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6250A -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250A
KR20110126250A KR1020100045813A KR20100045813A KR20110126250A KR 20110126250 A KR20110126250 A KR 20110126250A KR 1020100045813 A KR1020100045813 A KR 1020100045813A KR 20100045813 A KR20100045813 A KR 20100045813A KR 20110126250 A KR20110126250 A KR 2011012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master
communication module
sla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록
이정석
김종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6250A/ko
Priority to US13/036,242 priority patent/US20110281572A1/en
Publication of KR2011012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25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터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통신 모드가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이면, 마스터 통신 모듈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 전달하고,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들을 간소화하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F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PLE STANDBY}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들을 이용할 수 있는 다중 모드(multiple mode)를 위한 통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망들 중 어느 하나에 접근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통신망을 전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들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다중 수신 대기(multiple standby)를 위한 통신 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다. 즉 통신 단말기는 통신망들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엠블(preamble) 또는 파일럿(pilot)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단말기는 통신망들 각각에 접근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신 모듈들을 구비해야 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의 통신 모듈은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통신망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모듈들은 동일한 내부 구성들을 갖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에 내부 구성들이 중복되어 장착된다. 즉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모듈들 중 일부가 동작하는 데 있어서, 내부 구성들 중 일부가 불필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는 통신 모듈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연결 스위치를 더 구비해야 한다. 예를 들면, 송신을 위한 신호 수신 시, 통신 단말기는 통신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는 연결 스위치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송신을 위한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모듈들 중 일부의 내부 구성들을 간소화하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연결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마스터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모드가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이면,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무선으로 신호 수신 시,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장치는, 송신을 위한 신호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마스터 통신 모듈과, 상기 분석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분석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은, 상기 분석된 신호가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이면, 상기 분석된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분석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신호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는, 마스터 통신 모듈에서 통신망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하여 직접적으로 송신하거나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한다. 즉 통신 단말기에서 마스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마스터 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들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 구성들 만으로 구현하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아울러, 통신 단말기에서 연결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들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마스터 제어부의 내부 구성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 슬레이브 제어부의 내부 구성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마스터 통신 모듈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도 4에서 직접 제어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4에서 간접 제어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로서, CDMA, GSM, WCDMA,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다수개의 통신망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접근할 수 있다. 아울러,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통신망에 접근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단말기가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듈들을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듈들을 통해 다수개의 통신망들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단말기는 마스터 통신부(111), 슬레이브 통신부(113), 마스터 심 카드(121), 슬레이브 심 카드(123), 마스터 제어부(131), 슬레이브 제어부(133), 오디오 수집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표시부(160), 키 입력부(17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한다. 이 때 마스터 통신부(111), 마스터 심 카드(121) 및 마스터 제어부(131)가 마스터 통신 모듈(191)로 구성되며, 슬레이브 통신부(113), 슬레이브 심 카드(123) 및 슬레이브 제어부(133)가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로 구성된다.
마스터 통신부(111)와 슬레이브 통신부(113)는 각각 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마스터 통신부(111)와 슬레이브 통신부(113)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스터 통신부(111)와 슬레이브 통신부(113)는 각각의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마스터 통신부(111)와 슬레이브 통신부(113)는 각각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마스터 심 카드(121)와 슬레이브 심 카드(123)는 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즉 마스터 심 카드(121)와 슬레이브 심 카드(123)는 각각 통신망과 통신을 지원한다. 이 때 마스터 심 카드(121)와 슬레이브 심 카드(123)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로, 각각의 통신망과 통신하는 데 요구되는 심 정보, 예컨대 가입자 정보, 인증 정보, 통신 관련 기록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마스터 심 카드(121)와 슬레이브 심 카드(123)에서 정보는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 전용 파일(Dedicated File; DF), 단위 파일(Elementary File; EF)로 구성되는 파일 시스템에 따라 관리된다. 이러한 마스터 심 카드(121)와 슬레이브 심 카드(123)는 각각 카드 접속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통신 단말기(100)에서 탈착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부(131)는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마스터 제어부(131)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제어부(131)는 통신 단말기(100)의 다중 수신 대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마스터 제어부(131)는 마스터 통신부(111) 및 마스터 심 카드(121)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제어부(131)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한다.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통신 단말기(100)의 다중 수신 대기 기능을 지원한다. 이 때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슬레이브 통신부(113) 및 슬레이브 심 카드(123)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제어부(133)의 내부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한다.
오디오 수집부(140)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오디오 수집부(140)는 마이크로폰(MIC)을 사용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오디오 출력부(150)는 스피커(SPK)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마스터 제어부(131)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6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7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로 이루어진다.
메모리(18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모리(180)는 마스터 통신부(111)와 슬레이브 통신부(113)를 통해 통신망에 접근하는 데 요구되는 공유 정보, 예컨대 마스터 심 카드(121)와 슬레이브 심 카드(123) 각각의 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마스터 제어부의 내부 구성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무선 처리부(210), 심 카드 연결부(220), 제어 교환부(230), 오디오 처리부(240), 표시 제어부(260), 키 제어부(270) 및 응용 처리부(280)를 포함한다. 이 때 마스터 제어부(131)의 내부 구성들은 상호 협력하여 동작한다.
무선 처리부(210)는 마스터 통신부(111)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처리부(210)는 마스터 통신부(111)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 처리부(210)는 마스터 통신부(111)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한다.
심 카드 연결부(220)는 마스터 심 카드(121)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심 카드 연결부(220)는 마스터 심 카드(121)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심 카드 연결부(220)는 마스터 심 카드(121)의 심 정보를 통신하는 데 이용한다.
제어 교환부(230)는 슬레이브 제어부(133)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 교환부(230)는 슬레이브 제어부(133)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교환부(230)는 슬레이브 제어부(133)와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교환한다.
오디오 처리부(240)는 오디오 수집부(140) 및 오디오 출력부(15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240)는 오디오 수집부(140) 및 오디오 출력부(150) 각각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40)는 오디오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거나, 오디오 출력부(150)를 통해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240)는 모뎀 및 오디오 코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제어부(26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 제어부(260)는 표시부(16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60)는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한다.
키 제어부(270)는 키 입력부(17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키 제어부(270)는 키 입력부(17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키 제어부(270)는 키 입력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키 신호를 식별한다.
응용 처리부(280)는 메모리(18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응용 처리부(280)는 메모리(18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응용 처리부(280)는 메모리(180)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도 3은 도 1에서 슬레이브 제어부의 내부 구성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무선 처리부(310), 심 카드 연결부(320) 및 제어 교환부(330)를 포함한다. 이 때 슬레이브 제어부(133)의 내부 구성들은 상호 협력하여 동작한다.
무선 처리부(310)는 슬레이브 통신부(113)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처리부(310)는 슬레이브 통신부(113)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 처리부(310)는 슬레이브 통신부(113)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한다.
심 카드 연결부(320)는 슬레이브 심 카드(123)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심 카드 연결부(320)는 슬레이브 심 카드(123)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심 카드 연결부(320)는 슬레이브 심 카드(123)의 심 정보를 통신하는 데 이용한다.
제어 교환부(330)는 마스터 제어부(131)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 교환부(330)는 마스터 제어부(131)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교환부(330)는 마스터 제어부(131)와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교환한다.
즉 마스터 통신 모듈(191)은 통신망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을 통해 통신망과 간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마스터 통신 모듈(191)은 직접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분석 및 처리한다. 그리고 마스터 통신 모듈(191)은 통신망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은 통신망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시 말해,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은 신호를 송수신할 뿐 신호를 분석하거나 처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은 신호를 분석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내부 구성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마스터 통신 모듈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마스터 통신 모듈(191)의 통신 절차는, 마스터 제어부(131)가 411단계에서 액티브 모드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마스터 제어부(131)는 풀 파워(full power)를 가동하여, 내부 구성들을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이 후 마스터 통신부(111)를 통해 호가 연결되면, 마스터 제어부(131)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직접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이 때 직접 제어 모드는 마스터 통신 모듈(191)을 위한 통신 모드이며, 마스터 제어부(131)은 직접 제어 모드에서 통신망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스터 제어부(131)은 통신망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마스터 제어부(131)의 직접 제어 모드 수행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에서 직접 제어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직접 제어 모드에서 송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3단계에서 신호에 오디오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오디오 수집부(140)가 신호를 수집하여 오디오 처리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40)가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40)가 신호를 무선 처리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마스터 제어부(131)는 515단계에서 신호에 무선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240)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무선 처리부(210)가 마스터 통신부(111)에서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마스터 통신부(111)는 517단계에서 마스터 제어부(131)의 제어 하에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 다음, 도 4로 리턴한다.
한편, 직접 제어 모드에서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신호에 무선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마스터 통신부(111)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처리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처리부(210)가 마스터 통신부(111)에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처리부(210)가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마스터 제어부(131)는 525단계에서 신호에 오디오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무선 처리부(210)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오디오 처리부(240)가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할 수 있다. 이 후 마스터 제어부(131)는 527단계에서 신호를 재생한 다음, 도 4로 리턴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240)가 오디오 출력부(150)를 통해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터 통신부(111)를 통해 호가 해제되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4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신 절차를 종료한다. 여기서, 마스터 제어부(131)는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415단계에서 직접 제어 모드를 수행한 다음, 417단계에서 호 해제가 감지되지 않으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41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413단계에서 호 연결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마스터 제어부(131)는 419단계에서 간접 제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간접 제어 모드는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을 위한 통신 모드이며, 마스터 제어부(131)는 간접 제어 모드에서 통신망과 간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스터 제어부(131)는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을 통해 통신망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마스터 제어부(131)의 간접 제어 모드 수행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에서 간접 제어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간접 제어 모드에서 송신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6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단계에서 신호에 오디오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오디오 수집부(140)가 신호를 수집하여 오디오 처리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40)가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40)가 신호를 제어 교환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마스터 제어부(131)는 615단계에서 신호를 슬레이브 제어부(133)로 전달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240)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 교환부(230)가 신호를 슬레이브 제어부(133)로 전달한 다음, 도 4로 리턴한다.
한편, 간접 제어 모드에서 무선 처리된 신호가 수신되면, 마스터 제어부(131)는 6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3단계에서 신호에 오디오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 교환부(230)가 슬레이브 제어부(133)에서 무선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40)가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할 수 있다. 이 후 마스터 제어부(131)는 625단계에서 신호를 재생한 다음, 도 4로 리턴한다. 이 때 오디오 처리부(240)가 오디오 출력부(150)를 통해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193)의 통신 절차는, 슬레이브 제어부(133)가 711단계에서 슬립 모드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최소 파워를 가동하여, 내부 구성들 중 일부를 구동시키고, 내부 구성들 중 나머지에 파워 공급을 차단한다. 이 후 슬레이브 통신부(113)를 통해 호가 연결되면, 슬레이브 제어부(133)가 7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5단계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풀 파워를 가동하여, 내부 구성들을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액티브 모드에서 오디오 처리된 신호가 수신되면,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7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3단계에서 신호에 무선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 교환부(330)가 마스터 제어부(131)에서 오디오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처리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처리부(310)가 슬레이브 통신부(113)에서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슬레이브 통신부(113)는 725단계에서 슬레이브 제어부(133)의 제어 하에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한편, 액티브 모드에서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7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33단계에서 신호에 무선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슬레이브 통신부(113)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처리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처리부(310)가 마스터 통신부(113)에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처리부(310)가 신호를 제어 교환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735단계에서 신호를 마스터 제어부(131)로 전달한다. 이 때 제어 교환부(330)가 신호를 마스터 제어부(131)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슬레이브 통신부(113)를 통해 호가 해제되면,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74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49단계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 다음, 통신 절차를 종료한다. 이 때 725단계에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735단계에서 마스터 제어부(131)로 무선 처리된 신호를 전달한 다음, 747단계에서 호 해제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레이브 제어부(133)는 721단계 내지 725단계 및 731단계 내지 73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마스터 통신 모듈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신호를 교환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패킷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때 마스터 통신 모듈은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터 통신 모듈은 신호를,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근거리 통신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마스터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거나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근거리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마스터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의 마스터 통신 모듈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동일한 통신망에 접근 가능한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마스터 통신 모듈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각기 상이한 통신망에 접근 가능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때 마스터 통신 모듈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각기 상이한 통신망에 접근하여 각각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 가능한 경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은 모뎀 또는 코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은 마스터 통신 모듈의 신호 처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서 마스터 통신 모듈이 통신망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하여 직접적으로 송신하거나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한다. 즉 통신 단말기에서 마스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마스터 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들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 구성들 만으로 구현하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아울러, 통신 단말기에서 연결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통신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내부 구성들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레이브 통신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모드가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이면,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 수신 시,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가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이면,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이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 수신 시,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과정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마스터 통신 모듈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드가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을 위한 것이면, 상기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신호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은,
    상기 수신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신호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모듈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00045813A 2010-05-17 2010-05-17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10126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13A KR20110126250A (ko) 2010-05-17 2010-05-17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13/036,242 US20110281572A1 (en) 2010-05-17 2011-02-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multiple-standby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13A KR20110126250A (ko) 2010-05-17 2010-05-17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50A true KR20110126250A (ko) 2011-11-23

Family

ID=4491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813A Withdrawn KR20110126250A (ko) 2010-05-17 2010-05-17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81572A1 (ko)
KR (1) KR20110126250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814A1 (en) * 2002-05-29 2003-12-04 Hai Qu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message from a wirel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81572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50215E1 (en) Protoco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IM terminal
KR101117712B1 (ko)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21309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689199A1 (en) SIM card sharing method in a mobile station
CN101742464B (zh) 用于双待机移动终端的相邻小区监控方法和设备
US10554229B2 (en) Transmitter apparatus of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862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ndby mod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035587A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with an incorporated radio
CN103139932A (zh) 用于在无线终端中连接到装置的设备和方法
KR20100007042A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100098797A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장치 및 방법
EP2088680B1 (en)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i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1003158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심 카드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KR10057652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94578B2 (en)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CN102387258A (zh) 一种包括lte网络模式的双模式双待机移动终端
KR20110126250A (ko)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08124776A (ja) 電子機器
KR100602476B1 (ko) 무선 통신단말기들 사이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KR20050056884A (ko)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KR10141217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427851B1 (ko) 다중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9001950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423093Y1 (ko) 티알에스 알에프 모뎀이 내장된 수신전용 티알에스 무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