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2854A -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854A
KR20120002854A KR1020100063568A KR20100063568A KR20120002854A KR 20120002854 A KR20120002854 A KR 20120002854A KR 1020100063568 A KR1020100063568 A KR 1020100063568A KR 20100063568 A KR20100063568 A KR 20100063568A KR 20120002854 A KR20120002854 A KR 20120002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supply
toilet
mounted toi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세
Original Assignee
(주) 스카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카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스카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6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854A/ko
Publication of KR2012000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03D1/0125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of built-in cis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03D11/143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 E03D11/146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with incorporated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벽걸이형 양변기가 설치되는 후벽에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양변기프레임; 상기 양변기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메인급수관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의 급수관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급수밸브가 구비되는 점검구함; 및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가 설치되는 측벽에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물내림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TANKLESS WALL HUNG TOILET}
본 발명은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걸이형 양변기는 위생도기가 벽면에 고정되는 형태를 일컫는 것으로서, 보통 양변기에 비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적어 외관이 단순하며, 위생도기가 바닥으로부터 떠 있어서 위생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저변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현재 사용하는 벽걸이양변기는 로탱크(즉, 수조)와 양변기를 고정하는 프레임이 일체로 된 시스템으로서, 로탱크를 벽체에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탱크 벽매립형 벽걸이 양변기 시스템은 로탱크 내부의 양부속은 점검할 수 있으나, 급수부 및 배수부 배관의 접합 부분에서 생기는 누수여부는 점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벽걸이형 양변기는 로탱크 내부의 양부속이 여러 개의 부품으로 나뉘어져 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통자체가 플라스틱계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시공상 타공정의 작업시 날카로운 물질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걸이형 양변기의 메인급수관을 전자개폐 급수밸브를 통하여 직접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급수메커니즘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추후 점검이 용이하고 부품교체가 쉬어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개폐 급수밸브의 작동을 그 측벽에 설치 가능한 전기식 자동 물내림 버튼을 통하여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로탱크를 포함한 여러 파트의 양부속이 없어지고, 하나의 전자개폐 급수밸브로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양변기의 오작동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벽걸이형 양변기가 설치되는 후벽에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양변기프레임; 상기 양변기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메인급수관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의 급수관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급수밸브가 구비되는 점검구함; 및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가 설치되는 측벽에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패드 방식의 물내림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내림버튼은 물의 공급량의 단계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내림버튼은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함의 외표면에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벽걸이형 양변기의 메인급수관을 전자개폐 급수밸브를 통하여 직접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고, 급수메커니즘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추후 점검시 배관의 누수확인이 용이하고 부품교체가 쉬어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개폐 급수밸브의 작동을 그 측벽에 설치 가능한 전기식 자동 물내림 버튼을 통하여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로탱크를 포함한 여러 파트의 양부속이 없어지고, 하나의 전자개폐 급수밸브로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양변기의 오작동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가 설치되기 전의 후벽 및 측벽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가 설치되기 전의 후벽 및 측벽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물내림이 전기식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즉,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물내림 제어를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시키고, 수조 및 그 내부에 양부속을 구비하는 기존 벽걸이형 양변기에 비하여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와 메인급수관(400)을 이용한 직수를 이용하여 물내림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바닥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벽체(10)에 고정하고, 외부의 메인급수관(400)으로부터 벽체(10)의 내부에 매설된 점검구함(310) 내의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설치되는 후벽(10)에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1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양변기프레임(300)과, 양변기프레임(3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메인급수관(400)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벽걸이형 양변기(1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10)이 연결되어, 메인급수관(400)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벽걸이형 양변기(100)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가 구비되는 점검구함(310)과,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설치되는 측벽(10)에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를 통한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터치패드 방식의 물내림버튼(200)를 포함한다.
양변기프레임(300)은,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설치되는 후벽(10)에 고정되는 철강재 구조물인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양변기프레임(100)은, 수조를 포함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프레임 크기(frame size)가 큰 기존의 벽걸이형 양변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수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양변기프레임(300)의 상부 내측, 즉 전면에는, 박스형상의 점검구함(3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점검구함(310)의 내부에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양변기프레임(300)의 하측 후벽면(10)에는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볼트(B)와 같은 체결구를 통하여 고정설치 되어있다. 여기서,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일측에는 외부의 메인급수관(400)이 연결되어 양변기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타측에는 급수관(412)이 연결되어 벽걸이형 양변기(1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물내림버튼(200)이 연결되어 벽걸이형 양변기(100)로의 물공급량을 제어하게된다. 본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상측에는 물내림버튼(200) 으로부터의 물공급량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점검구함(310)의 외표면에는 커버가 설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든 커버를 열어 그 내부의 배관을 육안으로 손쉽게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수조통 내부의 양부속을 점검할 수는 있으나 급수관 및 배수관의 누수여부를 점검하기가 불가능했던 기존 벽걸이형 양변기보다 급수관(410) 및 배수관(420)의 누수여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로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 가운데 있는 철심과 개폐판을 한 뭉치로 만든 액체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로서, 코일에서의 자력발생 유무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는 코일에 전자석이 작동하였을 때, 열리게 되는 정도나 닫히게 되는 정도를 물내림버튼(201, 20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적인 제어를 통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밸브도 적용될 수 있다.
물내림버튼(200)은,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설치되는 측벽(20)에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에 전기배선(21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터치패드(touch pad) 방식으로 설치되어,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를 통한 물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물내림버튼(200)이 터치되면, 그 터치에 해당되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제어신호가 제어부(311)로 인가되고, 제어부(311)는 제어신호를 통해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로서, 물내림버튼(200)은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버튼일 수 있다. 또한, 물내림버튼(200)은 물의 공급량의 단계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내림버튼(200)이 2개의 신호버튼(즉, 대변용 공급신호버튼 및 소변용 공급신호버튼)(201, 20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2개의 신호버튼(201, 202) 중 어느 하나의 신호버튼이 터치되면, 해당 신호버튼에 해당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제어부(311)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를 그에 해당되는 만큼 개방하여 물의 양을 대량 또는 소량으로 조절하여 벽걸이형 양변기(100)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물내림버튼(200)은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와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를 통한 물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통신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단거리 유무선통신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데이터 송수신부와 같은 구성이 부가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의하면, 벽걸이형 양변기(100)의 메인급수관(400)을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를 통하여 직접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고, 급수메커니즘을 단순화시킬수 있고, 나아가 추후 점검시 부품교체가 쉬어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의하면,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작동을 그 측벽에 설치가능한 전기식 자동 물내림 버튼(200)을 통하여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에 의하면, 기존의 로탱크를 포함한 여러 파트의 양부속이 없어지고, 하나의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로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양변기의 오작동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양변기 200: 물내림버튼
210: 전기배선 300: 양변기프레임
310: 점검구함 311: 제어부
312: 전자개폐 급수밸브 400: 메인급수관
410: 급수관 420: 배수관

Claims (5)

  1.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설치되는 후벽(10)에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1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양변기프레임(300);
    상기 양변기프레임(3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메인급수관(400)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1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10)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급수관(400)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100)의 급수관(410)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급수밸브(312)가 구비되는 점검구함(310); 및
    상기 벽걸이형 양변기(100)가 설치되는 측벽(20)에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물내림버튼(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312)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내림버튼(200)은 물의 공급량의 단계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내림버튼(200)은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전자개폐 급수밸브(3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함(310)의 외표면에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KR1020100063568A 2010-07-01 2010-07-01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KR20120002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568A KR20120002854A (ko) 2010-07-01 2010-07-01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568A KR20120002854A (ko) 2010-07-01 2010-07-01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54A true KR20120002854A (ko) 2012-01-09

Family

ID=4561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568A KR20120002854A (ko) 2010-07-01 2010-07-01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8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24A (ko) * 2015-03-31 2016-10-10 (주) 스카이시스템 양변기용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24A (ko) * 2015-03-31 2016-10-10 (주) 스카이시스템 양변기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439B1 (ko) 수도밸브 개폐장치
TW201504500A (zh) 多感應場智慧小便斗
CN110306635B (zh) 一种改善噪音的冲洗控制系统及方法
KR20120002854A (ko) 직수 벽걸이형 양변기
JP2008008124A (ja) 排水栓の遠隔操作開閉装置
CN101196013B (zh) 自动冲洗装置
WO2016119334A1 (zh) 一种远程放水控制装置及应用该装置的隐藏式抽水马桶水箱总成
KR20000063908A (ko) 양변기의 절수형 자동 세척 장치 및 방법
EP3064664A1 (en)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 sanitary bowl
CN201474048U (zh) 无水箱的电动冲水装置
CN213399326U (zh) 一种基于plc的温度控制节水装置
CN201406727Y (zh) 采用触摸延时开关实现即时冲洗厕所大便器的水箱
CN201424689Y (zh) 一种厕具辅助冲水系统
CN209211571U (zh) 一种冲厕装置
CN209194661U (zh) 一种坐便器及其水路控制系统
CN209172145U (zh) 嵌入式卫浴组合柜
CN102041841A (zh) 一种节水型智能冲水箱系统
CN203361290U (zh) 一种蹲式马桶的冲水控制装置
CN205530530U (zh) 一种组合洁具
CN205348323U (zh) 一种学校公共厕所节水装置
FI126776B (fi) WC-moduuli, automaatti-WC ja menetelmä automaatti-WC:n käymälätekniikan ohjaamiseksi
CN212896666U (zh) 一种双启动式冲水装置
KR200399352Y1 (ko) 양변기
CN202519775U (zh) 节水型抽水马桶
CN103790217B (zh) 带有漏水检测功能的水箱排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828

Appeal identifier: 2012101010197

Request date: 201211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30

Effective date: 2013082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1130

Decision date: 20130828

Appeal identifier: 201210101019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308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20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40626

Appeal identifier: 2013201007892

Request date: 20130927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40626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30927

Decision date: 20140626

Appeal identifier: 201320100789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