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55U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3355U KR20120003355U KR2020100011427U KR20100011427U KR20120003355U KR 20120003355 U KR20120003355 U KR 20120003355U KR 2020100011427 U KR2020100011427 U KR 2020100011427U KR 20100011427 U KR20100011427 U KR 20100011427U KR 20120003355 U KR20120003355 U KR 2012000335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drip tray
- fixing body
- drip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교랑 신축이음 구조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과 제2벽을 갖고, 상기 물받이설치홈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및 일측은 상기 제1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제1고정체나 제2고정체 및 물받이 드의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교량의 상부면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물받이 등의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교량의 상부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등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고, 설치된 물받이의 흔들림도 최소화된다.
본 고안의 교랑 신축이음 구조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과 제2벽을 갖고, 상기 물받이설치홈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및 일측은 상기 제1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제1고정체나 제2고정체 및 물받이 드의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교량의 상부면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물받이 등의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교량의 상부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등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고, 설치된 물받이의 흔들림도 최소화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상판을 교축방향(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교량에서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 또는 교대부와 교량상판 사이의 틈새(통상적으로 "유간"이라 함)로 빗물 등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축방향으로 다수 개의 교량상판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데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량상판과 교량상판의 사이 또는 교량의 교대부와 교량상판 사이에 유간이 형성되도록 교량상판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교대부와 교량상판도 이격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간으로 빗물 등이 스며들어 배수되면 백태, 고드름 발생, PS정착장치나 교량받침 등의 부식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을 연결하면서 유간으로 빗물 등이 스며들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음구조가 안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이음구조는 대부분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이 온도변화로 인해 수축 및 인장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신축이음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자갈도상 철도교량에 사용되고 있는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신축이음 구조는, 교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교량상판(1) 사이에 수밀성 탄성봉함재(2)를 개재(介在)시키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인접한 교량상판(1)의 상면을 연결하는 고무깔판(3)을 설치하고, 그 위에 철판덮개(4)를 위치시키며, 철판덮개가 고무깔판(3)을 가압하도록 앵커볼트(5)를 통해 고정한 형태이다.
도 2는 또 다른 형태의 자갈도상 철도교량에 사용되는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신축이음 구조는, 교축방향으로 인접한 교량상판(1) 단부 측면에 홈이 형성된 고정대(6)를 매립하고 고정홈에 물받이(7)의 고정고리를 삽입하여 물받이를 설치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인접한 교량상판(1)의 상면을 연결하는 고무깔판(3)을 설치하고, 그 위에 철판덮개(4)를 위치시키며, 철판덮개(4)가 고무깔판(3)을 가압하도록 앵커볼트(5)를 통해 고정한 형태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신축이음 구조는, 교축방향으로 인접한 교량상판(1) 단부 측면에 홈이 형성된 고정대(6)를 매립하고 고정홈에 물받이(7)의 연결고리를 삽입하여 설치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도 1과 같은 신축이음 구조는 탄성봉함재(2)와 교량상판(1)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고, 철판덮개(4)를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5)를 사용하기 때문에 철판덮개(4) 설치작업에 불편함이 있었다.
도 2와 같은 신축이음 구조는, 고정홈에 고정고리를 삽입해야 하는데 고정고리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고, 철판덮개(4)를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5)를 사용하기 때문에 철판덮개(4) 설치작업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도 3과 같은 신축이음 구조는,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교량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물받이(7)를 밀어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설치과정에서 물받이(7) 등의 파손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물받이(7)의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교량의 상부면 시공을 완료하기 전(철도용 교량의 경우 레일부설 전)에 물받이를 설치해야만 하고, 설치 후 교량의 상부면을 시공하는과정(철도용 교량의 경우 레일을 부설하는 과정 등)에서 물받이가 손상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물받이는 판재를 여러 번 절곡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고정홈에 삽입된 물받이의 연결고리가 고정홈에서 비교적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흔들림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열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물받이가 흔들리면서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물받이 등이 모두 교량상판의 상부에 위치된 형태이어서 물받이 등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작업이 더욱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교량의 상부면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물받이 등의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교량의 상부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등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수형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설치된 물받이 등의 흔들림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배수형 교량 신축이음 구조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시 물받이설치홈을 갖는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가 교량상판이나 교대부에 일체화되게 고정되도록 하되 물받이설치홈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교량상판의 하부에 설치하고, 물받이의 좌, 우측을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각각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되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이나 교량상판과 교대부 사이의 유간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밀어넣는 방식 등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교량의 상부면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물받이 등의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교량의 상부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등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고, 설치된 물받이의 흔들림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신축이음 구조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있는 제1벽과 제2벽을 갖고, 상기 물받이설치홈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를 갖는다.
또, 일측은 상기 제1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물받이를 갖는다.
상기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가 교량상판과 일체화되도록 설치됨에 있어 고정되는 물받이의 하부가 교량상판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놓일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물받이설치홈을 갖는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가 콘크리트 타설시에 교량상판 하부나 교대부 하부와 일체화되게 설치되는데 물받이설치홈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또, 물받이의 좌, 우측은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의 물받이설치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이나 교량상판과 교대부 사이의 유간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밀어넣는 방식 등으로 삽입시켜 고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제1고정체나 제2고정체 및 물받이 드의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교량의 상부면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물받이 등의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교량의 상부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등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고, 설치된 물받이의 흔들림도 최소화된다.
특히,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가 교량상판과 일체화되도록 설치됨에 있어 고정되는 물받이의 하부가 교량상판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놓일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형태일 경우 물받이의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더욱 원활하다.
도 1은 종래의 자갈도상 철도교량에 사용되고 있는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또 다른 형태의 자갈도상 철도교량에 사용되는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도상 교량용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철도교량에 적용된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철도교량에 적용된 형태에서 배수구와 배수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교량의 폭방향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제1고정체, 제2고정체 및 물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교대부와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또 다른 형태의 자갈도상 철도교량에 사용되는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도상 교량용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철도교량에 적용된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철도교량에 적용된 형태에서 배수구와 배수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교량의 폭방향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제1고정체, 제2고정체 및 물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교대부와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교량상판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교량에서 교량상판과 교량상판 사이의 유간으로 빗물 등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유간 사이를 차단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본 고안은 누수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 이음 구조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출원의 고안자는 도 4와 같은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를 안출하였다.
도 4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는, 콘크리트 타설시 각각의 교량상판(1)과 일체화되게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를 갖는다.
또,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에 고정되어 있는 물받이(30)를 갖는다.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는,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11, 21)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12, 22)과 제2벽(13, 23)을 갖는 형태이다.
또, 콘크리트 타설시 각각의 교량상판(1)과 일체화되게 설치되어 있되 물받이설치홈(11, 21)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30)는 일측이 상기 제1고정체(10)의 물받이설치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20)의 물받이설치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20)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31)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가 교량상판(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어 물받이(30)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시에 교량상판(1) 상부면의 시공작업(도로의 노면 시공작업, 철도침목 설치작업, 철로설치 작업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다.
즉, 물받이(30)를 교량상판(1)의 상부지점이 아닌 하부지점에서 상부로 밀어넣거나 교량상판의 폭방향 한쪽 측면에서 맞은 편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물받이(3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물받이(30)를 구현하더라도 설치 및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또, 종래의 물받이에는 로프 등을 걸기 위한 로프연결고리(7a)나 고정용볼트(6a) 등이 요구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 물받이(30)를 설치함에 있어서 교량상판(1) 상부면의 시공작업이 마무리된 이후에 물받이(30)를 설치할 경우 교량상판(1) 상부면의 시공작업 중에 유간으로 물체가 유입되더라도 본 고안의 신축이음 장치 특히, 물받이(30)의 훼손이 발생되지 않는다.(물받이(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유간으로 유입된 물체로 인해 물받이(30)가 훼손되는 일이 없으며, 물받이설치홈(11, 21)이 하부로 돌출된 제1벽(12, 22)과 제2벽(13, 23)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체가 물받이설치홈(11, 21)으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임)
상기와 같은 구조는 물받이설치홈(11, 21)이 하부로만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물받이(30)의 하부로는 누수되지 못하므로 누수방지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 물받이(30)를 설치함에 있어 물받이(30)의 양측 끝단부가 물받이설치홈(11, 21)에 삽입, 고정되는데 물받이설치홈(11, 21)이 하부로 개방된 특성상 물받이설치홈(11, 21)의 폭을 크게 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종래기술보다 물받이(30)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종래기술은 그 특성상 물받이(30)와 물받이(30)의 설치를 위한 홈 내벽과의 유격이 커서 물받이(30)의 흔들림이 심하고, 이로 인한 물받이(30)의 흔들림으로 인해 상당량의 소음이 발생되었음)
본 고안에 있어서, 제1고정체(10)나 제2고정체(20)의 물받이설치홈(11, 21)에는 물받이설치고리(14, 24)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물받이(30)에는 물받이설치고리(14, 24)에 삽입되도록 입구가 하부를 향하고 있는 고정체연결고리(32)가 위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받이(30)를 물받이설치홈(11, 21)에 삽입,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특히, 상기 물받이설치고리(14, 24)는 물받이설치홈(11, 21)의 내벽을 형성하면서 입구가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물받이(30)의 좌, 우측면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오므라들고 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벌어지는 것이며, 고정체연결고리(32)가 좌, 우측면의 바깥쪽에 위치된 것이어서 물받이(30)를 물받이설치홈(11, 21)의 상부로 밀어넣으면 물받이(30)의 좌, 우측면이 오므라들었다가 벌어지면서 물받이설치고리(14, 24)가 고정체연결고리(32)와 연결되도록 된 경우에는 물받이(30)의 설치가 더욱 더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물받이(30)나 제1고정체(10) 및 제2고정체(20)는 그 제작이 종래기술의 것과 비교할 때 매우 용이하다.(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더라도 종래보다 절곡부의 수가 적은 등의 이유로 제작이 용이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물받이(30)에 모인 물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물받이(30)의 집수부(31)는 경사를 갖도록 구현하고, 상기 물받이(30)의 집수부(31)에는 배수구(33)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상기 배수구(33)에는 배수관(50)이 연결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교량상판(1)과 교량상판(1) 사이의 유간을 덮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교량상판(1) 위에 철판덮개(40)가 위치되도록 하여 누수방지 효과가 더욱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철로를 형성하기 위한 철도교량 등과 같이 교량상판(1) 위에 자갈 등이 위치되는 구조일 때 적합하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철판덮개(40)를 앵커볼트를 사용해서 교량상판(1)에 고정한다면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철판덮개(40)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용 돌기(41)를 가지며, 상기 이탈방지용 돌기(41)가 유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철판덮개(40)가 단순히 안치되는 형태이고, 이탈방지용 돌기(41)가 유간에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철판덮개(40)가 이탈되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누수방지 효과는 우수하면서도 설치작업은 용이한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교량상판(1)과 교량상판(1) 사이의 유간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교량의 교대부(교량이 시작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와 교량상판(1) 사이에 발생되는 유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은, 도 7과 같이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11, 21)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12, 22)과 제2벽(13, 23)을 갖고, 콘크리트 타설시 각각의 교량상판(1)이나 교대부(9)와 일체화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1)이나 교대부(9)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를 갖는다.
또, 일측은 제1고정체(10)의 물받이설치홈(11, 2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20)의 물받이설치홈(11, 2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20)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31)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물받이(30)를 갖는다.
전술한 설명에서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는 물받이설치홈(11, 21)의 하부에 설치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도 4와 같이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가 교량상판(1)이나 교대부(9)에 일체화되도록 설치됨에 있어 설치되는 물받이(30)의 하단부가 교량상판(1)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놓일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물받이(30)를 유간의 상부로 밀어넣거나 물받이(30)를 교량의 유간 황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밀어 넣는 것이 더욱 용이하므로 설치가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
1. 교량상판 2. 탄성봉함재
3. 고무깔판 4. 철판덮개
5. 앵커볼트 6. 고정대
6a. 고정용볼트 7. 물받이
7a. 로프연결고리 8. 배수로
9. 교대부 10. 제1고정체
11. 물받이설치홈 12. 제1벽
13. 제2벽 14. 물받이설치고리
20. 제2고정체 21. 물받이설치홈
22. 제1벽, 23. 제2벽
24. 물받이설치고리 30. 물받이
31. 집수부 32. 고정체연결고리
33. 배수구 40. 철판덮개
41. 이탈방지용 돌기 50. 배수관
3. 고무깔판 4. 철판덮개
5. 앵커볼트 6. 고정대
6a. 고정용볼트 7. 물받이
7a. 로프연결고리 8. 배수로
9. 교대부 10. 제1고정체
11. 물받이설치홈 12. 제1벽
13. 제2벽 14. 물받이설치고리
20. 제2고정체 21. 물받이설치홈
22. 제1벽, 23. 제2벽
24. 물받이설치고리 30. 물받이
31. 집수부 32. 고정체연결고리
33. 배수구 40. 철판덮개
41. 이탈방지용 돌기 50. 배수관
Claims (5)
- 복수 개의 교량상판(1)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교량에서 교량상판(1)과 교량상판(1) 사이의 유간으로 빗물 등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11, 21)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12, 22)과 제2벽(13, 23)을 갖고,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 및
일측은 상기 제1고정체(10)의 물받이설치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20)의 물받이설치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20)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31)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물받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교량상판(1)과 교대부(9) 사이의 유간으로 빗물 등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면서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물받이설치홈(11, 21)을 가지며,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있는 동시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12, 22)과 제2벽(13, 23)을 갖고, 상기 물받이설치홈(11, 21)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교량상판(1)이나 교대부(9)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 및
일측은 상기 제1고정체(10)의 물받이설치홈(11, 2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고정체(20)의 물받이설치홈(11, 2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1고정체(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2고정체(20)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유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부(31)가 교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물받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10)나 제2고정체(20)의 물받이설치홈(11, 21)에는 물받이설치고리(14, 24)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물받이(30)에는 물받이설치고리(14, 24)에 삽입되도록 입구가 하부를 향하고 있는 고정체연결고리(32)가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설치고리(14, 24)는 물받이설치홈(11, 21)의 내벽을 형성하면서 입구가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물받이(30)의 좌, 우측면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오므라들고 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벌어지는 것이며, 고정체연결고리(32)가 좌, 우측면의 바깥쪽에 위치된 것이어서 물받이(30)를 물받이설치홈(11, 21)의 상부로 밀어넣으면 물받이(30)의 좌, 우측면이 오므라들었다가 벌어지면서 물받이설치고리(14, 24)가 고정체연결고리(3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30)에는 배수구(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33)에는 배수관(5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427U KR20120003355U (ko) | 2010-11-05 | 2010-11-05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427U KR20120003355U (ko) | 2010-11-05 | 2010-11-05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355U true KR20120003355U (ko) | 2012-05-15 |
Family
ID=4661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1427U Withdrawn KR20120003355U (ko) | 2010-11-05 | 2010-11-05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3355U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13471A (zh) * | 2016-06-06 | 2016-10-12 | 张燕青 | 一种伸缩缝防渗漏的施工方法 |
CN107882193A (zh) * | 2017-11-08 | 2018-04-06 | 铜陵市宏达家电有限责任公司 | 一种横向伸缩缝防渗漏的施工方法 |
KR101884133B1 (ko) * | 2017-10-17 | 2018-07-31 | 박창오 |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및 방수 방법 |
CN109930756A (zh) * | 2019-04-16 | 2019-06-25 | 中建四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高低跨顶板回填区伸缩缝防渗施工方法及装置 |
KR102773053B1 (ko) * | 2024-05-29 | 2025-02-26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오염물 유입이 방지되는 신축이음장치 |
-
2010
- 2010-11-05 KR KR2020100011427U patent/KR20120003355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13471A (zh) * | 2016-06-06 | 2016-10-12 | 张燕青 | 一种伸缩缝防渗漏的施工方法 |
CN106013471B (zh) * | 2016-06-06 | 2018-06-15 | 张燕青 | 一种伸缩缝防渗漏的施工方法 |
KR101884133B1 (ko) * | 2017-10-17 | 2018-07-31 | 박창오 |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및 방수 방법 |
CN107882193A (zh) * | 2017-11-08 | 2018-04-06 | 铜陵市宏达家电有限责任公司 | 一种横向伸缩缝防渗漏的施工方法 |
CN109930756A (zh) * | 2019-04-16 | 2019-06-25 | 中建四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高低跨顶板回填区伸缩缝防渗施工方法及装置 |
KR102773053B1 (ko) * | 2024-05-29 | 2025-02-26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오염물 유입이 방지되는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0303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20003355U (ko)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
KR20080108705A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볼트풀림 방지구조 | |
KR100931596B1 (ko) | 교량의 신축이음 무용접 중앙배수장치 | |
KR20090098762A (ko) |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
KR101266118B1 (ko) |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 |
KR20120029055A (ko) | 누수방지 효과가 우수한 배수형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 | |
KR101229001B1 (ko)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
KR101630633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069350B1 (ko) | 핑거형 조인트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타설용 에어 배기시스템 | |
KR10102041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 |
KR100938114B1 (ko) |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 | |
KR200453460Y1 (ko) |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 |
KR20010075743A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101467920B1 (ko) | 신축구조 물받이가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120008399A (ko) | 철도 교량용 우수받이 | |
KR100558373B1 (ko) |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 |
KR200184750Y1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101229000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
KR101365436B1 (ko)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
KR200323003Y1 (ko)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
CN110042751A (zh) | 基于毛细原理的沥青铺装层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 |
KR20200018906A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120039149A (ko) | 교량 이음부 누수방지용 보수장치 | |
KR102104673B1 (ko) | 신축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10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05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