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2181A -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 Google Patents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181A
KR20120002181A KR1020100062937A KR20100062937A KR20120002181A KR 20120002181 A KR20120002181 A KR 20120002181A KR 1020100062937 A KR1020100062937 A KR 1020100062937A KR 20100062937 A KR20100062937 A KR 20100062937A KR 20120002181 A KR20120002181 A KR 2012000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basin
pedestal
present
standing
storag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태
Original Assignee
권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태 filed Critical 권혁태
Priority to KR102010006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181A/ko
Publication of KR2012000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47K1/05Holding devices for basins or j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에 관한 것으로서, 세숫대야의 보관시 욕실의 소요 면적을 줄이고 청결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가 둥근 원형으로 이루어진 세숫대야(10)에 있어서, 상기 세숫대야(100)를 측방향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대한 어느 한 위치에는 받침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110) 일면에는 고무패드(111)와, 요철부(112)와, 공기압착부(11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Standing washbowl}
본 발명은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숫대야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받침대를 형성한 세숫대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숫대야는 일반 가정집의 욕실이나 대중 목욕탕 등에서 물을 담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의 한 종류로서, 세면 또는 손빨래를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둥글고 넓적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세숫대야는 바닥에 놓고 사용한 후 그대로 보관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소요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세숫대야 내부에 고인 물이 그대로 방치되면 오염과 함께 여러가지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숫대야의 보관시 소요공간을 줄이고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각 가정에서는 세숫대야를 세워서 보관하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둥글고 넓적한 형태의 세숫대야는 측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기립하였을시 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넘어지거나 굴러가려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사용자는 세숫대야를 기립 보관시 세숫대야가 넘어지거나 굴러가지 않도록 받침대 역할의 물건을 세숫대야와 함께 받쳐놓아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숫대야의 보관시 욕실의 소요 면적을 줄이고 청결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숫대야를 기립하였을시 욕실 타일로부터 잘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접지 구조를 갖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세숫대야의 측면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세숫대야를 스스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세숫대야를 기립하였을시 욕실 타일로부터 잘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접지 구조를 이루도록 받침대에는 미끄럼방지부가 더 형성된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세숫대야를 기립하였을시 받침대와 바닥면의 접지 부위에 물이고여 오염되지 않도록 받침대 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에 의하면, 세숫대야가 기립 보관됨으로써 세숫대야 내부 공간에 물이 고이지 않고 모두 배출되어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욕실 안에서 세숫대야의 보관 면적이 줄어들어 욕실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숫대야의 기립 보관시 받침대에 형성된 고무패드로 인해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러지지 않는 안정된 접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세숫대야의 기립 보관시 받침대와 바닥면의 접지 부위에 물이 고이지 않고 흐르거나 공기가 유통되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기립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숫대야를 기립한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숫대야(100)는 상부 및 하부가 둥근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한 통상의 세숫대야 형상으로부터 외측면에 대한 어느 한 위치에는 받침대(110)가 형성된 것으로 이는 세숫대야의 측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받침대(110)는 세숫대야(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최소 하나 이상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세숫대야(100)의 측면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기립하였을시 원형의 세숫대야(100)가 넘어지거나 굴러가지 않고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받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110)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간격을 이루며 돌출 형성됨으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세숫대야(100)의 받침대(110) 일면에 미끄럼 방지용 고무패드(111)를 더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세숫대야(100)가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세숫대야(100)의 받침대(110) 일면에 요철부(112)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받침대(110)와 바닥의 접촉면 사이에서 물이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물 고임을 방지하고, 또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요철부(112)는 받침대(110)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형성된 세숫대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세숫대야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세숫대야(100)의 받침대(110) 일면에는 공기압착부(113)가 더 형성된 것으로 이는 욕실 타일에 공기 압착 방식에 의한 견고한 고정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기 압착 방식에 의해 세숫대야(100)를 고정하기에 욕실의 바닥 타일에 부착 고정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욕실의 벽면 타일에도 세숫대야(100)를 부착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0 : 세숫대야 110 : 받침대
111 : 고무패드 112 : 요철부
113 : 공기압착부

Claims (5)

  1. 상부 및 하부가 둥근 원형으로 이루어진 세숫대야(10)에 있어서,
    상기 세숫대야(100)를 측방향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대한 어느 한 위치에는 받침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0)는 상호 이격된 간격을 형성하며 한 쌍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0)의 일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고무패드(1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0)의 일면에는 요철부(11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0)의 일면에는 공기압착부(113)가 더 형성되어 세숫대야(100)를 욕실 타일에 공기 압착 방식으로 부착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KR1020100062937A 2010-06-30 2010-06-30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KR20120002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37A KR20120002181A (ko) 2010-06-30 2010-06-30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37A KR20120002181A (ko) 2010-06-30 2010-06-30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81A true KR20120002181A (ko) 2012-01-05

Family

ID=4560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937A KR20120002181A (ko) 2010-06-30 2010-06-30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1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7143A (zh) * 2014-07-18 2014-11-05 江西师范大学 无腿壁挂式脸盆架
CN112120563A (zh) * 2020-10-19 2020-12-25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可侧立的水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7143A (zh) * 2014-07-18 2014-11-05 江西师范大学 无腿壁挂式脸盆架
CN112120563A (zh) * 2020-10-19 2020-12-25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可侧立的水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619A (en) Bathtub shield arrangement
US5920926A (en) Easy shave foot support
KR20120002181A (ko) 받침대가 형성된 기립 보관형 세숫대야
CN206252431U (zh) 一种卫生间洗浴辅助装置
CN206385615U (zh) 一种办公场所茶叶过滤器
JP2010142467A (ja) 置き台、及び浴室構造
US20050235410A1 (en) Shower tray
KR101153433B1 (ko) 비누 받침대
CN222237523U (zh) 一种浴缸挡水收纳垫
CN111281233A (zh) 卫浴架单元及卫浴架
CN211172229U (zh) 一种具有伸缩支架的台盆安装结构
US20060037133A1 (en) Shower tray
CN217711452U (zh) 一种载物架扶手
KR100971091B1 (ko) 높이 조절식 간이 세면대
CN217907679U (zh) 一种高承重可就坐的手提桶
KR200338534Y1 (ko) 식기건조대 받침대
CN210019098U (zh) 一种浴室用置物层架
CN203531425U (zh) 淋浴房
JP2020179102A (ja) 縦置き洗面器
JP5371455B2 (ja) 置き台、及び浴室構造
KR200455401Y1 (ko) 슬리퍼
CN202959986U (zh) 一种浴室防滑垫
ES2232241B1 (es) Portaalfombrilla.
CN203897795U (zh) 一种浴室折叠凳
JP4669013B2 (ja) 風呂用マット立て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