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9078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078A
KR20110139078A KR1020100097542A KR20100097542A KR20110139078A KR 20110139078 A KR20110139078 A KR 20110139078A KR 1020100097542 A KR1020100097542 A KR 1020100097542A KR 20100097542 A KR20100097542 A KR 20100097542A KR 20110139078 A KR20110139078 A KR 20110139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output
maximum
carrier
output
rever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조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081A/ko
Priority to AU2011270023A priority patent/AU2011270023B2/en
Priority to PCT/KR2011/004571 priority patent/WO2011162549A2/en
Priority to US13/166,074 priority patent/US9030980B2/en
Priority to CA2803821A priority patent/CA2803821C/en
Priority to CN201180040703.1A priority patent/CN103081542B/zh
Priority to JP2013516505A priority patent/JP5809261B2/ja
Priority to EP11798384.1A priority patent/EP2586252B1/en
Publication of KR2011013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078A/ko
Priority to US14/707,756 priority patent/US9521674B2/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H04L5/0046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bits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제1 역방향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로 결정된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을 합하고,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순방향 캐리어 및 역방향 캐리어가 집적된 단말이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상기 LTE 시스템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현재 규격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LTE 규격 완료에 발맞춰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하 LTE 시스템이라 함은 기존의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하기로 한다. 상기 새롭게 도입될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들 수 있다. 캐리어 집적은 단말이 다중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집적된 캐리어의 소정의 셀(통상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 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이는 결국 단말이 복수 개의 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과 동일하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단일 캐리어로 역방향 전송 시, 스케줄링된 자원의 양, 코딩 레이트 및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해서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필요 전송 출력을 소정의 최대 전송 출력으로 제한해서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 캐리어를 통해서 역방향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는 아직 논의된 바가 없으며, 단말이 필요 전송 출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타 주파수 밴드 혹은 타 셀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를 통해서 역방향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를 통해서 역방향 전송 시 필요 전송 출력을 유지하면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로 결정된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을 합하고,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제1 역방향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결정된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으로부터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으로부터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며,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합산한 후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합산한 후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를 통해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필요 전송 출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타 주파수 밴드 혹은 타 셀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효율적으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단말에서 단일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다른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기 시그날링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하는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 캐리어들이 집적된 단말이 다중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때 각 역방향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은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3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315)와 중심 주파수가 f3(3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3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3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단말이 복수의 역방향 캐리어를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때 단말이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단일 캐리어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이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을 소정의 최대 전송 출력으로 제한해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은 단말의 파워 클래스에 의해서 결정되는 단말의 내재적인 최대 전송 출력, 해당 셀에서 허용하는 최대 전송 출력 및 단말의 역방향 전송이 초래할 스퓨리어스 방사(spurious emission)를 소정의 요구 조건 이하로 맞추기 위한 단말의 전송 출력 축소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혹은 transmission power backoff) 등을 고려해서 결정되는 값이다.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은 주어진 전송 자원, MCS 수준 및 경로 손실 등에 의해서 산출되는, 주어진 역방향 전송에 적용되어 마땅한 전송 출력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임의의 시점에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스케줄링을 받으면, 단말은 상기 주어진 전송 자원, MCS 수준 및 경로 손실 등을 이용해서 필요 전송 출력을 산출한다. 단말에서 단일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단말에서 단일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필요 전송 출력(410)이 최대 전송 출력(405)을 초과하지 않으면, 즉 최대 전송 출력(405)은 200 mW이고, 필요 전송 출력(410)은 150 mW이면, 단말은 필요 전송 출력(410)을 역방향 전송 출력(415)으로 결정한다.
반면에 도 4의 (b)에서와 같이 필요 전송 출력(410)이 최대 전송 출력(405)을 초과하면, 즉 최대 전송 출력(405)은 200 mW, 필요 전송 출력(420)은 250 mW이면, 단말은 역방향 전송 출력(425)을 최대 전송 출력(405)과 동일하게 결정한다.그러나 단말이 동시에 다중 역방향 캐리어로 역방향 전송을 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단일 캐리어 전송 시의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할 수 없으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제1 실시 예>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단일 역방향 전송(즉, 단일 캐리어로 역방향 전송)과의 공통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다중 역방향 전송(즉, 복수의 캐리어로 역방향을 전송)시 역방향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이 역방향 전송 별 소정의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는 동시에 역방향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의 합이 소정의 또 다른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단말은 다중 역방향 전송을 수행해야 하면, 즉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셀에 대한 다수의 역방향 스케줄링 명령을 수신하면(이하, 임의의 셀에 대한 역방향 스케줄링을 수신한다는 것은 상기 셀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도록 역방향 전송 자원과 MCS 레벨을 할당받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역방향 전송에 대한 필요 전송 출력을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을 소정의 최대 전송 허용 값으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최대 전송 허용 값을 최대 전송 출력 1로 명명한다. 단말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로 제한된 값들을 합산한 값을 또 다른 최대 전송 허용 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또 다른 최대 전송 허용 값을 최대 전송 출력 2로 명명한다. 단말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로 제한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크다면 역방향 전송 출력들을 소정의 방식으로 경감시켜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단말은 필요 전송 출력과 최대 전송 출력 1을 사용해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1차로 결정한 후, 상기 1 차로 결정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의 합을 또 다른 기준 값, 즉 최대 전송 출력 2를 사용해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최종 결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1차로 결정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경우 단말의 전력 소모가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해서 초래되는 스퓨리어스 방사가 소정의 요구 값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임의의 단말이 캐리어 1과 캐리어 2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도록 역방향 스케줄링 명령을 수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현재 표준 논의에서 캐리어와 셀이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는 경우가 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도 캐리어와 셀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두 용어를 혼용한다.)
상기 캐리어 1과 캐리어 2에는 소정의 방식으로 설정된 최대 전송 출력 1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캐리어 1의 최대 전송 출력 1(505)과 캐리어 2의 최대 전송 출력 1(507) 모두 200 mW로 가정한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505, 507)은 캐리어 별로 다른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505, 507)이 캐리어 별로 어떻게 설정되는지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5의 예에서는 역방향 캐리어 1의 역방향 전송(이하 역방향 캐리어 x의 역방향 전송을 역방향 전송 x로 표기)의 필요 전송 출력(510)이 150 mW로, 역방향 전송 2의 필요 전송 출력(515)이 250 mW로 산출되었다. 상기 필요 전송 출력(510, 515)을 산출하는 방식은 기존의 필요 전송 출력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단말은 상기 필요 전송 출력들(510, 515)을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505, 507)과 비교해서, 필요 전송 출력(510, 515)이 최대 전송 출력 1(505, 507)보다 큰 경우에는 역방향 전송 출력(520, 525)을 최대 전송 출력 1(505, 507)로 설정하고, 필요 전송 출력(510, 515)이 최대 전송 출력 1(505, 507)보다 작은 경우에는 역방향 전송 출력(520, 525)을 필요 전송 출력(510, 515)으로 결정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캐리어별 필요 전송 출력을 최대 전송 출력 1로 제한한 것 (즉 필요 전송 출력과 최대 전송 출력 1 사이의 최소값)을 해당 캐리어의 전송 출력 1로 명명한다. 즉, 도 5의 예에서 단말은 캐리어 1에 대하여, 필요 전송 출력(510) 150 mW와 최대 전송 출력 1(505) 200 mW을 비교하면, 필요 전송 출력(510)이 최대 전송 출력(505)보다 작으므로, 캐리어 1의 역방향 전송 출력 1(520)을 필요 전송 출력(510) 150 mW와 동일하게 결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캐리어 2에 대하여, 필요 전송 출력(515) 250 mW와 최대 전송 출력 1(507) 200 mW을 비교하여, 필요 전송 출력(515)이 최대 전송 출력(507)보다 크므로, 캐리어 2의 역방향 전송 출력 1(525)을 최대 전송 출력 1(507) 200 mW와 동일하게 결정한다.
이후, 단말은 캐리어들의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을 합산한 값이 최대 전송 출력 2(530)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530)는 단말 별로 설정되는 값이며 후술한다. 상기 검사 결과, 단말은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530)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각 캐리어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535, 540)을 해당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530)를 초과하면, 상기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의 합을 최대 전송 출력 2(530)에 맞추기 위해서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 1(535, 540)을 소정의 방식으로 감소시킨다. 즉, 도 5의 예에서 최대 전송 출력 2(530)가 250 mW라면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의 합인 350 mW로부터 100 mW의 전송 출력 축소가 요구된다. 단말은 소정의 방식 예를 들어 캐리어 별로 동일하게 역방향 전송 출력을 축소시키는 방식으로 역방향 전송 출력 1(520, 525)의 합을 250 mW로 제한한다. 예에서 캐리어 1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535)은 100 mW, 캐리어 2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540)은 150 mW이다.
이하, 단말이 최대 전송 출력 1 및 최대 전송 출력 2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은 캐리어 별로 아래와 같이 <수학식 1에 의해서 설정되며, <수학식 1>에서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은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고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은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은 단말이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셀에서 허용되는 최대 전송 출력으로 시스템 정보나 제어 정보로 단말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은, 단말이 해당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시 사용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최대 출력이 될 수 있다. 여러 캐리어에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은 동시에 전송 가능한 역방향 캐리어의 수 만큼 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의 최대 출력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전력 증폭기의 최대 출력이 서로 다를 경우 캐리어와 전력 증폭기의 관계(즉 어떤 출력 증폭기가 어떤 캐리어에 사용되는지의 관계)를 일정하게 고정하고 기지국에게 소정의 방식으로 알려진다. 예를 들어 단말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사용해서 기지국에게 어떤 캐리어가 어떤 출력의 전력 증폭기와 매핑되는지 통보할 수 있다. 혹은 단말과 기지국은 RF부와 캐리어의 관계를 인지하고, 단말이 기지국에게 RF부 별로 최대 전송 출력을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 <수학식 3>에서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은, 단말이 임의의 역방향 전송을 수행했을 때 상기 역방향 전송으로 인해서 주변 주파수 밴드에 초래되는 스퓨리어스 방사를 미리 정해진 요구 기준 이하로 만족시키기 위해서 단말이 줄일 수 있는 역방향 전송 출력의 최대 허용 값이다. 상기 출력 감소 허용 값은 실제로 여러 가지 종류가 정의되어 있으며, 단말은 자신이 처한 상황, 예를 들어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의 양, 변조 방식 및 할당받은 전송 자원의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서 다양한 감소 허용 값을 선택한다. 상황 별 감소 허용 값은 36.101이라는 규격에 정의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은 상기 <수학식 1>에 정의된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과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사이에서 단말이 선택한다. 단말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과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사이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이 초래할 스퓨리어스 방사를 정해진 요구 조건 이하로 만족시키는 값을 최대 전송 출력 1로 선택한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는 단말 별로 설정되는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단말이 선택하는 값이다. 여기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단말의 여러 제반 사항이 고려되어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예를 들어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전력 증폭기들의 최대 전송 출력의 합이 될 수 있다. 단말이 모든 전력 증폭기에서 동시에 최대 전송 출력을 사용하면 배터리 소모가 극심해질 수 있으므로,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을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전력 증폭기들의 최대 전송 출력의 합보다 현격하게 낮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값은 단말 성능(UE capability)의 일부분으로 예를 들어 단말의 전송 출력 클래스와 같은 파라미터로 정의되어서 호 설정 과정 등을 통해 기지국에게 통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은,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해서 발생하는 스퓨리어스 방사를 소정의 요구 조건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단말이 줄일 수 있는 최대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은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4>에서 상기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해 출력 감소 허용 값은 단말이 어떤 주파수 대역의 어떤 대역폭을 사용해서 다중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지에 따라서 결정되는 값으로 36.101에 정의되어 있는 다른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과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서 각종 상황 별 적정한 값들이 규격에 미리 정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시그날링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605)과 캐리어 집적 기술을 지원하는 기지국(610)이 존재 할 때, 615 단계에서 단말(605)은 단말 성능 보고와 같은 소정의 메시지를 통해서 기지국(610)에게 단말(605)이 캐리어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관련 정보와 최대 전송 출력 2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캐리어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관련 정보는, 캐리어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605)이 임의의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은 단말(605)이 구비한 다수의 전력 증폭기 중 해당 캐리어와 매핑되는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송 출력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캐리어 별 단말(605)이 사용 가능한 최대 전송 출력은 단말(605)이 어떤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력 증폭기가 어떤 캐리어와 매핑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판단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력 증폭기는 하나의 RF 장치와 연결되기 때문에, 임의의 RF 장치가 어떤 캐리어를 지원하며, 상기 RF와 연결된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송 출력을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임의의 캐리어에서 단말(605)의 최대 전송 출력이 얼마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615 단계에서 단말(605)이 전송하는 '단말이 캐리어 당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관련 정보'는 아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안 1: 단말(605)이 구비하고 있는 전력 증폭기 당 매핑된 캐리어 정보. 예컨대 단말(605)이 전력 증폭기 A와 전력 증폭기 B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력 증폭기 A의 최대 전송 출력이 A`, 전력 증폭기 B의 최대 전송 출력이 B`이며, 전력 증폭기 A는 캐리어 a, b, c와 매핑되고, 전력 증폭기 B는 캐리어 d,e,f와 매핑된다면, 단말(605)은 기지국(610)에게 아래와 같은 정보를 전달한다.
전력 증폭기 A: [매핑된 캐리어 = a, b, c], 최대 전송 출력 A`
전력 증폭기 B: [매핑된 캐리어 = d, e, f], 최대 전송 출력 B`
단말(605)과 기지국(610)은 상기 방안 1의 정보를 바탕으로, 임의의 캐리어, 예컨대 캐리어 a가 스케줄링되면 상기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중 단말(605)이 캐리어 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으로 상기 캐리어 a와 매핑된 전력 증폭기인 전력 증폭기 A의 최대 전송 출력인 A`를 사용한다. 만약 전력 증폭기 A와 B의 최대 전송 출력이 동일하다면, 상기 동일한 최대 전송 출력이 모든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으로 적용된다.
방안 2: 단말(605)이 구비하고 있는 RF 장치 당 매핑된 캐리어 정보와 RF 장치의 최대 전송 출력 정보. 예컨대 단말(605)이 RF 장치 C와 RF 장치 D를 구비하고 있으며, RF 장치 C와 매핑된 캐리어는 a, b, c이고 RF 장치 D와 매핑된 캐리어는 d, e, f이며, RF 장치 C의 최대 전송 출력은 A`, RF 장치 D의 최대 전송 출력은 B`라면, 단말(605)은 기지국(610)에게 아래와 같은 정보를 전달한다.
RF 장치 C: [매핑된 캐리어 = a, b, c], 최대 전송 출력 A`
RF 장치 D: [매핑된 캐리어 = d, e, f], 최대 전송 출력 B`
단말(605)과 기지국(610)은 상기 방안 2의 정보를 바탕으로, 임의의 캐리어, 예컨대 캐리어 a가 스케줄링되면 상기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중 단말(605)이 캐리어 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으로 상기 캐리어 a와 매핑된 RF 장치인 RF 장치 C의 최대 전송 출력인 A`를 사용한다. 만약 RF 장치 C와 RF 장치 D의 최대 전송 출력이 동일하다면, 상기 동일한 최대 전송 출력이 모든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1의 최대값으로 적용된다.
최대 전송 출력 2 관련 정보는 단말(605)의 최대 전송 출력 2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정보이며, 단말(605)의 최대 전송 출력 2가 얼마인지 직접 지시된 정보이거나, 단말(605)의 전력 클래스(Power class)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620 단계에서 기지국(610)은 단말(605)에게 다중 캐리어를 집적할 때, 캐리어 별로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정보는 셀 간 간섭 등을 고려해서 셀 별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며 통상 시스템 정보로 단말(605)에게 알려지지만, 캐리어 집적을 위해서 단말(605)에게 설정되는 여분의 캐리어에 대해서는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단말(605)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625 단계에서 단말(605)은 상기 전달된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정보를 이용해서, 단말에게 설정된 캐리어 별로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을 결정한다.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과정은 캐리어 별로 상기 <수학식 2>를 적용함으로써 이뤄진다. 참고로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단말이 이미 알고 있으므로 별도의 결정 과정이 필요치 않다.
630 단계에서 단말(605)이 기지국(610)으로부터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들에 대한 역방향 스케줄링 명령을 수신한다. 얘를 들어 캐리어 1의 셀 1에 대해서 t1이라는 시점에 역방향 전송을 지시하는 역방향 그랜트(CELL 1, t1)와 캐리어 2의 셀 2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t1이라는 시점에 역방향 전송을 지시하는 역방향 그랜트(CELL 2, t1)를 수신한다.
635 단계에서 단말(605)은 상기 캐리어 별로 스케줄링 상황 등을 고려해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을 선택한 후 상기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을 상기 <수학식 3>에 적용해서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산출한다. 또한 캐리어 별 스케줄링 상황 등을 고려해서, 예컨대 몇 개의 캐리어에서 역방향 전송이 스케줄링 되었으며, 각 역방향 전송의 주파수 대역과 전송 대역폭 등을 고려해서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을 결정하고, 상기 <수학식 4>를 적용해서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결정한다.
640 단계에서 단말(605)은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과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 중 적절한 값으로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고,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과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 중 적절한 값으로 최대 전송 출력 2를 결정한다.
645 단계에서 단말(605)은 상기 결정된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최대 전송 출력 2를 이용하여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즉, 단말(605)은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을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로 제한해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을 결정한다. 그리고 단말(605)은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의 합을 계산한 후, 상기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한다. 이후 단말(605)은 상기 비교 결과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 들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 보다 작으면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최종 결정하고,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면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지 않도록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최종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705 단계에서 단말은 다중 역방향 캐리어에서 동시에 역방향 전송 명령을 수신하면,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710 단계로 진행한다.
71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715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별로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1과 필요 전송 출력 중 작은 값과 동일하게 해당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 1을 결정한다.
7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결정한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을 모두 합산하고 7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합산한 값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740 단계로 진행해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검사 결과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한다면 단말은 730 단계로 진행해서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해지도록,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 1을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 2의 차이 값을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개수로 나눈 값을, 역방향 전송 출력 1에서 일괄적으로 차감할 수 있다. 그리고 73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소정의 방식으로 감소된 역방향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해당 캐리어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제2 실시 예>
다중 캐리어로 역방향 전송 시, 한 캐리어의 필요 전송 출력이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을 초과하고, 다른 캐리어의 필요 전송 출력은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캐리어들의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필요 전송 출력이 최대 전송 출력 1을 초과한 캐리어의 최종 전송 출력은, 먼저 최대 전송 출력 1에 의해서 감소하고, 최대 전송 출력 2에 의해서 다시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2 중 감소는 높은 전송 출력이 요구되는 역방향 전송의 전송 출력을 더욱 많이 감소시킴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저하하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캐리어 1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535)은 100 mW로, 필요 전송 출력(510)에서 50 mW의 출력 감소를 겪지만, 캐리어 2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540)은 150 mW로, 필요 전송 출력(515)에서 100 mW의 출력 감소를 겪는다. 이는 캐리어 2의 경우 필요 전송 출력(515) 250 mW가 전송 출력 1(525)인 200 mW로 감소된 후 다시 50 mW가 추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2 중 감소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복수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530)를 초과할 때, 전송 출력 1(525)이 아니라 필요 전송 출력(250)에서 전송 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단말은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구해서 합산한 후 합산된 값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는지 검사하고, 초과하면 필요 전송 출력에서 적절한 양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켜서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해지도록 한다.
도 5를 예로 들면, 캐리어 1의 필요 전송 출력(510) 150 mW와 캐리어 2의 필요 전송 출력(515) 250 mW를 합산하면 400 mW가 되어 최대 전송 출력(530) 2를 150 mW 초과한다. 이에 단말은 상기 150 mW의 초과 전송 출력을 없애기 위해서 캐리어 1과 캐리어 2의 역방향 전송 출력을 75 mW 씩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캐리어 1의 역방향 전송 출력(510)은 175 mW가 되고 캐리어 2의 역방향 전송 출력(530)은 75 mW가 되며, 두 캐리어 공히 동일한 양의 역방향 전송 출력이 감소함으로써, 어느 한 캐리어에 출력 감소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이처럼 최대 전송 출력 2를 준수하기 위해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감소함에 있어서 캐리어별 필요 전송 출력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면 출력 감소한 후의 캐리어별 역방향 전송 출력이 여전히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을 초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캐리어 1의 필요 전송 출력(810)이 50 mW, 캐리어 2의 필요 전송 출력(815)이 300 mW인 경우, 필요 전송 출력(810, 815)의 합이 350 mW이므로, 최대 전송 출력 2(817)인 250 mW에 맞추기 위해 캐리어 당 필요 전송 출력(810, 815)을 50 mW 감소시킨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필요 전송 출력(810, 815)의 합을 최대 전송 출력 2(917)와 같거나 작게 만들기 위해서 캐리어 별로 감소시키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A라고 할 때, 필요 전송 출력(810, 815)에서 A를 감소시킨 결과 값을 전송 출력 1`라고 한다.
캐리어 1의 전송 출력 1`는 0 mW이고 캐리어 2의 전송 출력 1`(820)는 250 mW이다. 캐리어 2의 전송 출력 1`(820)가 캐리어 2의 최대 전송 출력 1(805)인 200 mW를 50 mW 초과하므로, 단말은 캐리어 2의 전송 출력 1`(820)를 다시 50 mW 감소시켜서 캐리어 2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825)을 200 mW(925)로 맞춘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전체 역방향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817)가 되도록 설정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이 한 번 더 감소됨으로써,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을 고려하면 전체 역방향 전송 출력이 최대 전송 출력 2(817)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은 캐리어 2에서 2차로 감소시킨 50 mW의 전송 출력을, 2차 감소가 일어나지 않은 다른 캐리어 예컨대, 캐리어 1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830)에 합산함으로써 전체 역방향 전송 출력이 최대 전송 출력 2(817)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요한 점은 전송 출력 1`에서 다시 한번 전송 출력 감소가 일어나는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오직 하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는 최대 전송 출력 2가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현격하게 높게 설정되지 않는 이상 항상 성립한다. 이 경우 두 번에 걸쳐서 출력 감소가 일어난 캐리어의 두번째 출력 감소 분을, 출력 감소가 한 번만 일어난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합산함으로써, 항상 가장 효율적인 역방향 전송 출력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905 단계에서 단말은 다중 역방향 캐리어에서 동시에 역방향 전송 명령을 수신하면,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910 단계로 진행한다.
91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91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한다.
920 단계에서 단말은 캐리어 별로 전송 출력 1`를 계산한다. 즉, 920 단계에서 단말은 필요 전송 출력들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작거나 같다면, 각 캐리어의 전송 출력 1`을 해당 캐리어의 필요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필요 전송 출력들의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크다면, 상기 필요 전송 출력들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해지도록, 필요 전송 출력들을 동일한 양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각 캐리어의 전송 출력 1`을 상기 동일하게 감소된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925 단계에서 단말은 캐리어 별로 전송 출력 1`와 해당 캐리어의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한다. 상기 9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비교 결과 전송 출력 1`가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크다면 9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94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을 최대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결정하고 93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935 단계로 진행한 것은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 지나치게 높은 전송 출력 1`를 사용하였음을 의미하며, 전송 출력 1`에서 감소된 양만큼의 전송 출력을 다른 캐리어에 사용하더라도 역방향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935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 출력 1`에서 최대 전송 출력 1을 감산한 값을, 다른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에 합산한다.
상기 94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전송 출력 1`를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선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1005), 제어부(10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020), 제어 메시지 처리부(1035) 및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1025, 103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0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중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005)는 상기 다중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0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025, 10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0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0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025, 10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03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035)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한다. 즉, 제어 메시지 처리부(1035)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수납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 예컨대 캐리어 별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정보 등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 메시지 처리부(1035)는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025, 030)는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020)로 전달하거나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02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010)는 송수신부(10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역방향 그랜트들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전송 자원으로 역방향 전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1005)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020)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10)는 상기 역방향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고, 단말의 성능 및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0)는 도 7의 715 단계에서와 같이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결정된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역방향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며, 도 7의 720 단계 내지 740 단계에서와 같이 각 캐리어 별로 결정된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을 합하여 상기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의 합과 상기 결정된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각 캐리어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0)는 도 9의 915 단계 및 920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전송 출력 1`을 계산하며, 도 9의 925 단계 내지 940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각 캐리어의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10)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각 캐리어 별로 상기 결정된 최종 역방향 전송 출력에 따라 역방향 전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한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로, 최대 전송 출력 1과 최대 전송 출력 2로 동일한 값을 사용하면서 단말이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서는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인 최대 전송 출력 1과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인 최대 전송 출력 2를 별개로 운용하는 대신, 하나의 최대 전송 출력만 정의해서 사용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여러 가지 다중 캐리어 전송 상황 별로 어떤 전송 출력 축소 값을 적용해야 하는지 인지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황 별 전송 출력 축소 값 (예를 들어 캐리어 A에서 x라는 전송 포맷을 사용하고 캐리어 B에서 y라는 전송 포맷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z라는 전송 출력 축소 값을 적용하고, 캐리어 B에서 w라는 전송 포맷을 사용하고 캐리어 C에서 u라는 전송 포맷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z`이라는 전송 출력 축소 값을 적용)은 단말의 성능(예를 들어 단말의 필터 성능) 등을 고려해서 단말 별로 정의된다. 상기 전송 출력 축소 값을, 단말의 파워 앰프의 내재적인 최대 전송 출력 등으로부터 결정되는 소정의 최대 전송 출력 값으로부터 감산한 값이 단일 최대 전송 출력 값으로 정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최대 전송 출력 값은 상기와 같이 결정되었으며 캐리어 별 전송 출력과 전체 전송 출력에 모두 적용되는 단일 최대 전송 출력 값을 일컫는다.
단말은 상기 단일 최대 전송 출력 값을 이용해서 캐리어 별 전송 출력 및 전체적인 전송 출력을 조정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단말은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먼저 결정하고,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이 초과하는지 여부를 보고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조정하거나,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한 값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과 비교해서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먼저 결정하는 단말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하였고,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을 먼저 비교하는 단말은 동작은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하는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105 단계에서 단말은 다중 역방향 캐리어에서 동시에 역방향 전송 명령을 수신하면,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1110 단계로 진행한다.
111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1115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해서 그 중 작은 값을 해당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 1로 결정한다.
11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캐리어 별로 결정한 역방향 전송 출력 1들을 모두 합산하고, 11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합산한 값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1140 단계로 진행해서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해당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 1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검사 결과,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한다면 단말은 1130 단계로 진행해서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과 동일해지도록,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 1을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의 차이 값을 역방향 전송 출력 1의 개수로 나눈 값 (이하 값 A로 명명)을, 역방향 전송 출력 1에서 일괄적으로 차감할 수 있다.
113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축소된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다시 검사한다. 대개의 경우, 1130 단계에서 전송 출력을 축소함으로써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게 되지만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의 역방향 전송 출력 1이 A보다 작으면, 전체 전송 출력이 여전히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한다. 단말은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 1135 단계에서 축소된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다시 검사하고 필요하다면 축소된 전송 출력 1을 다시 조정한다. 즉, 축소된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한다면 단말은 1130 단계로 진행해서, A값 (전송 출력 1의 합에서 최대 전송 출력을 감산한 값을 전송 출력 1이 0 이상인 역방향 캐리어의 수로 나눈 값)을 다시 계산하고, 상기 A 값을 전송 출력 1이 0 이상인 전송 출력 1에서 감산해서 전송 출력 1을 다시 축소한다. 그리고 상기 재차 축소된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등의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114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축소된 최대 전송 출력을 각 캐리어의 최종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과정을, 역방향 캐리어 1의 전송 출력 1이 90 mW, 역방향 캐리어 2의 전송 출력 1이 80 mW, 역방향 캐리어 3의 전송 출력 1이 10 mW 이고, 최대 전송 출력이 135 mW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역방향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의 합은 180 mW로 최대 전송 출력을 45 mW초과한다. 단말은 A(=(180-135)/3 = 15)를 산출하고, 산출된 A를 각 전송 출력 1에서 감산한다. 그 결과 역방향 캐리어 1의 축소된 전송 출력 1은 75 mW, 역방향 캐리어 2의 축소된 전송 출력 1은 65 mW 그리고 역방향 캐리어 3의 축소된 전송 출력 1은 0 mW가 된다. 역방향 캐리어 3에서 15 mW가 아니라 10 mW만 축소되었기 때문에 전송 출력 축소 후에도 여전히 5 mW의 전송 출력이 초과된 상태이다. 즉 축소된 전송 출력의 합이 140 mW로 최대 전송 출력 135 mW를 5 mW 초과한다. 단말은 상기 상황에서 A를 새롭게 산출하고, 상기 A (=(140-135)/2) = 2.5)를, 축소된 전송 출력이 0 mW 이상인 역방향 캐리어, 즉 역방향 캐리어 1과 역방향 캐리어 2의 축소된 전송 출력에서 감산한다. 결과적으로 역방향 캐리어 1의 축소된 전송 출력은 72.5 mW, 역방향 캐리어 2의 축소된 전송 출력은 62.5 mW가 되고 그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만족시키므로, 단말은 상기 축소된 전송 출력을 해당 캐리어의 최종 전송 출력으로 결정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205 단계에서 단말은 다중 역방향 캐리어에서 동시에 역방향 전송 명령을 수신한다. 즉 여러 개의 역방향 캐리어에서 역방향 전송이 일어나도록 역방향 전송 명령이 수신된다. 1210 단계에서 단말은 역방향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122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역방향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만약 초과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124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역방향 캐리어별 필요 전송 출력을 해당 캐리어의 전송 출력으로 결정한다.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한다면 단말은 123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을 조정한다.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의 조정은 필요 전송 출력에서 B를 감산함으로써 이뤄지며, B는 필요 전송 출력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의 차이를 전송이 일어날 역방향 캐리어(혹은 필요 전송 출력이 0 이상인 캐리어)의 수로 나눈 값이다. 요컨대 B는 전송 출력 1 혹은 축소된 전송 출력 1 대신 필요 전송 출력 혹은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이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A와 동일하다.
1235 단계에서 단말은 조정된 (혹은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검사해서, 초과하지 않는다면 124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을 최종 전송 출력으로 결정한다.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여전히 초과한다면, 단말은 1230 단계로 진행해서,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이 0이상인 역방향 캐리어들을 대상으로 B를 다시 계산하고 상기 B를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에서 감산함으로써 필요 전송 출력을 재차 축소하고, 상기 재차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등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부 (1010)는, 도 11에 따라 역방향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을 계산하고,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해서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조정한다. 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10)는 도 12에 따라 역방향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전송 출력 1을 결정하고, 전송 출력 1의 합과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해서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을 조정한다.
단말의 나머지 장치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실시 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서, 캐리어 별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했을 때, 단말은 캐리어 별로 동일한 양의 전송 출력을 감산한다. 예컨대 제1 실시 예에서는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면, 동일한 양의 전송 출력을 전송 출력 1로부터 감산하고, 제2 실시 예에서는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초과하면, 동일한 양의 전송 출력을 필요 전송 출력으로부터 감산한다. 이처럼 동일한 양의 전송 출력을 감산하는 대신, 동일한 비율의 전송 출력을 감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 실시 예에서 전송 출력 1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x% 초과하면, 각 캐리어의 전송 출력 1을 x% 감소시켜서 전송 출력 1의 합을 전송 출력 2에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예에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 2를 y% 초과하면, 각 캐리어의 필요 전송 출력을 y% 감소시켜서 전송 출력 1`를 결정할 수도 있다.

Claims (50)

  1.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제1 역방향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로 결정된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을 합하고,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한 결과,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필요 전송 출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및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과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해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성능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단계;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력 증폭기들의 최대 전송 출력의 합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과 상기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의 차이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1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하여 제1 역방향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결정된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비교한 결과, 상기 필요 전송 출력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필요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필요 전송 출력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결정하고,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들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및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과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해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성능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을 결정하고,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력 증폭기들의 최대 전송 출력의 합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과 상기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의 차이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한 결과, 상기 합산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필요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차이값을 다른 캐리어의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에 합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및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과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해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성능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단계;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력 증폭기들의 최대 전송 출력의 합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과 상기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의 차이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29.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최대 전송 출력 1 및 전체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송 출력 2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하여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산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비교한 결과, 상기 합산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와 동일하게 결정하고,
    상기 합산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필요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캐리어 별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과 동일하게 결정하고,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차이값을 다른 캐리어의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에 합산함을 특징으로하는 단말.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제1 역방향 전송 출력과 동일하게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및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대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1의 최소값은,
    해당 캐리어의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과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해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및 상기 단말이 해당 캐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과 상기 스퓨리어스 방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 값의 차이값 중 최소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성능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을 결정하고,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 및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력 증폭기들의 최대 전송 출력의 합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소값은,
    상기 최대 전송 출력 2의 최대값과 상기 다중 역방향 전송에 의한 스퓨리어스 방사 요구 조건 만족을 위한 출력 감소 허용값의 차이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9.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으로부터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에 따라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전송 출력 1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전송 출력 1을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42.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이용하여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으로부터 전송 출력 1을 결정하며,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합산한 후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에 따라 상기 각 캐리어 별 전송 출력 1을 축소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전송 출력 1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전송 출력 1을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5.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에 따라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48.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 캐리어 전송 시 각 캐리어 별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전송 출력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 출력을 결정하고,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합산한 후 상기 합산한 값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산한 값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에 따라 상기 각 캐리어 별 필요 전송 출력을 축소하고,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과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의 합이 상기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각 캐리어 별 역방향 전송 출력을 상기 각 캐리어 별 축소된 필요 전송 출력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00097542A 2010-06-22 2010-10-0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ending KR20110139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202A KR20110139081A (ko) 2010-06-22 201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U2011270023A AU2011270023B2 (en) 2010-06-22 2011-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1/004571 WO2011162549A2 (en) 2010-06-22 2011-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3/166,074 US9030980B2 (en) 2010-06-22 2011-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803821A CA2803821C (en) 2010-06-22 2011-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1180040703.1A CN103081542B (zh) 2010-06-22 2011-06-22 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上行链路数据的方法和装置
JP2013516505A JP5809261B2 (ja) 2010-06-22 2011-06-22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装置
EP11798384.1A EP2586252B1 (en) 2010-06-22 2011-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4/707,756 US9521674B2 (en) 2010-06-22 2015-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9025 2010-06-22
KR1020100059025 2010-06-22
KR20100061634 2010-06-29
KR1020100061634 2010-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078A true KR20110139078A (ko) 2011-12-28

Family

ID=45504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542A Pending KR20110139078A (ko) 2010-06-22 2010-10-0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00133202A Abandoned KR20110139081A (ko) 2010-06-22 201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202A Abandoned KR20110139081A (ko) 2010-06-22 201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030980B2 (ko)
EP (1) EP2586252B1 (ko)
JP (1) JP5809261B2 (ko)
KR (2) KR20110139078A (ko)
CN (1) CN103081542B (ko)
AU (1) AU2011270023B2 (ko)
CA (1) CA2803821C (ko)
WO (1) WO20111625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1038B (zh) * 2012-02-23 2014-11-11 Inst Information Industry 用於一無線網路通訊系統之基地台、核心伺服器及上行傳輸方法
CN106488544B (zh) * 2012-03-23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方法、网络节点及系统
US9215663B2 (en) 2012-06-29 2015-12-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at an access terminal
US9750028B2 (en) * 2012-10-11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ed maximum power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US8867397B2 (en) * 2012-10-17 2014-10-2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629098B2 (en) * 2013-04-08 2017-04-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radio network
CN108684072B (zh) * 2013-04-25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间载波聚合的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基站和设备
EP3042529B1 (en) 2013-09-04 2020-04-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930899A1 (en) * 2013-11-25 2015-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frame in wireless lan
US9491709B2 (en) 2013-12-27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a maximum power reporting ev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6134263B (zh) 2014-01-29 2019-11-0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通信中的上行链路传输
US9357510B2 (en) * 2014-03-31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haring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US9768910B2 (en) * 2014-06-24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Event 6D enhancements
JP6165114B2 (ja) * 2014-08-08 2017-07-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能力情報報告方法
US9730228B2 (en) * 2014-08-29 2017-08-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dividualized gain control of remote uplink band paths in a remote unit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combined uplink power level in the remote unit
US10536904B2 (en) 2016-05-09 2020-01-14 Ofinno, Llc Parallel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08259149B (zh) * 2016-12-29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接收参考信号的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US10142878B1 (en) * 2017-04-03 2018-11-27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handover of a high power wireless device operat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9152030B (zh) 2017-06-16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共享的方法及装置
CA3065411A1 (en) * 2017-08-16 2019-02-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271351B1 (en) * 2017-11-29 2019-04-23 Google Llc User equipment grant procedure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US10834761B2 (en) * 2018-02-17 2020-11-10 Ofinno, Llc Cell uplink selection control
WO2019193723A1 (ja) * 2018-04-05 2019-10-1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CN115499906A (zh) * 2021-06-19 2022-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最大输出功率的确定方法和装置
CN115865239B (zh) * 2021-09-27 2023-08-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载波聚合的信息上报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7912B1 (en) * 2003-01-04 201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user equipment supporting EUDCH service
GB2411078B (en) * 2004-02-10 2009-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KR100827117B1 (ko) * 2005-03-29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하여 기지국으로 단말의 최대 송신기 전력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6103067A1 (de) * 2005-03-30 2006-10-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kalierung eines e-dch kanals
US20060252447A1 (en) * 2005-05-03 2006-11-09 Tarik Muharemovic TPC Command, SIR Estimation and Channel Estimation Improvement Using TPC Command History
KR20070047636A (ko) * 2005-11-02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로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0373806C (zh) * 2005-11-02 2008-03-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高速共享控制信道和高速共享信息信道功率控制实现方法
US8098644B2 (en) * 2006-01-18 2012-01-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78305A (ko) 2007-02-23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258444B2 (ja) * 2007-09-28 2013-08-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及び周波数共用方法
CN101729104B (zh) * 2008-10-31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和系统、以及基站
WO2010051520A1 (en) * 2008-10-31 2010-05-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Handling uplink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uplink carriers
TWI487416B (zh) 2008-12-03 2015-06-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載波聚合上鏈功率餘裕報告
US8565170B2 (en) * 2009-01-1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on multiple carriers
WO2010089284A2 (en) * 2009-02-03 2010-08-12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power control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8724488B2 (en) * 2009-03-17 2014-05-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ransmission
US8514794B2 (en) * 2009-03-17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Loop power controls for multi-carrie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US8768397B2 (en) * 2009-10-02 2014-07-01 Sharp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power control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 plurality of regulated bands or component carriers
EP2497305A1 (en) * 2009-11-03 2012-09-12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power control for lower power nodes
KR20120033419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1435A (ja) 2013-08-01
WO2011162549A3 (en) 2012-02-16
US20110310781A1 (en) 2011-12-22
CN103081542A (zh) 2013-05-01
KR20110139081A (ko) 2011-12-28
US20150245357A1 (en) 2015-08-27
AU2011270023A1 (en) 2013-02-07
EP2586252A2 (en) 2013-05-01
US9030980B2 (en) 2015-05-12
US9521674B2 (en) 2016-12-13
AU2011270023B2 (en) 2015-02-19
CA2803821C (en) 2016-08-16
CN103081542B (zh) 2017-04-26
JP5809261B2 (ja) 2015-11-10
EP2586252B1 (en) 2022-03-02
WO2011162549A2 (en) 2011-12-29
CA2803821A1 (en) 2011-12-29
EP2586252A4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07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17049B2 (en) Uplink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uplink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51510B1 (ko) Carrier Aggreg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Power Headroom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944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CN105392193B (zh) 移动通信系统中配置功率余量信息的方法和装置
US9467955B2 (en)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95260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CN107182115B (zh) 在移动通信系统中确定每载波最大传输功率的方法和装置
US97367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4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Patent event date: 201010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