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144A -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9144A KR20110129144A KR1020100048608A KR20100048608A KR20110129144A KR 20110129144 A KR20110129144 A KR 20110129144A KR 1020100048608 A KR1020100048608 A KR 1020100048608A KR 20100048608 A KR20100048608 A KR 20100048608A KR 20110129144 A KR20110129144 A KR 201101291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iltration
- rainfall
- water
- filtration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5—Floating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64—Filters having float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유입수 분배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01 : 강우유입관 102 : 유출관
110 : 고형물 저장부
200 : 여과수조
201 : 격벽 202 : 역세공기 주입구
203 : 상부 유공판 204 : 하부 유공판
205 : 체크밸브 210 : 제 1 여과수조
211 : 제 1 여재층 220 : 제 2 여과수조
221 : 제 2 여재층 230 : 여과 수로
240 : 유입수 분배관
Claims (17)
- 강우유출수를 저류하는 저류수조; 및
상기 저류수조 내에 구비되어 강우유출수를 여과하는 여과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수조는, 상기 저류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상향류의 강우유출수를 여과하는 제 1 여과수조와, 상기 제 1 여과수조를 통과한 하향류의 강우유출수를 여과하는 제 2 여과수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여과수조 내에 상기 제 1 여과수조 전체 높이 중 일부 높이만큼 채우는 제 1 여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여재층은 제 1 여과수조 내의 수위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제 1 여과수조의 일측에 상기 저류수조와 상기 제 1 여과수조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역세공기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저류수조의 공기가 상기 역세공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여과수조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과수조와 제 2 여과수조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분되며, 상기 제 1 여과수조 및 제 2 여과수조의 상부에는 여과 유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여과수조를 통과한 상향류의 강우유출수는 상기 여과 유로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2 여과수조로 하향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과수조 및 제 2 여과수조의 상부, 하부에 각각 상부 유공판, 하부 유공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공판 상에 여과 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수조의 바닥면은 경사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판과 여과수조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강우유출수가 상기 제 1 여과수조의 내부로 상향류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재층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부상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재층은 퍼라이트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수조 내에 상기 제 2 여과수조 전체 높이를 채우는 제 2 여재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재층은 물보다 비중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재층은 제올라이트, 활성탄, 슬래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조의 상단에 여과수조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수조 내에 제 2 여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여과수조 내에 유입수 분배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유입수 분배관의 일단은 상기 여과 유로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여과수조의 상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재층은 상기 제 1 여과수조 전체 높이의 1/2∼2/3만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수조의 일측에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최종 배출되는 유출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강우유출수를 저류하는 저류수조와, 상기 저류수조 내에 구비되고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여과수조와 제 2 여과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여과수조, 제 2 여과수조 내에 각각 제 1 여재층, 제 2 여재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여과수조의 일측에 역세공기 주입구가 구비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류수조 내에 강우유출수가 저류되는 단계;
상기 저류수조 내의 강우유출수가 하향류로 상기 제 1 여과수조에 공급되는 단계;
상기 제 1 여과수조의 수위 상승에 따라 상기 제 1 여과수조의 제 1 여재층이 상승되며, 상기 제 1 여재층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여재층에 의한 여과가 진행되는 단계;
상기 제 1 여과수조를 통과한 강우유출수가 상향류로 상기 제 2 여과수조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여과수조의 제 2 여재층에 의한 여과가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저류수조의 수위가 상기 역세공기 주입구 이하로 하강하여, 상기 역세공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여과수조 내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제 1 여재층의 역세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과수조 내에 강우유출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 1 여과수조 내에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재층은 부상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8608A KR101155948B1 (ko) | 2010-05-25 | 2010-05-25 |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
JP2010250628A JP5328749B2 (ja) | 2010-05-25 | 2010-11-09 | 無動力逆洗方式を利用した降雨流出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8608A KR101155948B1 (ko) | 2010-05-25 | 2010-05-25 |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9144A true KR20110129144A (ko) | 2011-12-01 |
KR101155948B1 KR101155948B1 (ko) | 2012-06-18 |
Family
ID=4541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86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948B1 (ko) | 2010-05-25 | 2010-05-25 |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328749B2 (ko) |
KR (1) | KR1011559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419A (ko) * | 2015-11-05 | 2016-05-16 | 안병기 | 상·하향류식 비점 오염 저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0298B1 (ko) * | 2012-09-26 | 2013-07-29 | 신영기술개발(주) |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용 여과장치 |
KR101470985B1 (ko) * | 2012-10-19 | 2014-12-09 | (주) 영동엔지니어링 |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
CN107694172A (zh) * | 2017-10-25 | 2018-02-16 | 安徽万利达羽绒制品有限公司 | 一种鹅毛加工用污水过滤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47662A (ko) * | 1974-10-23 | 1976-04-23 | Nippon Filcon Kk | |
JPS59109212A (ja) * | 1982-12-15 | 1984-06-23 | Midori Watanabe | 「ろ」過濃縮装置 |
JPS63287508A (ja) * | 1987-05-19 | 1988-11-24 | Kensetsusho Doboku Kenkyu Shocho | 浮上性濾材による濾過法およびその装置 |
JP3121722B2 (ja) * | 1994-06-14 | 2001-01-09 | 日本碍子株式会社 |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JP3311732B2 (ja) * | 2000-05-25 | 2002-08-05 | 株式会社ホクコン | 排水処理装置 |
JP2003144814A (ja) * | 2001-11-13 | 2003-05-20 | Ngk Insulators Ltd | 浮上ろ材の洗浄方法 |
JP2004290752A (ja) * | 2003-03-26 | 2004-10-21 | Ngk Insulators Ltd | 合流下水の高速ろ過方法 |
KR100461997B1 (ko) * | 2004-07-15 | 2004-12-17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역세척이 가능한 간이상수도 자동화 정수장치 |
KR100809360B1 (ko) * | 2007-03-13 | 2008-03-05 |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 상하향류식 이단 여과장치 |
KR100932154B1 (ko) * | 2009-02-25 | 2009-12-16 | 최삼숙 | 무동력 정수처리장치 |
-
2010
- 2010-05-25 KR KR1020100048608A patent/KR10115594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1-09 JP JP2010250628A patent/JP532874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419A (ko) * | 2015-11-05 | 2016-05-16 | 안병기 | 상·하향류식 비점 오염 저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5948B1 (ko) | 2012-06-18 |
JP5328749B2 (ja) | 2013-10-30 |
JP2011245473A (ja) | 2011-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2275B1 (ko) |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US8658044B2 (en) |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KR101622222B1 (ko) |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 |
JP3865304B2 (ja) | 雨水処理装置 | |
KR101349613B1 (ko) |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 |
KR101653780B1 (ko) |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 |
KR100848011B1 (ko) |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 |
KR101155948B1 (ko) |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872911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0951098B1 (ko) |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 |
KR102078387B1 (ko) | 섬유상 여과형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20170117280A (ko) | 강우수 정화장치 | |
KR100917400B1 (ko) |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 |
CN105888030A (zh) | 一种差水质雨水的低影响治理方法 | |
KR101177714B1 (ko) |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302469B1 (ko) | 입상활성탄여과지의 활성탄입자 유실방지방법 및 그 장치 | |
KR100843036B1 (ko) | 하폐수 및 정수처리를 위한 수평류형 여과장치 | |
JP6599096B2 (ja) | ろ過池の洗浄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 |
KR20130104793A (ko) | 자동 우수 처리 장치 | |
US11065563B2 (en) | Up-flow water filtration system | |
RU2131760C1 (ru) | Самопромывающийся радиальный фильтр | |
KR101917632B1 (ko) | 수처리용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1701166B1 (ko) | 부유식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 |
KR20160148949A (ko) | 유량분배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20170063126A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