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7983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983A
KR20110137983A KR1020100058034A KR20100058034A KR20110137983A KR 20110137983 A KR20110137983 A KR 20110137983A KR 1020100058034 A KR1020100058034 A KR 1020100058034A KR 20100058034 A KR20100058034 A KR 20100058034A KR 20110137983 A KR20110137983 A KR 20110137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plus power
mode
information
uplink componen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5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7983A/ko
Priority to US13/699,556 priority patent/US20130070716A1/en
Priority to PCT/KR2011/004434 priority patent/WO2011159122A2/en
Publication of KR2011013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98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단말에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Power Headroom Report)의 모드(mode)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기초로 잉여전력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개시한다.
따라서, 단말의 잉여전력 보고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여 한정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링크 설정(link adaptation)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이 단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단말의 전력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전력제어 기술은 무선통신에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간섭요소를 최소화하고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필수 핵심기술이다.
이와 관련하여 잉여전력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는 단말이 어느 정도의 전력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다. 즉, 잉여전력은 단말이 최대로 송신할 수 있는 전력에서 현재 단말이 전송하고 있는 전력의 차이를 의미한다. 단말이 잉여전력 보고를 기지국에 수행하는 이유는, 특정 단말의 능력을 벗어나는 양의 무선 자원을 할당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현재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고려한 잉여전력 보고에 관하여 아직까지 결정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Power Headroom Report)의 모드(mode)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기초로 잉여전력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전부에 대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중 일부에 대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제2 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 수신부,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가 제1 모드일 경우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전부에 대한 잉여전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가 제2 모드일 경우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중 일부에 대한 잉여전력값을 생성하는 잉여전력값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잉여전력값을 전송하기 위한 잉여전력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잉여전력 메시지 생성부, 및 생성된 잉여전력 메시지를 전송하는 잉여전력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어느 요소 반송파에 관한 잉여전력을 보고해야 할지에 관한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잉여전력 보고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보고 절차를 명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 따르면 기존의 LCID 필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reserved 필드를 본 발명에 따른 잉여 전력 전송을 위한 요소 반송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요소 반송파의 잉여 전력 전송의 정확성을 도모하며, 정해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링크 설정(link adaptation)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같은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같은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같은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8은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잉여전력을 시간-주파수축에서 나타낸 그래프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잉여전력 보고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준 CC 지시정보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기준 CC 지시정보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기준 CC 지시정보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다른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다른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잉여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는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이하 CC)라고 한다. 각 CC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CC가 할당된다면,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도 2와 같은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 도 3과 같은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 그리고 도 4와 같은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으로 나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내 인접 반송파 집성은 동일 밴드내에서 연속적인 CC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 CC#3,..., CC #N이 모두 인접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밴드내 비인접 반송파 집성은 불연속적인 CC들 사이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는 서로 특정 주파수만큼 이격되어 존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간 반송파 집성은 다수의 CC들이 존재할 때, 그 중 하나 이상의 CC가 다른 주파수 대역상에서 집성되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 #1은 밴드(band) #1에 존재하고, CC #2는 밴드 #2에 존재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CC 수와 상향링크 CC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CC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CC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CC(carrier #0) + 20MHz CC(carrier #1) + 20MHz CC(carrier #2) + 20MHz CC(carrier #3) + 5MHz CC(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용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510)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물리(physical) 계층(520)을 관리한다. 특정 반송파로 전송되는 MAC 관리 메시지는 다른 반송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MAC 관리 메시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포함하여 다른 반송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물리계층(520)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할 수 있다.
물리계층(520)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물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은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도 6은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각 CC는 자신의 제어채널(예를 들어 PDCCH)를 가질 수 있다. CC는 서로 인접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은 자신의 역량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를 지원할 수 있다.
CC는 방향성에 따라 전 설정(fully configured) CC와 부분 설정(partially configured) CC로 나뉠 수 있다. 전 설정 CC는 양방향(bidirectional) 반송파로 모든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반송파를 가리키고, 부분 설정 CC는 단방향(unidirectional) 반송파로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송신할 수 있는 반송파를 가리킨다. 부분 설정 CC는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및/또는 SFN(Single Frequency Network)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CC는 활성화 여부에 따라 PCC(Primary Component Carrier; 이하 PCC)와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 이하 SCC)로 나뉠 수 있다. PCC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송파이고, SCC는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단말은 하나의 PCC만을 사용하거나, PCC와 더불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CC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PCC 및/또는 SCC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PCC는 전 설정 반송파일 수 있으며, 기지국과 단말간의 주요 제어 정보들이 교환되는 반송파이다. SCC는 전 설정 반송파 또는 부분 설정 반송파일 수 있으며, 단말의 요청이나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할당되는 반송파이다. PCC는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 및/또는 SCC의 할당에 사용될 수 있다. PCC는 특정 반송파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전 설정 반송파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SCC로 설정된 반송파도 PCC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하향링크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이하 DL CC) D1, D2, D2이 집성되어(aggregated) 있고,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이하 UL CC) U1, U2, U3이 집성되어 있다. 여기서 Di는 DL CC의 인덱스이고, Ui는 UL CC의 인덱스이다(i=1, 2, 3). 적어도 하나의 DL CC는 PCC이고, 나머지는 SCC이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UL CC는 PCC이고, 나머지는 SCC이다. 예를 들어, D1, U1이 PCC이고, D2, U2, D3, U3은 SCC이다.
FDD 시스템에서 DL CC와 UL CC는 1:1로 연결설정되며, D1은 U1과, D2는 U2와, D3은 U3과 각각 1:1로 연결설정된다. 단말은 논리채널 BCCH가 전송하는 시스템정보 또는 DCCH가 전송하는 단말전용 RRC메시지를 통해, 상기 DL CC들과 UL CC들간의 연결설정을 한다. 각 연결설정은 셀 특정하게(cell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 특정하게(UE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다.
DL CC에 연결설정되는 UL CC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기지국이 DL CC를 통하여 전송한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UL CC,
2) 단말이 UL CC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지국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DL CC,
3)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하는 단말이 UL CC를 통하여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RAP)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DL CC,
4) 기지국이 DL CC를 통하여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가 적용되는 UL CC등이다.
도 7은 DL CC와 UL CC간의 1:1 연결설정만을 예시로 들었으나, 1:n 또는 n:1의 연결설정도 성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잉여 전력(Power Headroom; PH)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최대 송신 가능 전력이 10W인 단말을 가정해 보자. 그리고 현재 단말이 1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9W의 출력을 쓰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단말에게 20Mhz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면, 9Wㅧ2=18W의 전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단말의 최대 전력이 10W이므로, 상기 단말에게 20Mhz를 할당한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모두 사용할 수 없거나, 혹은 전력이 부족하여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데이터는 그 특성에 따라 갑자기 생성되기도 하며, 그 양도 일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만약 단말이 갑자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게 된 경우, 기지국이 데이터의 발생 전에 미리 단말로부터 받아 놓은 잉여전력 보고가 있다면, 기지국이 단말에게 적절한 양의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여전력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주기적 (Periodic) 잉여전력 보고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주기적 잉여전력 보고 방식에 따르면, 단말은 주기적 타이머 (Periodic timer)가 만료되면, 잉여전력 보고를 트리거(trigger)하고, 잉여전력이 보고되면, 주기적 타이머를 재구동한다.
이외에도, 단말이 측정한 경로손실(Path Loss; PL) 추정치(Estimate)가 일정 기준 값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도 잉여전력 보고는 트리거된다. 경로손실 추정치는 RSRP(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에 기반하여 단말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각 요소 반송파별로 잉여전력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요소 반송파별로 경로손실을 측정해야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각 요소 반송파마다 필요한 변조 및 코딩 수준(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잉여전력 보고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제안한다.
우선, 잉여 전력 PPH는 수학식 1과 같이 단말에 설정된(configured) 최대 출력전력 Pmax과 상향링크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estimated간의 차이로 정의되며, dB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일 예로서, Pestimated가 물리 상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이하 PUSCH)의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PUSCH와 같다. 따라서, 이 경우 PPH는 수학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다른 예로서, Pestimated가 PUSCH의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PUSCH및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이하 PUCCH)의 전송에 관해 추정된 전력 PPUCCH의 합과 같다. 따라서, 이 경우 PPH는 수학식 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 따른 PPH를 시간-주파수축에서 그래프로 표현하면 도 8과 같다. 이는 하나의 CC에 대한 PPH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의 설정된 최대 출력전력 Pmax는 PPH(805), PPUSCH(810) 및 PPUCCH(815)로 구성된다. 즉, Pmax에서 PPUSCH(810)및 PPUCCH(815)를 제외한 나머지 잉여 전력이 PPH(805)로 정의된다. 각 전력은 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단위로 계산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CC에 관해 개별적으로 잉여 전력이 정의될 수 있는데, 이를 시간-주파수축에서 그래프로 표현하면 도 9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의 설정된 최대 출력전력 Pmax는 각 CC #1, CC #2,..., CC #N에 대한 최대 출력전력 PCC #1, PCC #2,..., PCC #N의 합과 같다.
PCC #1=PCC #2=...=PCC #N=PCC로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CC #1의 PPH(905)는 PCC-PPUSCH(910)-PPUCCH(915)와 같고, CC #n의 PPH(920)는 PCC-PPUSCH(925)-PPUCCH(930)와 같다. 각 CC에 대한 최대 출력전력 수준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고, PPH는 각 CC별로 서로 다른 비율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 CC #1, CC #2, CC #3이 할당된 경우, CC #1에 관한 잉여전력 PPH1은 -8dB, CC #2에 관한 잉여전력 PPH2는 -10dB, CC #3에 관한 잉여전력 PPH3은 0dB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CC마다 잉여전력량이 다르므로, 단말은 각 CC별로 잉여전력량을 나타내는 필드(이하 잉여전력 필드)를 기지국에 알려주어야 한다. 즉, 단말은 복수의 잉여전력 필드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UL CC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은 특정 DL CC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이하에서, UL CC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의 기준이 되는 DL CC를 기준 DL CC(Reference DL CC)라 한다. 그리고, 각 UL CC에 대한 기준 DL CC가 무엇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준 CC 지시정보(Reference CC Indicator)라 하며, 이는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거나,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규약된 정보일 수도 있다.
DL CC와 UL CC가 각각 1개일 경우에는 UL CC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pathloss estimate)의 기준이 되는 기준 DL CC가 1개 밖에 없으므로 경로손실 추정은 DL CC를 참조하여 수행하면 된다. 그런데, 다수의 CC가 존재할 경우, 특정 UL CC에 관한 경로손실 추정을 어느 DL CC를 기준으로 할지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에 대해 DL CC#1, DL CC#2, DL CC#3와 UL CC#1, UL CC#2, UL CC#3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UL CC#1에 대한 경로손실은 DL CC#1을 기준으로 추정하고, UL CC#2에 대한 경로손실은 DL CC#2를 기준으로 추정하며, UL CC#3에 대한 경로손실은 DL CC#3을 기준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UL CC와 동일한 인덱스를 가진 DL CC를 기준 DL CC로 결정하였으나. 기준 DL CC가 반드시 고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경로손실 추정의 대상인 UL CC와 기준 DL CC간에 반드시 1:1 관계가 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n:1인 경우도 성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UL CC가 설정되어 있다고 할 때, UL CC#1과 UL CC#2에 대한 기준 DL CC는 DL CC#1이고, UL CC#3과 UL CC#4에 대한 기준 DL CC는 DL CC#2일 수 있다.
모든 UL CC와 모든 기준 DL CC간에 1:1 관계가 성립하면, 각 CC마다 경로손실이 다르므로, 단말은 각 UL CC별로 경로손실을 추정하고, 그에 따른 각각의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해야 한다. 이 경우, 전송해야 할 잉여전력 필드의 수는 단말에 설정된 전체 CC의 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5개의 CC가 설정되어 있다고 할 때, 단말은 CC#1, CC#2, CC#3, CC#4, CC#5에 대한 각각의 잉여전력을 구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그러나, n:1관계가 성립하는 UL CC와 기준 DL CC가 있다면, 다수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로손실 추정치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까지 모든 CC에 대해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하기 보다는 대표적인 어느 하나 CC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경우, 전송해야 할 잉여전력 필드의 수는 단말에 설정된 전체 CC의 수보다 작다. 예를 들어, 5개의 CC가 설정되어 있고, UL CC#1, UL CC#2, UL CC#3의 기준 DL CC가 DL CC#1이고, UL CC#4의 기준 DL CC가 DL CC#4이며, UL CC#5의 기준 DL CC가 DL CC#5라 하자. 이 경우, 단말은 CC#1, CC#2, CC#3 중 어느 하나의 CC에 대한 잉여전력, CC#4에 대한 잉여전력, 및 CC#5에 대한 잉여전력을 구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즉, 보고해야 할 잉여전력 정보의 양이 줄어든다.
이하에서, 단말은 모든 CC에 대해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하는 모드(mode)를 제1 모드라 하고, 일부 CC에 대해서만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하는 모드를 제2 모드라 한다.
그리고, 각 모드(mode)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를 모드 결정 파라미터(Mode Decision Parameter)라 한다. 기준 CC 지시정보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의 일 예이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DL CC가 다수의 UL CC에 대한 기준 DL CC인 경우가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면, 단말은 제2 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변조 및 코딩 수준(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도 모드 결정의 주요한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이는 각 UL CC별 잉여전력량이 MCS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잉여전력 보고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획득한다(S1000).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의 일 예로, 기준 CC 지시정보 및/또는 MCS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물리계층, MAC 계층 및 RR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서 생성되는 제어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단말이 미리 알고 있는 것일 수도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알고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신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주기적으로 수신될 수 있는 정보이다.
단말은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할 모드를 결정한다(S1005). 상기 결정된 모드에 따라 잉여전력 보고의 대상이 되는 UL CC를 확정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에서는 모든 UL CC(들)가 잉여전력 보고의 대상이 되고, 제2 모드에서는 일부의 선택된 UL CC(들)가 잉여전력 보고의 대상이 된다.
그 후, 단말은 잉여전력 보고의 트리거링(triggering)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면, 상기 결정된 모드에 따라 잉여전력 보고의 대상인 UL CC 각각에 대한 잉여전력을 계산한다(S1010).
여기서, 상기 잉여전력 전송이 트리거 되는 조건은, 다음의 어느 하나의 경우를 포함한다.
1) 단말이 신규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가진 때에 있어서, 경로손실변화량이 특정 임계치보다 커진 경우로서, 금지(prohibit) 잉여전력 보고 타이머가 만료된 때,
2) 주기적 잉여전력 보고 타이머가 만료된 때,
3) 상위계층에 의한 잉여전력 보고의 설정 또는 재설정시.
또한, 상기 잉여전력 보고 절차를 진행하도록 설정된 UL CC들에 대하여 잉여전력값을 계산하면, 단말은 계산된 잉여전력값(들)과 상기 잉여 전력값에 해당하는 CC를 지시하는 정보를 논리채널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계산된 잉여전력값(들)과 상기 잉여 전력값에 해당하는 CC를 지시하는 정보(들)는 상기 논리채널버퍼내의 하나의 CC에 대응하는 특정 메모리 위치에 저장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논리채널버퍼(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된 잉여전력값(들)과 상기 잉여 전력값에 해당하는 CC를 지시하는 정보는 CC에 대하여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분없이 하나의 논리채널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잉여전력 보고의 대상인 CC들에 대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Uplink Scheduling)을 기지국에 요청하고, BSR(buffer state report)를 전송한다(S1015). 상기 스케줄링 요청(Uplink Scheduling Request)와 상기 BSR(buffer state report)는 상이한 시간에 구별되어 전송 가능하다.
단말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S1020),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라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한다(S1025).
이하에서, 도 10의 각 단계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모드 결정 파라미터에 관하여 상술한다.
1. 모드 결정 파라미터가 기준 CC 지시정보인 경우
모드 결정 파라미터의 일 예로 기준 CC 지시정보가 있다.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기준 CC 지시정보는 각 UL CC에 대한 경로손실을 어느 DL CC를 기준으로 측정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각 UL CC에 대한 기준 DL CC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만약, 단말에 대해 3개의 UL CC가 설정되어 있다면, 기지국은 상기 3개의 UL CC 각각에 대한 기준 DL CC를 단말에 알려줘야 한다.
상기 기준 CC 지시정보는 MAC 계층의 메시지 또는 RRC 계층의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준 CC 지시정보가 RRC 메시지인 경우, CC 구성시 기준 DL CC 인지 여부가 UL CC 구성정보(Configuration) 내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만일, 기준 DL CC를 변경하는 경우, RRC 재구성 메시지(Reconfiguration Message) 내에 변경된 UL CC 구성정보를 전송하여 기준 DL CC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기준 CC 정보가 셀 내의 모든 UE들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공통 무선 자원 정보(radio resource common)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CC 정보가 각 UE에게 서로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용 무선자원 정보(radio resource dedicated)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는 기준 CC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준 CC 지시정보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는 기준 CC 지시정보가 MAC 계층의 메시지로서, 하나의 기준 CC 지시정보가 하나의 기준 DL CC 정보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준 CC 지시정보(1100)는 MAC 서브헤더(MAC Subheader, 1105) 및 MAC 제어요소(MAC CE, 1150)를 포함한다.
MAC 서브헤더(1105)는 2개의 R 필드(1110), E 필드(1115) 및 LCID 필드(1120)를 포함한다. R 필드(1110)는 남는 여분의 비트이다. E 필드(1115)는 서브헤더에 추가적인 LCID 필드(1120)가 존재하는지를 가리키는 확장필드이다.
만약 E 필드(1115)가 1로 설정되면 E 필드(1115)의 다음에 또 다른 LCID 필드(1120) 및 E 필드(1115)의 세트가 그 뒤를 잇는 것임을 의미한다. 만약 E 필드(1115)가 0으로 설정되면 E 필드(1115)의 다음에 MAC 페이로드가 그 뒤를 잇는 것임을 의미한다.
LCID 필드(1120)는 대응하는 MAC 제어요소(1150)가 기준 CC 지시 정보인지를 식별정보이다. 표 1은 LCID 필드(1120) 테이블의 일 예이다.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00 Reserved
11001 Reference CC Indicator
11010 Power Headroom Report
11011 C-RNTI
11100 Truncated BSR
11101 Short BSR
11110 Long BSR
11111 Padding
표 1를 참조하면, 11001의 LCID 필드값은 대응하는 MAC 제어요소(1150)가 기준 CC 지시정보의 전송을 위한 MAC 제어요소임을 나타낸다.
한편, MAC 제어요소(1150)는 UL 인덱스 필드(1155) 및 기준 DL CC 정보필드(1160)를 포함한다. 상기 UL 인덱스 필드(1155)는 잉여전력 보고 대상인 UL CC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상기 기준 DL CC 정보필드(1160)는 상기 인덱스를 가진 UL CC에 대한 기준 DL CC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UL CC 인덱스가 UL CC#1이고, 기준 DL CC 정보가 DL CC#1이면, UL CC#1에 대한 기준 DL CC는 DL CC#1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준 DL CC 정보의 일 예는 기준 DL CC의 고유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물리셀 ID(PCI) 및 중심 주파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DL CC 정보는 물리셀 ID를 나타내는 정보량과 중심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량의 합만큼의 정보량이 필요하다. 상기 중심 주파수 정보는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 정보 필드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상기 기준 DL CC 정보의 다른 예는 기준 DL CC의 인덱스이다. 만약, 단말이 모든 DL CC에 관한 인덱스를 알고 있다면, 기지국은 DL CC 인덱스만을 알려줘도 단말은 해당 인덱스의 DL CC가 기준 DL CC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L CC가 총 5개 존재하는 경우, 3비트이면 23=8가지의 경우의 수를 나타낼 있으므로 5개의 DL CC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기준 CC 지시정보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는 기준 CC 지시정보가 MAC 계층의 메시지로서, 하나의 기준 CC 지시정보가 하나의 기준 DL CC 정보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준 CC 지시정보(1200)는 MAC 서브헤더(1205) 및 MAC 제어요소(1250)를 포함한다.
LCID 필드(1220)값은 상기 표 1과 같다. MAC 서브헤더(1205)는 도 11의 MAC 서브헤더(1105)와 동일하나, MAC 제어요소(1250)는 도 11과 달리 UL CC 인덱스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기준 DL CC 정보필드(1255)만을 포함한다. 이는 모든 UL CC에 대해 하나의 기준 DL CC만이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UL CC 인덱스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기준 CC 지시정보의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는 기준 CC 지시정보가 MAC 계층의 메시지로서, 하나의 기준 CC 지시정보가 다수의 기준 DL CC 정보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준 CC 지시정보(1300)는 MAC 서브헤더(MAC Subheader, 1305) 및 MAC 제어요소(1350)를 포함한다.
MAC 서브헤더(1305)는 2개의 R 필드(1310), E 필드(1315) 및 LCID 필드(1320)를 포함한다. LCID 필드(1320)값은 상기 표 1과 같다.
MAC 제어요소(1350)는 제1 UL CC 개수정보(1355), 제1 UL 인덱스 필드(1360), 제2 UL 인덱스 필드(1365), 제1 기준 DL CC 정보필드(1370), 그리고 제2 UL CC 개수정보(1375), 제3 UL 인덱스 필드(1380), 제4 UL 인덱스 필드(1385), 제2 기준 DL CC 정보필드(13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UL CC 개수정보(1355)는 제1 기준 DL CC에 대응하는 UL CC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바로 뒤에 위치하는 UL 인덱스 필드의 개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3의 예에서는 제1 UL CC 개수정보(1355)는 2이다. 제1 및 제2 UL 인덱스 필드(1360, 1365)는 제1 기준 DL CC(1370)에 대응하는 UL CC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UL CC 개수정보(1375)는 제2 기준 DL CC에 대응하는 UL CC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따라서, 도 13의 예에서는 제2 UL CC 개수정보(1375)는 2이다. 제3 및 제4 UL 인덱스 필드(1380, 1385)는 제2 기준 DL CC(1390)에 대응하는 UL CC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2. 모드 결정 파라미터가 MCS인 경우
단말은 DL CC의 PDCCH를 통해 수신된 상향링크 전송에 관한 MCS 수준을 확인한다. 상향링크 전송에 관한 MCS 수준은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에 포함되며, 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에 해당한다. DCI 포맷 0은 표 2와 같은 정보를 전송한다.
Figure pat00004
표 2를 참조하면, MCS 및 중복버젼(redundancy version)은 총 5비트 크기를 가지며, 상향링크 PUSCH 전송의 MCS 수준을 알려준다. 포맷 0의 DCI는 또한 해당 DCI가 어느 반송파에 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반송파 인덱스 필드(Carrier Index Field; 이하 CIF)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5개의 CC가 존재한다면, 반송파 인덱스 필드는 다음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IF CC
000 CC#1
001 CC#2
010 CC#3
011 CC#4
100 CC#5
한편, 반송파 집성에 있어서 DCI 정보는 PDCCH가 속한 반송파의 자원할당뿐만아니라 다른 반송파의 자원에 대한 할당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을 반송파간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라고 한다.
일 예로, 단말이 반송파간 스케줄링 활성화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자. 단말이 PDCCH를 통해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면, MCS 및 CIF를 알 수 있다. 단말은 상기 MCS를 상기 CIF의 값에 해당되는 UL CC의 MCS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DL CC#2를 통하여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의 CIF값이 CC#4인 경우,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내의 MCS는 UL CC 4번의 MCS로 인식한다.
반면, 단말이 반송파간 스케줄링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상의 MCS를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된 DL CC와 연결설정된(cell-specific 또는 UE-specific) UL CC의 MCS로 인식한다.
이제,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는 도 10의 단계 S1000과 S1005에 해당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수신한다(S1400).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기준 CC 지시정보 및 MCS를 포함한다. 이들의 수신방법은 전술된 바와 같다.
단말은 설정된 각 UL CC에 대응하는 기준 DL CC들이 모두 다른지 판단한다(S1405). 예를 들어, UL CC#1, UL CC#2가 설정되었는데, UL CC#1에 대한 기준 DL CC가 DL CC#1이고, UL CC#2에 대한 기준 DL CC가 DL CC#2이면, 단말은 기준 DL CC들을 모두 다른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UL CC#1, UL CC#2가 설정되었는데, UL CC#1과 UL CC#2에 대한 기준 DL CC가 DL CC#1이면, 단말은 기준 DL CC가 모두 다르지 않다고 판단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기준 DL CC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각 UL CC에 대응하는 기준 DL CC들이 모두 다르면, 단말은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한다(S1420). 여기서, 기준 DL CC가 모두 다르다는 것은 경로손실이 모두 다르다는 것이므로, 각 UL CC에 대한 잉여전력도 모두 다르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여, 모든 UL CC에 대한 잉여전력을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한다.
다시 단계 S1405에서, 만약 각 UL CC에 대응하는 기준 DL CC가 모두 다르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중복되는 기준 DL CC에 대응하는 각 UL CC의 MCS가 모두 다른지 다시 판단한다(S1410).
예를 들어, 동일한 기준 DL CC#1에 대응하는 UL CC#1, UL CC#2의 MCS가 각각 레벨 2와 레벨 4로 설정되면, 이들은 MCS가 다른 것이므로 판단한다. 반면, 동일한 기준 DL CC#1에 대응하는 UL CC#1, UL CC#2의 MCS가 모두 레벨 2로 설정되면, 단말은 모든 MCS가 다르지 않은 것이므로 판단한다.
만약 기준 DL CC에 대응하는 각 UL CC의 MCS가 모두 다르지 않으면, 단말은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한다(S1415). 제2 모드는 적어도 2개의 UL CC에 대한 기준 DL CC가 중복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UL CC에 대한 MCS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제2 모드의 동작에 관련하여, 단말은 일부 UL CC에 대하여 잉여전력 보고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준 DL CC에 대응되고 동일한 MCS를 가지는 UL CC들이 다음 조건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면, 단말은 해당 UL CC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조건은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약속된 조건이어야 한다.
- 중심 주파수 값이 가장 낮은 UL CC
- 대역폭이 가장 넓은 UL CC
다시 단계 S1410에서, 만약 기준 DL CC에 대응하는 각 UL CC의 MCS가 모두 다르면, 단말은 다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한다(S1420).
각 UL CC의 기준 DL CC가 모두 다르면 경로손실도 다를 것이므로, 단말은 모든 UL CC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해야 한다. 즉, 제1 모드로 동작한다.
그런데, 서로 동일한 기준 DL CC를 가지는 UL CC라 하더라도, MCS 수준이 다르면 경로손실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동일한 기준 DL CC를 가지더라도 MCS 수준이 다른 UL CC에 대한 각각의 잉여전력 보고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준 DL CC와 MCS 수준까지 모두 동일하다면 경로손실이 다를 가능성은 매우 낮다. 단말은 이러한 UL CC들에 대하여서는 단일의 잉여전력만을 보고함으로써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에 4개의 DL CC와 4개의 UL CC가 설정되어 있다. 기준 CC 지시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각 UL CC의 기준 DL CC 및 MCS는 아래의 표와 같다.
UL CC 인덱스 기준 DL CC MCS Level
#1 #1 1
#2 #2 2
#3 #3 2
#4 #4 4
즉, 각 UL CC마다 서로 다른 기준 DL CC를 가진다. 따라서, UL CC의 MCS와 무관하게 단말은 제1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단말은 모든 UL CC에 대한 잉여전력을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에 3개의 DL CC와 4개의 UL CC가 설정되어 있다. 기준 CC 지시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각 UL CC의 기준 DL CC 및 MCS는 아래의 표와 같다.
UL CC 인덱스 기준 DL CC MCS Level
#1 #1 2
#2 #2 3
#3 #1 2
#4 #4 4
UL CC #2와 UL CC#4의 기준 DL CC는 각각 DL CC#2, DL CC#4로서 서로 다르다. 그런데, UL CC#1과 UL CC#3의 기준 DL CC는 DL CC#1로서 서로 동일하다.
즉, 모든 UL CC의 기준 DL CC가 모두 다르지 않으므로, 도 14의 흐름도에 따라 단말은 S1410단계를 수행한다. 즉, 동일한 기준 DL CC를 가지는 UL CC간에 MCS가 모두 다른지 판단한다.
그런데 UL CC#1과 UL CC#3의 MCS 수준은 모두 2로서 동일하다. 이는 전체 UL CC의 각 MCS가 모두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제2 모드로 동작하며, 단말은 기준 DL CC가 서로 다른 UL CC#2, UL CC#4의 각 잉여전력을 보고하고, 동일한 기준 DL CC와 MCS 수준을 가지는 UL CC#1과 UL CC#3 중 어느 하나의 잉여전력만을 보고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모드 결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에 3개의 DL CC와 4개의 UL CC가 설정되어 있다. 기준 CC 지시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각 UL CC의 기준 DL CC 및 MCS는 아래의 표와 같다.
UL CC 인덱스 기준 DL CC MCS Level
#1 #1 2
#2 #2 3
#3 #1 4
#4 #4 4
UL CC #2와 UL CC#4의 기준 DL CC는 각각 DL CC#2, DL CC#4로서 서로 다르다. 그런데, UL CC#1과 UL CC#3의 기준 DL CC는 DL CC#1로서 서로 동일하다. 즉, 모든 UL CC의 기준 DL CC가 모두 다르지 않으므로, 도 14의 흐름도에 따라 단말은 S1410단계를 수행한다.
즉, 동일한 기준 DL CC를 가지는 UL CC간에 MCS가 모두 다른지 판단한다. 그런데 UL CC#1의 MCS 수준은 2이고, UL CC#3의 MCS 수준은 4로서 서로 다르다. 따라서, 단말은 제1 모드로 동작하며, 단말은 모든 UL CC에 대한 잉여전력을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가 MAC 계층의 메시지로서, 하나의 PH 메시지가 하나의 UL CC에 대한 잉여전력값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PH 메시지(1800)는 MAC 서브헤더(MAC Subheader, 1805) 및 MAC 제어요소(MAC CE, 1850)를 포함한다.
MAC 서브헤더(1805)는 2개의 R필드(1810), E필드(1815) 및 LCID 필드(1820)를 포함한다. LCID 필드(1820) 테이블은 아래의 표와 같다.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00 Reserved
11001 Reference CC Indicator
11010 Power Headroom Report
11011 C-RNTI
11100 Truncated BSR
11101 Short BSR
11110 Long BSR
11111 Padding
표 7은 상기 표 1과 동일하다. 표 7을 참조하면, LCID 필드(1820)의 값이 11010인 경우, 해당 MAC 제어요소가 잉여전력 보고를 위한 것임을 지시한다.
MAC 제어요소(1850)는 UL CC 인덱스 필드(1855) 및 잉여전력값 필드(PH Field, 1860)를 포함한다. UL CC 인덱스 필드(1855)는 바로 다음의 잉여전력값 필드(1860)가 어느 UL CC에 관한 것인지를 지시한다. UL CC 인덱스 필드(1855) 테이블의 일 예는 다음의 표와 같다.
UL CC Index CC
000 CC#1
001 CC#2
010 CC#3
011 CC#4
100 CC#5
한편, 잉여전력값 필드(1860) 테이블은 아래의 표와 같다.
PH field Power Headroom Level Measured Quantity Value(dB)
0 Power Headroom_0 -23≤PPH≤-22
1 Power Headroom_1 -22≤PPH≤-21
2 Power Headroom_2 -21≤PPH≤-20
3 Power Headroom_3 -20≤PPH≤-19
... ... ...
60 Power Headroom_60 37≤PPH≤38
61 Power Headroom_61 38≤PPH≤39
62 Power Headroom_62 39≤PPH≤40
63 Power Headroom_63 PPH≥40
표 9를 참조하면, 잉여 전력의 값은 -23dB에서 +40dB의 범위내에 속한다. 잉여전력값 필드(1860)가 6비트인 경우, 26=64가지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는 바, 잉여전력값은 총 64개의 수준(level)으로 구분된다.
일 예로, 잉여전력 필드가 0(즉, 6비트로 나타내면 000000임)이면, UL CC에 대한 잉여전력값이 -23≤PPH≤-22dB임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다른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가 MAC 계층의 메시지로서, 하나의 PH 메시지가 다수의 UL CC에 대한 잉여전력값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PH 메시지(1900)는 MAC 서브헤더(1905) 및 MAC 제어요소(1950)를 포함한다.
MAC 서브헤더(1905)는 2개의 R필드(1910), E필드(1915) 및 LCID 필드(1920)를 포함한다. LCID 필드(1920) 테이블은 상기 표 7과 같다.
MAC 제어요소(1950)는 제1 UL CC 인덱스 필드(1955), 제1 잉여전력값 필드(1960), 제2 UL CC 인덱스 필드(1965), 제2 잉여전력값 필드(1970),...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UL 인덱스 필드와 하나의 잉여전력값 필드가 셋트로 묶여진 형태로 반복된다. 제n UL CC 인덱스 필드는 바로 다음의 제n 잉여전력값 필드가 어느 UL CC에 관한 것인지를 지시한다. 각 UL CC 인덱스 필드 테이블의 일 예는 상기 표 8과 같으며, 각 잉여전력값 필드 테이블의 일 예는 상기 표 9와 같다.
여기서, 제2 잉여전력 필드(1970)는 실제 제2 잉여전력값이 아닌 제2 잉여전력값과 제1 잉여전력값의 차분값(differential value)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CC#1에 대한 제1 잉여전력값이 7dB이고, UL CC#2에 대한 제2 잉여전력값이 9dB라 하자. 이 경우 제1 잉여전력값 필드(1960)는 7dB를 지시하고, 제2 잉여전력값 필드(1970)는 2dB를 지시한다. 즉, 특정 인덱스의 UL CC의 잉여전력값을 이전 인덱스의 UL CC의 잉여전력값에 대한 차분값으로 나타낸다. 제2 잉여전력 필드(1970)는 제2 잉여전력값이 가질 수 있는 모든 범위의 값을 표현할 필요가 없고, 제1 잉여전력값과의 차이만을 나타내면 되므로 잉여전력값을 표현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잉여전력 필드(1960)의 필드 테이블은 상기 표 9와 같이 주어지고, 제2 잉여전력 필드(1970)의 필드 테이블은 차분값을 나타내도록 별도의 테이블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분값의 범위를 ±7dB로 설정한다면, 제2 잉여전력 필드(1970)는 4비트만 있어도 충분하다. 이는 표 10과 같다.
제2 잉여전력 필드 차분값
0000 -7dB
0001 -6dB
...
0111 0dB
...
1101 5dB
1110 6dB
1111 7dB
제2 잉여전력 필드(1970)가 0111이면, 제2 잉여전력값은 제1 잉여전력값과 동일함을 나타낸다. 제2 잉여전력 필드(1970)가 1101이면, 제2 잉여전력값은 제1 잉여전력값보다 5dB만큼 큰 값임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다른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잉여전력값을 전송하는 PH 메시지가 MAC 계층의 메시지로서, 하나의 PH 메시지가 다수의 UL CC에 대한 잉여전력값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PH 메시지(2000)는 MAC 서브헤더(2005) 및 MAC 제어요소(2050)를 포함한다.
MAC 서브헤더(2005)는 2개의 R필드(2010), E필드(2015) 및 LCID 필드(2020)를 포함한다. LCID 필드(2020) 테이블은 상기 표 7과 같다.
MAC 제어요소(2050)는 UL CC MAP 필드(2055), 제1 잉여전력값 필드(2060),..., 제2 잉여전력값 필드(2065) 를 포함한다. 제2 잉여전력 필드(2065)에는 실제 제2 잉여전력값을 가질 수도 있고, 제2 잉여전력값과 제1 잉여전력값의 차분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표 10의 예와 같다.
UL CC MAP 필드(2055)는 UL CC 인덱스를 비트맵(bitmap)형식으로 나타낸 필드이다. UL CC MAP 필드(2055)는 단말에 설정된 UL CC의 개수와 동일한 비트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UL CC가 설정되어 있다면, UL CC MAP 필드(2055)는 5비트가 될 수 있다.
UL CC MAP 필드(2055)가 0이면 MAC 제어요소(2050)는 해당 인덱스의 UL CC에 대한 잉여전력값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1이면 포함한다. 즉, 1, 0은 각각 해당 잉여전력 보고의 유무(On, Off)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UL CC MAP 필드(2055)의 첫번째 비트부터 마지막 비트까지 각각 UL CC#1, UL CC#2,..., UL CC#5에 맵핑된다고 하자. UL CC MAP 필드(2055)의 값이 01010이면, UL CC#1, UL CC#3, UL CC#5는 0으로 설정되므로 이들에 대한 잉여전력값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이들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 절차는 수행되지 않는다. 반면, UL CC#2, UL CC#4는 1로 설정되므로, 이들에 대한 잉여전력값 필드는 존재하고, 잉여전력 보고 절차가 수행된다.
물론, UL CC MAP 필드(2055)는 반드시 설정된 UL CC의 개수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일 예로서, PCC 와 같이 언제나 잉여전력 보고절차가 진행되어야 하는 CC가 정의되는 경우, PCC를 제외한 나머지 CC만으로 UL CC MAP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UL CC MAP 필드(2055)는 4비트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PCC의 CC 인덱스가 3이고 UL CC MAP 필드(2055)가 '1101'로 표현되는 경우, UL CC#1, UL CC#2, UL CC#5는 잉여전력 보고절차를 진행하고, UL CC#4는 잉여전력 보고절차를 진행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즉, '1101'='UL CC#1, UL CC#2, UL CC#4, UL CC#5'가 된다.
다른 예로서, UL CC MAP 필드는 8비트로 구성된 필드의 일부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비트로 '111'로 표현되는 경우 실제 필드는 '00000111'로 표현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잉여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잉여전력 전송장치(2100)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 수신부(2105), 모드 결정부(2110), 잉여전력값 생성부(2115), PH 메시지 생성부(2120) 및 메시지 전송부(2125)를 포함한다. 잉여전력 전송장치(2100)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모드 결정 파라미터 수신부(2105)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기준 CC 지시정보 및 MCS를 포함한다. 또한, 모드 결정 파라미터 수신부(2105)는 PH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모드 결정부(2110)는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된 바와 같다.
잉여전력값 생성부(2115)는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선택된 UL CC에 대한 각각의 잉여전력값을 생성한다.
PH 메시지 생성부(2120)는 상기 생성된 각 잉여전력값을 전송하기 위한 PH 메시지를 생성한다. PH 메시지에 포함되는 잉여전력값은 잉여전력 보고를 진행하도록 선택된 UL CC에 대한 실제 잉여전력값일 수도 있고, 각 UL CC의 잉여전력값간의 차분값일 수도 있다. PH 메시지의 구조는 상기 도 18 내지 도 20과 같다.
메시지 전송부(2125)는 상기 PH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른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PH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Power Headroom Report)의 모드(mode)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기초로 잉여전력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전부에 대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중 일부에 대한 잉여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제2 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각각에 대한 경로손실(pathloss)을 추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정보인 기준 CC(Component Carrier) 지시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CC 지시정보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생성되는 MAC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MAC 메시지는 MAC 서브헤더(subheader) 및 MAC 제어요소(Control Element)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AC 제어요소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필드 및 상기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MAC 제어요소가 잉여전력 보고를 위한 것임을 식별하는 식별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AC 제어요소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AC 제어요소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개수정보, 상기 개수에 해당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 및 상기 개수에 해당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CC 지시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에서 생성되는 RRC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각각의 물리 상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이하 PUSCH)에 대한 변조 및 코딩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각각에 대한 경로손실을 추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정보인 기준 CC 지시정보, 및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각각의 PUSCH에 대한 MC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모두 다른 경우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중 동일한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MCS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중 동일한 기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MCS들이 서로 같은 경우,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전력 정보는 MAC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MAC 메시지는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에 따라 잉여전력 보고의 대상이 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MAC 메시지는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관한 잉여전력 보고의 유무를 나타내는 UL CC MAP(Uplink Component Carrier MAP)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방법.
  17.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모드 결정 파라미터 수신부;
    상기 모드 결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가 제1 모드일 경우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전부에 대한 잉여전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잉여전력 보고의 모드가 제2 모드일 경우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중 일부에 대한 잉여전력값을 생성하는 잉여전력값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잉여전력값을 전송하기 위한 잉여전력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잉여전력 메시지 생성부; 및
    생성된 잉여전력 메시지를 전송하는 잉여전력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KR1020100058034A 2010-06-18 2010-06-1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Withdrawn KR20110137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034A KR20110137983A (ko) 2010-06-18 2010-06-1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US13/699,556 US20130070716A1 (en) 2010-06-18 2011-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PCT/KR2011/004434 WO2011159122A2 (en) 2010-06-18 2011-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034A KR20110137983A (ko) 2010-06-18 2010-06-1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83A true KR20110137983A (ko) 2011-12-26

Family

ID=4534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034A Withdrawn KR20110137983A (ko) 2010-06-18 2010-06-1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70716A1 (ko)
KR (1) KR20110137983A (ko)
WO (1) WO201115912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91A1 (ko) * 2012-01-20 2013-07-25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3115510A1 (ko) * 2012-01-30 2013-08-08 주식회사 팬택 다중 ta 환경에서 상향 링크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647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KR20120108345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팬택 잉여전력보고의 수행장치 및 방법
JP6138246B2 (ja) * 2012-06-09 2017-05-3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可能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rfチェーン管理
US8767662B1 (en) * 2012-06-27 2014-07-01 Sprint Spectrum L.P. Managing allocation of control channel resources
CN104105192A (zh) * 2013-04-03 2014-10-1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支持多链路连接的功率余量报告的方法和装置
EP3911041B1 (en) 2013-05-02 2022-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41965B2 (en) 2013-08-05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and device therefor
ES2964882T3 (es) 2013-08-19 2024-04-09 Blackberry Ltd Método y equipamiento de usuario para comunicar con un nodo de la red de acceso inalámbrico que tiene un estado apagado
WO2015041409A1 (en) 2013-09-20 2015-03-26 Lg Electronics Inc.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ing in tdd system
US10616838B2 (en) 2016-10-12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transmit power related information
CN110012531B (zh) * 2018-01-04 2020-07-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phr的触发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WO2019148400A1 (zh) * 2018-01-31 2019-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确定资源的方法及设备
WO2019243862A1 (en) * 2018-06-20 2019-12-26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headroom report generation
US20220110071A1 (en) * 2020-10-06 2022-04-0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s of new radio pucch and pusch on different component carri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301B2 (en) * 2007-08-06 2011-11-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s incorporating implicit antenna selection based on receiv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WO2009065173A1 (en) * 2007-11-20 2009-05-28 Telstra Corporation Limited System and process for dimensioning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TWM385878U (en) * 2008-11-10 2010-08-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supplementary downlink carrier
TWI542241B (zh) * 2008-12-03 2016-07-1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報告功率餘裕的方法及裝置
CN103781163B (zh) * 2009-02-09 2017-07-0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wtru中进行上行链路功率控制的方法和wtru
CN103716892B (zh) * 2009-03-12 2017-06-09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由wtru实施的用于多载波操作的方法以及该wtru
MY172052A (en) * 2009-03-17 2019-11-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ransmission
EP2244515A1 (en) *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generating multiple uplink transport blocks
US20120046064A1 (en) * 2009-04-30 2012-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626225B2 (en) * 2009-05-22 2014-01-07 Blackberry Limite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91A1 (ko) * 2012-01-20 2013-07-25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3115510A1 (ko) * 2012-01-30 2013-08-08 주식회사 팬택 다중 ta 환경에서 상향 링크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9554341B2 (en) 2012-01-30 2017-01-24 Pan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uplink power in multiple TA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0716A1 (en) 2013-03-21
WO2011159122A3 (en) 2012-05-18
WO2011159122A2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7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ple element carrier wave system
KR20110137983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US100578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power headroom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carriers
US201300641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90555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20160330698A1 (en)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mtc devices in enhanced coverage mode
US201301420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power coordination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US88734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201200833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power coordina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201300513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US201400181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WO201202671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WO2011105856A2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US20130070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201302158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about component carrier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20130090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power coordination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KR20110137446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20048390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전력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10139978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잉여전력 보고장치 및 방법
KR20130085884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전력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20050878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전력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20238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20120047123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20015879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