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4439A -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439A
KR20110134439A KR1020117023077A KR20117023077A KR20110134439A KR 20110134439 A KR20110134439 A KR 20110134439A KR 1020117023077 A KR1020117023077 A KR 1020117023077A KR 20117023077 A KR20117023077 A KR 20117023077A KR 20110134439 A KR20110134439 A KR 20110134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point
center
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하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43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02B6/002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for housing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e.g. by forming holes or re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82Scatte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10)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장치(12)는, 광원인 LED(16)와, LED(16)에 대향하여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18b) 및 광 입사면(18b)을 따라 병행함과 함께 광을 출사시키는 광 출사면(18c)을 갖는 도광판(18)과, 상기한 광 입사면(18b)에 배치되고, 광을 산란시키는 제1 광 산란 구조(23)와, 상기한 광 출사면(18c)에 배치되고,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비롯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는, 종래의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박형 표시 소자를 적용한 박형 표시 장치로 이행하고 있고,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이것에 사용하는 액정 패널이 자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조명 장치로서 백라이트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고, 백라이트 장치는 그 기구에 의해 직하형과 사이드 라이트형으로 크게 구별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장치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고, 직하형의 백라이트 장치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0804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86217호 공보
사이드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장치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이 도광판 내에 입사하고나서, 도광판의 광 출사면을 출사할 때까지의 사이의 광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광판 내에 입사한 광이 직접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지 않고, 도광판에 있어서의 광 출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한 반사 시트에 의해 상승되고나서 출사되기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아, 전체의 휘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직하형의 백라이트 장치는, 도광판의 바로 아래에 광원이 배치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직접적으로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므로, 높은 휘도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면 내의 휘도 분포는, 광원의 근방 영역이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특허 문헌 2에서는, 그러한 휘도 불균일을 완화하기 위해, 도광판에 있어서의 광원측과는 반대측의 면 중, 광원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하는 영역에, 광을 광원측에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광판을 박형으로 하거나, 혹은 새로운 휘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고출력의 광원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한 방법에서는 충분한 휘도 불균일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해서 완성된 것으로서, 높은 휘도를 얻으면서도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향하여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 및 상기 광 입사면을 따라 병행함과 함께 광을 출사시키는 광 출사면을 갖는 도광체와, 상기 광 입사면에 배치되고, 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 구조와, 상기 광 출사면에 배치되고,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광 입사면과 광 출사면이 서로 병행하는 도광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의 이용 효율이 높고, 그 때문에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높은 휘도가 얻어지는 반면, 광 출사면 중 광원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가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광 입사면에 광 산란 구조를 배치함과 함께, 광 출사면에 광 반사부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광 입사면에 입사할 때에 광 산란 구조에 의해 산란된다. 이에 의해, 광 출사면 중 광원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광체 내에 입사한 광이 광 출사면에 도달하면, 광 반사부에 의해 그 광 반사율에 따른 비율로 반사된다. 즉, 광 반사부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광 산란 구조와도 더불어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다음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1) 상기 광 산란 구조는, 상기 광 입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은,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적어지는 경향으로 되는 것에 대해,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가,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비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점 형상 광원으로 되어 있고, 상기 광 산란 구조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오목부 또는 환 형상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오목부 또는 환 형상 볼록부에 의해 점 형상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3) 상기 환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환 형상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 오목부 또는 환 형상 볼록부의 형태(배열 피치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상기 광 산란 구조는, 상기 광 입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형태(면적, 분포 밀도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상기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점 형상 볼록부는, 그 면적이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면적이 반비례하도록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점 형상 볼록부는, 그 분포 밀도가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분포 밀도가 비례하도록 분포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7)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점 형상 광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점 형상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한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에 의해 점 형상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8)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광 반사부를 광 출사면과는 별체로 한 경우에는, 광 출사면과 광 반사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그러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원하는 광 반사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9)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에 대하여 인쇄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광 출사면의 형상에 의해 광 반사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는, 광 출사면의 형상을 형성할 때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양품률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그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양품률을 향상시켜서 저비용화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광 반사율이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 출사면에 도달한 광은, 광 반사부에 의해 광 출사면의 영역마다 반사효율 및 출사 효율이 제어되므로,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11)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 중 적어도 상기 광원과 중첩하는 광원 중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를 통과시켜서 광원의 존재를 시인하기 어려워져,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12)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 중 상기 광원과 중첩하지 않는 광원 비중첩 영역에도 배치되고, 상기 광원 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상기 광원 비중첩 영역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보다도 커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광원 중첩 영역에 대해서는 광 반사부의 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광이 상대적으로 반사되어 쉬.워, 그 반사광을 상기 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광원 비중첩 영역을 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광원 비중첩 영역에서는 광 반사부의 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광이 상대적으로 투과하기 쉽다. 이에 의해,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효율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13)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 반사부에 의한 광 반사율이 비례하도록, 광 반사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14)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광 반사성을 구비하는 다수의 도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도트의 형태(면적, 분포 밀도 등)에 의해 광 반사율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5) 상기 도트는, 그 면적이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도트의 면적이 비례하도록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16) 상기 도트는, 그 분포 밀도가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도트의 분포 밀도가 비례하도록 분포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17)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점 형상 광원으로 되어 있고, 상기 도트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한 도트에 의해,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효율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18) 상기 광 반사부는, 표면이 백색 또는 은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표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고, 반사광량의 제어 기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19) 상기 도광체 중 상기 광 출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광을 상기 광 출사면 측에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가 연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을 효율적으로 광 출사면에 유도할 수 있어, 휘도의 향상 등에 적합하게 된다.
(20)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시트의 설치면에는, 광을 산란시키는 제2 광 산란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광 산란 구조에서 산란시킨 광이 반사 시트에 의해 광 출사면 측에 반사된다. 광 출사면으로부터의 광의 출사광량은, 제2 광 산란 구조에 의한 산란 정도에 비례하는 경향으로 된다. 따라서, 제2 광 산란 구조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에 의해 광 출사면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효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때문에 휘도 불균일의 억제에 적합하게 된다.
(21) 상기 제2 광 산란 구조는, 상기 반사 시트의 설치면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은,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적어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대해, 반사 시트의 면 내에 있어서의 제2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는, 상기한 도광체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반비례하도록 변화되므로,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효율의 한층 더한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더욱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22)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점 형상 광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광 산란 구조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을 둘러싸도록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오목부 또는 환 형상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오목부 또는 환 형상 볼록부에 의해 도광체 내의 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23) 상기 환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환 형상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 오목부 또는 환 형상 볼록부의 형태(배열 피치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4) 상기 제2 광 산란 구조는, 상기 반사 시트의 설치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형태(면적, 분포 밀도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5) 상기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점 형상 볼록부는, 그 면적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면적이 비례하도록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26) 상기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점 형상 볼록부는, 그 분포 밀도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분포 밀도가 반비례하도록 분포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27)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점 형상 광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점 형상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한 점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에 의해 도광체 내의 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28)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의 상기 광 출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광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원 수용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광 입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에 있어서의 광원 수용 오목부 내에 광원이 수용되므로,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29) 상기 도광체 및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을 따르는 적어도 일방향에 대해서 복수개씩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대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30) 상기 도광체 및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을 따라 2차원적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새로운 대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31) 서로 이웃하는 상기 도광체간에는, 상기 도광체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층이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체에 있어서의 저굴절률층과의 경계면에 있어서 도광체 내의 광을 전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도광체간에서 서로의 내부의 광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각 도광체의 광 출사면으로부터의 출광의 시비에 대해서 개별로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다.
(32) 상기 저굴절률층은, 공기층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별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33) 상기 광원은, 1개의 상기 도광체에 대하여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휘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34) 상기 광원은, LED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휘도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기재의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의 광을 이용해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에 대하여 광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가, 높은 휘도를 얻으면서도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표시 품질이 우수한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시 패널로서는 액정 패널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대형 화면용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휘도를 얻으면서도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를 장변 방향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LED 및 도광판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LED 및 도광판을 장변 방향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분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광 출사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광 입사면 및 반사 시트의 배치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9는 광 입사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반사 시트의 설치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에 따른 제1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12는 제1 광 산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에 따른 제1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14는 제1 광 산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에 따른 제2 광 산란 구조에 의한 설치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16은 제2 광 산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4에 따른 제2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18은 제2 광 산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5에 따른 광 반사부에 의한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분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광 출사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1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6에 따른 광 반사부에 의한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분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광 출사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3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7에 따른 광 반사부에 의한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분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광 반사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광원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광 출사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분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광 출사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8은 광 입사면 및 반사 시트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29는 반사 시트의 설치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 1 내지 도 10에 의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에 대해서 예시한다. 또한, 각 도면의 일부에는 X축, Y축 및 Z축을 도시하고 있고, 각 축 방향이 각 도면에서 도시한 방향으로 되도록 그려져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상측을 표면측으로 하고, 동일 도면 하측을 이면측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 TV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표시 장치)와, 당해 액정 표시 장치(10)를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수용하는 표리 양쪽 캐비넷 Ca, Cb와, 전원 P와, 튜너 T를 구비하고 있고, 그 표시면(11a)이 연직 방향(Y축 방향)을 따르도록 스탠드 S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전체로서 가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인 액정 패널(11)과, 외부 광원인 백라이트 장치(12)(조명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이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베젤(13)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면(11a)이 연직 방향을 따른다」라는 것은, 표시면(11a)이 연직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 방향을 따르는 방향보다도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설치된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연직 방향에 대하여 0°~45°, 바람직하게는 0°~30° 기운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에, 액정 표시 장치(10)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11) 및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이 중, 액정 패널(표시 패널)(11)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한 쌍의 글래스 기판이 소정의 갭을 이격한 상태에서 접합됨과 함께, 양쪽 글래스 기판간에 액정이 봉입된 구성으로 된다. 한쪽의 글래스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TFT)와, 그 스위칭 소자에 접속된 화소 전극, 나아가서는 배향막 등이 설치되고, 다른 쪽의 글래스 기판에는,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의 각 착색부가 소정 배열로 배치된 컬러 필터나 대향 전극, 나아가서는 배향막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쪽 기판의 외측에는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백라이트 장치(12)는, 대략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측(액정 패널(11) 측, 광 출사측)에 개구된 대략 상자형을 이루는 섀시(14)와, 섀시(14)의 개구부를 덮도록 해서 배치되는 광학 부재(15)와, 섀시(14) 내에 배치되는 광원인 LED(16)(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와, LED(16)가 실장된 LED 기판(17)과, LED(16)로부터 발사되는 광을 광학 부재(15)로 유도하는 도광판(18)을 구비한다. 또한, 이 백라이트 장치(12)는, 광학 부재(15)를 구성하는 확산판(15a, 15b)을 이면측으로부터 받는 받이부재(19)와, 확산판(15a, 15b)을 표면측으로부터 누르는 누름부재(20)와, LED(16)의 발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의 방열을 재촉하기 위한 방열 부재(21)를 구비한다.
계속해서, 백라이트 장치(12)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섀시(14)는, 금속제로 되고, 액정 패널(11)과 마찬가지로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바닥판(14a)과, 바닥판(14a)의 각 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승되는 측판(14b)과, 각 측판(14b)의 상승단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받이판(14c)으로 이루어지고, 전체로서는 표면측을 향해서 개구된 얕은 대략 상자형(대략 얕은 접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섀시(14)는, 그 장변 방향이 수평 방향(X축 방향)과 일치하고, 단변 방향이 연직 방향(Y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섀시(14)에 있어서의 각 받이판(14c)에는, 표면측으로부터 받이부재(19)나 누름부재(20)가 적재 가능하게 된다. 각 받이판(14c)에는, 베젤(13)이나 받이부재(19)나 누름부재(20)가 나사 고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닥판(14a)에는, LED 기판(17)이나 도광판(18)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 구조는, 예를 들어 LED 기판(17)이나 도광판(18)을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하는 경우에는, 나사 부재를 조이는 나사 구멍 또는 나사 부재를 삽입 관통하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으로 된다.
광학 부재(15)는, 액정 패널(11)과 도광판(18)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도광판(18) 측에 배치되는 확산판(15a, 15b)과, 액정 패널(11) 측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15c)로 구성된다. 확산판(15a, 15b)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수지제의 기재 내에 확산 입자를 다수 분산해서 설치한 구성으로 되고, 투과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확산판(15a, 15b)은, 동등한 두께의 것이 2매, 적층해서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15c)는, 확산판(15a, 15b)과 비교하면 판 두께가 얇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고, 3매가 적층해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시트(15c)는, 확산판(15a, 15b) 측(이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확산 시트, 렌즈 시트, 반사형 편광 시트로 되어 있다. 또한, 광학 부재(15)를 이루는 확산판(15a, 15b) 및 광학 시트(15c)에 있어서의 각각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 내지 3㎜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받이부재(19) 및 누름부재(20)는, 모두 액정 패널(11)이나 광학 부재(15)의 외주연을 따르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중, 받이부재(19)는, 섀시(14)에 있어서의 받이판(14c) 상에 직접 적재됨과 함께, 광학 부재(15) 중 이면측의 확산판(15b)의 외주연을 이면측으로부터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누름부재(20)는, 받이부재(19) 상에 적재됨과 함께 광학 부재(15) 중 표면측의 확산판(15a)을 표면측으로부터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받이부재(19)와 누름부재(20) 사이에서 2매의 확산판(15a, 15b)을 협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누름부재(20)는, 액정 패널(11)의 외주연을 이면측으로부터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액정 패널(11)의 외주연을 표면측으로부터 누르는 베젤(13)과의 사이에서 액정 패널(11)을 협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젤(13)은, 받이부재(19)나 누름부재(20)와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11)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방열 부재(21)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섀시(14)의 바닥판(14a)에 있어서의 내면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 방열 부재(21)는, 섀시(14)의 바닥판(14a)과 LED 기판(17) 사이에 개재해서 배치되어 있다.
LED 기판(17)은, 표면이 광의 반사성이 우수한 백색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로 되어 있고, 섀시(14)의 바닥판(14a)을 따라 연장함과 함께 방열 부재(21) 상에 적재되어 있다. LED 기판(17)에는,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됨과 함께 그 소정의 위치에 LED(16)가 실장되어 있다. 이 LED 기판(17)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제어 기판이 접속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LED(16)의 점등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됨과 함께 LED(16)의 구동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17)에도 섀시(14)에 대한 도시하지 않은 부착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경우에는, 나사 부재가 조여지는 나사 구멍 또는 나사 부재를 통과시키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이 부착 구조로서 설치된다. 이러한 부착 구조는, 후술하는 도광판(18)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할애하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LED(16) 및 도광판(18)에 대해서 설명한다. LED(16) 및 도광판(1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대일로 대응한 조가 1개의 광원 유닛 U를 구성하고 있고, 그 광원 유닛 U가 다수, 표시면(11a)(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병렬 배치(평면 배치)되어 있다. 먼저, LED(16) 및 도광판(18)의 배열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LED(16)는, LED 기판(17) 상에 표면 실장된다, 소위 표면 실장형으로 되어 있고, LED 기판(17)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 상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바둑판 형상으로(행렬 형상으로) 다수 병렬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18)은, LED 기판(17)과 광학 부재(15)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확산판(15b) 사이에 개재해서 배치됨과 함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각 LED(16)에 대응한 위치, 즉 바둑판 형상으로(행렬 형상으로, 타일 형상으로) 다수 병렬 배치되어 있다. LED 기판(17)에 있어서의 LED(16)의 배열 피치(배열 간격)는, 도광판(18)의 배열 피치와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다. 도광판(18)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서로 이웃하는 도광판(18)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서로 중첩되는 일이 없고, 소정의 간격(간극, 클리어런스)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공기층 AR이 보유되어 있다. 계속해서, LED(16) 및 도광판(18)의 개별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LED(1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대략 블록 형상을 이룸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장변 방향을 X축 방향과, 단변 방향을 Y축 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LED(1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대략 블록 형상을 이루고 있고, LED 기판(17)에 고착되는 기판부 상에 LED 칩을 수지재에 의해 밀봉한 구성으로 된다. 기판부에 실장되는 LED 칩은, 주 발광 파장의 서로 다른 3종류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각 LED 칩이 R(적색), G(녹색), B(청색)를 단색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 LED(16)는, LED 기판(17)에 대한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발광면(16a)으로 되는, 톱형으로 되어 있다. LED(16)에 있어서의 광축 LA는, Z축 방향(후술하는 LED(16)와 광 입사면(18b)의 나열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있고, 액정 패널(11)의 표시면(11a)(후술하는 도광판(18)의 광 입사면(18b) 및 광 출사면(18c))과 직교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LED(16)로부터 발사되는 광은, 광축 LA를 중심으로 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3차원적으로 어느 정도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것이지만, 그 지향성은 냉음극관 등과 비교하면 높아져 있다. 즉, LED(16)의 발광 강도는, 광축 LA를 따른 방향이 눈에 띄게 높고, 광축 LA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향의 각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광판(18)은, 굴절률이 공기보다도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거의 투명한(투광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 재료(예를 들어, PC(polycarbonat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PS(polystyren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로 이루어진다. 도광판(1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대략 판형상을 이룸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장변 방향을 X축 방향과, 단변 방향을 Y축 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광판(18)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7)과 확산판(15b) 사이에 개재함과 함께 LED 기판(17)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고, LED 기판(17) 상에 실장된 LED(16)에 대하여 표면측으로부터 씌워져 있다. 반대로 말하면, LED(16)는, 도광판(18)에 대하여 직하 위치에 대향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광판(18)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면, 즉 LED 기판(17)과의 대향면(광 출사면(18c)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LED(16)를 수용 가능한 LED 수용 오목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LED 수용 오목부(18a)는, 도광판(18) 중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 치수가 LED(16)의 각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도 6 및 도 8). 따라서, 수용 상태에서는, LED(16)는 도광판(18)에 있어서의 대략 중심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LED 수용 오목부(18a)의 내면과 LED(16)의 외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생긴다. 또한, LED 수용 오목부(18a)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LED 수용 오목부(18a)의 내면 중, 이면측을 향한 면, 즉 LED(16)의 발광면(16a)과의 대향면은, 발광면(16a)으로부터 발사된 광을 도광판(18) 내에 입사시키는 광 입사면(18b)으로 되어 있다. 광 입사면(18b)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표시면(11a))을 따라 병행하는 면으로 된다.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관한 중심 C는, LED(16)에 있어서의 동일 중심 C에 대하여 동심 형상을 이룬다(도 8). 한편, 도광판(18) 중 표면측의 면, 즉 확산판(15b)과의 대향면은, 도광판(18) 내의 광을 출사시키는 광 출사면(18c)으로 된다. 광 출사면(18c)은, 도광판(18)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의 전체 영역에 걸치는 것으로 됨과 함께,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즉 상기 광 입사면(18b)을 따라 병행하는 면으로 된다. 그리고, LED(16)로부터 발사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점 형상을 이루는 광은, 도광판(18) 내를 전파함으로써, 광 출사면(18c)으로부터 대략 면 형상의 광으로서 출사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광판(18) 및 LED(16)에 의해 구성되는 광원 유닛 U는, 광 출사면(18c)이 면 발광하는, 면 광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광 출사면(18b)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관한 중심 C도, LED(16)에 있어서의 동일 중심 C에 대하여 동심 형상을 이룬다.
나아가서는, 도광판(18)의 이면측의 면, 즉 광 출사면(18c)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LED 수용 오목부(18a)를 제외한 영역(이하,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이라고 함)에는, 광을 광 출사면(18c) 측에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시트(22)가 배치되어 있다. 반사 시트(22)는, 표면이 광의 반사성이 우수한 백색 또는 은색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로 되어 있고, 도광판(18)에 있어서의 설치면(18d)에 대하여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반사 시트(22)는, 그 자신의 광 반사율이 예를 들어 80%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시트(22)는, 도광판(18)과 LED 기판(17)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반사 시트(22) 중 LED(16)와 평면에서 보아 중첩하는 부분에는, LED(16)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2a)는, 평면에서 보아 LED 수용부(18a)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 테두리부가 LED 수용 오목부(18a)의 내측으로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18) 중, 서로 이웃하는 도광판(18)과 간극을 두면서 대향하는 각 측단부면(18e)(공기층 AR과의 경계면)은, Z축 방향을 따라서 대략 똑바로인 면으로 되어 있어, 거기서는 광의 난반사가 거의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도광판(18) 내의 광 중, 공기층 AR과의 경계면인 측단부면(18e)에 대한 입사각이 임계각을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거기서 전반사되고,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거의 없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12)는, 도광판(18)의 바로 아래에 LED(16)가 배치되는 직하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라이트형의 것과 비교하면, 광의 이용 효율이 높아서 높은 휘도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그러나, 그 반면,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면내의 휘도 분포는, LED(16)의 근방 영역이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예를 들어 도광판(18)을 박형화하거나, 혹은 더욱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LED(16)를 고출력화하면, 점점 심각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광판(18) 중 광 입사면(18b)에는, 광을 산란시키는 제1 광 산란 구조(23)가 배치됨과 함께, 광 출사면(18c)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24)가 배치되고, 또한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에는, 광을 산란시키는 제2 광 산란 구조(25)가 배치되어 있다.
먼저, 제1 광 산란 구조(2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광 산란 구조(23)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18)을 수지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성형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광 입사면(18b)에 성형되는,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23a)에 의해 구성된다. 환 형상 볼록부(23a)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광 입사면(18b) 및 LED(16)의 중심 C를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환상을 이루고 있다. 즉, 환 형상 볼록부(23a)는, 광 입사면(18b) 및 LED(16)의 중심 C에 대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환 형상 볼록부(23a)는, 단면 형상이 선단이 좁아지는 산형(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있고, 그 표면은, Z축 방향, 즉 LED(16)의 광축 LA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LED(16)의 발광면(16a)으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은, 환 형상 볼록부(23a)의 경사 형상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산란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18) 내에 입사하는 광은, 제1 광 산란 구조(23)에 의해 산란됨으로써, 도광판(18) 내에 있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즉 광 입사면(18b)의 면 방향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확산되게 되어 있다.
각 환 형상 볼록부(23a)는, 광 입사면(18b) 및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치수가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직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복수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환 형상 볼록부(23a)는, 광 입사면(18b)으로부터의 돌출 치수(Z축 방향에 관한 치수)가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지만, 돌출 기단부에 있어서의 폭 치수(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관한 치수)가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고,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환 형상 볼록부(23a) 사이의 배열 피치, 및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환 형상 볼록부(23a)의 분포 밀도(단위 면적당의 설치 개수)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고(낮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는(높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는 경향으로 된다. 또한, 도 9는,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 X축 방향(도광판(18)의 장변 방향)의 B점으로부터 B′점까지의 광의 산란 정도를 플롯한 그래프로 되어 있다. 상기한 환 형상 볼록부(23a)의 폭 치수,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는,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도록 설정되고,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도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각 환 형상 볼록부(23a)의 표면에 있어서의 Z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은, 그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고,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비례하도록 변화하는 설정으로 된다. 이에 의해,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역에서는,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고,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에서는, 광 입사면(18b)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그 때문에 광 입사면(18b)에 입사한 광의 면내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ED(16)가 도광판(18)을 통과해서 직접적으로 시인되기 어려워져, 램프 이미지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광 입사면(18b)의 기준 위치를 환 형상 볼록부(23a)의 돌출 기단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광 입사면(18b)의 기준 위치를 환 형상 볼록부(23a)의 돌출 선단으로 하면, 광 입사면(18b)에는 환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광 반사부(24)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 반사부(2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출사면(18c) 상에 배치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둥근형을 이루는 다수의 도트(24a)로 이루어진다. 광 반사부(24)를 구성하는 각 도트(24a)는, 광 출사면(18c) 및 LED(16)의 중심 C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도트(24a)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이 함유된 페이스트를 광 출사면(18c)에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광 출사면(18c)에 대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당해 인쇄 수단으로서는,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이 적합하다. 도트(24a)를 이루는 재료는, 표면이 백색 또는 은색을 나타냄과 함께 우수한 광 반사성을 구비하고 있고, 그 자신의 광 반사율이 도광판(18)을 이루는 재료보다도 충분히 큰 것으로 된다.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 광 반사율이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광 출사면(18c)은, LED(16)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하는 광원 중첩 영역 SA와, LED(16)에 대하여 중첩하지 않는 광원 비중첩 영역 SN으로 나눠지는 것에 대해, 광 반사부(24)를 이루는 각 도트(24a)는, 광원 중첩 영역 SA로부터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 걸치는, 광 출사면(18c)의 전체 영역에 소정의 분포로 배치됨과 함께, 그 배치에 따라서 각 도트(24a)의 직경 치수, 즉 면적이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각 도트(24a)의 면적은, 광원 중첩 영역 SA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되지만,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광 출사면(18c) 및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작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중첩 영역 SA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되지만,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도록, 그라이데이션 상태로 변화하는 설정으로 된다. 또한, 도 7은,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 X축 방향(도광판(18)의 장변 방향)의 A점으로부터 A′점까지의 광 반사율을 플롯한 그래프로 되어 있다. 한편, 도광판(18) 내의 광량은,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적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즉,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도광판(18) 내의 광량에 비례하도록 변화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광량이 많은 영역에서는, 광 반사율을 상대적으로 크게(높게) 함으로써 출광을 억제하고, 상대적으로 광량이 적은 영역에서는, 광 반사율을 상대적으로 작게(낮게) 함으로써 출광을 재촉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면내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광 산란 구조(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광 산란 구조(25)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18)을 수지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성형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에 성형된다,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25a)에 의해 구성된다. 환 형상 볼록부(25a)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LED(16)의 중심 C를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환상을 이루고 있다. 즉, 환 형상 볼록부(25a)는, LED(16)의 중심 C에 대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환 형상 볼록부(25a)는, 단면 형상이 선단이 좁아지는 산형(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있고, 그 표면은, Z축 방향, 즉 LED(16)의 광축 LA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광판(18) 내를 전파해서 설치면(18d)에 도달한 광은, 환 형상 볼록부(25a)의 경사 형상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산란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면(18d)에 도달한 광은,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의해 산란됨과 함께 반사 시트(22)에 의해 광 출사면(18c) 측으로 상승되고, 광 출사면(18c)에 대한 입사각이 임계각을 초과하지 않는 광으로 되어 광 출사면(18c)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이때의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은,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에 비례하는 경향으로 된다. 또한, 환 형상 볼록부(25a) 중, 중심 C로부터의 거리가 도광판(18)의 단변 치수의 1/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부가 있는 부분적인 원 환 형상부에 의해 구성된다.
각 환 형상 볼록부(25a)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치수가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직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복수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환 형상 볼록부(25a)는, 설치면(18d)으로부터의 돌출 치수(Z축 방향에 관한 치수)가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지만, 돌출 기단부에 있어서의 폭 치수(X축 방향 또는Y축 방향에 관한 치수)가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고,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환 형상 볼록부(25a) 사이의 배열 피치, 및 설치면(18d)에 있어서의 환 형상 볼록부(25a)의 분포 밀도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높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낮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설치면(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또한, 도 10은, 설치면(18d)에 있어서 X축 방향(도광판(18)의 장변 방향)의 A점으로부터 A′점까지의 광의 산란 정도를 플롯한 그래프로 되어 있다. 상기한 폭 치수,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는,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도록 설정되고, 설치면(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도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각 환 형상 볼록부(25a)의 표면에 있어서의 Z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도광판(18) 내의 광량은, 그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고,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설치면(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광판(18) 내의 광량의 분포에 반비례하도록 변화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광량이 많은 영역에서는, 설치면(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출광을 억제하고, 상대적으로 광량이 적은 영역에서는, 설치면(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출광을 재촉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면내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광 산란 구조(23) 및 광 반사부(24)와도 더불어,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설치면(18d)의 기준 위치를 환 형상 볼록부(25a)의 돌출 기단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설치면(18d)의 기준 위치를 환 형상 볼록부(25a)의 돌출 선단으로 하면, 설치면(18d)에는 환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조이며, 계속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ON하고, 각 LED(16)를 점등시키면, LED(16)의 발광면(16a)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은, 광 입사면(18b)에 입사하고나서, 도광판(18) 내를 전파한 후, 광 출사면(18c)으로부터 출사된다.
상세하게는, LED(16)로부터의 출사광은, 광 입사면(18b)에 입사하는 단계에서 거기에 형성된 제1 광 산란 구조(23)에 의해 산란된다. 여기서, 제1 광 산란 구조(23)에 의한 광 입사면(18b)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비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광판(18) 내에 입사한 광이 광 입사면(18b)의 면 방향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전파됨으로써, 광 출사면(18c)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출사하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그 면내 분포가 균일화된다.
도광판(18) 내를 전파하는 광 중, 반사 시트(22)를 향하는 광은,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에 형성된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의해 산란된다. 여기서, 반사 시트(22)(설치면(18d))를 향하는 광량은, LED(16)에 근접할수록 많고, LED(16)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것에 대응해서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도광판(18) 내에 있어서 반사 시트(22)를 향하는 광량에 반비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LED(16)에 가깝고 광량이 많은 영역(예를 들어, 도 8의 B점 또는 B′점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광이 산란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LED(16)로부터 멀고 광량이 적은 영역(예를 들어, 도 8의 A점 또는 A′점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광이 산란되기 쉽게 되어 있다. 여기서, 설치면(18d)에 있어서 광이 산란되기 어려우면, 반사 시트(22)에 의해 광 출사면(18c) 측으로 상승되었을 때 광 출사면(18c)에 대한 입사각이 임계각을 초과하는 광이 많아져서 전반사되기 쉬워지는 것에 대해, 설치면(18d)에 있어서 광이 산란되기 쉬우면, 반사 시트(22)에 의해 광 출사면(18c) 측으로 상승되었을 때 광 출사면(18c)에 대한 입사각이 임계각을 초과하지 않는 광이 많아져서 전반사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반사 시트(22)를 향하는 광량이 많아질수록,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광이 억제되는 것에 대해, 반사 시트(22)를 향하는 광량이 적어질수록,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광이 촉진되게 되고, 그 때문에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도광판(18) 내를 전파해서 광 출사면(18c)에 도달하는 광은, 광 입사면(18b)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직접 광과, 반사 시트(22)나 측단부면(18e)에서 반사되고나서 간접적으로 도달하는 간접 광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 광에 관해서는 상기한 제1 광 산란 구조(23)에 의해, 간접 광에 관해서는 상기한 제2 광 산란 구조(24)에 의해, 각각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면내 분포의 균일화가 어느 정도 도모되는 것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에 부가해서 광 출사면(18c)에 배치한 광 반사부(24)에 의해 새로운 균일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광원 중첩 영역 SA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일정하게 되는 것에 대해,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광원 중첩 영역 SA보다도 낮은 값이고 또한 LED(16)(광원 중첩 영역 SA)에 근접할수록 커지고, LED(16)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광판(18) 내에서 광 출사면(18c)을 향하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광원 중첩 영역 SA에서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광 반사부(24)에 의해 많은 광이 이면측으로 반사됨과 함께 광 출사면(25)으로부터의 출광이 억제된다. 한편, 광 출사면(18c)을 향하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광 반사부(24)에 의해 이면측으로 반사되는 광량이 적어져서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광이 촉진된다. 게다가,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광 반사율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변화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광판(18) 내의 광량에 따라서 광 반사부(24)에 의한 반사광량 및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이 적절하게 제어되고, 그 때문에 광 출사면(18c) 전체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면내 분포를 균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개개의 도광판(18)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광 출사면(18c)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한편, 섀시(14) 내에 있어서 2차원적으로 다수매가 병렬 배치된 각 도광판(18)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18)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공기층 AR이 개재하고 있으므로, 각 도광판(18) 내의 광이 측단부면(18e)으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도광판(18)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거의 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도광판(18) 사이에서 광이 서로 왕래하거나, 서로 섞이는 것이 방지되어 있고, 각 도광판(18)에 있어서의 광학적 독립성이 담보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도광판(18)에 대응한 각 LED(16)의 점등 또는 비점등을 개별로 제어함으로써, 각 도광판(18)에 있어서의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광의 시비에 대해서 개별로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에어리어 액티브라고 불리는 백라이트 장치(12)의 구동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10)에 있어서의 표시 성능으로서 극히 중요한 콘트라스트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백라이트 장치(12)는, 광원인 LED(16)와, LED(16)에 대향하여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18b) 및 광 입사면(18b)을 따라 병행함과 함께 광을 출사시키는 광 출사면(18c)을 갖는 도광판(18)과, 상기한 광 입사면(18b)에 배치되고, 광을 산란시키는 제1 광 산란 구조(23)와, 상기한 광 출사면(18c)에 배치되고,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2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광 입사면(18b)과 광 출사면(18c)이 서로 병행하는 도광판(18)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LED(16)로부터 발사된 광의 이용 효율이 높고, 그 때문에 광 출사면(18c)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높은 휘도가 얻어지는 반면, 광 출사면(18c) 중 LED(16)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가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입사면(18b)에 제1 광 산란 구조(23)를 배치함과 함께, 광 출사면(18c)에 광 반사부(24)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고, 그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이다.
즉, LED(16)로부터 발사된 광은, 광 입사면(18b)에 입사할 때에 제1 광 산란 구조(23)에 의해 산란된다. 이에 의해, 광 출사면(18c) 중 LED(16)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8) 내에 입사한 광이 광 출사면(18c)에 도달하면, 광 반사부(24)에 의해 그 광 반사율에 따른 비율로 반사된다. 즉, 광 반사부(24)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제1 광 산란 구조(23)와도 더불어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높은 휘도를 얻으면서도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백라이트 장치(12) 및 액정 표시 장치(10)를 박형화하기 위해, 보다 박형의 도광판을 사용하거나, 혹은 새로운 휘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보다 고출력의 LED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때문에 보다 박형화된 백라이트 장치(12) 및 액정 표시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거나, 혹은 표시 품위가 극히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 산란 구조(23)는, 광 입사면(18b)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은,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적어지는 경향으로 되는 것에 대해, 제1 광 산란 구조(23)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가,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비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ED(16)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1 광 산란 구조(23)는, 점 형상의 LED(16)의 중심 C를 둘러싸도록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환 형상 볼록부(23a)(환 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23a)에 의해 LED(16)로부터의 출사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또한, 환 형상 볼록부(23a)는, LED(16)의 중심 C에 대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 볼록부(23a)의 형태(배열 피치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광 반사부를 광 출사면(18c)과는 별체로 한 경우에는, 광 출사면(18c)과 광 반사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그러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원하는 광 반사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에 대하여 인쇄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광 출사면의 형상에 의해 광 반사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는, 광 출사면의 형상을 형성할 때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양품률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그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양품률을 향상시켜서 저비용화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 광 반사율이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 출사면(18c)에 도달한 광은, 광 반사부(24)에 의해 광 출사면(18c)의 영역마다 반사 효율 및 출사 효율이 제어되므로,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 중 적어도 LED(16)와 중첩하는 광원 중첩 영역 SA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을 통과시켜서 LED(16)의 존재를 시인하기 어려워져,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 중 LED(16)와 중첩하지 않는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도 배치되고, 광원 중첩 영역 SA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보다도 커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 내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광원 중첩 영역 SA에 대해서는 광 반사부(24)의 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광이 상대적으로 반사되기 쉽고, 그 반사광을 상기 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광원 비중첩 영역 SN을 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광 반사부(24)의 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광이 상대적으로 투과하기 쉽다. 이에 의해,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효율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LED(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 반사부(24)에 의한 광 반사율이 비례하도록 광 반사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광 반사성을 구비하는 다수의 도트(24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도트(24a)의 형태(면적, 분포 밀도 등)에 의해 광 반사율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트(24a)는, 그 면적이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도트(24a)의 면적이 비례하도록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트(24a)는, 그 분포 밀도가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도트(24a)의 분포 밀도가 비례하도록 분포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ED(16)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트(24a)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한 도트(24a)에 의해,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효율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4)는, 표면이 백색 또는 은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표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고, 반사광량의 제어 기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도광판(18) 중 광 출사면(18c)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광을 광 출사면(18c) 측에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2)가 연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을 효율적으로 광 출사면(18c)에 유도할 수 있어, 휘도의 향상 등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18)에 있어서의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에는, 광을 산란시키는 제2 광 산란 구조(2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광 산란 구조(25)에서 산란시킨 광이 반사 시트(22)에 의해 광 출사면(18c) 측에 반사된다.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광의 출사광량은,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의한 산란 정도에 비례하는 경향으로 된다. 따라서,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에 의해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효율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때문에 휘도 불균일의 억제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제2 광 산란 구조(25)는,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의 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LED(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 내의 광량은, LED(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적어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대해, 반사 시트(22)의 면 내에 있어서의 제2 광 산란 구조(25)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는, 상기한 도광판(18)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반비례하도록 변화되므로, 광 출사면(18c)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효율의 한층 더한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더욱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ED(16)는, 광 출사면(18c)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2 광 산란 구조(25)는, LED(16)를 둘러싸도록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25a)(환 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25a)에 의해 도광판(18) 내의 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또한, 환 형상 볼록부(25a)는, LED(16)의 중심 C에 대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환 형상 볼록부(25a)의 형태(배열 피치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광판(18)에 있어서의 광 출사면(18c)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LED(16)를 수용하는 LED 수용 오목부(18a)가 형성되고, LED 수용 오목부(18a)의 내면에 광 입사면(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에 있어서의 LED 수용 오목부(18a) 내에 LED(16)가 수용되므로,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8) 및 LED(16)는, 광 출사면(18c)을 따르는 적어도 일방향에 대해서 복수개씩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대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18) 및 LED(16)는, 광 출사면(18c)을 따라 2차원적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새로운 대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도광판(18) 사이에는, 도광판(18)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층으로서 공기층 AR이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에 있어서의 공기층 AR과의 경계면인 측단부면(18e)에 있어서 도광판(18) 내의 광을 전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도광판(18) 사이에서 서로의 내부의 광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각 도광판(18)의 광 출사면(18c)으로부터의 출광의 시비에 대해서 개별로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별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LED(16)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휘도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각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 부호를 붙여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에 대해서 도 11 또는 도 1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광 산란 구조(23-1)의 형태를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제1 광 산란 구조(23-1)는, 광 입사면(18b-1)의 면 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점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점 형상 볼록부(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점 형상 볼록부(23b)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을 이룸과 함께, 단면 형상이 선단이 좁아지는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반구형을 이루고 있고, 그 표면은 곡면으로 된다. 따라서, LED(16)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은, 점 형상 볼록부(23b)의 곡면 형상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산란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23b)는, 도광판(18-1)을 수지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성형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광 입사면(18b-1)에 성형되어 있다.
각 점 형상 볼록부(23b)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해서 배치됨과 함께,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치수 및 면적이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직경 치수 및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점 형상 볼록부(23b)는, 광 입사면(18b-1)으로부터의 돌출 치수(Z축 방향에 관한 치수)가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점 형상 볼록부(23b) 사이의 배열 피치, 및 광 입사면(18b-1)에 있어서의 점 형상 볼록부(23b)의 분포 밀도(단위 면적당의 설치 개수)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낮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는(높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광 입사면(18b-1)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는 경향으로 된다(도 9 참조). 상기한 점 형상 볼록부(23b)의 면적,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는,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도록 설정되고, 광 입사면(18b-1)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도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광 입사면(18b-1)의 기준 위치를 점 형상 볼록부(23b)의 돌출 기단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광 입사면(18b-1)의 기준 위치를 점 형상 볼록부(23b)의 돌출 선단으로 하면, 광 입사면(18b-1)에는 점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에 따르면, 제1 광 산란 구조(23-1)는, 광 입사면(18b-1)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점 형상 볼록부(23b)(점 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점 형상 볼록부(23b)의 형태(면적, 분포 밀도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23b)는, 그 면적이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볼록부(23b)의 면적이 반비례하도록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23b)는, 그 분포 밀도가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LED(16)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볼록부(23b)의 분포 밀도가 비례하도록 분포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ED(16)는,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점 형상 볼록부(23b)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한 점 형상 볼록부(23b)에 의해 LED(16)로부터의 출사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에 대해서 도 13 또는 도 1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상기한 변형예 1로부터 제1 광 산란 구조(23-2)의 형태를 더욱 변경한 것을 도시함과 함께, 변형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할애한다.
제1 광 산란 구조(23-2)를 이루는 각 점 형상 볼록부(23b-2)는, 직경 치수 및 면적이 모두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지만, 광 입사면(18b-2)의 면 내에 있어서의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가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점 형상 볼록부(23b-2)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배열 피치가 커져서 분포 밀도가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배열 피치가 작아져서 분포 밀도가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점 형상 볼록부(23b-2)를 광 입사면(18b-2)의 면 내에 편재 배치함으로써, 광 입사면(18b-2)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를,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크게 할 수 있다. 이 변형예 2에 따르면, 모든 점 형상 볼록부(23b-2)의 직경 치수 및 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도광판(18-2)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성형 금형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에 대해서 도 15 또는 도 1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2 광 산란 구조(25-3)의 형태를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제2 광 산란 구조(25-3)는,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3)의 면 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점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점 형상 볼록부(2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점 형상 볼록부(23b)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을 이룸과 함께, 단면 형상이 선단이 좁아지는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반구형을 이루고 있고, 그 표면은 곡면으로 된다. 따라서, 도광판(18-3) 내에서 설치면(18d-3)에 도달한 광은, 점 형상 볼록부(25b)의 곡면 형상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산란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25b)는, 도광판(18-3)을 수지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성형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광 입사면(18b-3)에 성형되어 있다.
각 점 형상 볼록부(25b)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방사상으로 병렬해서 배치됨과 함께,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치수 및 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직경 치수 및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점 형상 볼록부(25b)는, 설치면(18d-3)으로부터의 돌출 치수(Z축 방향에 관한 치수)가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점 형상 볼록부(25b) 사이의 배열 피치, 및 설치면(18d-3)에 있어서의 점 형상 볼록부(25b)의 분포 밀도(단위 면적당의 설치 개수)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높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낮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설치면(18d-3)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으로 된다(도 10 참조). 상기한 점 형상 볼록부(25b)의 면적,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는,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도록 설정되고, 설치면(18d-3)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도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설치면(18d-3)의 기준 위치를 점 형상 볼록부(25b)의 돌출 기단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설치면(18d-3)의 기준 위치를 점 형상 볼록부(25b)의 돌출 선단으로 하면, 설치면(18d-3)에는 점 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에 따르면, 제2 광 산란 구조(25-3)는, 반사 시트(22)의 설치면(18d-3)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점 형상 볼록부(25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점 형상 볼록부(25b)의 형태(면적, 분포 밀도 등)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25b)는, 그 면적이 LED(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3)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볼록부(25b)의 면적이 비례하도록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25b)는, 그 분포 밀도가 LED(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광판(18-3) 내의 광량의 분포에 대하여 점 형상 볼록부(25b)의 분포 밀도가 반비례하도록 분포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한층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ED(16)는, 광 출사면의 면 내에 있어서 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점 형상 볼록부(25b)는, LED(16)를 중심 C로 해서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방사상으로 병렬 배치한 점 형상 볼록부(25b)에 의해 도광판(18-3) 내의 광을 양호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4]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4에 대해서 도 17 또는 도 18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상기한 변형예 3으로부터 제1 광 산란 구조(25-4)의 형태를 더욱 변경한 것을 도시함과 함께, 변형예 3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할애한다.
제1 광 산란 구조(25-4)를 이루는 각 점 형상 볼록부(25b-4)는, 직경 치수 및 면적이 모두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지만, 설치면(18d-4)의 면 내에 있어서의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가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점 형상 볼록부(25b-4)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배열 피치가 작아져서 분포 밀도가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배열 피치가 커져서 분포 밀도가 작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점 형상 볼록부(25b-4)를 설치면(18d-4)의 면 내에 편재 배치함으로써, 설치면(18d-4)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를,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게 할 수 있다. 이 변형예 4에 따르면, 모든 점 형상 볼록부(25b-4)의 직경 치수 및 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도광판(18-4)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성형 금형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 4에 상기한 변형예 2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용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5]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5에 대해서 도 19 또는 도 2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광 반사부(24-5)의 형태를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광 반사부(24-5)는, 광 출사면(18c-5)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LED(16)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차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광 출사면(18c-5)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단계적으로 차차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단계적으로 차차 커지는 설정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광 반사부(24-5)를 구성하는 각 도트(24a-5)의 면적은, 광원 중첩 영역 SA에 있어서 가장 크고,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LED(16)(광원 중첩 영역 S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차차 작아지고 있다. 즉, 광 출사면(18c-5)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LED(16)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 출사면(18c-5)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X축 방향의 E-5점으로부터 E′-5점까지의 제1 영역 A1, E-5점(E′-5점)으로부터 D-5점(D′-5점)까지의 제2 영역 A2, D-5점(D′-5점)으로부터 C-5점(C′-5점)까지의 제3 영역 A3, C-5점(C′-5점)으로부터 B-5점(B′-5점)까지의 제4 영역 A4, B-5점(B′-5점)으로부터 A-5점(A′-5점)까지의 제5 영역 A5의 순으로 단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각 영역 A2 내지 A5는, LED(16)의 중심 C에 대하여 동심으로 되는 대략 원 환상을 이루고 있다. 제1 영역 A1은, 대략 원형상으로 광원 중첩 영역 SA와 일치하고 있고, 광 출사면(18c-5)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최대로 되어 있다. 한편, 제2 영역 A2 내지 제5 영역 A5는,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 배치되어 있고, 이 중 제1 영역 A1에 가장 가까운 제2 영역 A2에 있어서 광 반사율이 가장 크고, 제1 영역 A1로부터 가장 멀고, 도광판(18-5)의 X축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5 영역 A5에 있어서 광 반사율이 가장 작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광 출사면(18c-5)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분포를 완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광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 A1 내지 A5를 형성하는 수단에 따르면, 당해 도광판(18-5)의 제조 방법이 간편한 것으로 되어, 비용 삭감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6]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6에 대해서 도 21 또는 도 2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광 반사부(24-6)의 형태를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광 반사부(24-6)는, 광 출사면(18c-6)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LED(16)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광 출사면(18c-6)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커지는 설정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광 반사부(24-6)를 구성하는 각 도트(24a-6)의 면적은, LED(16)의 중심 C에 가장 가깝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것이 최대로 되고, 거기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점차 작아지고, 도광판(18-6)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가장 단부 부근에 배치된 것이 최소로 된다. 즉, 각 도트(24a-6)의 면적은, LED(16)의 중심 C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광판(18-6)에 따르면, 도광판(18-6) 전체적으로 조명광의 휘도 분포를 완만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당해 백라이트 장치(12) 전체적으로 완만한 조명 휘도 분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7]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7에 대해서 도 23 또는 도 2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광 반사부(24-7)의 형태를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광 반사부(24-7)를 이루는 각 도트(24a-7)는, 직경 치수 및 면적이 모두 거의 동일하게 정렬되지만, 광 출사면(18c-7)의 면 내에 있어서의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가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도트(24a-7)는, LED(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배열 피치가 커져서 분포 밀도가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배열 피치가 작아져서 분포 밀도가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도트(24a-7)를 광 출사면(18c-7)의 면 내에 편재 배치함으로써, 광 출사면(18c-7)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을,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크게 할 수 있다. 이 변형예 4에 따르면, 모든 도트(24a-7)의 직경 치수 및 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광 출사면(18c-7)에 광 반사부(24-7)를 인쇄함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인쇄 패턴 설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 25 내지 도 29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1매의 도광판(118)에 대하여 복수의 LED(116)를 배치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광판(118)에는, 도 25, 도 26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수용 오목부(118a)가 4개 형성되어 있다. 각 LED 수용 오목부(118a)는, 도광판(118)에 있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서 2개씩 나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LED 수용 오목부(118a)(각 광 입사면(118b), 각 광원 중첩 영역 SA)는, 그 중심 C가 도광판(118)에 있어서의 4코너를 연결하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LED 기판(117)에는, 각 LED 수용 오목부(118a)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4개의 LED(116)가 실장되어 있고, 도광판(118)을 LED 기판(117)에 대하여 표면측으로부터 씌워 붙이면, 각 LED(116)가 각 LED 수용 오목부(118a) 내에 수용됨과 함께, 각 LED(116)가 각 광 입사면(118b)에 대하여 대향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은, 1매의 도광판(118)과, 4개의 LED(116)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광 출사면(118c)에 배치된 광 반사부(124) 및 반사 시트(122)의 설치면(118d)에 배치된 제2 광 산란 구조(1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광 입사면(118b)에 배치된 제1 광 산란 구조(123)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과 마찬가지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할애한다.
광 반사부(124)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출사면(118c) 상에 배치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둥근형을 이루는 다수의 도트(12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도트(124a)는, 각 LED 수용 오목부(118a) 및 각 LED(116)의 중심 C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광 반사부(124)는, 광 출사면(118c)의 면 내에 있어서 광 반사율이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도트(124a)는, 각 광원 중첩 영역 SA로부터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 걸친, 광 출사면(118c)의 전체 영역에 소정의 분포로 배치됨과 함께, 그 배치에 따라서 직경 치수, 즉 면적이 변화되는 것으로 된다. 각 도트(124a)의 면적은, 각 광원 중첩 영역 SA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되지만,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각 LED 수용 오목부(118a) 및 각 LED(116)의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작고, 상기 각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연속적으로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광 출사면(118c)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중첩 영역 SA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되지만, 광원 비중첩 영역 SN에서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작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커지도록, 그라이데이션 형상으로 변화하는 설정으로 된다. 즉, 광 출사면(118c)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은, 각 LED(116)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출사면(118c)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의 면내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제2 광 산란 구조(125)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과 마찬가지로, 반사 시트(122)의 설치면(118d)의 면 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점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점 형상 볼록부(12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점 형상 볼록부(125b)의 형상이나 작용에 대해서, 상기한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할애하는 것으로 한다.
제2 광 산란 구조(125)를 구성하는 각 점 형상 볼록부(125b)는, 각 LED(116)의 중심 C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병렬해서 배치됨과 함께,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치수 및 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직경 치수 및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점 형상 볼록부(125b) 사이의 배열 피치, 및 설치면(118d)에 있어서의 점 형상 볼록부(125b)의 분포 밀도(단위 면적당의 설치 개수)는,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높아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낮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설치면(1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 C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중심 C에 근접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으로 된다. 상기한 점 형상 볼록부(125b)의 면적, 배열 피치 및 분포 밀도는,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도록 설정되고, 설치면(118d)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도 마찬가지로 된다. 이에 의해, 제1 광 산란 구조(123) 및 광 반사부(124)와도 더불어, 광 출사면(118c)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118)은,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섀시 내에 복수매를 병렬 배치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이외에도 평면에서 보아 크기를 액정 패널 및 광학 부재와 동등하게 해서 섀시 내에 1매만을 배치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LED(116)는, 1개의 도광판(118)에 대하여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휘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에 분포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광 산란 구조를 이루는 환 형상 볼록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환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오목부)의 Z축 방향에 관한 치수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상관없다. 그 경우, 환 형상 볼록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의 기단부의 폭 치수도 아울러 변화시키도록 해도 되고, 기단부의 폭 치수에 대해서는 일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사 시트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에 분포를 갖게 함에 있어서도, 제2 광 산란 구조에 관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한 (1) 이외에도,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에 분포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제1 광 산란 구조를 이루는 환 형상 볼록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환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오목부)에 있어서의 배열 피치, 분포 밀도, 단면적, 표면적 등을 설치 위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화시키도록 하면 되고, 그러한 설계 방법에 의해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사 시트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에 분포를 갖게 함에 있어서도, 제2 광 산란 구조에 관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제1 광 산란 구조 및 제2 광 산란 구조를 이루는 환 형상 볼록부 또는 점 형상 볼록부(환 형상 오목부 또는 점 형상 오목부)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 형상 볼록부(환 형상 오목부)에 대해서, 단면 U자형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점 형상 볼록부(점 형상 오목부)에 대해서, 단면을 산형으로 하고, 또한 전체를 각추 형상(삼각추 형상, 사각추 형상 등)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4)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제1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의 분포에 대해서, 상기한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5, 6에서 설명한 「광 반사부에 의한 광 출사면의 광 반사율의 분포」와 마찬가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LED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차 변화하는 형태로 되도록 제1 광 산란 구조를 형성하거나, 혹은 광 입사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정도가, LED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연속적으로 점차 변화하는 형태로 되도록 제1 광 산란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사 시트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제2 광 산란 구조에 의한 광의 산란 정도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제1 광 산란 구조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으로서는, 수지 성형 이외에도, 예를 들어 실리카의 미세 분말을 광 입사면에 코팅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광 입사면에는, 광을 산란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면이 형성되게 되고, 그 조면에 의해 제1 광 산란 구조가 구성된다. 그 이외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광 입사면에 대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광 산란 구조로 되는 조면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광 산란 구조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형성 방법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6) 제1 광 산란 구조 및 제2 광 산란 구조를 점 형상 볼록부(점 형상 오목부)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반드시 점 형상 볼록부를 LED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점 형상 볼록부를 다른 병렬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점 형상 볼록부를 불규칙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7)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광 산란 구조가 광 입사면의 대략 전체 영역에, 제2 광 산란 구조가 설치면의 대략 전체 영역에, 광 반사부가 광 출사면의 대략 전체 영역에 각각 배치된 것을 나타냈지만, 제1 광 산란 구조, 제2 광 산란 구조 및 광 반사부에 대해서, 각 면 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배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8) 광 반사부를 구성하는 각 도트의 평면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둥근형 이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9) 광 반사부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으로서는, 인쇄 이외에도, 예를 들어 메탈 증착 등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 반사부가 광 출사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지만, 광 출사면에 대하여 광 반사부를 별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과는 별체의 투명한 시트의 표면에 대하여 광 반사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시트를 도광판에 있어서의 광 출사면 상에 적층 배치하도록 하면 된다. 그 경우, 광 반사부가 부착된 시트를 도광판에 대하여 접착제를 개재해서 부착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실어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1)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 반사부가 백색 또는 은색을 나타내는 것을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색을 나타내도록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2) 상기한 실시 형태 1에서는, LED 및 도광판(광원 유닛)이 섀시 내에서 2차원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1차원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LED 및 도광판이 연직 방향으로만 병렬 배치되는 것이나, LED 및 도광판이 수평 방향으로만 병렬 배치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3) 상기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도광판에 있어서의 LED의 설치 위치, 설치 개수 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14)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저굴절률층으로서 공기층을 이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저굴절률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을 도광판에 있어서의 각 간극에 개재 설치하도록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5)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R, G, B를 각각 단색 발광하는 3종류의 LED 칩을 내장한 LED를 사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청색 또는 보라색을 단색 발광하는 1종류의 LED 칩을 내장하고, 형광체에 의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타입의 LED를 사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6)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R, G, B를 각각 단색 발광하는 3종류의 LED 칩을 내장한 LED를 사용한 것을 나타했지만,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를 각각 단색 발광하는 3종류의 LED 칩을 내장한 LED를 사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7)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점 형상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한 것을 예시했지만, LED 이외의 점 형상 광원을 사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8)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점 형상 광원인 LED를 사용한 것을 예시했지만,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 등의 선 형상 광원을 사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경우, 1개의 선 형상 광원을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도광판의 각 광 입사면에 대하여 대향 배치하고, 복수의 도광판에 대하여 일괄하여 광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광 입사면에 형성하는 제1 광 산란 구조는, 선 형상 광원의 축선을 따른 선 형상을 이루는 돌조 또는 홈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 점은, 제2 광 산란 구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19) 상기한 각 실시 형태 및 상기(17), (18) 이외에도, 유기 EL 등의 면 형상 광원을 사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0) 상기한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광학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확산판의 매수나 광학 시트의 매수 및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광학 시트를 복수매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1)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 및 섀시가 그 단변 방향을 연직 방향과 일치시킨 세로 놓임 상태로 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액정 패널 및 섀시가 그 장변 방향을 연직 방향과 일치시킨 세로 놓임 상태로 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2)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스위칭 소자로서 TFT를 사용했지만, TFT 이외의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박막 다이오드(TFD))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며, 컬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도, 흑백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23)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소자로서 액정 패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했지만, 다른 종류의 표시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24)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예시했지만, 튜너를 구비하지 않는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0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11 : 액정 패널(표시 패널),
12 : 백라이트 장치(조명 장치),
16 : LED(광원)
18 : 도광판(도광체),
18a : LED 수용 오목부(광원 수용 오목부)
18b : 광 입사면
18c : 광 출사면
18d : 설치면
22 : 반사 시트
23 : 제1 광 산란 구조(광 산란 구조)
23a : 환 형상 볼록부
23b : 점 형상 볼록부
24 : 광 반사부
24a : 도트
25 : 제2 광 산란 구조(제2 광 산란 구조)
25a : 환 형상 볼록부
25b : 점 형상 볼록부
AR : 공기층(저굴절률층)
C : 중심
SA : 광원 중첩 영역
SN : 광원 비중첩 영역
TV : 텔레비전 수신 장치

Claims (38)

  1.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향하여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 및 상기 광 입사면에 평행하고 광을 출사시키는 광 출사면을 구비하는 도광체,
    상기 광 입사면에 배치되고, 광을 산란하도록 구성된 광 산란 구조, 및
    상기 광 출사면에 배치되고,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된 광 반사부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 구조는,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광 입사면 내에서의 광 산란 정도가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는 점 형상 광원이고,
    상기 광 산란 구조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 주위에 복수의 환 형상 오목부 및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환 형상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 주위에 서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 구조는 상기 광 입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둥근 형상을 갖는 복수의 둥근 오목부 및 복수의 둥근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는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의 면적이 증가하는, 조명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는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의 분포 밀도가 감소하는, 조명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는 점 형상 광원이고,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 상에 인쇄되어 있는,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 내의 광 반사율이 영역마다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 중 적어도 상기 광원과 중첩하는 광원 중첩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또한 상기 광 출사면 중 상기 광원과 중첩하지 않는 광원 비중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중첩 영역에서의 광 반사율이 상기 광원 비중첩 영역에서의 광 반사율보다 높은, 조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광 출사면 내에서의 광 반사율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고 광 반사성을 갖는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는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도트의 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는 상기 광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감소될수록 상기 도트의 분포 밀도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는 점 형상 광원이고,
    상기 도트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백색과 은색 중 어느 하나로 된 표면을 갖는, 조명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에서의 상기 광 출사면과는 반대측 면 상에 광을 상기 광 출사면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배치된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에서의 상기 반사 시트가 배치된 면에는 광을 산란하도록 구성된 제2 광 산란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산란 구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반사 시트가 배치된 면 내에서의 광 산란 정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는 점 형상 광원이고,
    상기 제2 광 산란 구조는 상기 점 형상 광원 주위에 복수의 환 형상 오목부 및 복수의 환 형상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오목부 또는 상기 환 형상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 주위에 서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산란 구조는 상기 반사 시트가 배치된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는 복수의 둥근 오목부 및 복수의 둥근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의 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의 분포 밀도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 출사면의 면 내에서 볼 때 점 형상을 갖는 점 형상 광원이고,
    상기 둥근 오목부 또는 상기 둥근 볼록부는 상기 점 형상 광원의 중심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광원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 수용 오목부는 상기 도광체에서의 상기 광 출사면의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 입사면은 상기 광원 수용 오목부의 내벽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광 출사면을 따르는 방향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광 출사면을 따르는 방향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들과 상기 광원들은 상기 광 출사면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체들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층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층은 공기층인, 조명 장치.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체에 대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조명 장치.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의 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한 쌍의 기판 간에 액정이 봉입된 액정 패널인, 표시 장치.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117023077A 2009-04-03 2009-12-21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Ceased KR20110134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1438 2009-04-03
JPJP-P-2009-091438 2009-04-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439A true KR20110134439A (ko) 2011-12-14

Family

ID=4282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077A Ceased KR20110134439A (ko) 2009-04-03 2009-12-21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13811A1 (ko)
JP (1) JP5179651B2 (ko)
KR (1) KR20110134439A (ko)
WO (1) WO201011336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5023A (zh) * 2011-12-26 2013-06-26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Led背光模组
KR101373600B1 (ko) * 2012-06-28 2014-03-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엘이디모듈결합체의 투광렌즈 및 이를 구비한 전광 교통표지판
KR20160045235A (ko) * 2014-10-16 2016-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US9638852B2 (en) 2013-05-28 201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int light source,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220097902A (ko) * 2019-11-13 2022-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213B1 (ko) * 2010-11-02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구
KR101692509B1 (ko) * 2010-11-02 2017-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5603B1 (ko) * 2010-12-14 2013-0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6057986B2 (ja) * 2011-05-13 2017-01-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可撓性照明アセンブリ
CN103562623B (zh) 2011-05-27 2017-12-29 奥林巴斯株式会社 光源装置
JP2013073103A (ja) * 2011-09-28 2013-04-22 Toshiba Corp 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導光装置
WO2013105258A1 (ja) * 2012-01-12 2013-07-18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446918B1 (ko) * 2012-03-08 2014-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JP5783949B2 (ja) * 2012-04-25 2015-09-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導光体、照明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33408B2 (en) * 2012-07-24 2017-08-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WO2014017347A1 (ja) * 2012-07-24 2014-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ITMI20121399A1 (it) * 2012-08-07 2014-02-08 Artemide Spa Lampada di illuminazione a led
WO2014108595A1 (en) 2013-01-11 2014-07-17 Multitouch Oy Diffusing of direct backlight for a display panel
KR20140146829A (ko) * 2013-06-18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6198120B2 (ja) * 2013-07-19 2017-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6550691B2 (ja) * 2013-07-30 2019-07-31 株式会社リコー 化合物半導体太陽電池
CN104317101A (zh) * 2014-11-03 2015-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N104360432B (zh) * 2014-12-04 2017-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其制备方法、背光模组
KR102309831B1 (ko) * 2015-03-23 2021-10-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명장치
WO2017086005A1 (ja) * 2015-11-19 2017-05-26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6932910B2 (ja) 2016-10-27 2021-09-08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TWI769235B (zh) * 2017-03-31 2022-07-01 日商Ctnb股份有限公司 配光控制元件
WO2018199011A1 (ja) 2017-04-26 2018-11-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
WO2019040686A1 (en) * 2017-08-24 2019-02-28 Corning Incorporated BACKLIGHT UNIT COMPRISING A GUIDE PLATE OF LIGHT
WO2019138722A1 (ja) 2018-01-12 2019-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9129066A (ja) * 2018-01-24 2019-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GB201807747D0 (en) 2018-05-13 2018-06-27 Optovate Ltd Colour micro-LED display apparatus
JP6680311B2 (ja) * 2018-06-04 2020-04-1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面発光光源
JP6801695B2 (ja) 2018-08-03 2020-12-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036060A (zh) * 2018-11-12 2020-10-01 美商康寧公司 包括圖案化反射器之背光、擴散板及製造背光之方法
CN111208670A (zh) * 2018-11-22 2020-05-29 瑞仪(广州)光电子器件有限公司 发光机构、背光模块及其显示设备
JP6753457B2 (ja) 2018-12-27 2020-09-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
JP6717421B1 (ja) * 2018-12-28 2020-07-0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
JP7275428B2 (ja) * 2019-03-08 2023-05-18 船井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10618477B (zh) * 2019-08-15 2021-06-15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镜片及镜头组件
KR20220058599A (ko) * 2019-09-05 2022-05-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반사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이 백라이트 제조 방법
US11561338B2 (en) 2019-09-30 2023-01-24 Nichia Corporation Light-emitting module
WO2021153561A1 (ja) * 2020-01-31 2021-08-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面状光源
JP6912746B1 (ja) * 2020-02-07 2021-08-0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面状光源
JP6912748B1 (ja) * 2020-02-07 2021-08-0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面状光源
JP7496408B2 (ja) * 2020-02-18 2024-06-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表示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製造装置
CN113534533B (zh) 2020-04-13 2025-05-06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面状光源及其制造方法
JP2021189374A (ja) * 2020-06-03 2021-12-13 恵和株式会社 光拡散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ドッ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7532746B2 (ja) * 2020-06-30 2024-08-1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7193744B2 (ja) * 2020-07-01 2022-12-2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
JP2022038780A (ja) * 2020-08-27 2022-03-10 恵和株式会社 光拡散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画像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単位ドッ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7545033B2 (ja) * 2020-09-07 2024-09-0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面状光源
JP7001945B2 (ja) * 2020-11-25 2022-01-2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692762B2 (ja) * 2021-08-19 2025-06-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
CN116105084A (zh) * 2021-11-09 2023-05-12 佛吉亚(中国)投资有限公司 超薄面光源结构及包括其的汽车内饰
CN115220261A (zh) 2022-06-09 2022-10-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模组
TWI864594B (zh) 2023-02-15 2024-12-01 光森科技有限公司 光源模組
CN117331256A (zh) * 2023-08-31 2024-01-02 江西盛泰精密光学有限公司 一种极窄发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3655U (en) * 2002-12-27 2004-09-11 Hon Hai Prec Ind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6850095B2 (en) * 2003-04-25 2005-02-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rojector optic assembly
JP4280283B2 (ja) * 2006-01-27 2009-06-17 株式会社オプトデザイン 面照明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面照明装置
KR101290584B1 (ko) * 2006-06-29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의확산판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5023A (zh) * 2011-12-26 2013-06-26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Led背光模组
KR101373600B1 (ko) * 2012-06-28 2014-03-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엘이디모듈결합체의 투광렌즈 및 이를 구비한 전광 교통표지판
US9638852B2 (en) 2013-05-28 201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int light source,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60045235A (ko) * 2014-10-16 2016-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20220097902A (ko) * 2019-11-13 2022-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2044923B2 (en) 2019-11-13 2024-07-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13361A1 (ja) 2012-10-04
WO2010113361A1 (ja) 2010-10-07
JP5179651B2 (ja) 2013-04-10
US20120013811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439A (ko)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US8506148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95718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021070B2 (ja) 発光素子、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EP2447767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backlight unit
EP2463706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33439B1 (ko) 도광체, 면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US9638956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379924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WO201107786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107438B2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EP3705934B1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892356B (zh) 背光单元和具有其的液晶显示器件
WO2009047891A9 (ja) 面光源素子アレイ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10292684A1 (en) Illumination device, surface illuminan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0001653A1 (ja) 導光体ユニット、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651887B1 (ko) 색편차를 개선하는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WO2010010742A1 (ja) 照明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7316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2503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1107441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10026903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6904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82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