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976A - 데이타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타입력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6976A KR20120006976A KR1020117020690A KR20117020690A KR20120006976A KR 20120006976 A KR20120006976 A KR 20120006976A KR 1020117020690 A KR1020117020690 A KR 1020117020690A KR 20117020690 A KR20117020690 A KR 20117020690A KR 20120006976 A KR20120006976 A KR 201200069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pad
- user
- letter
- word
- k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데이터 입력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제스처를 입력하기 위한 탓치민감패드와 가상키패드를 패드위의 사용자제스처가 가상 키패드의 키들에 해당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상키패드를 탓치민감패드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탓치 민감 패드상의 제스처는 휴대폰형 키패드의 키 누름에 해당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및 다른 기호를 포함한 데이타/텍스트를 입력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퍼스널 디지털 장치들 및 소형 컴퓨터 같은 모바일 장치들은 편하게 휴대하여 여러가지 일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들의 문제점은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인데 그 작은 크기 때문에 생긴 문제점이다. 이 들 모바일 장치들에게 텍스트를 입력을 입력시키는 한가지 대안은 한정된 키세트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 키세트 안에 몇 개의 키들이 애매 모호하게 다수의 문자와 연결되어 있다.
애매모호한 키들의 사용할 경우 문제점은 사용자가 잘못된 키를 무의식적으로 눌렀을 때이다. 그런 경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의도하지 않았던 단어를 제안할 것이다. 사용자는 그 때 잘못된 문자를 지우고 다시 정확한 키를 누를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5,818,437은 주윈도우에 더하여 현재의 단어를 위해 눌려진 각각의 키와 연관된 문자의 형태로 눌려진 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추가의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국특허 5,818,437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게 하기 위해 주 윈도우에 가능한 단어의 다수를 직접 보여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드백 방식은 혼란스럽고 그리고 사용자에게 타이핑을 하는데 있어 에러를 식별하는데 충분한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고있다.
또한 키들의 쌍들에 의해 알파벧의 모든 문자를 부호화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한 제안은 예를 들면 토우통히 등(Toutonghi et) 이 출원인인 미국 특허공고 2006/0066583호 " 숫자 또는 아닌 키패드를 사용하는 텍스트 입력방법 및 그 시스템" 이라는 제목의 특허와 스미스가 출원인인 '알파벧 과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이라는 제목의 특허에 잘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모든 문자에 대해 키 순서를 기억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점은 알파벧과 숫자 이외의 기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모바일장치에서 키의 숫자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한정된 키로 기호를 단순하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들 방법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 있다.
몇 개의 모바일 기기는 탓치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탓치스크린은 역시 휴대용이 아닌 기기에도 종종 사용된다. 정 외(Jung et al.,) 몇 사람이 출원인인 미국 특허출원 2007/0097092 "탓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방법 및 동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른 사용자들을 위한 동일한 키를 가지는 다수의 지역을 가진 탓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알바라도(Alvarado)가 출원인인 미국특허공보 2009/0073002는 알파벧 문자가 탓치스크린 상에서의 직선 궤적에 의해 입력되는 그러한 형태를 기술하고 있다. 탓치스크린은 여러가지 셀로 분할되어서 다른 위치에서의 궤적에는 다른 해석이 주어진다.
빽맨 (Backmann) 이 출원인인 미국특허공보 2002/0180797 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스트로크와 키누름을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스트로크는 모음과 단축키에 제공된다.
쿠즈민(Kuzmin) 이 출원인인 "스트로크 기반 데이터 입력장치,시스템 그리고 방법"이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제7,519748호는 스트로크가 입력할 문자와 연관되어 있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스트로크는 그 방향과 그 시작지역에 따라 해석된다. 미드디톤(Middleton)이 출원인인 미국 특허 7,170,496호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제스처를 사용하는 입력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현재 입력된 제스처에 해당하는 기호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스처를 바꿀 수 있다. 이 들 방법은 사용자가 스트로크와 문자들 사이의 연관을 기억하도록 요구하는 데 이러한 일은 일부 사용자에게는 상당한 문제점으로 인식되었다.
몇 가지 다른 입력 방법이 몇 개의 키를 가진 키보드와 같이 사용되었는데, 여기서는 상기 키들의 최소한 몇 개 키들 각각에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문자나 글자와 같은 기호가 애매 모호하게 제공되어 있다. 그러한 키 패드에서, 일반적으로 키를 누르는 동작과 같은 소통작용은 키에 제공된 기호들의 어떤 것에 애매모호하게 해당된다(그러한 키는 애매모호한 키로 호칭될 것이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동일한 키에 여러가지의 탭을 사용함으로써 의도된 문자를 가리키도록 하는 다수의 탭스키마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글자를 입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탭 스키마를 사용하는 것은 많은 사용자에게 있어 느리고 불편한 것이었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키에 제공된 기호들의 집단 중에 있는 기호들 중의 하나를 입력하기 위해서(글자와 같은), 사용자는 키를 누르는 동작과 같은 키와의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하고 그리고 키에 제공된 문자들 사이에서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기호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것인데 (문자의 호칭을 말하는 것과 같은) 여기에서는 사용자의 음성과 그리고/또는 사용자의 입술 움직임을 바탕으로 이 음성 정보가 탐지되고 분석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음성과 닯은 애매모호한 글자 그리고 그들의 해당 음성을 통해서 서로 구분하기 힘든 기호들은 키가 각각 달리 제공된 것으로써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정확한 글자를 제공하는 데이터입력 시스템은 몇 개의 키를 사용하여 고도의 정확한 데이터/텍스트입력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키누름 단독에 기초한 단어 예측 시스템의 원칙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키누름 단독(예를 들면 T9)에 기초한 단어예측시스템의 원칙은 동업계의 일반 기술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다.
최소한 1개의 글자는 분명하게 입력되고 다른 글자는 애매 모호하게 입력되는 단어예측시스템을 사용하는 텍스트 입력 방법이 알려졌다. WO 2009/027817 (출원인이 가사비안인(Ghassabian)) 는 두개의 키패드를 가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이터입력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첫번째 키패드에는 알파벧 모든 글자가 몇 개의 키들(예를 들면 4개의키)에게 분산적으로 제공되어 있는데 두개 이상의 문자가 이 첫번째 키패드의 상기키들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두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전화기형 키패드)는 또한 그 언어의 알파벧 모든 문자를 포함하며, 글자들중 최소한 두개가 상기 키들의 두번째 키패드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에 제공되어 있는 식으로 분산적으로 그 키들의 최소한 몇 개에 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문자들은 첫번째 키패드의 애매모호한 키와 두번째 키패드의 애매모호한 키가 기껏해야 한개만의 공통문자/글자를 갖도록 그렇게 분산되어 있다. 글자를 명백히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가 애매모호하게 제공된 첫번째 키패드의 키를 누른다. 시스템은 원하지 않는 글자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하는 글자가 또한 애매모호하게 제공된 두번째 키패드의 키를 누른다. 기술된 대로, 키들의 상기 쌍은 기껏해야 이 경우에 원하는 글자인 단 하나의 공통 글자를 가지고 있다. 시스템은 그러므로 상기 원하는 글자를 제공한다.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 키들을 사용/탭을 하며 시스템은 해당 단어를 예측(만약 단어가 사전에 있다면) 하거나 또는 글자들의 사슬(만약 단어가 사전에 없다면)을 예측한다.
수정절차는 시스템은 원하지 않는 단어를 제공(예측)할 때 사용자에 의해서 실시되는데 여기서 첫번째 키패드는 글자입력을 위해서 사용되고 두번째 키패드는 예측된 단어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애매모호한 글자를 하나 (또는 그이상)의 정확한 글자(잘못 예측된 글자들의 세트를 수정하기 위하여) 로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다
두 개의 키패드의 키누름을 사용함으로서, 데이터입력 시스템은 그렇게 하여 분명하게 선택된 두 개의 키들에 있어 단 하나의 공통된 글자로서 명백한 글자 식별을 제공한다. 위 기술된 대로의 애매모호한 글자와 분명한 글자를 고려하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다른 단어를 선보인다.
키 누름 정보에 기초한 단어 예측 시스템은 적어도 각 단어에 해당하는 키누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어 사전을 사용하는 것이다.
데이터는 키누름에 더한 추가의 키누름이나 다른 수단을 통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키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해 또는 복제하기 위해 탓치 민감스크린에 미끄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폰, 퍼스널 디지털 장치들 및 소형 컴퓨터 같은 모바일 장치들에게 있어서 데이타를 쉽고 빠르게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애매모호한 그리고/또는 분명한 글자를 입력받는 단어 예측 데이타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문자, 숫자 그리고 어떤 특수문자, 명령어, 그리고 키보드 상에 가능한 기능을 빨리 그리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 컴퓨터 키보드의 기능들을 모방하거나 복제하도록 디자인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입력신호의 첫번째 세트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두 번째/추가의 입력신호의 다른 세트를 사용한다. 데이터입력에 해당하는 주 정보(예를 들면 텍스트 입력)가 입력신호의 첫번째 세트를 통해서 제공된다. 만약 첫번째 입력신호를 통해 제공된 입력에 기초한 시스템에 의한 제공된 출력이 정확하지 않거나 원하는 것이 아니면, 입력신호의 두번째 세트가 시스템에 의해 정확한 또는 원하는 출력을 위해 제공되는데 시스템은 첫번째 세트 그리고 두번째 세트를 통해서 제공된 입력을 정확한 또는 원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신호의 첫번째 세트는 입력신호의 두번째 세트보다 적은 신호로 이루어져 있다.
비록 이 특허출원을 통해서는 키 같은 보통의 수단 그리고 키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누름 동작 그리고/또는 미끄럼동작과 같은 소통작용이 상기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형태의 수단 또는 소통작용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 방법, 또는 그 외 형태들과 함께 상기 입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종업계의 일반 기술자에 의하여 사용될 수 도 있을 것이다.
키들의 첫번째 세트와 두번째 세트는 적어도 라틴 알파벧 그리고/또는 이해 관계있는 이를 테면 아랍어,히브리어, 한글 등등 의 다른 알파벧 또는 최소한 이들 알파벧의 부위들을 지원할 것이다. 더욱이 키의 첫번째 그리고 두번째 세트는 숫자, 구두점(punctuation marks) 그리고/또는 키보드 상에 나타난 통상적인 다른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중국어 나 또는일본어와 같은 발음기호/알파벧에 기초한 언어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주 사용되지 않은 몇가지 기호가 명백한 키스트로크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상태 선택키(예를 들면 쉬프트버튼)과 함께 한 첫번째 또는 두번째 세트의 키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명백한 키스트크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들은 추가로 예들 들면 미리 정해진 지속보다도 더 길게 눌려질 때와 같은 상태 선택키들 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기호의 수는 알파벧숫자 글자, 구두점, 명령어들, 그리고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편집하는 기능 또는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과 같은 실질적으로 모든 요소의 기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매크로 또는 단어의 위치(예를 들면 이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다른 특허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와 같은 다른 기호들은 감소된 수의 키들에게 분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요소 즉, (1) 다수의 다른 첫번째 사용자 입력신호를 식별하기 위해서 장착된 첫번째 입력 인터페이스 (2) 다수의 두번째 사용자 입력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장착된 두번째 입력인터페이스 (3) 첫번째 입력신호의 최소한 한 개의 각각을 첫번째 다수의 기호들과 애매모호하게 일치토록 하고 또한 두번째 입력신호의 최소한 한 개의 각각의 작동을 두번째 다수의 기호와 애매모호하게 일치토록 형성한 프로세서 로 이루어진 컴퓨터화된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두번째 기호들이 다수의 첫번째 입력신호에 해당되도록 두번째 다수의 기호 각각을 첫번째 입력신호들의 하나에 연관시킨다.
방금 기술한 원리에 기초한 키들의 첫번째 세트와 두번째 세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은 "개선된 데이터 입력시스템" 이라는 제하의 PCT 출원 WO09/027817 과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PCT 출원 043BG and YS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데, 그 기술은 참고자료로서 본 발명에 통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들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에다가 몇 가지 기능을 더 추가한 것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서의 한가지 형태는 적어도 잘 알려진 12키 전화패드에서, 각 키의 위치를 가리키는 미끄럼동작(예를 들면 벡터)의 형태로 12키 전화키패드의 키들의 사용자 선택을 받아들이는 데이터 입력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벡터들은 만약 그 시작점이 전화기 키패드의 중간 5버튼에 있다면 그 벡터점에 대해 키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유닛은 벡터를 사용하는 잘 알려진 전화키패드의 5 또는 최소한 7개의 가르킴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다른 키들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제공되어 있거나 또는 데이터 유닛는 이들 다른 키들의 가르킴을 수납하지 않도록 장칙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인 실시예서의 한가지 형태는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기 위하여 미끄럼/테이핑동작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이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서, 벡터는 데이터입력단위의 탓치스크린과 같은 탓치인식 표면 위에 미끄럼제스처(예를 들면 스와이핑)의 형식으로 받는다.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서 , 벡터는 벡터방향으로 두개의 키의 순서를 누르는 형태로 받는다. 선택적으로 벡터는 그들의 방향에 기초해서만 12개 키의 전화번호 키패드의 키들과 관련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벡터의 길이와 그리고 또는 속도는 또한 고려된다. 벡터는 선택적으로 탓치스크위에서의 그들의 시작점과 관계없이 키들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 가지 형태는 선택수단과 그리고 그 글자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단어(예를 들면 현재의)의 글자들 안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케하는 표시자와 관련되어 있으며 여기서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다음 입력정보를 상기 글자 위치와 관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 가지 형태는 첫번째 키패드의 미리 정해진 키에 바람직하게는 짧은 태핑동작이 아닌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첫번째 키패드의 원하는 애매모호한 글자 키 위에 누름동작을 제공함으로서 단어 입력동안 글자의 위치에 있는 글자를 대문자로 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는데 그렇게 하여 대문자로 상기 글자 위치에 해당글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하나의 하나의 형태는 시스템을 창작하는 것과 방법에 관련된 것인데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미끄럼 동작과 태핑동작을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 이나 혹은 컴퓨터 마우스 기능에 관련시킨다.
예를 들면, 단어입력동안에 제공된 미끄럼/태핑동작은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으며 단어입력동안에 제공되지 아니한 미끄럼/태핑동작은 해당 마우스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가지 형태는 특수기호, 기능, 명령어등과 같은 기호들을 집단화 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는데, 몇 개의 집단에서 각 집단은 한 개 또는 두개의 미리정해진 공통적특성을 가지고 있다.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이 아닌 다른 키들 바람직하게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단순한 태핑동작이 아닌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긴 누름동작(예를 들면 누름유지)인 상기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은 해당 키에 최소한 미리정해진 시간동안 실시된다. 그러한 미리정해진 동작이 해당키에 제공되면 시스템은 해당 모드 인스턴스에 진입하고 상기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중 하나에 해당 집단의 글자들의 각각을 관련시킨다. 선택적으로 두번째 키패드의 키위에 동시적으로 또는 그 즉시 누름동작을 제공하여 상기 키의 기호를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가지 형태는 애매모호한 글자 위치 각각에 관련된 글자들 모두를 보여 주는 것에 관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각 글자 위치의 문자들을 위해 "글자컬럼" 에 보여진다. 선택적으로 글자 컬럼들은 백스페이스 키가 눌려졌을 때 보여지고 첫번째 키패드의 글자키가 눌려졌을 때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가지 형태는 언어의 알파벧과 숫자기호 및 글자의 어떠한 형태도 다 포함하는 단어(예를 들면, 공식적인, URL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스링 등등 ) 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특수기호를 애매모호하게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에 관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시스템은 적어도 첫번째 키패드 단독으로 제공된 키누름에 기초한 원하는 단어를 시스템이 예측하지 아니한 경우에 수정절차를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른 두 번째 키패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가지 형태는 데이터 입력 단위와 관련된 것인데 이것은 글자의 단어 또는 사슬 내에 최소한 몇 개의 글자 위치를 위해 다수의 글자와 애매모호하게 연관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받고 그들 글자의 위치들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글자를 추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한 개의 글자를 보여준다.
데이터 입력단위는 단일글자와 연관된 글자위치를 대표하는 글자들을 보여주는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다수의 글자와 연관된 글자위치들을 대표하는 글자들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서, 단일 글자 위치의 글자들은 다글자 글자 위치의 글자들과는 다른 폰트,색깔 크기로 보여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수 문자 글자 위치를 대표하는 글자들이 글자의 위에 또는 아래에 표시와 함께 보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에서, 표시는 글자위치는 연관되어 있는 다른 문자들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상의 어느 곳의글자 위치의 글자들 보다도 큰 폰트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의 한가지 형태는 데이터 입력방법에 관련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는 제스처의 폭에 반응하는 다른 기능의 결과를 가져다 준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입력단위는 스타일러스에 의해 제공된 스와이핑 제스처사이와 한 개의 손가락에 의해 제공된 제스처 또는 다른 손가락들에 의해 제공된 제스처를 구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서의 한가지 형태는 탓치민감표면(예를 들면, 패드 스크린)과 같은 전자창치의 데이터입력단위와 관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스크린의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유사한 움직임을 다르게 관련시킨다. 선택적으로 이 단위는 탓치민감표면을 통하기보다는 상기 하드키를 통해 텍스트의 주요부위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와 관련된 몇 개의 하드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는 스크린은 기껏해여 여섯개의 지역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에서의 한가지 형태는 주로 컴퓨팅 장치인 전자장치를 위해 키보드로서 사용되는 감소된 크기의 데이타입력단위에 관한 것이다. 이 단위는 기술된 대로 키들의 첫번 째 및 두번째 세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그 단위는 다른 미끄럼 동작을 통해서 두번째 키 세트를 대체하는 최소한 한 개의 탓치민감표면(예를 들면, 패드,스크린)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탓치민감 표면은 키들의 첫번째 세트의 사용을 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그렇게 하여 상기 키들의 첫번째 세트를 대체한다. 단위는 데이터입력시스템과 사용되는 저전력프로세서인 그 자신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다.
단위는 데이터입력시스템과 주로 사용되는 감소된 크기의 것인 그 자신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단위는 사용자 검토를 위한 텍스트를 인쇄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그 자신의 디스플레이단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위는 유선또는 무선을 통해 해당 전자장치와 교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에서의 한가지 형태는 착탈식 키패드와 관련되어 있는데 이 키패드는 알파벧 모든 글자에 해당하는 키들을 포함하고있으며, 글자들이 최소한 두개의 착탈 단위들 사이에서 분리되어 있을 때 동작된다. 선택적으로 키패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서 해당 전자장치와 교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들에서의 한가지 형태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에 관련된 것인데 단어의 입력동안 시스템은 글자들 다수와 애매모호하게 연관된 단어의 첫째 글자위치와 연관된 문자/글자를 위한 소프트키들을 보여준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글자들중 하나를 선택한 후에 시스템은 글자들의 다수와 애매모호하게 연관된 단어의 다음 글자 위치를 위한 소프트키를 보여준다.
휴대폰, 퍼스널 디지털 장치들 및 소형 컴퓨터 같은 모바일 장치들에게 있어서 데이타를 쉽고 빠르게 입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한목적이 아닌 실시예는 도면과 함께 그 아래 구체적실시예들이 대한 기술과 함께 기술될 것이다. 하나의 도면을 넘는 두개 이상의 동일한 동일한 구조, 요소,부분은 그들이 나타나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또는 유사한 번호가 붙여졌다.
도1은 첫번째 및 두번째 키패드의 형태와 단어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및 그러한 형태를 사용하는 장치를 도시하고있다.
도1A-1F는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 인스턴스에서의 기호들의 다른 집단을 도해식으로 나타난 것이다.
도2-2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손가락과 다수개 손가락의 소통작용을 도식화한것이다.
도 3A-3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짧고 긴 미끄럼동작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4A-4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짧고 긴 미끄럼동작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5A-5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짧고 긴 미끄럼동작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상의 기호들의 다른 집단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7A-7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위한 미끄럼동작의 각 다른 방향들과 지역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8A-8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한 미끄럼동작의 각 다른 방향들과 지역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한 미끄럼동작과 장치의 스크린상에 현시되는 두번째 키패드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0A-10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한 미끄럼동작의 각 다른 방향들과 지역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1A-11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단위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2A-12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단위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3A-13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상의 도움형상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4A-14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상의 도움형상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5A-15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부위들로 분리된 탓치민감 표면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6A-16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수 미끄럼동작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7A-17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8A-18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를 위해서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9A-19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0A-20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1A-21E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문자 또는 그이탈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2A-22G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그의 문자들의 몇 개가 이탈을 가지는 그러한 언어에서 몇 개의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문자와 그 이탈의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문자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5A-25G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문자들을 가지는 단어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6A-26E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문자와 그 이탈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7A-27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단어들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매치검색 인터페이스에서 항목을 선택하고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매치검색 인터페이스에서 항목을 선택하고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30A-30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배우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1은 첫번째 및 두번째 키패드의 형태와 단어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및 그러한 형태를 사용하는 장치를 도시하고있다.
도1A-1F는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 인스턴스에서의 기호들의 다른 집단을 도해식으로 나타난 것이다.
도2-2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손가락과 다수개 손가락의 소통작용을 도식화한것이다.
도 3A-3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짧고 긴 미끄럼동작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4A-4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짧고 긴 미끄럼동작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5A-5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짧고 긴 미끄럼동작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상의 기호들의 다른 집단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7A-7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위한 미끄럼동작의 각 다른 방향들과 지역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8A-8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한 미끄럼동작의 각 다른 방향들과 지역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한 미끄럼동작과 장치의 스크린상에 현시되는 두번째 키패드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0A-10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기 위한 미끄럼동작의 각 다른 방향들과 지역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1A-11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단위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2A-12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단위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3A-13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상의 도움형상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4A-14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상의 도움형상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5A-15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부위들로 분리된 탓치민감 표면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6A-16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다수 미끄럼동작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7A-17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8A-18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를 위해서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9A-19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0A-20D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보다 많은 키들에 대한 누름 동작의 조합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1A-21E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문자 또는 그이탈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2A-22G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그의 문자들의 몇 개가 이탈을 가지는 그러한 언어에서 몇 개의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문자와 그 이탈의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문자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5A-25G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문자들을 가지는 단어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6A-26E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문자와 그 이탈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7A-27C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단어들의 입력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매치검색 인터페이스에서 항목을 선택하고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매치검색 인터페이스에서 항목을 선택하고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30A-30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모범 적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배우는 것을 도식화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몇 개 키들의 첫번째 세트 (예를 들면 첫번째 키패드)를 통한 제공된 입력신호의 첫번째세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최소한 한개의 언어(또는 그보다 많이)의 글자에서 상기 몇 개의 키들의 각각에 상기 1개 이상의 글자들이 애매모호하게 제공 되는 방법으로 분산적으로 그리고 애매모호하게 상기 키들의 최소한 몇 개(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4개)에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예를 들면 첫번째 입력정보)의 글자에 해당하는 키를 누를 때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의해 상기 키누름(예를 들면 상기 첫번째 입력 정보) 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가 선보이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첫번째 선택에 원하는 단어가 선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예를 들면 원하는 단어가 동 키누름에 해당하는 단어들 사이에서 높은 우선권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면 시스템은 다른 단어(예를 들면 높은 우선권을 갖는 원하지않는 단어)를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이해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전화기형 키패드 키들과 같은 키들의 두번째 세트(예를 들면 두번째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되는 입력신호의 두번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여기서 최소한 한개의 언어(또는 그보다 많이)의 글자가 상기 몇 개의 키들의 각각에 상기 글자들의 1개 이상이 애매모호하게 제공되는 방법으로 분산적으로 그리고 애매모호하게 상기키들의 최소한 몇 개(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4개)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키들의 상기 첫번째 세트의 상기 몇 개의 키들(예를 들면 네개의 애매모호한)위의 문자와 상기 키들의 추가/두번째세트 (예를 들면 전화기형 키패드) 위의 문자가 상기 첫번째 키패드의 애매모호한(글자) 키들의 키와 상기 두번째 키패드의 상기 애매모호한(글자) 키(어떤 키든지 간에) 들의 키는 기껏해야 한 개의 공통된 글자(예를 들면 문자)를 가지도록 그렇게 분산되어 있다.
그러므로 특정글자/문자 또는 단어 내(예들 들면 단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글자를 가지고 있다) 특정 글자위치를 위해 키들의 첫번째세트의 키와 키들의 두번째 세트의 키를 누름으로서, 사용자는 특정글자/문자(예를 들면 공통의 글자/문자)를 명확하게 가리킬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분명한 글자/문자를 입력하기위하여, 사용자는 우선 상기 글자/문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를 누른다음 다음으로 상기 원하는 문자/글자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를 누르거나 또는 그역으로 누른다. 상기 키누름과 두키들에게 한 개의 공통적인 문자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명확하게 원하는 (예를 들면 공통)글자/문자를 선택/입력 시킨다.
두 키들의 키 누름을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은 애매모호하게 그렇게 선택된 두 키에 단 하나이면서 공통적인 글자가 있다는 것으로서 분명한 글자 식별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그 자체로서 효용성이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바의 시스템은 단어 예측시스템에 기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도 역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경우 애매모호한 키 선택은 사용자의 의사를 예측하거나 확정하기 위해서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비교된다. 그러한 단어 예측시스템의 원리는 동종기술에 종사하는 일반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실시예로서,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하여 한가지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우선 원하는 단어의 글자들에 해당하는 첫 번째 키패드의 키들(애매모호한) 을 누름으로서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첫 번째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의 단어를 선보인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선보인 단어는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 중에서도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단어이다.
만약 선보인 단어가 원하는 단어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글자들의 하나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 즉, 궁극적으로는 원하는 단어의 첫번째 글자를 누름으로서 본 발명에서 수정절차라고 언급되는 추가의 입력정보 제공을 진행하게된다. 글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및 두번째 키패드의 키누름을 관계시킴으로서, 양 선택된 키들에게 하나의 공통글자가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글자는 명백하게 그리고 애매모호하지 않게 선택되고 시스템은 글자를 명확하게 인식한다.
조합된 입력정보를 고려함으로서, 시스템은 조합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부터의 다른 단어를 선보인다. 만약 시스템에 의해 선보인 새로운 단어가 원하는 단어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다른 글자, 즉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단어의 다음 글자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 또는 그밖에 글자들에 해당하는 키 패드의 키를 누름으로서 시스템이 원하는 단어를 선보일 때까지 추가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위에서 기술된 대로 원하는 단어의 최소한 한 개의 글자를 명확하게 입력시키고 그런 다음 추가로 원하는 단어의 남아있는 글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키패드의 애매모호한 키들을 누른다. 그 단어의 최소한 한 글자를 명백하게 인지하고 또 그 단어의 남아 있는 다른 글자에 해당하는 애매모호한 키 누름을 고려함으로서, 시스템은 정확하게 원하는 단어를 예측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선보일 수 있다. 만약 선보인 단어가 원하는 단어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시스템이 원하는 단어를 예측/선보일때까지, 원하는 단어의 추가 글자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 위에 추가의 누름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원하는 단어가 사전에 없다면 그때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첫번째 입력정보에 더하여 사용자는 그 원하는 단어의 글자 모든 것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를 누른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두번째 키패드(8글자 키를 가지고 있는 전화기 형 키패드)보다 더 적은 키를 가지고 있다(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4개의 글자키들). 이는 왜나하면 텍스트의 주부위는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할 필요없이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확실히, 적은 키를 가지고 사용한다는 것은 보다 쉽고 보다 빠르게 텍스트를 입력할수 있게 한다.
앞서 기술된 대로의 데이터 입력시스템과 그 수정은 매우 빠르고 쉬운 시스템이다. 간단히 말해서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원하는 단어를 타이핑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옳은(예를 들면 원하는) 단어를 선보인다. 만약 아니라면 사용자는 두번째 패드를 사용하여 그 단어를 다시 타이핑하기 시작한다. 만약 단어가 사전에 있다면, 대부분의 시간, 시스템은 두번째 키패드를 통해 단어를 입력하는 매순간 단어를 선보인다.
만약 단어가 사전에 없다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단어의 모든 글자를 재 타이핑한다. 그러한 단어 예측 데이터/텍스트입력시스템으로서, 사용자는 단어가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있던 없던지에 대해 염려하기 않아도 된다. 그는 첫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시스템은 단어완성방법도 포함할것이다) 를 타이핑/사용하는 동안 또는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하여 재타이핑하는 절차동안 시스템이 원하는 단어를 선보일꺼라는 것을 알고 있다.
위에 기술한 구체적실시예는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실시예로서, 위에서 기술한 대로 형성한 모범적인 예시의 첫번째 키패드(1000)을 보여주고 있는 데 키들 1001 -1004의 4개에 영어의 모든 글자들의 모두가 분산되어 제공되어 있다. 키패드(1000)은 또는 각각 스페이스 글자와 백스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두개 키들 (1006,1005)을 포함하고 있다.
도1은 또한 본 발명의 모범적인 두번째 키패드(1010) 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전화기 형 키패드로서 여기에는 영어의 글자들 모두가 분산 되어 8개의 키들에게 제공되어 있다.
실시예로서, “day”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단어들의 데이터베이스(1009)의 부위를 고려하여 사용자는 애매모호한 키들(1004,1002,1003)를 누를 것이다. 시스템은 “was” 라는 단어를 예측하고 선보일 것인데 이 단어는 상기 키누름에 해당하고 또한 상기 키누름 동작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단어들 중에서 최상의 우선 순위을 가지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절차를 진행시킬 것이며 원하는 단어의 첫번째 글자(예를 들면 “d”)가 제공된 두번째 키패드(1010)의 키(1013)을 누르게 된다. 첫번째 키패드(1000)의 키(1001)위에 그리고 두번째 키패드(1010)의 키(1013) 위에 제공된 그 원하는 단어의 첫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키누름 동작을 고려함으로서, 시스템은 상기 키들의 단 하나의 공통글자(예를 들면 “d”)가 원하는 글자의 첫번째 글자라는 것을 이해한다. 상기 글자와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원하는 남아있는 글자에 해당하는 키누름 정보를 고려하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조합정보에 해당하며 상기 조합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 단어 중에서 가장 우선순위에 있는 단어 “day”를 선보이게 된다.
위에서 기재된 대로,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은 특히 탓치민감표면 또는 공기중에서의 미끄럼 또는 스와이핑 동작에 의해서 복제되거나 모방 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과 관련된 장치가 탓치 민감 표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가 상상할 수 있는 전화기형 키패드 모델이라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면 위의 어떤 위치에서의 태핑동작은 일반적으로 JKL5 글자들이 제공된 상기 키패드의 중앙키들 위에서의 태핑동작을 복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키패드의 다른 키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탓치 민감에 미끄럼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미끄럼동작은 상상의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키들로 부터 이탈하여 상기 키패드의 원하는 키들로 행하게 하는 미끄럼동작을 복제한다.
실시예로서, 도1은 탓치스크린(1038)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103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장치는 두개의 부위로 나뉘어진 첫번째 키패드를 포함/ 사용하는데 여기서 첫번째 부위는 키들 (1001,1003,1005)을 복제한 키들 (1031,1033,1035)를 포함하고 있으며 두번째 부위는 상기 키패드(1000)의 키들 (1002,1004,1006)을 복제한키들 (1032,1034,1036)을 포함하고 있다. 장치(1030)는 또한 상상의 키패드모델 (1010)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전화기형 키패드의 형태이며 두 번째 키패드로서 사용된다. 단어 “day”를 입력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장치의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 키들을 누른 후에, 시스템은 “was”를 선보이게 될 것이다. 상상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1013) 위에의 누름 동작을 복제/모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상의 키패드모델(1010)의 중앙 글자키(1015)를 떠나 원하는 키(1013)쪽으로 가는 미끄럼동작을 복제하는 미끄럼 동작(1037)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상의 키패드모델의 키(1013)와 소통작용을 한다고 인식하고 위에서 자세히 기술된 원리에 의거하여 단어 ”day”를 선보이게 된다..
또한 추가의 실시예로서, 미끄럼동작(1038)은 상상의 미끄럼 동작(1022)를 복제하는데 이것은 상상의 키패드모델(1010)의 키들(1019)과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한다.
PC 키보드에서의 또는 커스터마이징된 특수문자, 명령어 또는 기능 같은 기호들은 그들의 특성에 따라서 각기 다른 범주로 집단화(예들 들면, 숫자 0-9, 구둣점들, 수학기호, PC명령어 등등) 될 수 있다. 각 집단은 글자와 같은 분명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최소한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과 함께 사용하는미리 정해놓은 소통작용 형태 (예를 들면 짧고,부드러운, 태핑/누름동작) 가 아닌 미리 정해놓은 다른 소통작용형태(예를 들면, 길고,두번,강한,누름동작)의 를 제공함으로서 각 집단이 서로 다른 모드 인스턴스에 들도록 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이 해당모드로 들어간 후에 시스템은 스크린상에 예를 들면 전화기 형의 키보드 형태로 스크린상 키보드의 키들중 하나에 해당 기호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스크린에 보여지는 원하는 키에 해당하는 누름동작을 또는 미끄럼 동작을 제공한다. 도시된 도1A-도1F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모드 키들을 상세히 나타내고있다.
도 1A는 실시예로서 도1 에서 나타난 첫번째 키패드(1000)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입력시스템과 사용하는 특정 심벌은 여섯개의 범주로 집단화 되어 있는데 각각 “텍스트(TEXT)” (예를 들면 대부분 구둣점 마크문자), 숫자(NUMB)(예를 들면 대부분 0-9 숫자), 연산기호(ARITH)(예를 들면 대부분 연산기호), 희소문자(RARE)(예를 들면 대부분 다른 그리고/또는 드문 문자), 기능(FUNC)(예를 들면 대부분 PC 그리고/또는 커스터마이징 기능)그리고 F1-F12” 들이다. 상기 집단의 각각은 첫번째 키패드(1000)의 키들 1001-1006)의 하나에 제공되어 있다. 각집단의 명칭은 해당키에 인쇄되어 있다.
실시예로서, 만약 사용자가 텍스트(TEXT) 집단에 속하는 구둣점 마크 글자 “?”를 입력하려고 한다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1001)을 누르고 그대로 정해진 시간 지남 동안 누름을 유지하여 시스템을 상기 집단에 해당하는 모드 인스턴스에에 진입토록 한다. 시스템은 스크린 위에 키패드(1100)(예를 들면 전화기형)의 키들 중 하나 위에 상기 집단의 각 문자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기호 “?”는 키 (1108) 위에 표시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기호 “?”를 입력하기 위해서 만약 스크린이 탓치민감이라면, 사용자는 키 (1108)을 누르거나 또는 상기 키 소통작용을 복제하기 위하여 미끄럼 동작 같은 다른 소통작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스크린이 탓치민감이 아니라면 그리고 장치가 두번째 키패드로서 물리적인 전화기형 키패드를 사용한다면,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물리적 키패드의 해당키를 누를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기호 “_”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키(1000)를 누르고(예를 들면 누름을 유지하고) 그리고 그런다음 스크린이 탓치민감이면 키 (1101)을 누르면 된다.
도1B에서 도1F 까지는 기호의 5개 집단을 나타내고 있는데 각각 키들 1002 부터 1006까지의 키에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학기호 “=”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1000)의 수학연산(ARITH)모드에 해당하는 키(1003)을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면 예를 들면 시스템이 상기 두번째 키패드의 수학연산기호 집단의 기호들의 위치를 보여주는 제1C도에 나타난 두번째 키패드(1300)을 보여준 후에, 사용자는 그의 원하는 특수분자 “=”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키(1309)와 소통작용을 행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방법은 키 소통작용 그리고 키 소통작용을 복제하고 모방하는 미끄럼 또는 스와이핑 동작/절차와 같은 다른 입력장치 소통작용을 통해서 글자, 숫자, 기능 등등 과 같은 기호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 시스템의 키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것과 관련된 미끄럼 (예를 들면 스와이핑(swiping) ) 동작/절차는 시스템이 쉽게 그들을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마우스 소통작용과 관련된 미끄럼 동작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도록 그렇게 정의되어야 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탓치민감 표면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데 탓치민감표면은 최소한 두개의 지역으로 나뉘어지고 그리고 첫번째 지역에서의 미끄럼동작과 같은 소통작용은 데이터입력시스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는 것을 복제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이며 두번째 지역에서의 미끄럼동작 같은 소통작용은 마우스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것에 해당하도록 되어 있다.
도2 에서는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도2 에서 하나의 장치에 해당하는 탓치민감 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 표면 (275000)은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가능한한 가상적으로) 하나의 지역(275002)는 특정키패드(예를 들면 시스템에서의 수정절차를 위한 두번째 키패드로서 사용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의 배열과 소통작용하는데 쓰여지고 있고 다른 지역(275001)은 마우스 소통작용(또는 그밖의 것)으로 또는 그 반대로 쓰여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역 (275002)에서 미끄럼 동작 (275012) (위에서 아래로)을 제공하는 것은 숫자(8) (예들 들면 그리고 문자 “tuv”) 을 포함하고 대표하는 전화기형 키패드의 키들과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지역 (275001)에서 미끄럼동작(275011) (위에서 아래로)을 제공하는 것은 마우스의 지시기호(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화살표 형태의)를 움직이는 것에 해당한다.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275002)에서의 태핑동작은 숫자 5를 포함하는 전화기 키패드의 키와 소통작용하는 것을 해당하며 지역 (275002)에서의 태핑동작을 제공하는 것은 PC 마우스의 예를 들면 왼쪽 클릭과 같은 것을 복제하는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지역에서의 미끄럼 동작의 이탈점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상기 지역에 제공된 모드와 관련시킨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원하는 지역에서 미끄럼동작을 개시하고 다른 모드에 속하는 미리 정해진 다른 지역에서와 같은 상기 지역의 바깥에서 끝을 내게 된다. 이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상기 미끄럼동작이 시작하는 지역에 관련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 동작의 가장 큰 부위가 제공되는 지역(그리고 분명하게 상기 지역이 대표하는 모드로)에 미끄럼 동작을 관련시킨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탓치민감 표면 위에 하나의 손가락으로 하는 미끄럼/ 태핑 동작과 같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전술한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의 키들과 소통작용하는 것을 복제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최소한 두 개의 손가락(다시말해 여러 손가락 소통작용)으로 미끄럼 그리고/또는 태핑동작을 제공하는 것(동시적으로)은 마우스 소통작용이나 또는 그 밖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2A는 장치에 해당하는 탓치민감표면(276000)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면 위에 하나의 손가락으로(어디든 간에) 미끄럼 동작(276001)(예를 들면 위에서 아래로)을 제공하는 것은 하나의 키 예를 들면 전화기형 키패드 예를 들면 숫자8 에 해당하는 (그리고 글자 “tuv”)키 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두 손가락으로 미끄럼동작(276002a 과 276002b)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탓치 민감 표면(276000)에 마우스시스템의 지시아이콘을 움직이는 것(예를 들면 텍스트내 커서를 이동하는 것)에 해당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와 다른 마우스 모방 입력은 미끄럼동작의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수 손가락 소통작용은 두 개의 손가락으로 하는 미끄럼 또는 태핑 또는 한 손가락으로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면서 다른 손가락은 미끄럼동작을 하는 것과 같은 미리 정해진 형태의 것 등이 될 것이다.
몇 개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소통작용이 시작된 후에 사용자는 탓치민감표면(200)으로 부터 손가락들 중의 하나를 제거하고 동작모드를 바꾸지 않으면서 계속 손가락 중에 하나의 손가락만으로 계속 상기 소통작용을 계속할 수있는데 그 전체 소통작용은 다수 개의 손가락 소통작용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 개의 손가락 소통작용은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하며.(예를 들면 본 발명에 참고자료로 통합되어 있는 WO2009/027817에 기술된 수정절차와 같은 수정절차와 함께 사용되는 키패드) 그리고 한 개의 손가락으로 소통작용하는 것은 마우스기능/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에 해당/관련된다.
도2B는 실시예로서 탓치스크린 표면(276100)과 두개의 부위(276107 과 276108)를 가진 본 발명의 나뉘어진 첫번째 키패드를 가진 장치(27611)을 나타내는 데 각각은 도 1A의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1000) 의 부위 (1051 과 1052)의 키들을 복제한 3개의 키를 가지고 있다. 지시 아이콘(276103)은 상기 표면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는 현재의 출원과 WO2009/027817 과 같이 본원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몇 개의 특허출원에 기재된 두개의 키패드시스템에 대한 언급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WO2009/027817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단어 예측시스템은 이 시스템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단어 “test”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1a에서 나타난 본 발명의 모범적인 단어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1008)을 고려함으로서,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키를 누르고, 시스템은 단어”rest”를 선보이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본 발명의 수정절차를 진행할 것이며 글자 “t”가 제공된 본 발명의 가상 두번째 키패드의 키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다수 손가락(예를 들면 동시적으로) 미끄럼동작(276102)(이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손가락으로)을 제공할 것이다. 이때 시스템은 단어”test”(276101)을 선보인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 손가락 미끄럼동작(276102)는 탓치스크린표면위에 제공 되거나 마우스의 그것과 같은 상기 장치에 해당되는/연결된 탓치민감/패드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구체적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손가락으로 하는 태핑동작(예들 들면 동시적으로)은 예를 들면 전화기형키패드의 중앙키(예를 들면 숫자 5를 포함하는 키)와 상호 작용하는 것에 해당한다
몇 개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일/공유된 지역을 가지는 탓치스크린(또는 모든 형태의 탓치민감 표면)과 소통작용 할 수 도 있는데, 여기서 소통작용의 모드는 스크린 상에서의 소통작용위치에 의하기 보다는 손가락 소통작용 형태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장치에 해당하는 마우스의 패드 같은 탓치 민감표면 위에/과 한 개의 손가락으로의 소통작용은 해당 마우스 기능과 관련될 수 있다. 예로서, 도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손가락 하나로 표면 (276100)위에 미끄럼 동작(276202)을 제공한다면, 그러면 시스템은 해당 마우스기능을 제공하여 예를 들면 지시아이콘(276103)을 따라서(예를 들면 미끄럼 동작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것이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면에서 첫째 손가락으로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는 동작과 (동시적으로) 상기 표면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하는 미끄럼 동작과 같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 함께 소통작용을 하는 것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해당 모드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 되어 있다) 에 해당한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는 쉽게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는 익숙한대로 마우스 소통작용을 제공할 수 도 있다.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다른 부위와의 소통작용은 입력의 서로 다른 형태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손가락의 끝과의 소통작용과 손가락 평면 부위와의 소통작용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입력신호/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 끝 부위와 같은 첫번째 부위로 하는 탓치민감 표면 위에서의 미끄럼 동작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소통작용은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에 해당/관련이 되며 상기 손가락의 평면부위 같은 다른 부위로 하는 탓치민간 표면 위에 미끄럼 동작을 제공하는 것 같은 소통작용은 마우기능/소통작용 또는 그 밖의 것을 제공하는 것 (또는 그 반대)에 해당/관련되어 있다. 가능하게는 두개 그리고 한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예를 들면 손가락의 끝 그리고 평면부위가 각각 같은/해당하는 기능을 복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스처들(예를 들면 탓치민감 표면에서의 미끄럼 동작)을 다른 변수에 기초한 해당 원하는 기능/절차(예를 들면 마우스 기능 또는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것) 와 관련시킨다.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동작의 속도는 하나의 입력을 다른 입력과 구분되게 한다. 예를 들면 두번째 키패드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전체 미끄럼동작을 재빨리 제공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최소한 미끄럼 동작의 한 개의 부위가 빨리 제공되는 데 여기서 마우스기능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전체 미끄럼동작을 천천히 제공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미끄럼 동작의 하나의 부위가 천천히 제공된다(통상적으로 실제생활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마우스 이동은 천천히 끝난다).
이 들 원칙들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사용자의 미끄럼동작을 분석하고 그것을 해당기능에 관련시킨다. 예를 들면, 미끄럼동작이 빨리 주어졌으면, 시스템은 그것을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에 관련시키고 만약 그것이 느리게 제공되었다면 시스템은 해당마우스 기능에 관련시킨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사용자가 미끄럼 동작의 주요 부위를 느리게 제공 하였지만 그러나 상기 미끄럼 동작의 마지막 부위를 빠르게 제공하였다면 시스템은 전체 미끄럼 동작이 빠르게 제공 된 것으로 생각하여 상기 미끄럼 동작을 그 두번째 키패드와 소통작용하는 것과 같은 해당기능으로 관련시킬 것이며 마우스 소통 작용으로 관련짓지 않을 것이다. 이 구체적 실시예에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더욱 친숙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느린 제스처(예를 들면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동안 시스템은 상기 제스처가 마우스 기능에 해당하는 것 같이 할 것이며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상기 몸짓의 마지막 부위를 빠르게 제공했다면 시스템은 전체 제스처를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련 시킬 것이며 그 때(다시 말해 상기 느린 제스처동안 제공된)까지의 해당 마우스기능을 삭제할 것이다.
몇 가지 구체적 실시예 들에 따르면, 손가락 탭은 특별하게 위치되어 있는 키와 연관되어 있다. 여기서 손가락 탭의 속도는 모드 사이에서 구분된다. 예를 들면, 탓치민감표면 위에서 빠른 태핑동작 (예를 들면 표면과 소통작용하는 시간의 미리 규정된 짧은 양과 적거나 같은)은 숫자 5와 그리고 문자 “jkl”이 제공된 두번째 키패드의 미리 정해진 키와 소통작용 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으며 그리고 더욱 긴 탓치민감표면 위에서의 태핑/누름 동작은 마우스 소통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탓치민감 표면과의 소통작용의 첫번째 미리 정해진 좀 더 긴 시간과의 태핑/누름 동작 (예를 들면 소통작용의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 동안 보다 길고 소통작용의 미리 정해진 좀 더 긴 시간보다 짧은)은 마우스 왼쪽 클릭과 관계되어 있으며, 상기 탓치민감 표면 위 한 점에서의 가장 긴 시간 동안(예를 들면, 상기 다른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 시간보다도 더 긴) 누름 및 누름 유지 동작은 마우스 오른쪽 클릭 등과 관계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느린 제스처/미끄럼 동작은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에 관련되어 있으며, 더 빠른 제스처는 마우스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탓치 민감 표면 위에서의 두개의 다른 압력 수준을 제공하는 것은 두 개의 다른 절차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탓치민감표면 위에서의 강하게 눌러서 한 미끄럼 동작 같은 제스처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 하는 것에 해당하며, 탓치민감 표면 위에서 살짝 눌러서 하는 미끄럼 동작과 같은 제스처를 제공하는 것은 마우스 소통작용에 해당(또는 그 반대)한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탓치민감표면 위에서 강하게 눌러서 하는 태핑/제스처 같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을 하는 것 같은 첫번째 모드에 해당하며, 탓치민감 표면에서 살짝 눌러서 하는 태핑/제스처 와 같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마우스 소통작용(또는 그 반대)과 같은 두번째 모드에 해당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탓치민감 표면에서의 미끄럼동작의 시작 부위 같은 미리 정해진 부위의 누름의 정도/수준은 전체 상기 미끄럼동작과 관련된 모드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가 탓치민감 표면의 점을 강하게 누르고 상기 표면위에 미끄럼 동작을 부드럽게 제공함으로서 상기 표면위에 소통작용(예를 들면 그의 손가락을 제거하지 않고)을 계속한다면, 상기 전체 미끄럼 동작은 상기 표면위에 강한 미끄럼 동작으로 생각 될 것이며 해당 모드에 관계 될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시스템이 해당모드에 들어간다면, 동일/유사한 방법이 텍스트에서의 네가지 방향에 커서를 항해하는 것과 같은 PC 키보드의 화살표기능을 복제하는 데에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몇 가지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첫째지역은 두번째 키패드의 키 소통작용을 복제하는데 쓰여질 것이며 두번째 지역은 PC키보드의 화살표기능을 복제하는데 쓰여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이 예를 들면 모드키를 누름(예를 들면 누름유지)으로서 마우스 모드에 들어간 후에 탓치민감 표면에서의 다른 방향(바람직 하게는 어디 방향으로나)으로의 미끄럼동작은 해당 마우스기능(예를 들면 데스크 위에서와 같은 표면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서 장치의 스크린 위에 지시아이콘을 항해시키는 것과 같은)을 복제할 것이다
도 3A는 실시예로서 지시아이콘(277001)이 상기 스크린 위 어디인가 위치하고 있는 장치의 탓치 스크린(277000)을 나타 내고 있다. 예를 들면 , 도3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럼동작(277002)(이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을 제공하는 것은 탓치민감 표면에서 동일/평행 방향으로 지시아이콘(277001)을 움직이는 것에 해당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지시아이콘의 위치와 미끄럼 동작 동안 탓치민감 표면과 소통작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는 동시에 일치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조그만 탓치스크린을 가진 장치에서, 사용자는 그가 만약 그 손가락으로 가리지 않는다면 지시아이콘을 보는 것이 더 쉬울 것이다. 역시 마찬가지로, 미끄럼 궤적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지시아이콘의 궤적의 길이와는 서로 다른 것이다.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궤적의 다른 지점 사이의 도3B에서 도3C를 통해 나타난 지시아이콘의 해당궤적의 관련점 사이의 거리를 거리는 비례적으로 규정하게 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동작의 궤적의 미리 정해진 각 부위를 위하여 시스템은 미끄럼 동작의 방향(평행)으로 스크린위의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지시아이콘을 움직인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모드키를 예를 들면 누름(그리고 누름유지)으로서 적당한 모드, 탓치 민감 표면에서(바람직 하게는 어디에든) 각기 다른 방향 들로의 미끄럼 동작은 해당 화살표기능(예를 들면 PC 키드보의 화살표 키를 사용함으로서 상기표면 위에 인쇄된 텍스트내에서 커서를 항해하는 것과 같은)을 복제한다.
도4A 는 실시예로서 장치의 탓치스크린(278000)을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커서(278100)는 상기 스크린에 인쇄된 텍스트의 끝에 위치 하고 있다. 예들 들어, 도4B에 나타난 대로 탓치스크린(278000)위에 미끄럼동작(278102)(여기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을 제공하는 것은 텍스트 내에서 커서(278100)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바람직 하게는 커서의 위치와 미끄럼 동작 동안 탓치민감 표면에서 소통작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는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미끄럼궤적의 길이는 텍스트내 커서 궤적의 길이와 다를 수도 있다.
몇가지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궤적의 길이는 커서가 텍스트 내 글자들 위에 이동해야 하는 숫자를 (비례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실시예로서 도4B 도4C를 통해 나타난 바 와같이, 미끄럼 동작의 궤적의 각 미리 정해진 부위 (278102,278202) 에는 시스템은 궤적의 방향에 있는 텍스트내에 각 글자(278111,278112) 위의 커서(278100)를 이동시킨다.
방금 기술한 원칙은 도5A에서 도5C에 걸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어내 글자를 선택하는 데에도 적용(예들 들어 시스템이 적당한 모드에 들어간 후에)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정절차를 통해 다른 글자에 의해 그것을 대체 함으로서 단어 내에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는 것은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미 기술되었다. 도5A에서 스크린(279000)위의 텍스트의 문자열의 첫번째 글자(279001)가 선택되었다. 도5B 에서는 궤적(279111)을 가진 미끄럼동작이 다음글자(279102)를 선택한다. 제5C도에서, 더 긴 궤적(279112)를 가진 미끄럼동작은 다음글자(279203)을 선택하고 그리고 등등 을 선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짧은 미끄럼 동작은 첫번째 기호/기능에 해당되며 같은 방향으로의 보다 긴 미끄럼동작은 다른 기호/기능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그 마지막 글자를 가진 영어에서의 단어는 상기 스크린에 인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탓치민감표면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짧은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것은 숫자 4 (그리고 문자 “ghi”)를 포함하는 전화기형 키패드의 키와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하며 반대로 상기 탓치민감표면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긴 미끄럼 동작을 제공하는 것은 예들 들면 단어내 글자들을 선택하는 절차에 해당한다.
한번 미끄럼 동작의 궤적이 시스템에 의해 긴 궤적으로 생각되면, 시스템은 미끄럼 동작의 방향으로 단어내 다른 글자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을 계속하지 않는다면,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끄럼 동작을 끝낼 때까지의 글자 또는 그 밖의 것 내에서 같은 방향으로 다음 글자를 선택한다. 상기 원칙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방향과 같은 다른 방향으로의 미끄럼 동작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확실히, 상기 원칙은 미끄럼 동작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대각선방향으로와 같은 다른 방향으로도 적용된다.
도6A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범적인 기호정렬을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에서 PC 명령어 기호는 명령(“COMMAND”) 모드 인스턴스 동안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 사이에 분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모드에 들어간 후에, 중앙키(281005)에서 네 개의(“화살표”)키 281001 에서 281004의 방향으로 이탈하는 미끄럼 동작과 같은 스크린 어디에서든 제공된 미끄럼 동작은 텍스트내에서 해당 방향으로 스크린 상의 텍스트 커서를 항해하거나 또는 스크린 상에 해당방향으로 스크린상의 지시 아이콘을 이동하는 것 같은 PC 키보드의 해당화살표 키보드의 기능을 복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6B는 “FUNCTION”과 관련된 본 발명의 두 번째 키패드의 키들 사이의 기호/기능 분배를 보여주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상기 모드인스턴스에 진입한 후에 중앙키(281105)로 부터 두개의 키들(“in-word arrow”) (281101 에서 201102) (예를 들면 단어내에 글자 선택에 해당하는)의 어느 방향으로 이탈하는 미끄럼 동작과 같은 스크린 어떤 곳에서의 미끄럼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어내에서 글자를 이동 및 선택하는 것과 같은 해당키의 기능을 복제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글자나 혹은 기능(텍스트내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것 같은)과 같은 기호를 입력하는 절차는 입력동작을 반복함이 없이 반복될 수 있다(키누름 또는 미끄럼과 같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드 키를 누르고 누름 유지하고 그런 다음 반복될 기호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고 누름을 유지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키들 중 하나를 누르는 것을 중지할 때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를 누르는 것을 중지한 후에)까지 기호 입력을 반복한다. 두 번째 키패드에 해당하는 키 누름(예를 들면 그리고 누름유지)동작은 본 출원에서 기술한 해당 미끄럼 동작을 통해서 복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기 위해 미끄럼 동작을 사용한다면 그는 상기 미끄럼 동작을 제공하지만 탓치민감 표면으로 부터 그의 손가락을 떼지는 않을 것이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민감표면으로부터 그의 손가락을 뗄 때 까지 상기 기호를 제공하는 것을 반복한다. 예로써, 왼쪽으로 커서 이동을 반복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해당 모드키(예를 들면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의 키)를 누르고 누름 유지한 다음 탓치민감 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고 커서를 왼쪽(예를 들면 텍스트내에(예를 들면 왼쪽 화살표)) 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한다. 커서는 사용자가 탓치민감 표면으로부터 그 손가락을 뗄 때까지 텍스트내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그것에 해당하는 두 개의 키패드를 가진 장치를 포함하고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치의 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 표면을 탓치할때, 시스템은 역동적으로 상기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이 스크린 위에 탓치되는 점에 해당하도록 스크린상에 두번째 키패드를 보여준다.
이 때,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가 단어를 고치고자 원한다면 그는 그의 손가락이 스크린을 탓치하고 있는 점과 관련해서 그가 수정절차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의 위치를 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제거하지 않고도) 그러므로 사용자는 수정절차에서 미끄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7A는 실시예로서 탓치스크린(282000)을 가진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1 에서 보이는 시스템의 단어들의 실시예 모범적인 데이터베이스의 부위(1009) 그리고 본 발명(1010)의 모범적인 두번째 키패드를 고려하고 또한 모범적인 첫번째 키패드(1000)의 글자키들 (1001-1004)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자가 “day”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사용한다면, 시스템은 시스템의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정보(예를 들면 제공된 키패스)에 해당하는 단어들중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단어 “was”를 선보일 것이다.
사용자는 글자 “d”를 입력함으로서 선보인 단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절차를 실시할 것이다. 그러한 목적에서, 사용자는 두번째 키패드 위에 글자 “d” 의 위치에로 미끄럼 동작을 제공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탓치 스크린(282000)을 탓치할 때, 시스템은 두번째 키패드(282001)를 보여 줄 것이며 선택적으로 위에서 기술된 스크린 상의 위치에 있는 각 키에 해당하는 미끄럼 동작(예를 들면 282005)의 방향을 보여줄 것 이며 그렇게 하여 사용자는 그 손가락을 미끄러트려야 할 (예를 들면 스와이프)방향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해당 미끄럼 동작(7005)을 제공한 후에 시스템은 “day”를 선보이게 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동작을 제공하기 시작할 때 두번째 키패드를 보여주는 것은 선택 사항이다. 스위칭방법이 사용 될 수도 있는데 즉, 수정 절차 동안 예를 들어 키패드를 보여주고 안보여주는 것에 관해서 스위칭할 버튼을 누르는 것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도있다.
다른 기호(예를 들면, 숫자, 구두점기호, 기능,등등)가 본 발명의 모드 인스턴스 동안에 상기 기재한 대로의 미끄럼동작의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두 번째 키패드의 키들의 방향을 보여주는 대신에, 시스템은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키를 대표하는 점으로부터 이탈 되는 미끄럼 동작이 제공 될 수 있는 지역의 한계를 보여줄 수 있다. 도7B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282000)를 보여 주고 있는데 여기서는 여덟 개의 지역(282101-282104)과 (282106-282109) 이 시스템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두번째 키패드(282100)의 중앙(282105)으로 부터 제공된 해당지역 내의 어떠한 미끄럼 동작(예를 들면 282111 과 282112)이 해당 키(예를 들면 각각 282121 과 282122)와 소통작용 하는 것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미끄럼 동작(예를 들면, 282112)이 첫번째 지역(예를 들면 282108)에 제공되어 있고 그러나 인접지역(예를 들면 282109)에 가까이에 있다면, 상기 첫번째 지역내에 제공된 상기 미끄럼동작을 고려하는 것에 추가하여, 시스템은 아마도 에러가 발생 했었을 것이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인접지역 내에 상기 미끄럼 동작을 제공할려고 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대안 단어를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언어규칙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인접지역에서의 미끄럼동작을 포함하는 입력신호에 기초한 단어를 선보일 것이다.
사용자에게 두번째 키패드와의 좀더 친숙한 소통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기호정렬 을 보여주는 다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그들의 몇가지가 다음에 시현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하는 미끄럼 동작을 제공할 때, 해당글자는 보여지고/강조된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정 절차 동안, 선보인 단어 “was”를 원하는 단어 “day”로 바꾸기 위하여, 사용자는 지역(282201)으로 의 필요한 방향으로 미끄럼동작(282202)를 제공할 것이다. 시스템은 스크린에 해당키에 의해 대표되는 글자를 나타낼 것인데 여기서는 다른 글자들 중에서도 선택된 글자(282211)가 강조될 것이다.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탓치민감표면을 탓치할 때, 시스템은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키와 관련된 두번째 키패드의 글자만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정절차동안, 사용자가 장치의 스크린을 탓치할 때 시스템은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 제공된 해당 입력신호와 관련된 글자만을 보여준다. 실시예로서, 도8B는 단어 “was”를 입력하기 위한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 제공된 첫번째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관련된 다른 미끄럼방향/지역에 해당하는 글자를 보여준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미끄럼 동작 동안에 해당글자 만을 보여준다. 도8C는 그러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원하는 단어의 첫번째 글자를 정확히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수정절차 동안, 지역(282411)내에 미끄럼 동작(282401)이 제공되고 그러면 거기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단어 “day”를 선보인다.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미끄럼 동작을 미끄럼동작의 마지막부위(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부위)가 빠르게 제공 될 때만(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속도로서)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관련시킨다. 그러한 방법의 이점들 중 하나는 만약 사용자가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 위 글자의 위치에 대해서 확신을 갖을 수 없는 경우 그는 그가 옳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의 미끄럼동작을 시작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시스템은 해당 글자를 나타낼 것이다. 한편으로는 만약 상기 글자가 원하는 글자라면 사용자는 빠르게 미끄럼 동작의 나머지(예를 들면 마지막부위)를 제공할 것이다. 한편, 만약 상기 글자가 원하는 글자가 아니라면, 그러면 사용자는 탓치민감 표면으로 부터 손을 들어올리고(예를 들면 미끄럼동작을 끝낸다) 그러면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글자와 관련시키지 않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예를 들면 그 끝에서 느리게 제공된)을 해당 마우스절차/기능에 해당시킨다. 사용자가 그것을 정지했지만 그러나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그손가락을 떼지않는동안의 미끄럼동작은 시스템에 의해 끝난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미끄럼동작의 마지막부위는 시간적으로 길다고 여겨지고 따라서 느리다고 생각될 것이라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 구체적 실시예에서 마지막부위의 속도는 미끄럼동작의 목적을 규정하고 있다손치더라도, 명백하게, 미끄럼동작의 다른 부위가 제공되는 스피드는 예를 들면 단어입력동안 또는 앞서 언급한것처럼 상기 미끄럼동작을 미리정해진 기호나 앞서 기술한 마우스기능으로 관련시키기위해 마우스기능을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의 행태에 기초하여 고려된다.
만약 사용자가 틀린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을 제공했다면, 시스템은 해당 틀린글자를 보여줄것이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방법에 따라면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그의 손가락을 들어올리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미끄럼동작을 원하는 지역으로 바꿀수있으며 시스템은 틀린글자를 감추고 새로운 지역에 해당하는 글자를 보여준다. 도8D는 실시예로서 시작때 잘못된 방향/지역(282502)가 제공된 미끄럼동작(282505)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처음에 시스템은 글자 “n”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미끄럼동작이 지역(282501)에서 끝나도록 방향을 바꾼다. 시스템은 글자”n”을 감추고 글자 “d”를 보여준다.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미끄럼동작의 끝지역(28250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일것이라고 생각한다.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설사 미끄럼동작의 마지막부위가 원하는 지역을 벗어나 제공되어 있고 그렇치만 원하는 지역내에 끝점이 있다면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이 원하는 지역내에 제공된 것으로 해당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탓치민감 표면을 탓치했들 때, 시스템은 스크린상의 하나의 위치에 두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도8A-D와 관련해서 기술된 대로)의 정렬을 보여주는 데 스크린위 다른 위치에는 탓치민감표면위에서의 다른 입력(태핑같은) 동작 또는 사용자의 미끄럼 동작에 해당하는 기호를 보여준다.
실시예로서,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장치의 스크린(282700)을 탓치했을 때, 시스템은 첫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선택된 단어내의 글자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통해서 제공된 관련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글자에 상당하는 미끄럼지역(282701)을 스크린 어딘가에 보여준다.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이 실시예에서 원하는 글자 “D”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282702)를 제공했을 때,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손가락가까이 다른 (보이는) 위치(282705)에 상기 글자를 보여준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스크린상의 하나의 위치에 미끄럼지역을 표시하는 대신에,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상기 지역위에 두번째 키패드를 보여줄수도 있다.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더욱 친숙하게 만들기 위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상기 글자(그리고 궁극적으로 해당단어)를 수정하기 위하여 단어의 글자를 선택하는 것에 해당하는 소통작용을 제공할 때,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스크린상(예를 들면 , 바람직하게는 탓치민감표면위의 사용자의 손가락 소통작용점가까이에)의 위치에 상기 단어의 상기 글자를 보여주고 그리고 또는(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쉽게 볼 수있도록 그렇게 상기 글자 또는 상기 단어를 강조해준다.
도10A는 실시예로서 전자장치의 스크린(283000)을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단어”was”는 사용자에의해 제공된 첫번째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서 보여지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첫번째글자(283001)은 강조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단어”was”를 입력하고자 의도한것이라고하기 보다는 사용자는 “day”를 입력하고 자하였다. 사용자는 예상된 단어를 수정하고자 시도하려고 한다.
도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틀린방향으로 미끄럼동작(283101)을 잘못제공(현재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잘못된 미끄럼동작을 글자”u”로 관련시켰다)하였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잘못된 단어“ufo”를 선보이고 선보인 단어의 다음글자(203102)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사용자는 단어를 수정하고자 단어의 첫번째 글자를 선택하기위해 선보인 단어내에 글자선택지시기(283202)를 이동하기 위한 미끄럼동작(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지역 263205로 향해가는)과 같은 수동글자선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스크린상의 사용자의 소통작용지역 가까이에 상기 단어(283204)를 강조하는 방법(예를 들면 칼라나 혹은 큰 글자로) 으로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는 그런다음 다시 상기 글자를 수정하는 것을 진행하게되고 시스템은 다른 단어를 선보인다.
위의 실시예에서, 이 출원에서 앞서 기술했던 것들을 포함한 단어내에서 글자를 선택하는 다른 수단 예를 들면, “in-word” 왼쪽 오른쪽 글자선택수단과 같은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커서를 변형할려는 글자와 관계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후, 전 등등).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워드 프로세서의 표준 선택수단이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단어의 글자(예를 들면 문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될 수 있는데(예들 들면 수동적으로) 그렇게 하여 사용자는 그 글자를 수정할 수 있다(그리고 궁극적으로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른 단어를 선보이게 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글자가 선택되고난뒤,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새로운 입력신호를 제공한다면 그것은 상기 글자에 관계한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이전의 입력신호 대체한다.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상기 새로운 입력신호를 고려함으로써(예를 들면, 그리고 또한 무엇인가 제공되어 있다면 상기 글자에 관계된 본 발명의 두번째 키보드를 통해 제공되는 마지막 입력신호를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글자/문자 바꾸고 그리고 긍궁적으로 해당단어(예를 들면 원하는 단어)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상기 글자에 해당하는 이전 입력신호를 상기 글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키보드를 통해서 역시 제공되는 새로운 입력신호로 대체하기 위하여 만약 단어의 글자가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었다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이전 해당 이전입력신호를 상기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새로운 입력신호로 대체하기 위하여 어떤 선택 수단(예를 들면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은)에 의해 수동적으로 상기 글자를 재선택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상기 새로운 입력신호를 제공한 후에 시스템은 현재의 해당 글자/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계속할 것인데 여기서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앞서 기술한 원칙에 기초하여 현재 단어의 또 다른 (예를 들면 애매모호한) 글자/문자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만약 시스템이 현재의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계속한다면, 그러면 사용자는 두번째 키보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할 것이며 그러면 시스템은 상기 현재의 글자와 관련된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상기 미끄럼동작과 마지막 입력신호를 고려할 것이며 상기 글자/글자를 새로운것으로 바꾸고 시스템으로 하여금 새로운 단어를 선보이게 할 것이다.
만약 시스템이 자동으로 단어의 첫번째 또는 마지막 글자를 선택한다면 그리고 사용자가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제공된 상기 글자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수정하고자 한다면, 실시예로서 각각, “left-in-word”신호를 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첫번째 글자를 재선택하는 것으로 생각될 것이며 “right-in-word”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단어의 상기 마지막 글자를 재선택하는 것으로 생각될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미끄럼동작을 분명하게 할 수 있고 키(예를 들면 두번째 키패드) 와의 소통작용 또는 마우스기능 같은 해당목적에 관련시키는 것의 차이를 분명히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몇가지 미리 정의된 규칙이 고려된다.
예를들어, 앞서 언급했듯이, 마지막 부위가 빠르게 제공된 미끄럼동작은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와의 해당소통작용에 해당하며 끝부위가 느리게 제공된 미끄럼동작은 해당마우스기능에 해당한다. 이것은 왜냐하면 실제생활에서, 마우스기능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은 일반적으로 느리게끝나기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느린 또는 빠른 식으로 짧고 긴 미끄럼동작을 제공할수있고 그들은 느리게 끝낼수있으며 그렇게 하여 시스템을 그들을 해당 마우스기능에 관련시킬수있다.
지금까지는 미끄럼동작의 다른 형태(느리고,빠르고 미끄럼동작의 마지막부위 같은 어떤 미리 정해진 부위를 제공하는 동안 느리게 미끄럼동작의 마지막부위 같은 어떤 미리정해진 부위를 제공하는 동안 빠르게, 등) 를 인식하는 절차와 그들을 해당기호에 관련시키는 것을 텍스트입력 그리고/또는 마우스기능을 위해 사용하는 거 그리고 그들을 부분시키는 방법에 대해 기술을 위해 기술되고 사용되었으나, 확실시 상기 미끄럼 동작은 다른(집단의)기호를 제공하는 것과 서로 그들을 구분시키는 것을 위해서 사용도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장치가 탓치민감표면을 포함/관계하고 있으면, 단어입력동안에 상기 표면에 제공된 태핑/미끄럼동작은 수정절차 그리고 /또는 특수기호의 입력 에 해당할 것이며,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하지 않을때, 상기 표면에 제공된 태핑/미끄럼동작은 해당 마우스 입력/기능에 해당될 것이다.
다른 손가락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의 부위, 손가락모자, 장갑등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네개의 글자 키들과 같은 키들과의 소통작용의 복제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로, 그러한 수단은 표면상 또는 공기중에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다른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상기수단은 탓치민감표면(예를 들면 탓치스크린), 가속도계, 등과 같은 다른 수단을 포함하며, 그렇게 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표면 위에서 또는 공기중에서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칙에 기초한 컴퓨터와 같은 원격전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통작용하기 위한 모바일데이타/텍스트입력단위가 고려될 수 있다. 도11A는 실시예로서 도1도의 키패드(1000)의 키들(1001-1006)을 복제하는 여섯개의 키를 가진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285001)을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키들의 4개의 키들(더 어두운 키들)은 키들(1001-1004)을 복제한다. 도11B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는 두개의 탈착가능한 (285101 와 285102)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사용자는 편리한대로 상기 키패드를 부착해서 또는 이탈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부착/이탈 수단이 고려 될 수 있다.
도11C 와 도11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는 최소한 사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텍스트(예를 들면 단어들)를 보여주기위한 디스플레이(285301)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러므로 사용자는 그가 입력하는 단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원격전자장치는 물론 그 자신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 입력단위의 디스플레이(285301)과 원격전자장치(미도시)의 디스플레이는 각각 커서를 가지고있다.
데이터 입력단위의 디스플레이(285301)은 바람직하게는 원격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위를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전자장치의 커서위치의 부근/또는 그 주위 같은 데이터 위치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입력단위(285001)의 커서는 상기 텍스트내 같은 위치를 가지고 있는데 그러므로 사용자가 데이터입력유니트의 디스플레이(285301)위에 인쇄된 텍스트내의 데이터입력유니트의 커서를 항해한다면, 그러면 전자장치의 커서는 역시 따라서 전자장치의 텍스트(스크린에 인쇄된)내를 항해하게 된다.
데이터입력단위의 디스플레이(285301)은 탓치민감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린상의 키들(예를 들면 두번째 키패드의)위에 태핑동작또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스크린상의 소통작용을 제공할수있으며 그래서 본 발명의 키들(예를 들면 두번째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데이터입력단위(285001)은 가속도계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므로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공기중에서의 사용자의 미끄럼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데이터입력단위(285001)의 디스플레이는 탓치민감이 아닐수도 있다. 데이터입력단위(285001)은 또한 유선 또는 무선수단을 포함 할 수 있는데 그러므로 상기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각 원격전자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몇가지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도11A 에서 도11D 까지 보이는 키패드는 이탈 가능(도11B-도11C에서와 같이)하거나 그렇치 않은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단위는 그 자체의 프로세서/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그리고/또는 메모리는 텍스트입력목적으로 주로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소프트웨어와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시스템을 저전력으로, 소규모로 그리고 저렴한 비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독립데이타입력단위는 모든 모바일 또는 고정된 장치를 위한 전체 키보드처럼 작동하는 모바일 소형 키패드가 될 수 있다.
도12A는 실시예로서, 두개의 키부위(286004,286005)와 디스플레이 단위 (286001) (가능하다면 탓치민감)을 가진 또 다른 형태의 독립 데이터입력단위(286000)의 나타내고 있다. 단위(1286000)은 가속도계, 유선 또는 무선 접촉, 프로세서,메모리, 그리고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입력단위(286000) 예를 들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을 때 컴퓨터와 같은 전자장치를 통해서 충전되는 USB연결(1286002)을역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입력단위(286000)의 쉬운사용을 위하여 도12B에 도시된바와 같이 예를 들면 텍스트를 입력하는 동안 USB연결부위(286002)는 상기 부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빼어 놓을 수있다.
대안적으로. 단위(286000)은 다른 형태의 연결을 가질 수가 있으며 또는 외부 또는 원격장치로의 어떤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데이타입력단위(286000)는 또한 다른 전자장치의 메모리저장(예를 들면 키상의 디스크)로서 사용될 수 도 있다.
도1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단위(286000)의 키부위(2860004 그리고 286005)는 이탈가능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와이어(286006 그리고 286007)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데이터 입력 단위(286000)에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데이타입력단위(286000)이 UBS연결(286002)(예를 들면 충전을 위해)을 통하여 원격전자장치에로 연결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데이터/텍스트를 입력하기위해 상기 데이터입력단위를 사용하는 그러한 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입력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그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입력단위(286000)내에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USB연결(286002)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입력단위(286000)을 전자장치에 접속시킬 때, 데이터입력시스템과 그 소프트웨어는 데이터입력단위(286000)에 남아 있으나 그러나 데이터 입력시스템/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원격전자장치의 램과 프로세서 같은 자원을 사용한다.
도12D에 도시된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타입력단위(286200)의 USB 커넥터(286201)는 이탈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단위(286200)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일수 있으며 유선(286202)를 통해 단위(286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경우, 단위의 키들이 이탈가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입력단위(296000)가 원격전자장치에 붙어있는동안(예를 들면 충전목적을 위하여) 원격장치와 멀리 떨어져서도 여전히 작업할 수 있다.
WO2009/0278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의 글자들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하는 동안(예를 들면 키누름동작),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스크린위에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모든 입력신호(예를 들면 키누름)에 분명하게 해당하는 글자/문자의 몇 개(예를 들면 선보인단어(예를 들면 이후 글자컬럼이라고 호칭된) 의 각 글자밑 컬럼에 보이는)를 선보인다. 그러한 글자컬럼은 선보인 단어의 해당글자/글자를 배척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자컬럼의 각컬럼의 요소(예를 들면, 글자, 글자가 제공된 각 글자컬럼에 다른 지역,등등)는 사용자의 소통작용에 대응적이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에서의 절차의 또 다른 형태가 고려될 것인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는 본 시스템의 수정절차를 대체하거나 추가의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몇 개의 태핑/미끄럼동작을 요구하는 원하지 않는 단어를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WO2009/027817에서 기재된 대로 예를 들면 두번째 키패드를 통한 수정절차를 사용하거나 많은 정확한 글자들(예를 들면 사전단어에서 벗어난 것들을 위하여)을 입력하는데 요구되는 원하지 않는 단어를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글자컬럼을 사용하는 수정절차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 커서전의 단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지적된 단어) 하나의 단어(또는 어간(語幹): stem)그리고 그 해당글자컬럼은 예를 들면 크게 또는 강조된 글씨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어가 원하는 단어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원하는 단어의 글자들 중 최소한 하나를 정확하게 입력함으로서 본 발명의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를 진행시킬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사용자는 상기 글자위치에 해당하는 컬럼내에 글자들사이에서 상기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정확한 글자를 선택/입력하기위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컬럼내에 상기 글자(또는 상기 글자에 해당하는 상기 컬럼내 지역에 )를 탭할수있을 것이다
시스템은 상기 정확한 글자를 고려/입력하고 궁극적으로 그순간까지 제공된 단어에 해당하는 입력정보의 모든 것에 기초하여 다른 단어를 선보일것이다. 사용자는 시스템이 원하는 단어를 선보일때까지 원하는 단어의 좀더 정확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같은 절차(예를 들면 추가의 컬럼에)를 되풀이할것이다. 만약 원하는 단어가 단어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단어의 글자들의 모든 글자를 위해 상기 절차를 반복한다.
실시예로서, 도13A는 장치(287000)을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에서 단어 “have”(287011) 가 도1의 키패드(1000)의 키패드부위(1051과 1052)를 복제하는 본 발명의 모범적인 첫째 키패드의 키패드 섹션(287001 과 287002) 상의 나뉘어진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의해 제공된 첫번째 입력정보를 통해 스크린(287010)에 인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현재의 단어 ”have” (287011)와 해당 글자컬럼은 좀 더 큰 글씨로 나타나게 되어 소통작용하기가 더욱 쉬워진다.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have”대신에 단어 “each”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그는 첫번째/해당 글자 컬럼에 글자 ”e” (287111)위에 탭을 할것이다. 시스템은 단어 “have”를 글자”e”로 시작하는 새로운 단어로 대체할 것이다. 이실시예에서, 상기 단어는 그 순간까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 사이에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단어”each”(287101)일 것이다. 대안적으로 첫글자 대신에 사용자는 이러한 절차(예를 들면 해당글자컬럼내에 원하는 글자위에 태핑함으로서)를 사용해서 단어의 다른 글자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구체적실시예의 계속된 기술과 함께, 글자컬럼을 보이거나 숨기는 것은 선택적이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만약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글자컬럼을 보이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선보인/선택된 단어에서 원하는 글자를 탭하며 그때 시스템은 그 해당글자컬럼을 보여준다.
실시예로서, 도13C는 단어”have”(287201)와 글자 “v”(287211)위에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태핑동작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해 보여지고 있는그 세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컬럼글자을 보여준다. 상기단어를 원하는 단어”each”로 바꾸기 위하여, 이때, 예를 들면 사용자는 글자컬럼내에 원하는 글자 “c”(287201)위에 탭을 한다.
그러면 시스템은 글자 “v”를 글자 “c”로 대체하고 단어”have”를 궁극적으로 그때까지 그리고 상기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사이에 가정 우선순위가 높은 제공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 “each”로 대체한다. 그런다음 시스템은 또한 상기 세번째 글자컬럼을 숨기게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나 그것을 지적한 후(예를 들면 그의 손가락이나 커서를 사용하는것에 의하여) 에는 단어는 강조되거나 큰글씨로 보여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단어의 모든 글자들에 해당하는 글자컬럼은 예를 들면 상기 단어의 위치에서 미끄럼동작 또는 상기 단어를 카리키는 것 등과 같은 미리정해진 사용자소통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실시예로서, 도1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시스템의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인 프랑스 단어 "champetre"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그러면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한후에 시스템은 단어 글자 “**”에 뒤이은 "sharper"(287307)을 선보일것이다. 이실시예에서 단어의 일곱개의 시작글자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단어 “sharper”에 해당한다.
단어의 여덟개의 글자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는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어떠한 단어나 어간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첫번째 일곱개의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선보인단어를 유지하고 상기 단어의 여덟번째 글자위치에 “*”글자를 추가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의 아홉번째 글자를 입력할 때 상기 글자를 반복한다(왜냐하면 제공된 아홉번째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기때문이다).
이때, 사용자는 글자컬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를 진행하게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선보인단어위에 미끄럼동작(287308)을 우선 제공하게된다. 시스템은 선보인단어의 글자들의 모든것에 해당하는 글자컬럼들(287305)를 보여주게된다. 사용자는 각 해당 컬럼의 각각위에 원하는 글자위에다가 탭(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어안의 글자의 위치 순서로)을 하게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글자를 선택/입력하기위해 글자컬럼 내에 글자위에 탭을 하는 각 시간에 상기 글자컬럼을 사라진다. 이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단어의 여섯개 시작문자를 가지고 있다. 도14C는 사용자가 해당컬럼위에 원하는 글자들의 모두에게 탭을 한 후에 전체적으로 원하는 글자가 입력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때 모든 글자컬럼은 사라진다.
현재의 구체적실시예의 계속된 기재로서, 만약 사용자가 선보인단어의 글자위에 탭을 한다면(예를들어, 시스템이 해당글자컬럼을 보여준다), 그러면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 새로운(또다른)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의 원칙에 기한 새로운 단어에 의해 선보인 상기 글자를 대체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새로운 단어를 선보인다.
특정범주에 기초한 다른 집단들사이에서 기호를 배분하는 절차와 각그릅을 모드 인스턴스(예뜰들면 미리정해진 모드키소통작용을 통해서 제공하는 것)에 제공하는 것은 이미 앞에서 기술한바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키소통작용(예를 들면 키누름)을 통하여 상기 모드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것 대신에 상기모드인스턴스의 최소한 몇 개의 각각은 해당장치의 탓치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표면의 다른 미리정해진부위와 소통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도15A는 도1 의 키부위(1051-1052)의 키를 복제하는 키부위(288011-288012)를 포함한 본 발명의 분리된 첫번째 키패드를 가진 장치(288000)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또한 가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여섯개의 다른 지역(288001-288006)으로 나뉘어져있는 탓치스크린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각지역은 다른 모드 인스턴스가 제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지역을 탓치하면, 시스템은 해당모드 인스턴스(예를 들면 이 구체적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수정절차는 모드 인스턴스로 또한 생각될 수 있다)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지역내에서의 태핑또는 미끄럼동작 같은 소통작용은 시스템에 의해 관계된 모드 인스턴스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와의 태핑동작을 복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역(288001)은 텍스트(TEXT) 모드에게로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면 구둣점 마크 글자) 그리고 본 발명의 수정절차 동안, 지역(288003)내에서의 소통작용은 본 발명의 수정절차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와의 소통작용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지역(288004)는 “NUM”모드(예를 들면 숫자 0-9)에 제공되며, 지역(288006)은 “ARITH”모드에 제공되며(예를 들면 연산글자), 지역288002는 “RARE”에 제공되며(예를 들면 다른/소수글자), 지역(288005)는 “FUNC”(예를 들면 기능/명령)에 제공된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수정절차동안에, 지역(288003)내에 미끄럼동작(288008)과 같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글자”tuv”에 관련된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전화기형 키패드)의 글자키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예로서 지역(288001)내에서 미끄럼동작(288007)과 같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이 실시예에서 텍스트모드에서 글자 “?”가 제공되어 있는 두번째키패드(예를 들면 키 TUV)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것이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지역을 탓치하면, 앞서 기술한 대로 해당모드 글자들 그리고/또는 방향지역이 스크린상에 역동적으로 표시된다.
현재의 구체적실시예의 계속된 기재로서, 각각의 소통작용을 위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좀 더 쉬운 소통작용을 위하여 사용자는 해당지역에서 미끄럼동작을 시작하고 다른지역(예를 들면 또는 역으로)에서 끝내게된다.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전체적으로 시작지역에서(예를 들면 역으로) 제공된 것으로 생각한다.
실시예로서, 도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288003)에서 시작해서 다른 지역(288006)에서 끝나는 미끄럼동작(288018)을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에 의해서 미리정의된대로 전체가 지역(288003)내에 제공 된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예를들어, 지역(288001)에서 시작하고 다른 지역(288005)에서 끝나는 미끄럼동작(288017)을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에 의해 지역(288001)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몇가지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자동 마우스 절차가 시스템에 통합된다면, 그러면 마우스 또는 데이터입력과 관련된 미끄럼/태핑사이의 구분하는 것에 관한 규칙이 시스템내에 이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지역에서 시작하고 빨리끝나는(예를 들면 다른 지역에서) 미끄럼 동작은 본 발명의 데이타입력시스템과 관련 될 것이며(상기 시작지역과 관련된) 느리게 끝나는 미끄럼동작은 해당 마우스 기능과 관련될 것이다.
다른 모드에 관련된 다른 지역을 사용하는것에 추가하거나 대신해서, 상기 모드의 각각은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에 제공되거나 혹은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사용되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다른 조합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오른쪽 엄지와의 소통작용을 제공(예를 들면 탓치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표면 위에) 하는 것은 첫번째 모드내에서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들어 사용자의 오른쪽 검지와의 소통작용(예를 들면 탓치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표면 위에)을 제공하는 것은 두번째모드에서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두개와의 소통작용(예를 들면 탓치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표면 위에)을 제공하는 것은 세번째모드에서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세개와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면 탓치스크린과 같은 탓치민감표면위에) 네번째 모드에서의 소통작용 등에 해당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모드( )는 사용자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각각 다른 부위(예를 들면, 꼭대기, 평면)에 제공된다.
다른 모드를 언급하기 위해서 손가락의 다른 조합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가지 상황에서 실제적이며 또한 시스템에 의해서도 쉽게 인지 될 수 있다.
예들 들어, 검지와 중지의 조합인 오른손의 미끄럼은 쉽게 중지와 새끼손가락의 조합으로하는 오른손으로의 미끄럼과 쉽게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왜냐하면 처음 것의 경우 탓치민감표면 위에서의 검지의 접촉점은 일반적으로 탓치민감표면 위에서의 검지의 접촉점의 왼편에 있는 중지위치와 관련하여 더 높은 위치에 있기때문이다. 반면에 두번째의 경우에는 상기 표면위에서의 중지접촉점은 일반적으로 오른편 중지접촉점위에 있는 새끼손가락의 위치와 관련하여 더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인스턴스 각각은 형태/크기/모양과 같은 생체적특성 그리고 /또는 그 지문특성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해 인지되는 각각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제공되어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탓치민감표면을 손가락으로 탓치하였을 때, 시스템은 그 지문을 스캔하고 그것을 해당모드에 관련시킨다. 또한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손가락으로 미끄럼동작을 제공했을 때 시스템은 해당모드와 상기 미끄럼동작에 해당하는 글자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각각 다른 구체적실시예들에서 기술한 미끄럼동작은 해당장치에 연결된 탓치스크린 위에 그리고/또는 해당장치에 연결된 탓치민감표면(예를 들면 마우스패드같은) 위에 제공되어 현실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각각 다른 방향(선택적으로, 탓치민감 표면으로 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고)으로의 몇가지 계속된(예를 들면 직선의) 미끄럼동작을 포함한 조합된 미끄럼동작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여기서 각 시스템은 각 미끄럼동작들 각각을 예를 들면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에 연결시킨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른 미리 정의된 방법들이 고려된다.
첫번째 방법에 따르면, 조합된 미끄럼동작을 제공할 때,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의 시작점을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으로 생각하여 해당방향으로의 미끄럼동작을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와의 소통작용과 관련시킨다. 도16A는 실시예로서 두개의 부위(289021-289024)를 가진 분리된 첫번째 키패드를 가지고 있는 장치(289000)을 보여주고 있는데(제1도의 키패드(1000)에서 키의 정렬과 유사하도록 정렬된), 여기서 초기에 사용자는 키들 (289003,2890031 과 289004)을 누른다.
시스템의 단어데이타베이스를 고려함에 의하여, 시스템은 단어 “you”를 선보인다(미도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아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조합된 미끄럼동작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수정절차를 진행할 것이다. 처음에 사용자는 미끄럼동작(289001)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미끄럼동작의 시작점이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에 해당하며 (예를들어, 이실시예에서는 전화기형키패드) 그리고 그 방향이 글자”abc”를 가진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이실시예에서, 어떤 점에서,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들어올리지않고, 사용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는 두번째 미끄럼동작(289002)을 제공하기 시작하기위하여 스크린의 오른쪽으로 미끄럼동작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시스템은 첫번째 미끄럼동작이 끝난 것을 이해하고 상기 미끄럼동작을 글자 “c”(289011)에 관련시킨다. 시스템은 또한 변화된 방향이 두번째 미끄럼동작(289002)의 시작점으로 생각하고 두번째미끄럼동작을 글자”mno”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관련시킨다. 사용자는 그런다음 세번째 미끄럼동작(289003)을 제공을 시작하기 위하여 스크린의 상오른쪽으로 조합된 미끄럼동작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시스템은 두번째미끄럼동작이 끝났음을 이해하고 상기 두번째 미끄럼동작을 글자 “o” (289012)에 관련시킨다. 시스템은 새로이 변화된 방향점을 세번째 미끄럼동작(289003)의 시작점으로 생각하고 그 세번째 미끄럼동작을 글자 “def”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관련시킨다.
두번째 키패드의 대표는 사용자가 글자를 입력하는동안 그의 선택을 볼 수 있도록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미끄럼동작(289003)은 사용자에게 “D”(289013)을 디스플레이할것이다. 사용자는 그러면 세번째 미끄럼동작을 끝내고 시스템은 상기 세번째 미끄럼동작을 글자 “d”에 관련시킨다. 이때, 단어”you”는 스크린에 보이는 “cod” 단어로 대체될것이다.
두번째 방법에 따르면, 조합된 미끄럼 동작을 제공하는 동안, 시스템은 조합된 미끄럼 동작의 첫번째 미끄럼동작의 시작점을 두번째 키패드의 중간에있는 것으로 생각할 것이며, 조합된 미끄럼 동작의 후속의 미끄럼 동작의 각하나의 시작점은 상기 조합된 미끄럼 동작의 이전 미끄럼동작 동안에 선택된 키위에 위치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시스템은 각 미끄럼 동작의 각각을 상기 이탈점으로 부터 두번째키패드의 해당키를 향하는 상기 미끄럼동작의 방향에 기초한 두번째키패드의 해당키로 관련지을것이다. 도16B는 실시예로서 분리된 첫번째 키패드를 가지는 도16A 의 동일장치(289000)을 보여주고있는데 여기에서 이실시예에서는 현재의 구체적실시예의 수정절차를 통해 제공된 조합된 미끄럼동작(289141)이 명백한 글자 “cod”를 입력하는 것에 해당하는데 여기서 원래 시스템은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 제공된 키누름에 근거한 단어 “you”를 선보였었다.
현재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정절차동안, 사용자는 우선 미끄럼 동작(289101)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그것을 글자”c”에관련시킨다.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올리지않고, 사용자는 두번째 미끄럼동작(289102)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의 이탈점을 키(289202)로부터인 것이라고 생각하고 두번째 미끄럼동작(289102)의 방향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두번째 미끄럼동작을 두번째키패드의 키(289206)과의 소통작용에 관련시킨다.
같은 원리를 고려함에 의하여,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들어올리지 않고, 사용자는 세번째 미끄럼동작(289103)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의 이탈점을 키(289206)으로부터인 것으로 생각하여 상기 세번째 미끄럼동작(289103)의 방향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세번째 미끄럼동작을 두번째 키패드의 키(289203)과의 소통작용에 관련시킨다. 단어”cod”는 지금 본 발명의 수정절차와 관련된 조합된 미끄럼동작의 두번째방법을 통해서 제공된다.
단어의 수정절차동안 사용자는 몇 개의 조합된 미끄럼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 조합된 미끄럼동작의 각 하나는 상기 단어의 다른 부위에 해당한다.
원하는 단어의 글자들 중 최소한 한 개를 분명하게 입력하기 위해 키누름과 음성을 사용(예를 들면 수정절차를 사용하는 동안) 하는 것을 포함한 절차를 사용하것이 동종 업계에 기술되어 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한 글자의 입력을 위한 기술에 추가하여, 시스템은 음성 인지기술을 포함하고 사용한다.
실시예로서, 단어의 몇 개 글자를 정확하게 입력하는데 요구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의 수정 절차(예를 들면 본발명에 따른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동안, 사용자는 음성과 음성인식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수정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어의 많은 글자수를 정확히 입력해야하는 것이 요구(예를 들면, 시스템의 사전데이타베이스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긴 단어의 입력을 위해)되는 긴 단어를 입력할 때는, 사용자는 음성과 음성인식기술을 사용하여 수정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입력할 말이 사람의 이름같이 시스템의 사전데이타베이스에 존재하지 아니한 긴 글자라면, 그러면 첫번째 키패드의 키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한 후에 시스템은 원하지 않는 긴 단어를 선보일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단어의 글자를 한자 한자 말을 할 수 있다. 상기 단어의 글자들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정보와 사용자의 해당 음성을 고려함으로서 시스템은 상기 단어를 선보일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첫번째 키패드의 글자키들의 최소한 두개의 다른 키들의 조합과의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글자 또는 기능(예를 들면 이후에는 단축키로 언급한다)과 같은 다른 기호를 입력하는 것에 해당한다. 자주 사용되는 기호의 몇몇은 상기 소통작용에 제공되어 있다. 도17A 에서 도17D 까지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290000)의 글자 키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서로 다른 기능이 다른 소통작용(조합)에 제공되어 있다.
예를들어, 도1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키(290011)을 누르고(그리고 누름을 유지하고) 그리고 키(290012)를 누르면, 상기 소통작용은 오른쪽화살표 키/기능(예를 들면 PC키보드의)을 누르는 것에 해당하며, 만약 사용자가 키(290011)을 누르고 유지하면서 그런다음 키(290014)를 누르면, 상기 소통작용은 왼쪽화살표키/기능(예를 들면 PC키보드의)을 누르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예로서,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키(290013)을 누르고 (그리고 유지하고) 그 다음에 키(290012)를 누르면 상기 소통작용은 위화살표 키/기능(예를 들면 PC키보드의)을 누르는 것에 해당하며 만약 사용자가 키(290013)을 누르고 (그리고 유지하고) 그다음에 키(290014)를 누르면 상기 소통작용은 아래화살표 키/기능(예를 들면 PC키보드의)을 누르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예로서, 도1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키(290012)를 누르고(그리고 유지하고) 그리고 키(290011)을 누르면, 상기 소통작용은 단어에서(예를 들면 앞서 기술한대로 왼쪽 “In-word”)왼쪽방향의 이동에 해당하며, 만약 사용자가 키(290012)를 누르고(그리고 유지하고) 그리고 키(290013)을 누르면, 상기 소통작용은 단어에서(예를 들면 앞서 기술한대로 오른쪽 “In-word”)오른쪽 방향의 이동에 해당한다.
본 발명이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undo”기능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undo”와 비슷하다) 은 텍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마지막 변화의 최소한 몇 개를 지우기위해 미리정의된 키 소통작용에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정절차 동안, 만약 사용자가 잘못된 미끄럼동작을 제공하고 시스템은 따라서 단어를 잘못 변화시켰다면, 사용자는 상기 잘못된 미끄럼동작 전에 즉시의 인스턴스로 돌아가라고 시스템에 알려주는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예를 들면 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논의했듯이, 사용자가 첫번째 입력정보를 입력한 후에 단어 “day”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시스템은 단어 “was”를 선보였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본 발명(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전화기형 키패드)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미끄럼 동작을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수정절차를 진행시키려고 할 것이다. 사용자가 틀린방향 예를 들면 글자”tuv”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에 해당하는 아래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을 잘못 제공하고 그리고 시스템은 잘못된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잘못된 단어(예를 들면 “ufo”)를 제공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그가 잘못된 미끄럼동작을 제공하였으며 하나의 인스턴스를 뒤로 이동하기 위해서 그는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하고 시스템은 하나의 인스턴스를 뒤로 돌아가 다시 단어”was”를 선보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옳은 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을 제공하고(예를들어, 글자들”def”를 포함하는 전화기 키패드의 키와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하는 위-오른쪽 방향을 향한 미끄럼동작) 그리고 시스템은 원하는 단어”day”를 제공할 것이다. 방금 기술한 “Undo” 기능은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두개의 키들와의 소통작용에 제공되어 있다.
예를들어, 도17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0014)를 누르고 누름 유지하고 키(290011)을 누르는 것은 하나의 “Undo”동작을 제공하는 것에 해당한다. “Undo”동작의 일련의 순서를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순서동안 제공된 “undo”의 횟수에 해당하는 인스턴스를 뒤로 이동케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어입력동안 시스템은 애매모호한 글자를 가진 몇 개의 다른 단어/어간을 선보인다. 그러므로 스크린상의 글자는 변동하게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은 예를 들면 단어를 수정하기 위하여(예를 들면 다른 글자로 그것을 대체하기위하여) 글자를 선택키 위해 단어내에서 자동으로 그리고/또는 수동으로 이동 할 수 있는 “in-word”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단어입력동안, 만약 시스템에 의해 선보인 단어 또는 어간이 원하는 단어 내에서 옳은 위치에 옳은 글자인 하나 또는 그이상의 애매모호한 글자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그러한 글자가 “in word 항해 그리고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때는 그 상기 글자의 애매모호한 지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들과의 미리 정해진 누름동작과 같은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글자/글자로 바뀌어질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시스템에게 선택된 글자가 상기 위치에서 원하는 글자의 정확한 글자/글자로 고려되었음을 알릴것이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즉시 상기 정확한 글자를 고려할 것이고 상기 인스턴스까지 제공된 입력정보에 기하여 다른 단어를 선보일 것이다. 다른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상기 정확한 글자를 고려하지만 즉시 다른 단어나 어간을 선보이지는 않는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추가의 입력정보를 제공한 후에라야 정확한 글자를 고려할 것이다(예를 들면 원하는 단어의 다른 애매모호한 글자를 추가할 것이다)
선택된 글자의 지위를 바꾼후에 (애매모호한것으로부터 정확한 것으로) 그 “in-word” 이동 그리고 선택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선보인 단어/어간의 다른 애매모호한 글자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의 계속 기술로서 사용자에 의한 “information”단어의 입력동안,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어의 처음두개의 글자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을 누르는 것을 받아 들일 것이며 시스템은 단어/어간 “in”을 제공할 것이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단어의 세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키에 대한 누름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단어 “put” 등을 선보일 것이다. 스크린 위의 단어 변동을 감소시키거나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시스템에게 상기 두개의 글자들(예를 들면 “in”) 이 상기 단어 내에 해당 위치에서 원하는 단어의 정확한 글자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소통작용(예를 들면 하나의 미리정해진 키 또는 더많은 미리정해진 키들의 두개의 조합에의 두개의 연속적인 미리정해진 누름동작) 을 제공한다.
이때, 시스템은 상기 두개의 글자가 원하는 단어의 정확한 글자일 것으로 생각할 것이고 상기 단어를 잠글 것이며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의 다른 글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 위에 누름동작을 제공할 때, 시스템은 상기 정확한 글자를 고려하고 그리고 상기 단어의 입력동안 그들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사용자는 선보인 어간/단어의 글자의 어떤 것을 선택할것이며 애매모호한 것으로부터 정확한 것으로 지위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것은 기억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는 수동으로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에게 선보인 단어/어간을 선택할 것이며 사용자는 시스템에게 상기 단어가 원하는 단어의 정확한 글자로 생각된다는 것을 시스템에게 알리기 위해서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들과의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할 것이다.
현재의 구체적실시예의 계속된 기술로서, 도17도에 도시된 실시예로서, 키(290014)의 누름(그리고 누름유지)와 키(290013)을 한차례 누르는 것은 시스템에게 선보인 단어/어간 내에 현재 선택된 글자가 정확한 글자로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것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통작용후에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선보인단어/어간의 다음 글자와 같은 다른 글자를 선택하며, 만약 사용자가 다시 상기 키 소통작용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상기 다른 글자를 원하는 단어 그리고 그밖의 것의 정확한 글자로서 생각할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단축키에 해당하는 기호의 분산 순서의 예는 실시예로서만 제공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확실히 상기 분산순서는 동종업계의 일반 기술자에 의해 바뀌어질 수 있다.
첫번째 키패드의 글자키들의 최소한 두개의 키들을 조합하는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상상의’/가상의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것이다. 예를 들면, 전화기형 키배열을 가진 가상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은 4개의 글자 키들을 가진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의해 복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최소한 수정절차 동안에 제공된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모방하는 미끄럼 또는 태핑동작은 일반적으로 첫번째 키패드의 두개 까지의 키들과의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함으로서 복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글자키들 위에 빠른 태핑동작은 원하는 문자/글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해당한다,
따라서,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중의 하나 위를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고 그런다음 상기키를 방출하는 것과 같은 두번째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의 형태 또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중의 하나를 누르고 누름을 유지한 채로 상기 첫번째 키패드의 다른키를 누르는 미리 정해진 세번째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은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미리 정해진 키와의 상호작용을 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는 가상/상상의 전화기형 키패드모델이 될 수 있으며 첫번째 키패드의 첫번째 키와의 상기 두번째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은 상기 가상 전화키형 키패드의 글자키들의 중앙키(예뜰들면 글자 “jkl”을 포함한 키)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거나 해당한다. 사용자가 상기 첫번째(예를 들면 눌렀고 누름유지된) 키를 놓으면 그러면 시스템은 상기 소통작용을 본 발명의 가상 두번째 키패드의 상기 중앙키 위에 태핑동작을 복제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상기 첫번째 키(예를들면 그는 그것을 누르는 것을 계속할것이다)를 방출하지 않으면서 그리고 다른 키를 누르고 태핑을 한다면 (예를들면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그러면 시스템은 상기 첫번째 키와 눌려진 상기 다른키(예들들면 상기 첫번째 키로부터 상기 두번째 키로의 궤적)사이의 상상의 궤적을 생각할 것이며 상기 두번째 키에의 누름동작을 상기 가상 전화기형 키패드 위에의 상기 가상 키패드의 중앙키로부터 이탈하면서 같은(또는 유사한) 궤적을 가지는 미끄럼 동작으로 관련 시킬 것이다. 시스템은 따라서 상기 또다른 형태의 소통작용을 본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해당키와의 소통작용으로 관련시킬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18A는 미리정해지 가상의 전화기형 키패드(291000)(예를 들면, 여기서는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로서 사용된다)의 글자키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앙키(291005)에서부터 상기 키패드의 다른키로 이탈하는 미끄름동작의 궤적을 보여주고 있다.
도18A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291010)의 글자 키들(291011-291014)를 보여주고 있다. 이 구체적 실시예에서, 원하는 단어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 되는것에 더하여 본 발명(291010)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의 상기 글자키(291011-291014)는 전화기형 배열을 가지는 가상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들어, 방금 기술한 바와같이, 만약 사용자가 첫번째 키(291011)을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고 나서 첫번째 키패드(291010) 의 두번째 키(291012)를 누른다면, 상기 첫번째 및 두번째 키들 사이의 상상의 궤적(291026)은 전화기형 키패드의 중앙키(291005)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전화기형키패드의 키(291006)을 향해가는 미끄럼동작(291036)의 궤적과 유사할 것이다.
그러므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291010)의 첫번째 및 두번째 키들에 제공된 조합된 소통작용을 본 발명의 가상두번째 키패드의 키(291006)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같은 원리에 기해서 키(291011)을 누르고 누름을 유지한다음 그리소 키(291014)을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9)은 두번째 키패드(291000)의 퀘적(291039)에 해당하며 그러므로 키(291009)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같은 원리에 기초하여 키(291011)을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고 그런다음 키(291013)을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8)은 궤적(91038)과 키(291008)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이러한 원리들은 첫번째 키패드와의 다른 소통작용에도 적용된다.
현재의 구체적실시예의 계속된 기술로, 도 18B 에서 도 18D는 방금 기술한 원리에 기초한 다른 소통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1012)를 누르고 유지하고 그리고 키(291011)을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4)은 궤적(291034)와 키(291004)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키(291012)를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3)을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291027)은 궤적(291037)과 키(291007)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키(291012)를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그리고 키(291014)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291028)은 궤적(291038)과 키(291008)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의 계속된 기술로, 도18C 에 도시된바와 같이 키(291013)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2)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3)은 궤적(291033)과 키(291003)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키(291013)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4)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6)은 궤적(291036) 키(291006)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키(291013)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1)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2)은 궤적(291032) 키(291002)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의 계속된 기술로, 도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1014)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1)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1)은 궤적(291031)과 키(291001)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키(291014)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3)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4)은 궤적(291034) 키(291004)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또한 키(291014)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키(291012)를 누르는 것(예를 들면 궤적 291022)은 궤적(291032)과 키(291002)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의 어떤 것을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그런 다음 상기 키를 방출하는 것은 전화기형 패열을 가지는 본 발명의 미리정해진 가상의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글자키(예를 들면 “jkl”글자를 포함한 키)와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 그리고 누름 유지 및 첫번째 미리 정해진 키(예를 들면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 중에서)는 전화기형 키배열을 하기는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키패드(가상의) 의 중앙글자키와 소통작용을 하는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그리고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미리정해진키의 각각을 방출하는 것은 (예를 들면 첫번째 키패드의 네 키들사이에서) 각각 본 발명의 두번째 가상 키패드의 세개의 해당키들의 하나와 소통작용하는 것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문자 “0", "*", 그리고 "#".
첫번째 키들과의 소통작용들의 상기 다른 형태를 통한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것은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에게 제공된 기능들의 모든 것 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른 소통작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 동안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글자키들의 제1도의 키패드(1000)의 글자키들을 복제하는 도제1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291010)의 글자키들을 고려함으로서, 만약 사용자가 “day”의 단어를 입력하고 싶다면, 그는 첫번째로 원하는 단어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첫번째 키패드(201010)의 키들에게 해당 빠른 태핑동작을 제공할 것이다. 시스템은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시스템의 단어 데이터베이스의 단어들중에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was”단어를 선보일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수정절차에 들어감으로서 추가의 입력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키(291013)위의 누름과 누름유지동작을 하고 키(291012)를 누를것이다. 두개의 키(201013)과 (291012)의 조합된 소통작용은 본 발명의 미리 정의된 추체적실시예에 대항하는 가상 전화기형 키패드의 글자 “def”를 포함하는 키와의 소통작용(예를 들면 복제)에 해당할 것이다.
그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조합된 첫째 그리고 추가의 입력정보를 고려함으로서, 사용자는 이 실시예에서 원하는 단어인 단어 “day”를 선보이게된다.
첫번째 키패드와의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함으로서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을 모방하는 것은(바람직하게는 두번째 키패드보다도 더 적은 키를 가진) 다른 모드에 제공된 것들과 같은 글자들말고 다른 기호나 명령을 입력하는데 유용하다(예를 들면, 특수기호,명령,기능,등등)
모드에 들어간 후에, 사용자는 본 발명에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키패드(선택적으로 가상)키패드의 키에 제공된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방금 기술한 바와 같은 미끄럼동작을 모방하는 소통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처음에 사용자는 시스템을 원하는 모드로 들어가게 하기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들(예를 들면 첫번째 키패드의)과의 소통작용 같은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할 수있다. 그러한 미리 정해진 키 소통작용은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처음 첫번째 키를 누르고 누름을 유지한후 그 키를 방출하지 않고 다른 키를 탭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블 태핑동작 또는 누름동작 등을 키에다가 할수있다.
도19A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시스템을 포함한 장치(202000)을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여섯개의 키들(292011-292016)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키들의 네개(292011-292014)는 예를 들면 제1도의 키패드(1000)의 글자키들(1001-1004)을 복제하는 애매모호한 글자키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어 “hello”(292009)는 해당 애매모호한 글자키들 위에 태핑동작(예를 들면 빠른 누름동작)을 제공함으로서 입력된다(예를 들면 시스템에 의해 선보인) .
상기 단어의 끝에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TEXT”모드인스턴스에 속하는) 사용자는 먼저 시스템을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들과의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함으로서 TEXT모드에 들어가게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키(292015)를 누르고 누름유지하고 그리고 (예를 들면 그때 상기 키를 누르고 있으면서) 그는 키(292011)을 누른다. 따라서, 시스템은TEXT 모드 인스턴스에 들어 가게되고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스크린상에 TEXT 기호를 포함한 본 발명의 미리 정해진 상상의/가상 두번째 키패드(292008)를 보여주게된다.
이때, 도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두개의 키와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서 특수기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라 상상의/가상의 두번째 키패드(292998)의 키(202029)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사용자는 우선 키들(292011)을 누르고 누름을 유지하고 그리고 나서 선택적으로 동시에 키(292014)를 누른다. 시스텡은 글자”hello”의 끝에글자기호”!”를 입력한다.
모드에 들어간 후에, 사용자는 상기 모드 인스턴스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를 여러 번 입력할 수 있다(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만약 사용자가 다른 키를 누름동작(그리고 누름유지하고) 없이 글자 키 위에 빠른누름동작(예를 들면 태핑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상기 모드 인스턴스로부터 빠져나와서 상기 태핑동작을 상기 키의 애매모호한 글자를 입력시키는 것에 관계되어 있다고 인식할 것(예를 들면 최소한 단어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정보의 부분을 입력하는것으로)이다
또한 스페이스키와 같은 다른 키 위에 태핑동작을 하는 것은 시스템을 그 모드 인스턴스에서 나와게 한뒤 스페이스 글자를 입력할 수 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특수기호(예를 들면 특수기호,명령,기능 등)은 기호의 다른 집단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각그룹은 서로 다른 모드가 제공된다(예를 들면 일찍 기술했던 것들과 같이). 상기 모드의 각각은 첫번째 키패드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키들과의 서로 다른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에 제공된다.
도20A 와 도20D 는 실시예로서 제1도의 키패드(1000)과 아주 유사한 키패드(2923000)의 6 키위에 가능한 네게의 다른 키들소통작용을 보여주고 있는데, 예를 들면, 도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3015)를 누르고 (그리고 누름유지하고 그런다음(예를 들면 상기 키를 누르는 동안) 키(292011)을 누르고.태핑하는 것은 첫번째 모드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예로서, 도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3015)를 누르고 (그리고 누름유지)하고 그런다음(예를 들면 상기 키를 누르는 동안) 키(292013)을 누르고/태핑하는 것은 두번째 모드에 해당한다. 또한 실시예로서, 도2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3016)을 누르고 (그리고 누름유지)하고 그리고(예를 들면 상기 키를 누르는 동안) 키(292012)를 누르고./태핑하는 것은 세번째 모드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20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93016)을 누르고(그리고 누름유지) 그런다음 키(292014)을 누르고/태핑하는 것은 네번째 모드에 해당한다. 다른 모드들 즉, 추가의 다른 미리정해진 키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각각은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가능하다.
프랑스언어와 같은 몇 개의 언어에서는 , 언어의 글자들중 몇 개는 그래픽기호들의 하나(예를 들면 프랑스어에서 모음 글자 위에 있는 그레이브(grave),아이구(aigu),서콘프레이트(circonflexe))등, 각각은 상기 글자(예를 들면 그러한 글자들을 “변형”이라고 부를 것이다) 들을 위한 문법적 지시 또는 다른 발음을 가리키고 있다.
도21A는 실시예로서 프랑스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첫번째 키패드(294000)의 글자키들(294001-294004)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랑스어에서의 모음의 대부분은 하나 발음이상의 발음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글자 “e”(294011)가 보이는데 4가지의 다른 방법 (294011)로 발음될 수 있다. 텍스트입력과 수정절차동안 그러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에서의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모호함을 제공할것이다.
예를 들면, 첫번째 키패드(294000)와 가상의 전화기형 키패드모델과 같은 가상의 두번째 키패드를 고려함으로서, 첫번째키패드(294000)의 키(294001)을 누르고 그런다음 탓치 민감표면에서의 미끄럼(예를 들면 스와이핑) 동작(도18A에서 미끄럼동작 (291033)과 유사한)을 제공하는 것은 글자 “e”와 그 변형의 어떤 것에 애매모호하게 해당될 수 있다. 쉽게 그리고 빠르게 그러한 글자를 포함하는 그러한 글자 그리고/또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내에 다른 방법을 포함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동안, 탓치민감표면을 사용할 때, 미끄럼 동작의 길이는 글자 또는 그 변형의 어떤 것을 정의할 것이다. 두번째 키패드의딱딱한 키들을 사용할 때, 시스템은 그 글자 또는 그 변형의 어떤 것을 정의하기 위해서 두번째 캐들의 해당키에 누르는 동작의 시간길이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21B에서 도21E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라 탓치민감표면을 통해서 글자”e”또는 그 변형의 어떤 것들을 입력시키는 절차를 보여주고있다. 실시예로서, 만약 사용자가첫번째 키패드(294001)을 누른다면, 시스템은 글자”l”을 선보일것이다(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프랑스어 사전에서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지고있다. 사용자는 그런다음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를 진행시킨다.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탓치민감표면(294100)위의 해당 미끄럼동작(294101)의 시작에서, 시스템은 글자 “e”(294102)를 선보인다.
만약 사용자가 같은방향/지역에서 미끄럼동작(294201)을 계속한다면, 그러면 도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상기 글자의 두번째 변형을 선보일것이다. 이실시예에서, 상기 두번째 변형은 글자 “(글자위에 선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그러진거 )”(294202)일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같은 방향/지역에서 미끄럼동작(294301)을 계속한다면,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상기 글자의 세번째 변형을 선보일것이다. 이실시예에서 상기 세번째 이탈은 글자 “(글자위에 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어진거)”(294302)이다.
만약 사용자가 같은 방향/지역에서 미끄럼동작(294401)을 계속한다면, 그러면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상기 글자의 네번째 변형을 선보일것이다. 이실시예에서, 상기 네번째 변형은 글자 “(^가 위에 있는것)”(294402)이다. 같은 것은 글자 “a”와 그의 변형들(294012), 글자 “c” 와 그의 이탈들(294013), 글자 “o” 와 그의 변형들(294014), 글자 “i”와 그 변형들(294015) 그리고 글자 “u” 그리고 그의 변형들(294015)에서도 같을 것이다.
사용자는 같은 방향/지역에서 뒤로의 미끄럼에 의해 미끄럼 동작의 궤적(통상적으로 그걸 짧게 하기 위하여)의 길이를 변화할 수 있을 것이며, 시스템은 따라서 선보이는 글자를 변화시킬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미끄럼 동작의 동안 글자 및 그 변형들을 선보이는 순서는 서로와 관련한 상기글자의 우선권과 같은 다른 변수에 의존할 것임을 기억하여야 한다.
기술된 대로의 글자와 그 변형들의 입력절차는 단어를 입력하는데에 사용될 것이다. 첫번째 실시예로서, 시스템의 프랑스어 단어 데이타베이스의 부위(295008)을 고려함으로서, 도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도21A도의 첫번째 키패드(294000)의 키들(294004,294001) 그리고 294003)을 누른다면, 시스템은 상기 누름동작에 해당하는 단어들사이에서 가장 우선권이 높은 순위를 갖는 단어 des(e 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은 선이 있는 것)를 선보일 것이다.
그러면 도2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두번째 키패드가 전화기형 키패드라는 것을 고려하여, 만약 사용자가 미끄럼동작(295101)을 제공한다면, 그러면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의 바람직한 룰을 고려함으로서 시스템은 단어 “nes(e 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은 선이 있는 것)”를 선보일것이다. 이때, 도2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만약 사용자가 가장 짧은 미끄럼동작(295201)을 제공하다면, 상기 미끄럼동작(295201)과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 누름동작을 고려함으로서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글자”e”와 관련시키고 따라서 현재의 단어를 입력시키기 위해 제공된 입력정보(조합된)에 해당하는 단어”nes”를 선보일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보다 긴 미끄럼동작(295202)를 제공한다면, 그러면 상기 미끄럼동작(295202)와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누름동작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글자””에 관련시킬 것이며 따라서 현재의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된 입력신호(조합된)에 해당하는 단어 “neo(e 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은 선이 있는 것)”를 선보일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로서, 시스템의 단어의 프랑스데이타베이스의 부위(295018)을 고려하여, 도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21A의 첫번째 키패드(294000)의 키들(294002,294001,294002,294001)을 누르면, 시스템은 가장 높은 순위를 가진 단어 “meme(첫번째 e 위에 ^ 가 있는 것)”를 선보일 것이다.
그러면 도2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두번째 키패드가 전화기형 키패드인 것을 고려하여, 만약 사용자가 미끄럼 동작(295401)을 제공한다면,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의 바람직한 룰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단어 “tete(첫번째 e 위에 ^가 있는 것 이 있는 것)”를 선보일 것이다.
그러면 4가지 방법에서,도 22G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가장 짧은 미끄럼동작(295501)을 제공한다면, 상기 미끄럼동작(295501)과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누름동작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글자”e”로 관련지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첫번째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것이 사전에 없기 때문에 그리고 그 첫번째 정확한 글자가 글자 “t” 그리고 그의 두번째 글자는 글자 “e”이기 때문에, 시스템은 어떠한 단어도 선보일수없으며, 현재 선보인 단어 “tete(첫번째 e 위에 ^가 있는 것이 있는 것)”의 두 번째 글자 만을 글자 “e”로 변화시켜 글자들 “tete”의 사슬을 제공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두번째 다른 미리 정의된(예를 들면 좀 더 긴) 길이를 가진 미끄럼 동작(295502)을 제공한다면, 상기 미끄럼 동작(295502)와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 누름동작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 동작을 글자 “”에 관련시키고 따라서 단어”tete(두개의 e 위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그은 선이 있는 것)”를 선보일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세번째 다른 미리 정의된 길이(예를 들면 좀 더 긴) 미끄럼동작(295503)을 제공한다면, 상기 미끄럼동작(295203)과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누름동작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동작을 글자 “ ”에 관련시키고 따라서 단어 “tete(첫번째 e 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은 선이 있는 것)”를 선보일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네번째 다른 미리 정의된 길이(예를 들면 가장 긴) 미끄럼동작(295504)를 제공한다면, 상기 미끄럼동작(295204)과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 누름동작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 동작을 글자 “”에 관련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첫번째 입력 정보에 해당하는 것이 사전에 없고 그의 첫번째 정확한 글자는 글자 “t”이며 그 두번째 글자는 글자 “e”인데, 그러면 시스템은 다른 단어를 선보일수 없으며 따라서 현재의 선보인 단어를 유지하게 된다.
초기에 그리고/또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동안에 좀 더 쉬운 소통작용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끄럼의 궤적의 해당부위에 해당 글자 그리고 그리고 그 변형의 모든 것들을 스크린상에 보여질것이다. 실시예로서, 도23A는 사용자에 의해 시작된 미끄럼동작(296008)을 보여주고 있다. 해당글자에 더하여 , 시스템은 제공된 또는 미끄럼동작(296008)의 궤적의 부위(296001)를 따라서 그 변형을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은 상기 정보를 보여줌으로서 미끄럼동작동안의 어떤 순간에도 사용자는 그가 원하는 글자 또는 변형을 선택하기 위해서 미끄럼동작을 앞으로 그리고 뒤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동작은 하나의 글자보다도 더 많은 글자에 해당될 수 있다. 이것은 거의 프랑스어와 같은 몇 개의 언어에서 단어를 입력하고 수정하는데 극단적으로 이점이 있다.
특정한 경우에 프랑스어와 같은 몇 개의 언어에 있어서는 두개의 연속 단어가 아포스트로프(예를 들면, 축약된 단어)와 같은 특별한 글자로 분리된 하나의 단어에 짧아져서 조합되어 있다. 프랑스어에서의 몇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ne aurais -> n'aurais
-se aime -> s'aime
-que importe -> qu'importe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의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축약된 단어의 모든 것을 포함시킨다는 것은 특히, 낮은 메모리 또는 느린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에서 사용될 경우 별로 추천할 만한 것이 못되며, 실제적이지도 않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정절차 동안의 미끄럼동작은 하나의 글자 보다 더 많은 글자에 해당된다(이후 에는 “조합된 글자”라고 호칭될 것이다). 도24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첫번째 키패드(297000)의 네개의 글자키들(297001-297004)를 보여주고 있는데 몇 개의 키들위에 글자들과 그들의 변형 그리고 몇 개의 조합된 글자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조합된 글자들의 각각은 해당 키에 제공된 글자들과 함께 시작된다. 그러므로 조합된 글자들은 이 실시예에서 오직 가르키기 위한 목적으로만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위에 보여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조합된 글자는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에게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것이며 또는 첫번째 키패드에 의하여 대표되거나 대표되지 않을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 애매모호한 글자를 입력했을 때, 그는 상기 글자를 조합된 글자로 대체함으로서 바꿀 수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정절차동안 제공된 미리 정해진 미끄럼동작은 글자, 그 변형 그리고 미끄럼동작에 제공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조합된 글자들중의 하나에 해당될 것이다.
예를들어,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라 첫번째 키패드(297000)의 키(297003)을 누른 후에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실시예(여기에 숫자 7이 제공되어 있다) 에 따른 전화기형 키패드의 키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짧은 미끄럼동작(297101)은 글자”s”에 해당하며, 그리고 같은 방향으로 좀 더 긴 궤적을 가진 미끄럼동작(297101)을 제공하는 것은 조합된 글자 “s'”에 해당할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정절차 동안 조합된 글자를 입력한 후에, 시스템은 단어신호의 끝을 제공한다(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어떠한 추가의 글자도 제공하지않고). 다른 말로하면, 단어의 입력은 조합된 글자가 입력된다면 끝나게 된다.
조합된 글자를 입력하는 절차는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시스템을 통해 사전데이타베이스에 그들을 통합시키지 않고도 축약된 단어의 입력을 상당한 정도로 수월하게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하나의 언어에서의 축약된 단어의 첫째부위는 본 발명의 수정절차동안에 제공된 미끄럼 동작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도25A는 탓치민감표면(298000)을 가지고 있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부위(298008) 과 도24에 도시된 첫번째 키패드(297000) 그리고 두번째 키패드로서 전화기형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만약 사용자가 첫번째 키패드의 키(297000)을 눌렀다면, 시스템은 애매모호한 글자 “I”(298001)을 선 보일 것이다. 이때, 제25B도에 보이는 대로, 사용자는 미끄럼동작(298101)을 제공할 것이다.
방금 기술된 대로 미끄럼동작의 원칙과 그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미끄럼 동작의 초기에, 시스템은 글자 “q”(298103)을 선보일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어떤방향으로 상기 미끄럼동작을 계속한다면, 미리정해진 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스템은 조합된 글자 “qu'”(298102)를 선보일것이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상기 미끄럼 동작을 끝내면(예를 들면,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그의 손가락을 들어 올림으로서), 시스템은 글자 “1”을 조합될 글자 ” qu'”(298102)로 대체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단어의 끝 신호를 제공할것이다.
지금, 만약 사용자가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을 통해서 누름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상기 입력 정보를 새로운 단어를 입력시키는 것으로 관련시킬 것이다. 이때, 도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키들 (297002,297003,297001과 297003)을 누르면, 시스템은 조합된 글자들 “qu'” 후에 단어 “avec”(예를 들면, 첫번째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 사이에 가장 우선권을 가진) 을 즉시 선보일 것이며 축약된 단어 “qu'avec”(298201)을 제공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합될 단어 “d'ages(a 위에 ^가 있는 )”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25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297000)의 키(297004)를 누른다. 시스템은 애매모호한 글자 “i”(298301)을 선보인다. 이 때, 제2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수정절차를 진행하며 미끄럼동작(298405)를 제공한다. 미끄럼 동작 초기에, 시스템은 글자 “d”(298402)를 선보이지만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좀 더 긴 미끄럼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조합된 글자들 “d'”(298403)을 선보인다.
이 때, 사용자는 미끄럼동작을 종료하며 시스템은 상기 조합된 글자들을 입력하고 그들을 스크린(298401)에 보여주며 단어끝 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도2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들(298402, 2403, 298401 및 298403)를 누른다. 시스템은 가장 우선권이 높은 단어“avec”(298501)을 선보인다.
그러면 도2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숫자2를 포함하는 가상 두번째 키패드의 키를 향해 미끄럼동작(298605)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상기 미끄럼 동작의 초기에, 시스템은 글자 “a”를 선 보이고 또한 사용자에게 만약 그가 미끄럼동작을 계속한다면 미끄럼동작동안 해당 미리 정해진 점에서 상기 변형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글자의 변형을 선보인다. 이 실시예에서, 만약 사용자가 미끄럼 동작을 계속한다면 사용자에게 선보일 다음 글자는 글자 “ ”(298602)일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글자 “”(298602)가 도착될 때(예들들면 강조될 것이다) 미끄럼동작(298605)를 중단 한다면 상기 글자는 선택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처음 그리고 추가의 입력정보를 조합함으로서, 시스템은 조합된 글자 “d'”다음에 즉시 단어 “ages(a 위에 ^ 표시가 있는)”를 선보이며 (예를 들면 상기 조합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가진) 축약된 단어 “d'ages(a 위에 ^ 표시가 있는)”(298601)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동작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조합된 글자들과 축약된 단어들의 입력의 상기 언급한 절차는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데이터입력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가 탓치민감표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시스템은 같은 목적으로 통합 타이머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장치가 탓치스크린없는 전화라면,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사용하여 첫째 입력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수정절차를 위하여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전화기 키패드)의 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 키들을 누르기 시작할 때, 시스템은 상기 누름동작에 해당하는 첫번째 글자를 보여준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누름동작을 계속한다면,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대로의 두번째 글자 또는 조합된 글자 그리고 그밖에 것을 보여준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누름동작에 제공된 마지막 글자/조합된 글자를 선보이는 말미에, 사용자가 여전히 상기 누름동작을 계속한다면, 시스템은 거기에 따라 상기 글자와 조합된 글자들을 다시 선보이기 시작할 것이다(예를 들면 순환식으로)
도26A는 실시예로서 글자키 (299001 에서 299004)까지를 포함하는 첫번째 키패드를 가진 전화기와 같은 장치(299000)을 나타내고 있다. 장치는 두번째 키패드로서 전화기 키패드를 사용하고있다. 이 실시예에서 만약 사용자가 첫번째 키패드의 키(299001)을 누른다면, 시스템은 애매모호한 글자 “I”을 선보일것이다.
이때, 도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299013)위에 누름동작을 제공함으로서 수정절차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언급한 대로,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키 (299013)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누름동작 초기에 키(299001)을 통해 제공된 해당 누름동작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글자 “e”를 선보인다.
만약 사용자가 그 키(299013)에 대한 상기 누름동작을 계속 한다면, 도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정해진 추가의 시간 지남후에, 시스템은 이 실시예에서 글자 “ ”인 다른 글자를 선보일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여전히 키(299013)에 대해 누름동작을 계속한다면 그러면 도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정해진 추가의 시간 지남 후에, 시스템은 다른 문자를 선보일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문자 “”이다.
마지막으로,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키(299013)에 대한 상기 누름동작을 계속 한다면, 도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추가의 시간 지남 후에 시스템은 다른 글자를 선보일 것인데 이 실시예 에서는 그 문자는 글자 “”이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사용자가 키(299013)에 대한 누름동작을 여전히 계속한다면, 시스템은 처음부터 문자의 프레젠테이션을 다시 시작할 것이다.
타이머는 또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진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필요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어떤 길이의 미끄럼동작도 제공할 수 있다. 초기에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글자를 선보일 것이다. 미끄럼동작의 끝에서 사용자는 미끄럼동작을 멈추지만 탓치 스크린 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는다.
이때, 타이머는 시간을 재기 시작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지남후에, 시스템은 기술한 대로 다음 글자 또는 조합된 글자들을 선보인다. 만약 사용자가 탓치스크린위에 같은 위치에 그 손가락을 유지하고 있으면 추가의 미리 지정된 시간지남후에, 시스템은 기술한대로 다음 글자 또는 조합된 글자등을 선보일 것이다.
언제든
-만약 선보인 글자 또는 조합된 글자가 원하는 것이라면, 사용자는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그 손가락을 들어 올리며 시스템은 상기 글자 또는 조합된 글자들을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탓치민감표면에서 그 손가락을 움직이면, 타이머는 시간을 재는 것을 멈추고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미끄럼동작에 해당하는 글자 또는 조합된 글자를 선보일 것이다. 미끄럼동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글자를 제공하는 절차는 중국어 그리고 일본어와 같이 음성기호를 사용하는 것들과 같은 비 알파벧언어에서 단어를 입력하는 데에 유익할 것이다.
미끄럼동작의 길이에 기초한 그리고 타이머에 기초한 미끄럼 누름 동작의 그러한 절차는 통상의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일반적인 기능들 같은 다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키패드의 미리정해진 키 위에의 누름동작 그리고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키패드의 키에 대한 누름 동작(선택적으로 동시에) 그리고 탓치민감표면에서의 미리 정해진 미끄럼 동작 또는 태핑 동작 같은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하여 시스템을 마우스모드 같은 다른 모드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글자키가 아닌 키패드의 키들 중 몇 개는 마우스 단추 같은 것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첫번째 키패드의 글자키에 누름동작을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을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모드로 되돌아 가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단어의 벗어난 그러한 단어를 입력하는 동안, 사용자는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과 관련된 미끄럼/태핑동작을 사용함으로서 상기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가 중앙키로 부터 중앙키의 위쪽키 쪽으로 미끄럼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글자들 “abc”를 사용자에게 보일것이다. 사용자는 그리고 나서 상기 탓치민감표면 위에서 해당 미끄럼 동작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글자들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수정절차 동안에, 매번 사용자는 해당 선보인 단어(원하지않는)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글자 위치에서 원하는 단어의 정확한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조합된 입력정보(예를들면, 정보는 만약 사용자가 수정절차에서 현재의 소통작용을 제공한다면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될 텍스트와 추가의 정보에서 원하지 않는 단어를 선보이게 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어간들중 적어도 하나(바람직 하게는 모두 다)를 보여줄 것이며 그렇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단어들의 최소한 상기 단어들 중 최소한 한 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만약 장치가 탓치민감 표면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가 상기 표면 위에 누름/미끄럼 동작 같은 소통작용을 시작하는 수정작업 동안,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은 해당 방향/지역에서 상기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단어들/어간들의 하나 또는 모두를 보여준다.
각 방향에서의 단어의 위치 순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에서 가장 짧은 미끄럼 동작이 상기 방향에서 다른 단어와 관련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단어와 관련이 되도록(또는 그 반대) 서로에 관련된 사용의 빈도에 기초해있다.
실시예에서, 도27A는 탓치민감 표면(300006)을 가지고 있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3000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첫번째 키패드(1000)와 시스템의 단어 사전의 부위(300009)를 고려하여, 단어 "nice" 가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을 누름으로서 제공되었고 그 첫번째 글자(300008)이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었다.
이때,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기 전화기형 키패드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의 원칙에 기초하여 글자 “wxyz”에 관련된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하는 미끄럼 동작(300004)를 제공하기 시작 한다면, 시스템은 글자 “w”을 선택할 것이며 상기 방향으로의 미끄럼동작에 해당하는 단어의 모두(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단어 “wish”와 “wise”)를 보여줄 것이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미끄럼 동작의 시작 부위는 첫번째 단어에 해당하는데 여기에서는 “wish”단어이다. 만약 사용자가 미리정해진 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미끄럼동작을 계속한다면, 상기(좀 더 긴) 미끄럼동작은 다음 단어 “wise”와 관련될 것인데 이것은 이 실시예에서 단어 “wish” 보다도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다.
이때, 예를들어, 사용자가 탓치민감표면으로부터 그의 손가락을 제거한다면, 단어 “wise”는 입력되고 궁극적으로 자동으로 다음 글자 위치에서(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두번째) 다음 글자가 선택될 것이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글자들 ”jkl”을 가지는 키와 관련된 태핑동작과 관련된 단어는 상기 태핑동작의 지속에 의하여 선택될 것음을 기억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가상키패드모델이 전화기형키 패드라면 태핑동작에 제공되는 것 대신에, 상기 단어는 숫자 “1”에 관계된 키의 방향으로의 미끄럼동작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정절차를 진행하고 스크린을 탓치했을 때, 시스템은 상기 누름동작에 해당하는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 제공되는 미끄럼 동작의 모두에 해당하는 단어들 모두를 보여 줄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27B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위에 제공된 누름동작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해 선보이는 단어 " nice " 가 선보이고 있는 같은 장치(300000)을 보여주고있다.
이 때, 현재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사용자가 탓치민감표면의 점(300107)을 탓치하고/누른다면 시스템은 그 해당지역(예를 들면 점선안에 보여진)에 다른 방향에서 제공되는 미끄럼동작에 관계된 단어들을 보여 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들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애매모호한 키누름에 해당하는 사전의 단어들과 만약 사용자가 해당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을 제공한다면 제공될 위치(300108)에 선택된 글자에 해당하는 정확한 글자이다. 이 실시예에서, 선택된 글자위치는 첫번째 글자 위치이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의 계속된 기술로서, 도27C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로서, 단어 "nice"를 선보인 후에, 만약 사용자/시스템이 세번째 글자위치(300208)을 선택한다면, 그러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탓치민감 표면을 탓치했을 때, 그 모든 지역의 모든 각각에 있는 해당 단어들이 그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보여질 것이며 만약 사용자가 해당방향/지역에서 미끄럼동작을 제공한다면 제공될 세번째 글자위치(300208)과 관련된 정확한 글자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그 세번째 글자가 글자들 ”jkl” 과 관련된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키에 해당하는 그 단어 “duke”(300207)가 탓치점에 보여진다. 또한 예를 들어, 그 세번째 글자가 “pqrs” 글자들에 관계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에 해당하는 단어들인 “wish” , "push", "dish", "wise” 가 그들의 해당 지역/방향에 보여지며 그들의 우선권에 기초해서 정렬될 것이다.
그리고 등등
하나의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방금 기술된대로 상기 입력정보에 기초해서 탓치민감 표면을 탓치했을 때, 처음에는 중앙키에 관련된 해당 단어만이 보여질 것이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미끄럼동작을 시작한다면, 그러면 상기 미끄럼동작에 관계된 해당 단어들만이 보일 것이다.
수정절차동안 소통작용을 제공한 후에, 만약 조합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어간이 사전에 전혀 없다면, 그러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상기 방향에 정확한 글자를 보여줄 것이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선보인 단어를 보여 줄 것인데 여기서 선택된 글자 위치에서, 상기 정확한 글자가 해당 선보인 글자를 대체한다.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미끄럼동작의 길이에 기초하여 단어를 선택하는 것 대신에, 미끄럼동작은 어떠한 길이를 가질수 있으며 시스템은 타이머를 사용하여 해당 단어를 한 개씩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그들 중에 하나를 선택할수도 있게 할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만약 장치가 탓치민감표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러면 사용자가 정확한 글자를 선택하기 위해 두번째 키패드의 하드키(예를 들면)를 누른 후에 그리고 조합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스크린에 보이게 된 후에 사용자가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면 한 개 한개 또는 모두 한꺼번에)
같은 방법이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 미리 정해진 누름 동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수기호 또는 기능을 애매 모호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의 수정절차 동안(예를 들면 두개의 모드 사이에 스위칭을 위한 모드 키보다는 타이머를 사용하는) 사용될 수 있음을 기억하여야 한다 .
비록 미끄럼/태핑동작이 방금기술한 구체적 실시예들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었기는 하나, 매시간 사용자는 어떤 수단에 의해 선보인 단어들의 글자(또는 위치)를 선택하며, 시스템은 스크린상의 어떤 위치에서 그때까지(예를 들면, 상기 조합된 입력정보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된 애매모호한 키누름에 기초한 첫번째 입력정보, 정확한 글자들/글자들을 제공하는 추가의 입력 정보와 상기 글자 위치를 선택하는 것 등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조합된 입력 정보에 기초한 해당 단어의 하나 또는 전부를 보여 준다는 것과 사용자는 그들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어떤 수단들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사전의 단어는 몇 개의 단어들을 포함하는 구절 또는 복합단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럴 경우 언더스코어 또는 심지어 스페이스 문자와 같은 특수글자가 단어들 간의 분리자로서 사용될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만한다.
선택적으로, 스페이스글자와 같은 상기 특수글자는 또는 애매모호하게 첫번째 키패드의 애매모호한 키들의 하나에 애매모호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복합 단어에 해당하는 첫번째 입력정보를 제공할 때, 그는 상기 분리자를 포함하는 단어(복합의)의 글자들에 해당하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을 누를 것이다.
방금 기술한 구체적실시예는 서치엔진 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이름에 의하여 항목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항목의 이름은 복합 단어일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능력은 노래와, 영화 전화번호부의 이름 같은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것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미디어센터 피씨 같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과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에 의하여(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체적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그리고 두번째 키패드), 단독 표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텍스트나 또는 검색을 통한 엔터테인먼트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용도로 그리고 또한 텍스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만약 사용자가 그 제목으로 노래와 같은 항목을 검색하고자 한다면,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들에 따른 첫번째 키보드를 사용하여 그는 몇 개의 항목으로 선택범위를 좁히고 그런 다음 두번째 키보드를 통해서 단어들을 선보이는 본 발명의 수정절차의 원칙에 기초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키보드를 통해서 그들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가지 경우 들에서, 노래,영화 또는 사람의 이름의 제목과 같은 검색된 항목이 길때, 항목의 제목의 시작글자를 입력하는 것은 원하는 항목을 제공/선택하기 위해서 충분할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사용함에 의하여, 원한다면, 사용자는 원하는 항목의 시작 글자들과 같은 글자들의 최소한 몇 개를 입력할 수 도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시스템에 의해 선보인 선택들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로서, 노래의 제목과 같은 항목을 입력/검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최소 한도로 항목의 초기 글자들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발명의 수정절차를 진행시키고 예를 들면 원하는 항목의 그 정확한 글자에 해당하는 탓치 민감 표면 위에 태핑/미끄럼동작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첫번째 그리고 추가의 입력정보를 고려함에 의하여 그리고 필요하다면 단어 완성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노래의 제목 같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해당 항목을 선보일 것이다. 상기 항목들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미끄럼동작방향으로 인쇄될 것이며 미끄럼동작의 길이는 선택된 노래를 한정할 것이다.
노래의 제목을 입력하는 것은 다목적 엔터테인먼트시스템의 부분이 된다. 그러한 시스템의 실시예는 보여지고 이후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이 엔터테인목적으로 사용될 때,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의 각각의 모드는 시스템을 해당 엔터테인먼트 모드로 들어가께끔 하는 것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처음에 사용자는 시스템을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키 위에 오랜 누름동작과 같은 미리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함으로서 해당모드에 진입시킨다.
예를들어, 첫번째 키패드의 첫번째 키는 텍스트 입력모드에 해당한다. 첫번째 키패드의 두번째 키는 GPS(예를 들면 주소입력) 모드에 해당한다. 세번째 모드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네번째 키는 노래(검색)모드에 해당한다. 다섯번째 키는 영화(검색)모드에 해당한다. 여섯번째 키는 게임(검색)모드에 해당한다 등등. 통상적으로 각모드는 각보드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시스템을 원하는 모드, 예를 들면 노래검색모드에 진입시킨 후에,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노래의 제목 또는 가수 등등과 같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이들 문제는 각 다른 단계들로 제공될 것이며, 여기서 각 단계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번째 그리고/또는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할 것이다.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을 사용함에 의하여 노래와 같은 그가 원하는 항목의 글자들의 몇 개, 바람직 하게는 초기의 글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선택을 할 수가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항목들의 최소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음 단계에서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해서 무엇을 원하는지(예를 들면, 플레이, 복사, 누구에게 보내는 것 등등)를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단어 ”copy”에 해당하는 원하는 동작의 첫번째 글자를 애매모호하게 입력하기 위하여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그는 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을 제공함에 의해 두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해당 소통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자들”abc”에 해당하는 두번째 키패드의 키의 방향으로 미끄럼을 함으로서, 시스템은 글자 “c”가 처음인 단어”copy”를 보여 주게 될 것이다.
몇 개의 구체적실시예들에 의하면, 첫번째 및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예를 들면, 만약 그것이 높은 우선권을 가지고 있다면) “copy”라는 단어를 입력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하여 첫번째 키패드를 사용함이 없이 원하는 단어(동작)의 해당글자(예를 들면 첫번째의)의 방향으로 미끄러뜨릴 수 있다.
상기 첫번째 키패드 그리고/또는 두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몇 개의 해당항목(이름의)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서) 를 사용함에 의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은 상기 선택된 항목에 관계된 “playing”,”sending”, “copying”, 또는 다른 동작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28은 비틀즈의 노래들과 관련된 검색모드에 들어간 이후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시스템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처음에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의 해당키를 통해서 시스템을 노래를 검색하는 데에 진입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예를 들면 그룹 또는 가수 등등의 이름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단계를 통해서 비틀즈의 노래를 검색하는 곳에 진입시킨다.
상기 단계동안 사용자는 첫번째 그리고/또는 두번째 키패드(예를 들면 애매모호하게 이름을 입력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런 다음 만약 시스템에 의해 선보인 이름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를 사용할 것이다. 도28은 비틀즈의 노래들의 제목중 몇 몇 개의 관계된 데이터베이스의 예시적인 부위(301008)을 보여 주고 있다. 비틀즈의 노래들 중 검색을 좁힌 다음 사용자는 원하는 노래의 제목의 최소한의 부위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301051 , 301052 및 301054)을 누른다면, 상기 애매모호한 키누름은 비틀즈 노래의 제목들 중 네 개에 해당한다. 이때, 사용자는 다른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들 중 몇 개를 여기서 예시로서 기술한다.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의 원칙에 기초하여 민감 표면의 점을 탓치/누른다면, 만약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가 전화기형 키패드라면, 시스템은 제목이 “l”로서 시작하는 노래를 보여줄 것이다.
조합된 입력정보와 관련된 하나의 노래는 노래 “레이디마돈나”이다. 시스템은 스크린 위에 상기 제목(301001)을 보여 줄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탓치민감 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제거한다면, 시스템은 이 노래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글자 “abc”가 양도된 두번째 키패드의 키와의 소통작용에 관련된 미끄럼 동작(301002)를 제공한다면, 그러면 시스템은 그 첫번째 글자가 글자 “b”인 제목을 선택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 하나의 관련된 노래는 “bad to me”이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그것(301012)를 보여 줄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탓치민감 표면으로부터 그의 손가락을 제거한다면 시스템은 이 노래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글자 “ghi”가 제공된 키와의 소통작용에 관련된 미끄럼 동작(301003)을 제공하기 시작한다면, 그러면 시스템은 그 첫번째 글자가 글자”h”인 제목을 선택한다. 이 실시예에서, 두개의 관련된 노래가 있다. 시스템은 이들을 스크린 상의 미끄럼 동작(301003)의 방향으로 그들을 보여준다(301013,301023). 만약 사용자가 하나의 방법에 따른 탓치민감 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낸다면, 시스템은 미끄럼 동작의 길이에 기초한 상기 노래제목의 하나를 선택한다.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인터넷 또는 케이블tv 제공자 등에 유용한 것들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그리고/또는 외부데이타베이스에 만들어질 것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방금 기술한 원칙에 기초하여, 검색 인터페이스들의 많은 다양한 종류들이 동종업계의 사람들에 의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원하는 기호/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소통작용 그리고 검색의 몇 개의 단계를 요구하는데 여기서 각 단계는 본 발명의 첫번째 그리고/또는 두번째 키패드의 사용을 요구한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방법에 따르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몇 개의 단계를 가지는 대신에, 원하는 항목의 글자들 모두를 입력하는 것으로 구성된 직접검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노래의 제목과 같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대부분 경우 원하는 단어/텍스트는 첫번째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선보이게 된다.
선택적으로,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가 단어의 글자들 모두를 입력시키기 전에 시스템이 단어를 완성하는걸 돕도록 하는 단어 완성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선보인 단어가 원하는 단어가 아니라면, 그러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들에 따른 수정절차를 진행시키면 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만약 미끄럼동작 방향에서의 단어/항목/어간의 목록이 길다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방향으로의 몇 개의 미끄럼동작이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 미끄럼동작의 각각은 상기 단어들/항목들/어간들의 몇 개에 해당/포함할 것이다. 상기 단어들/항목들/어간들의 순서는 사용 빈도 수나 또는 알파벧 순서와 같은 미리 정해진 원칙에 따라 이루어질 것이다.
모드에 진입한 후에, 만약 사용자가 상기 모드에서 빠져 나가려 한다면, 사용자는 숫자 “1”이 제공된 두번째 키패드의 키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과 같은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숫자를 다이얼링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처음에 첫번째 키패드를 통해서 다이얼링모드에 진입하고 그런 다음 번호를 넣기 위해서 태핑/미끄럼동작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가 탓치 민감이 아니라 딱딱한 키들을 가지고 있다면 그러면 필요할 때, 타이머가 선보인 선택중의 하나를 선택하기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에 해당하는 특수기호는 예를 들면 그들의 명칭의 알파벧 순에서 기초한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호는 연속된 키들에게로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각키는 최소한 상기 기호의 하나를 가진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면, 만약 상기 키패드가 전화형 키패드라면) 그 명칭이 두번째 키패드의 키에 제공된 글자로 시작하는 명칭의 기호가 상기키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모드의 하나는 글자 “c”를 대표하는 키에 제공된 copy ,cut와 같은 해당 출원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붙이기와 같은 기능은 글자 “p”를 대표하는 키에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원칙이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검색절차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미끄럼 동작에 해당하는 글자로 시작하는 영화이름은 알파벧 순서로 사용자에게 선보인다.
전술한 대로,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단어입력 동안 또는 특수기호의 입력을 위한 모드 인스턴스 동안,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태핑/ 미끄럼동작을 상기 단어 또는 상기 특수기호의 입력에 관련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어나 또는 특수기호를 입력시키지 않을 때,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태핑/미끄럼동작은 기능과 같은 미리 정해진 기호에 관련된다.(예를 들면, 마우스기능, 해당장치의 운영시스템의 기능과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기능 등등). 예를 들면, 단어입력 또는 다른 모드 동안에 제공되지 아니한 미끄럼/스와이핑동작은 서류(예를 들면 페이징)의 다른 페이지들 사이를 이동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로서 스크린상의 키들과 같은 몇 개의 가상키 들을 사용하는 이점은 이미 설명하였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들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어서 상기 키들 아래에 스크린에 인쇄된 텍스트는 보일 수가 있다. 이 경우 가상키의 지역에서의 소통작용은 시스템으로서는 애매모호하다.
시스템은 상기 소통작용이 상기 가상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관련되어 있는지 또는 그것이 상기 키들 밑의 텍스트와의 소통작용에 관련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다. 다른 방법이 시스템에게 상기 지역에서의 상호 작용시에 사용자의 의사를 시스템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가상키들 위의 오직 짧은/긴 누름동작이 상기 키들과의 소통작용으로서 생각된다. 따라서, 가상키 상에 제공된 최소한 하나의 부위의 미끄럼 동작은 상기 키들과의 소통작용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실시예로서, 단어의 입력 동안에, 본 발명의 수정절차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의 최소한 한부위는 첫번째 키패드의 가상키 들중의 하나 위에 제공되며, 시스템은 상기 소통작용을 수정절차에 관련시킨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어 또는 다른 모드를 입력하는 과정에 있지 않을 때, 만약 사용자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가상 키위를 지나가는 미끄럼 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 동작을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관련시킬 것이다(예를 들면, 페이징 기능 등등과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
따라서,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이나 다른 모드에 있지 않을 때, 만약 사용자가 상기 키들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지나가는 미끄럼 동작의 초기에 가상키 위의 오랜 누름 동작을 제공한다면, 시스템은 상기 미끄럼 동작을 최소한 상기 가상키 아래 텍스트의 해당부위를 선택하는 마우스기능을 선택하는 텍스트와 같은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기능으로 관련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나의 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을 제공할 때, 상기 상호 작용에 관련된 기호는 최소한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하나 하나씩(예를 들면 앞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선보이게 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미끄럼 동작의 속도는 사용자에게 기호를 보여주는 속도를 규정한다(예를 들면, 그 들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선택하기 위해서). 만약 사용자가 그의 미끄럼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버리면, 시스템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기호의 순서(예를 들면 역순으로)를 바꿀 것이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만약 소통작용이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키에 주어져야 한다면, 상기 두번째 키패드의 중앙키와의 소통작용과 관련된 기호를 보여주고 선택하기 위해 같은 원칙(예를 들면, 속도, 앞으로/뒤로 등등)을 사용한 하나의 방향으로의 미끄럼 동작에 뒤 이은 긴 태핑동작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미끄럼동작(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은 하나의 글자 또는 가능과 같은 첫번째 기호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어지는 상기 방향으로의 추가의 미끄럼동작은 다른 기호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도21A를 고려함에 의하여, 시스템을 모드 인스턴스에 진입시킨 후에, 제공된 방향으로 한 차례 미끄럼 동작(294101)를 제공하는 것은 글자 “e”에 해당하며 같은 방향으로 더블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것은 글자 “e”에 해당하며 등등. 만약 사용자가 계속해서 두 개의 유사한 기호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해당 미끄럼 동작의 끝에, 그는 잠시 동안 탓치민감 표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그러면 시스템은 사용자가 표면으로부터 그 손가락을 뗄 때까지 미리 정해진 각각의 시간 지남에 상기 기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해당 미끄럼동작의 끝에, 사용자는 상기 모드와 인스턴스에서 빠져나와 상기 기호를 재입력하는 모드로 다시 들어갈 수 있다. 같은 원리가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검색 절차를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정절차동안, 키와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미끄럼 동작에 해당하는 글자로 시작되는 영화의 이름이 사용자에게 알파벧 순서로 선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7B의 실시예들 언급함에 의하여, 글자 “d”에 해당하는 키의 방향으로의 한 번의 미끄럼동작은 단어 “dish”에 해당하며 같은 방향으로의 더블 미끄럼동작은 단어 “duke”에 해당하고, 그리고 같은 방향으로의 세번의 미끄럼 동작은 단어 “dive”에 해당하며 그외 등등. 미끄럼동작의 각각은 한 개 이상의 기호에 해당한다는 것을 기억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앞서 언급한 대로, 미끄럼동작 그리고/또는 앞서 기술한 대로의 타이밍변수(예를 들면 타이머를 사용하는)는 미끄럼동작을 그의 해당기호와 관련시킨다.
소통작용의 어떤 형태도 한 방향으로의 미끄럼 동작을 대표하는 백터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예를 들면, 탓치민감표면위 하나의 위치에 첫번째 누름동작은 상기 벡터의 시작점을 규정하며(예를 들면 상기 처음 누름동작을 유지하는 동안) 그리고 탓치민감 표면의 다른 위치에서의 두번째 누름동작은 상기 벡터의 끝점을 규정한다.
명백히, 앞서 기술한 검색(미디어)은 다른 방법으로 설계되고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목표(예를 들면 영화나 음악과 같은 매체의 제목, 사람의 이름 등등) 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내에 유용한 미리 정해진 완전한 텍스트정보에 해당하는 최소한 한 개의 어간 그리고/또는 최소한 한 개의 단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해당 목표의 선택을 제공하고 그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만약 선택이 한 개의 목표보다 더 많은 것으로 이루어 졌다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된 사용자의 텍스트에 해당하는 목표가 오직 하나뿐일 때까지 더 많은 텍스트정보를 제공하거나(예를 들면 목표에 해당하는 더 많은 단어나 어간등) 또는 사용자는 선택에서 목표들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의 또 다른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방법들이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설계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스페이스 글자와 같은 단어의 끝 신호를 제공한 후에), 사용자는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예를 들면, 그 키를 사용하거나 또는 그 키들과 소통작용하는 것을 복제하기 위한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것) 하여 시스템에게 선택내 타켓의 첫글자를 알릴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선택에서 하나의 타켓만이 남을 때까지 타켓의 다음 글자들을 위해 같은 절차를 계속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에 따르면, (단어끝 신호를 제공한 후에) 첫번째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미끄럼동작은 시스템에게 선택에서 다음 타켓을 선택하도록 알리며 두번째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미끄럼동작은 시스템에게 선택에서 이전 타켓을 선택하도록 알린다 또는
세번째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술된 첫번째 및 두번째 방법은 단어끝 신호를 요구하지 않는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켓에 해당하는 단어입력 동안에, 만약 사용자가 두번째 키패드의 글자 키들의 하나에 해당하는 미끄럼동작을 제공한다면, 그러면 상기 미끄럼동작은 본 발명의 단어수정절차에 해당하며 만약 미끄럼 동작이 두번째 키패드의 글자키들의 어떤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다면, 각 미끄럼동작의 각각은 선택 안의 하나의 타켓(예를 들면, 다음 또는 이전) 내의 이동 그리고 또는 선택하는 이동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아래로의 또는 왼쪽 아래로의 긴 미끄럼 동작은 선택에서 다음 타켓에 해당한다. 그리고 위로 또는 오른쪽 위로의 긴 미끄럼동작은 선택에서 이전 타켓에 해당한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점과 마우스 같은 선택 방법을 사용하거나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타켓들 사이에서 이동하기위한 스크롤링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계속된 기술로, 바람직하게는, 매번, 사용자는 정확한 글자(예를 들면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른 단어/어간을 선보이게 하는 것)를 제공하기 위하여 새 글자를 추가하거나 본 발명의 수정절차를 제공할 때, 시스템은 따라서 선택(선보일)을 업그레이드한다.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단어 입력 동안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글자키 위에 태핑, 또는 글자키에 해당하는 미끄럼) 본 발명의 수정절차에 해당하며 단어입력이 아닌 동안에 두번째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선택에서 목표들의 하나를 고르거나 이동하는 것에 해당한다.
실시예로서, 도29A는 컴퓨터 또는 TV와 같은 장치 스크린을 보여준다. 실시예로서, 스크린은 다른 지역 즉 노래 제목과 같은 미디어를 검색하기 위해 키워드를 입력하기위한 첫번째 지역(30200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해 보여지는 제목의 선택을 인쇄하는 두번째 지역(302002), 선택에서 첫번째 제목의 카버페이지를 보여주는 세번째 지역(302003) 을 가지는 미디어 검색 인터페이스(302000)을 보여주고있다.
실시예에서,
도29A는 첫번째 검색키워드로서 단어 “rain” (302004)가 입력(첫번째 키패드의 해당키를 누르고 수정절차동안 짧은 미끄럼동작(302009)를 제공함에 의하여 ) 된 후의 인터페이스(302000)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제목의 선택은 지역(302002)에 나열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첫째 제목은 강조되어 있고 그 카버는 지역(302003)에 보이고 있다. 앞서 언급된 대로, 제목 “Have you ever sin the rain”와 같은 다른 제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다른 선택을 해야 한다.
첫번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노래단어 “ever”의 추가 단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키워드를 가진 하나의 제목은 원하는 제목 "'Have you ever seen the rain'" 이다. 시스템은 그것을 선택했다.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스템이 이 실시예에서 원하는 제목인 여섯번째 제목에 도달할 때까지 제목들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다섯배의 긴 미끄럼동작(예를 들면 밑으로)을 제공하고 선택하고/강조할 수 있다.
도29B에 도시된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글자 “ghi”를 가지는 두번째 키패드(전화기형)의 키와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짧은 미끄럼 동작(29109)를 제공할 수 있다.
도29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단어 “rain”을 가지고 있으며 글자 “ghi” 중의 하나로 시작되는 제목들(302101)을 제공하면서 첫번째 제목을 강조한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긴 아래로의 미끄럼 동작(302109)는 시스템에게 목록에서 다음 제목인 원하는 제목 "have you ever seen the rain"를 선택하도록 알리게 된다.
언급된대로,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시스템은 많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게임(배우는)에서 사용될 수 도 있는데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 위에 글자의 위치의 배움을 쉽게하고 가속화할수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게임의 실시예로서, 도30A는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의 네개의 글자키들을 대표하는 네개 대포(303001 에서 303004)를 나타내고있다. 그것은 또한 하늘(303005)와 바다(303006)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게임을 시작한후, 단어/어간(303008)을 포함한 열기구(303007)가 하늘(303005)로 부터 바다(303006)로 하강한다. 이 때, 사용자는 대포(303001)을 누르거나 단어(303008)의 첫번째 글자와 관련된 것(예를 들면, 상기 대포에 해당되는 버튼 )을 누른다
만약 사용자가 옳은 대포/버튼을 사용한다면, 그러면 시스템은 단어/어간의 첫번째 글자를 향해 탄환을 발사하고 도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자를 파괴하며 시스템은 상기 단어(303108)의 남아 있는 글자들을 보여준다. 만약 단어가 한글자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단어 전부가 파괴될 때까지 단어의 후속글자들에 해당하는 버튼들/대포들을 누른다. 이때, 열기구는 바람직하게는 하늘을 향해서 올라가고, 일반적으로 다른 단어/어간을 포함하는 열기구가 하늘로부터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는 그 절차 등등을 제공한다.
도30A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열기구가 바다(303006)에 도착하기 전에 글자들의 모두를 쏘아야 한다. 만약 열기구가 모든 글자가 파괴되기 전에 바다에 도착한다면, 사용자는 “성공못함”(또는 부정) 점수(303012)를 받게 된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글자를 쏘는 동안, 만약 사용자가 잘못된 대포/버튼을 사용한다면 그러면 탄환은 열기구 자신을 쏘게 되고 그것은 파괴되어 바다로 떨어지는 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성공못한” (부정)점수(303012)를 얻게된다.
사용자가 글자/어간의 글자들 모두를 쏘는데 성공할 때마다, 시스템은(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된 시간의 지나감에 의존하여) 성공(예를 들면 긍정) 포인트를 사용자의 점수(2020011)에 제공/추가하며 사용자가 글자/어간의 글자 모두를 쏘는데 성공하지 못할 때마다, 시스템은 “성공못함” 점수(303012)를 제공/추가하며 또는 대안적으로 성공함 점수 (303011)에서 점수를 빼게 된다.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따라서 게임에 의해 사용된 다른 변수를 규정하기 위한 다른 메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열기구가 밑으로 하강하는 다른 속도나 또는 단어/어간의 다른 길이(예를 들면 글자 수)가 게임을 초보자나 전문가 등등에 맞추기 위하여 게임의 쉬움 또는 어려움의 다른 레벨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대로, 다른 방법이 본 발명의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을 복제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미끄럼 동작 대신에, 트랙볼(예를 들면 마우스트랙볼) 이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실시예로서, 트랙볼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글자 “mno”가 제공된 전화기형 키패드의 키들과의 소통작용에 해당한다.
그밖에
본 발명이 구체적 실시예들에 따른 첫번째 및 두번째 키패드는 키들의 어떤 숫자, 키들의 어떤 형태, 그 키들의 기호의 형태, 키들의 형태(딱딱하고, 부드럽고, 스크린상의 등등) 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첫번째 키패드는 키들의 두 집단으로 나뉘어진 8개의 키들(예를 들면 여기서 각 집단은 두 개의 글자키들을 포함하고 있다) 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4개의 글자 키들) 장치의 대향측에 위치 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기호들은 어떤범주(예를 들면 임의의) 등등의 기초로 된 집단의 어떤 수로 집단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두번째 키패드의 특수글자는 주로 같은 키에 제공되어 있는데 그러므로 사용자는 쉽게 그들의 위치를 기억할 수 있다.
만약 두번째 키패드가 표준 전화기형 키패드라면, 상기 특수기호는 숫자 “1”이 제공된 키들에게 제공되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특수기호는 또는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과 두번째 키패드의 키들(바람직하게는 )이 최대한 하나의 공통 특수기호를 가지도록 그렇게 첫번째 키패드의 키들에게 제공 되어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들이 다른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다른 형태와 방법에 관련되어 있기는 하나 그 방법들과 형태들이 어간과 숫자 데이터와 같은 다른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키들의 첫번째 및 두번째 집단이 실질적으로 딱딱한 키 또는 부드러운 키들 또는 딱딱하고 부드러운 키들의 조합일 어떤 적당한 키들을 포함할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여야한다. 그 키들은 여러가지 형태로 조직화될 수 있고 글자와 기호는 어떤 적당한 방법으로 키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기호들은 어떤 (예를 들면 임의의) 범주의 기호 모드들의 어떤 수로 집단화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키들의 첫번째 집단은 두번째 집단보다도 더 적은 키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키들의 첫번째 집단이 텍스트를 입력시키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키 라는 단어는 입력신호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것은 또한 압력센서, 열센서, 가속센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광학시스템, 손가락캡 그리고 센서를 구비한 장갑 을 포함하는 손가락동작을 표상하는 어떤 장치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구체적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들의 스위핑 제스처는 내부의 또는 외부의 탓치 스크린과 마우스패드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탓치민감 표면을 사용하여 식별된다.
대안적으로, 스위핑 제스처는 전자 스타일러스, 가속센서, 그리고 또는 사용자 손가락 움직임을 식별하기위한 다른 센서에 의해 식별된다. 센서는 표면위에서, 손가락캡위에서 장갑위에서, 그리고/또는 다른 적당한 장착물 위에 장착될 수 있다. 키들과 탓치스크린은 같은 하우징 내에서 프로세서와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유닛에게 유선으로 또는 무선을 통해서 연결된 별도의 유닛 안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핑 제스처는 공기중에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카메라나 가속센서와 같은 적당한 센서에 의해 탐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 개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 데이터 입력시스템은 사용자가 데이터입력 동안 스크린을 볼 필요가 없도록 입력된 글자나 기호 그리고/또는 현재의 기호모드에 대해 신디사이저된 음성피드펙을 제공하기 위해 장착된다.
상기 기재가 라틴 알파벧에 관련하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근본원리는 다른 알파벧에도 시행될 수 있다.
두번째 키패드의 특수기호는 주로 같은 키에 제공될 수 있는데 그렇게 하여 사용자는 쉽게 그 위치을 기억할 수 있다. 만약 두번째 키패드가 표준 전화기형 키패드라면, 상기 특수기호는 숫자 “I”가 제공된 키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구체적 실시예의 어떤것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모바일폰, 전화기, PDA 컴퓨터 및 다른 장치를 포함될 수있다.
특허출원을 통해, 실시예 형태 및 키들, 키패드, 민감표면. 상기 수단의 수, 그들의 배열, 태핑/미끄럼과 같은 소통작용, 강하고, 부드럽고, 짧고 긴 소통작용 방법, 두 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과 같은 그들의 조합, 또는 키를 누르는 것 그리고 미끄럼동작을 제공하는 것 등, 글자나 특수기호, 기능 등등 같은 기호의 입력을 위한 실시예의 형태와 방법이 본 발명의 원리를 기술하기 위해 여러가지 다른 구체적실시예를 통해 사용되었는데 확실히, 상기 형태와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점을 나타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명백히, 그러한 형태와 방법은 교환되고 그리고/또는 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다른 형태와 방법이 동종업계의 일반 기술자에 의해 고려되고 사용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만약 미리 정해진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소통작용이 기능 같은 미리 정해진 기호에 제공되도록 기술된다면, 확실히, 그러한 상황에서 소통작용은 동종의 업종의 일반기술자에 의해 또 다른 기능과 같은 또다른 미리정해진 기호에 제공될 수 가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실시예에 적용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형태가 보여지고 기술되고 지적되었으나, 역시 여러 가지의 형식적인 면에서의 생략, 대체 그리고 변화 그리고 기술된 본발명의 상세는 본 발명의 원리를 사용함에 의한 범위내에서 동종업계의 일반기술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기술된 것은 제한적으로 . 도면은 필수적으로 그 크기에 대한 것은 아니며 또는 그것들은 단순히 본래의 개념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다. 예들 들어 이 특허출원에서 키들이 입력수단으로 명명되고 보여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입력수단 예들 들면 사용자 손가락, 장갑과 같이 사용된 센서, 손가락 캡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어떤 미리 정해진 예를 들면 미끄럼동작, 다른 지속동작, 그리고 /또는 다른 누름수준과 같은 입력신호의 여러 형태는 참고로서 여기에 통합되어 잇는 이스라엘 특허출원과 PCT출원에 기재된 것들의 어떤 것을 포함한 첫번째세트 그리고 또는 두번째 키세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 들 특허문서에 기술된 어떠한 형태도 상기 기술된 구체적 실시예들의 어떠한 것에도 부가될 수 있다.
1000 : 첫번째 키패드 1010: 두번째 키패드
Claims (7)
-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시키기 위한 탓치민감패드, 사용자 제스처가 가상 키패드의 키들에 해당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상키패드를 상기 탓치 민감 패드에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입력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단어예측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를 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입력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패드는 휴대폰형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제스처를 휴대폰 형 키패드의 중앙키에 제공하는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탓치 민감 패드는 다수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은 각기 다른 모드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사용자 제스처는 각기 다른 모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L196898A IL196898A0 (en) | 2009-02-04 | 2009-02-04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196898 | 2009-02-04 | ||
IL196933 | 2009-02-05 | ||
IL196933A IL196933A0 (en) | 2009-02-05 | 2009-02-05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196969A IL196969A0 (en) | 2009-02-09 | 2009-02-09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196969 | 2009-02-09 | ||
IL197861A IL197861A0 (en) | 2009-03-26 | 2009-03-26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197861 | 2009-03-26 | ||
IL198068A IL198068A0 (en) | 2009-04-07 | 2009-04-07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198068 | 2009-04-07 | ||
IL199258 | 2009-06-09 | ||
IL19925809 | 2009-06-09 | ||
IL199466 | 2009-06-21 | ||
IL19946609 | 2009-06-21 | ||
IL199947A IL199947A0 (en) | 2009-07-19 | 2009-07-19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199947 | 2009-07-19 | ||
IL200428 | 2009-08-16 | ||
IL200428A IL200428A0 (en) | 2009-08-16 | 2009-08-16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200513 | 2009-08-20 | ||
IL200513A IL200513A0 (en) | 2009-08-20 | 2009-08-20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201089A IL201089A0 (en) | 2009-09-21 | 2009-09-21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201089 | 2009-09-21 | ||
IL202245A IL202245A0 (en) | 2009-11-19 | 2009-11-19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IL202245 | 2009-11-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976A true KR20120006976A (ko) | 2012-01-19 |
Family
ID=4254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0690A KR20120006976A (ko) | 2009-02-04 | 2010-02-04 | 데이타입력시스템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291940A1 (ko) |
EP (1) | EP2394208A1 (ko) |
JP (1) | JP2012517061A (ko) |
KR (1) | KR20120006976A (ko) |
AU (1) | AU2010212022A1 (ko) |
CA (1) | CA2749916A1 (ko) |
IL (1) | IL214139A0 (ko) |
RU (1) | RU2011134935A (ko) |
SG (1) | SG177239A1 (ko) |
WO (1) | WO201008974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52119B2 (en) | 2013-05-23 | 2017-05-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ased on ges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24246B2 (en) | 2009-03-30 | 2016-08-23 | Touchtype Ltd.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
GB0905457D0 (en) | 2009-03-30 | 2009-05-13 | Touchtype Ltd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
US10191654B2 (en) * | 2009-03-30 | 2019-01-29 | Touchtype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
US8621380B2 (en) | 2010-01-06 | 2013-12-31 | Apple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enabling or disabling soft buttons |
US9285988B2 (en) * | 2010-04-20 | 2016-03-15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display with variable repeat rate |
JP5782699B2 (ja) | 2010-10-15 | 2015-09-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9141285B2 (en) | 2010-11-05 | 2015-09-22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
US8587547B2 (en) * | 2010-11-05 | 2013-11-19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
US20120162086A1 (en) * | 2010-12-27 | 2012-06-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
WO2012098544A2 (en) | 2011-01-19 | 2012-07-26 | Keyless Systems, Ltd.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US9092132B2 (en) | 2011-01-24 | 2015-07-2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
US10365819B2 (en) | 2011-01-24 | 2019-07-30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
US20130067411A1 (en) * | 2011-09-08 | 2013-03-14 | Google Inc. | User gestures indicating rates of execution of functions |
CN102298465B (zh) | 2011-09-16 | 2018-10-16 |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 一种触摸屏的点击、定位操作的实现方法和装置 |
US8478777B2 (en) * | 2011-10-25 | 2013-07-02 | Google Inc. | Gesture-based search |
US8490008B2 (en) | 2011-11-10 | 2013-07-16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
US9310889B2 (en) | 2011-11-10 | 2016-04-12 | Blackberry Limited |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
US9122672B2 (en) | 2011-11-10 | 2015-09-01 | Blackberry Limited |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
JP2013137614A (ja) * | 2011-12-28 | 2013-07-11 | Nintendo Co Ltd |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CA2789827C (en) | 2012-01-19 | 2017-06-1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
CN103380407B (zh) | 2012-02-24 | 2017-05-03 | 黑莓有限公司 | 在触摸屏键盘与候选字母靠近关联的分区中提供词预测的触摸屏键盘 |
US10025487B2 (en) * | 2012-04-30 | 2018-07-17 | Blackberry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US9116552B2 (en) | 2012-06-27 | 2015-08-25 | Blackberry Limited |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
US9063653B2 (en) | 2012-08-31 | 2015-06-23 | Blackberry Limited | Ranking predictions based on typing speed and typing confidence |
US8782549B2 (en) | 2012-10-05 | 2014-07-15 | Google Inc. | Incremental feature-based gesture-keyboard decoding |
US9021380B2 (en) * | 2012-10-05 | 2015-04-28 | Google Inc. | Incremental multi-touch gesture recognition |
US8701032B1 (en) | 2012-10-16 | 2014-04-15 | Google Inc. | Incremental multi-word recognition |
US8850350B2 (en) | 2012-10-16 | 2014-09-30 | Google Inc. | Partial gesture text entry |
US8843845B2 (en) | 2012-10-16 | 2014-09-23 | Google Inc. | Multi-gesture text input prediction |
US8819574B2 (en) | 2012-10-22 | 2014-08-26 | Google Inc. | Space prediction for text input |
US9703389B2 (en) * | 2012-12-24 | 2017-07-11 | Peigen Jiang | Computer input device |
US8832589B2 (en) | 2013-01-15 | 2014-09-09 | Google Inc. | Touch keyboard using language and spatial models |
US9081500B2 (en) | 2013-05-03 | 2015-07-14 | Google Inc. | Alternative hypothesis error correction for gesture typing |
JP5971430B2 (ja) * | 2013-11-05 | 2016-08-1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タッチ式入力装置 |
KR102177607B1 (ko) * | 2014-05-16 | 2020-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CN105335083A (zh) * | 2014-08-01 | 2016-02-17 | 联芯科技有限公司 | 一种输入方法及装置 |
CN105260124B (zh) * | 2015-11-22 | 2018-04-20 | 韩祯 | 六按键汉字及英文触摸屏滑行输入方法 |
CN107037888B (zh) * | 2016-02-03 | 2022-04-26 |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用于输入的装置 |
CN107506130B (zh) * | 2017-07-17 | 2022-03-0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文字删除方法及移动终端 |
JP2019021108A (ja) * | 2017-07-19 | 2019-02-07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US10453560B2 (en) * | 2018-01-30 | 2019-10-22 | Perkinelmer Informatics, Inc. | Context-aware virtual keyboard for chemical structure drawing applications |
KR20210024991A (ko) * | 2018-03-27 | 2021-03-08 | 비제토 인크.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CN110765736B (zh) * | 2019-09-25 | 2022-01-14 | 联想(北京)有限公司 | 数学表达式输入方法、装置及移动设备 |
CN111338556B (zh) * | 2020-02-25 | 2023-12-19 | 韦季李 | 输入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88685A (en) * | 1993-01-27 | 1996-01-30 | Apple Comput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sual cues in a graphic user interface |
EP1171813B1 (en) * | 1999-03-18 | 2003-06-04 | 602531 British Columbia Ltd. | Data entry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s |
US7293231B1 (en) * | 1999-03-18 | 2007-11-06 | British Columbia Ltd. | Data entry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s |
US7030863B2 (en) * | 2000-05-26 | 2006-04-18 | America Online, Incorporated | Virtual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
AU780674B2 (en) * | 1999-10-27 | 2005-04-07 | Keyless Systems Ltd. | Integrated keypad system |
US7007281B2 (en) * | 2001-05-22 | 2006-02-28 | Sun Microsystems, Inc. | Heuristic for generating opposite information for inclusion in focus events |
US7038659B2 (en) * | 2002-04-06 | 2006-05-02 | Janusz Wiktor Rajkowski | Symbol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
US20030231168A1 (en) * | 2002-06-18 | 2003-12-18 | Jory Bell | Component for use as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pointing device in a modular computing system |
JP4215549B2 (ja) * | 2003-04-02 | 2009-01-28 | 富士通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モード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モードで動作する情報処理装置 |
CA2522604A1 (en) * | 2003-04-18 | 2004-11-04 | Benjamin Firooz Ghassabian |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
AU2005253600B2 (en) * | 2004-06-04 | 2011-01-27 | Benjamin Firooz Ghassabian |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
GB0505941D0 (en) * | 2005-03-23 | 2005-04-27 | Patel Sanjay | Human-to-mobile interfaces |
US8564544B2 (en) * | 2006-09-06 | 2013-10-22 | Apple Inc.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
US8201087B2 (en) * | 2007-02-01 | 2012-06-12 | Tegic Communications, Inc. | Spell-check for a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
US8059101B2 (en) * | 2007-06-22 | 2011-11-15 | Apple Inc. |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
US8065624B2 (en) * | 2007-06-28 | 2011-11-22 | Panasonic Corporation |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
-
2010
- 2010-02-04 EP EP10738278A patent/EP239420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2-04 KR KR1020117020690A patent/KR201200069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2-04 RU RU2011134935/08A patent/RU2011134935A/ru unknown
- 2010-02-04 JP JP2011548844A patent/JP2012517061A/ja active Pending
- 2010-02-04 AU AU2010212022A patent/AU20102120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2-04 CA CA2749916A patent/CA27499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2-04 SG SG2011079423A patent/SG177239A1/en unknown
- 2010-02-04 US US13/146,203 patent/US2011029194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2-04 WO PCT/IL2010/000098 patent/WO201008974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7-18 IL IL214139A patent/IL214139A0/en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52119B2 (en) | 2013-05-23 | 2017-05-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ased on ges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L214139A0 (en) | 2011-08-31 |
AU2010212022A1 (en) | 2011-08-11 |
JP2012517061A (ja) | 2012-07-26 |
RU2011134935A (ru) | 2013-03-10 |
US20110291940A1 (en) | 2011-12-01 |
SG177239A1 (en) | 2012-02-28 |
WO2010089740A1 (en) | 2010-08-12 |
CA2749916A1 (en) | 2010-08-12 |
EP2394208A1 (en) | 2011-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06976A (ko) | 데이타입력시스템 | |
US7170496B2 (en) | Zero-front-footprint compact input system | |
US7898527B1 (e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tilizing a reduced number of selectable inputs | |
CN101427202B (zh) | 一种提高文字输入速度的处理方法和装置 | |
KR20120107110A (ko) |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00225591A1 (en) | Highly compact keyboards | |
KR20110057158A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WO2006052858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 |
WO2003083632A2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ingle-handed data entry | |
JP2010538347A (ja) | 改善されたデータ入力システム | |
US20170228123A1 (en) | Features ofa data entry system | |
US20050066291A1 (en) | Manual user data entry method and system | |
CN102741784A (zh) | 一种数据输入系统的特征 | |
KR101426843B1 (ko) |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 |
CN102405456A (zh) | 数据输入系统 | |
KR100846042B1 (ko) |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 |
JP3899337B2 (ja) |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JP2013219638A (ja) | 文字入力方法と装置 | |
KR20100025628A (ko) |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 |
KR101312875B1 (ko) | 데이터 입력 시스템 | |
Bhatti et al. | Mistype resistant keyboard (NexKey) | |
WO202426154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logograms into an electronic device | |
KR20090119184A (ko) |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 |
KR20060093264A (ko) | 한자 입출력 장치 | |
Laitinen | Two one-handed tilting-based writing techniques on a smart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9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