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596A -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 Google Patents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6596A KR20120006596A KR1020100067154A KR20100067154A KR20120006596A KR 20120006596 A KR20120006596 A KR 20120006596A KR 1020100067154 A KR1020100067154 A KR 1020100067154A KR 20100067154 A KR20100067154 A KR 20100067154A KR 20120006596 A KR20120006596 A KR 201200065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touch
- conductive
- touch pen
- curr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66 anti-fingerpri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성된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이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자체 전압과 전류가 도전성 터치펜과 통전되도록 하는 소켓부; 일단이 상기 소켓부와 연결되며, 커링(Curling) 타입,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만큰 길이가 늘어나고, 내부에 터치 단말기의 전류가 통전되는 도선부재와, 이 도선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며, 내주에 탈착부가 형성된 탈착부재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 상기 도선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탈착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터치 단말기와 접촉하여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접촉팁이 구성된 터치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touch pen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configur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using a current of the touch terminal, wherein the self voltage and current supported by the touch terminal in combina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touch pen. A socket portion for energizing; A wir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and formed of any one of a curling type and a straight type, the length of which is increased by onl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urrent of the touch terminal is energized therein; A length adjusting portion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member fixed thereto, the detachable member having a detachable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The touch pen body maintains a state in contact with the lead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etachable member, and has a contact tip configured to contact the touch terminal at an end thereof to change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flowing between the electrostatic elements. It provide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단말기와 도전성 터치펜을 연결하여 터치 단말기로부터 자체적으로 지원되는 전압과 전류를 통해 의수를 착용하는 장애인, 장갑을 사용한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터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함으로써, 터치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터치 단말기의 터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More specifically, by connecting the touch terminal and the conductive touch pen, users with disabilities wearing gloves and the user using gloves can easily use the touch terminal through the voltage and current supported by the touch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that prevents a malfunction and improves a touch recognition rate of the touch terminal.
일반적으로, 터치 단말기에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접촉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이 구현된 다. In general, the touch terminal is a device for in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of a human hand or an object, an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are implemented.
이러한 터치 단말기는 PDA,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화상표시패널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화상표시패널에 표시된 문자나 화상을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터치하여 입력하게 된다. 또한, 노트북과 같이 터치 패드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통해 화상표시패널의 원하는 위치에 포인트를 이동하도록 한다.The touch terminal is installed on a display surface of an image display panel such as a PDA,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d provides a function of a touch screen so that a user touches and inputs desired information while viewing a character or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panel. In addition, by providing a function of a touch pad like a notebook, a user may move a point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image display panel through the touch pad.
특히, 정전용량 방식에 있어서 터치 단말기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정전소자를 구성하고, 이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의 변화를 인식하여 동작시키는 정전용량 방식의 도전성 터치펜에 의해 입력되어야 한다.Particularly, in the capacitive type, the capacitive touch pen which forms a capacitive element 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of a touch terminal and recognizes and operates a change in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flowing between the capacitive elements Must be entered by
하지만, 통상적인 정전용량 방식의 도전성 터치펜은 의수를 착용한 장애인의 경우, 도전성 터치펜을 통해 터치 단말기에 구성된 정전소자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의 변화를 줄 수 없어 현실적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를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pacitive conductive touch pen can not change the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of the electrostatic element configured in the touch terminal through the conductive touch pen. There was a problem inevitably compelling to use a touch terminal.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전성 터치펜은 장갑 등을 착용한 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착용중인 장갑을 벗어야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는 매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touch pe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user using a capacitive touch terminal while wearing gloves, etc.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 wears a glove while wearing the gloves.
특히, 최근에는 터치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보호 케이스, 투명 또는 지문방지 필름 등과 같은 악세사리 등에 의해 도전성 터치펜에 의한 인식률이 저하되어 결국, 터치 단말기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recently, the recognition rate by the conductive touch pen is lowered by various protective cases, accessories such as a transparent or anti-fingerprint film, which are used to protect the appearance of the touch terminal, resulting in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touch terminal. there wa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 단말기와 도전성 터치펜을 연결하여 터치 단말기로부터 자체적으로 지원되는 전압과 전류를 통해 의수를 착용하는 장애인, 장갑을 사용한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터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함으로써, 터치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터치 단말기의 터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touch terminal and the conductive touch pen so that users with disabilities wearing gloves and the user using gloves can easily use the touch terminal through the voltage and current supported by the touch termina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ouch terminal but also to improve the touch recognition rate of the touch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성된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이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자체 전압과 전류가 도전성 터치펜과 통전되도록 하는 소켓부; 일단이 상기 소켓부와 연결되며, 커링(Curling) 타입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만큼 길이가 늘어나고, 내부에 터치 단말기의 통전되는 도선부재와, 이 도선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며, 내주에 탈착부가 형성된 탈착부재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 상기 도선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탈착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터치 단말기와 접촉하여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도전성 접촉팁이 구성된 터치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ive touch pen which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configur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and uses its own current, and has a self voltage supported by the touch terminal in combina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A socket portion configured to allow an overcurrent to flow through the conductive touch pe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portion, is formed in a curling (Curling) type to extend the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conductive member of the touch terminal and the end of the conductive member is fixed therein, the removable portion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A length adjusting part provided with a member; A touch pen which maintains a state of contact with the conductor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detachable member, and has a conductive contact tip configured at the end thereof to contact the touch terminal to change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flowing between the electrostatic elements. Provided i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a capacitive touch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 전류, (-) 전류가 모두 통전되도록 구성된 터치 단말기에 구성되며,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소켓부가 연결되어 터치 단말기와 터치펜 본체가 (-) 전류에 의해 통전되도록 하는 터치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nfigured in a touch terminal configured to carry both (+) current and (-) current,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and the socket part are connected to the touch terminal and the touch pen. Provided i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a self-current of a capacitive touch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ncludes a touch pen terminal for energizing by a negative curren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선부재의 단부에는 탈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터치펜 본체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contact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detachable member and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ouch pen body. Provided i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내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터치펜 본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체결 방식, 고정돌기에 의해 끼움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터치펜 본체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thread, and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touch pen body to be detachable through any one of the screwing method, the fitting coupling method by the fixing projection. Provided i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a capacitive touch terminal, which is fixed to the touch pen bod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 본체는 상기 탈착부재에 삽입되어 도선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재와 접촉되며,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내측본체; 상기 내측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외측본체; 및 상기 외측본체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구성된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정전소자의 전도 영역을 면접촉, 선접촉, 점접촉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하는 도전성 접촉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en body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member formed at the end of the conductive member, the inner body formed with a fixing groov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outer main body sli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main body and having a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a surface contact, a line contact, and a point contact of the conductive region of the electrostatic element to be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outer body to change the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flowing between the electrostatic elements configured on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of the touch terminal. It provide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a self-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ctive contact tip for touching in any one of the way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모노 타입(Mono Type),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 USB 타입, 충전용 잭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충전단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ket unit is a capacitive touch,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y one of the charging terminal which is combined with a mono type, a stereo type, a USB type, a charging jack. Provided i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a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 단말기와 도전성 터치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 터치 단말기에 구성된 입력단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소켓단자와, 상기 소켓부가 결합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는 연결 커넥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for insert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input terminal configured in the touch terminal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ouch terminal and the conductive touch pen, the connection connector is formed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socket portion is coupled Provide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단말기와 도전성 터치펜을 연결하여 터치 단말기로부터 자체적으로 지원되는 전압과 전류를 통해 의수를 착용하는 장애인, 장갑을 사용한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터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함으로써, 터치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터치 단말기의 터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touch terminal and the conductive touch pen by using a user with a handicapped, gloves to wear a prosthetic through the voltage and current supported by the touch terminal itself,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touch terminal, As well as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touch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ouch recognition rate of the touch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의 다른 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provided in a capacitive touch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principal part which showed an electroconductive touch pe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단말기에서 흐르는 자체 전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자기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도전성 터치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터치 단말기(102)와 도전성 터치펜이 통전되도록 터치 단말기(102)에 형성된 접속단자(110)에 접속되는 소켓부(104), 내부에 도선부재(210)가 구성되는 길이 조절부(106), 터치 단말기(102)에 구성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의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터치펜 본체(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uctive touch pen that can change the magnetic field of the touch screen using its own current flowing in the touch terminal, the
여기서, 접속단자(110)는 터치 단말기(102)의 용이한 사용을 위해 별도로 구성되는 입력장치가 연결되는 입력단자(112)와, 본 발명의 도전성 터치펜에 구성된 소켓부(104)가 연결되어 터치 단말기(102)와 터치펜 본체(108)가 통전되도록 하는 터치펜 단자(114)로 이루어진다.Here, the
즉, 입력단자(112)는 터치 단말기(102)의 (+) 전류, (-) 전류가 모두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터치 단말기(102)로부터 제공되는 음악파일의 음향정보, 영상정보의 음성정보 등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이 연결되거나, 터치 단말기(102)의 충전을 위한 충전 커넥터(105)가 연결되거나, 터치 패드가 구성된 노트북에 구성되어 포인트를 조작하는 마우스가 연결되는 단자를 말하며, 터치펜 단자(114)는 터치펜 본체(108)에 구성된 소켓부(104)에 형성되어 터치 단말기(102)와 (-) 전류만이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다시말해, 터치펜 단자(102)는 터치펜 본체(108)가 터치 단말기(102)의 자체 전류를 통해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의수를 착용하는 장애인,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들도 터치 단말기의 터치 입력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소켓부(104)는 터치 단말기(102)에 구성된 접속단자(110)에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102)에서 지원하는 자체 전압과 전류가 터치펜 본체(108)와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터치 단말기(102)의 터치 인식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소켓부(104)는 본 발명에 구성된 접속단자(110)의 터치펜 단자(114)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터치펜 단자(114)가 구성되지 않는 터치 단말기(102)의 경우, 입력단자(112)와 연결하여 터치 단말기(102)와 도전성 터치펜이 통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또한, 본 발명의 소켓부(104)는 접속단자(110)의 형상에 따라 모노 타입(Mono Type),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뿐만 아니라, USB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충전용 잭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통상적인 충전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이와 같은 소켓부(104)는 일단에 후술할 길이 조절부(106)와 연결되며, 특히 이 길이 조절부(106)에 구성된 도선부재(210)에 의해 터치펜 본체(108)와 연결되도록 한다.The
길이 조절부(106)는 일단이 소켓부(104)에 연결 구성되며, 타단이 터치펜 본체(108)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켓부(104)와 터치펜 본체(108)가 통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이거나, 일정 길이만큼 늘어나도록 커링(curling) 타입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터치펜 본체(108)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e end of the
이러한 길이 조절부(106)는 내부에 소켓부(104)와 터치펜 본체(108)를 연결하며, 터치 단말기(102)의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소켓부(104)를 통해 터치펜 본체(108)로 전달하도록 (-)의 전류가 통전되는 도선부재(210)가 내장되며, 터치펜 본체(108)와 탈착 가능하도록 탈착부재(220)가 구비된다.The
여기서, 도선부재(210)는 커링 타입의 길이 조절부(106)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길이 조절부(106)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그 타단부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터치펜 본체(108)와 결합되는 탈착부재(220)에 고정되며, 터치펜 본체(108)와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하는 접촉부재(212)가 형성된다. Here, the
한편, 탈착부재(220)는 길이 조절부(106)를 통해 터치펜 본체(108)와 소켓부(104)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도선부재(210)와 연결되고, 터치펜 본체(108)와 접촉하는 접촉부재(212)가 내장되며, 내주면을 따라 터치펜 본체(108)와 탈착 가능하도록 탈착부(222)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탈착부(222)는 터치 단말기(102)에 구성된 접속단자(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켓부(104)를 터치펜 본체(108)와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Here, the
즉, 본 발명의 탈착부재(220)는 길이 조절부(106)의 단부에 구성되는 소켓부(104)의 형상과 크기가 모노 타입(Mono Type),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 USB 타입, 충전단자와 같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터치 단말기(102)에 형성된 접속단자(110)의 형태에 따라 이 길이 조절부(106)를 터치펜 본체(108)와 분리하여 터치 단말기(102)의 접속단자(11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소켓부(104)를 구성하는 길이 조절부(106)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이러한, 탈착부재(220)는 그 내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터치펜 본체(108)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길이 조절부(106)와 터치펜 본체(108)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고정돌기(224)에 의해 끼움 결합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또한, 탈착부재(220)의 단부에는 터치펜 본체(108)와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한 고정돌기(224)가 형성되어 터치펜 본체(108)의 내측 본체(230)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fixing
터치펜 본체(108)는 터치 단말기(102)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길이 조절부(106)의 탈착부재(220)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본체(230), 내측본체(23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외측본체(240) 및 외측본체(240)의 단부에 구성되어 터치 단말기(102)의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접촉팁(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내측본체(230)는 탈착부재(220)에 삽입되되 탈착 가능하게 탈착부(222)에 의해 고정되며, 그 단부가 도선부재(210)와 연결된 접촉부재(212)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내측본체(230)의 외주면 양측 단부, 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되어 내측본체(2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외측본체(240)를 고정시키는 고정홈(232)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ixing
외측본체(240)는 내측본체(23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 내측본체(23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터치펜 본체(108)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The
이러한 외측본체(240)는 내측본체(230)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 발생시, 내측본체(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232)에 삽입되어 외측본체(240)가 내측본체(23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전성 터치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42)가 형성된다.The
접촉팁(250)은 외측본체(24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102)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구성된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자기장을 변화시키기 위해 정전소자의 전도 영역을 터치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접촉팁(250)은 원형 또는 타원형, 사각형 및 마름모형, 다이아몬드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면의 형상이 평단면으로 형성되어 접촉면(112a)을 형성함으로써, 터치 스크린과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및 마름모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스크린의 전도 영역과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각 모서리 혹은 분기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촉점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또한,접촉팁(250)은 도전성 금속 및 플라스틱,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며, 접촉팁(250)의 표면에는 터치 스크린과의 접촉시 마찰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도전성 코팅 또는 도금 등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의 다른 실시예이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10)의 터치펜 단자(114)가 형성되지 않고, 입력단자(112)만 형성되어 있는 터치 단말기(302)의 자체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도전성 터치펜을 사용하기 위해 터치 단말기(302)와 도전성 터치펜을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310)가 구비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연결 커넥터(310)는 일단이 터치 단말기(302)에 구성된 입력단자(112)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소켓단자(312)가 형성되고, 이 소켓단자(312)의 타단에는 이어폰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장치가 삽입되는 또 다른 입력단자(112)와, 본 발명의 도전성 터치펜에 구성되는 소켓부(104)가 결합되는 터치펜 단자(114)로 이루어진 접속단자(110)가 형성된다. One end of the
즉, 연결 커넥터(310)는 소켓부(104)가 구성된 도전성 터치펜과 터치펜 단자(114)가 구성되지 않고, 입력단자(112)만이 형성된 터치 단말기(30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이 도전성 터치펜의 터치펜 본체(108)와 터치 단말기(302)가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 매개체인 것이다.That is, the
이는, 터치 단말기(302)가 별도의 입력장치 등에 의해 입력단자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도전성 터치펜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 매개체(310)를 터치 단말기(302)와 연결하여 별도의 입력장치와 함께 본 발명의 도전성 터치펜 역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is is to prevent the efficiency of the conductive touch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lowered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도전성 터치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터치 단말기(402)에 (-) 전류가 통전되는 터치펜 단자(114)를 형성하고, 이 터치펜 단자(114)에 도전성 터치펜의 소켓부(104)를 연결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conductive touch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전류가 통전되는 터치펜 단자(114)를 충전 커넥터(105)에 형성함으로써, 이 충전 커넥터(105)와 도전성 터치펜을 연결하여 터치 단말기(302)의 터치 스크린을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2: 터치 단말기 104: 소켓부
106: 길이 조절부 108 터치펜 본체
110: 접속단자 112: 입력단자
114: 터치펜 단자 210: 도선부재
212: 접촉부재 220: 탈착부재
222: 탈착부 224: 고정돌기
230: 내측본체 232: 고정홈
240: 외측본체 242: 고정부
250: 접촉팁 310: 연결 커넥터102: touch terminal 104: socket portion
106:
110: connection terminal 112: input terminal
114: touch pen terminal 210: conductive member
212
222: removable part 224: fixing protrusion
230: inner body 232: fixing groove
240: outer body 242: fixing part
250: contact tip 310: connection connector
Claims (7)
상기 접속단자와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자체 전압과 전류가 도전성 터치펜과 통전되도록 하는 소켓부;
일단이 상기 소켓부와 연결되며, 커링(Curling) 타입,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만큼 길이가 늘어나고, 내부에 터치 단말기의 전류가 통전되는 도선부재와, 이 도선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며, 내주에 탈착부가 형성된 탈착부재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
상기 도선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탈착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터치 단말기와 접촉하여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접촉팁이 구성된 터치펜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
In the conductive touch pe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configur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using the current of the touch terminal,
A socket unit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o that a voltage and a current supported by the touch terminal are energized with the conductive touch pen;
A wir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and being formed in any one of a curling type and a straight type, the length of which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urrent of the touch terminal is energized therein; A length adjusting portion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member fixed thereto, the detachable member having a detachable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The touch pen body maintains a state in contact with the lead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etachable member, and has a contact tip configured to contact the touch terminal at an end thereof to change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flowing between the electrostatic elements.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comprising a.
상기 접속단자는 (+) 전류, (-) 전류가 모두 통전되도록 터치 단말기에 구성되며,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소켓부가 연결되어 터치 단말기와 터치펜 본체가 (-) 전류에 의해 통전되도록 하는 터치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nfigured in the touch terminal so that both (+) current and (-) current are energized, th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socket part are connected to the touch terminal and the touch pen body by the (-) current.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comprising a touch pen terminal for energizing.
상기 도선부재의 단부에는 탈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터치펜 본체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self 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the contact member being accommodated in the detachable member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ouch pen body. .
상기 탈착부재는 내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터치펜 본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체결 방식, 고정돌기에 의해 끼움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터치펜 본체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chable member forms a male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orms a female screw thread on the touch pen body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touch pen body by any one of a screwing method and a fitting coupling method by a fixing protrusion.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a capacitive touch terminal.
상기 터치펜 본체는
상기 탈착부재에 삽입되어 도선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재와 접촉되며,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내측본체;
상기 내측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외측본체; 및
상기 외측본체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터치 단말기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구성된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정전소자의 전도 영역을 면접촉, 선접촉, 점접촉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하는 도전성 접촉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touch pen body is
An inner body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a contact member formed at an end of the conductive member, and having a fix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outer main body sli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main body and having a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In order to change the electrical or magnetic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of the touch terminal and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outer body of the conductive area of the electrostatic element of the surface contact, line contact, point contact Conductive contact tip that touches in either way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comprising a.
The socket part may be made of any one of a mono type, a stereo type, a USB type, and a charging terminal coupled with a charging jack. Touch pen.
상기 터치 단말기와 도전성 터치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 터치 단말기에 구성된 입력단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소켓단자와, 상기 소켓부가 결합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는 연결 커넥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의 자체 전류를 이용한 도전성 터치펜.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ouch terminal and the conductive touch pen, a socket terminal inserted into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in the touch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a connection connector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socket part is coupled is further configured. A conductive touch pen using its own current of a capacitive touch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7154A KR20120006596A (en) | 2010-07-13 | 2010-07-13 |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7154A KR20120006596A (en) | 2010-07-13 | 2010-07-13 |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596A true KR20120006596A (en) | 2012-01-19 |
Family
ID=4561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7154A KR20120006596A (en) | 2010-07-13 | 2010-07-13 |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6596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428Y1 (en) * | 2012-04-03 | 2014-02-19 | 송진구 | The Touch pen with accessory |
WO2014032282A1 (en) * | 2012-08-31 | 2014-03-06 | Chuang Hsin-Hung | Touch control ornament |
US9139036B2 (en) | 2012-08-07 | 2015-09-22 | Jackpen Limited | Writing device |
-
2010
- 2010-07-13 KR KR1020100067154A patent/KR20120006596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428Y1 (en) * | 2012-04-03 | 2014-02-19 | 송진구 | The Touch pen with accessory |
US9139036B2 (en) | 2012-08-07 | 2015-09-22 | Jackpen Limited | Writing device |
WO2014032282A1 (en) * | 2012-08-31 | 2014-03-06 | Chuang Hsin-Hung | Touch control orna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55874A1 (en) |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 |
US10433984B2 (en) | Add-on capacitive touchscreen aid | |
US9626011B2 (en) | Rechargeable capacitive stylus | |
TW200903308A (en) | Input device of capacitive touchpad | |
CN105446423B (en) | Protection device for rotatably carry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20056281A (en) | Apparatus comprising an optically transparent sheet and related methods | |
US20130301200A1 (en) | Adapter device for tablet computer | |
KR20130043841A (en) | Electronic apparatus served as stylus pen | |
KR20120006596A (en) | Conductive touch pen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terminal | |
CN104503585A (en) | Touch type head-mounted display | |
TWI567594B (en) | Stylus | |
US20120044214A1 (en) |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 |
EP2466424A1 (en) | Touch pen | |
CN201773366U (en) | Stylu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 |
KR100984152B1 (en) | Conductive type touch pen | |
CN204347755U (en) | Touch head-mounted display | |
US20160070369A1 (en) | Stylus structure | |
TW201743520A (en) | Headphone plug and headphone | |
CN106953951A (en) | Novel curved scre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 |
KR20140035054A (en) | A touch screen operating pen | |
CN214409927U (en) | Touch control ring | |
US10254789B2 (en) |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30094530A (en) | A nail accessories with signal input function of touchscreen | |
TW201939199A (en) |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 |
KR200286717Y1 (en) | Mouse to separate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3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