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6726A - Coupling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s Using Shear Connector-shaped Fixing Members and Composite Beams accordingly - Google Patents

Coupling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s Using Shear Connector-shaped Fixing Members and Composite Beams according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26A
KR20120006726A KR1020100067357A KR20100067357A KR20120006726A KR 20120006726 A KR20120006726 A KR 20120006726A KR 1020100067357 A KR1020100067357 A KR 1020100067357A KR 20100067357 A KR20100067357 A KR 20100067357A KR 20120006726 A KR20120006726 A KR 2012000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lange
deck plate
flange
stee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2179B1 (en
Inventor
박금성
배규웅
곽명근
이상섭
허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179B1/en
Publication of KR2012000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되어 층고 절감이 가능한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부 플랜지의 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and 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deck plate using a fixed member that can be stored in a layer height is coupled to the suspended form of the steel plat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includes a steel 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web, and a lower flange;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flang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at the same time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ane of the upper flange; And a deck plate o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Description

전단연결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되어 층고 절감이 가능한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using a fixing member and a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above, and specifically,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coupling using a fixing member that can be reduced in height by combining the deck plate suspended in the steel beam It relates to a structure and thus a composite beam.

합성보(Composite Beam)는 강재 보가 콘크리트로 완전하게 감싸진 형태의 매입형 합성보와 강재 보의 상부에 슬래브를 합성시킨 노출형 합성보로 대별된다. Composite beams are roughly divided into embedded composite beams in which the steel beams are completely covered with concrete, and exposed composite beams in which a slab is synthesized on top of the steel beams.

도 9a에 도시된 매입형 합성보는 규준에서 정한 피복 두께를 만족하면 별도의 전단 연결재가 없어도 완전합성 거동을 하지만 시공성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If the embedded composite beam shown in Fig. 9a satisfies the coating thickness defined in the norm, the composite composite behaves perfectly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shear connector but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economics.

이에 비하여 도 9b에 도시된 노출형 합성보는 강재 보의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여 모멘트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높은 내하성능 및 강성을 가지면서 경량으로 비교적 장스팬에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데크플레이트가 사용된 합성슬래브가 함께 시공되면 별도의 가설재가 요구되지 않아 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강재 보의 상부에 슬래브가 시공되므로 층고가 증가하고 내화피복, 강재 보 상부 압축플랜지와 웨브에 국부 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exposed composite beam shown in FIG. 9B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a relatively long span at a light weight while having high load carrying capacity and rigidity in a manner of maximizing moment performance by constructing a concrete slab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eam.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e slab with the deck plate is used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struction properties can be greatly improved because a separate temporary material is not required. However, since the slab is constru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ea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yer height increases and local buckling may occur in the fireproof coating, the upper compression flange of the steel beam and the web.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9c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 슬래브를 강재 보의 춤 내에 시공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 슬래브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또는 속이 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형태로 만들어지고 이와 같은 바닥 슬래브의 지지를 위하여 강재 보의 하부 플랜지 폭을 확대하여 강재 보가 비대칭 형태가 되도록 하는 슬림 플로어(Slim Floor) 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슬림 플로어 시스템은 적용 가능한 슬래브 시스템의 춤이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스팬(span)이 한정되므로 다양한 건축 구조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ure 9c, the floor slab is made in the form of a deep deck plate or hollow precast concrete slab so that the floor slab is constructed in the steel beam dance, such a floor slab Slim floor method was developed to enlarge the bottom flange width of steel beams to make the steel beams asymmetrical. However, the slim floor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various architectural structures because the dance of the applicable slab system is limited and thus the span is limi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플레이트의 구성 재료인 아연도금 강판의 인장 등의 물리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얹히는 데크플레이트 보다 단부에서 집중하중으로 인한 국부좌굴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현장 거치 및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수렴이 가능하고 별도의 전단 연결재가 필요 없어 물량 감소 및 시공성 증가,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으며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합성용 보에도 쉽게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lly reflect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of galvanized steel sheet, which i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deck plate, and excellent local buckling prevention effect due to concentrated load at the end than the deck plate to be mounted, and may occur during site mounting and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converge the error,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hear connection material, which reduces the quantity, increases the constructability, shortens the air, and makes it easy to mount and install it on the composite beam placed in the inclined direction. It is to provide a bonding structure and a composite beam accordingly.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부 플랜지의 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comprises a steel 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web and a lower flange;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flang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at the same time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ane of the upper flange; And a deck plate o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강재 보는 H형강 보가 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beam is an H-beam.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상부 플랜지의 위쪽 평면 또는 아래쪽 평면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lane or the lower plane of the upper fl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꺾인 막대 형상 또는 T자 형상이 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has a curved bar shape or a T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웨브의 한쪽 끝에서 꺽여 상부 플랜지와 평행한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꺾여 상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측벽의 끝에서 상부 플랜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날개를 가진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 날개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지지 날개의 평면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is bent at one end of the top flange, the web and the web and vertical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and bottom surfaces parallel to the top flange. A steel beam comprising a lower flange having a side wall extending in a direction and a support wing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flange at an end of the side wall;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wing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at the same time protruding upward in the plane of the support wing; And a deck plate o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지지 날개의 위쪽 평면 또는 아래쪽 평면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lane or the lower plane of the support w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H형강 보와 상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고 H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에 면에 수직하게 웨브가 결합되는 T형강 보로 구성되는 형강 조립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T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T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지지 날개의 평면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is composed of an H-beam 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web and a lower flange, an upper flange and a web, and perpendicular to a plane of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beam. A steel beam assembly consisting of a T-beam having a web coupled thereto;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T-beams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of the T-beams, while simultaneously protruding upwards in the plane of the support wing; And a deck plate o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합성보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에 위쪽으로 돌출되는 수직 연장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를 매개하여 데크플레이트가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매달린 구조가 되고 데크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고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 위에 일체로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beam is suspended by a deck plate from the upper flange to the lower flange by means of a fixing member having a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in the steel beam consisting of the upper flange,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It includes a slab concrete that is structured and filled in the spaces between the deck plates and which is cast integrally over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eam.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는 일반 철골조에 비하여 층고가 낮아 수직 구조 부재와 외장재의 절감이 가능하면서 층고 절감으로 인하여 높이가 제한된 건축물에 적용되어 층수 증가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시공 관점에서 시공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면서 전단 연결재가 설치되지 않으면서 합성 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는 경량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높은 성능의 내화성능 확보가 가능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구조적 통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장스팬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floors are applied to the building is limited in height due to the floor height reduction while reduc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structural member and the exterior material compared to the normal steel fra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on and have a merit of synthesizing without the shear connector. 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a high performance of fire-resistant performance and to ensure the structural integration secured while being made of a lightweight struct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long span structur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가 강재 보에 고정되는 방법, 데크플레이트 및 강재 보에 데크 플레이트가 결합된 결합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고정 부재가 상부 플랜지의 위쪽 평면의 양쪽 부분에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고정 부재가 상부 플랜지의 아래쪽 평면의 양쪽 부분에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가 제조되는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고정 부재가 결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고정 부재가 결합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형강 조립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강재 보에 긴장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강재 보의 웨브에 콘크리트를 합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공지된 합성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Figures 1a, 1b and 1c respectively show an embodiment of the method of fixing the fixing member to the steel beams, the deck plate and the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the steel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how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both portions of the upper plane of the upper flange.
4A and 4B show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both portions of the lower plane of the upper flange.
Figure 5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ld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 is manufactured, respectively.
Figure 5b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orm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
Figure 5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eck plate is coupled to the form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s.
6A and 6B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 formed steel plate assembled steel beam.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deck plate is fixed to the steel beam assembly steel beam.
FIG. 8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 member is disposed in a steel beam, and FIG. 9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synthesized in a web of the steel beam.
9a to 9c show examples of known synthetic beams.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presented are illustrativ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가 강재 보에 고정되는 방법, 데크플레이트 및 강재 보에 데크 플레이트가 결합된 결합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Figures 1a, 1b and 1c respectively show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fixing the fixing member to the steel beam, the deck plate and the coupling structure coupled to th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의 (가), (나) 및 (다)는 강재 보(11)에 고정 부재(12)가 결합된 단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A), (b) and (c) of FIG. 1A show a cross-sectional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in which the fix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steel beam 11.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결합 구조는 상부 플랜지(111), 웨브(113) 및 하부 플랜지(112)로 이루어진 강재 보(11);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플랜지(111)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플랜지(111)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부 플랜지(111)의 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12); 및 바닥면(132)이 고정 부재(12)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13)로 이루어진다. 1A, 1B and 1C, the coupling structure includes a steel beam 11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111, a web 113, and a lower flange 112; A fixing member 12 having a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1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111 and at the same time protrudes upward from the plane of the upper flange 111; And a deck plate 13 on which the bottom surface 132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2.

강재 보(11)는 상부 플랜지(111), 하부 플랜지(112) 및 웨브(113)로 이루어진 H형강 보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합성보용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형태의 강재 보가 될 수 있다. 강재 보(11)의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는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이 될 수 있다. The steel beam 11 may be an H-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111, a lower flange 112, and a web 1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type of steel beam used for composite beams. The upper flange 111 and the lower flange 112 of the steel beam 11 may be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shape.

다수 개의 고정 부재(12)는 일정 간격으로 상부 플랜지(11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는 데크플레이트(13)를 강재 보(11)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결합 구조에 합성작용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부재(12)는 단면이 사각형이 되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1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수평 부분(1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부분(121)과 수직 부분(122)은 반드시 직각을 이룰 필요가 없고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별개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수평 부분(121)은 상부 플랜지(111)로부터 상부 플랜지(1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고 그리고 수직 부분(122)은 수평 부분(121)에 연결되어 수평 부분(121)으로부터 상부 플랜지(111)의 위쪽 평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의 수평 부분(121)은 강재 보(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상부 플랜지(1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다수 개의 고정 부재(11)는 꺾인 막대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 플랜지(111)의 윗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고정 부재(11)의 형상, 배치 간격 또는 고정 위치는 데크플레이트(13)의 구조 또는 결합 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122)은 상부 플랜지(111)와 슬래브 콘크리트 사이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터드 볼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1 at regular intervals. The fixing member 12 has a function of hanging and fixing the deck plate 13 to the steel beam 11 and at the same time has a function of imparting a synthetic action to the coupling structure.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1A, the fixing member 12 ha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121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horizontal portion 121 extending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122). The horizontal portion 121 and the vertical portion 122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t right angles and can be made integral or made separately and combined. The horizontal portion 12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flange 111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111, and the vertical portion 122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21 to be horizontal. I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111 to protrude from the portion 121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plane of the upper flange 111. The horizontal portion 121 of the fixing member 12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steel beam 11 and may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flange 111 in a manner such as weldin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A,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1 while having a curved bar shape, but the shape, the disposition interval, or the fixing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s 11 is a deck. I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plate 13 or the manner of joining. The substantially vertical portion 122 may have the function of a stud bolt installed to increase the synthesizing effect between the upper flange 111 and the slab concrete.

도 1b의 (가)는 데크플레이트(13)의 사시도 그리고 (나)는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13)는 전체적으로 한쪽 면이 개방된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하나의 바닥면(132)과 2개의 측면(1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측면(131) 및 바닥면(132)에 슬래브 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돌기(E)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측면(131) 끝 부분에 연결 단부(131a, 131b)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 단부(131a)는 측면(131)의 끝 부분이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다시 바닥면(132) 방향으로 꺾어져 연장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시 안쪽으로 꺾어져 연장되면서 닫힌 연결 단부(131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연결 단부(131b)는 측면(131)의 끝 부분이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다시 바닥면(132) 방향으로 꺾어져 연장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시 바깥쪽으로 꺾어져 연장되면서 열린 연결 단부(131b)를 형성할 수 있다.FIG. 1B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ck plate 13 and (B)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The deck plate 13 has one bottom surface 132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ith one side open as a whole. And two side surfaces 131. Various types of protrusions 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131 and the bottom surface 132 to prevent slipping of the slab concrete. Connection ends 131a and 131b may be formed at end portions of the side surfaces 131. One connecting end 131a extends the end of the side surface 131 entirely outwardly and is bent back toward the bottom surface 132 and finally is folded back inward to extend the closed connecting end 131a. Can be formed. The other connecting end 131b extends the connecting end 131b which is open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side 131 extends outward as a whole and is bent again toward the bottom surface 132 and finally is folded outward again. Can be formed.

도 1b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13)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데크플레이트(13)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다양한 형상의 연결 단부(131a,131b)를 가질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deck plate 13 shown in FIG. 1B is exemplary and the deck plate 13 applied to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have connection ends 131a and 131b of various shapes. Can be.

도 1b에 제시된 데크플레이트(13)는 도 1a에 예시된 강재 보(1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deck plate 13 shown in FIG. 1B may be connected to the steel beam 11 illustrated in FIG. 1A.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데크플레이트(13)는 강재 보(11)에 매달리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플랜지(111)에 고정된 고정 부재(12)에 데크플레이트(13)의 바닥면(132)이 걸쳐지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데크플레이트(13)의 연결 단부(131a, 131b)가 하부 플랜지(112)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13) 사이의 공간에는 슬래브 콘크리트(14)가 채워진다. 데크플레이트(13)의 개방된 면에는 엔드 클로징(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데크플레이트(13)는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 부재(1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3)가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 사이에 메달인 구조가 되어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1C, the deck plate 13 may be coupled in a shape suspended from the steel beam 11.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132 of the deck plate 13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2 fixed to the upper flange 111 so that the connecting ends 131a and 131b of the deck plate 13 are lower flanges. It is positioned above 112. The slab concrete 14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deck plates 13. An end closing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deck plate 13. If necessary, the deck plate 13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2 by welding or bolts. As such, the deck plate 13 may be a medal-shaped structure between the upper flange 111 and the lower flange 112 to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된 결합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deck plate is coupled to th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A and 2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의 (가), (나) 및 (다)는 강재 보(11)에 고정 부재(12a)가 결합된 형상의 정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A), (b) and (c) of FIG. 2A show front, perspective and side views of the shape in which the fixing member 12a is coupled to the steel beam 11, respectively.

도 2a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2a)의 수평 부분(121a)은 상부 플랜지(111)의 폭보다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 되어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부 플랜지(111)의 양쪽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그리고 수직 부분(122a)은 수평 부분(121a)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상부 플랜지(111)의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수평 부분(121a)은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상부 플랜지(111)의 위쪽 면에 고정될 수 있고 수직 부분(122a)은 수평 부분(121a)과 일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조되어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수평 부분(121a)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the horizontal portion 121a of the fixing member 12a has a rod shape extending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111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partially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upper flange 111. And the vertical portion 122a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21a an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111. The horizontal portion 121a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1 in the same manner as welding and the vertical portion 122a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portion 121a or separately manufactured to be horizontal in the same manner as welding. It may be coupled to the portion 121a.

도 2b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13)는 도 1b에 제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강재 보(11)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이 되며 결합 구조는 전체적으로 도 1c에 제시된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도 2b에 제시된 결합 구조는 하나의 고정 부재(12a)가 상부 플랜지(111)의 위쪽 면 전체를 가로질러 고정되어 도 1c에 제시된 결합 구조에 비하여 고정 부재(12a)와 강재 보(11) 사이의 결합 강도가 높아진다는 이점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2B, the deck plate 13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B and is coupled in a form suspended from the steel beam 11, and the coupling structure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C as a whole. However, in the coupling structure shown in FIG. 2B, a single fixing member 12a is fixed across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1 so that the coupling member 12a and the steel beam 11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coupling structure shown in FIG. 1C.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도 3a 및 도 3b는 고정 부재(12b)가 상부 플랜지(111)의 위쪽 평면의 양쪽 부분에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A and 3B show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mber 12b is fixed to both portions of the upper plane of the upper flange 11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2b)는 T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폭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한 쌍을 이루는 고정 부재(12b)의 각각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부 플랜지(1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수평 부분(121b)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수평 부분(121b)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수직 부분(122b)을 가질 수 있다. 다수 개의 고정 부재(12b)는 쌍을 이루면서 상부 플랜지(1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3A and 3B, the fixing members 12b may be made in a T shape and two may be paired and arrang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b has a horizontal portion 121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flange 111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vertically protrudes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121b. It may have a portion 122b.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2b may be arranged in pair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111.

도 4a 및 도 4b는 고정 부재(12b)가 상부 플랜지(111)의 아래쪽 평면의 양쪽 부분에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4A and 4B show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mber 12b is fixed to both portions of the lower plane of the upper flange 11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수평 부재(121b)가 상부 플랜지(111)에 결합되는 위치만 다르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12b)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 플랜지(111)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4A and 4B differ only in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member 121b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1 when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The fixing member 12b a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flange 111 in various shapes while having various shapes.

위에서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된 다양한 결합 구조가 설명이 되었다. 각각의 실시 예는 시공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고정 부재 또는 데크플레이트가 적절하게 변형이 되어 적용될 수 있다.Various coupling structures in which deck plates are coupled to steel beams have been described above. Each embodimen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 fixing member or the deck plate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applied as necessary.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에 적용되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고정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 및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Figures 5a, 5b and 5c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member is coupled to the form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s, form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s applied to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structure is fixed to the deck plate on the form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s Examples of each are shown.

도 5a의 (가) 및 (나)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51)가 제조되는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5A and 5B respectively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molded steel sheet-assembled steel beam 51 is manufactured.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51)란 한 쌍의 절곡강판을 접합하여 제작된 강재 보를 의미하고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51)는 상부 플랜지(511), 상부 플랜지(511)에 수직되는 면을 따라 연장되는 웨브(513) 및 웨브(513)의 한쪽 끝에 결합되면서 상부 플랜지(511)와 평행한 바닥면(512a)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5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성형강판을 접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플랜지(512)는 웨브(513)의 한쪽 끝에 결합된 바닥면(512a)의 양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꺾여 상부 플랜지(51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512b) 및 측벽(512b)의 끝으로부터 다시 바닥면(512a) 또는 상부 플랜지(51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지지 날개(512c)를 포함한다. Form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 51 refers to a steel beam produced by joining a pair of bent steel sheet and may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5a. Specifically, the formed steel plate assembled steel beam 5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eb 513 and the web 513 extending along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upper flange 511, the upper flange 511 and the upper flange 511. It can be configured by joining a pair of formed steel sheet consisting of a lower flange 512 having a parallel bottom surface 512a. The bottom flange 512 is bent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512a joined to one end of the web 513 and bottomed from the end of the side wall 512b and the side wall 512b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511. And a support wing 512c extending outward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512a or the upper flange 511.

도 5a의 (가) 및 (나)에 각각 도시된 것처럼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는 좌우 대칭 구조가 결합되는 방식 또는 T자 구조와 U자 구조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다양한 형태의 고정 부재(12)가 결합되고 그리고 고정 부재(12)에 데크플레이트(13)가 결합되어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 5A, the shaped steel sheet assembly steel beam may be made in a manner in which a symmetrical structure is combined or in a manner in which a T-shaped structure and a U-shaped structure are combin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Various types of fixing members 12 may be coupled to the formed steel plate assembled steel beams, and the deck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s 12 to form a coupling structure.

도 5b, 5c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51)에 고정 부재(12)가 결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5B and 5C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formed steel plate assembled steel beam 51.

도 5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2)는 지지 날개(512c)의 위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날개(12)의 형상, 배열 또는 고정 방법은 도 1a 또는 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다만 고정 부재(12)의 고정 위치가 지지 날개(512c)가 된다는 점만이 H형강 보와 관련된 실시 예와 다르다. 고정 부재(12)가 지지 날개(512c)에 고정되면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부재(12)에 데크플레이트(13)가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3)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3)는 지지 날개(512c)에 매달린 형태가 되면서 데크플레이트(13)의 바닥면이 하부 플랜지(512)의 바닥면(512a)에 비하여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데크플레이트(13)가 고정 부재(12)에 의하여 지지 날개(512c)에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B, the fixing member 12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ing 512c. The shape, arrangement or fixing method of the fixing blade 12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1A or 1B except that the fixing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12 becomes the supporting blade 512c,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H-beam. . When the fixing member 12 is fixed to the support wing 512c, the deck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2 as shown in FIG. 5C. The deck plate 13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at shown in FIG. 1B. The deck plate 13 is suspended from the support wing 512c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plate 13 is positioned above the bottom surface 512a of the lower flange 512. When the deck plate 13 is coupled to the support wing 512c by the fixing member 12,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5a에서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51)에서 지지 날개(512c)가 바깥쪽으로 연장된 형상을 기초로 설명이 되었지만 지지 날개(512c)는 안쪽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고정 부재(12) 및 데크플레이트(13)가 적절한 방법으로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51)에 결합될 수 있다. In FIG. 5A, the support wing 512c may be extended outwardly from the formed steel sheet-assembled steel beam 51, but the support wing 512c may extend inward and thus, the fixing member 12 and the deck The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formed steel plate assembled steel beam 51 in a suitable manner.

H형강 보와 마찬가지로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부재가 결합되고 그에 따라 데크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다. As with the H-beams, the fix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ormed steel plate assembled steel beams in various ways, and thus the deck plate may be fixed.

도 6a 및 도 6b는 도 3a 및 도 3b와 유사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6A and 6B illustrate an embodiment similar to FIGS. 3A and 3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T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고정 부재(12b)는 각각 지지 날개(512c)의 아래쪽 평면에 고정되고 다수 개의 고정 부재(12b) 쌍들이 상부 플랜지(111)의 길이 방향 또는 지지 날개(512c)의 길이 방향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13)는 지지 날개(512c)에 고정된 고정 부재(12b)의 수평부분(121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강재 보에 적절한 형상의 고정 부재를 결합시키고 그리고 데크플레이트를 고정부재에 매다는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 H형강 보 또는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는 예시적인 것이며 또한 고정 부재의 형상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강재 보 또는 고정 부재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6A and 6B, a pair of fixing members 12b having a T-shape are fixed to the lower plane of the support wing 512c,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pairs of fixing members 12b are formed on the upper flange 111.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ade 512c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deck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21b of the fixing member 12b fixed to the support wing 512c. As such,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by coupling a fixing member of a suitable shape to various types of steel beams and fixing the deck plate by hanging the fixing plate. The H-beam or shaped steel sheet assembled steel beam presented above is exemplary and the shape of the fixing member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steel beam or the fix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는 H형강 보 및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 이외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형강 보를 조립한 강재 보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teel beams in which two beams are assembled,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H-beams and the steel plate-assembled steel bea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bou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much as possible will be omitted.

도 7은 형강 조립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고정된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deck plate is fixed to the steel beam assembly steel beam.

도 7을 참조하면, 형강 조립 강재 보는 상부 플랜지(611), 웨브(612) 및 하부 플랜지(612)를 가지는 H형강 보(61)의 상부 플랜지(611)에 상부 플랜지(621)와 웨브(622)를 가지는 T형강 보(62)의 웨브(622)를 면에 수직하게 결합한 형태가 된다. 고정부재(12)는 T형강 보(62)의 상부 플랜지(62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의 형상, 배열 또는 고정 방법은 도 1a 또는 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다만 고정 부재(12)의 고정 위치가 T형강 보(62)의 상부 플랜지(621)가 된다는 점만이 H형강 보만으로 구성된 실시 예와 다르다. 고정 부재(12)가 T형강 보(62)의 상부 플랜지(621)에 고정되면 고정 부재(12)에 데크플레이트(13)가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3)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3)는 T형강 보(62)의 상부 플랜지(621)에 매달린 형태가 되면서 데크플레이트(13)의 바닥면이 H형강 보(61)의 상부 플랜지(611)의 바닥면에 비하여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데크플레이트(13)가 고정 부재(12)에 의하여 T형강 보(62)의 상부 플랜지(621)에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7, an upper flange 621 and a web 622 are attached to an upper flange 611 of an H-beams 61 having an upper flange 611, a web 612, and a lower flange 612. The web 622 of the T-beams 62 having the ()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plane. The fixing member 12 may be fixed to the upper flange 621 of the T-beams 62. The shape, arrangement or fixing method of the fixing member 12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1A or 1B except that the fixing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12 becomes the upper flange 621 of the T-beams 62.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composed of the bowman. When the fixing member 12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621 of the T-beams 62, the deck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2. The deck plate 13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at shown in FIG. 1B. The deck plate 13 is suspended from the upper flange 621 of the T-beams 62,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plate 13 is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611 of the H-beams 61. It is located at. When the deck plate 13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621 of the T-beams 62 by the fixing member 12,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형강 조립 강재 보의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성형강판 조립 강재 보와 마찬가지로 도 2b와 유사한 실시 예 및 도 3b와 유사한 실시 예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haped steel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imilar to FIG. 2B and the embodiment similar to FIG. 3B, similarly to the molded steel sheet-assembled steel bea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보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합성보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에 데크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매달린 구조가 되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면 과 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슬래브 콘크리트가 채워진다. The composite beam can be made by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in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ouring concrete. The composite beam is fixed to the steel plate consisting of the upper flange,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the deck plate is suspended from the upper flange to the lower flang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and side of the deck plate is filled with slab concrete .

이와 같은 구조는 가지는 합성보는 일반 철골조에 비하여 층고가 낮아 수직 구조 부재와 외장재의 절감이 가능하면서 층고 절감으로 인하여 높이가 제한된 건축물에 적용되어 층수 증가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는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 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면서 자재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공사비용이 절감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Such a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mposite beam having a lower floor height than the general steel frame structure is possible to reduce the vertical structural members and exterior material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loors is applied to buildings with a limited height due to the floor height reduction. In addition, 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time is simpl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while the use of materials is reduc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를 장스팬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강재 보에 긴장재를 배치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보강하거나 콘크리트와 합성시킬 수 있다.And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ng span can be placed in the steel beam tension material and reinforced by introducing a prestress or composite with concrete.

도 8a는 강재 보에 긴장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강재 보의 웨브에 콘크리트를 합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8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 member is disposed in a steel beam, and FIG. 9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synthesized in a web of the steel beam.

도 8a에서와 같이 강재 보(11)의 웨브(113) 양쪽에 각각 한 쌍의 긴장재(71)를 배치하고 긴장재(71)의 양쪽 끝은 강재 보(11)의 단부에 결합된 정착판(미도시)를 통해 정착한다. 긴장재(71)의 개수, 배치방법은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긴장재(71)의 긴장 및 정착방법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8A, a pair of tension members 7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eb 113 of the steel beams 11, and both ends of the tension members 71 are fixed to the ends of the steel beams 11 (not shown). Settle through).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ension members 7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the tension and fixation methods of the tension members 71 may emplo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그리고 도 8b에서와 같이 강재 보(11)의 상부 플랜지(111), 하부 플랜지(112) 및 웨브(113)로 둘러싸인 공간에 보강 콘크리트(72)가 합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 콘크리트(72)와 강재 보(11)의 합성을 위해 상부 플랜지(111), 하부 플랜지(112) 및 웨브(113)가 콘크리트(72)와 접촉하는 면을 거친 마감하거나 면에 전단연결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B, the reinforced concrete 72 may be synthesiz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upper flange 111, the lower flange 112, and the web 113 of the steel beam 11. At this time, the upper flange 111, the lower flange 112 and the web 113 is a rough finish or the shear connector on the surface for the synthesis of the reinforced concrete 72 and the steel beam 11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72 (Not shown) can be installed.

한편, 도 8a 및 도 8b에서는 도 1a에 제시된 실시예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나머지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FIG. 8A and FIG. 8B show a state appli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A,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remaining embodiments.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only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 강재 보
12: 고정 부재
13: 데크플레이트
14: 전단연결재
15: 슬래브 콘크리트
11; Steel beam
12: fixing member
13: Deck Plate
14: Shear connector
15: slab concrete

Claims (16)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부 플랜지의 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하부 플랜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Steel beams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web, and a lower flange;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flang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at the same time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ane of the upper flange; And
Coupling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 which consists of deck plate which is fixed to fixing member so that bottom surface is located above upper fl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재 보는 H형강 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steel beams are H-beams.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상부 플랜지의 위쪽 평면 또는 아래쪽 평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n upper plane or a lower plane of the upper fl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꺾인 막대 형상 또는 T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The coupling structure of a deck plate and steel beams of Claim 1 which becomes a curved rod shape or T shape. 상부 플랜지, 웨브 및 웨브의 한 쪽 끝에서 꺽여 상부 플랜지와 평행한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꺾여 상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측벽의 끝에서 상부 플랜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날개를 가진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 날개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지지 날개의 평면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하부 플랜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Bent at one end of the top flange, web and web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op flange at the end of the side wall and the side wall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op flange, perpendicular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and parallel to the top flange. Steel beams consisting of a lower flange with supporting wings;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wing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at the same time protruding upward in the plane of the support wing; And
Coupling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 which consists of deck plate which is fixed to fixing member so that bottom surface is located above upper flange.
청구항 5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지지 날개의 위쪽 평면 또는 아래쪽 평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6. The coupling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lane or the lower plane of the support wing. 청구항 5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꺾인 막대 형상 또는 T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6. The coupling structure of a deck plate and steel beam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xing member has a curved bar shape or a T shape.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H형강 보와 상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고 H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에 면에 수직하게 웨브가 결합되는 T형강 보로 구성되는 형강 조립 강재 보;
적어도 일부가 T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T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면서 이와 동시에 지지 날개의 평면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 및
바닥면이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An H-shaped steel beam consisting of an H-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T-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nd a web, and a T-beam having a web coupled to a surface perpendicular to an upper flange of the H-beam;
A fixing member having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T-beams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of the T-beams, while simultaneously protruding upwards in the plane of the support wing; And
Coupling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 which consists of deck plate which bottom surface is fixed to fixing member.
청구항 8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T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의 위쪽 평면 또는 아래쪽 평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ck plate and the steel beam of claim 8,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n upper plane or a lower plane of the upper flange of the T-beam. 청구항 8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꺾인 막대 형상 또는 T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The coupling structure of a deck plate and steel beams of Claim 8 which becomes a curved rod shape or T shape.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강재 보에 위쪽으로 돌출되는 수직 연장 부분을 가진 고정 부재를 매개하여 데크플레이트가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매달린 구조가 되고 데크플레이트의 내부를 채우면서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 위에 일체로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The deck plate is structured to hang from the upper flange to the lower flange by means of a fixing member having a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in the steel beam consisting of the upper flange,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nd filling the inside of the deck plate. Composite beam comprising slab concrete integrally cast on the upper flange. 청구항 11에 있어서, 강재 보는 H형강 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teel beam is an H-beam. 청구항 11에 있어서, 강재 보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웨브의 한 쪽 끝에 결합되면서 상부 플랜지와 평행한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꺾여 상부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측벽의 끝에서 상부 플랜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날개를 가진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12. The top flange of claim 11, wherein the steel beam is joined to one end of the top flange, web and web and bent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and bottom surfaces parallel to the top flange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op flange and the top flange at the end of the side wall. Composite beam comprising a lower flange having a support wing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청구항 11에 있어서, 강재 보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H형강 보와 상부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지고 H형강 보의 상부 플랜지에 면에 수직하게 웨브가 결합되는 T형강 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12. The steel beam of claim 11, wherein the steel beam comprises an H-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T-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nd a web and of which a web is coupled perpendicularly to a plane to an upper flange of the H-beam. Composite beam.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재 보에는 긴장재를 통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the steel beam is reinforced with a tension member.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재 보의 웨브 양측면에는 보강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reinforcement concrete is synthesized on both sides of the web of the steel beam.
KR1020100067357A 2010-07-13 2010-07-13 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KR101162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57A KR101162179B1 (en) 2010-07-13 2010-07-13 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57A KR101162179B1 (en) 2010-07-13 2010-07-13 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26A true KR20120006726A (en) 2012-01-19
KR101162179B1 KR101162179B1 (en) 2012-07-04

Family

ID=4561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357A KR101162179B1 (en) 2010-07-13 2010-07-13 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17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545A (en) * 2013-07-16 2013-10-02 山东大学 Embedded shearing resistant connector for steel web prestress concrete slab-composite slab
KR101339827B1 (en) * 2012-12-03 2013-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hear connecting structure for concrete-steel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510598B1 (en) * 2014-10-23 2015-04-08 강병구 Apparatus for connecting deck plate and Method of constructing deck plate using the same
CN106401035A (en) * 2016-10-20 2017-02-15 江苏福久住宅工业制造有限公司 H+T type component and combination beam of H+T type component and fl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45B1 (en) * 2013-02-15 2014-01-29 (주)경수제철 Parking apparatus using a long span be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2615U (en) 1976-02-25 1977-08-26
KR100486448B1 (en) 2002-12-24 2005-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 floor structure reduced thickness with using H-steel beam and deep dec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27B1 (en) * 2012-12-03 2013-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hear connecting structure for concrete-steel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03334545A (en) * 2013-07-16 2013-10-02 山东大学 Embedded shearing resistant connector for steel web prestress concrete slab-composite slab
CN103334545B (en) * 2013-07-16 2016-02-24 山东大学 A kind of embedded type shear connector of steel web prestressed concrete overlapped slab
KR101510598B1 (en) * 2014-10-23 2015-04-08 강병구 Apparatus for connecting deck plate and Method of constructing deck plate using the same
WO2016064090A1 (en) * 2014-10-23 2016-04-28 주식회사 인비젼코리아 Deck plat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eck plate using same
CN106401035A (en) * 2016-10-20 2017-02-15 江苏福久住宅工业制造有限公司 H+T type component and combination beam of H+T type component and fl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179B1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44B1 (en) Composite beam using C-type built-up beam
JP5406563B2 (en)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KR101747104B1 (en) Long-span u-type composite beam for slim floo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533576B1 (en)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a concrete
KR101162179B1 (en) Coupling Structure Between Deck-plate with Shear Connector Shape Fixing Member and Steel Beam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Same
KR101880490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For Deep Deck
KR102108335B1 (en) Composite Steel Structure with Seismic Performance Joint
KR101222206B1 (en) 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profiled steel and deck plate
KR101222320B1 (en) 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C-shaped member and inverse T-shaped member
KR101249600B1 (en) Composite Beam Hanging Deck-plate on Steel Beam Using Fixing Member
KR101599811B1 (en) Joint structure for corrugated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58875B1 (en) Slim Floor System Using Built-up Type Steel Beam Made of Plate and Box-pipe
KR101948812B1 (en) Hybrid Beam Consisted Of Compressive U-Shaped Flange And U And H-Shaped End Blocks
KR101160763B1 (en) Composite beam using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KR101854136B1 (en) Corrugated Deck Having Truss Girder
KR101170897B1 (en) Composite Beam not to require the additional Fire Resistant Coating and Beam-Slab Joint Using the same
KR100870068B1 (en) High Streng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lab Formed Beams for Slab
KR20120006727A (en) Combined Structure of Deck Plate and Steel Beam Using Clamp-shaped Fixing Member and Composite Beam accordingly
KR200469319Y1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KR101191545B1 (en)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KR100796216B1 (en) Concrete composite beam of building
KR101459036B1 (en) H-steel girder for floor height curtailmen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KR102685205B1 (en) Compressive precast element strengthen above a top flange in H-shapes Steel Beam
KR20120018562A (en) Psc box girder of propiled steel web for constructing bridge
KR20160149087A (en) Built-up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