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검출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기울거나 흔들면 모션 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트랙킹한다. 모션 센서(145)를 구성하는 부품에 따라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모션 센서(145)가 구비된다. 모션 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모션 센서(145)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d),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 현실 구현 방안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들 간의 위치 정보 및 맵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410), 상대 단말기(420), 위치 관리 서버(430) 및 맵 서버(44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41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 단말기(4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휴대 단말기(41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이며, 상대 단말기(42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휴대 단말기(410)에 통신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말기이다. 상대 단말기(420)는 위치 정보가 파악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4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기기이면 어떠한 전자 기기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통신 이벤트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 인스턴스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위치 관리 서버(430)는 단말기들(410, 4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위치 관리 서버(430)는 일정 시간 간격 또는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단말기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들의 요청이 있으면 다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맵 서버(440)는 휴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맵과 맵이 나타내는 지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맵 서버(440)는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한 맵 데이터베이스를 휴대 단말기에 다운로드시키거나,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맵은 특정 지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등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들은 다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다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한 맵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관리 서버(430)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에 직접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방법으로 다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 관리 서버(430)를 도입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510).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통화 연결을 위한 다이얼링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단말기 즉,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숫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된 후 통화키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한다.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다(S520).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530).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것과 별개로 위치 관리 서버(430)에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관리 서버(430)로부터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휴대 단말기는 상대 단말기에 직접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상대 단말기는 상대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기지국을 통해 상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기 때문에 상기한 기지국이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등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개략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제어부(180)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즉,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540). 맵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한 맵 데이터베이스가 맵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의 맵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맵을 검색하는 경우, 축척이 다른 복수 개의 맵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 및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 요청 중인지 판단한다(S55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기에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중계기 또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통화 연결의 요청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 요청 중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통화 연결 요청 중이면(S550-Y),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 요청 중임을 알리는 화면(이하 ‘통화 대기 화면’이라고 한다)에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S560). 기준 축척의 하나의 맵을 검색한 경우, 제어부(180)는 시간에 따라 상기 맵을 점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켜 통화 대기 화면에 상기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맵 중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크게 표시되도록 시간에 따라 상기 맵을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표시한다. 맵이 확대되어 표시됨에 따라 통화 대기 화면에 표시되는 맵이 나타내는 영역의 범위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맵 중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통화 대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맵을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준 축척을 갖는 하나의 맵을 시간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시켜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척이 다른 복수 개의 맵을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맵 중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통화가 연결되면(S570), 제어부(180)는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하 ‘통화 중 화면’이라고 한다)에 검색된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S580). 통화 중 화면에 맵을 표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시간 경과에 무관하게 일정 크기의 맵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 후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화 연결을 요청을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맵을 획득하고, 통화 연결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함께 통화 대기 화면에 맵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S610),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620). 상대 단말기는 본 휴대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위치 관리 서버(430)에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대 단말기 전화기 또는 PC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전화기의 전화 번호 또는 PC의 아이디 번호 등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제어부(180)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S630). 맵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한 맵 데이터베이스가 외부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의 맵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적어도 하나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맵을 검색하는 경우, 축척이 다른 복수 개의 맵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 및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연결 요청 중이면(S540-Y),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 중임을 알리는 화면(이하 ‘통화 수신 화면’이라고 한다)에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S650). 기준 축척의 하나의 맵을 검색한 경우, 제어부(180)는 시간에 따라 상기 맵을 점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켜 통화 수신 화면에 상기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맵 중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이 크게 표시되도록 시간에 따라 상기 맵을 확대시켜 표시한다. 맵이 확대되어 표시됨에 따라 통화 수신 화면에 표시되는 맵이 나타내는 영역의 범위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맵 중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 통화 수신 화면에 표시하고, 본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표시될 때까지 상기 맵을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준 축척을 갖는 하나의 맵을 시간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시켜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척이 다른 복수 개의 맵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맵 중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통화가 연결되면(S660), 제어부(180)는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하 ‘통화 중 화면’이라고 한다)에 검색된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S670). 통화 중 화면에 맵을 표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시간 경과에 무관하게 일정 크기의 맵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 화면 및 통화 중 화면을 맵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 입력창(710)을 통해, 사용자는 통신 이벤트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720)를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위치 관리 서버(430)로 전송하면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위치 관리 서버(430)로부터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맵을 검색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맵을 검색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기본 축척인 지구본 맵(740)을 독출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본 맵(740)을 회전(742)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부(180)는 맵을 검색하고 있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이하 ‘맵 검색 인디케이터’라고 한다.)를 통화 대기 화면(73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 맵이 검색되면, 지구본 맵(740) 중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한 지역이 통화 대기 화면(730)에 표시될 때 지구본 맵(7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지구본 맵(750) 중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 즉,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752)에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임을 알리는 제1 인디케이터(754)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752)를 중심으로 지구본 맵을 점진적으로 확대시킨다. 도 7c는 다소 확대된 지구본 맵(752)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계속하여, 제어부(180)는 시간에 따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752)이 기설정된 크기로 표시되도록 상기 지구본 맵(740)을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표시한다. 지구본 맵이 어느 정도 확대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대기 화면에는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맵(760)이 표시된다.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맵(760)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762)이 중앙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 또는 인접 영역에 제1 인디케이터(764)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e는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된 맵(770)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된 맵(770)에도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772) 및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 또는 인접 영역에 제1 인디케이터(774)가 표시된다. 맵이 확대됨에 따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도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통화 중 화면(780)에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된 맵(770)을 표시한다. 맵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통화 대기 화면(730)을 통화 중 화면(780)으로 변경시킨다 하더라도 맵을 계속하여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기설정된 크기의 맵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기설정된 크기의 맵을 표시할 수도 있다.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도중, 통화 대기 화면에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통화 대기 화면상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한 맵을 다이나믹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화면 보는 즐거움을 제공하여 준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 화면 및 통화 중 화면을 맵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어부(180)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본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상대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검색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대기 화면(810)에 상기 맵 중 본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822)이 표시된 맵의 일부 즉, 제1 맵(820)을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826)이 통화 대기 화면(810)에 표시될 때까지 맵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면서 축소된 맵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도 8b는 맵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과정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c는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842)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846)이 포함된 맵(840)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842)에 인접한 영역에 휴대 단말기가 있음을 알리는 제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대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846)과 인접한 영역에 상대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임을 알리는 제2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통화 중 화면(850)에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842) 및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846)이 포함된 맵(840)을 표시한다. 맵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과정에서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통화 대기 화면을 통화 중 화면으로 변경시킨다 하더라도 표시된 맵을 계속하여 점진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이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과정을 생략하고,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포함된 맵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맵을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표시하는 과정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맵 표시 영역의 중앙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간의 중앙이 맵 표시 영역의 중앙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는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이 표시되도록 맵을 축소시켜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먼저 표시하고,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가 표시되도록 맵을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 화면 및 통화 중 화면을 맵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제어부(180)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본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상대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검색한다. 그리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대기 화면(910)에 본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922) 및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924)이 포함된 맵을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922)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924)으로의 이동 경로(930)를 트랙킹하는 과정을 상기 맵에 표시한다. 도 9b는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의 이동경로를 트래킹하는 과정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c는 트랙킹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통화 중 화면(950)에 이동 경로(940)의 트랙킹이 완료되는 맵(920)을 표시한다. 이동 경로를 트랙킹하는 과정에서 상대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통화 대기 화면을 통화 중 화면으로 변경시킨다 하더라도 맵 표시 영역에 트랙킹 과정을 연속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이후 트랙킹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이동 경로는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간의 최단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이동 경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이동 경로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경로, 자동차를 이용한 이동 경로, 쾌적지수가 높은 이동 경로 등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의 이동 경로를 트랙킹하는 과정을 상기 맵에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으로의 이동 경로를 트랙킹하는 과정을 맵에 표시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대 단말기로부터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어부(180)는 통화 수신 화면에 맵을 표시할 수 있다. 맵 표시 방법의 설명의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대기 화면(또는 통화 수신 화면) 및 통화 중 화면에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 표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스턴트 메시지, 멀티 미디어 메시지 또는 이메일과 같은 다른 통신 이벤트를 송수신할 때에도, 통신 이벤트의 송수신에 대한 대기 화면 또는 실행 화면에, 상기한 통신 이벤트를 송신할 상대 단말기 또는 통신 이벤트를 전송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맵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통신 이벤트의 송수신에 대한 대기 화면이 없거나 대기 화면의 표시 시간이 짧은 경우, 통신 이벤트의 실행 화면에 맵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의 송수신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한 맵을 휴대 단말기의 다른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을 이용한 통화 기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기록 화면(1010)에는 부재중 또는 통화된 상대 단말기의 리스트(1020)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특정 단말기를 선택하여 특정 단말기의 통화 기록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정보 표시 화면(1030)에 특정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한 맵(1040)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단말에 대한 통화 기록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기록시의 특정 단말기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맵 표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기 통화 기록에 대한 상세 정보에 맵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 통화 기록과 함께 맵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맵을 통화 대기 화면 및 통화 중 화면에만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이벤트 송수신시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맵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이벤트 송수신시 획득된 상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수신 거부 대상인 통신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