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937A - Wall Mount Rainwater Harvester - Google Patents
Wall Mount Rainwater Harv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8937A KR20110138937A KR1020100059129A KR20100059129A KR20110138937A KR 20110138937 A KR20110138937 A KR 20110138937A KR 1020100059129 A KR1020100059129 A KR 1020100059129A KR 20100059129 A KR20100059129 A KR 20100059129A KR 20110138937 A KR20110138937 A KR 201101389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storage unit
- wall
- reservoir
-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면에 빗물 저장통을 길게 설치하여 옥상이나 지붕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서도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각 층으로 추가 동력원 없이 빗물을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rainwater reservoir long on the building wall to collect and utilize the rainwater flowing down from the roof or roof,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existing buildings as well as new buildings without additional space, It relates to a wall-mounted rainwater harvester that allows rainwater to be supplied to each floor without additional power sour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을 모아 생활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빗물이용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that collects rainwater and utilizes it as living water, landscape water.
빗물이용시설은 빗물을 모아 생활용수(청소, 화장실, 세탁, 세차 등), 조경용수, 소방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건물 옥상이나 지상에 저장하여 이용하는 시설물이다.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store rainwater on the roof or ground of buildings so that it can be used as living water (cleaning, toilet, laundry, car wash, etc.), landscaping water, and firefighting water.
이러한 빗물이용시설은 최근 정부에서 빗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관련 법규를 통해 강제하는 한편 시설물 설치비용을 지원함으로써 더욱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Such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re being widely used by the government to actively use rainwater through related laws and to support the installation cost of facilities.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빗물이용시설 구조물은, 옥상에 빗물을 모아두는 탱크를 직접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지상 또는 지하 공간에 빗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빗물이용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o date, most rainwater utilization structures have been installed using tanks that collect rainwater directly on rooftops or by installing tanks that store rainwater in the ground or underground spaces. There is a problem in using it as a limit.
즉, 옥상에 빗물저장탱크를 설치한 경우는, 보다 많은 양의 빗물을 저장하는데 한계가 있고, 옥상 이외의 공간 즉, 건물 내부 또는 지상 또는 지하 공간에 옥상(또는 지붕)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서 저장하는 경우는, 별도의 저장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고, 지상 또는 지하 공간에 설치될 경우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 등의 전기 시설물이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when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installed on the rooftop, there is a limit to storing a larger amount of rainwater, and water collected from the rooftop (or roof) is collected in a space other than the rooftop, that is, inside the building or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space. In the case of storing, a separate storage space is additionally required, and when installed in the ground or underground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lectrical facility such as a pump capable of supplying water is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종래의 빗물이용시설물은 빗물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 시설물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빗물이용시설물의 설치비용을 크게 향상시켜, 빗물 이용 시설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o a number of facilities for the purification of rainwater,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is greatly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hav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 벽면에 직접 설치하여 옥상이나 지붕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서도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각 층으로 추가 동력원 없이 빗물을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directly on the building wall to configure the rain water flowing down from the roof or roof to be utilized to easily install and use in existing buildings as well as new buildings without additional spac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l-mounted rainwater utiliz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to supply rainwater to each floor of the building without additional power source.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오염 정도가 높은 처음의 빗물은 배출하고, 이후 상대적으로 깨끗한 빗물을 모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질의 빗물을 간단한 구조로 모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first rain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pollution degree, and then configured to collect and use relatively clean rainwater to collect and use good quality rainwater in a simple structure. The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조립되는 다단 조립식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건물 높이에 따라 조립단수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tages of assemb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by constructing a multi-stage assembly type structure assembled up and down.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건물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통과, 이 빗물 저장통을 건물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 저장통은,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 중 처음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구분되어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우수 저장부 안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우수방향 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rainwater reservoir whic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 in the building wall surface and drained from the roof is stor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ainwater reservoir to the building wall surface Including; The rainwater reservoir,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drained from the roof, and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is stored in the rainwater of good quality divided from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first It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is rainwater is stored in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water drain switch valve is provided so that rainwater drained from the roof flows into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는 상기 빗물 저장통 내에 구비된 제1분리벽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되, 제2우수 저장부가 제1우수 저장부보다 저장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ar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by a first separation wall provided in the rainwater reservoir, and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has a larger storage space than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
상기 제1분리벽을 중심으로 제1우수 저장부의 상부에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이 위치되고, 이 유입실과 제1우수 저장부 사이에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실과 제2우수 저장부 사이의 제1분리벽에 제2우수 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nflow chamber into which rainwater drained from a roof is introduced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round the first dividing wall, and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direction switching valve between the inflow chamber and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inflow chamber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rain inlet is provided at the first separation wall between the seal and the second rain reservoir.
이때, 상기 제2우수 유입구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excellent inle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blocking the foreign matter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하부에 제1우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우수 저장부의 하부 또는 그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우수 공급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ainwater reservoir,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rainwater discharge por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inwater reservoir, and at least one second rain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r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inwater reservoir.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1우수 저장부에 고인 빗물이 일정 이상일 때 상승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의해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를 차단하는 밸브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ainwater direction switching valve may include a buoyancy body that rises when rainwater accumulated in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mount, and a valve plate that blocks the inlet of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by the buoyancy body.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와 제2분리벽에 의해 분리되는 월류수 배출부가 구비되고, 제2분리벽의 상측 부분에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구가 구비될 수 있다.The rainwater reservoir may be provided with a monthly water discharge portion separated by the second excellent storage part and the second separation wall, and the overflow port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wall to discharge the overflow water.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된 다단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inwater reservoir may be formed of a multi-stage assembled structure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단 탱크, 하나 이상의 중간 탱크, 하단 탱크가 차례로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상단 탱크는,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우수방향전환밸브, 제1우수 저장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탱크는, 상기 상단 탱크와 하단 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탱크는, 상기 중간 탱크와 연결된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각 우수 저장부에 우수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ain water reservoir, the upper tank, one or more intermediate tanks, the lower tank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in sequence, the upper tank, the inlet chamber into which the rain water drained from the roof flows, and the rainwater conversion valve, the first excellent storage And a second excellent storage part, and the intermediate tank includes a first excellent storage part and a second excellent storage part connected between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nd the lower tank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ank. In addition to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it is preferable that rainwater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in each rainwater storage unit, respectively.
또한, 상기 빗물 저장통은, 다수의 탱크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측에 조립되는 탱크의 하단부에는 그 하측에 결합되는 탱크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되고, 상호 조립되는 탱크가 탱크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inwater reservoir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tanks, the lower end of the tank assembl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ank coupled to the lower side, the mutually assembled tank to prevent leakage between tanks It is preferable for the packing member to be provided.
한편,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는 저장 공간을 다수의 층으로 분리하는 나눔막이 설치되고, 이 나눔막에 의해 분리된 각 층에는 빗물이 일정 이상 고이면 하측의 저장 공간으로 빗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ainwater reservoir, the second excellent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dividing membrane that separates the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of layers, each of the layers separated by the dividing membrane is discharged rainwater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side if the rainwater is accumul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an overflow pipe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clearly through examples such as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or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wherein In addition to 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 sol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presented and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옥상 또는 지붕의 빗물 배수를 위한 홈통(배수 파이프)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통을 설치하여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서도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간편하게 빗물잉용시설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각 층으로 추가 동력원 없이 빗물을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gutter (drainage pipe) for rainwater drainage on the roof or roof, the rainwater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llect rainwater, so that it can be utilized to collect the existing water, as well as existing buildings, without additional space Rain water supply facilities can be installed and used, and each floor of the building has the effect of supplying rain water without using additional power sources.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오염 정도가 높은 처음의 빗물은 분리하고, 그 다음에 유입된 상대적으로 깨끗한 빗물을 모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양질의 빗물을 간단한 구조로 모아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first rain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pollution degree and to collect and use the relatively clean rainwater introduced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use high quality rainwater in a simple structure. .
또한, 본 발명은, 상단 탱크, 다수의 중간 탱크, 하단 탱크 등으로 상하로 조립되는 다단 조립식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 건물 높이에 따라 조립단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figured as a multi-stage prefabricated structure that is assembled up and down by a top tank, a plurality of intermediate tanks, a bottom tank, etc.,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tages appropriately have.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통을 다수의 층으로 분리하여 각 층의 공간에 빗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건물 내에 층층이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 추가 동력원 없이 건물의 모든 공간에서 용이하게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inwater reservoi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nd configured to be supplied by the floor in the building while the rainwater is stored in the space of each floor, it is easy to use rainwater in all spaces of the building without additional power source.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빗물 저장통에 간판 구조물, 조명 장치 등을 설치할 경우에, 빗물이용시설 외에, 추가적으로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a signage structure, a lighting device, etc. in the rainwater reservoir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figured and used to have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가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가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조립 전 상태를 보인 정면 및 측면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상단 탱크를 보여주는 정면, 측면 구성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중간 탱크를 보여주는 정면, 측면 구성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하단 탱크를 보여주는 정면, 측면 구성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정면 구성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활용 예를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mounted rainwater u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a fixing member.
3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front and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assembly of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tank provid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tank provid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s a front, side configuration and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tank provid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front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wall-mounted comb using apparatu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11,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건물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통(1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빗물 저장통(10)은 그 상측부분에 옥상에서 배수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 파이프(5)(홈통)가 연결되고, 하측 부분에 필요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 등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특히, 빗물 저장통(10)은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 중 상대적으로 더러운 처음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20)와, 이 제1우수 저장부(20)와 구분되어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3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빗물 저장통(10)은, 옥상에 비가 내리면서 처음 옥상의 먼지 등과 함께 유입된 초기 빗물은 제1우수 저장부(20)에 저장되고, 이 제1우수 저장부(20)가 다 찬 후에 어느 정도 깨끗해진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또한, 빗물 저장통(10)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탱크가 조립된 다단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빗물 저장통(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다단 조립식 구성은 다음에 자세히 설명한다.Specific configuration and multi-stage assembled structure of such a
도 2는 빗물 저장통(10)의 설치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브래킷 등의 고정부재(6)를 이용하여 건물 벽면에 빗물 저장통(10)을 부착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도 2에서 도면 부호 7은 빗물 저장통(10)을 지지하는 브래킷이고, 8은 브래킷(7)을 건물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를 나타낸다. In FIG. 2,
도 2에 예시된 고정부재(6)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통체형 구조를 갖는 빗물 저장통(10)을 건물 벽면에 지지시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공지의 다양한 고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벽면에 고정부재를 고리형으로 설치하고, 빗물 저장통(10)에 홈을 형성하거나 브래킷을 달아서 벽면의 고리형 고정부재에 벽걸이 방식으로 빗물 저장통을 설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The
이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빗물 저장통(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빗물 저장통(10)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체 빗물 저장통(10)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이후 다단 조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Now, the
빗물 저장통(10)은, 전체적으로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우수방향 전환밸브(40), 월류수 배출부(50)로 이루어진다.The
제1우수 저장부(20)는, 옥상 또는 지붕 등에서 배수된 빗물 중에서 처음 상대적으로 더러운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The first
제2우수 저장부(30)는 제1우수 저장부(20)와 구분되어 제1우수 저장부(20)가 다 찬 다음에 유입되는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The second
여기서, 제1우수 저장부(20)와 제2우수 저장부(30)는 상기 빗물 저장통(10) 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분리벽(13)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어 각각 구성되고,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30)가 초기 오염된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20)보다 저장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40)는, 제1우수 저장부(20)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우수 저장부(20) 안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And, the rainwater
이를 위해, 상기 제1분리벽(13)을 중심으로 제1우수 저장부(20)의 상부에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25)이 위치되고, 이 유입실(25)과 제1우수 저장부(20) 사이에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40)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실(25)과 제2우수 저장부(30) 사이의 제1분리벽(13)에 제2우수 유입구(14)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n
도 3 등에서 도면부호 11은, 도 1의 배수 파이프(5)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나타낸다.In FIG. 3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2우수 유입구(14)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 부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부재(15)는 메쉬 구조를 갖는 거름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우수방향 전환밸브(40)는, 제1우수 저장부(20)에 고인 물이 일정 이상일 때 상승하는 부력체(41)와, 이 부력체(41)의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의 입구를 차단하는 밸브판(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수방향 전환밸브(40)는 부력체(41)를 이용한 밸브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우수 저장부(20)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삼방밸브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우수 저장부(20)에 물의 저장 높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2우수 저장부(30) 쪽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전자식 삼방밸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ainwater
상기한 바와 같은 빗물 저장통(10)의 하부 구조는, 제1우수 저장부(20)의 하부 쪽에 제1우수 배출구(21) 및 나사식 마개(23)가 구비되고, 제2우수 저장부(30)의 하부 쪽에 제2우수 공급관(31)이 구비된다. 또한 제2우수 공급관(31)은 제2우수 저장부(30)의 하부 쪽만 아니라, 건물의 각 층에 양질의 우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2우수 저장부(30)의 중간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제2우수 공급관(31')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structure of the
한편, 상기 빗물 저장통(10)은, 제2우수 저장부(30)와 제2분리벽(16)에 의해 분리되는 월류수 배출부(5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제2분리벽(16)의 상측 부분에는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구(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월류수 배출부의 하부에는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수 퇴수관(51)이 구비된다. Meanwhile, the
도 3 등에 예시된 월류수 배출부(50)는 빗물 저장통(10) 안에 제2분리벽(16)으로 분할되어 구성된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월류구(17)에 연결된 별도의 월류수 배출 파이프(도 12의 도면부호 '51' 참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verflow
다음, 빗물 저장통(10)의 다단 조립식 구조 및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탱크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multi-stage assembled structure of the
빗물 저장통(1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탱크(110), 다수의 중간 탱크(120), 하단 탱크(130)가 차례로 조립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상단 탱크(110) 및 각 중간 탱크(120)는 그 하측에 결합되는 중간 탱크(120) 또는 하단 탱크(13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삽입부(140)들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140)는 빗물 저장통(10)이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삽입부(140)도 각각 돌출되어 아래쪽 탱크의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에 삽입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또한, 상기 각 삽입부(140)가 조립되는 부분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 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 방식으로 조립되는 각 탱크(110, 120, 130)의 상호 고정은 억지 끼움 방식,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방식, 클램프 등 연결부재를 이용한 상호 결합 방식 등으로 공지의 다단 탱크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cking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립식 빗물 저장통(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6-11, each tank which comprises the prefabricated
먼저, 상단 탱크(110)는,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특히 제1우수 저장부(20)의 상부에는 옥상으로부터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25)이 구비되는데, 이 유입실(25)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실(25)과 제1우수 저장부(20) 사이에 우수방향 전환밸브(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분리벽(13)과 제2분리벽(16)에는 제2우수 유입구(14)와 월류구(17)가 각각 형성되고, 제2우수 유입구(14)에는 필터 부재(15)가 설치된다.First, referring to FIG. 6 to FIG. 7, the
이러한 상단 탱크(11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는 중간 탱크(120)와 통하도록 개방되어 각각의 삽입부(1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단 탱크(110)에서 유입실(25)의 상부는 개폐 가능한 뚜껑(12)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실(25) 내부의 우수방향 전환밸브(40) 및 필터 부재(15) 등을 수리 또는 교환하거나, 필터 부재(15)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뚜껑(12)이 설치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다음, 중간 탱크(120)도, 상기 상단 탱크(110)와 대응되는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Next, the
이러한 중간 탱크(120)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고, 하부에는 중간 탱크(120) 또는 하단 탱크(130)와 조립되도록 각각의 삽입부(140)가 구성된다.The
이와 같은 중간 탱크(120)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2우수 저장부(30)에서 각 층으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2우수 공급관(31')이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다음, 하단 탱크(130)는, 상측에 조립되는 중간 탱크(120)와 대응되는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Next, the
이러한 하단 탱크(130)는 상부만 개방된 구조를 갖고,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는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제1우수 저장부(20)는 제1우수 배출구(21)가 연결되고, 제2우수 저장부(30)는 제2우수 공급관(31)이 연결되며, 월류수 배출부(50)는 월류수 퇴수관(51)이 연결된다.The
여기서 제1우수 배출구(21)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방시켜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우수 배출구(21)에 나사 결합식 마개(23) 또는 통상의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비가 멈춰서 더 이상 빗물 저장통(10)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개방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센서와 이 센서에 의해 개방되는 자동개폐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제2우수 공급관(31)도 건물 내부의 잡용수, 청소수, 건물 외부의 조경용수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빗물 사용처까지 연결된 공급 라인 상에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반면, 월류수 퇴수관(51)은 항상 빗물이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overflow
다음,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정면 구성도들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Next, Figures 12 to 14 are front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as follows. For referenc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제2우수 저장부(30)가 나눔막(160)을 통해 다수의 층으로 분리되어, 상측에 위치된 제2우수 저장부(30)에 빗물이 일정 이상 고이면 오버플로우 관(170)을 통해 하측에 위치된 제2우수 저장부(30)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 층으로 분할된 제2우수 저장부(30)에서 제2우수 공급관(31')을 통해 저장된 수량만큼 각 층에서 지속적으로 빗물을 공급받아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device illustrated in FIGS. 12 and 13, the second
이를 위해, 상단 탱크(110)와 중간 탱크(120)에서 제2우수 저장부(30)의 하부가 나눔막(160)에 의해 막힌 구조로 이루어지고, 오버플로우 관(170)을 통해서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제1우수 저장부(20)의 하부는 위에서 설명한 삽입부(140)가 그대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도 12는 파이프 형태로 오버플로우 관(170)이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13은 분리벽 형태의 오버플로우 관(170)이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1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12에서와 같이 상측과 하측의 오버플로우 관(170)이 동일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오버플로우 관(170) 상부에 위에서 떨어진 물이 오버플로우 관으로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캡(175)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도 13에서와 같이 좌우로 교번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캡(175)을 설치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alternately installe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ure 13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without installing the
다음, 도 14에 예시된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빗물 저장통(10)이 조립식 구조가 아닌 일체식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이다.Next,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4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즉, 상기한 여러 실시예들에서는 빗물 저장통(10)이 상하로 조립가능하게 분할되어 상호 조립되었으나, 도 14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분할되지 않고, 빗물 저장통(10) 내부에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가 수직으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물론 빗물 저장통(1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구성은, 위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단 탱크(110) 및 하단 탱크(130)의 기본 구성과 분리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구성된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한편,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빗물 저장통(10) 구조에서,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우수 저장부(20)와 제2우수 저장부(30)는 하나의 통에 함께 구성하고, 월류수 배출부(50)는 별도의 통 또는 파이프로 구성하여 연결 조립하는 방식, 또는 제1우수 저장부(20)와 제2우수 저장부(30)를 별도의 통으로 구성하여 상호 연결하여 조립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integrated
도 1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다양한 활용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빗물 저장통(10)의 바깥쪽에 간판 구조물(200)을 설치하거나, 빗물 저장통(10)의 외면에 직접 LED 등의 조명기구들을 설치하여 간판 또는 광고 구조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5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applications of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stall the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가 건물 외벽에 노출되게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건물 외벽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건물 매립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the building outer wall,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part of the building outer wall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building buried.
또한, 빗물 저장통(10)을 수평 방향으로 그 크기를 확장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건물의 외벽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빗물 저장통(10)은 건물 외벽을 이룰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소재(예를 들면,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철판 구조물 등)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 저장통(10)을 건물의 외벽에 마감부재 대신에 설치하여 마감부재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빗물 저장통은 건물 외벽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두께를 얇고 슬림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상기 빗물 저장통은,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 중 처음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구분되어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우수 저장부 안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우수방향 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A rainwater reservoir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building wall to store rainwater drained from the roof, and a fixing member fixing the rainwater reservoir to the building wall;
The rainwater reservoir,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drained from the roof, and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is stored in the rainwater of good quality divided from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first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rainwater direction switching valve so that rainwater drained from the roof flows into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when the rainwater is stored in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는 상기 빗물 저장통 내에 구비된 제1분리벽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되, 제2우수 저장부가 제1우수 저장부보다 저장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are separated from side to side by a first separation wall provided in the rainwater reservoir, wherein the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has a larger storage space than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Wall-mounted rainwater harvesters.
상기 제1분리벽을 중심으로 제1우수 저장부의 상부에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이 위치되고, 이 유입실과 제1우수 저장부 사이에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실과 제2우수 저장부 사이의 제1분리벽에 제2우수 유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inflow chamber into which rainwater drained from a roof is introduced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round the first dividing wall, and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direction switching valve between the inflow chamber and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the inflow chamber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ainwater inlet is provided in the first separation wall between the seal and the second rainwater reservoir.
상기 제2우수 유입구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excellent inlet is a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blocking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하부에 제1우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우수 저장부의 하부 또는 그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우수 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water reservoir is a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ainwater discharge por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inwater reservoir, and at least one second rain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at the lower or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inwater reservoir. .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1우수 저장부에 고인 빗물이 일정 이상일 때 상승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의해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를 차단하는 밸브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water direction switching valve includes a buoyancy body that rises when rainwater accumulated in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mount, and a valve plate for blocking an inlet of the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by the buoyancy body. Rainwater harvesting device.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와 제2분리벽에 의해 분리되는 월류수 배출부가 구비되고, 제2분리벽의 상측 부분에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water reservoir is provided with a wall water discharge portion separated by the second excellent storage portion and the second separation wall, the wall-mounted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wall is provided with a flow outlet through which the overflow water is discharged Device used.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된 다단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rainwater reservoir is a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stage assembled structure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단 탱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탱크, 하단 탱크가 차례로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상단 탱크는,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우수방향전환밸브, 제1우수 저장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탱크는, 상기 상단 탱크와 하단 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탱크는, 상기 중간 탱크와 연결된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각 우수 저장부에 우수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ainwater reservoir, the upper tank, one or more intermediate tanks, the lower tank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in sequence,
The upper tank is provided with an inflow chamber into which the rainwater drained from the roof is introduced, the rainwater diversion valve, the first excellent storage unit, and the second excellent storage unit,
The intermediate tank is provided with a first excellent reservoir and a second excellent reservoir connected between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The lower tank has a first rainwater storage unit and a second rainwater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ank, and rainwater outlets are provided with rainwater discharge ports, respectively.
상기 빗물 저장통은, 다수의 탱크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측에 조립되는 탱크의 하단부에는 그 하측에 결합되는 탱크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되고, 상호 조립되는 탱크와 탱크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ainwater reservoir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tanks, the lower end of the tank assembl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ank coupled to the lower side,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tank and the tank assembled together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member is provided.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는 저장 공간을 다수의 층으로 분리하는 나눔막이 설치되고, 이 나눔막에 의해 분리된 각 층에는 빗물이 일정 이상 고이면 하측의 저장 공간으로 빗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rainwater reservoir, the second excellent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dividing membrane that separates the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of layers, each of the layers separated by the dividing membrane over discharges rainwater into the lower storage space if the rain water is accumul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all-mounted rainwater u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ipe is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9129A KR101290694B1 (en) | 2010-06-22 | 2010-06-22 | Rainwater use device of the way mounted to the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9129A KR101290694B1 (en) | 2010-06-22 | 2010-06-22 | Rainwater use device of the way mounted to the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8937A true KR20110138937A (en) | 2011-12-28 |
KR101290694B1 KR101290694B1 (en) | 2013-07-31 |
Family
ID=4550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91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0694B1 (en) | 2010-06-22 | 2010-06-22 | Rainwater use device of the way mounted to the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069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05683A (en) * | 2012-09-07 | 2014-03-12 | Bjorn Wood | Water butt with mounted plant container |
ES2618371A1 (en) * | 2015-12-17 | 2017-06-21 | Universitat Politécnica de Catalunya | System of equitable rain water distribution in houses of floor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722524B1 (en) * | 1994-08-10 | 2001-06-13 | Roland Widmann | Tank system |
KR100524151B1 (en) * | 2003-07-22 | 2005-10-2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JP4180044B2 (en) * | 2004-11-25 | 2008-11-12 | 株式会社トーテツ | Flowing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
KR20110043135A (en) * | 2009-10-21 | 2011-04-27 | 장동원 | Storm storage assembly and storm storage facility using it |
-
2010
- 2010-06-22 KR KR1020100059129A patent/KR1012906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05683A (en) * | 2012-09-07 | 2014-03-12 | Bjorn Wood | Water butt with mounted plant container |
GB2505683B (en) * | 2012-09-07 | 2015-06-24 | Bjorn Wood |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
GB2522360A (en) * | 2012-09-07 | 2015-07-22 | Bjorn Wood |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
GB2522360B (en) * | 2012-09-07 | 2017-05-24 | Hummingwood Ltd | A water butt with integral container for plants |
ES2618371A1 (en) * | 2015-12-17 | 2017-06-21 | Universitat Politécnica de Catalunya | System of equitable rain water distribution in houses of floor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0694B1 (en) | 2013-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2885B1 (en) | The rainwater gatherring system | |
CN204919779U (en) | Floor drain for co -layer draining | |
WO2016200140A1 (en) | Rainwater collection device removing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 |
KR101646436B1 (en) | The assembly structure type water storage tank havung a water bag | |
KR101461655B1 (en) | Gfreenization system for flood prevention | |
JP2014109141A (en) | Rainwater storage piping structure | |
KR101290694B1 (en) | Rainwater use device of the way mounted to the wall | |
TWI522514B (en) | Rainwater collection and dispensation system | |
KR101838899B1 (en) | Filter installation structure 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nd rainwater catcher | |
KR20110059335A (en) | Water storage device using leak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 |
KR20110033529A (en) | Rainwater Storage System | |
CN103161192B (en) | A kind of Power-free rainwater collection device | |
PL176565B1 (en) | Building structu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precast units or equivalent prefabricated units | |
CN201080462Y (en) | Soft connection combination type septic tank | |
CN103541423A (en) | Self-cleaning type sewage lifting device | |
KR101282720B1 (en) | Landscaping Structure of Underground Rainwater Reservoir | |
JP2011038295A (en) | Rainwater drainage structure | |
CN210737746U (en) | Dry and wet universal deodorant floor drain | |
JP5315045B2 (en) | Tank for rainwater storage and runoff control | |
CN113187078A (en) | Rainwater treatment device | |
KR200358265Y1 (en) | Drainpipe structure easily swept for deposits | |
CN213709823U (en) | Landscape pool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 |
KR101327393B1 (en) |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unit blocks | |
KR101516970B1 (en) | A deduction device fixing in a wall for low sewage ejection in a building | |
CN216164063U (en) | Irrigation system is collected to town road rain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