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2984U - Earphone protective cap - Google Patents

Earphone protective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984U
KR20120002984U KR2020100010835U KR20100010835U KR20120002984U KR 20120002984 U KR20120002984 U KR 20120002984U KR 2020100010835 U KR2020100010835 U KR 2020100010835U KR 20100010835 U KR20100010835 U KR 20100010835U KR 20120002984 U KR20120002984 U KR 20120002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rotective cap
plug
cor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61107Y1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2020100010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07Y1/en
Publication of KR20120002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8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07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와 코드선의 연결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어폰 보호캡은 양단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몸체와 상기 플러그몸체에 연결된 코드선의 일부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코드선의 이탈 및 급격한 꺾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코드선을 압박하는 돌기들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protective cap detachably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and the cord. Earphone protectiv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re formed at both ends and a part of a cord wire connected to the plug body and the plug body of the earphone, wherein the body is Projections for pressing the cord line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in order to prevent the cord line from falling off and abrupt bending.

Description

이어폰 보호캡{Earphone Protection Cap} Earphone Protection Cap {Earphone Protection Cap}

본 고안은 이어폰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러그와 코드선의 연결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protective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protective cap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and the cord.

MP3 플레이어, DMB 단말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이어폰이 사용된다. 이어폰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와, 한 쌍의 이어폰 헤드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신호의 전달경로를 제공하는 코드선 그리고 코드선을 휴대용 전자기기의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는 플러그를 포함한다.Earphones are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DMB terminals and mobile phones. The earphone has a pair of earphone heads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ord wire connected to the pair of earphone heads to provide a transmission path of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lug connecting the wire to the earphone j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은 이어폰의 가장 큰 파손의 원인중에 하나는 코드선의 단선에 있다.One of the biggest causes of such earphone breakage is the disconnection of the cord.

특히, 아이폰(iphone)에 사용되는 이어폰은 코드선과 플러그의 연결부분에서 단선 현상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분에서 코드선의 단선이 많이 발생되는 이유는, 이어폰이 일직선 구조로 아이폰에 접속되면서 코드선의 꼬임 및, 당김시 코드선의 연한 연결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고, 코드선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부분의 꺾임에 따른 굽힘응력에 항상 노출되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earphone used in the iPhone (iphone) is a lot of disconnection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d and plug. The reason why many disconnection of the cord is generated in such a connection part is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iPhone in a straight line structure, so that the twisting of the cord and the soft connection of the cord are concentrated when the cord is pulled. This is because the bending stress is always exposed to bending.

본 고안의 목적은 코드선과 플러그 연결부분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보호캡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protective cap that can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cord and plug connec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어폰 보호캡은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몸체를 감싸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몸체에 연결된 코드선을 감싸는 코드선 지지공간을 갖는 제2몸체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Earphone protection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rd body extending from one end and the first body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to surround the plug body of the earphone and the plug body connected to the plug body It includes a cylindrical body consisting of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cord line support space surrounding the bod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코드선 지지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드선의 외피를 압박하여 상기 코드선의 이탈 및 급격한 꺾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rd line support space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 pressing the sheath of the cord line to prevent the separation and sudden bending of the cord lin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기 내부공간 및 상기 코드선 지지공간으로 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with a cut through the inner space and the cord line support spac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단커버와 하단커버로 분리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커버와 상기 하단커버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끼움홈들과 끼움돌기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separated into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a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body portion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fitting grooves and fitting protrusions for mutual coupling.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어폰 보호캡은 양단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몸체와 상기 플러그몸체에 연결된 코드선의 일부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코드선의 이탈 및 급격한 꺾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코드선을 압박하는 돌기들이 돌출되어 형성된다.Earphone protective cap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formed at both ends and a plug body of the earphone and a part of the cord wire connected to the plug body is located. The body is formed by protrusions protruding the cord lin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in order to prevent the cord wires from falling off and abrupt bending.

본 고안에 의하면, 코드선과 플러그의 연결부분에서의 단선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pecial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disconnection phenomenon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d and plug.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코드선과 플러그의 연결부분에서 발생된 코드선의 피복 까짐을 안 보이도록 감싸주고 더 이상의 피복 까짐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al effect that can cover the cover line of the cord line gene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rd line and plug invisible and prevent further cover line progres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이폰용 이어폰에 사용되는 보호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이어폰의 플러그에 장착된 보호캡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이어폰 보호캡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어폰 보호캡이 이어폰의 플러그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이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이폰용 이어폰에 장착된 보호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어폰 보호캡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이어폰 보호캡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p used in the earphone for the i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rotective cap mounted on the plug of the earphon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protective cap is mounted on the plug of the earphon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phone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arphone cap is used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p mounted on the earphone for i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shown i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a earphone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 실시 예 )(Exampl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이폰용 이어폰에 사용되는 보호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어폰의 플러그에 장착된 이어폰 보호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이어폰 보호캡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p used in the earphone for the i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earphone protective cap mounted on the plug of the earphon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10)은 핸드폰(2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어폰(30)의 플러그(32)에 장착된다. 보호캡(10)은 플러그(32)와 코드선(36)의 연결부분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플러그와 코드선의 연결부분에서의 단선을 방지해준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lug 32 of the earphone 30 used to connect to the mobile phone (20). The protective cap 10 stably hold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32 and the cord wire 36 to prevent disconnection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and the cord wire.

참고로, 이어폰(30)은 휴대폰(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미도시됨)에 연결되어 휴대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신호의 전달경로를 제공하는 코드선(36)과, 코드선을 휴대폰(20)의 이어폰 잭(22)과 연결시키는 플러그(3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32)는 딱딱한 소재이고 코드선(36)은 플랙시블한 소재이기 때문에 둘의 연결부분(C)에서 주로 단선(피복 벗겨짐) 현상이 발생되며, 본 고안은 연결부분(C)의 단선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For reference,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a pair of earphone heads (not shown) that output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20 to provide a transmission path of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phone. And a plug 32 for connecting the cord 36 and the cord wire to the earphone jack 22 of the mobile phone 20. In general, since the plug 32 is a hard material and the cord wire 36 is a flexible material, a disconnection (coating peeling) phenomenon occurs mainly at the connection part C of the two,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It is designed to prevent disconnection.

이어폰 보호캡(10)은 원통형상의 몸체(1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양단에 제1개구(112)와 제2개구(114)가 형성되고 이어폰(30)의 플러그(32)와, 플러그(32)와 코드선(36)의 연결부분이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몸체(100)는 내부공간(A) 및 코드선 지지공간(B)으로 통하는 절개부(106)가 형성된다. Earphone protective cap 1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00). The body 100 has a first opening 112 and a second opening 114 formed at both ends, and the plug 32 of the earphone 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32 and the cord wire 36 are located. Has an interior space. The body 100 is formed with an incision 106 leading to the interior space A and the cord line support space B.

몸체(100)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몸체부(110)는 이어폰(30)의 플러그(32)를 감싸는 내부 공간(A)을 갖으며,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플러그(32)에 연결된 코드선(36)을 감싸는 코드선 지지공간(B)을 갖는다.The body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body part 110 and a second body part 120. The first body part 110 may define an inner space A surrounding the plug 32 of the earphone 30. The second body portion 120 has a cord line support space B surrounding the cord line 36 connected to the plug 32 as a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몸체(100)의 제2몸체부(120)는 돌기(124)들을 갖는다. 돌기(124)들은 코드선 지지공간(B)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돌출된 돌기(124)들은 코드선 지지공간(B)에 위치하는 코드선(36)을 압박하여 코드선(36)의 이탈 및 급격한 꺾임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124)들이 코드선 지지공간의 내측면에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지만 그외에도 나선형 또는 도트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참고로, 이어폰 보호캡은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소재(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body portion 120 of the body 100 has protrusions 124. The protrusions 124 protrude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rd line supporting space B. The protruding protrusions 124 press the cord line 36 positioned in the cord line support space B to prevent the cord line 36 from being separated and suddenly bent.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rusions 124 protrude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d line support spac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piral or dot shape. For reference, the earphone protective cap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 or plastic material (or rubber material).

도 4는 이어폰 보호캡이 이어폰의 플러그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protective cap is mounted on the plug of the earphone.

이어폰 보호캡(10)을 이어폰의 플러그(3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절개부(106)를 통해 코드선(36)을 끼워넣는다. 그리고 코드선(36)을 잡아 당기면 플러그(32)가 보호캡(10)의 제1개구(102)를 통해 삽입되면서 장착이 완료된다.In order to attach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to the plug 32 of the earphone, the cord wire 36 is inserted through the cutout 106. And when pulling the cord wire 36, the plug 32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02 of the protective cap 10, the mounting is completed.

도 4에서와 같이, 플러그(32)는 제1몸체부(110)의 내부공간(A)에 위치되고, 플러그(32)에 연결된 코드선(36)의 일부구간(꺾임으로 인한 손상 부위)은 제2몸체부(120)의 코드선 지지공간(B)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폰(30)을 핸드폰(20)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꺾임이 발생되는 코드선(36)과 플러그(32)의 연결부분이 이어폰 보호캡(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잡아줌으로써) 굽힘응력에 의한 단선 등이 예방되고, 내구성을 높이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plug 32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A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a portion of the cord wire 36 connected to the plug 32 (damage due to bending) is It is positioned and fixed in the cord line supporting space B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d wire 36 and the plug 32 which generate the most bending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using the earphone 30 to the mobile phone 20 by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stably. By being supported (holding), disconnection due to bending stress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이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phone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earphone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10')은 이어폰(30)의 플러그(32)에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하기 위해 상단커버(100A)와 하단커버(100B)로 분리되는 몸체(100')를 포함한다. 이어폰 보호캡(10')는 몸체(100')가 상단커버(100A)와 하단커버(100B)로 분리된다는 점 이외에는 앞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이어폰 보호캡(10)과 동일한 구조와 구성 그리고 작용 효과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5, the earphone protection cap 10 ′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to an upper cover 100A and a lower cover 100B in order to more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plug 32 of the earphone 30. It includes a body 100 '. Earphone protective cap 10 'has the same structure, configuration, and effects as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body 100' is separated into the top cover 100A and the bottom cover 100B. Have

도 5에서와 같이, 이어폰 보호캡(10')의 상단커버(100A)와 하단커버(100B)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끼움홈(142)들과 끼움돌기(144)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단커버(100A)와 하단커버(100B)는 벌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upper cover (100A) and the lower cover (100B)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 is formed with the fitting grooves 142 and the fitting protrusions 144 for mutual coupling. Although not shown, the top cover 100A and the bottom cover 100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so that they can be opened or closed.

도 6에서와 같이, 이어폰 보호캡(10')은 이어폰 뿐만 아니라 핸드폰(20)에 연결되는 충전/데이터송수신 케이블(40)의 플러그(42)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어폰 보호캡(10')의 내부 공간은 장착하고자 하는 플러그(42)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며, 가장 중요한 것은 플러그(42)와 코드선(46)의 경계부분을 고정하고 잡아주는 코드선 지지공간(B)을 갖는다는데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 may be used for the plug 42 of the charge /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able 40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20 as well as the earphone. The inner space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 'is made to fit the shape of the plug 42 to be mounted, and most importantly, the cord line supporting space for fixing and hol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lug 42 and the cord line 46. To have (B).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10a)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7 to 9 are views showing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호캡(10a)은 원통형상의 몸체(100a)와 몸체(100a) 외곽에 설치되는 링타입의 압박밴드(200)를 포함한다. 몸체(100a)는 양단에 제1개구(112)와 제2개구(114)가 형성되고 이어폰(30)의 플러그(32)와, 플러그(32)와 코드선(36)의 연결부분이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몸체(100a)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폭으로 장착홈(107)이 형성되며, 압박밴드(200)는 몸체(100a)의 장착홈(107)에 끼워짐으로써 몸체(100a)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ure 7 to 9,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ng-type pressure band 200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body (100a) and the outer body (100a) It includes. The body 100a has a first opening 112 and a second opening 114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plug 32 of the earphone 30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32 and the cord wire 36 are located. Has an interior space. The body 100a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07 in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compression band 20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100a by being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07 of the body 100a. .

몸체(100a)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몸체부(110)는 이어폰(30)의 플러그(32)를 감싸는 내부 공간(A)을 갖으며,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플러그(32)에 연결된 코드선(36)을 감싸는 코드선 지지공간(B)을 갖는다. 몸체(100a)의 내부공간들 크기는 이어폰의 플러그(32) 및 코드선(36)의 크기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어, 이어폰 보호캡(10a)은 이어폰의 플러그(3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며, 따라서 몸체(100a)의 내부공간(A,B)에는 이어폰의 플러그(32) 및 코드선(36)이 매우 타이트하게 밀착 지지된다. 한편, 몸체(100a)의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에는 내측면에 원주를 따라 홈(108)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08)들은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이어폰의 플러그(32) 및 코드선(36)을 효과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과 몸체의 유연성(길이방향으로의 완충역할)을 제공해준다. 또한, 몸체(100a) 외곽에 설치된 압박밴드(200)가 몸체(100a)를 압박하여 그 내측에 삽입된 플러그(32)를 2차적으로 지지해준다.The body 100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body part 110 and a second body part 120. The first body part 110 may define an inner space A surrounding the plug 32 of the earphone 30. The second body portion 120 has a cord line support space B surrounding the cord line 36 connected to the plug 32 as a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e inner spaces of the body 100a ar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lug 32 and the cord wire 36 of the earphone, so that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is mounted on the plug 32 of the earphone by a force fitting method. Therefore, the plug 32 and the cord wire 36 of the earphone are very tightly supported in the inner spaces A and B of the body 100a. On the other hand, the grooves 108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of the body (100a) on the inner side. These grooves 108 effectively fix the plug 32 and the cord wire 36 of the earphone which are inserted into the body, and provide the flexibility of the body (a buffer in the length direction). In addition, the pressing band 200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100a presses the body 100a to secondarily support the plug 32 inserted therein.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폰(30)을 핸드폰(20)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꺾임이 발생되는 코드선(36)과 플러그(32)의 연결부분이 이어폰 보호캡(10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잡아줌으로써) 굽힘응력에 의한 단선 등이 예방되고, 내구성을 높이 수 있다. 참고로, 이어폰 보호캡(10a)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d wire 36 and the plug 32 which generate the most bending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using the earphone 30 to the mobile phone 20 is stably secured by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By being supported (holding), disconnection due to bending stress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For reference,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 material.

이어폰 보호캡(10a)을 이어폰의 플러그(3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2개구(104)를 통해 제1개구(102)방향으로 끼워넣게 되면 소프트한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진 이어폰 보호캡(10a)의 내부공간이 늘어나면서 그 내부에 삽입된다. In order to attach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to the plug 32 of the earphone, the second protective part 104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02 in the direction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10a made of soft silicone material. As the space increases, it is inserted into it.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호캡
20 : 핸드폰
30 : 이어폰
32 : 플러그
100 : 몸체
106 : 절개부
110 : 제1몸체부
120 : 제2몸체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protective cap
20: cellphone
30: earphone
32: plug
100: Body
106: incision
110: first body part
120: second body part

Claims (8)

이어폰 보호캡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를 감싸도록 플러그 지지공간을 갖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코드선을 감싸는 코드선 지지공간을 갖는 제2몸체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In the earphone protective cap:
A first body part having a plug support space to surround the plug of the earphone;
Earphone protective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formed of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having a cord line support space surrounding the cord line connected to the plug integr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의 플러그 지지공간과 상기 제2몸체부의 코드선 지지공간 내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The method of claim 1,
Earphone protective cap, characterized in that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ug support sp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cord line support sp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보호캡은
상기 몸체 외곽에 설치되는 링 타입의 압박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압박밴드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arphone protective cap
Further comprising a ring-type compression band is installed outside the body,
The body is an earphone protective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compression ba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코드선 지지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드선의 외피를 압박하여 상기 코드선의 이탈 및 급격한 꺾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cord line support space and supporting the cord wire to prevent the cord line from being separated and sharply b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portion of the earphone protective cap,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내부공간 및 상기 코드선 지지공간으로 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is an earphone protectiv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formed through the inner space and the cord line support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단커버와 하단커버로 분리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커버와 상기 하단커버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끼움홈들과 끼움돌기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is separated into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the earphone cover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fitting grooves and fitting protrusions for mutual coupling facing each other.
이어폰 보호캡에 있어서:
양단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코드선의 일부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 외곽에 설치되는 링 타입의 압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코드선과 맞닿는 내측면에 다수의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호캡.
In the earphone protective cap:
A cylindrical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plug of the earphone and a part of a cord wire connected to the plug are positioned; And
Including a ring-type compression ban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The body is a earphone protective ca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lug and the cord wire.
KR2020100010835U 2010-10-22 2010-10-22 Earphone Protection Cap Expired - Lifetime KR2004611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35U KR200461107Y1 (en) 2010-10-22 2010-10-22 Earphone Protection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35U KR200461107Y1 (en) 2010-10-22 2010-10-22 Earphone Protection C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84U true KR20120002984U (en) 2012-05-03
KR200461107Y1 KR200461107Y1 (en) 2012-06-29

Family

ID=4660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35U Expired - Lifetime KR200461107Y1 (en) 2010-10-22 2010-10-22 Earphone Protection C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0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1Y1 (en) * 2011-03-14 2013-04-17 (주)미래휴먼기술 Bubbler for drinking fountain
KR101673414B1 (en) 2015-12-24 2016-11-07 주식회사 블루콤 Bluetooth earphone having improved retractabl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wire
CN115051199A (en) * 2022-06-28 2022-09-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Wiring protective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07B1 (en) * 2005-07-19 2006-12-11 고성재 Rc plug assembly
KR20070016661A (en) * 2005-08-04 2007-02-08 박상화 Ebony audio cable dam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80000850U (en) * 2006-10-30 2008-05-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protective co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1Y1 (en) * 2011-03-14 2013-04-17 (주)미래휴먼기술 Bubbler for drinking fountain
KR101673414B1 (en) 2015-12-24 2016-11-07 주식회사 블루콤 Bluetooth earphone having improved retractabl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wire
CN115051199A (en) * 2022-06-28 2022-09-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Wiring protective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107Y1 (en)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US8218808B2 (en) Earphone capable of adapting to different audio output sockets
US7610661B2 (en) Cord management device, and cor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CN203942061U (en) Splicing ear and electric connector
US20110176699A1 (en) Earphone with a fixed function and earplug with a fixed function
EP2698878B1 (en) Posable strain relief for a cable
US10536766B1 (en) Earphone cord organizer
KR200461107Y1 (en) Earphone Protection Cap
KR20130092772A (en) Anti-twist earphone
US8011971B2 (en) Adjustable plug and earphone utilizing the same
KR20190002509A (en) Modular plug and communication cable with metal shielding cover
KR200482852Y1 (en) Cable for device with flexable outcable
JP5173015B1 (en) SIGNAL CABLE, POWER CABLE, ELECTRONIC DEVICE, AND SIGNAL CABLE MANUFACTURING METHOD
KR101939921B1 (en) Bluetooth earset
CN221962102U (en) Data cable bracket and data cable
KR102077157B1 (en) Earphone for audio equipment
CN206196005U (en) Portable intelligent terminal and earphone with headphone structure
KR20080067738A (en) Necklace earphone
CN210536894U (en) Bluetooth headset capable of being assembled quickly
KR200396764Y1 (en) Earphone
CN220556634U (en) Earphone wire with joint fracture-preventing structure
CN221748564U (en) Antiwind earphone
CN220493123U (en) Ear-clamping earphone with stable clamping
KR200450916Y1 (en) Earphone combined antenna device
KR100919419B1 (en) Contact type plug and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0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1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6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