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452U -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Google Patents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7452U KR20120007452U KR2020110008464U KR20110008464U KR20120007452U KR 20120007452 U KR20120007452 U KR 20120007452U KR 2020110008464 U KR2020110008464 U KR 2020110008464U KR 20110008464 U KR20110008464 U KR 20110008464U KR 20120007452 U KR20120007452 U KR 2012000745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ring
- gasket
- synthetic resin
- resin film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0—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met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플랜지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가스켓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고 양 측면 각각이 서로 다른 관에 의해 밀착되는 합성수지 패킹; 합성수지 패킹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는 금속링; 합성수지 패칭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금속링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합성수지막; 및 합성수지막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며 플랜지에 의해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삽입홀을 구비한 복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은 용접식 관연결장치, 비용접식 관연결장치,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연결장치 등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되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밀 또는 기밀을 확실히 하고 충격, 진동 및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은 용접식 관연결장치, 비용접식 관연결장치,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연결장치 등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은 유체나 기체를 관의 내부를 통해 이송시킨다. 통상 사용되고 있는 관의 연결방법은 그립형 장치를 이용한 방법, 홈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방법, 플랜지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 관과 관의 접지부분을 용접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법, 관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된 링에 조인트를 끼워 연결하는 방법 및 한쪽 관의 확관된 부위에 타측 관을 끼워넣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관과 관의 접지부분을 용접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법은 연결이 이루어지는 양측 관을 상호 밀착시킨 후에 관의 직경이 큰 경우(700 mm 이상)에는 밀착부 내외면으로 자동 또는 수동용접을 하여 연결하였다. 또한, 관의 직경이 작은 경우(700 mm 이하)에는 밀착부 외면만을 자동 또는 수동용접을 하여 연결하였다.
용접하여 관을 연결하는 경우 용접부위는 내부에 흐르는 유체에 의한 응력 집중현상이 발생되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되어 누수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접후 용접부위 및 용접부위 근처에는 별도의 코팅작업을 실시해야만 했으므로 작업공정의 불편과 작업시간의 과다로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접작업은 주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용접기능인을 필요로 함은 물론 관의 외주면을 따라 360°방향으로 용접을 해야 하므로 작업의 불편뿐만 아니라 용접에 대한 신뢰성이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중요한 유체나 기체의 이송시에 X-ray를 통한 비파괴 검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즉, 관과 관을 연결하는 과정에 있어서의 이러한 용접과정은 공사단가를 상승시키며, 현장용접시 장소에 대한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옥내 배관 작업시 용접에 의한 화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 관 연결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관 연결장치(1)는 끝단이 확장된 관(3)과 관(3) 사이에 삽입되어 관(3) 내에 흐르는 유체 등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4), 관과 관을 연결하기 위한 2개의 플랜지(7), 플랜지(7)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볼트(5)와 너트(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관 연결장치(1)에 삽입되는 가스켓(4)의 경우 통상 고무링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가 사용되거나 메탈 가스켓 등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가스켓(4)의 경우 관과 관 사이를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없어 누수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금속재질을 갖는 메탈 가스켓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정비작업 중에 플랜지(7)와 플랜지 사이(7)에 메탈 가스켓을 작업자가 파지하여 설치할 때 플랜지(7) 사이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협착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타격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가스켓(4)을 고정하면 가스켓(4)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수밀 또는 기밀을 확실히 하고 충격, 진동 및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의 관연결 장치에 이용되는 개선된 가스켓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현장에서 용접을 하지 않고 관과 관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단에 있어서 매탈 가스켓과 합성수지 재질의 가스켓의 장점을 모두 채용하고 관과 관 사이를 보다 밀착시켜 수밀, 기밀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가스켓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밀 또는 기밀을 확실히 하고 충격, 진동 및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링의 견고함과 합성수지재의 탄력성을 모두 겸비하고, 진동, 충격 및 압력에도 항상 관 사이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는 관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은 용접식 관연결장치, 비용접식 관연결장치,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연결장치 등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플랜지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가스켓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고 양 측면 각각이 서로 다른 관에 의해 밀착되는 합성수지 패킹; 합성수지 패킹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는 금속링; 합성수지 패칭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어 금속링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합성수지막; 및 합성수지막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며 플랜지에 의해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삽입홀을 구비한 복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패킹의 두께는 합성수지막이 결합된 금속링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오목홈은〈 자형으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합성수지 패킹은 EPDM, 니트럴, 화이트 니트럴, 실리콘, 네오프렌, 플로로 엘라스토머 에피클로로 하이드린 및 할로겐화 부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체결부 내부에는 금속판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합성수지 패킹의 측면은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합성수지막은 EPDM, 니트럴, 화이트 니트럴, 실리콘, 네오프렌, 플로로 엘라스토머 에피클로로 하이드린 및 할로겐화 부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체결부는 EPDM, 니트럴, 화이트 니트럴, 실리콘, 네오프렌, 플로로 엘라스토머 에피클로로 하이드린 및 할로겐화 부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합성수지 패킹의 두께는 합성수지막이 결합된 금속링의 두께보다 1mm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금속링의 두께는 2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합성수지막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사용함으로써 수밀 또는 기밀을 확실히 하고 충격, 진동 및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켓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구비되고, 내주면을 〈 자 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수밀 또는 기밀을 확실히 하며 이탈을 방지하고 충격, 진동 및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된 관의 유지보수 및 해체시에 관과 플랜지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관연결 장치의 교체시에 가스켓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은 용접식 관연결장치, 비용접식 관연결장치,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연결장치 등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가스켓이 설치된 관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관 연결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관 연결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을 포함하는 관 연결 장치를 나타낸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연결 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관(3), 플랜지(7),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 두 개의 플랜지(7) 및 볼트(5)와 너트(6)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관(3)은 재질면에서 강관, 비철금속관 및 PE(Polyethylene) 복합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관, 알루미늄관, 철관, 스테인레스관 및 PE 복합관 등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관(3)은 형상면에서 곧은관 또는 엘보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연결되는 각 관(3)은 15 mm 내지 1500 mm 의 외경을 가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되는 각 관(3)은 1.7 mm 내지 29 mm의 두께를 가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관(3)은 길이방향의 수평축과 20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확관부 내경의 지름이 관(3)의 끝단부 쪽으로 증가하도록 가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지(7)는 스테인레스, 강철 및 주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7)가 삽입될 수 있는 관(3)의 길이는 30 mm 이상이면 가능하다.
플랜지(7)는 외주면에 볼트(5)와 형상 맞춤될 수 있도록 각진 홀(미도시)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300)에 형성된 각진 홀과 볼트(5) 등의 체결부재에 형성된 목 부분을 같은 모양으로 함으로써, 볼트(5)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체결부재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볼트(5)와 너트(6)로 구성될 수 있다. 볼트(5)는 유격을 방지하고 관(3)에 가해지는 충격, 진동 또는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볼트(5)의 머리부분에 연결된 볼트(5)의 목 부분을 플랜지(7)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진 홀에 형상 맞춤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진 홀은 삼각형, 반달형 또는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볼트(5)의 목 부분이 육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볼트(5)의 외경은 6 mm 내지 5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고안의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을 포함하는 관 연결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21)을 갖는 합성수지패킹(20), 금속링(30), 금속링(30)의 외면에 구비된 합성수지막(40), 체결부(5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을 갖는 가스켓(10)의 합성수지 패킹(20)은 링의 형상을 갖고, EPDM, 니트릴(Nitrlie), 화이트 니트릴(White Nitrlie), 실리콘(Silicone) , 네오프렌(Neoprene), 플로로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 에피클로로 하이드린(Epichloro-hydrin) 및 할로겐화 부틸(Halogenated Buty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EPDM 합성수지 패킹(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PDM 합성수지 패킹(20)은 석유제품을 제외한 규정된 온도 범위내의 온수, 희석된 산, 기름기가 제거된 공기 및 여러 종류의 화학제품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하 50도 내지 영상 300도 범위까지의 내한성과 내열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10)(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패킹(20)의 측면은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 사이에 가스켓(10)이 밀착될 때, 밀착력이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증가될 수 있어 관(3) 사이를 더욱 긴밀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켓(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패킹(20)의 내주면은 〈자 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21)을 포함하고 있다. 합성수지 패킹(20)의 측면은 경사진 경사면(22)으로 형성되오 내주면은 〈 자 형으로 오목한 오목홈(21)을 구비함으로써 관(100)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유압이나 기체의 기압으로 인해 〈 자 형상이 더 벌어지고 관(3)의 내주면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밀 또는 기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켓(10)은 금속링(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링(30)은 합성수지 패킹(20) 외주면에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링(30)에 의해 관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가스켓(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메탈 가스켓의 장점을 그대로 채용하게 된다. 그리고, 금속링(30)의 두께는 2 mm 내지 50 mm 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켓(10)은 금속링(30) 외면을 감싸고 금속링(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막(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막(40)은 합성수지 패킹(20)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어 금속링(30)의 외면을 감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금속링(30)의 외면이 합성수지막(40)으로 구성되어 있어 형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외면은 합성수지막(40)으로 구비되어 관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막(40)은 합성수지 패킹(20)과 같이, EPDM, 니트릴(Nitrlie), 화이트 니트릴(White Nitrlie), 실리콘(Silicone) , 네오프렌(Neoprene), 플로로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 에피클로로 하이드린(Epichloro-hydrin) 및 할로겐화 부틸(Halogenated Buty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EPDM 합성수지 막(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켓(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막(40)의 외면 일측에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막(40)에 복수의 홀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가스켓(10)이 관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었을 때, 합성수지막(40)이 변형되지 않고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3) 사이에 가스켓(10)이 삽입되었을 때, 가스켓(10)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50)를 적어도 한 개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50)는 서로 대칭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50)은 합성수지 패킹(20)과 같이, EPDM, 니트릴(Nitrlie), 화이트 니트릴(White Nitrlie), 실리콘(Silicone) , 네오프렌(Neoprene), 플로로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 에피클로로 하이드린(Epichloro-hydrin) 및 할로겐화 부틸(Halogenated Buty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링(30) 결합된 가스켓(1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체결부(50)에는 플랜트에 의한 결합시 가스켓(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 볼트(4)가 삽입되어 지는 삽입홀(51)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체결부(50)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고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5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52)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너트(5,6)에 의한 플랜지(7)의 결합시, 가스켓(10)에 양쪽 관(3)이 밀착됨으로써 수밀 또는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합성수지 패킹(20)은 합성수지막(40)이 결합된 금속링(30)의 두께방향으로 1 mm 이상 돌출되는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합성수지막(40)이 결합된 금속링(30)의 두께방향으로 1 mm 돌출되는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패킹(20)을 포함한 가스켓(10)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막(40)과 합성수지 패킹(20)의 외주면과 금속링(30)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부분은 상호 이탈을 방지하고 수밀 또는 기밀을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종래 가스켓이 삽입된 관 연결장치
2: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이 삽입된 관 연결장치
3:관
4:종래 가스켓
5:볼트
6:너트
7:플랜지
10: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20:합성수지 패킹
21:오목홈
22:경사면
30:금속링
40:합성수지막
50:체결부
51:삽입홀
52:금속판
2:금속링을 갖는 가스켓이 삽입된 관 연결장치
3:관
4:종래 가스켓
5:볼트
6:너트
7:플랜지
10: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20:합성수지 패킹
21:오목홈
22:경사면
30:금속링
40:합성수지막
50:체결부
51:삽입홀
52:금속판
Claims (11)
- 두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플랜지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가스켓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고 양 측면 각각이 서로 다른 관에 의해 밀착되는 합성수지 패킹;
상기 합성수지 패킹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는 금속링;
상기 합성수지 패칭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금속링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합성수지막; 및
상기 합성수지막의 외주면 일측과 연결되며 플랜지에 의해 두 관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삽입홀을 구비한 복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킹의 두께는 상기 합성수지막이 결합된 상기 금속링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자형으로 외주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킹은 EPDM, 니트럴, 화이트 니트럴, 실리콘, 네오프렌, 플로로 엘라스토머 에피클로로 하이드린 및 할로겐화 부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내부에는 금속판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킹의 측면은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막은 EPDM, 니트럴, 화이트 니트럴, 실리콘, 네오프렌, 플로로 엘라스토머 에피클로로 하이드린 및 할로겐화 부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EPDM, 니트럴, 화이트 니트럴, 실리콘, 네오프렌, 플로로 엘라스토머 에피클로로 하이드린 및 할로겐화 부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킹의 두께는 상기 합성수지막이 결합된 상기 금속링의 두께보다 1mm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의 두께는 2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막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464U KR20120007452U (ko) | 2011-09-20 | 2011-09-20 |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464U KR20120007452U (ko) | 2011-09-20 | 2011-09-20 |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6323 Division | 2011-04-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452U true KR20120007452U (ko) | 2012-10-29 |
Family
ID=4751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464U KR20120007452U (ko) | 2011-09-20 | 2011-09-20 |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7452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2392A1 (ko) * | 2017-05-16 | 2018-11-22 | (주)위온 | 가스켓 |
KR102243480B1 (ko) * | 2020-09-04 | 2021-04-22 | 문재일 |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
EP4087022A4 (en) * | 2020-11-05 | 2023-10-11 | LG Energy Solution, Ltd. | Coolant port assembly |
-
2011
- 2011-09-20 KR KR2020110008464U patent/KR2012000745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2392A1 (ko) * | 2017-05-16 | 2018-11-22 | (주)위온 | 가스켓 |
KR102243480B1 (ko) * | 2020-09-04 | 2021-04-22 | 문재일 |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
EP4087022A4 (en) * | 2020-11-05 | 2023-10-11 | LG Energy Solution, Ltd. | Coolant port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7355B1 (ko) |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 |
KR101085122B1 (ko) |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 |
JP6526144B2 (ja) |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 |
KR101324938B1 (ko) |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 |
KR20120007452U (ko) |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 |
KR101146829B1 (ko) | 루즈 플랜지식 플레어 관 조인트 및 그것을 사용한 강관의 접합 방법 | |
KR101366184B1 (ko) | 별도의 고정링을 갖는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및 플레어가 형성된 관 | |
KR101003942B1 (ko) | 관체 연결 장치 | |
CN105356407B (zh) | 浅水区电缆防水接头及连接方法 | |
CN203115338U (zh) | 压缩式单卡套接头 | |
KR101087687B1 (ko) | 파이프 이음구 | |
KR101563108B1 (ko) |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 |
KR20100134425A (ko) |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 |
JP2019120379A (ja) |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 |
RU141409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коррозии 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покрытием | |
RU191754U1 (ru) |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 |
CN209524205U (zh) | 一种承插式钢顶管接头 | |
CN207018719U (zh) | 一种塑料连接管头密封件 | |
RU99098U1 (ru) | Конструкция стыка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покрытием | |
KR102013248B1 (ko) | 러그 플랜지 타입 배관 조립체 | |
JP2017133589A (ja) | 補修用継手 | |
KR200480413Y1 (ko) | 배관의 이음구조 | |
CN110778817A (zh) | 一种涂塑复合钢管的快速连接结构及快速连接方法 | |
CN203757273U (zh) | 一种加强型不锈钢波纹管 | |
KR20120017105A (ko) | 라이너를 이용한 관 이음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