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533A -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Google Patents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3533A KR20120013533A KR1020100075544A KR20100075544A KR20120013533A KR 20120013533 A KR20120013533 A KR 20120013533A KR 1020100075544 A KR1020100075544 A KR 1020100075544A KR 20100075544 A KR20100075544 A KR 20100075544A KR 20120013533 A KR20120013533 A KR 20120013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resistor
- transistor
- input voltage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 H02M3/3354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3/335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96—Means for increasing hold-up time, i.e. the duration of time that a converter's output will remain within regulated limits following a loss of input pow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7—Static memory circuit, e.g. flip-fl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는 컨버터의 입력 전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한다. 컨버터는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따르고, 상기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듀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홀드-업 타임이 확장된 것을 나타내 도면이다.
출력 트랜지스터/하측 트랜지스터(M2), 제1 코일(CO1), 제2 코일(CO21)
제3 코일(CO22), 스위치 제어부(10), 집적 회로(20)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30), 피드백 생성부(40), 트랜스포머(50)
다이오드(D1-D5), 저항(R1-R10), 커패시터(C1-C6, CO)
직류링크 커패시터(CDL), 오실레이터(100), 피드백부(200)
PWM 제어부(300), 지연부(400), 상측 게이트 구동부(500)
하측 게이트 구동부(600), 오차 증폭기(101), 비교기(102, 103, 301)
제어 트랜지스터(T1), 스위치(S1), 옵토 트랜지스터(PT)
옵토 다이오드(PD), 션트 레귤레이터(41), 누설 인덕터(Llk)
자화 인덕터(Lm), 인덕터(L1), 블록킹 커패시터(CB)
Claims (14)
-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영전압 스위칭시키기 위한 누설 인덕터;
상기 입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는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키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는,
상기 입력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입력 전압에 따라 임피던스가 조절되는 주파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가 결정되는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는,
상기 감지된 입력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면,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되면,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컨버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감지부는,
상기 입력 전압이 입력되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접지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하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의 접점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컨버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병렬 연결되어 있고 접지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접지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에 의해 조절되는 임피던스에 따라 주파수 변조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변조 전류를 복사하여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증가하고, 상기 제2 전류에 의해 감소하는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삼각파 신호의 피크 및 최저에 동기되는 에지를 포함하는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는,
상기 감지된 입력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면,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되면,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병렬 연결되어 있고 접지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접지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하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조 전류는 상기 주파수 설정부로 공급되는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는,
상기 제1 저항의 타단 및 상기 제2 저항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 및 상기 주파수 변조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전원 전압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단,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입력단, 및 기준 전압이 입력되는 제2 입력단을 포함하는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전극의 전압의 오차가 클수록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상기 주파수 변조 전류가 증가하는 컨버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는,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제2 전류에 의해 방전되어 상기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삼각파 커패시터;
상기 삼각파 신호를 제1 전압과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삼각파 신호를 제2 전압과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2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SR 플립플롭을 더 포함하고,
상기 SR 플립플롭은,
상기 삼각파 신호가 상기 제1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클록 신호를 하강시키고, 상기 삼각파 신호가 상기 제2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클록 신호를 상승시키는 컨버터. - 입력 전압이 임계 전압까지 감소하는 홀드-업 타임을 확장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상기 감지된 입력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하는 주파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 전압은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인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병렬 연결되어 있고 접지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접지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영전압 스위칭 시키기 위한 누설 인덕터를 포함하는 컨버터의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상기 감지된 입력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하는 주파수 설정부를 포함하는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병렬 연결되어 있고 접지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일단 및 접지되어 있는 타단을 포함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544A KR101739552B1 (ko) | 2010-08-05 | 2010-08-05 |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US13/196,575 US8824171B2 (en) | 2010-08-05 | 2011-08-02 | Hold-up time extending circuit and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544A KR101739552B1 (ko) | 2010-08-05 | 2010-08-05 |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3533A true KR20120013533A (ko) | 2012-02-15 |
KR101739552B1 KR101739552B1 (ko) | 2017-05-24 |
Family
ID=4555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5544A Active KR101739552B1 (ko) | 2010-08-05 | 2010-08-05 |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824171B2 (ko) |
KR (1) | KR10173955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9419B1 (ko) * | 2012-03-23 | 2013-10-17 |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 성능을 향상시킨 작동 시간 발생기 |
KR20160009920A (ko) | 2014-07-17 | 2016-01-27 | 주식회사 라이스피엔씨 | 쌀떡 도우 제조방법 |
WO2022098148A1 (ko) * | 2020-11-05 | 2022-05-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
KR20220167828A (ko) | 2021-06-14 | 2022-12-22 | 태경농산주식회사 | 아몬드 단백질 발효물 및 콩 단백의 효소 반응물을 주 단백질원으로 함유하는 식물성 치즈 및 그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1509103A (zh) * | 2013-08-23 | 2015-03-01 | Yottacontrol Co | 可提供穩定電壓輸出的切換式直流電源供應器 |
US9590503B2 (en) * | 2014-09-17 | 2017-03-07 |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 Switching converter and associated discharge method |
US9960686B2 (en) * | 2014-11-17 | 2018-05-01 |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ss of AC power in a switched-mode power supply |
JP6938854B2 (ja) * | 2016-05-10 | 2021-09-22 | 富士電機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US9837914B1 (en) * | 2017-04-14 | 2017-12-05 | Inno-Tech Co., Ltd. | Methods for meeting holdup time requirement with minimal bulk capacitance |
US20240128850A1 (en) * | 2022-10-12 | 2024-04-18 |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 Holdup capacitor charging using single switch forward converter |
US20240128879A1 (en) * | 2022-10-12 | 2024-04-18 |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 Holdup capacitor charging using two switch forward convert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8935B1 (ko) * | 2004-05-03 | 2011-08-23 |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
KR100609895B1 (ko) * | 2004-11-08 | 2006-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
US7888919B2 (en) * | 2008-03-20 | 2011-02-1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n adaptive high efficiency switching power supply |
US8711581B2 (en) * | 2009-01-29 | 2014-04-29 |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 Synchronous rectifier network unit circuit and method |
-
2010
- 2010-08-05 KR KR1020100075544A patent/KR101739552B1/ko active Active
-
2011
- 2011-08-02 US US13/196,575 patent/US8824171B2/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9419B1 (ko) * | 2012-03-23 | 2013-10-17 |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 성능을 향상시킨 작동 시간 발생기 |
KR20160009920A (ko) | 2014-07-17 | 2016-01-27 | 주식회사 라이스피엔씨 | 쌀떡 도우 제조방법 |
WO2022098148A1 (ko) * | 2020-11-05 | 2022-05-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 |
KR20220167828A (ko) | 2021-06-14 | 2022-12-22 | 태경농산주식회사 | 아몬드 단백질 발효물 및 콩 단백의 효소 반응물을 주 단백질원으로 함유하는 식물성 치즈 및 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9552B1 (ko) | 2017-05-24 |
US20120033457A1 (en) | 2012-02-09 |
US8824171B2 (en) | 2014-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9552B1 (ko) | 홀드-업 타임 확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 |
US10833594B2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converter having an LC tank coupled between a switching network and a transformer winding | |
JP5382216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力率改善回路 | |
CN110719029B (zh) | 反激式转换器控制器、反激式转换器及其操作方法 | |
US8456868B2 (en) | Controller for a resonant switched-mode power converter | |
US8665611B2 (en) | Controller for a resonant switched-mode power converter | |
US793615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 voltage power supply circuit | |
JP5424442B2 (ja) | ダイオード導通デューティ・サイクルを調節する装置 | |
US9362835B2 (en) | Resonant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1018592B2 (en) | Flyback converter controller, flyback converter and methods of operation | |
US20120313433A1 (en) |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 |
JP3446654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CN111726005B (zh) | 相移全桥转换器、操作相移全桥转换器的方法和ac/dc转换器 | |
CN103312200A (zh) | 功率变换器、限流单元、控制电路及相关控制方法 | |
TW201005461A (en) | Voltage reg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7060385A (ja) | 2段変換器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ブースト・バイパス機能 | |
US11404959B2 (en) | DC/DC power converter | |
KR20100027528A (ko) |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JP2015139258A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TWI815214B (zh) | 準諧振開關電源及其控制晶片和控制方法 | |
JP6810150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 |
KR100359709B1 (ko) |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 |
US11909309B2 (en) | Stable switching for a power factor correction boost converter using an input voltage and an output voltage | |
KR20080086799A (ko) | 다이오드 도통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WO2014021470A1 (en) | Isolated switched-mode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