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008A - Vertical-axis-type fluid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loa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 Google Patents
Vertical-axis-type fluid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loa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4008A KR20110134008A KR1020100053741A KR20100053741A KR20110134008A KR 20110134008 A KR20110134008 A KR 20110134008A KR 1020100053741 A KR1020100053741 A KR 1020100053741A KR 20100053741 A KR20100053741 A KR 20100053741A KR 20110134008 A KR20110134008 A KR 20110134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main body
- turbine
- generator
- moo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100040287 GTP cyclohydrolase 1 feedback regulatory prote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710185324 GTP cyclohydrolase 1 feedback regulatory prote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33 fiber-reinforced compos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53 protective coatin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1
- -1 sea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6—Bearing arrangements
- F03B11/063—Arrangements for balancing axial thrust
- F03B11/066—Arrangements for balancing axial thrust in vertical axis mach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4—Rotors having adjustable blades
- F03B3/145—Mechanisms for adjusting the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8—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water energy converters, e.g. a water turb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n airbourne struc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2—Storage of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또는 공중의 바람과 해류 및 조수, 하천유수 등의 유체운동에너지를 전기 발전에 이용하기 위한 수직축의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展裝置)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흐름 방향이 일정치 않은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대하여, 그 흐름의 방향이 바뀌게 되더라도 수상과 해상, 공중에 설치되는 유체력 발전장치의 몸체 구조와 방향타는 상시 머리부가 유체의 운동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본 장치에 장착되는 수직축 터빈은, 유체력을 받는 부분만 노출되고, 유체력의 저항을 받게 되는 나머지 날개부분은 본 유체력발전장치의 내부로 은폐되어 역방향에서 발생하는 저항에너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항시 본체(本體)에 설치된 수직축터빈의 날개가 회전에 필요한 운동 에너지를 일 방향으로 받을 수 있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수직축의 유체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force hydrodynam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for utilizing kinetic energy such as wind, currents, tides, and river runoff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of the static fluid,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flow changes, the body structure and the rudder of the hydrodynamic generator installed in the water, sea, and air always rotat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fluid movement. The vertical shaft turbine installed in the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portion receiving the hydrodynamic force is exposed and the remaining wing portion subject to the resistance of the hydrodynamic force is concealed into the inside of the hydropower generator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resistive energy gen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the wing of the vertical shaft turbine installed at the main body can receive the kinetic energy necessary for rotation in one direction. It is to provide a fluid power generator of the vertical axis that can be generat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상 또는 공중의 바람과 해류 및 조수, 하천유수 등의 유체 운동에너지를 전기 발전에 이용하기 위한 수직축의 유체력 발전장치 및 그 부양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흐름의 방향이 일정치 않은 바람 및 물 등의 유체 이동에너지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이 바뀌게 되더라도 해상 및 공중에 장치하는 부양체(浮揚體)는 각 해당 환경에 적합한 부재와 몸체구조로써 상기 부양체의 하부에 설치된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와 연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force fluid-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its support for using the fluid kinetic energy, such as wind or ocean currents and tides, river runoff, etc.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direction of flow is one With respect to fluid movement energy such as wind and water, which are not fixed, the floats installed in the sea and in the air, even if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ats by a member and body structure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physical power generator.
또한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의 방향타와 몸체 구조는 머리부가 유체의 운동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 장치에 장착되는 수직축 터빈의 유체력을 받는 부분만 노출되고, 유체력의 저항을 받게 되는 나머지 날개부분은 본 유체력 발전장치의 내부로 은폐되어 역방향의 저항 에너지를 피하게 되므로 본체(本體)에 설치된 수직축터빈의 날개가 회전에 필요한 운동 에너지를 항시 일 방향으로 받을 수 있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수직축의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udder and the body structure of the fluid force generating device is the head portion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only the portion receiving the fluid force of the vertical shaft turbine mounted to the device is exposed to the resistance of the fluid force Since the rest of the wing is concealed inside the fluid power generator to avoid the resistance energy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wing of the vertical shaft turbine installed in the main body can receive the kinetic energy necessary for rotation at all times in one direction. It relates to a fluid force generator device of the vertical axis that can be.
기존의 화석 에너지 자원은 점차 고갈 되어 갈 뿐 아니라 온실 가스 감축 등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한 국제 환경 협약과 탄소 배출권 등의 환경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가운데 유래 없는 고유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인류는 고갈 되지 않고 환경을 오염 시키지 않는 청정 대체 에너지 이용 장치 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청정 대체 에너지는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조류에너지, 지열에너지, 생화학에너지 등등이 있다.Existing fossil energy resources are gradually being depleted,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carbon emission right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greenhouse gas reduction are being implemented in earnest.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clean alternative energy utilization devices that do not contaminate the environment. Such clean alternative energy includes solar energy, wind energy, algae energy, geothermal energy, biochemical energy and so on.
한편, 상기 물이나 바람의 이동에너지를 바탕으로 전기 발전을 행하는 대표적 수단으로써, 우선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는 수력발전소와 해양의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는 조력발전소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수력발전소와 조력발전소는 건설에 따른 막대한 비용과 댐 건설 후 광범위한 지역의 수몰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는 물론 심한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기후 까지도 변화 시키는 2차적인 환경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s a representative means for perform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mobile energy of the water or wind, there is a tidal power plant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hydroelectric power plant using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and the tidal water of the ocean. However, the conventional hydroelectric and tidal power plants are causing secondary environmental problems that change not only the enormous cost of construction and the ecosystem change due to the submersion of a wide area after the dam construction, but also the climate of the region in severe cases. .
그리고 지구 표면적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무궁한 대체 에너지의 보고라고 할 수 있고,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풍부한 해양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세계적으로 조 수 간만의 차 가 큰 서해안 지역의 조류를 이용하는 발전과 항시 지속적 흐름을 유지하는 해류를 이용하는 발전은 날씨의 변화와 상관없이 계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The sea, which occupies 70% of the earth's surface area, is a treasure trove of endless energy. Korea, which has three sides, has abundant marine energy resources, among which the tide of the west coast, where tides are high in the world. The power generation that uses it and the current that keeps the flow flowing at all times can be continuously developed regardless of the change of weather.
또한, 풍력발전은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써, 일반적인 풍력발전장치에서 지면에 대한 로터의 회전축 방향에 따라 수평축과 수직축 방식으로 구분되는바, 국토의 70%이상이 산으로 형성된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은 항 시 바람의 방향이 일정치 않으므로 수직축의 발전장치가 유리하며, 특히 공중에는 무한한 바람의 에너지가 존재하며 높은 고도에서는 일정한 풍속과 빈도 높은 양질의 바람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ind power generation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wind into electrical energy, which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metho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or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the general wind power generator, more than 70% of the country is formed with mountains In Korea's natural environment, the direction of wind is not constant at all times, so the vertical power generation system is advantageous. In particular, there is infinite wind energy in the air, and at high altitudes, constant wind speed and high quality wind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 한 것으로 지상 또는 공중의 바람과 해류 및 조류, 하천 유수 등의 유체 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 시키고 상기 터빈의 회전력으로 전기 에너지를 얻는 발전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흐름의 방향이 일정치 않은 바람 및 물 등의 이동에너지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이 바뀌게 되더라도 항시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시 발전이 가능하며, 또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 자연환경의 훼손이 따르는 수, 조력발전소 및 댐 건설이 필요치 않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형성된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수직축 방식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obtain the electrical energy by rotating the turbine by using the fluid movement energy, such as wind and sea currents and tidal currents, stream flow of the ground or air In constituting the power generation device, for moving energy such as wind and water in which the flow direction is not constant, it is always install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even if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power at all times, and also enormous cost and time,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water, tidal power plants and dams caused by the dam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vertical axis type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hydraulic power and wind power, which are formed only by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신청된 [특허출원 제10-2010-0020230호. 명칭: 유체 흐름의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유수력발전장치]에서 야기되는 일부의 개선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 출원 발명에 연속되는 개량발명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0230. Name: A method for actively solving some of the improvements caused by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luid flow.
우선 해상에 설치되는 수직축의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는; 타원형의 선체(船體) 구조를 갖춘 해상의 부양체(浮揚體)와, 상기 부양체의 아랫면에 형 성되는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와, 상기 본체(本體)를 계류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해저면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과;First of all, the vertical force hydrodynamic generator installed in the sea is provided; A marine floating body having an oval hull structure, a main body of a fluid power generato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main body A mooring cable) and a fixing member of the sea bottom connected to the cable;
상기 유선형의 부양체(浮揚體)는 하부(下部)가 상기 본체(本體)의 중앙에 위치한 좌, 우 터빈실의 윗면에 정원형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좌, 우 터빈실 윗면부와 연결된 상기 부양체는 아랫면이 좁은 정 원형이고 상부(上部)로 올라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뚜껑부와 연결되는 타원형의 구조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eamlined flotation body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forming a bottom surface of a garden shape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turbine chambers, the lower part of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support bod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ine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narrow regular circular and wider as the upper portion (upper part) is wider and has an ov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lid portion.
상기 부양체(浮揚體)의 상부(上部)는 상시 수면(水面)위로 노출되며, 상기 부양체의 정 원형을 이룬 하부(下部)에 연결된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터빈실 윗면과, 그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터빈 회전축과 상기 부양체의 내부에 설치된 발전모듈과 연계되는 것과, 발전된 전기는 다시 상기 부양체에 내장된 충전부재 및 송전부재와 연계되는 것과;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body is alway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ine chamber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ody. And a turbine rotating shaft protrud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ower gener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body,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again connected to a charging member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embedded in the support body;
상기 부양체의 수면위로 노출되는 상부의 윗면은 개폐가 가능한 뚜껑이 형성되어 물이 부양체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is formed to open and close a lid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upport body;
상기 본체(本體)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머리부(舷頭)가 삼각형의 꼭지점 형태를 가진 수직면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좌, 우로 수직하여 후단(後段)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입체 삼각형 구조의 전단부(全段部)와, 상기 전단부가 끝나는 모서리각의 지점부터 후단방향으로 터빈의 회전중심축이 장착되는 지점까지 일직선으로 내려오며, 상기 터빈회전중심축의 지점부터 후미(後尾)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본체 기초프레임과;The frame forming the skeleton of the main body has a three-dimensional triangular structure in which the head is vertically left and right centered on a corner of a vertical plane having a triangular vertex shape, and is widened toward the rear end. It descends in a straight line from the point of the front end and the corner angle where the front end ends to the point wher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urbine is moun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and the width i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point of the turbine center of rotation to the rear. A narrowing main body frame;
상기 본체(本體)의 전단부(前段部)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유체이동통로와, 상기 유체이동통로의 양쪽 면에 전단부의 삼각구조를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단(前段)탱크는 각 유체이동통로의 칸막이 기능 및 본체(本體)전단부(前段部)의 유체유입유도면(流體流入誘導面)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luid movement passages formed in a plurality of front end portions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front end tanks formed along a triangular structure of the front end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vement passage, respectively. And a partition function and a fluid inflow guid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본체(本體)에 구비되는 탱크로써, 물체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의 전단(前段)탱크와 전단부의 하단(下段)에 형성된 전하단(前下段)탱크 및 터빈실 하단에 형성되는 터빈하단탱크와;A tank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front end tank configured to allow the inflow and discharge of objects, and the charge end tank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and the turbin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urbine chamber. A bottom tank;
상기 본체(本體) 전단(前段)의 좌, 우로 형성된 유체유입유도면(流體流入誘導面)이 끝나는 지점부터 후단(後段)의 유체유출유도면(流體流出誘導面) 시작지점까지 좌, 우의 양쪽으로 터빈실이 형성되고, 상기 터빈실에 장착되는 좌, 우측의 수직축터빈은 일반적인 임펠러형 터빈 또는 상기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신청한 [특허출원 제10-2010-0020230호]에 제안된 '부력터빈' 및 '가변이동블레이드장착 부력터빈'을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좌, 우 각 터빈의 상부 회전축이 상기 부양체의 내부에 설치된 발전모듈과 연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end of the fluid inflow guide plan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to the start of the fluid outflow guide plane at the rear end. The turbine chamber is formed, and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haft turbines to be mounted in the turbine chamber are prop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0230] filed in advance by a general impeller-type turbine or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turbine' and 'variable movable blade mounted buoyancy turbine'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nd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of the left and right turbin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a power gener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flotation body.
상기 터빈실의 후단(後設)부터 후미(後尾)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후단부의 수직으로 형성된 유체유출유도면(流體流出誘導面)과, 상기 유체유출유도면의 내면에 삼각구조로 형성된 후단 탱크는 내부의 일정 공간을 통하여 물체의 유입과 배출로써 본체(本體) 후단의 무게중심 조절 및 부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부양체의 전, 후 단면과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 (本體) 하 단면에 수직 결합되어 머리부터 꼬리까지 가로방향 연장되어 구비된 방향타는 금속의 판막 형태로 형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uid outflow guide surface formed vertically in the rear end portion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rear end to the rear end of the turbine chamber, and a rear end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uid outflow guide surface. The tank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buoyancy control by introducing and discharging the object through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lso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s of the flotation body and the fluid power generator. The rudder,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body and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head to the tail,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valve.
또한, 일정높이의 공중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양질의 풍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써, 내부에 헬륨가스가 주입된 부양기구(浮揚氣球)의 하부에 개량된 상기 유체력발전장치의 본체를 장착하고, 지상에 구비된 계류장치와 연계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공중부양식 유체력 발전장치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obtaining a high-quality wind generated at a high frequency in the air of a certain height, the main body of the improved hydro-power generator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lotation mechanism in which helium gas is injected, It is characterized by an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that produces the necessary power in conjunction with a mooring device provided on the ground.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나타나는 수면이나 공중에 일정한 부양체(浮揚體)가 구비된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를 설치한다. 또한 유체의 흐름방향이 바뀌게 되더라도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에 구비된 방향타와 몸체 구조는 머리부가 유체이동의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에 설치된 수직축 터빈의 날개가 회전에 필요한 유체운동 에너지를 항시 일 방향으로 받을 수 있는 구조로써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uid force generato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r in the air where a fluid flows quickly. Further, even if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is changed, the rudder and the body structur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have a head tha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fluid movement so that the fluid force generator The wing of the vertical turbine installed in the structure can receive the kinetic energy required to rotate at all times in one direction, and thus it can continuously develop.
상기 수직축의 터빈은 유체력을 흡수, 회전하는 부분만 노출되고, 유체력의 저항을 받게 되는 나머지 날개부분은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내부에 은장(隱藏)되어 역방향의 저항 에너지를 피하게 된다.The turbine of the vertical axis is exposed only to the portion that absorbs and rotates the fluid force, and the remaining wing portion subjected to the resistance of the fluid force is hidden inside the fluid force generator to reverse the resistance. Energy is avoided.
또한, 터빈의 고정날개 바깥 면에 힌지로 결합된 가변이동블레이드는 유체흐름에 따라 가변이동 되므로, 상기 본체(本體)의 전단부(前段部)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체이동통로로 유입되는 유체력으로 가변이동블레이드가 바깥면으로 젖혀지며 터 빈실의 외부로 회전 유출되며, 상기 본체(本體) 전단부(前段部)의 유체유입유도면(流體流入誘導面) 및 본체의 외부에 흐르는 보다 많은 유체 흐름의 에너지를 받아들여 터빈의 회전에 힘이 가중 되며 회전 이동되고, 다시 터빈하우징 내부로 진입한 가변이동 블레이드는 터빈실 내부의 음압에 의하여 원위치로 접혀지며 역방향의 저항에너지를 최소화 하여 회전되는 구조로써, 유체 운동 에너지를 이용한 고효율 고출력의 전기발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moving blades hin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lade of the turbine is variable mov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as the fluid force flows into a plurality of fluid moving passage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The variable movable blade is turned to the outside and rotated out of the turbine chamber, and the fluid inflow guide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more fluid flow flow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variable moving blade, which receives the energy of and increases the force of the turbine's rotation and rotates again, enters the turbine housing again and is fold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turbine chamb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high-efficiency high power electric power generation using fluid kinetic energy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한 유체 흐름의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유체력 발전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pecific embodiments of a fluid force generator that rotates and moves along a direction of a fluid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이며, 해상에 설치되는 수직축 유체력 발전장치(100)(流體力發電裝置)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representa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rtical shaft fluid power generator 100 installed at sea.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유선형의 선체(船體) 구조를 이룬 해상의 부양체(浮揚體)(300)는 상시 폭넓은 타원형의 상부가 해수면위로 노출되며, 폭이 좁은 정원형의 하부는 수면과 맞닿아 부력을 유지하고,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100)의 본체(本體)(200) 또한, 상기 본체(200)에 구비된 전단탱크(220)와 후단탱크(270), 전하단탱크(225), 그리고 좌, 우 터빈하단탱크(245)에 의하여 기초부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시 수면 아래 위치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부양체(300)는 개폐가 가능한 유선형의 지붕을 구비하여 해상에서 파도 및 비에 의한 물의 진입을 차단하고, 상기 부양체(300)의 유선형 지붕에 설치된 개구부(310)는 관리 인력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상기 부양체(浮揚體)(300)는 수면아래 위치한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 본체(200)(本體)의 터빈실 윗면에 사발을 올려놓은 형상으로 연결된다.The
즉, 상기 해상의 부양체(300) 및 상기 부양체(300)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100)와, 해저 면에 고정된 계류구조물(10)은 계류케이블(20)로써, 연결되어 유체흐름의 방향에 따라 회전이동하며, 유체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수직축 방식의 상기 유체력발전장치(100)에 대한 전반적인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That is, the
그리고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前) 단면도로써, 상기 부양체(300)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의 본체(本體)(200)는 해저 면에 고정시킨 계류구조물(10)과 케이블(20)로 연결 계류되는바, 상기 계류구조물(10)과 상기 본체(200)를 연결하는 상기 계류케이블(20)의 중간에 수심에 따라 한 개 이상의 계류케이블회전지지장치(30)를 설치할 수 있다.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의 계류케이블회전지지장치(30)는 둘로 나누어진 원통형의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스러스트 베어링(36,37)이 구비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36,37)에 반원형태의 머리를 갖춘 회전축(35)이 장착되어 서로 머리를 맞대 고 있는 형태로써, 둘로 나누어진 상기 하우징(32)이 볼트 및 너트의 결합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다.The mooring cab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100)(流體力發電裝置)의 전면사시도에 해당하며, 상기 부양체(300)는 개폐가 가능한 유선형의 지붕을 구비하여 해상에서 파도 및 비에 의한 물의 진입을 차단하고, 상기 부양체(300)의 유선형 지붕에 설치된 부양체출입부(310)는 관리 인력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100)의 상측면사시도이며, 상기 본체(200)의 선미(290)(船尾)에 세로방향 직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200) 후단의 하단 외면 중앙에 수직의 가로로 연장 결합된 주 방향타(285)는 조석으로 변화하는 조류의 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200)의 머리부가 물살과 대향 방향으로 즉시 회전하도록 조향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유체유출유도면(280) 후단에 수평 결합된 수평날개(286)는 조향 기능의 구조를 가진 상기 선미(290) 및 주 방향타(285)와 함께 상기 본체(200)의 수평유지 및 조향을 공조한다.4 is a top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stern 290 (船尾)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100)를 밑에서 올려다보는 하측면 사시도로써, 상기 본체(200)(本體)의 전단부(前段部)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유체이동통로(230)와, 상기 유체이동통로(230)의 양쪽 면에 전단부의 삼각구조를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단(前段)탱크(220)와, 전단부의 하단(下段)에 형성된 전하단(前下段)탱크(225) 및 좌, 우의 각 터빈실(240) 하단에 형성되는 좌, 우측 터빈하단탱크(245)와, 상기 전하단 탱크(225) 뒷면의 본체(200)(本體)삼각지점에 형성된 해저의 계류케이블(20)과 연결되는 본체계류회전장치(26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 며, 상기 유체유출유도면(280) 후단에 수평 결합된 수평날개(286)와, 상기 선미(290)부터 수직 결합되어 상기 본체(200)후단의 하단 외면 중앙에 수직의 가로로 연장 결합된 주 방향타(285)를 투시도로써 표시하고 있다.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and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본체계류회전장치(260)는 상기 본체(200) 아랫면의 무게중심 및 계류중심이 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하단 탱크(225)와 상기 터빈하단탱크가(245) 교차하는 상기 본체(本體)밑면의 삼각지점에 일정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 위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The main stream current
그리고 상기 본체계류회전장치(260)는 상기의 유체력 발전장치(100)가 유체의 흐름에 따라서 회전이동 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회전 장애를 최소화하며 보다 신속한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고안된 장치로써, 윗면이 막히고 아랫면이 개봉된 원통형의 하우징(262) 내부에 십자형 회전축(265)의 회전원판을 상, 하면에 구비된 스러스트베아링(266,267)이 위, 아래에서 구속하며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축(265)의 축 하부는 상기 계류케이블(20)과 힌지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계류회전장치(260)는 원통하우징(262)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수중에서 상기 스러스트베어링(266,267)에 물의 접근이 차단될 수 있다.And the system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100)의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을 참조 하여보면, 상기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의 본체(本體)(200)는 현두부(210)가 상시 유체 흐름의 방향과 맞대응하는 방향을 따라서 회전, 위치하는 몸체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본체 중앙부의 터빈실(240) 윗면에 사발을 올려놓은 형상으로 연결된 상기 부양체(300)의 정 원형 밑변은, 유 체력에 의한 상기 본체(200)의 회전에 따라서 저항을 최소화하며 상기 본체(2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조되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의 본체(200) 현두부(舷頭部)(210)에서 갈라진 물살의 일부는 본체 전단부(前段部)에 다수개로 형성된 유체이동통로(230)에 유입되며 다시 전단후부에 구비된 한 개의 유체력집중통로(235)를 따라서 터빈실(240)의 외각으로 유출되며, 이때 터빈(250)의 블레이드(252,258)를 밀어내게 된다.A part of the water splitting from the
또한 상기 본체 현두부(舷頭部)(210)에서 갈라진 물살 중에서 상기 유체이동통로(230)로 유입되지 않은 나머지 물살은 상기 본체(200) 전단부에 형성된 전단탱크(220) 외부의 면을 따라서 상기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축 부력터빈(250)의 고정부력브레이드(252)와 가변이동브레이드(258)를 밀어내며 유출된다.In addition, the remaining water that does not flow into the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의 부양체(300)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전단면투시도로서, 상기 부양체(3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본체(200) 좌, 우의 터빈(250)과 연계된 기어박스(320) 및 발전모듈(330)과 충전모듈(340), 송전부재(350) 등을 도시하는바, 유체흐름에 의해 본체(200)의 터빈(250)이 회전하고, 회전된 동력을 상기 부양체(200)에 구비된 기어박스(320)를 통하여 발전기(330)에 전달하며, 이렇게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충전모듈(340)을 통하여 저장 및 송전 할 수 있다.Next, FIG. 7 is a front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 본체(200)의 측면사시도 로써, 상기 본체(本體)(200)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머리부(舷頭)(210)가 삼각형의 꼭지 점 형태를 가진 수직면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좌, 우로 수직하여 후단(後 段)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입체 삼각형 구조의 전단부(全段部)와, 상기 전단부가 끝나는 모서리각의 지점부터 후단방향으로 터빈(250)의 회전중심축(255)이 장착되는 지점까지 일직선으로 내려오며, 상기 터빈(250)의 회전중심축(255) 지점부터 선미(290)(船尾)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초프레임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200)를 도시한다.8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도 9는 상기 도 8의 투시도로써, 상기 유체력발전장치의 본체(本體)(200) 전단부에 배열된 전단탱크(220)와 유체이동통로(230),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터빈실(240)에 장착된 좌, 우 터빈(250) 및 내부에 유공배플판(272,273)이 설치된 후단탱크(270)를 도시하고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8, wherein the
또한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전단탱크(220)와 후단탱크(270), 전단부의 하단(下段)에 형성된 전하단(前下段)탱크(225) 및 터빈실(240) 하단에 형성되는 터빈하단탱크(245)는 물체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한 입, 배출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의 발전환경에 적합한 전체부력 및 부분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첨부된 도 10과 도 11,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100)의 본체(本體)(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며, 우선 도 10에서 상기 본체(200)의 전반적인 구성으로써, 본체(200) 전단부의 전단탱크(220)와 유체이동통로(230)의 배열상태를 살펴볼 수 있고, 상기 본체(200)의 좌, 우 터빈실(240)에 설치된 가변이동블레이드(258)장착 부력터빈(250)의 설치상태와 상기 본체(200)의 유체유출유도면(280) 후단에 수평 결합된 수평날개(286)를 도시한다.10, 11, and 12 are planar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한편, 도 11은 상기 유체력발전장치의 본체(本體)(200) 터빈실(240)에 설치되는 상기 가변이동블레이드(258)가 장착된 수직축부력터빈(250)의 구조 및 제작공식을 임의의 수치를 통하여 설명한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100)의 본체(本體)(200) 좌, 우 터빈실(240)에 설치된 상기 가변이동블레이드(258)장착 부력터빈(250)의 유체력에 의한 작동의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터빈(250)의 가변이동블레이드(258)가 상기 본체(200)의 터빈실(240) 내에서는 터빈실(240)내의 음압에 의하여 전면으로 접혀지며 터빈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터빈의 자체회전에 의해 터빈실(240) 외부로 노출되면서 유체 흐름에 따라 펼쳐지므로 유체의 흐름에너지를 보다 많이 받게 되어 상기 터빈(250)의 회전력을 가중시킨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shows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formula of the vertical
또한, 유체이동에너지가 상기 본체(本體)(200)의 전단부에 형성된 유체이동통로(235) 및 좌, 우 유체유입유도면(230)을 통과하면서, 본체(200)의 좌, 우 터빈실내로 은폐되는 상기 터빈의 블레이드(252,258)에는 상기 유체이동에너지의 접근이 원천차단 되고, 오직 터빈(250)의 자체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빈실(245)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빈(250)의 블레이드(252,258)에만 유체이동에너지가 전달되므로 상기한 수직축의 좌, 우 터빈(250)이 항시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In addition, while the fluid movement energy passes through the
상기 수직축터빈(250)의 회전축(255)의 회전력을 소정 기어조합 및 축이음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320) 및 발전기모듈(3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과,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소정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부양체(300)내에 설치된 기어박스(320) 및 발전모듈(330)에 동력을 전달하여 전기발전을 개시한 다.Rota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earbox 320 and the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전단면도에 해당하고, 도 14는 상기 유체력발전장치(100)의 본체(200) 터빈실(240)에 설치되는 상기 가변이동블레이드(258)가 장착된 부력터빈(250)의 전반적인 구성을 투시하여 설명한 사시도를 도시한다.1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the variable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공중에는 무한한 바람의 에너지가 존재하며 특히 일정높이의 고도에서는 일정한 풍속과 빈도 높은 양질의 풍력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공중에 설치되는 수직축의 공중부양식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0)의 우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Next,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re is infinite wind energy in the air, and in particular, at a certain height, a constant wind speed and a high frequency of high quality wind can be obtained. More specifically, there is shown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floating air force fluid power generator 1000 installed in the air.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0)는 유선형의 풍선형태를 갖춘 부양기구(浮揚氣球)(900)와, 상기 부양기구(900)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800)와, 지상에 고정시킨 계류장치(700)와 계류케이블(720)로 연결되는 특징으로 이루어진다.The airborne hydrodynamic generator 1000 includes a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800) 윗면에 설치되는 부양기구(900)의 내부 및 상기 본체(800) 전, 후단에 형성된 탱크의 내부에 헬륨가스를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800) 중단부의 상측과 하측에 복층구조의 터빈실(840-u,840-d)이 형성되며, 상기 복층구조의 터빈실(840-u,840-d)에 상, 하측의 터빈(850-u,850-d)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 하측 터빈실(840-u,840-d)의 풍력이 입사되는 반대편의 외주면에 유체유입방지막(845-u, 845-d)이 설치되어, 풍력이 입사되는 반대편으로 유입되는 유체 역저항 에너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방지막(845-u, 845-d)은 상기 상, 하측 터빈실(840-u,840-d) 전체 외주면의 약30% 부분을 차지한다.Inside the
그리고 상기 본체(800)아랫면의 무게중심 및 계류중심이 되는 위치에 본체 계류연결부(865)를 설치하여, 상기 본체 계류연결부(865)와 상기 계류케이블(720)의 일 단면이 연결되고, 상기 계류케이블(720)의 나머지 일 단면이 지상의 상기 계류장치(700)의 계류케이블드럼(710)과 연결되어, 지상에서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0)의 풍향에 의한 회전 및 고도를 제어할 수 있다.And the main body
도 16은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流體力發電裝置)의 본체(本體)(800) 전면사시도를 도시하며, 상기 본체(800) 전단부 좌, 우의 유체유입유도면(830)과 상, 하 터빈실(840-u,840-d)의 유체유입방지막(845-u,845-d)에 형성된 유체이동유도판(835-u,835-d)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800)로 입사되는 유체의 집중 유도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또한, 도 17은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流體力發電裝置) 본체(本體)(800)의 좌 측면도이고, 도 18은 상기 본체(本體)(800)의 우 측면도에 해당한다.FIG. 17 is a left side view of the airborne hydrodynamic generator 1000, and FIG.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이들 도면에서 나타난 것처럼 상기 본체(800)의 현두(舷頭)(810)부와 선미(船尾)(890)부에 세로방향 직각으로 설치된 전, 후단 방향타(885-f, 885-b)는 수시로 변화하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800)의 머리부(810)가 풍향과 대향 방향으로 즉시 회전하도록 조향한다. 또한 상기 본체(800) 유체유출유도면(880)의 후 단면과 상기 후단방향타(885-b)에 수평 결합된 수평날개(886)는 조향 기능의 구조를 가진 상기 선미(890) 및 상기의 전, 후 방향타(885-f, 885-b)와 함께 상기 본체(800)의 수평유지 및 조향을 공조하는 기능을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ont and rear rudders 885-f and 885-b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상기 본체(本體)(800)의 복층구조 터빈실(840-u,840-d)에 구비된 상기 역저항방지막(845-u,845-d)은 상기 터빈실(840-u,840-d)에 설치된 터빈(850-u,850-d)으로 입사되는 역저항의 유체이동에너지를 막아줌으로써, 상기 터빈(850-u,850-d)이 항시 일정방향의 유체이동에너지를 받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유체유입유도면(830)과 상기 유체유입방지막(845)에 형성된 상기 유체이동유도판(835)은,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流體力發電裝置)로 입사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각기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상기의 터빈(850-u,850-d)으로 유도하여, 유체이동의 에너지를 일 방향 집중시킴으로써 상기 터빈(850-u,850-d)의 회전력을 가중시키는 특징을 갖춘다.The reverse resistance prevention films 845-u and 845-d provided in the multilayer structure turbine chambers 840-u and 840-d of the
그리고 도 19는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流體力發電裝置)의 좌 측면사시도이고, 도 20은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의 전단면도를 도시한다.19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airborne hydrodynamic generator 1000, and FIG. 20 show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irborne hydrodynamic generator 1000.
상기 터빈실(840)에 장착되는 상, 하측의 수직축터빈(850-u,850-d)은 일반적인 임펠러형 터빈 또는 상기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신청한 [특허출원 제10-2010-0020230호]에 제안된 '부력터빈' 및 '가변이동블레이드장착 부력터빈'을 선택적으로 설치 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vertical shaft turbines 850-u and 850-d mounted on th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신청한 [특허출원 제10-2010- 0020230호]에 제안된 터빈의 회전드럼 내에 기어박스 및 발전기모듈을 내장 하여, 상기 회전드럼 내에 설치 고정된 발전기모듈과 기어박스의 회전축은 구비된 회전축고정판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회전드럼 내에 고정 장착된 상기 발전기와 기어박스의 몸통이 상기 터빈과 함께 회전하여 전기발전을 시행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mbedding the gearbox and the generator module in the rotary drum of the turbine prop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0230]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or module is fixed and installed in the rotary drum; The rotation shaft of the gearbox is fixed by the rotation shaft fixing plate provided, and the generator and the body of the gearbox fixedly mounted in the rotating drum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turbine to implement electric power generation.
도 21은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 본체(800)의 복층구조 터빈실(840-u,840-d)과, 상기 터빈실(840-u,840-d)에 설치된 상, 하측 터빈(850-u,850-d)과, 상기 하측터빈(850-d)의 회전드럼(851)에 내장된 발전기(860)와 기어박스(865) 및 상기 상, 하측 터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2는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 본체(800)의 전면 부분도로써, 상기 상, 하측 터빈의 풍력에 의한 회전방향을 나타낸다.FIG. 21 is a top view of the multi-layered turbine chambers 840-u and 840-d of the
이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본체(800)의 현두(810)부가 풍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유체유입유도면(830)과 상기 유체이동유도판(835)따라 상측과 하측의 상기 터빈실(840-u,840-d)로 입사되는 풍력에 의하여 상, 하측 터빈(850-u,850-d)이 회전하며, 상기의 상, 하측 터빈(850-u,850-d)은 각기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As can be seen from these figures, the airborne hydrodynamic generator 10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이때, 상기 하측터빈(850-d)의 회전중심드럼(851)에 내장된 발전기(860)와 기어박스(863)의 몸체는 상기 하측터빈(850-d)과 함께 동일 방향 회전하고, 상기 발전모듈(860,863)의 회전축을 물고 있는 상기 상측터빈(850-u)은 상기 하측터 빈(850-d)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발전모듈(860,865)의 몸체를 구속하는 상기 하측터빈(850-d)과 상기 발전모듈(860,863)의 회전축을 구속하는 상기 상측터빈(850-u)은 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걸레를 양손으로 쥐어짜듯이 전기발전을 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of the
도 23은 상기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1000)의 본체(800) 하측터빈(850-d)의 아랫면에 형성된 송전부(865)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며, 상기 하측터빈(850-d)의 회전드럼(851)내에 설치된 발전모듈(860,863)에서 생성된 전기는, 상기 송전실(865)과 상기 계류케이블(720)에 구비된 송전케이블(730)을 통하여 지상으로 송전되며, 상기 계류장치(700)의 하부에 구비된 충전실(740)에 송전하여 저장할 수 있다.FIG. 2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그리고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1000)의 부양체(900)와 본체(本體)의 외장 및 내장되는 전(前), 후(後)단(段)탱크, 또는 각 터빈의 블레이드와 수평날개 및 주 방향타 등은 부식에 강하며 무게 대 강성비가 뛰어난 금속의막 이나 강화플라스틱, 테프론, 섬유강화 복합재(CFRP,GFRP), 복합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질수 있다.And the front and rear end tanks of the
또한, 상기 유체력 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의 조립과 제작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용접이나 볼트 조임 및 너트 조임의 방식, 그리고 접어 눌려 붙임 등의 방식을 채택 할 수 있고, 상기 계류케이블( )은 닻줄로 사용하는 쇠사슬이나 천연섬유, 합성섬유, 강선(鋼線) 등의 재질에 보호용 피복을 입히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and fabrication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may adopt a method of bonding or welding with an adhesive, tightening bolts and tightening nuts, and pressing and attaching the mooring cable. ) Can be made by applying protective coatings to the chains used as anchor lines, natural fibers, synthetic fibers, steel wires, etc.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herefrom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embodiments are possibl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흐름의 방향에 따라 회전 이동하는 수직축 방식의 유체력 발전장치에 대한 일 양태의 하측면사시도.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spect of a vertical force type hydrodynamic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rotates in a direction of a fluid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단면도.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본체 및 중앙의 터빈실 상단에 형성된 부양체를 포함한 전체의 전면사시도.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hole including the support body formed on the top of the turbine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the center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의 상 측면사시도.Figure 4 is a top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 발전장치의 하 측면사시도.5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측 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展裝置)(100)의 부양체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전단면투시도.Fig. 7 is a front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pport body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측면사시도.8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fluid power generat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도면 제8의 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ighth view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평단면투시도.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luid force generat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터빈실에 설치되는 가변이동 블레이드 장착 부력터빈의 제작 구조도.11 is a manufacturing structure diagram of a variable-moving blade-mounted buoyancy turbine installed in the turbine chamber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본체 및 터빈실에 설치되는 가변이동 블레이드 장착 부력터빈의 유체흐름에 의한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by the fluid flow of the variable-moving blade-mounted buoyancy turbin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urbine chamber of the fluid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전단면도.1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fluid power generat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본체 터빈실에 설치되는 가변이동 블레이드장착 부력터빈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moving blade-mounted buoyancy turbine installed in the main turbine chamber of the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력발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수직축 방식의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의 우 측면사시도.FIG. 15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axis type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流體力發電裝置) 본체(本體)의 전면사시도.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floating-type hydrodynamic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좌 측면도.17 is a left side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우 측면도.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의 좌 측면사시도.19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an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의 전단면도.2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복층구조 터빈실과, 상기 터빈실에 설치된 상, 하측 터빈과, 상기 하측터빈의 회전드럼에 내장된 발전모듈 및 상기 상, 하측 터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 21 is a view of a multi-layered turbine chamber of the main body of an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per and lower turbines installed in the turbine chamber, a power generation module embedded in a rotating drum of the lower turbine, and the upper and lower turbines. Cross section showing connection status.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 본체의 전면부분도.22 is a front partial view of the body of the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 본체 하측터빈의 아랫면에 형성된 송전실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Figure 2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transmission chamb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turbine of the body floating hydrodynamic gener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0: 유체력발전장치 200: 본체(本體)100: fluid power generator 200: main body
10: 계류구조물 20: 계류케이블10: mooring structure 20: mooring cable
30: 계류케이블회전지지장치 210: 현두(舷頭)30: mooring cable rotation support device 210: string head
220: 본체전단탱크 225: 본체전하단탱크220: main body shear tank 225: main body charge tank
230: 유체유입유도면 235: 유체이동통로230: fluid inflow guide 235: fluid movement path
236: 유체력집중통로 238: 유체력방출구236: fluid force concentration path 238: fluid force outlet
240: 터빈실 245: 터빈하단탱크240: turbine chamber 245: turbine bottom tank
250: 수직축 부력터빈 251: 회전중심드럼250: vertical axis buoyancy turbine 251: center of rotation drum
252: 고정부력블레이드 253-u: 터빈상판252: fixed buoyancy blade 253-u: turbine top
253-d: 터빈하판 254-u: 회전축보강상판253-d: turbine lower plate 254-u: rotating shaft reinforcement top plate
254-d: 회전축보강하판 255-u: 상판회전축254-d: rotating shaft reinforcement plate 255-u: upper plate rotating shaft
255-d: 하판회전축 258: 가변이동블레이드255-d: lower plate rotating shaft 258: variable moving blade
260: 본체계류회전장치 262: 본체계류회전장치하우징260: main system rotary device housing 262: main system rotary device housing
265: 본체계류회전장치축 266: 상측스러스트베어링265: Main system rotary device shaft 266: Upper thrust bearing
267: 하측스러스트베어링 268:본체계류회전장치축계류무드볼트267: Lower thrust bearing 268: Main mooring rotating device shaft mooring mood bolt
270: 본체후단탱크 272: 세로유공배플판270: main body rear tank 272: vertical perforated baffle plate
273: 가로유공배플판 280: 유체유출유도면273: cross-hole baffle plate 280: fluid outflow guide
285: 주 방향타 286: 수평날개285: main rudder 286: horizontal wing
290: 선미(船尾) 300: 부양체(浮揚體)290: stern 300: flotation body
310: 부양체출입부 320: 기어박스310: support entrance 320: gear box
330: 발전모듈 340: 충전모듈330: power generation module 340: charging module
350: 송전부 1000: 공중부양식 유체력발전장치350: transmission unit 1000: aerodynamic fluid power generator
900: 부양기구 800: 본체 (공중부양식 발전장치)900: flotation mechanism 800: main body (airborne farming equipment)
700: 계류장치 710: 계류케이블드럼700: mooring device 710: mooring cable drum
720: 계류케이블 730: 송전케이블720: mooring cable 730: power transmission cable
740: 충전실 810: 현두(舷頭)740: charging chamber 810: head head
820: 전단탱크 830: 유체유입유도면820: shear tank 830: fluid inflow guide
835: 유체이동유도판 840-u: 상 터빈실835: fluid transfer plate 840-u: upper turbine chamber
842-u: 상측 스러스트베어링 842-s: 센터측 스러스트베어링842-u: Upper thrust bearing 842-s: Center side thrust bearing
242-d: 하측스러스트베어링 843-u: 상측 볼베어링242-d: Lower thrust bearing 843-u: Upper ball bearing
840-d: 하 터빈실 845: 유체유입방지막840-d: lower turbine chamber 845: fluid inflow barrier
850-u: 상측 터빈 850-d: 하측터빈850-u: upper turbine 850-d: lower turbine
851: 회전중심드럼 852: 블레이드851: center of rotation drum 852: blade
853-u: 터빈상판 853-d: 터빈하판853-u: turbine top plate 853-d: turbine bottom plate
854-u: 회전축보강상판 854-d: 회전축보강하판854-u: rotating shaft reinforcement plate 854-d: rotating shaft reinforcement plate
855-u: 상판회전축 855-d: 하판회전축855-u: upper plate rotating shaft 855-d: lower plate rotating shaft
860: 발전기 863: 기어박스860: generator 863: gearbox
865: 송전부 868: 계류케이블 연결부865: power transmission unit 868: mooring cable connection
870: 본체후단탱크 880: 유체유출유도면870: body end tank 880: fluid outflow guide
885-f: 전단방향타 885-b: 후단방향타885-f: front rudder 885-b: rear rudder
886: 수평날개 890: 선미(船尾)886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741A KR101260008B1 (en) | 2010-06-08 | 2010-06-08 | Vertical-axis-type fluid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loa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741A KR101260008B1 (en) | 2010-06-08 | 2010-06-08 | Vertical-axis-type fluid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loa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008A true KR20110134008A (en) | 2011-12-14 |
KR101260008B1 KR101260008B1 (en) | 2013-05-02 |
Family
ID=4550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3741A Active KR101260008B1 (en) | 2010-06-08 | 2010-06-08 | Vertical-axis-type fluid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loa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0008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5262B1 (en) * | 2011-12-26 | 2013-07-15 |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 Shock absorbing type flow velocity and wave meter |
KR20140038104A (en) * | 2012-09-20 | 2014-03-28 | 한국전력공사 |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power generating and the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
WO2014030882A3 (en) * | 2012-08-23 | 2014-04-17 | Kim Dae Hyoung | Offshore power generation vessel |
CN108506167A (en) * | 2018-06-01 | 2018-09-07 | 王正 | Farm, purifying platform are herded in efficient sea wave as well as tide ocean current, wind, light power generation and ocean |
KR102225652B1 (en) * | 2019-10-08 | 2021-03-11 | 주식회사 씨앤에이에너지 | Flotage type hydroelectric generator |
CN114893710A (en) * | 2022-04-28 | 2022-08-12 | 中材科技(成都)有限公司 | Method for processing 70MPa carbon fiber full-winding hydrogen cylinder aluminum alloy inner container twice threads |
CN116241405A (en) * | 2023-03-16 | 2023-06-09 | 广东海装海上风电研究中心有限公司 | A heave current energy genera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3299B1 (en) | 2008-07-28 | 2009-04-17 | 문석용 |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or |
-
2010
- 2010-06-08 KR KR1020100053741A patent/KR101260008B1/en active Active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5262B1 (en) * | 2011-12-26 | 2013-07-15 |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 Shock absorbing type flow velocity and wave meter |
WO2014030882A3 (en) * | 2012-08-23 | 2014-04-17 | Kim Dae Hyoung | Offshore power generation vessel |
KR20140038104A (en) * | 2012-09-20 | 2014-03-28 | 한국전력공사 |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power generating and the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
CN108506167A (en) * | 2018-06-01 | 2018-09-07 | 王正 | Farm, purifying platform are herded in efficient sea wave as well as tide ocean current, wind, light power generation and ocean |
CN108506167B (en) * | 2018-06-01 | 2023-12-15 | 王正 | Efficient ocean wave, tide, ocean current, wind, light power generation, ocean farm and purification platform |
KR102225652B1 (en) * | 2019-10-08 | 2021-03-11 | 주식회사 씨앤에이에너지 | Flotage type hydroelectric generator |
CN114893710A (en) * | 2022-04-28 | 2022-08-12 | 中材科技(成都)有限公司 | Method for processing 70MPa carbon fiber full-winding hydrogen cylinder aluminum alloy inner container twice threads |
CN116241405A (en) * | 2023-03-16 | 2023-06-09 | 广东海装海上风电研究中心有限公司 | A heave current energy genera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0008B1 (en) | 2013-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3502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based electric power generation | |
RU2742012C2 (en) | Unidirectional hydrokinetic turbine (variants) and enclosure for such a turbine | |
KR101260008B1 (en) | Vertical-axis-type fluid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loa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 |
US7291936B1 (en) | Submersible electrical power generating plant | |
JP6124363B2 (en) | Bottomless cup-type hydr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ing flowing water energy | |
US20080018115A1 (en) | Semi-submersible hydroelectric power plant | |
US10309368B2 (en) | Power generation apparatus utilizing water current energy | |
CA2934984C (en) | A paddlewheel device for generating hydro-electric energy | |
US1232613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arnessing marine hydrokinetic energy | |
WO2007129049A1 (en) | Turbine for extracting energy from a flowing fluid | |
GB2445284A (en) | A hydro-electric generator arrangement for underwater placement | |
GB2443697A (en) | Floating water wheel with buoyant blades | |
IE86387B1 (en) | A vertical fluid flow turbine | |
EP2141353B1 (en) | Submergible system for exploiting the energy of marine currents | |
KR20120109933A (en) | Multiple hydro generating system which used floating water-wheel of cylinder type | |
KR101190780B1 (en) | Hydro-power generator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 |
KR20080070179A (en) | Simultaneous Power Generation of Small Hydropower and Wind Power | |
JP3530872B2 (en) | Hydro energy converter | |
JP2013067269A (en) | Floating island water-wheel power generation system which is movable and capable of keeping constant position | |
US20150132151A1 (en) | Water level flow speed-increasing generating station, power station, water supply station, and offshore floating city | |
CA3155292A1 (en) | Laminar flow pipeline and energy system | |
PT103515B (en) | CONVERSION SYSTEM FOR WIND ENERGY, SOLAR, WAVES AND MARINE CHAINS | |
JP2013015131A (en) | Water flow power gene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