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613A -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1613A KR20120011613A KR1020100073562A KR20100073562A KR20120011613A KR 20120011613 A KR20120011613 A KR 20120011613A KR 1020100073562 A KR1020100073562 A KR 1020100073562A KR 20100073562 A KR20100073562 A KR 20100073562A KR 20120011613 A KR20120011613 A KR 201200116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fiber
- fiber membrane
- header
- upper header
- membrane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6—Specific mechanisms for loading the membrane in a modu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위 파이프와 상부 헤더들 사이의 결합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부 헤더들 사이의 결합을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40: 지지봉 50: 캡
100, 200, 300, 500, 600: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400: 집수 파이프 700: 공통 배관
800a, 800b, 900: 체결 부재
Claims (15)
- 내부에 제1 집수 공간을 갖는 상부 헤더;
상기 상부 헤더의 아래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2 집수 공간을 갖는 하부 헤더; 및
상기 상부 헤더와 상기 하부 헤더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사막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이 상기 제1 및 제2 집수 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 중공사막의 양 말단이 상기 상부 헤더 및 상기 하부 헤더에 각각 포팅되어 있고,
상기 상부 헤더의 상면에는 배출구(outlet)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헤더의 하면에는 주입구(inlet)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캡(cap)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헤더와 상기 하부 헤더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봉(support ba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헤더의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 제1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제2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들에 의해 생성된 여과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집수 파이프(collecting pipe)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 생성된 여과수는 상기 제1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을 통해서 상기 집수 파이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은 제1 상부 헤더, 제1 하부 헤더, 및 상기 제1 상부 헤더와 상기 제1 하부 헤더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1 중공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은 제2 상부 헤더, 제2 하부 헤더, 및 상기 제2 상부 헤더와 상기 제2 하부 헤더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2 중공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공사막을 투과한 여과수는 상기 제2 상부 헤더, 상기 제1 하부 헤더, 상기 제1 중공사막, 및 상기 제1 상부 헤더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집수 파이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헤더는 그 상면에 있는 제1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집수 파이프와 연통하고,
상기 제1 하부 헤더의 하면에는 제1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부 헤더의 상면에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부 헤더와 상기 제2 상부 헤더는 상기 제1 주입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헤더 및 상기 집수 파이프 각각은 상기 제1 상부 헤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공(coupling hole)을 갖고,
상기 여과 시스템은 상기 제1 체결공들에 삽입되는 제1 체결 부재(coupl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헤더 및 상기 제2 상부 헤더 각각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공을 갖고,
상기 여과 시스템은 상기 제2 체결공들에 삽입되는 제2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제3 상부 헤더, 제3 하부 헤더, 및 상기 제3 상부 헤더와 상기 제3 하부 헤더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3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제3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 파이프는 상기 제1 상부 헤더 및 상기 제3 상부 헤더에 공통으로 결합된 단위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상부 헤더들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상부 헤더의 장측면(longitudinal side)과 상기 제3 상부 헤더의 장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들은 상기 제1 및 제3 상부 헤더들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 및 제3 중공사막들의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헤더 및 상기 제3 상부 헤더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에 상기 제1 및 제3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체결공을 갖고,
상기 제3 체결공들에 삽입되는 제3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상부 헤더들이 그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제1 및 제3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들이 상기 제1 및 제3 상부 헤더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은 제1 상부 헤더, 제1 하부 헤더, 및 상기 제1 상부 헤더와 상기 제1 하부 헤더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1 중공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은 제2 상부 헤더 및 제2 중공사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중공사막의 일단은 상기 제2 상부 헤더에 포팅되어 있고, 상기 제2 중공사막의 타단은 자유단이며,
상기 제2 중공사막을 투과한 여과수는 상기 제2 상부 헤더, 상기 제1 하부 헤더, 상기 제1 중공사막, 및 상기 제1 상부 헤더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집수 파이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3562A KR101685356B1 (ko) | 2010-07-29 | 2010-07-29 |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3562A KR101685356B1 (ko) | 2010-07-29 | 2010-07-29 |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1613A true KR20120011613A (ko) | 2012-02-08 |
KR101685356B1 KR101685356B1 (ko) | 2016-12-12 |
Family
ID=4583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35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5356B1 (ko) | 2010-07-29 | 2010-07-29 |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535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2074B1 (ko) * | 2019-10-15 | 2020-10-06 | 주식회사 코레드 | 침지형 관형 여과막 모듈 |
CN115340212A (zh) * | 2022-08-19 | 2022-11-15 | 山东祥桓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生物质三效耦合处理污水系统及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5887A (ko) * | 2004-10-21 | 2006-04-27 | 주식회사 코오롱 |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
KR20080049814A (ko) * | 2005-09-09 | 2008-06-04 | 덱스웻 유에스에이 엘엘씨 | 필터 모듈 |
KR20090104152A (ko) * | 2008-03-31 | 2009-10-06 | (주)우리텍 | 압력용기 내장형 멤브레인 모듈 및 직렬식 가압형 중공사멤브레인 모듈 |
KR20090117954A (ko) * | 1995-08-11 | 2009-11-16 | 제논 테크놀로지 파트너쉽 | 기질로부터 투과물을 빼내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처리하는 방법, 주위 압력에서 활성화된 슬러지로부터 여과된 투과물을 빼내는 방법, 및 여과된 투과물을 기질로부터 빼내는 방법 |
-
2010
- 2010-07-29 KR KR1020100073562A patent/KR10168535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7954A (ko) * | 1995-08-11 | 2009-11-16 | 제논 테크놀로지 파트너쉽 | 기질로부터 투과물을 빼내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처리하는 방법, 주위 압력에서 활성화된 슬러지로부터 여과된 투과물을 빼내는 방법, 및 여과된 투과물을 기질로부터 빼내는 방법 |
KR20060035887A (ko) * | 2004-10-21 | 2006-04-27 | 주식회사 코오롱 |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
KR20080049814A (ko) * | 2005-09-09 | 2008-06-04 | 덱스웻 유에스에이 엘엘씨 | 필터 모듈 |
KR20090104152A (ko) * | 2008-03-31 | 2009-10-06 | (주)우리텍 | 압력용기 내장형 멤브레인 모듈 및 직렬식 가압형 중공사멤브레인 모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2074B1 (ko) * | 2019-10-15 | 2020-10-06 | 주식회사 코레드 | 침지형 관형 여과막 모듈 |
CN115340212A (zh) * | 2022-08-19 | 2022-11-15 | 山东祥桓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生物质三效耦合处理污水系统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5356B1 (ko) | 2016-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99334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a membrane module | |
KR100812187B1 (ko) |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 | |
US9795904B2 (en) | Filtering membrane module and fil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6060273B2 (ja) | ろ過装置 | |
JP5797285B2 (ja) | ろ過装置及びそのための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US8753509B2 (en) | Advanced filtration device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 |
KR102236176B1 (ko) | 여과장치 | |
US9795926B2 (en) | Aeration unit and filt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CN105813720A (zh) | 浸渍式过滤装置 | |
JP2014024031A (ja) | 膜ろ過装置 | |
KR101685356B1 (ko) |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 |
US20120074056A1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tration apparatus | |
KR20130128866A (ko) | 가압형 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 |
KR20100092227A (ko) |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 |
CN107428565B (zh) | 介质过滤器到膜重力过滤器的转换 | |
US20110024345A1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puller used therefor | |
CN222286661U (zh) | 一种有机物料膜分离设备 | |
KR101428089B1 (ko) | 여과장치의 용도 전환용 어댑터 및 그것을 이용한 여과장치 | |
KR100736430B1 (ko) | 잠겨진 막 요소와 모듈 | |
KR20150089195A (ko) |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 |
KR101515685B1 (ko) | 막 오염 저감을 위한 구획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 |
KR101777554B1 (ko) | 여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중공사막 모듈 | |
KR20150068125A (ko) | 침지식 여과 장치 | |
KR20180003148A (ko) | 여과막 세정용 산기부 | |
KR20120078204A (ko) |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침지 여과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7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