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809A - Lens structure - Google Patents
Lens structure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0809A KR20120000809A KR1020100061273A KR20100061273A KR20120000809A KR 20120000809 A KR20120000809 A KR 20120000809A KR 1020100061273 A KR1020100061273 A KR 1020100061273A KR 20100061273 A KR20100061273 A KR 20100061273A KR 20120000809 A KR20120000809 A KR 201200008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lenses
- lens
- lens structure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렌즈 구조체는 내측면에 접착제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경통, 경통 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 복수의 렌즈 사이에 삽입되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와, 복수의 렌즈 중 최상측의 렌즈와 접촉하면서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를 경통 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렌즈구조체는 경통과 렌즈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부환경변화에 의해서도 렌즈의 광축을 유지하여 렌즈의 해상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 lens structure is disclosed. The disclosed lens structure includes a barrel having at least one groove portion filled with an adhesive on an inner side thereof, a plurality of lenses sequential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arrel, and at least one spacer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lenses. And a support portion for fixing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s in the barrel while in contact with the lens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lenses. Such a lens structure can secure the resolution of the lens by maintaining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even by changing the external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rrel and the le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환경에 의해 렌즈의 광축이 변경되지 않도록 결합구조가 개선된 렌즈구조체 및 그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structure and a coupling method of which the coupling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s not chang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광학산업분야, 특히 모바일 폰(mobile phone)과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에 사용되는 렌즈구조체는 고화질과 높은 정밀도 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렌즈업체는 높은 해상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Lens structures used in the optical industry, especially mobile phones and digital cameras, should ensure high quality and high precision performance. As such, lens makers are struggling to secure high resolution.
이러한 렌즈구조체의 해상력 확보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다양한 외부환경변화에 의해서도 렌즈구조체가 안정적인 고화소 해상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변화란 각 나라별 환경에 맞는 온도변화, 습도변화, 외부충격변화에 따른 제품의 안정적인 성능구현 유지이다.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curing the resolution of the lens structure is that the lens structure maintains stable high pixel resolution even under various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t this time, the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 is to maintain stable performance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humidity change, and external impact chang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each country.
하지만, 종래의 렌즈구조체는 경통과 지지물간의 상호 본딩결합으로써 경통에 삽입되는 복수의 렌즈를 고정시켜, 렌즈의 광축을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렌즈구조체는 외부환경변화에 따라 경통과 지지물간의 상호본딩에 의한 결합력이 약해서 렌즈의 광축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ens structure is composed of a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by fixing a plurality of lenses inserted into the barrel by mutual bonding coupling between the barrel and the support. Such a conventional lens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s changed due to the weak bonding force due to mutual bonding between the barrel and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은 경통에 렌즈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외부환경변화에 의해서도 렌즈의 광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의 해상력을 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구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structure that firmly couples a lens to a barrel, thereby preventing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from shifting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ecuring the resolution of the len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렌즈구조체는Lens struc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측면에 접착제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경통;A barrel having at least one groove portion filled with an adhesive on an inner side thereof;
경통 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A plurality of lense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barrel;
복수의 렌즈 사이에 삽입되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와,At least one spacer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o maintain a spacing between the lenses; Wow,
복수의 렌즈 중 최상측의 렌즈와 접촉하면서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를 경통 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한다.And a support portion for fixing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s in the barrel while in contact with the lens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lenses.
홈부는 경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지지부,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의 일측에 대면한다.The groove portion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el, and faces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
홈부는 십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홈으로 이루어진다.The groove portion consists of four grooves arranged in a cross shape.
지지부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경통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다.The support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along the upper edge, so that the adhesive can be fi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렌즈구조체는Lens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측이 관통되어 있는 경통;A barrel through which the inside penetrates;
경통 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A plurality of lense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barrel;
복수의 렌즈 사이에 삽입되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와,At least one spacer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o maintain a spacing between the lenses; Wow,
복수의 렌즈 중 최상측의 렌즈와 접촉하면서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를 경통 내에 고정시키며,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다.And a support for fixing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s in the barrel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ens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lenses, and having at least one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the adhesive can be filled.
홈부는 지지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groove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ortion.
홈부는 십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홈으로 이루어진다.The groove portion consists of four grooves arranged in a cross shape.
지지부는 홈부를 제외하고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경통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된다.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along the upper edge except for the groove portion,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dhesive can be fi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본 발명에 따른 렌즈구조체는Len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경통과 렌즈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부환경변화에 의해서도 렌즈의 광축을 유지하여 렌즈의 해상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First, 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rrel and the lens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olution of the lens by maintaining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even under the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둘째, 경통 또는 지지물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함으로써 렌즈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Second, by simpl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barrel or the support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of the lens is economic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통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구조체의 평면도.
도 4는 지지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렌즈구조체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렌즈구조체 110, 210---경통
120, 220---렌즈군 130, 230---스페이서
140, 240---지지부 141, 241---경사부
150, 250---홈부 160, 260---접착제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barrel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lens structure shown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lens structure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6.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
120, 220 ---
140, 240 ---
150, 250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illustrat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ut rath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통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지지부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rre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lens structur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support It is a cross section of.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조체(100)는경통(110)과, 경통(110)내에 차례로 끼워지는 렌즈군(120)와, 렌즈군(120)사이에 끼워져 이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군(130)와, 렌즈군(120)와 스페이서군(130)를 경통(110)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구비한다.1 to 4, the
경통(110)은 틀(frame)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그 단면은 원형이고, 그 내부는 비어 있다. 경통(110)의 일측에는 소정 지름의 개구(112)가 형성되며, 이에 끼워지는 렌즈군(120)을 지지하는 받침대(111)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경통(110)의 내측면(113)에는 소정폭과 깊이로 움푹 들어가도록 4개의 홈(151)(152)(153)(154)으로 이루어진 홈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홈(151)(152)(153)(154)은 경통(110)의 길이방향(도 2에서 경통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서로 90도를 이루어도록 십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홈부(150)의 개수와 배치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용례가 가능하다.The
렌즈군(120)는 4개의 렌즈(121)(122)(123)(1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렌즈(121)(122)(123)(124)들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렌즈의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용례가 가능하다.The
스페이서군(130)은 3개의 스페이서(131)(132)(133)로 이루어 지며, 이들 스페이서(131)(132)(133)사이에 끼워져 인접하는 렌즈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지지부(140)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통(110)내에 설치되어 최상측 렌즈(124)에 접촉하면서 렌즈군(120)과 스페이서(130)군을 경통(110)내에 고정시킨다. 지지부(140)의 상부 외측 가장자리는 소정각도로 모따기 되어 경사부(141)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지부(140)를 경통(110)의 내측에 끼우면 경사부(141)로 인하여 경통(110)의 내측면(113)과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된다. 이 빈 공간에는 접착제(160)가 채워지게 되므로 지지부(140)는 경통(110)의 내측면(113)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렌즈군(120)과 스페이서군(130)도 지지부(140)에 의하여 경통(110)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아울러, 접착제(160)는 4개의 홈(151)(152)(153)(154)에도 채워지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2)(123)(124)와 스페이서(131)(132)(133)는 4개의 홈부(151)(152)(153)(154)에 채워지는 접착제(160)에 의하여 경통(1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즉, 지지부(140)는 경통(110)내에 끼워지면, 그 외측면은 경통(110)의 내측면(113)과, 홈(151)(152)(153)(154)에 밀착되며, 경사부(141)와 경통(110)의 내측면(113)사이에 형성된 빈공간과, 홈(151)(152)(153)(154)에 접착제(160)가 채워지면 경통(110)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된다.That is, when the
결국, 렌즈군(120)과 스페이서군(130)은 홈부(150)와, 지지부(140)의 경사부(141)에 의하여 지지부(140) 및 경통(110)의 내측면(113)과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채워지는 접착제(160)에 의하여 경통(1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이렇게 렌즈군(120)과 스페이서군(130)이 경통(1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온도, 습도 및 충격과 같은 외부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렌즈군(120)의 광축이 변경되지 않는다.As such,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렌즈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ens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lens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6.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조체(200)는 경통(210)과, 경통(210)내에 차례로 끼워지는 렌즈군(220)와, 렌즈군(220)사이에 끼워져 이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군(230)와, 렌즈군(220)와 스페이서군(230)를 경통(210)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40)를 구비한다.5 to 7, the
경통(210)은 틀(frame)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그 단면은 원형이고, 그 내부는 비어 있다. 경통(210)의 일측에는 소정 지름의 개구(212)가 형성되며, 이에 끼워지는 렌즈군(220)을 지지하는 받침대(211)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The
렌즈군(220)는 4개의 렌즈(221)(222)(223)(22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렌즈(221)(222)(223)(224)들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도록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렌즈의 개수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용례가 가능하다.The
스페이서군(230)은 3개의 스페이서(231)(232)(233)로 이루어 지며, 이들 스페이서(231)(232)(233)사이에 끼워져 인접하는 렌즈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지지부(240)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통(210)내에 설치되어 최상측 렌즈(224)에 접촉하면서 렌즈군(220)과 스페이서(230)군을 경통(210)내에 고정시킨다. 지지부(240)는 4개의 홈(251)(252)(253)(254)으로 이루어진 홈부(250)를 구비한다. 홈(251)(252)(253)(254)은 지지부(24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및 폭으로 음각되도록 형성되며, 십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240)는 홈부(250)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그 상부 외측 가장자리를 소정각도로 모따기하기 형성된 경사부(241)를 구비한다. 지지부(240)를 경통(210)의 내측에 끼우면 경사부(241)로 인하여 경통(210)의 내측면(213)과의 사이에 접착제(260)가 채워질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홈부(250)의 개수와 배치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용례가 가능하다.The
지지부(240)는 경통(210)내에 끼워지면, 그 외측면과 홈(251)(252)(253)(254)은 경통(210)의 내측면(213)에 밀착되며, 경사부(241)와 경통(210)의 내측면(213)사이에 형성된 빈공간과, 홈(251)(252)(253)(254)에 접착제(260)가 채워지면 경통(210)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된다.When the
결국, 렌즈군(220)과 스페이서군(230)은 홈부(250)와, 지지부(240)의 경사부(241)에 의하여 지지부(240) 및 경통(210)의 내측면(213)과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채워지는 접착제(260)에 의하여 경통(2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위와 같이, 렌즈군(220)과 스페이서군(230)이 경통(2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온도, 습도 및 충격과 같은 외부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렌즈군(220)의 광축이 변경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원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를 조합하여, 홈부를 경통의 내측면과, 지지부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경통의 홈부와 지지부의 홈부는 서로 대면할 수도 있고,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ombination of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to 4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ures 5 to 7,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and the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can do. At this time, the groove portion of the barrel and the groove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may face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전술한 본 발명인 렌즈구조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lens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clarity,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상기 경통 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와,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최상측의 렌즈와 접촉하면서 상기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를 상기 경통 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구조체.A barrel having at least one groove portion filled with an adhesive on an inner side thereof;
A plurality of lenses that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arrel sequentially;
At least one spacer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lenses; Wow,
And a support part for fixing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s in the barrel while contacting the lens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lenses.
상기 홈부는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의 일측에 대면하는 렌즈구조체.The method of claim 1,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el, the lens structure facing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
상기 홈부는 십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렌즈구조체.The method of claim 2,
The groove portion is a lens structure consisting of four grooves arranged in a cross shape.
상기 지지부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통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는 렌즈구조체.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along the upper edge, the lens structure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dhesive is fi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상기 경통 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와,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최상측의 렌즈와 접촉하면서 상기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를 상기 경통 내에 고정시키며,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구조체.A barrel through which the inside penetrates;
A plurality of lenses that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arrel sequentially;
At least one spacer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lenses; Wow,
And a support part which fixes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spacers in the barrel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ens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lenses and has at least one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the adhesive can be filled.
상기 홈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구조체.6. The method of claim 5,
The groove portion is a lens structure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상기 홈부는 십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렌즈구조체.The method of claim 6,
The groove portion is a lens structure consisting of four grooves arranged in a cross shape.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부를 제외하고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통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는 렌즈구조체.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along the upper edge except the groove portion, the lens structure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dhesive is fi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273A KR101157397B1 (en) | 2010-06-28 | 2010-06-28 | Lens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1273A KR101157397B1 (en) | 2010-06-28 | 2010-06-28 | Lens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809A true KR20120000809A (en) | 2012-01-04 |
KR101157397B1 KR101157397B1 (en) | 2012-06-25 |
Family
ID=4560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12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7397B1 (en) | 2010-06-28 | 2010-06-28 | Lens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39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4786A (en) * | 2015-07-03 | 2017-01-11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Optical imaging lens with fastening structure |
US9904049B2 (en) | 2015-05-27 | 2018-02-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70484A (en) * | 2006-09-12 | 2008-03-27 | Citizen Electronics Co Ltd | Structure of lens unit |
CN101387727A (en) | 2007-09-14 | 2009-03-1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Lens module |
-
2010
- 2010-06-28 KR KR1020100061273A patent/KR1011573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04049B2 (en) | 2015-05-27 | 2018-02-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module |
US10527845B2 (en) | 2015-05-27 | 2020-01-0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module |
CN106324786A (en) * | 2015-07-03 | 2017-01-11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Optical imaging lens with fasten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7397B1 (en) | 2012-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60445B2 (en) | Imaging lens with enhanced stray light blocking | |
JP6820977B2 (en) | Lens module | |
US10203559B2 (en) | Curved display panel and curved display device | |
CN104181667B (en) | Lens driver | |
US10656428B2 (en) | Dual view display device | |
US20150036219A1 (en) | Lens array module | |
CN105676401A (en) | Lens module | |
JP2009163120A (en) | Connection method for lens for imaging device, lens unit using connection method, and imaging device with built in lens unit | |
JP6929326B2 (en) | Lens module | |
KR101157397B1 (en) | Lens Assembly | |
KR20140136726A (en) | Lens unit for camera module | |
KR20230074084A (en) | Lens assembly | |
US8270101B2 (en) | Lens and related lens module | |
JP6407031B2 (en) | Optical rea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reader | |
US10365451B2 (en) | Lens arra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
JP6967554B2 (en) | Lens module | |
JP6941471B2 (en) | Lens unit | |
JP6810210B2 (en) | Lens module | |
KR101228636B1 (en) | Lens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090268304A1 (en) | Unitary composite lens | |
TW201426067A (en) | Optical fiber connector | |
US10634866B2 (en) |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13559B1 (en) | Lens Module | |
CN211180352U (en) | lens module | |
KR100951299B1 (en) | Lens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