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923A - 미끄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6923A KR20110136923A KR1020100056840A KR20100056840A KR20110136923A KR 20110136923 A KR20110136923 A KR 20110136923A KR 1020100056840 A KR1020100056840 A KR 1020100056840A KR 20100056840 A KR20100056840 A KR 20100056840A KR 20110136923 A KR20110136923 A KR 201101369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plate
- slip
- fixing member
- coupling
- top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상판에 연결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상판에서 미끄럼방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선박이나 굴착기 등의 중공업장비 및 공사현장 이외에도 건물 바닥이나 지면 등 다양한 분양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가 고무물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판에 형성된 연결홀을 차폐하게 되므로, 습기나 염분 및 이물 등에 의한 녹 발생이 방지되고, 상기 상판과 고정부재 사이에 단열패킹이 설치됨으로써, 상판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부재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고정부재와 결합된 미끄럼방지부재가 상판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미끄럼 방지하는 데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상판에 연결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상판에서 미끄럼방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선박이나 굴착기 등의 중공업장비 및 공사현장 이외에도 건물 바닥이나 지면 등 다양한 분양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가 고무물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판에 형성된 연결홀을 차폐하게 되므로, 습기나 염분 및 이물 등에 의한 녹 발생이 방지되고, 상기 상판과 고정부재 사이에 단열패킹이 설치됨으로써, 상판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부재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고정부재와 결합된 미끄럼방지부재가 상판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미끄럼 방지하는 데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업은 부피에 비하여 비교적 무거운 물건을 만드는 공업으로 제철업, 조선업, 기계제조업 등이 이에 포함되며 이와 같은 업종에서는 자제이송을 위한 선박과, 이송된 자제를 운반하기 위한 각종 중공업 장비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 중 상기 선박은 화물의 종류에 따라 유조선(Oil Tanker),벌크캐리어(Bulk-Carrier), 컨테이너선(ContainerShip), 엘엔지선(LNG Ship), 케미컬 탱커(Chemical-Tanker), 바지선(Barge Ship)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선박은 선체, 갑판, 화물실, 조타실, 엔진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분류되고 구성되는 선박의 경우 습도가 높은 바다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선박의 갑판이나 계단 등의 발디딤 면에 서리는 습기로 인하여 발디딤 면이 미끄러워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선박에는 발디딤 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된다. 즉, 선박의 계단이나 갑판 등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대략 두께를 가지는 철판에 일정 형상을 가지도록 버링가공을 함으로써 가공부위가 상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의 내측에는 상대적으로 소정공간이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이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버링 가공부가 작업자의 신발 밑창과 접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형상의 미끄럼방지수단은, 중공업 장비의 발디딤 면에 볼트를 이용해 장착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중공업 장비는 바다와 같이 습도와 염분 농도가 높은 곳에서 사용되거나, 먼지와 오물이 많은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중공업 장비는 습도와 염분에 노출되거나, 작업공간에 부유하는 먼지와 이물에 노출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미끄럼방지수단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링 가공한 부위에 의해 상대적으로 천공 형성되는 공동부와 발디딤 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 내측으로 먼지와 이물 및 습기의 유입이 대수롭지 않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의한 미끄럼방지수단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버링가공한 뒤, 별도의 코팅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가공부위가 산화하여 녹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도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비되어 코팅층이 벗겨지게 되면, 산화에 의해 녹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주로 중공업 장비의 외면에 장착되는데, 상기와 같이 녹이 발생하게 되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과, 상판에 연결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상판에서 미끄럼방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선박이나 굴착기 등의 중공업장비 및 공사현장 이외에도 건물 바닥이나 지면 등 다양한 분양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가 고무물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판에 형성된 연결홀을 차폐하게 되므로, 습기나 염분 및 이물 등에 의한 녹 발생이 방지되는 미끄럼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과 고정부재 사이에 단열패킹이 설치됨으로써, 상판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부재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고정부재와 결합된 미끄럼방지부재가 상판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미끄럼 방지하는 데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미끄럼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일단면에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면의 모서리부에는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바닥면(G)에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끝단부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바닥면(G)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연결홀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되,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는 연결홀에 끼워지도록 연결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단면에는 입구 측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미끄럼방지부재가 상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판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측 끝단부 외주연에는 결합부가 결합홈에 결합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돌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외주연이 지지되는 동시에 상판의 하단면도 지지되도록 상측면 외주연에 단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단턱 사이에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장치는 상판과, 상판에 연결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상판에서 미끄럼방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선박이나 굴착기 등의 중공업장비 및 공사현장 이외에도 건물 바닥이나 지면 등 다양한 분양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가 고무물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판에 형성된 연결홀을 차폐하게 되므로, 습기나 염분 및 이물 등에 의한 녹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판과 고정부재 사이에 단열패킹이 설치됨으로써, 상판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부재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고정부재와 결합된 미끄럼방지부재가 상판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미끄럼 방지하는 데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단면에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면의 모서리부에는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바닥면(G)에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끝단부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바닥면(G)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연결홀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되,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는 연결홀에 끼워지도록 연결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단면에는 입구 측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미끄럼방지부재가 상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판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측 끝단부 외주연에는 결합부가 결합홈에 결합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돌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외주연이 지지되는 동시에 상판의 하단면도 지지되도록 상측면 외주연에 단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단턱 사이에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 2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장치(50)는 선박이나 굴착기 등의 중공업장비 및 공사현장 이외에도 건물 바닥이나 지면 등 다양한 분양에 사람이 통행하는 발디딤 면에 장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상판(10)과, 미끄럼방지부재(20)와,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판재가 다수 회 절곡되어 상면과 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판(10)의 끝단부는 하측(바닥면(G)방향)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고, 다시 절곡된 끝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판(10)의 하단부와 바닥면(G)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판(10)의 일단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2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방지구 연결홀(11)이 다수개 천공 형성되고, 상기 상판(10)의 상면 각 모서리 부근에는 상판(10)을 바닥면(G)에 고정시킬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관통홀(12)이 각각 천공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0)의 연결홀(11)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는 탄성과 마찰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람이 상측에 올라섰을 때, 사람의 몸무게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쿠션감을 느끼게 하고, 사람의 신발과 마찰을 일으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 등과 같은 수지 종류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첨가하여 사출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부재(20)가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더욱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는 도 1과 도 4를 참고하여, 돌출부(21)와 연결부(22)로 구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1)는 상판(1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사람의 신발과 마찰을 일으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각형으로 형성됐지만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21)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신발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는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결부(22)의 둘레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판(1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동시에 미끄럼방지부재(20)가 상판(10)에서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는 도 2와 도 4를 참고하여, 돌출부(21)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판(10)의 연결홀(11)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상판(10)의 연결홀(11) 내주연이 끼워져 연결홀(11)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22)의 외주연에 연결홈(24)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의 하단면에는 도 2를 참고하여, 미끄럼방지부재(20)가 상판(1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재(30)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0)가 삽입되도록 결합홈(2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5)의 입구 측은 고정부재(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5)의 내주연 끝단부(입구 반대측)는 삽입된 고정부재(3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26)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0)의 하측 공간부에 구비되어 미끄럼방지부재(20)와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가 상판에서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가소성 수지 등과 같은 수지 종류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와 결합시, 연결부(22)의 결합홈(25)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30)의 상측면 중앙부에 결합부(3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1)의 상측 끝단부 외주연에는 도 2를 참고하여, 결합홈(25)의 내주연과 동일한 형태로써, 상기 결합홈(25)에 삽입시, 하측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돌기(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32)는 결합부(31)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홈(25)의 이탈방지홈(2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상부면 외주연에는 도 2를 참고하여, 연결부(22)와 결합시, 상기 연결부(22)의 하단부 외주연이 지지되도록 단턱(33)이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33)의 상부면은 상판(10)의 하단면을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31)의 외주연과 단턱(33) 사이에는 도 2와 도 5를 참고하여, 연결부(22)의 끝단부(결합홈(25)이 형성된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하단면에는 도 2를 참고하여, 바닥면(G)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홈(35)이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홈(35)은 고정부재(30)의 하단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졌을 때, 그 형상이 일그러지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미끄럼방지장치(50)에 올라섰을 때, 쿠션감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의 단턱(33)과 상판(10)의 하단면이 접촉되는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패킹(40)이 더 설치되어 여름철 또는 외부의 열에 의해 뜨거워진 상판(10)의 열이 고정부재(30)에 전달되지 않거나 반대로 바닥면(G)의 열이 고정부재(30)를 타고 상판(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와 상판(10)의 연결홀(11) 사이에도 단열패킹(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10 : 상판 11 : 연결홀
12 : 관통홀 20 : 미끄럼방지부재
21 : 돌출부 22 : 연결부
23 : 걸림돌기 24 : 연결홈
25 : 결합홈 26 : 이탈방지홈
30 : 고정부재 31 : 결합부
32 : 고정돌기 33 : 단턱
34 : 삽입홈 35 : 미끄럼방지홈
40 : 단열패킹 50 : 미끄럼방지장치
12 : 관통홀 20 : 미끄럼방지부재
21 : 돌출부 22 : 연결부
23 : 걸림돌기 24 : 연결홈
25 : 결합홈 26 : 이탈방지홈
30 : 고정부재 31 : 결합부
32 : 고정돌기 33 : 단턱
34 : 삽입홈 35 : 미끄럼방지홈
40 : 단열패킹 50 : 미끄럼방지장치
Claims (2)
- 일단면에 다수개의 연결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면의 모서리부에는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바닥면(G)에 고정되도록 관통홀(12)이 각각 형성되며, 끝단부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바닥면(G)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연결홀(11)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되, 상기 상판(10)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의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2)의 외주연에는 연결홀(11)에 끼워지도록 연결홈(24)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의 하단면에는 입구 측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홈(25)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20)와;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가 상판(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판(10)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22)의 결합홈(25)에 결합되도록 상부면 중앙부에 결합부(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1)의 상측 끝단부 외주연에는 결합부(31)가 결합홈(25)에 결합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돌기(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2)의 하단부 외주연이 지지되는 동시에 상판(10)의 하단면도 지지되도록 상측면 외주연에 단턱(33)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1)와 단턱(33) 사이에 연결부(2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단턱(33)과 상판(10)의 하단면 사이에는 상판의 열이 고정부재(30)에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패킹(4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6840A KR20110136923A (ko) | 2010-06-16 | 2010-06-16 | 미끄럼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6840A KR20110136923A (ko) | 2010-06-16 | 2010-06-16 | 미끄럼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923A true KR20110136923A (ko) | 2011-12-22 |
Family
ID=4550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6840A Abandoned KR20110136923A (ko) | 2010-06-16 | 2010-06-16 | 미끄럼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692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1393A (zh) * | 2020-09-28 | 2021-01-12 |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 一种脚手架防滑平台 |
CN116424478A (zh) * | 2023-05-11 | 2023-07-14 | 广东民华船艇科技有限公司 | 一种钢质船舶的甲板防滑板 |
-
2010
- 2010-06-16 KR KR1020100056840A patent/KR20110136923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1393A (zh) * | 2020-09-28 | 2021-01-12 |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 一种脚手架防滑平台 |
CN112211393B (zh) * | 2020-09-28 | 2022-04-05 |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 一种脚手架防滑平台 |
CN116424478A (zh) * | 2023-05-11 | 2023-07-14 | 广东民华船艇科技有限公司 | 一种钢质船舶的甲板防滑板 |
CN116424478B (zh) * | 2023-05-11 | 2023-09-15 | 广东民华船艇科技有限公司 | 一种钢质船舶的甲板防滑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0994B1 (ko) | 미끄럼방지수단 | |
EP3116776B1 (en) | A security device | |
EP1656478B1 (en) | Covers,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ing deck components | |
US20120017819A1 (en) | Boat cleat assembly | |
JP2010518882A (ja) | 床マット組立体 | |
KR20110136923A (ko) | 미끄럼방지장치 | |
KR20140001952U (ko) | 선박용 비상 탈출 구조 | |
US20140353084A1 (en) | Swimming pool descending structure with overmolded anti-slip coating | |
KR20190048692A (ko) | 바퀴 고임 장치 | |
US20050055924A1 (en) | Covers,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ing deck components | |
KR101627774B1 (ko) | 사다리용 미끄럼 방지장치 | |
CN205819490U (zh) | 一种船用梯子 | |
KR100711796B1 (ko) | 미끄럼 방지 스틸 팔레트 | |
JP5538850B2 (ja) | ベンチ | |
KR0134932Y1 (ko) | 컨테이너 플로어 | |
KR20170029142A (ko) | 조립식 부력체 | |
US20150266552A1 (en) | Mold Prevention Nautical Furniture Lift | |
KR200337290Y1 (ko) | 안전사다리 | |
KR101276296B1 (ko) | 미끄럼 방지용 줄사다리 발판고정기구 | |
JP4221442B1 (ja) | 滑り止めマット、マットの補強部材及び昇降具 | |
US8821067B1 (en) | Boat lift step | |
KR102393797B1 (ko) | 안전 매트 | |
JP4606176B2 (ja) | 合成樹脂製瓦桟 | |
JP2005193888A (ja) | 建設機械の滑り止め構造 | |
KR20090124512A (ko) | 족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4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