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45U - A wicker tray - Google Patents
A wicker tr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7345U KR20120007345U KR2020110003236U KR20110003236U KR20120007345U KR 20120007345 U KR20120007345 U KR 20120007345U KR 2020110003236 U KR2020110003236 U KR 2020110003236U KR 20110003236 U KR20110003236 U KR 20110003236U KR 20120007345 U KR20120007345 U KR 2012000734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er
- tray
- holes
- present
- fo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찜기 겸용 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과 측벽 각각에 다수의 하부 및 측부 관통공을 형성하여 수분을 가지는 야채나 기타 음식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채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찜기에서 찜을 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거치하는 내부 찜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찜기 겸용 채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채반(10)은 다수의 하부관통공(18)이 형성된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12)의 외주연에 일정높이 세워지고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부관통공(19)이 형성되고 상단에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절곡된 받침플랜지(15)가 형성된 측벽(14); 상기 측벽(14)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16); 및 상기 바닥면(12)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관통공(18)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높이 세워지는 받침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steamer,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bottom and side through-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bottom and sidewalls, and thus it can be used as a tray used for drying vegetables or other foods having mois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er combined use of the steamer to be used as an internal steamer for the food to be steamed.
The tra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nd the bottom surface 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through-holes 18; A sidewall 14 having a plurality of side through holes 19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2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and a support flange 15 bent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at the top thereof. ; A handle 16 rotat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14; And a support frame 30 which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through hole 18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12.
Description
본 고안은 찜기 겸용 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과 측벽 각각에 다수의 하부 및 측부 관통공을 형성하여 수분을 가지는 야채나 기타 음식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채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찜기에서 찜을 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거치하는 내부 찜기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찜기 겸용 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steamer,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bottom and side through-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bottom and sidewalls, and thus it can be used as a tray used for drying vegetables or other foods having mois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er combined use of the steamer to be used as an internal steamer for the food to be steamed.
일반적으로, 채반은 용기에 다수의 관통공 또는 망채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 또는 망채에 의해 외부공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수분을 함유하는 음식물의 건조나 음식물을 잠시 담아놓는 용기로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tra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r nets in the container, the external air is facilitated by the through-holes or nets to be used as a container for drying the food containing moisture or food for a while.
그리고, 찜기는 찜요리를 할 때 사용 조리기구의 일종으로, 기본적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고 찜할 음식물을 거치하는 내부찜기 및 뚜껑으로 구성된다.And, the steamer is a kind of cooking utensils used when cooking steaming, it is basically composed of an inner steamer and a lid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ood to be steamed.
도 1은 종래의 찜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본원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902135호(다용도 찜기)로서, 이를 참조하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찜판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찜기에 있어서, 상향 개방형이면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가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수의 통공(H)이 관통 형성된 바닥찜판(22A) 및 상기 바닥찜판(22A)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부측벽(22B)(22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측벽(22B)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1)의 플랜지(F)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F')가 형성된 내부찜기(22); 및 상기 본체(21)의 개방 상단부를 개폐하며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판부재(23A)와 상기 상판부재(23A)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재(23B)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23B)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21) 또는 내부찜기(22)의 상단 플랜지(F)(F')를 밀착 감싸도록 하는 밀착부(23B1)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23B1)에 의해 본체(21)의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유출을 감소시켜 고온의 내부압력을 유지함에 따라 찜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23);으로 구성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amer, which is Korean Patent No. 902135 (multipurpose steamer) of the present applicant, referring to this, in a steamer in which one or more steamers are detachably mounted therein, upwardly open and inward. A
그러나, 종래의 채반이나 찜기에 사용되는 내부 찜기는 전용으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사용의 한계성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internal steamer used in the conventional rice harvester or steamer was used only for use, there was a limit of u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면과 측벽 각각에 다수의 하부 및 측부 관통공을 형성하여 수분을 가지는 야채나 기타 음식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채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찜기에서 찜을 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거치하는 내부 찜기로 사용 가능하다는 다목적의 찜기 겸용 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bottom and side through holes in each of the bottom and side walls can be used as a tray used for drying vegetables or other foods having moisture While providing a multi-purpose steamer combined use that can be used as an internal steamer for the food to be steamed in the steam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채반은 다수의 하부관통공이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연에 일정높이 세워지고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절곡된 받침플랜지가 형성된 측벽;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바닥면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관통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높이 세워지는 받침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ttom surf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through holes; A side wall having a plurality of side through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having a support flange bent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at the top; A handle rotat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And a support frame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through hole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본 고안에 있어서, 받침틀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면의 하부관통공에서 배수되는 수분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is a plurality of drain holes to allow the water drained from the lower through hole of the bottom surface to be smoothly drained to the outsid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이상과 같이, 바닥면과 측벽 각각에 다수의 하부 및 측부 관통공을 형성하여 수분을 가지는 야채나 기타 음식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채반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찜기에서 찜을 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거치하는 내부 찜기로 사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lurality of lower and side through-holes on each of the bottom and side walls, it is possible to use as a tray used for drying vegetables or other foods that have moisture, while the internal steamer to mount the food to be steamed in the steamer. It can be used as an effect.
도 1은 종래의 찜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을 내부 찜기 대용으로 사용하는 사용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am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lso a state of use using the internal steamer substitu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this.
본 고안의 채반(10)은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12)의 외주연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측벽(14), 및 상기 측벽(14)의 상단부에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16)가 구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측벽(14)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절곡된 받침플랜지(15)가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받침플랜지(15)는 수평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바닥면(12) 및 측벽(14)에는 다수의 하부 및 측부관통공(18)(19)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wer and side through
즉, 상기 하부관통공(18)은 채반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음식물에 묻혀있는 수분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 찜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찜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소통되어 음식물의 익힘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ower through-
또한, 상기 측부관통공(19)은 채반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는 통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빠른 건조가 가능한 것이고, 내부 찜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하부관통공(18)을 통해 상승되는 고온의 수증기가 음식물과 열전도가 이루어져 차가워진 수증기의 일부는 상승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측부관통공(19)을 통해 배출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대류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찜 조리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side through-
한편, 상기 바닥면(12)의 하단에는 일정높이를 가지고 세워지는 받침틀(30)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bottom of the
상기 받침틀(30)은 상기 바닥면(12)과 지면 사이에 띄움 간격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바닥면(12)에 형성된 하부관통공(18)이 상기 지면에 밀착됨에 따른 막힘을 방지하여 수분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받침틀(30)은 상기 바닥면(12)에 형성된 하부관통공(18)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받침틀(30)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내려놓았을 때 상기 바닥면(12)의 하부관통공(18)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공(3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손잡이(16)는 상기 측벽(1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16)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The
즉, 파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6)를 들어올려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이 완료되거나 보관 또는 내부찜기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회동시켜 상기 손잡이(16)가 상기 측벽(14)의 상단 내측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grippin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채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3의 경우 채반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채반(10)의 내측에 건조 또는 보관(여기서 보관은 음식을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임시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한다)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저장하면, 상기 음식물에 함유되거나 묻혀있는 수분은 상기 채반(10)의 바닥면(12)에 형성된 하부관통공(18)을 통해 배수되고 또한 이렇게 배수되는 수분은 지면과 상기 바닥면(12)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틀(30)의 배수공(32)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tray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Figure 3 is used as a tray, drying or storage in the inside of the tray 10 (where storage means temporarily storing food to be cooked food) When the food to be stored is stored, the water contained in or buried in the food is drained through the lower through
물론, 상기 배수공(32)은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하여도 상기 받침틀(30)의 내측에 수분이 수집된 상태를 이루므로, 상기 바닥면(12)의 하부관통공(18)을 통한 수분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Of course, the
또한, 상기 채반(10)의 측벽(14)에 형성된 다수의 측부관통공(19)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채반(10)의 내측에 원활하게 소통됨에 따라 음식물의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through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반을 내부 찜기 대용으로 사용하는 사용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도 1의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4 is a state diagram of using a ric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lternative to an internal steamer. Referring to FIG.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채반을 찜기의 내부찜기로 사용할 경우를 살펴보면, 본체(21)의 내측에 상기 채반(10)을 안착시키며, 이때 상기 채반(10)의 측벽(14) 상단에 형성된 받침플랜지(15)를 상기 본채(21)의 상단면에 안착되도록 한다.Looking at the case of using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ner steamer of the steamer as shown in Figure 4, the
이는 본체(21)의 하부면과 상기 채반(10)의 하단면의 간격을 유지시켜 수증기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사용상태의 일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21)의 하부면에 상기 채반(10)의 받침틀(30)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is is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반(10)의 상방 및 하방에 찜판(24)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as shown, the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상단에 뚜껑(23)을 덮고 상기 본체(21)의 하단에서 열을 가하면, 상기 본체(21)에 저장된 물이 끓으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수증기는 상승하면서, 상기 채반(10)의 하부관통공(18)을 통해 진입된다.Then, when the
한편, 상기 하부관통공(18)을 통해 진입된 수증기는 상기 채반(10)의 내측에 저장된 음식물을 익히게 되고, 이러한 열전도로 차가워진 수증기의 일부는 상승하며 다른 일부는 측벽(14)의 측부관통공(19)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면서 하방으로 낙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vapor entered through the lower through-
물론, 종래의 찜기 즉, 도 1과 같이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 찜기의 경우에도 본체(21)의 하부에 상승하는 수증기에 의해 내부찜기(22)의 내측에 마련된 음식물을 익혀지게 하지만, 차가워진 수증기는 하강함에 따라 본체(21)에서 올라오는 수증기와 열전도가 일어남에 따라 결국, 음식물의 익혀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Of cours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teamer, that is, a steamer that does not hav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wall as shown in FIG. 1, food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그러나, 본 고안은 측벽(14)에 형성된 다수의 측부관통공(19)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차가워진 수증기가 외부 즉, 본체(21)로 빠르게 환원됨에 따라 상기 본체(21)에서 제공되는 수증기가 상기 채반(10)으로 제공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음식물의 익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formed a plurality of side through
한편, 상기와 같이 찜기를 통한 음식물의 익힘이 완료되면 뚜껑(23)을 개방하고 상기 채반(10)에 마련된 손잡이(16)를 들어올려 상기 본체(21)에서 채반(10)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king of the food is completed through the steamer as described above, op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찜기 겸용 채반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a combined stea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devia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Without thi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have a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채반 12: 바닥면
14: 측벽 15: 받침플랜지
16: 손잡이 18: 하부관통공
19: 측부관통공 30: 받침틀
32: 배수공10: tray 12: bottom surface
14: side wall 15: support flange
16: handle 18: lower through hole
19: side through hole 30: support frame
32: drain hole
Claims (2)
상기 바닥면(12)의 외주연에 일정높이 세워지고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부관통공(19)이 형성되고 상단에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절곡된 받침플랜지(15)가 형성된 측벽(14);
상기 측벽(14)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16); 및
상기 바닥면(12)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관통공(18)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높이 세워지는 받침틀(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겸용 채반.A bottom surface 12 having a plurality of lower through holes 18 formed therein;
A sidewall 14 having a plurality of side through holes 19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2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and a support flange 15 bent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at the top thereof. ;
A handle 16 rotat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14; And
A support frame 30 which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through hole 18 at the bottom of the bottom 12;
Combined steamer combined steamer comprising a.
상기 바닥면(12)의 하부관통공(18)에서 배수되는 수분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3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겸용 채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30
A plurality of drain holes 32 to allow the water drained from the lower through hole 18 of the bottom surface 12 to be smoothly drained to the outside;
Combined steam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am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236U KR20120007345U (en) | 2011-04-15 | 2011-04-15 | A wicker tr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236U KR20120007345U (en) | 2011-04-15 | 2011-04-15 | A wicker tr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345U true KR20120007345U (en) | 2012-10-24 |
Family
ID=4751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3236U Ceased KR20120007345U (en) | 2011-04-15 | 2011-04-15 | A wicker tr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7345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10467A (en) * | 2015-12-09 | 2016-02-10 | 广东力新热能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team kettle |
KR20210067755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쿠첸 | Cooking apparatus |
-
2011
- 2011-04-15 KR KR2020110003236U patent/KR20120007345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10467A (en) * | 2015-12-09 | 2016-02-10 | 广东力新热能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team kettle |
KR20210067755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쿠첸 | Cook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PI0922624B1 (en) | FOOD COOKING BASKET AND CORRESPONDING COOKING SYSTEM | |
KR200465164Y1 (en) | inner lid of airtight container | |
US20110179954A1 (en) | Multi-purpose basket | |
KR20120007345U (en) | A wicker tray | |
KR100929785B1 (en) | Dewatering Table for Airtight Containers | |
CN211066227U (en) | Anti-dripping pot cover and cooking utensil | |
JP7320245B2 (en) | Auxiliary container for rice cooking | |
KR100902135B1 (en) | Multipurpose Steamer | |
KR200477430Y1 (en) | Tray for boiling | |
CN215502432U (en) | Multifunctional pot with novel partition plate | |
KR101823612B1 (en) | Cooking apparatus | |
CN212326110U (en) | Combined pot | |
KR101645410B1 (en) | Instant steam container | |
CN208625402U (en) | Interior pot component and electric heating cooker with it | |
KR101605253B1 (en) | Earthen pot | |
KR20090070170A (en) | Dual lid structure of casserole | |
KR200441724Y1 (en) | Multipurpose cooker. | |
KR102240619B1 (en) | Kitchen container | |
CN221285392U (en) | Dry steaming component and electric steamer | |
CN207011659U (en) | Fruit dehydradting machine | |
TWM514280U (en) | Steam cooking container rack | |
KR20090002564U (en) | Multipurpose Steamer | |
CN219088909U (en) | Steaming basket pot | |
KR200462732Y1 (en) | A lid for rice bowl | |
CN218474491U (en) | Steaming tray structure of 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41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1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