황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참조로, 본원에서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는, 황화물을 황원소로 산화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이다. 바람직한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는, 예컨대 티오바실루스 및 티오미크로스피라 속의 공지된 독립 호기성 배양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물반응기에서 반응 매체는 완충된다. 완충 화합물은, 산화 반응기에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이들 화합물을 견뎌내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완충 화합물은 탄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특히 탄산나트륨 및/또는 중탄산나트륨이다. 완충 화합물의 농도는, 특히 가스 유동의 조성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산화 반응기에서 반응 매체의 pH 가 6.0 ~ 12.0, 바람직하게는 7.0 ~ 11.0, 더 바람직하게는 8.0 ~ 10.0 이 되도록 조정된다.
생물반응기에서 통상의 압력은 0.5 bar(g) ~ 2 bar(g) 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h) 에서 얻어진 수성의 황 슬러리의 적어도 일부가 재생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단계는 고체/액체 분리 장치에서 실행된다. 바람직한 고체/액체 분리 장치는 "Perry's Chemical Engineers' 핸드북 7판 (1997) 섹션 22" 에 기재되어 있다.
분리된 수성의 황 슬러리의 황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를 기본으로 5 w/w % ~ 50 w/w % 이다. 통상, 황 슬러리중 물은, 55 % ~ 70 % 의 건식 고형물 함량을 갖는 황 케이크가 얻어지는 정도까지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황 케이크의 황 순도는 황 케이크의 건식 중량을 기본으로 90 w/w % ~ 98 w/w % 이다. 선택적으로, 황 슬러리는 재슬러리화되고, 여과 및 건조되어 적어도 95 중량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 의 황 순도를 갖는 황 페이스트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황 페이스트는, 선택적으로 건조되어 적어도 85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의 건식 중량 함량을 갖는 분말을 생성한다. 이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살진균제 (fungicide), 비료 (fertilizer) 또는 살비제 (miticide) 로서 적용될 수 있다.
단계 (h) 는 정제된 합성 가스를 유발한다. 정제된 합성 가스에서 H2S 의 양은, 정제된 합성 가스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ppmv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ppbv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ppbv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ppbv 이하이다.
이 공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정제된 합성 가스는, 발전 또는 화학적 공정에서의 변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 공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정제된 합성 가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정제된 합성 가스는 접촉 공정에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피셔 트롭쉬 합성, 메탄올 합성, 디-메틸 에테르 합성, 아세트산 합성, 암모니아 합성, 대체 천연 가스 (SNG) 제조를 위한 메탄화 (methanation) 및 카르보닐화 또는 하이드로포밀화 반응을 포함하는 공정의 군에서 선택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정제된 합성 가스는 발전, 특히 IGCC 시스템용으로 사용된다.
IGCC 시스템에서, 통상, 연료 및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가 가스 터빈의 연소 부분에 도입된다. 가스 터빈의 연소 부분에서, 연료가 연소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고온의 연소 가스는 통상 여러 줄로 배치된 팽창기 블레이드 시퀀스를 통해 가스 터빈에서 팽창되며 발전기를 통한 발전을 위해 사용된다. 가스 터빈에서 연소되는 적절한 연료는 천연 가스와 합성 가스를 포함한다.
가스 터빈을 나가는 고온의 배기 가스는 열 회수 증기 발생기 유닛으로 도입되며, 고온의 배기 가스에 포함된 열이 제 1 증기량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온의 배기 가스는 350 ℃ ~ 700 ℃, 더 바람직하게는 400 ℃ ~ 650 ℃ 의 온도를 갖는다. 고온의 배기 가스의 조성은, 가스 터빈에서 연소된 연료 가스 및 가스 터빈의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열 회수 증기 발생기 유닛은 고온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이 열을 증기로 변환시키는 임의의 유닛이다. 예컨대, 열 회수 증기 발생기 유닛은 적층식으로 (stackwise) 장착된 복수 개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이 펌프로 끌어올려져 튜브를 통해 순환되어 고온 고압 하에 유지될 수 있다. 고온의 배기 가스가 튜브를 가열하고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열 회수 증기 발생기 유닛은 3 가지 유형의 증기, 즉 고압 증기, 중간 압력 증기 및 저압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기 발생기는 적어도 소정량의 고압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이는 고압 증기가 발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압 증기는 90 bara ~ 150 bara, 더 바람직하게는 90 bara ~ 125 bara,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 bara ~ 115 bara 의 압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저압 증기가 발생하는데, 저압 증기는 바람직하게는, 2 bara ~ 10 bara, 더 바람직하게는 ~ 8 bara,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bara ~ 6 bara 의 압력을 갖는다.
열 회수 증기 발생기 유닛에서, 바람직하게는 고압 증기가 증기 터빈에서 발생하고, 고압 증기는 예컨대 증기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를 통해 동력으로 변환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의 일부는, 선택적으로 오염 물질의 제거 이후에, 예컨대 압력 스윙 흡착 (PSA) 단계에서와 같이 수소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수소 제조를 위해 사용된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5 체적 % 미만, 바람직하게는 대략 1 ~ 10 체적 % 일 것이다. 이후, 이렇게 제조된 수소는 탄화수소 합성 반응 생성물의 수소화 분해시 수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그렇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곳에서 사용되는 별도의 수소 공급원에 대한 필요를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따라서, 탄소질 연료 공급 원료는 액체 생성물 변환에 대한 바이오매스 또는 석탄의 전반적인 공정에서 요구되는 추가 반응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공정의 자급률 (self sufficiency) 을 증가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개략적인 도 1 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1 에서, 주성분인 CO, H2 이외에, H2S, HCN 및 COS 를 포함하는 합성 가스가 라인 (1) 을 통해 CO 가 물의 존재 하에 CO2 로 접촉 변환되는 시프트 반응기 (2) 에 도입된다. 또한, HCN 및 COS 의 NH3 및 H2S 로의 각각의 변환이 발생한다. 그 결과로 HCN 과 COS 가 열화된, 전환된 합성 가스는 라인 (5) 을 통해 형성되어 안내된 임의의 NH3 을 흡착기 (6) 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스크러버 (4) 에서 선택적으로 세정된다. 흡착기 (6) 에서, HCN 과 COS 가 열화된 합성 가스는 흡착액과 접촉되고 이에 의해 합성 가스로부터 H2S 와 CO2 를 흡착액에 전달하여 H2S 와 CO2 가 농후한 흡착액과 반 정제된 합성 가스를 얻는다. 반 정제된 합성 가스는 라인 (7) 을 통해 흡착기 (6) 를 나간다. H2S 와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은 라인 (8) 을 통해 히터 (9) 에 도입되어 가열된다. 그 결과로 가열된 흡착액은 플래쉬 용기 (10) 에서 감압되며, 이에 의해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와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이 얻어진다.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는 용기 (10) 로부터 라인 (11) 을 통해 사용될 다른 장소로 안내된다.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은 라인 (12) 을 통해 재생기 (13) 로 유도되어, 상승된 온도에서 스트리핑 가스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H2S 를 스트리핑 가스에 전달하여 재생된 흡착액과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를 얻는다.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는 재생기 (13) 로부터 라인 (14) 을 통해 클라우스 반응기 (15) 에 안내된다. 재생된 흡착액은 라인 (16) 을 통해 다시 흡착기 (6) 로 안내된다. SO2 는 라인 (17) 을 통해 클라우스 반응기에 공급된다. 클라우스 반응기에서, H2S 와 CO2 의 황원소로의 접촉 변환이 발생한다. 황원소는 라인 (18) 을 통해 클라우스 반응기로부터 안내된다. 반 정제된 합성 가스는 흡착기 (6) 로부터 라인 (7) 을 통해 폴리싱 유닛 (19) 으로 안내되며, 이 유닛에서 잔류 H2S 는, 반 정제된 합성 가스를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과 접촉시킴으로써 제거되어 H2S 열화 합성 가스 스트림과 황화물을 함유하는 수성 스트림이 얻어지고, 황화물 화합물의 황원소로의 생물학적 변환이 후속된다.

Claims (14)

  1. 주성분인 일산화탄소 및 수소 이외에, 황화 수소, 황화 카르보닐 및/또는 시안화 수소와 선택적으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a) 물 및/또는 증기의 존재 하에 시프트 (shift) 반응기에서 상기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과 수성 가스 시프트 촉매를 접촉시켜, 일산화탄소의 적어도 일부를 이산화탄소와 수소에 반응시키고, 시안화 수소의 적어도 일부를 암모니아에 반응시키고, 그리고/또는 황화 카르보닐의 적어도 일부를 황화 수소에 반응시켜, H2S 및 CO2 가 농후하며 선택적으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얻는 단계;
    b)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을 흡착액과 접촉시켜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H2S 및 CO2 를 제거하여, 반 정제된 합성 가스와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을 얻는 단계;
    c) H2S 및 CO2 가 농후한 흡착액의 적어도 일부를 히터에서 가열하여, H2S 및 CO2 가 농후한 가열된 흡착액을 얻는 단계;
    d) H2S 및 CO2 가 농후한 가열된 흡착액을 플래쉬 (flash) 용기에서 감압시킴으로써, CO2 가 농후한 플래쉬 가스와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얻는 단계;
    e) H2S 가 농후한 흡착액을 상승된 온도에서 스트리핑 가스와 접촉시킴으로써, H2S 를 스트리핑 가스에 전달하여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와 재생된 흡착액을 얻는 단계;
    f)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에서의 H2S 를 황원소로 변환 (converting) 하는 단계;
    g) H2S 제거 영역에서 상기 가스 스트림을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에 접촉시킴으로써 반 정제된 합성 가스로부터 H2S 를 제거하여, H2S 열화 합성 가스 스트림과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얻는 단계; 및
    h) 황화물-함유 수성 스트림을 생물반응기에서 산소의 존재하에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와 접촉시켜, 황 슬러리와 재생된 수성의 알칼리성 세정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에서 얻어진 H2S 및 CO2 가 농후하며 선택적으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전환된 합성 가스 스트림이 냉각되어 물과 선택적으로 암모니아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프트 반응기에 진입할 때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에서의 물/증기 대 일산화탄소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2 : 1 내지 0.9 : 1 이며, 시프트 반응기에 진입할 때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의 온도는 190 ℃ ~ 230 ℃ 이며, 공급물 합성 가스 스트림은 건량 기준 (dry basis) 으로 적어도 50 체적 % 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에서, H2S 는 촉매, 바람직하게는 비촉진식 구형의 활성화 알루미나 또는 티타니아의 존재하에 이산화황과 반응하여 황원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H2S 가 농후한 스트리핑 가스는 30 ~ 90 체적 %, 바람직하게는 40 ~ 90 체적 %, 더 바람직하게는 60 ~ 90 체적 % 의 H2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는 90 ℃ ~ 120 ℃ 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는 2 ~ 10 bara, 바람직하게는 5 ~ 3 bara 의 압력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에서 얻어진 플래쉬 가스는 10 ~ 100 체적 %, 바람직하게는 50 ~ 100 체적 % 의 CO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 산화 박테리아는 티오바실루스 및 티오미크로스피라 속(genera) 의 독립 (autotropic) 호기성 배양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는 10 ℃ ~ 80 ℃, 바람직하게는 20 ℃ ~ 80 ℃ 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는 상승된 압력, 바람직하게는 1.5 ~ 50 bara, 더 바람직하게는 3 ~ 40 bara,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 30 bara 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O2 가스 스트림이 농후한 플래쉬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향상된 오일 회수시의 용도, 대수층 저장소로의 저장 또는 빈 오일 저장소로의 저장을 위해서 60 ~ 300 bara, 바람직하게는 80 ~ 300 bara 의 압력으로 압축되어 지하 구조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된 합성 가스는 발전을 위해 연소 터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된 합성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피셔 트롭쉬 합성, 메탄올 합성, 디-메틸 에테르 합성, 아세트산 합성, 암모니아 합성, 대체 천연 가스 (SNG) 제조를 위한 메탄화 (methanation), 및 카르보닐화 또는 하이드로포밀화 반응을 포함하는 공정의 군에서 선택되는 접촉 (catalytic)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합성 가스 스트림 제조 공정.
KR1020117025911A 2009-03-30 2010-03-30 정제된 합성 가스의 제조 공정 Withdrawn KR20120013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6569.7 2009-03-30
EP09156569 2009-03-30
PCT/EP2010/054218 WO2010121895A1 (en) 2009-03-30 2010-03-30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ynthesis g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65A true KR20120013965A (ko) 2012-02-15

Family

ID=4112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911A Withdrawn KR20120013965A (ko) 2009-03-30 2010-03-30 정제된 합성 가스의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94337A1 (ko)
EP (1) EP2414075A1 (ko)
JP (1) JP2012522090A (ko)
KR (1) KR20120013965A (ko)
CN (1) CN102405090A (ko)
AU (1) AU2010241062B2 (ko)
CA (1) CA2756139A1 (ko)
WO (1) WO2010121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726A (ko)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탈황공정 발생가스로부터 성분별 분리회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6770A1 (en) * 2009-03-30 2012-04-26 Isaac Cornelis Van Den Born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synthesis gas stream
US9234146B2 (en) * 2011-07-27 2016-01-12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cess for the gasification of heavy residual oil with particulate coke from a delayed coking unit
CN102923648A (zh) * 2011-08-07 2013-02-13 深圳市格林美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液氨分解气纯化方法与装置
GB201119957D0 (en) * 2011-11-18 2012-01-04 Johnson Matthey Plc Process
WO2013104373A1 (de) * 2012-01-12 2013-07-18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schwefelwasserstoff aus kohlendioxidhaltigen gasen
US9845539B2 (en) 2012-12-21 2017-12-19 Sulfurcycle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mpany Llc Treatment of hydrogen sulfide
CA2891133A1 (en) * 2012-12-21 2014-06-26 New Sky Energy, Llc Treatment of hydrogen sulfide
AP2015008643A0 (en) * 2013-02-08 2015-08-31 Toyo Engineering Corp Process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from combustion exhaust gas
DE102013008852A1 (de) * 2013-05-23 2014-11-27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schwefelhaltigen Abgases aus einer Schwefelgewinnung
CA2952810A1 (en) 2014-06-25 2015-12-30 New Sky Energy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mpany, Llc Method to prepare one or more chemical products using hydrogen sulfide
US9856141B2 (en) * 2016-01-07 2018-01-02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for avoiding expensive sour water stripper metallurgy in a gasification plant
CN105716372B (zh) * 2016-03-01 2018-05-25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粗煤气脱碳脱硫的方法
CN107890748B (zh) * 2017-10-27 2021-08-20 中石化宁波工程有限公司 一种中温酸性气体预提浓工艺
EP3628392B1 (de) * 2018-09-28 2023-04-05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É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syntheserohgas mit erzeugung eines sauergases
CN109666522A (zh) * 2019-03-05 2019-04-23 兰州理工大学 一种生物天然气高效净化系统及净化方法
CN111013332A (zh) * 2019-11-22 2020-04-17 张春萌 一种脱硫系统及其工艺
CN111676169B (zh) * 2020-07-02 2021-11-12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高产单质硫的嗜盐嗜碱性微氧硫微螺菌及其在生物脱硫中的应用
GB202204766D0 (en) * 2022-04-01 2022-05-18 Johnson Matthey Davy Technologies Ltd Method of producing liquid hydrocarbons from a synga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19955C3 (de) * 1963-12-04 1978-10-12 Benson Field & Epes, Malvern, Pa. (V.St.A.)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CO 2 aus Gasgemischen
US4110359A (en) * 1976-12-10 1978-08-29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Production of cleaned and purified synthesis gas and carbon monoxide
US4254094A (en) * 1979-03-19 1981-03-0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 from synthesis gas containing COS
US4397660A (en) * 1981-06-15 1983-08-09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removal of H2 S and CO2 from a gas mixture
DE3222588A1 (de) * 1982-06-16 1983-12-22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regenerieren von absorptionsloesungen fuer schwefelhaltige gase
CN1025952C (zh) * 1992-01-16 1994-09-21 化学工业部第四设计院 低温甲醇洗装置
JP2000248286A (ja) * 1999-03-02 2000-09-12 Jgc Corp コークス炉ガスの精製プロセス
FR2792678B1 (fr) * 1999-04-23 2001-06-15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recuperation assistee d'hydrocarbures par injection combinee d'une phase aqueuse et de gaz au moins partiellement miscible a l'eau
US6998098B2 (en) * 2002-11-11 2006-02-14 Conocophillips Company Removal of gases from a feed
AU2005321253B2 (en) * 2004-12-30 2009-09-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Improvements relating to coal to liquid processes
WO2007065765A1 (en) * 2005-11-04 2007-06-1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gas stream
US7503947B2 (en) * 2005-12-19 2009-03-17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humidifying synthesis gas
EP1918352B1 (en) * 2006-11-01 2009-12-0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Solid carbonaceous feed to liquid process
DE102007004628A1 (de) * 2007-01-30 2008-07-31 Linde Ag Erzeugung von Produkten aus Raffinerieabgasen
CN102057222B (zh) * 2007-02-27 2013-08-21 普拉斯科能源Ip控股公司毕尔巴鄂-沙夫豪森分公司 具有加工过的原料/焦炭转化和气体重组的气化系统
JP2010534758A (ja) * 2007-07-31 2010-11-11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H2s、co2及びhcn及び/又はcosを含有する原料ガスから精製ガス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726A (ko)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탈황공정 발생가스로부터 성분별 분리회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22090A (ja) 2012-09-20
WO2010121895A1 (en) 2010-10-28
US20120094337A1 (en) 2012-04-19
CN102405090A (zh) 2012-04-04
EP2414075A1 (en) 2012-02-08
CA2756139A1 (en) 2010-10-28
AU2010241062B2 (en) 2013-10-03
AU2010241062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3028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synthesis gas stream
AU2010241062B2 (en)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ynthesis gas
US8987175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synthesis gas stream
AU2010230279B2 (en)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ynthesis gas
US8772361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synthesis gas stream
CN101801506B (zh) 由含h2s、co2及hcn和/或cos的气体生产纯化气体的方法
JP2021045749A (ja) 工業的プロセスからのco2排出を減少する方法とシステム
JP7356363B2 (ja) 合成ガ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