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2505A -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 Google Patents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505A
KR20120012505A KR1020100074481A KR20100074481A KR20120012505A KR 20120012505 A KR20120012505 A KR 20120012505A KR 1020100074481 A KR1020100074481 A KR 1020100074481A KR 20100074481 A KR20100074481 A KR 20100074481A KR 20120012505 A KR20120012505 A KR 20120012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pearl
manufacturing
urethane
g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570B1 (ko
Inventor
강원
Original Assignee
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 filed Critical 강원
Priority to KR102010007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5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5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83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자기 소지를 제토 및 성형하여,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벌 도자기에 우레탄계 방수액을 도포하여,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칠된 기물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캐슈 도료를 칠하여,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슈처리된 기물에 아교를 1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열스팀을 가해 기물에 자개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자개를 부착시킨 기물에 아교를 2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물과 솔로 자개 주위의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교가 제거된 기물에 우레탄계 투명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Manufacturing method of DoTaeChilGi with mother-of-pearl and DoTaeChilGi from the same}
본 발명은 도자기 공예와 나전 칠기 공예를 조합한 새로운 제조방법인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자기 공예의 수준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기존의 도자기들에 비해 상품성 측면에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까지 개선된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자기는 주로 토기를 그대로 구워서 만들거나, 토기에 각종 칠 문양을 넣은 후 구워서 만드는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도자기 제법은 전통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왔을 뿐, 이외의 새로운 도자기 기법에 대한 시도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도자기 공예와 나전 칠기 공예를 조합한 새로운 제조방법인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작이 이루어졌으나, 도자기 표면의 칠이 도자기에 흡착되지 못하고 틈이 벌어지거나, 수분과 접하는 각종 식기류 및 화병류의 경우에는 방수성이 저하되는 등, 내구성이 문제되었고, 표면에 자개 문양을 넣는 경우에는 자개가 완전히 표면에 고정되지 못하여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로써, 실제 상품화 및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표면특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개선된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도자기 소지를 제토 및 성형하여,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벌 도자기에 우레탄계 방수액을 도포하여,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칠된 기물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캐슈 도료를 칠하여,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슈처리된 기물에 아교를 1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열스팀을 가해 기물에 자개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자개를 부착시킨 기물에 아교를 2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물과 솔로 자개 주위의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교가 제거된 기물에 우레탄계 투명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은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 소지는 고령토 65 내지 80 중량% 및 물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평균 직경이 1 내지 50 μm인 미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은 800 내지 11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계 방수액은 이액형 우레탄계 방수액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개는 0.05 내지 0.10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도태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는 자개가 도자기의 표면에 잘 부착되어, 표면특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도자기 공예의 수준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기존의 도자기들에 비해 상품성 측면에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도태칠기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도자기 소지를 제토 및 성형하여,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벌 도자기에 우레탄계 방수액을 도포하여,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칠된 기물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캐슈 도료를 칠하여,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슈처리된 기물에 아교를 1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열스팀을 가해 기물에 자개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자개를 부착시킨 기물에 아교를 2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물과 솔로 자개 주위의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교가 제거된 기물에 우레탄계 투명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은 각각의 단계마다 충분한 건조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단계는, 상온에서 건조시키면 되는 것이나 건조가 잘못 이루어질 경우 기물이 갈라지거나 파손되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 건조실에서 습기를 주어 가면서 서서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현재 당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건조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은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포처리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습식 또는 건식의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80 내지 500 메시의 종이사포를 이용하여, 800 내지 2000 회 갈아주는 건식의 방법으로 사포처리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종이사포로서 250 내지 350 메시의 종이사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포처리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320 메시의 종이사포를 이용하여, 800 내지 1000 회 갈아주는 건식의 방법으로 사포처리할 수 있고, 상기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320 메시의 종이사포를 이용하여, 800 내지 1000 회 갈아주는 습식의 방법으로 사포처리할 수 있고, 상기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320 메시의 종이사포를 이용하여, 1000 내지 1500 회 갈아주는 건식 또는 습식의 방법으로 사포처리할 수 있고, 상기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320 메시의 종이사포를 이용하여, 1000 내지 1500 회 갈아주는 건식 또는 습식의 방법으로 사포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 소지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토를 포함한 원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고령토, 백자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토를 주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고령토 65 내지 80 중량% 및 물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고령토 67 내지 75 중량% 및 물 25 내지 3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도자기 소지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도자기의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 소지는 평균 직경이 1 내지 50 μm인 미분말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평균 직경이 1 내지 45 μm인 미분말을 사용하여 도자기의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의 방법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주입성형 방법이나 압축성형 방법 등 통상의 성형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제품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입성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은 800 내지 11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900 내지 105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1000 내지 105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제작된 도자기의 강도가 약할 뿐 아니라 코팅층과의 반응이 완전치 않아 코팅층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성형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기물이 녹아내려 도자기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계 방수액은 이액형 우레탄계 방수액인 것을 사용하여 완성된 도태칠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개는 0.05 내지 0.10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07 내지 0.0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계 투명 도료를 사용하여 우레탄계 방수액이 처리된 표면에 보다 잘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우레탄계 방수액과 우레탄계 투명 도료 사이의 자개가 쉽게 분리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도태칠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도태칠기는 자개가 도자기의 표면에 잘 부착되어, 표면특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도자기 공예의 수준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기존의 도자기들에 비해 상품성 측면에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8)

  1. 도자기 소지를 제토 및 성형하여,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벌 도자기에 우레탄계 방수액을 도포하여,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초칠된 기물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캐슈 도료를 칠하여,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슈처리된 기물에 아교를 1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열스팀을 가해 기물에 자개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자개를 부착시킨 기물에 아교를 2차 도포하고, 건조한 후, 물과 솔로 자개 주위의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교가 제거된 기물에 우레탄계 투명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은 초벌 도자기를 제작하는 단계; 초칠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캐슈처리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아교를 제거하는 단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에 사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소지는 고령토 65 내지 80 중량% 및 물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소지는 평균 직경이 1 내지 5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은 800 내지 11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방수액은 이액형 우레탄계 방수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개는 0.05 내지 0.10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8. 상기 청구항 1 내지 7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태칠기.
KR1020100074481A 2010-08-02 2010-08-02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Active KR10122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481A KR101225570B1 (ko) 2010-08-02 2010-08-02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481A KR101225570B1 (ko) 2010-08-02 2010-08-02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05A true KR20120012505A (ko) 2012-02-10
KR101225570B1 KR101225570B1 (ko) 2013-03-11

Family

ID=4583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481A Active KR101225570B1 (ko) 2010-08-02 2010-08-02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6250B1 (ko) * 2024-03-28 2024-08-20 최상원 나전칠기 기법을 적용한 도태칠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9914B1 (ko) 2024-03-28 2024-10-21 최상원 나전칠기 기법을 적용한 남태칠기 제조방법
KR102783711B1 (ko) 2024-11-13 2025-03-18 정세희 나전기법을 적용한 도태칠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452B2 (ja) 1997-11-11 2000-03-21 能久 岸田 陶磁器の製造方法
KR20020023497A (ko) * 2000-09-22 2002-03-29 하종철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KR100384476B1 (ko) * 2000-12-01 2003-05-22 김용남 자개 문양 및 칠 문양을 넣은 도자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6250B1 (ko) * 2024-03-28 2024-08-20 최상원 나전칠기 기법을 적용한 도태칠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570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CN107032830A (zh) 一种柔光抛釉砖的生产方法
CN110893737A (zh) 一种陶胎漆器的制备方法
CN102582349A (zh) 一种陶瓷画的制作方法
KR102143049B1 (ko) 유리 제품에 옻칠하는 방법
KR101225570B1 (ko) 자개문양을 넣은 도태칠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태칠기
KR100922220B1 (ko)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KR101110310B1 (ko)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KR101348080B1 (ko)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가진 띠가 구현된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100953797B1 (ko)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KR101149576B1 (ko) 점토질 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토질 벽돌
CN107151151A (zh) 一种上釉火山石制品的制作工艺
KR101066202B1 (ko)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KR100408756B1 (ko) 점토 및 고령토 벽돌용 분장소지 조성물
CN108868061A (zh) 一种格丽斯漆木地板及其生产工艺
CN103215856A (zh) 一种金粉纸及其配方和制造工艺
KR20020023497A (ko)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CN106587619A (zh) 具有浅浮雕图案的陶瓷制品及制备工艺
KR100574846B1 (ko) 도자기 제조방법
CN103754053A (zh) 一种陶瓷壁饰及其仿釉方法
CN101966723B (zh) 石膏底模加工工艺
CN116199423A (zh) 一种防滑仿古砖及制造工艺
KR20120040643A (ko) 옻칠을 이용한 타일 제조방법
KR200246427Y1 (ko) 도자기
CN103113083A (zh) 一种船螺贝壳电镀装饰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