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2503A -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 Google Patents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503A
KR20120012503A KR1020100074478A KR20100074478A KR20120012503A KR 20120012503 A KR20120012503 A KR 20120012503A KR 1020100074478 A KR1020100074478 A KR 1020100074478A KR 20100074478 A KR20100074478 A KR 20100074478A KR 20120012503 A KR20120012503 A KR 2012001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steel pipe
jacket
concrete
rc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274B1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102010007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2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2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8Foundations formed by making use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oundation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상 및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교량공사중 기초 시공 부분과 해상 연약지반을 치환 보강하는 시공공법으로, 현장타설말뚝 공사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직접 기초방식과 케이슨 공법의 플로팅(Floating) 타입의 장점을 발췌 도입하여 알시디(RCD : Reverse Circulation Drill)를 사용함과 시공방법을 달리하여 각 공법들의 제약 요건들을 취합 보완함으로써 목적물의 구조적인 안정성 증대와 시간적, 경제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슨을 투하 연하여 조립케이슨으로 결속하고 그 내부를 크람쉘 버켓을 사용하여 풍화암 암상단까지 준설하며, 그 후에 유도강관이 부착된 쟈켓을 설치하고 수중 콘크리트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도록 구성하되; 조립케이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저면에 투하하고, 크람쉘 버켓과 샌드 펌프를 사용하여 케이슨 조립체의 내부 구역을 준설하며, 쟈켓을 침설한 다음 1 차 콘크리트 타설하고, 유도 강관 근입한 다음 강관 압입하며, 기반암 굴착하고 철근망 근입하며, 콘크리트 타설후 2 차 콘크리트 타설하고, 인공 어초를 설치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Reverse Circulation Drill Method With precast type Caisson and Jacket}
본 발명은 하상 및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교량공사중 기초 시공 부분과 해상 연약지반을 치환 보강하는 시공공법으로, 현장타설말뚝 공사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직접 기초방식과 케이슨 공법의 플로팅(Floating) 타입의 장점을 발췌 도입하여 알시디(RCD : Reverse Circulation Drill)를 사용함과 시공방법을 달리하여 각 공법들의 제약 요건들을 취합 보완함으로써 목적물의 구조적인 안정성 증대와 시간적, 경제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에 관한 것이다.
토질 및 기초 분야에서 깊은 기초는 말뚝기초, 현장타설말뚝 및 케이슨 (Caisson) 기초로 나누어지고 있는 바, 상기 말뚝기초는 재료에 따라 강관, PHC 및 RC 말뚝으로 구분되고 말뚝기초에서 시공법에 따라 타입(항타)말뚝과 매입말뚝으로 구분한다. 통상적으로 구조물에서 지지력은 항타말뚝일 경우, 공사비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지지력 발휘가 큰데 비하여 소음 진동의 영향으로 공사 여건이 쉽지 않다. 그리고, 지층상에 자갈이나 단단한 층이 있을 때 항타할 경우, 말뚝이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적용 여건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 맞지 않을 때에는 매입이나 현장 타설말뚝을 쓰게 되는 바, 상기 매입은 지반을 선굴착후 말뚝을 삽입하는데에 SIP, SDA 및 PRD등 시공방법이 발달되어 지층조건 등에 따라 적용공법이 많다. 상기 현장타설말뚝은 기성제품이 아닌 현장에서 타설하는 관계로 시공관리와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많으며, 대체적으로 교량에서는 대구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RCD(Reverse Circulation Drill)에 의한 현장타설 말뚝기초공법 또한 제한된 직경이상의 대구경기초는 시공이 불가능하며,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품질관리가 어렵고 완성된 기초구조물의 양호여부를 확인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필요시 보완이나 수정작업이 불가능하고, 기타 여러 종류의 재래식 Pier기초시공법 또한 연약지반과 같은 토사층에서의 굴착은 대체로 쉬운 편이나 풍화암이나 연암층과 같은 지지층까지 케이슨(Caisson)을 침설시키려면 발파 균열로 인한 침투수 유입과 수중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한 품질관리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된다.
지지층까지의 굴착심도가 비교적 얕은 경우에 적용되는 직접기초공법 또한 수평지지력확보를 위해서는 확대기초와 같은 폭넓은 기초형식이 요구되거나, 하천이나 호수, 해상에서와 같이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시트파일을 이용한 가시설이나 강재 가물막이공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됨으로써 기초구조물 시공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된다.
상기 현장타설 말뚝시공중 강관근입시 바이브로 햄머로 항타가 끝나고 RCD를 장착하는 동안 조류의 영향 및 세굴현상 때문에 완전히 안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강관은 최초 지점에서 이탈되고 만다. 다시 안착시키기 위해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또한, 해저면의 지층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하중의 경감에 대한 적응성이 좋고 교량의 상부 및 연직 하중을 등분포로 지지층에 직접 전달하는 직접 기초 방식의 교각 하부기초(Footing)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파고의 영향이 적고 지지면과 접촉 단면이 커서 주변 마찰력이 큰 케이슨(Caisson)의 형태를 변형시켜 조합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이에 연암층까지 굴착이 가능한 알시디(RCD)를 장착 소정의 깊이까지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기초로 많이 사용하는 말뚝기초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세굴현상에 따른 말뚝 주변의 함몰현상과, 강관 근입 및 굴착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슨 작업시 수반되는 제작상의 문제와, 육상에서의 입지 조건, 접안 시설까지의 운송 수단 및 방법, 그리고 해상 운반시 제약 받는 기상조건 및 운반장비 등의 제약 조건을 고려하게 된다.
실무토목기초 설계와 시공, 토목발전연구회편저. 도서출판 건설정보, 도로설계 편람 제5편 교량, 국토해양부. 최신기초설계 시공 핸드북, 건설문화사 p758/804. 해상 R.C.D 기초공법의 시공설명 2006년 대한토목회 정기학술대회. 공장형 슬림폼을 이용한 제작 운송 진수 공법, 현대건설 기술 개발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직접 기초 방식의 확대 기초로 사용하는 풋팅을 하저 또는 해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연직 또는 수평 방향의 지지력과 휨 모멘트, 편심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으며, 지반 반력에 의한 응력과 부등 침하에 대한 저항력은 말뚝기초로 감소시켜 상부 교량의 상재하중의 경감에 따른 대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슨을 투하 연하여 조립케이슨으로 결속하고 그 내부를 크람쉘 버켓을 사용하여 풍화암상단까지 준설하며, 그 후에 유도강관이 부착된 쟈켓을 설치하고 수중 콘크리트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도록 구성하되; 조립케이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저면에 투하하고, 크람쉘 버켓과 샌드 펌프를 사용하여 케이슨 조립체의 내부 구역을 준설하며, 쟈켓을 침설한 다음 1 차 콘크리트 타설하고, 강관 근입 압입하며, 기반암 굴착하고 철근망 근압하며, 콘크리트 타설후 2 차 콘크리트 타설하고, 인공 어초를 설치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저 또는 해저면에 교각 기초 부분(Footing)을 간편히 설치할 수 있으며, 강관 근입 및 알시디(RCD)굴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굴에 따른 함몰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RCD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
도 3 은 현장 타설말뚝에서 알시디(RCD)공법의 작업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RCD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3 은 현장 타설말뚝에서 알시디(RCD)공법의 작업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하상 및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교량공사중 기초 시공 부분과 해상 연약지반을 치환 보강하는 시공공법으로, 현장타설말뚝 공사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직접 기초방식과 케이슨 공법의 플로팅(Floating) 타입의 장점을 발췌 도입하여 알시디(RCD)를 사용함과 시공방법을 달리하여 각 공법들의 제약 요건들을 취합 보완함으로써 목적물의 구조적인 안정성 증대와 시간적, 경제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인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 방법으로서는 케이슨을 투하 연하여 조립케이슨(10)으로 결속하고 그 내부를 크람쉘 버켓을 사용하여 풍화암상단까지 준설한다. 그 후에 유도강관(33)이 부착된 철재류 쟈켓(15)을 설치하고, 수중 콘크리트 타설(37)하여 일체화시킨다. 그러므로, 교각의 푸팅 역할과 기능을 증대시키고, 강관 근입시 오차의 범위를 줄이므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시간적이고 경제적 절감을 기할 수 있다.
유도 강관(33)의 상부에는 구멍을 내어 붓싱 로울러(36)를 부착하여 근입강관(31)을 근입할 때 견인 크레인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그 상부 용접 고리(32)는 설치 완료 후 제거한다. 바지선(20)의 크레인으로부터 와이어로프(35)가 유도강관(33)의 견인 구멍(34)에 체결되고, 상기 유도강관(33)은 해저면내에 점선만큼 RCD 굴착깊이(38)가 들어가게 된다.
도 2 에 도시된 조립케이슨(10)을 제작함에 있어, 기존의 케이슨은 그 규모 자체가 크고 그 구조상 형틀이 손괴되지 않고 유지하기 위해 격벽이 필요 불가결하므로, 작업상 공간의 제약등 여러 가지의 애로 사항이 상존한다, 그 높이 또한 공법의 특성상 상단 높이 또한 수면보다 높아야 하므로 심도가 깊은 지역에서는 설치가 불가능 하다. 이에 물속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규모를 축소화해서 제작과 운반,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으로 한다.
도 2 에 도시된 쟈켓(15)의 제작 및 설치함에 있어, 강관 근입, 굴착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자연 현상의 제약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해저면에 시공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강관을 유도 근입시키기 위한 장치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철재 조립물을 제작 설치할 수 있다. 조립체내의 수중 콘크리트 타설은 케이슨형태의 축소에 따른 그 기능상 효과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중을 늘림으로써 파력의 영향력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a)는 조립케이슨(10)의 평면도로서 연결부분(a)에 숫케이슨(12)와 암케이슨(14)이 체결되고 모서리케이슨(13)도 체결되며, 도 2(b)는 조립케이슨(10)의 단면도로서 상부경사면(19)이 형성되게 된다. 도 2(c)(d)는 연결시 숫케이슨(12)으로써 원형구멍(16)을 중심으로 4 개의 고리(17)와 수중발신기(18)가 형성되면서 좌우 연결부(m)가 형성된다.
도 2(e)는 쟈켓(15)으로 4 개의 유도강관(33)을 다수의 H 비임(101)과 지지대(10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간격유지 연결철판(103)이 사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6(f)는 쟈켓(15)의 단면으로 상기 유도강관(33)에 근입 강관(31)이 유입되어 있다.
현장타설 말뚝공법에서 RCD공법의 작업순서도로서, 도 3(a)는 강관 근입 과정이고, 도 3(b)는 바이브로 햄머 작업과정이며, 도 3(c)는 RCD 작업과정이고, 도 3(d)는 철근망 근입과정이며, 도 3(e)는 트레미 파이프 조립과정이고, 도 3(f)는 콘크리트 타설과정인 것이다.
상기 현장타설 말뚝공법의 RCD 공법을 작업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지점에 용접 연결된 근입 강관(31)을 짹업 바지선(40)의 상부에 설치된 해수면의 가이드 프레임(30)을 이용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짹업 바지선(40)에서 크레인으로 바이브로 햄머(42)를 장착 강관을 물고 해저면의 압입한다. 상기 바이브로 햄머(42)를 내려놓고 햄머 그래브로 토사층까지 굴착한다.
이때 암반이 출현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D(43)를 강관 상단에 셋팅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 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RCD의 굴착비트(44)를 사용하게 된다.
굴착 작업이 끝나면 RCD(43)를 해체하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철근망(45)을 근입시킨다. 이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미 파이프(46)를 조립 설치한다. 이후 수중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트레미 파이프(46)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도 3(f) 참조)을 소정의 높이까지 타설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 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RCD 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립케이슨(10)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저면에 투하한다.
조립케이슨을 설치하는 것은 길이가 제일 큰 케이슨을 우선순위로 한쪽 면부터 완성한 후 양쪽으로 번갈아가면서 계속해서 조립하며, 마지막에는 제일 먼저 설치한 그 반대편 것의 순서로 한다. 연결 작업을 원활하게하기 위하여 연결 부위, 즉 암숫 케이슨의 접촉 부분에는 목재를 부착하여야 한다. 이때 측량은 케이슨 조립체의 양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수중발신기(18)와 저주파 소나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DGPS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도 2(c)(d)에 도시된 고리를 통하여 마심 와이어로프로 각 케이슨 조립체를 연하여 결속하고, 마지막 연결부분은 와이어 소켓으로 마감처리한다. 저면의 평탄함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대형 모래 마대를 이용해서, 그 크기와 양에 따라 속 채움양을 조절하여 채운다.
둘째는 크람쉘 버켓과 샌드 펌프를 사용하여 케이슨 조립체의 내부 구역을 준설한다. 이는 풍화암(사암)층 상단 혹은 기반암 상단까지 준설한다.
셋째는 쟈켓(15)을 침설한다. 상기 쟈켓의 형틀은 H 비임(예컨대 300*300*9*12), 보강재는 ㄱ형강(Angle : 90*90*6)로 제작하며, 그 속에 다수의 유도강관을 설치한다. 상기 유도강관의 직경은 근입강관의 직경보다 300m/m큰 구경으로 사용한다. 높이는 1.5D(D=직경)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쟈켓의 크기는 케이슨 조립체 내부의 폭 보다 가로, 세로 300m/m 적게 제작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 상단 각 변 마다 2개소 씩 간격 유지용 철판을 댈 수 있게끔 구멍을 내며, 각 변 모서리 에는 제작된 철근망을 덮어 조립할 수 있게끔 지지대를 만든다. 유도 강관의 하부는 콘크리트 타설시 유입되지 않도록 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한 보호막을 부착하며, 상부에는 근입 강관 설치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멍을 내며 도 1 과 같이 붓싱 로울러를 부착한다.
넷째는 유도 강관의 근입이다. 도 1 과 같이 견인 크레인을 사용하여 강관을 설치한다. 용접된 고리의 높이는 유도 강관 보다 500 m/m이상 높게 설치되어야 하며, 설치후 제거한다. 1차 콘크리트 타설이다. 각 케이슨 조립체간의 유동을 막기 위해 트레미 파이프를 이용하여 수중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타설 높이는 조립식 케이슨의 1/3지점까지한다.
다섯째는 1차 콘크리트 타설이다. 각 케이슨 조립체간의 유동을 막기 위해 트레미 파이프를 이용하여 수중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타설 높이는 조립식 케이슨의 1/3지점까지한다.
여섯째는 강관 압입이다. 도 3 과 같이 바이브로 햄머와 햄머 그렙을 사용하여 기반암 상단 출현시까지 반복하여 굴착 압입한다.
일곱째는 기반암 굴착이다. RCD를 장착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기반암을 갈아낸다.
여덟째는 철근망 근입이다. 지상에서 조립된 철근망을 설치한다.
아홉째는 콘크리트 타설로서 트레미 파이프를 이용 원하는 높이까지 타설한다.
열째는 2차 콘크리트 타설이다. 즉 조립식 케이슨 상단 높이까지 타설한다. 이때 유도 강관과 근입 강관 사이의 빈 공간도 속 채움한다. 콘크리트가 조립체 연결 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구조상 요철 형태로 되어 있고, 콘크리트의 골재 규격의 특성상 방지된다.
구역내 지층 상태로 인하여 쟈켓의 설치지점이 정도 이상으로 낮아 졌을 경우, 도 3 과 같이 보강용 철근망을 덮어 조립 타설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면의 마감 처리는 수중 바이브레이타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내의 공기 함유율을 낮추고 충진시켜 균일하게 면 처리를 한다.
열한번째는 인공 어초를 설치한다. 상기 인공 어초를 수면위까지 해상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높이까지 설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관 근입 및 RCD굴착의 용이하다. 즉, 강관 근입시 패류충 다음 암반이 곧 바로 노출되거나 조류가 센 지역에서는 물속에 접촉된 강관의 그 단면적에 따른 부력과 그 하중으로 인하여 작업 바지선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이 과도한 부하를 받게 되어 안착 지점의 조정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며, 강관의 구경이 클수록 비례한다. 사항 근입일 경우 그 정도는 더 심하다.
이에 따른 보완책으로 핀 파일을 부착한 가이드 프레임을 제작 운용하나 그 조차도 핀 파일이 완전히 근입되지 못한 상황에서 작업을 시행하나, 이 또한 조류가 센 지역에서는 핀파일 고리가 찢겨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 하고 있다. 설혹 안착이 됐다 하더라도 바이브로 햄머를 장착, 요동 압입을 시도하는 동안 비끌어 지는 경우가 비일 비재 하다.
때문에 최초 측량 지점에서 이탈, 짹업 바지선의 렉(Leg)을 올려서 다시 셋팅을 해야 한다. 같은 작업을 수 없이 반복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비 된다. 굴착시의 장점은 안착지점 주변의 공극률이 큰 각종 토사층 및 여타 침전물을 제거 하고, 균일한 매질의 콘크리트로 주변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압밀효과를 증가 시키므로, 강관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누압 현상이 생기지 않아 굴착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강관 근입시는 기상 상태가 좋아야 하며, 그 작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후속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대기 하는 동안 시간적, 경제적인 손실은 막대하다. 이에 해저면에 기점을 설정 구조물을 미리 설치함으로써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시공을 할 수 있어 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파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함으로 공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굴에 따른 함몰을 줄일 수 있다. 즉, 지지층 하수 및 해류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확대함으로 말뚝 기초공의 필연적으로 따르는 세굴심의 깊이를 상쇄함과 교각 주위를 돌아 흐르는 해류의 접근 각도를 둔화 시키고, 와류의 집중력을 감쇄 시켜 단면 축소 세굴, 국부 세굴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조립케이슨
12 : 숫케이슨
13 : 모서리 케이슨
14 : 암케이슨
15 : 쟈켓
16 : 원형구멍
17 : 고리
18 : 수중발신기
19 : 경사면
20 : 바지선
30 : 가이드 프레임
31 : 근입강관
32 : 연결고리
33 : 유도강관
34 : 원형구멍
36 : 붓싱로울러
38 : RCD 굴착
40 : 짹업 바지선
42 : 바이브로 햄머
43 : R.C.D.
44 : R.C.D.비트
45 : 철근망
46 : 트레미 파이프
47 : 콘크리트 타설
101 : H-비임
102 : 앵글(ㄱ형강)
103 : 연결철판

Claims (1)

  1. 케이슨을 투하 연하여 조립케이슨으로 결속하고 그 내부를 크람쉘 버켓을 사용하여 연암상단까지 준설하며, 그 후에 유도강관이 부착된 쟈켓을 설치하고 수중 콘크리트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도록 구성하되;
    조립케이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저면에 투하하고, 크람쉘 버켓과 샌드 펌프를 사용하여 케이슨 조립체의 내부 구역을 준설하며, 쟈켓을 침설한 다음 1 차 콘크리트 타설하고, 유도 강관 근입한 다음 강관 압입하며, 기반암 굴착하고 철근망 근압하며, 콘크리트 타설후 2 차 콘크리트 타설하고, 인공 어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KR1020100074478A 2010-08-02 2010-08-02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Active KR10125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478A KR101256274B1 (ko) 2010-08-02 2010-08-02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478A KR101256274B1 (ko) 2010-08-02 2010-08-02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03A true KR20120012503A (ko) 2012-02-10
KR101256274B1 KR101256274B1 (ko) 2013-04-18

Family

ID=4583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478A Active KR101256274B1 (ko) 2010-08-02 2010-08-02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42B1 (ko) * 2012-06-08 2013-02-22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자립형 지그 자켓 프레임을 이용한 수상 파일기초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232B1 (ko) 2014-03-24 2016-08-22 김상훈 종합발전설비의 반투과성 방파제
KR101650231B1 (ko) 2014-03-24 2016-08-22 김상훈 파력발전기를 갖춘 반투과성 방파제 축조구조물
KR20160080028A (ko) 2014-12-29 2016-07-07 김상훈 복합기능형 인공섬
CN106320187A (zh) * 2016-10-27 2017-01-11 朱育盼 用于特殊地层中的桥梁施工方法和装置
KR101961319B1 (ko) 2018-12-21 2019-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 지지구조체를 이용한 케이싱 회수방식의 기초말뚝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40A (ja) 2000-06-01 2001-12-14 Kajima Corp 水底下の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水底下の地中構造物
JP3735273B2 (ja) 2001-06-07 2006-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中基礎の設置方法
KR100556302B1 (ko) * 2004-04-02 2006-03-07 (주) 선암기술연구소 지지수단이 구비된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시공방법
KR100819624B1 (ko) * 2006-03-03 2008-04-04 정혜진 수밀형 오픈케이슨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기초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42B1 (ko) * 2012-06-08 2013-02-22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자립형 지그 자켓 프레임을 이용한 수상 파일기초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274B1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720B2 (en) Offshore platform for a marine environment
CN103321241B (zh) 深水开敞式组合基础码头及其施工方法
KR101211811B1 (ko) 조립케이슨을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CN104912045B (zh) 水上平台结构水底固定用空心筒墩及其安装施工方法
KR100819624B1 (ko) 수밀형 오픈케이슨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기초공법
KR102011321B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KR101256274B1 (ko) 조립케이슨 및 쟈켓을 이용한 알시디(rcd)공법
CN110258582B (zh) 基于钢管桩与拉森钢板的斜支撑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04452829A (zh) 一种桩筏基础抗浮结构及施工方法
AU2012313196B2 (en) Partially floating marine platform for offshore wind-power, bridges and marine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JP3423394B2 (ja) 水中骨組構造物
CN102561379A (zh) 一种新型桥梁设置基础及其施工方法
CN102733407A (zh) 双环灌芯单桩基础
KR20010096389A (ko) 강재 가물막이를 이용한 직접기초 시공방법
CN101392521A (zh) 嵌岩钢架码头结构及其施工方法
WO2016109962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xing offshore marine platform to a seabed having layers of a soil/clay nature
KR100418268B1 (ko) 교각의 기초 시공용 분할형 우물통과 그 시공방법
KR100931918B1 (ko) 구조물의 내외부 수압차를 이용한 수중 터널링 공법
CN108487273A (zh) 一种水中基础施工方法
KR20190019530A (ko) 교량의 PC하우스(Precast house)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20150105891A (ko) 반 매립식 해상비행장의 지하시설물
KR20120012502A (ko) 연약지반 및 방파제, 접안시설공사의 현장 타설말뚝
KR20210047481A (ko) 해상활주로용 복합케이슨의 코어(core)벽체 구조물
JP4132320B2 (ja) 基礎構築方法
CN216973476U (zh) 一种沉箱与钢管桩结合的重力式风机基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