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7259A -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259A
KR20110137259A KR1020110058146A KR20110058146A KR20110137259A KR 20110137259 A KR20110137259 A KR 20110137259A KR 1020110058146 A KR1020110058146 A KR 1020110058146A KR 20110058146 A KR20110058146 A KR 20110058146A KR 20110137259 A KR20110137259 A KR 20110137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ase section
section
arms
rot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800B1 (ko
Inventor
니콜라우스 쾨니그
게르트 아이슬라이트네르
마르크 브란들
마리안느 키나스트
볼프강 스판
마르쿠스 틸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에스게에프 쥐트도이췌 겔렌크솨이벤파브릭 게엠베하 & 체오, 케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에스게에프 쥐트도이췌 겔렌크솨이벤파브릭 게엠베하 & 체오, 케게 filed Critical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13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pushing or pulling links attached to both parts
    • F16D3/6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pushing or pulling links attached to both parts the links or their attachments being e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로서, 회전 클러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제1 베이스 섹션 및 다수의 제1 클러치 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암들은 제1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연장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클러치 암들은 각각 하나의 제1 결합 섹션을 포함하고, 제1 결합 섹션들은 함께 회전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평면을 규정하며, 상기 제2 지지체는 제2 베이스 섹션 및 다수의 제2 클러치 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러치 암들은 제2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연장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클러치 암들은 각각 하나의 제2 결합 섹션을 갖고, 상기 제2 결합 섹션들은 함께 회전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평면을 규정하며, 제1 및 제2 지지체는 제1 및 제2 평면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암은 서로 마주 놓여 교대로 서로 맞물리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섹션은 회전 축선을 따라 반대로 배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섹션들의 각각은 탄성 브래킷 부재를 통해 각각 양측에서 인접한 결합 섹션들과 결합된다.

Description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ROTATION CLUTCH AND DRIVE DEVICE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브래킷 부재를 구비한 회전 클러치, 및 상기 회전 클러치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래킷 부재를 구비한 회전 클러치들은 예컨대 EP 0 167 654 A1, DE 195 15 101 C1 및 DE 1 040 854 B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모든 브래킷 부재의 고장 시에도 회전 클러치의 확실한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는, 브래킷 부재를 구비한 회전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러한 회전 클러치를 구비한, 대형 내연기관용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회전 클러치 및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구동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개선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회전 클러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회전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섹션 및 다수의 제1 클러치 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암들은 제1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연장하여 회전 클러치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 클러치 암들은 각각 하나의 제1 결합 섹션을 갖고, 상기 제1 결합 섹션들은 함께 회전 클러치의 회전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평면을 규정하며, 상기 제2 지지체는 회전 구동될 부재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 섹션 및 다수의 제2 클러치 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러치 암들은 제2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연장하여 원주 방향으로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2 클러치 암들은 각각 하나의 제2 결합 섹션을 갖고, 상기 제2 결합 섹션들은 함께 회전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평면을 규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는 제1 및 제2 평면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암은 서로 마주 놓여 교대로 서로 맞물리며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섹션은 회전 축선을 따라 반대로 배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섹션들의 각각은 각각의 탄성 브래킷 부재를 통해 각각 양측에서 인접한 결합 섹션들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브래킷 부재는 회전 축선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결합 섹션에 제공된다. 즉, 각각의 결합 섹션은 2개의 평행한 브래킷 부재들을 통해 각각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결합 섹션과 연결된다.
제1 및 제2 클러치 암이 본 발명에 따라 기어와 유사하게 맞물림으로써, 모든 브래킷 부재들의 고장 시에도 회전 클러치에 대한 확실한 회전 방지가 보장된다. 개별 브래킷 부재의 고장은 회전 클러치의 전체 기능에 적은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모듈식 구성에 의해, 회전 클러치가 간단하고 저렴해지며, 전달 가능한 회전 모멘트와 관련해서 동일한 브래킷 부재의 수의 변동에 의해 간단히 조정될 수 있다.
회전 클러치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 동일한 마모 부품이 매우 상이한 출력 타입/크기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회전 클러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축 방향의, 측면의 및 각도 관련 편차가 생기면, 회전 구동 부재 및 회전 구동될 부재(예컨대 2개의 샤프트 단부)에 적은 복원력이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는 넓은 범위로 "조절 가능한" 힘/거리 특성 및 댐핑 특성을 갖는다.
회전 클러치의 본 발명에 따른 개방 실시예에 의해, 회전 클러치가 그 작동 신뢰도와 관련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체크될 수 있고(예컨대, 시각적 또는 광학적 제어에 의해), 마모된 개별 부품(예컨대, 인장 플레이트) 또는 완전한 회전 클러치가 클러치의 분해 없이 표준 공구를 사용해서 신속하고 간단히 교체될 수 있다. 회전 클러치의 조립 또는 분해를 위한 추가의 장치 또는 호이스트가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러치 암들은 각각 U-형 횡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제1 클러치 암의 레그는 제1 베이스 섹션과 연결되고, 각각의 제1 클러치 암의, 베이스를 통해 하나의 레그에 연결된 다른 레그는 상기 클러치 암의 제1 결합 섹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러치 암의 탄력적인 가요성에 의한 추가의 부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제1 클러치 암들은 큰 표면 및 적은 체적에 의해 적은 열 손실을 가지며, 이는 열 방출을 현저히 개선하므로, 탄성 브래킷 부재의 열 부하를 줄여, 수명 및 클러치 가용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클러치 암들은 각각 약간 펴진 Z-형 횡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제2 클러치 암의 레그는 제2 베이스 섹션과 연결되고, 각각의 제2 클러치 암의, 베이스를 통해 하나의 레그와 연결된 다른 레그는 상기 클러치 암의 제2 결합 섹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2 클러치 암의 탄력적인 가요성에 의한 추가의 부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제2 클러치 암들은 큰 표면 및 적은 체적에 의해 적은 열 손실을 가지며, 이는 열 방출을 현저히 개선하므로, 탄성 브래킷 부재의 열 부하를 줄여, 수명 및 클러치 가용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베이스 섹션이 링으로 형성되고, 제1 클러치 암은 회전 축선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제1 평면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 섹션의 내주로부터 반경 방향 내부로 회전 축선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베이스 섹션의 링형 실시예에 의해, 회전 클러치의 전체 중량이 현저히 감소한다. 제1 클러치 암이 반경 방향 내부로 연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반경 방향 치수가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 섹션이 링으로 형성되고, 제2 클러치 암들은 회전 축선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제2 평면의 외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 섹션의 외주로부터 반경 방향 외부로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베이스 섹션의 링형 실시예에 의해, 회전 클러치의 전체 중량이 현저히 감소한다. 제2 클러치 암들이 반경 방향 외부로 연장함으로써, 제2 클러치 암들이 장소 절감 방식으로 그리고 최적으로 제1 클러치 암들과 상호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회전 구동 부재와 피회전 구동 부재의 예컨대 연결 플랜지들 사이로 측면 삽입에 의한 간단한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는 완전히 예비 조립된 조립 유닛(센터링된 시스템)으로서 제공되고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베이스 섹션은 각각 링 박판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추가로 이동되는 질량 및 재료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클러치 암들은 제1 베이스 섹션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클러치 암들은 제2 베이스 섹션에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지지체는 열간 또는 냉간 성형된 평면 재료 또는 박판으로 제조된다. 클러치 암들은 배향된 상태에서 동일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위치에 있도록, 즉 일치하는 제1 및 제2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실시예에 따라, 브래킷 부재들은 각각 고강도 섬유 충전제와 혼합된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극단의 횡 탄성을 가진 브래킷 부재들이 제공되고, 섬유 충전제에 의한 힘 전달이 이루어지며, 탄성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댐퍼 및 지지체 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브래킷 부재의 반대편 단부에서 각각 하나의 파이프 슬리브가 탄성 중합체 내로 삽입되고, 제1 및 제2 결합 섹션들의 각각은 2개의 결합 개구를 가지며, 각각의 결합 개구 내로 결합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 볼트는 관련 브래킷 부재의 하나의 단부에 있는 파이프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므로, 브래킷 부재는 관련 결합 섹션과 결합되고, 관련 브래킷 부재의 다른 단부는 파이프 슬리브를 통해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결합 섹션의 결합 개구를 통해 연장된 결합 볼트에 의해 인접한 결합 섹션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 구동 장치는 회전 구동 부재가 제공되는 크랭크 샤프트를 구비한 대형 내연기관, 회전 구동될 부재를 구비한 부하 유닛, 및 모든 가능한 조합의 본 발명의 하나의, 다수의, 또는 모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클러치를 포함하고, 제1 지지체의 제1 베이스 섹션은 대형 내연기관의 회전 구동 부재와 구동 연결되고, 제2 지지체의 제2 베이스 섹션은 부하 유닛의 회전 구동될 부재와 구동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 구동 부재는 디스크 플라이 휠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구동될 부재는 예컨대 전기 제너레이터, 압축기 또는 맥동 부재의 커플링 플랜지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대형 내연기관은 발전소, 압축기 설비 또는 선박 구동장치용 대형 디젤 엔진 및/또는 대형 가스 엔진으로서 형성된다.
다른 유사한 형태의 산업적 대형 내연기관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의해, 모든 브래킷 부재의 고장 시에도 회전 클러치의 확실한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는, 브래킷 부재를 구비한 회전 클러치, 및 이러한 회전 클러치를 구비한, 대형 내연기관용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축 방향으로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클러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회전 클러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영역 X의 확대도.
도 4는 축 방향으로 본, 도 1 및 도 2의 회전 클러치의 제1 지지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영역 V 및 W의 확대도.
도 7은 축 방향으로 본, 도 1 및 도 2의 회전 클러치의 제2 지지체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제2 지지체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영역 Z의 확대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대형 디젤 엔진 형태의 대형 내연기관(2), 전기 제너레이터 형태의 부하 유닛(3) 및 회전 클러치(1)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클러치를 통해 대형 내연기관(2)과 부하 유닛(3)이 회전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대형 내연기관(2)은 엔진 블록(2a), 크랭크 샤프트(2b), 및 대형 내연기관(2)의 회전 구동 부재(2c)로서 디스크 플라이 휠을 포함한다.
대형 내연기관(2)의 회전 구동 부재(2c)는 나사 결합부(4)를 통해 회전 클러치(1)의 제1 지지체(10)와 회전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부하 유닛(3)은 부하 유닛(3)의 고정자 및 회전자(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제너레이터 바디(3a), 및 상기 회전자와 연결된 구동 샤프트(3b)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3b)는 샤프트 맞물림부를 통해, 내측 기어를 가진 커플링 플랜지 바디 형태의 회전 구동될 부재(5)와 회전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회전 구동될 부재(5)는 나사 결합부(6)를 통해 회전 클러치(1)의 제2 지지체(20)와 회전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도 1, 도 3,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회전 클러치(1)의 제1 지지체(10)는 제1 베이스 섹션(11) 및 다수의 제1 클러치 암(12)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섹션(11)은 나사 결합부(4)를 통해 대형 내연기관(2)의 회전 구동 부재(2c)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클러치 암들은 제1 베이스 섹션(11)으로부터 연장되어 회전 클러치(1)의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클러치 암들(12)은 각각 제1 결합 섹션(12a)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섹션들(12a)은 함께 회전 클러치(1)의 회전 축선(RA)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평면(E1)을 규정한다.
제1 베이스 섹션(11)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분포된 다수의 홀들(11a)을 가지며, 상기 홀들을 통해 제1 베이스 섹션(11)이 나사 결합부(4)의 형성을 위해 관통 스크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대형 내연기관(2)의, 나사 홀(도시되지 않음)을 가진 회전 구동 부재(2c)와 연결된다.
제1 베이스 섹션(11)은 링 박판으로 형성되고, 제1 클러치 암들(12)은 회전 축선(RA)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제1 평면(E1)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 섹션(11)의 내주(11b)로부터 반경 방향 내부로 회전 축선(RA)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클러치 암들(12)은 각각 U-횡단면을 가지며, 그 베이스(12b)(도 3 참고)는 예컨대 반경 R=50 ㎜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1 클러치 암(12)의 레그(12c)는 제1 베이스 섹션(11)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베이스 섹션(11)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1 클러치 암(12)의 다른 레그는 상기 제1 클러치 암의 제1 결합 섹션(12a)을 형성한다.
제2 지지체(20)는 제2 베이스 섹션(21) 및 다수의 제2 클러치 암들(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은 나사 결합부(6)를 통해 회전 구동 부재(5)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클러치 암들(22)은 제2 베이스 섹션(21)으로부터 연장되어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클러치 암들(22)은 각각 하나의 제2 결합 섹션(22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섹션들(22a)은 함께 회전 축선(RA)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평면(E2)을 규정한다.
제2 베이스 섹션(21)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분포된 다수의 나사 홀들(21a)을 가지며, 상기 홀들을 통해 제2 베이스 섹션(21)이 나사 결합부(6)의 형성을 위해 관통 스크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하 유닛(3)의, 홀들(도시되지 않음)을 가진 회전 구동될 부재(5)와 연결된다.
제2 베이스 섹션(21)은 링 박판으로 형성되고, 제2 클러치 암(22)은 회전 축선(RA)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제2 평면(E2)의 외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 섹션(21)의 외주(21b)로부터 반경 방향 외부로 회전 축선(R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클러치 암들(22)은 각각 약간 펴진 Z-형 횡단면(도 8에 가장 잘 나타남)을 갖는다. 각각의 제2 클러치 암(22)의 레그(22c)는 제2 베이스 섹션(21)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2 클러치 암(22)의, 베이스(22b)를 통해 이어지는 다른 레그는 상기 제2 클러치 암의 제2 결합 섹션(22a)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1 지지체(10) 및 제2 지지체(20)는 열간 또는 냉간 성형된 평면 재료 또는 박판으로 제조되고, 상기 평면 재료 또는 박판으로부터 예컨대 벤딩 프레싱에 의해 제1 또는 제2 클러치 암들(12, 22)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체(10) 및 제2 지지체(20)는 제1 평면(E1) 및 제2 평면(E2)이 일치하도록(즉, 회전 클러치(1)의 축 방향(AR)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 배치되고, 제1 클러치 암들(12) 및 제2 클러치 암들(22)은 서로 마주 놓여 교대로 핑거 형태로 또는 이물림(toothing)과 유사하게 서로 맞물리며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지지체(10) 및 제2 지지체(20)는 또한 제1 베이스 섹션(11) 및 제2 베이스 섹션(21)이 회전 축선(RA)을 따라 반대로 배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 섹션들(12a)과 제2 결합 섹션들(22a)의 각각은 각각의 탄성 브래킷 부재(30)를 통해 각각 양측에서 인접한 결합 섹션들(22a 또는 12a)과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브래킷 부재들(30)은 특히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회전 축선(RA)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제1 결합 섹션(12a) 및 제2 결합 섹션(22a)에 제공된다. 즉, 각각의 결합 섹션(12a, 22a)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브래킷 부재들(30, 30)을 통해 각각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결합 섹션(22a 또는 12a)과 연결된다.
브래킷 부재들(30)은 각각 고강도 섬유 충전제와 혼합된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브래킷 부재(30)의 반대편 단부에서, 각각 하나의 파이프 슬리브(31)가 각각의 브래킷 부재(30)의 탄성 중합체 내로 삽입된다.
제1 결합 섹션들(12a)의 각각은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이격된, 관통 홀 형태의 2개의 결합 개구들(12d)을 갖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결합 섹션들(22a)의 각각은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결합 개구들(22d)을 갖는다.
너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스터드 볼트 형태의 결합 볼트(32)가 결합 개구(12d 및 22d) 내로 삽입되고, 상기 볼트는 관련 브래킷 부재(30)의 하나의 단부에 있는 파이프 슬리브(31)를 통해 연장됨으로써, 브래킷 부재(30)는 관련 결합 섹션(12a 또는 22a)과 결합되고, 관련 브래킷 부재(30)의 다른 단부는 파이프 슬리브(31)를 통해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결합 섹션(22a 또는 12a)의 결합 개구(22d 또는 12d)를 통해 연장된 결합 볼트(32)에 의해 인접한 결합 섹션(22a 또는 12a)과 결합된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암들(12) 및 제2 클러치 암들(22)은 예컨대 R=20 ㎜, R=30 ㎜ 또는 R=50 ㎜의 반경 R을 가지므로, 날카로운 에지 및 잠재적인 파괴 점이 방지된다.
1 회전 클러치
2 대형 내연기관
2a 엔진 블록
2b 크랭크 샤프트
2c 회전 구동 부재
3 부하 유닛
3a 제너레이터 바디
3b 구동 샤프트
4 나사 결합부
5 회전 구동될 부재
6 나사 결합부
10 제1 지지체
11 제1 베이스 섹션
11a 홀
11b 내주
12 제1 클러치 암
12a 제1 결합 섹션
12b 베이스
12c 레그
12d 결합 개구
20 제2 베이스 섹션
21a 나사 홀
21b 외주
22 제2 클러치 암
22a 제2 결합 섹션
22b 베이스
22c 레그
22d 결합 개구
30 브래킷 부재
31 파이프 슬리브
32 결합 볼트
UR 원주 방향
AR 축 방향
RA 회전 축선
E1 제1 평면
E2 제2 평면
R 반경

Claims (10)

  1. 회전 클러치로서,
    제1 지지체(10); 및
    제2 지지체(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체(10)는 회전 구동 부재(2c)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섹션(11) 및 다수의 제1 클러치 암들(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암들은 상기 제1 베이스 섹션(11)으로부터 연장하여 회전 클러치(1)의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클러치 암들(12)은 각각 하나의 제1 결합 섹션(12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섹션들(12a)은 함께 상기 회전 클러치(1)의 회전 축선(RA)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평면(E1)을 규정하며,
    상기 제2 지지체(20)는 회전 구동될 부재(5)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 섹션(21), 및 다수의 제2 클러치 암들(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러치 암들(22)은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 클러치 암들(22)은 각각 하나의 제2 결합 섹션(22a)을 갖고, 상기 제2 결합 섹션들(22a)은 함께 상기 회전 축선(RA)에 대해 동심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평면(E2)을 규정하며,
    제1 및 제2 지지체(10, 20)는 제1 및 제2 평면(E1, E2)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클러치 암들(12, 22)은 서로 마주 놓여 교대로 서로 맞물리며 서로 원주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및 제2 베이스 섹션들(11, 21)은 상기 회전 축선(RA)을 따라 반대로 배향되고,
    제1 및 제2 결합 섹션들(12a, 22a)의 각각은 각각의 탄성 브래킷 부재(30)를 통해 각각 양측에서 인접한 결합 섹션들(22a, 12a)과 결합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 암들(12)은 각각 U-형 횡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제1 클러치 암(12)의 레그(12c)는 상기 제1 베이스 섹션(11)과 연결되고, 각각의 제1 클러치 암(12)의 다른 레그는 상기 제1 클러치 암의 상기 제1 결합 섹션(12a)을 형성하는 것인 회전 클러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 암들(22)은 각각 Z-형 횡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제2 클러치 암(22)의 레그(22c)는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과 연결되고, 각각의 제2 클러치 암(22)의 다른 레그는 상기 제2 클러치 암의 상기 제2 결합 섹션(22a)을 형성하는 것인 회전 클러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섹션(11)은 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러치 암(12)은 상기 회전 축선(RA)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평면(E1)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베이스 섹션(11)의 내주(11b)로부터 반경 방향 내부로 상기 회전 축선(RA)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은 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러치 암들(22)은 상기 회전 축선(RA)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평면(E2)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의 외주(21b)로부터 반경 방향 외부로 상기 회전 축선(R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섹션(11, 21)은 각각 링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 암들(12)은 상기 제1 베이스 섹션(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러치 암들(22)은 상기 제2 베이스 섹션(2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부재들(30)은 각각 고강도 섬유 충전제와 혼합된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 부재(30)의 반대편 단부에서 각각 하나의 파이프 슬리브(31)가 탄성 중합체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섹션들(12a, 22a)의 각각은 2개의 결합 개구들(12d, 12d, 22d, 22d)을 가지며, 각각의 결합 개구(12d, 22d) 내로 결합 볼트(32)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 볼트는 관련 브래킷 부재(30)의 하나의 단부에 있는 상기 파이프 슬리브(31)를 통해 연장되므로, 상기 브래킷 부재(30)는 관련 결합 섹션(12a, 22a)과 결합되고, 상기 관련 브래킷 부재(30)의 다른 단부는 상기 파이프 슬리브(31)를 통해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결합 섹션(22a, 12a)의 상기 결합 개구(22d, 12d)를 통해 연장된 상기 결합 볼트(32)에 의해, 인접한 결합 섹션(22a, 12a)과 결합되는 것인 회전 클러치.
  10. 회전 구동 부재(2c)가 제공된 크랭크 샤프트(2b)를 구비한 대형 내연기관(2),
    회전 구동될 부재(5)를 구비한 부하 유닛(3),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회전 클러치(1)를 포함하고, 제1 지지체(10)의 제1 베이스 섹션(11)은 상기 대형 내연기관(2)의 상기 회전 구동 부재(2c)와 구동 연결되고, 제2 지지체(20)의 제2 베이스 섹션(21)은 상기 부하 유닛(3)의 회전 구동될 부재(5)와 구동 연결되는, 구동 장치.
KR1020110058146A 2010-06-16 2011-06-15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 Active KR101690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0178.7 2010-06-16
DE102010030178A DE102010030178A1 (de) 2010-06-16 2010-06-16 Rotationskupplung und damit versehene Antriebs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259A true KR20110137259A (ko) 2011-12-22
KR101690800B1 KR101690800B1 (ko) 2016-12-28

Family

ID=4420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146A Active KR101690800B1 (ko) 2010-06-16 2011-06-15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9358B2 (ko)
JP (1) JP5703131B2 (ko)
KR (1) KR101690800B1 (ko)
CN (1) CN102401017B (ko)
DE (1) DE102010030178A1 (ko)
FI (1) FI1258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7332A1 (de) 2012-08-31 2014-03-06 SGF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Kupplungsmodul für eine Kupp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Industrieanwendungen
DE102013007839A1 (de) 2013-05-07 2014-11-13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KG Kupplungsmodul für eine Kupp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Industrieanwendungen
DE202013006950U1 (de) 2013-08-01 2013-08-27 SGF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Kupplungsvorrichtung für Industrie- oder Fahrzeuganwendungen
DE102013014610A1 (de) 2013-09-03 2015-03-05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KG Kupplungsvorrichtung
DE102013018534A1 (de) 2013-11-05 2015-05-07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Kupplungsmodul für eine Kupp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Industrieanwendungen
DE202015103207U1 (de) * 2015-06-17 2016-09-20 Westfalia-Automotive Gmbh Anhängekupplung mit einer Aufnahmehülse
US10443208B2 (en) 2015-11-18 2019-10-15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Pivotally flexible mounting interface for a rotatable shaft
CN109882513B (zh) * 2019-04-03 2024-04-05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352A (en) * 1987-01-30 1989-02-14 Lord Corporation Link-type rotary coupling
JP2006083895A (ja) * 2004-09-14 2006-03-30 Bridgestone Corp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及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2011516803A (ja) * 2008-04-11 2011-05-26 フォイト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捻り弾性を有するカップリング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6938C (de) * 1921-06-15 1923-01-13 Erwin Wesnigk Dipl Ing Nachgiebige Kupplung
GB201164A (en) * 1922-07-24 1924-08-07 Giustino Cattane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silient couplings for power transmission
DE1040854B (de) 1953-02-24 1958-10-09 Eduard Erhardt Fa Elastische Wellengelenkscheibe
DE1206671B (de) * 1956-01-16 1965-12-09 Hanns Willy Schmidt Elastische Wellenkupplung
DE1219738B (de) * 1960-02-08 1966-06-23 Schweizerische Lokomotiv Drehelastische Wellenkupplung
JPS5253873Y2 (ko) * 1973-01-30 1977-12-07
US4019346A (en) * 1974-02-13 1977-04-26 Kanto Special Steel Works Ltd. Flexible coupling for rotating shafts
JPS5732248B2 (ko) * 1974-02-13 1982-07-09
JPS5635539Y2 (ko) * 1979-04-24 1981-08-21
EP0167654B1 (de) 1984-07-12 1988-12-28 WOCO Franz-Josef Wolf & Co. Kardanische Laschenkupplung und deren Verwendung
DE3526273C3 (de) * 1985-07-23 1992-12-10 Flender A F & Co Laschenkupplung
JP3310763B2 (ja) * 1994-02-10 2002-08-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ング式弾性軸継手
DE19515101C1 (de) 1995-04-25 1996-07-25 Freudenberg Carl Fa Laschenkupplung
IN189877B (ko) * 1997-08-04 2003-05-03 Luk Lamellen & Kupplungsbau
DE10257018A1 (de) * 2002-07-16 2004-02-05 A. Friedr. Flender Gmbh Kupp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352A (en) * 1987-01-30 1989-02-14 Lord Corporation Link-type rotary coupling
JP2006083895A (ja) * 2004-09-14 2006-03-30 Bridgestone Corp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及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2011516803A (ja) * 2008-04-11 2011-05-26 フォイト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捻り弾性を有するカップリング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30178A1 (de) 2011-12-22
CN102401017A (zh) 2012-04-04
KR101690800B1 (ko) 2016-12-28
US20120220381A1 (en) 2012-08-30
FI20115564A0 (fi) 2011-06-09
FI125841B (fi) 2016-03-15
JP2012002356A (ja) 2012-01-05
US8529358B2 (en) 2013-09-10
JP5703131B2 (ja) 2015-04-15
CN102401017B (zh)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7259A (ko) 회전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구동 장치
US8910762B2 (en) Centrifugal-pendulum vibration absorbing device
US9273773B2 (en) One-piece inertia 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ne-piece inertia ring
US20180372205A1 (en) Elastic gear wheel of a harmonic drive
US9382968B2 (en) Engine system having torsional coupling with thin web flywheel
CN105408663A (zh) 涡轮-扭振减振器以及转换器和扭矩传递装置
JP2016501352A (ja) トルク制限トレランス・リング
US20150037158A1 (en) Torque converter with stamped stator
JPS6249493B2 (ko)
CN109983254A (zh) 柔性的传动构件
KR101020660B1 (ko) 가요성 디스크, 그러한 가요성 디스크가 제공된 가요성커플링, 그러한 가요성 커플링이 제공된 장착 플랜지, 및그러한 장착 플랜지가 설치된 전동 샤프트
CN106062401A (zh) 具有法兰连接结构的离合器
US10100914B2 (en) Gear
RU2561401C2 (ru) Невращающийся универсальный шарнир для привода вертолета
JP2013257038A (ja) 他の部品のフランジに連結するためのフランジを有するねじり撓みダンパまたは継手
RU2257496C2 (ru) Гибкая муфта для валов
JP2018071645A (ja) 軸継手機構
JP5879786B2 (ja) カップリング装置
CN110431322A (zh) 用于补偿轴向间隙的装置
CN112431899A (zh) 带有局部增厚法兰的皮带轮解耦器
CN104662326A (zh) 扭振减振器
US11060578B2 (en) Conical spring wash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8607556B2 (en) Damper assembly with Coulomb dampening and rivet access
RU2274779C2 (ru) Гибкая муфта для валов
CN111684174B (zh) 包括离心力摆装置的扭矩传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6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