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4913A -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913A
KR20110124913A KR1020100044369A KR20100044369A KR20110124913A KR 20110124913 A KR20110124913 A KR 20110124913A KR 1020100044369 A KR1020100044369 A KR 1020100044369A KR 20100044369 A KR20100044369 A KR 20100044369A KR 20110124913 A KR20110124913 A KR 2011012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wall
box
glass substrate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구
김영택
이범노
김석웅
이청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913A/ko
Priority to JP2011104842A priority patent/JP5247851B2/ja
Priority to CN201110121485.6A priority patent/CN102275686B/zh
Priority to TW100116487A priority patent/TWI460109B/zh
Publication of KR2011012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91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3V-shaped elements, e.g. racks, protuberances projecting from a supporting surface, supporting the articles locally at its sides
    • B65D25/105V-shaped elements, e.g. racks, protuberances projecting from a supporting surface, supporting the articles locally at its sides and retaining it by snap-ac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발포성 재질로 구성함에 따른 이점을 취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발포 플라스틱제 박스의 취약점이었던 유기물과 기타이물 전사에 의한 기판 오염 및 미세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유리기판을 고정하는 요소만을 박스본체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박스 재사용을 위한 세척을 간편하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박스본체와 슬롯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본체의 일측 벽체의 내벽면과 상기 일측 벽체에 대향하는 타측 벽체의 내벽면의 모서리부에는 벽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은 상기 일측 벽체와 상기 타측 벽체를 연결하는 또 다른 하나의 벽체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상기 박스본체와 분리 구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형 부재의 양측 높이방향 모서리부는 상기 요홈을 타고 승·하강되며 상기 박스본체에 착탈식 결합되며, 상기 박스본체는 발포성 수지 재질로 발포 형성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PET, 비정질PET(A-PET) 및 PET-G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PACKING BOX FOR A DISPLAY GLASS SUBSTRATE}
본 발명은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 유리기판을 운송하는 포장용 박스를 구성함에 있어, PET 수지 계열의 비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된 슬롯플레이트를 통해, 발포성 수지의 장점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판 오염 및 표면 미세 스크래치 발생은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패널(PDP), 유기EL과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박스 내에 수납하여 운반 및 보관하되, 특히 박스에 수납된 다수의 유리기판은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폴리염화비닐(PVC), ABS수지와 같은 비발포성 수지를 이용하여 박스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진 포장용 박스는 비교적 무겁고, 충격을 완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리기판의 반송 과정에서 유리기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내부에 골판지와 같은 별도의 완충재를 구비하여 운반시 진동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리기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완충제는 반복 사용이 곤란하여 물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발포성 수지를 대체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발포성 수지로 포장용 박스를 제조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발포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종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된 발포 플라스틱제의 박스본체(1)와 상기 박스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발포 플라스틱제의 박스덮개(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박스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의 각 내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3)와 기판삽입홈(5)이 교호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박스본체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3)에 의해 다수의 기판삽입홈(5)이 형성되고, 박스본체(1)에 수납되는 유리기판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삽입홈(5) 사이에 끼워진 후 돌기(3)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박스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전체를 발포성 수지로만 제조 사용할 경우, 전술한 비발포성 플라스틱제 박스에 비하여 훨씬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특히 포장용 박스 운반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주는 완충 기능이 우수하여 유리기판의 손상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는 일반적인 판유리가 아닌 우수한 표면 품질을 요구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를 수납 대상으로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취약점을 갖고 있다.
즉, 발포 플라스틱제 박스는 비발포 플라스틱제 박스에 비해 쉽게 대전되는 성질에 의해 기판삽입홈과 돌기에 묻어 있는 이물(Particle)이 유리기판으로 쉽게 전사되고 유기물에 의한 얼룩(Stain) 발생과 같은 기판오염을 유발하였다. 또한, 기판삽입홈에 유리기판을 삽입시 유리기판과 발포성 수지 돌기와의 높은 마찰과 유리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인(Strain)에 의해 유리기판에 미세한 스크래치 (Scratch)가 발생되고, 이는 유리기판의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 불량을 야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전체를 발포성 수지로 구성하게 되면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기판 오염 및 표면조도 불량을 야기하고 이는 공정중 기판의 문턱전압 값 편차 발생으로 수율을 저하시키고 제품 불량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 돌출 형성된 돌기와 기판삽입홈은 그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박스 재사용시 유기물 및 기타 이물이 완벽하게 제되지 못하고 이 역시 기판 오염을 증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발포성 재질로 구성함에 따른 이점을 취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발포 플라스틱제 박스의 취약점이었던 유기물과 기타 이물 전사에 의한 기판 오염 및 미세 스크래치에 의한 표면조도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유리기판을 고정하는 요소만을 박스본체로부터 개별적으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박스 재사용을 위한 세척을 간편하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리기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벽체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박스본체와, 일면 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통해 상기 박스본체 내부로 수납되는 유리기판의 양측 모서리부를 지지함으로써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의 일측 벽체의 내벽면과 상기 일측 벽체에 대향하는 타측 벽체의 내벽면의 모서리부에는 벽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은 상기 일측 벽체와 상기 타측 벽체를 연결하는 또 다른 하나의 벽체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상기 박스본체와 분리 구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형 부재의 양측 높이방향 모서리부는 상기 요홈을 타고 승·하강되며 상기 박스본체에 착탈식 결합되며, 상기 박스본체는 발포성 수지 재질로 발포 형성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PET, 비정질PET(A-PET) 및 PET-G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박스본체는 발포성 수지 계열로 제조하되, 유리기판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지지 고정시키는 슬롯플레이트는 박스본체와 분리 구성하여 간편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포장용 박스의 재사용을 위한 박스 세정을 손쉽게 완벽히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착탈식 슬롯플레이트는 박스본체의 재질과 달리 PET 수지 계열의 비발포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발포성 수지의 장점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야기되었던 기판 오염 및 표면 미세 스크래치와 같은 단점은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포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종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기구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a) 및 (b)는 도 2의 슬롯플레이트의 단면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가 장착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PET 슬롯플레이트의 표면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ET 슬롯플레이트와 접촉한 유리기판의 표면 성분을 분석한 측정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ET-G 슬롯플레이트의 표면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기구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슬롯플레이트가 장착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엠보싱이 구비된 고정돌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기구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슬롯캡이 결합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상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발포성 수지 계열로 이루어진 박스본체와 분리 구성되어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고 PET를 포함하는 비발포성 수지 계열로 이루어진 슬롯플레이트 구성을 통해, 발포성 수지의 장점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야기되었던 기판 오염 및 표면조도 불량은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기구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 및 (b)는 도 2의 슬롯플레이트(20)의 단면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박스덮개(미도시)와, 상기 박스본체(10) 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롯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박스본체(10)는 유리기판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환경 및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구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리기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벽체(13a,13b,14a,14b)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한 쌍의 가로방향 벽체(13a,13b)와 한 쌍의 세로방향 벽체(14a,14b)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본체(1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가로방향 벽체"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본체(10)의 둘레부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를 지칭하고, 상기 "세로방향 벽체"란 상기 가로방향 벽체를 제외한 나머지 벽체로서 이들 한 쌍은 각각 가로방향 벽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박스본체(10)에는 슬롯플레이트(20)를 내부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두 쌍의 돌출턱(11a,11b/11c,11d)이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턱(11a,11b)은 일측 가로방향 벽체(13a)에 구비되고 다른 한 쌍의 돌출턱(11c,11d)은 타측 가로방향 벽체(13b)에 구비되며, 상기 타측 가로방향 벽체(13b)에 구비되는 다른 한 쌍의 돌출턱(11c,11d)은 상기 일측 가로방향 벽체(13a)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턱(11a,11b)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가로방향 벽체(13a)에 구비되는 한 쌍의 돌출턱(11a,11b)은 가로방향 벽체(13a)의 내벽면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벽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바(Bar) 형태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출턱(11a,11b)은 세로방향 벽체(14a,14b)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세로방향 벽체(14a,14b)와 각 돌출턱(11a내지11d) 사이에는 요홈(12a,12b,12c,12d)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요홈(12a,12b,12c,12d)은 슬롯플레이트(20)의 높이방향(Y) 모서리부를 박스본체(10) 내부에 끼움 고정시키기 위한 슬롯플레이트 삽입홈에 해당한다. 따라서, 한 쌍의 가로방향 벽체(13a,13b)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턱(11a,11c)은 좌측 세로방향 벽체(14a)와 함께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 삽입홈(12a,12c)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턱(11b,11d)은 우측 세로방향 벽체(14b)와 함께 또 다른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 삽입홈(12b,12d)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주요 기술적 특징 중 하나는 박스 내부에 수납되는 유리기판은 박스본체(10)와 다른 재질로 분리 구성된 슬롯플레이트(20)를 통해 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스본체(10)는 유리기판과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지 않고 단순히 외부환경 및 충격으로부터 유리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요소인 바, 박스본체(10)를 발포성 수지 계열로 구성하더라도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와 같이 발포 재질의 고정돌기(21)에 의한 기판 오염과 표면 미세 스크래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바, 박스본체(10)는 발포성 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발포 성형 작업을 통해 제작되고, 바람직한 발포성 수지 재질은 발포 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 계열의 수지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계열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스본체(10)는 기본적으로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특히 포장용 박스 운반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주는 완충 기능이 뛰어난 장점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슬롯플레이트(20)는 종래 발포성 수지로만 구성된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의 취약점 즉, 기판오염 및 표면조도 불량 야기 등을 해결하기 위한 기구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슬롯플레이트(20)는 박스본체(10)와 다른 재질 즉, 비발포성 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또한 박스본체(10)와 분리 구성되어 착탈식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20)는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판부재로 구성되어 양측 높이방향(Y) 모서리부의 소정 면적은 끼움부(23a,23b)로 사용되고, 상기 끼움부(23a,23b)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의 일면 상에는 유리기판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플레이트(20)의 양측 끼움부(23a,23b)는 박스본체(10)에 구비된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 삽입홈(12b,12d)에 끼워짐으로써 세로방향 벽체(14b)에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돌출턱(11b,11d)은 세로방향 벽체(14b)의 내벽면으로부터 적어도 슬롯플레이트 끼움부(23a,23b)의 두께 만큼 이격된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슬롯플레이트(20)의 유리기판 고정부는 다수의 고정돌기(21)와 다수의 기판삽입홈(22)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1)는 슬롯플레이트(20)의 일측 벽면 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구비되고, 각각 고정돌기(21)는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이격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삽입홈(22)은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21)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 의해 한 개의 기판삽입홈(2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21)는 도 3(a)과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기판삽입홈(22)의 내측부(즉, 슬롯플레이트 베이스판 측)와 외측부(즉, 개구부 측)가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고정돌기(21')의 형상을 도 3(b)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구성하여 기판삽입홈(22')의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박스는 슬롯플레이트(20)가 슬롯플레이트 삽입홈(12b,12d)에 끼움 조립되면, 유리기판 고정부는 대칭 구조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턱(11b,11d) 사이 공간(K1)에 삽입 배치되어 유리기판 고정부가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슬롯플레이트(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유리기판 고정부의 수평방향(X) 폭은 한 쌍의 돌출턱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 폭(K1)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20)가 장착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0) 내부에는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20)가 상호 대향하도록 조립되는데, 각 슬롯플레이트(20)는 양측 끼움부(23a,23b)가 박스본체(10)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 삽입홈(12b,12d)을 타고 승·하강하며 끼워지고 분리됨으로써 박스본체(10)에 손쉽게 착탈식 결합 가능하게 된다.
박스본체(10) 내부에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20)를 조립 완료하면, 각 슬롯플레이트(20)의 유리기판 고정부가 상호 마주보게 되고, 박스본체(10)에 수납되는 유리기판은 그 세로방향 양측 모서리부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의 기판삽입홈(22)에 각각 끼워진 후 고정돌기(2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박스본체(10)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박스본체(10)는 발포성 수지 계열로 제조하되, 유리기판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지지 고정시키는 슬롯플레이트(20)는 박스본체(10)와 분리 구성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슬롯플레이트(20)는 비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포장용 박스는 발포성 수지의 장점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야기되었던 기판 오염 및 표면 미세 스크래치와 같은 단점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20)는 비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비발포성 재질은 비발포 고분자(Polymer) 수지를 채용하되 원료 생산 중 실리콘(Si)과 슬립제 성분 등의 첨가물이 없는 재료일수록 좋고, 특히 분자 구조가 안정되어 올리고머(Oligomer) 용출(즉, 유기용매 및 자연적 분리)이 적은 원료일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틸렌(Ethylene)이나 스타이렌 (Styrene)의 올리고머와 같이 유기용매에 녹기 쉽고, 분리가 쉽게 일어나는 수지 계열은 본 발명의 슬롯플레이트(20)를 구성함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비발포 수지계열을 적용 테스트한 바, 본 발명의 슬롯플레이트(2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계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PET(Amorphous-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A-PET"이라 칭함.)으로 구성하는 것이 최선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ET 수지 계열로 슬롯플레이트(20)를 구성할 경우 마찰 및 분진발생을 최소화하며 별도의 첨가물 없이 제품을 생산 가능한 이점이 있다.
A-PET는 비결정화도 5% 이하의 비결정성 상태의 PET로서 에틸렌글리콜(EG: Ethylene Glycol)을 100% 사용하여 만든 고분자 수지를 지칭하며, 결정화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유연하면서 강인하며 저온에서도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PET 슬롯플레이트의 표면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아래 "표 1"은 도 5에 대한 수치적 해석 데이터이다.
Series El AN unn. C
[wt.%]
Atom. C
[at.%]
Error
[%]
A-PET
슬롯플레이트
C 6 60.04 66.68 18.0
O 8 39.96 33.32 12.0
Total 100.00 100.00
도 5의 측정 그래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PET 재질로 제작한 슬롯플레이트(20)를 FT-IR TEST 기기를 사용하여 그 표면 성분을 측정한 것이다.
참고로, FT-IR 은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한꺼번에 조사하고 한번에 데이터를 검출하여 피크(Peak)를 읽는 방식으로 표면 성분을 분석하는 장비에 해당한다.
도 5 측정 그래프의 세로축은 적외선 파장 범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흡수 피크(Absorption Peak) 수를 나타내며 상기 피크(Peak)란 최대전력을 의미한다. 또한, 표 1은 도 5의 측정 그래프를 수치적으로 정량화시킨 실험 데이터로서 "El" 은 검출된 원소를, "AN"은 해당 원소의 주기율표 원자번호를, "unn. C"은 검출된 원소의 중량비를, "atom. C"는 검출 원소의 원자량비를, "Error"은 검출 원소가 아닐 확률을 각각 나타낸다.
도 5의 측정 그래프와 표 1의 실험 데이터에 제시된 바와 같이, A-PET 재질로 구성된 슬롯플레이트 표면에는 탄소(C)와 산소(O)만이 대략 6:4의 중량비로 존재하고 그 이외의 실리콘(Si) 이나 유기물 및 이물은 검출되지 않으며 매우 양호한 표면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PET 재질로 이루어진 슬롯플레이트는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발생하였던 유기물 얼룩 및 이물 전사에 의한 기판 오염 그리고 미세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고 유리기판 표면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PET 재질로 이루어진 슬롯플레이트와 접촉한 유리기판의 표면 성분을 분석한 측정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측정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피크(Peak) 세기를 나타내며, 총 4 개의 유리기판 즉, "GLASS-1 내지 GLASS-4" 를 대상으로 각각 그 표면을 측정하였다.
도 6의 측정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PET 재질로 구성된 슬롯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포장되었던 유리기판의 표면에는 워터피크(Water Peak)를 제외한 다른 피크(Peak)는 검출되지 않으며 양호한 표면 품질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나타난 워터피크(Water Peak)란 전달기체의 미량의 수분으로서 유리기판의 표면 품질과는 무관한 요소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박스본체(10)로부터 슬롯플레이트를 간단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로 분리 구성하여 박스의 재사용을 위한 세정을 손쉽게 완벽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이렇게 분리 구성된 슬롯플레이트를 PET 또는 A-PET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유리기판의 포장 과정에 발생하였던 기판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는 PET 재질 또는 A-PET 재질로 구성하였으나 PET-G 재질로 구성하여도 동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PET-G 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의 약자로 결정화도 시간을 늦추어 A-PET 보다 결정화 특성을 더욱 감쇄시키고 성형 시 백화 현상을 개선한 것으로서, 테레프탈산(TPA)과 에틸렌글리콜(EG)을 중합한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EG)의 일정량을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으로 대체하여 결정화를 지연함으로써 투명성과 가공성 및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ET-G 슬롯플레이트의 표면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아래 "표 2"는 도 7에 대한 수치적 해석 데이터이다.
Series El AN unn. C
[wt.%]
Atom. C
[at.%]
Error
[%]
PET-G
슬롯플레이트
C 6 65.42 71.60 19.7
O 8 34.54 28.38 10.4
Si 14 0.04 0.02 0.0
Total 100.00 100.00
도 7의 측정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ET-G 재질로 제작한 슬롯플레이트를 FT-IR TEST 기기를 사용하여 그 표면 성분을 측정한 것이다.
도 7 측정 그래프의 가로축은 적외선 파장 범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흡수 피크(Absorption Peak) 수를 의미한다. 또한, 표 2는 도 7의 측정 그래프를 수치적으로 정량화시킨 실험 데이터로서 "El" 은 검출된 원소를, "AN"은 해당 원소의 주기율표 원자번호를, "unn. C"은 검출된 원소의 중량비를, "atom. C"는 검출 원소의 원자량비를, "Error"은 검출 원소가 아닐 확률을 각각 나타낸다.
도 7의 측정 그래프와 표 2의 실험 데이터에 제시된 바와 같이, PET-G 재질로 구성된 슬롯플레이트 표면에는 탄소(C)와 산소(O)외 실리콘(Si) 성분이 검출되었으나 그 외 유기물이나 이물은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즉, PET-G 재질의 슬롯플레이트는 A-PET 재질의 슬롯플레이트에 비해 표면 품질이 약간 떨어지나 실리콘 성분 이외의 다른 유기물이나 이물은 존재하지 않고 실리콘 역시 매우 미세한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A-PET 슬롯플레이트와 거의 동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PET-G 재질로 이루어진 슬롯플레이트 역시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발생하였던 유기물 얼룩 및 이물 전사에 의한 기판 오염 그리고 미세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고 유리기판 표면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기구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슬롯플레이트(40)가 장착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박스본체(30)와, 상기 박스본체(3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박스덮개(미도시)와, 상기 박스본체(30) 내부에 착탈식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롯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박스본체(30)는 유리기판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환경 및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구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리기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벽체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박스본체(30)의 개방된 상부 영역에는 슬롯플레이트(40)를 내부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1)은 적어도 한 쌍의 세로방향 벽체의 상단면에 단차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고, 도 8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박스본체(30)의 상측면 주연부를 따라 걸림턱(31)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측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박스본체(30)는 발포성 수지 계열을 이용하여 발포 성형 작업을 통해 제작되고, 바람직한 발포성 수지 계열은 발포 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 계열의 수지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계열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스본체(30)는 기본적으로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특히 포장용 박스 운반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주는 완충 기능이 뛰어난 장점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40)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로 구성되어, 전면 상에는 유리기판 고정부가 구비되고 후면 상에는 슬롯플레이트 걸림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유리기판 고정부는 다수의 고정돌기(21)와 다수의 기판삽입홈(22)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1)는 슬롯플레이트(40)의 일측 벽면 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구비되고, 각각 고정돌기(21)는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이격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삽입홈(22)은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21)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 의해 한 개의 기판삽입홈(2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21)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기판삽입홈(22)의 내측부(즉, 슬롯플레이트 베이스판 측)와 외측부(즉, 개구부 측)가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고정돌기(21)의 형상을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구성하여 기판삽입홈(22)의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향할 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41)는 바람직하게는 "┒"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 형상 걸림부(41)는 슬롯플레이트(40)의 배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면이란 유리기판 고정부가 구비된 일면의 반대면의 상단부를 지칭한다. 이처럼 "┒" 형상의 걸림부(41)는 슬롯플레이트(40)의 상단부 모서리를 따라 슬롯플레이트(40)와 일체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개의 걸림부로 분리 구성하여 각 걸림부가 상단부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 형상의 걸림부(41)가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슬롯플레이트(40)를 세로방향 벽체를 따라 박스본체(30) 내부로 수직하게 하강시키면, 상기 "┒" 형상 걸림부(41)가 걸림턱(31)에 삽입되며 걸림동작함으로써 슬롯플레이트(40)는 박스본체(30) 내부에 장착 고정되고, 슬롯플레이트(40)를 간단히 들어올리기만 하면 박스본체(30)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슬롯플레이트(40)가 박스본체(3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 형상 걸림부 (41) 내측 폭은 적어도 걸림턱(31)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하여 걸림턱(31)이 "┒" 형상 걸림부(41)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박스본체(30) 내부에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40)를 조립 완료하면, 각 슬롯플레이트(40)의 유리기판 고정부가 상호 마주보게 되고, 박스본체(30)에 수납되는 유리기판은 그 세로방향 양측 모서리부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삽입홈(22)에 각각 끼워진 후 고정돌기(21)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박스본체(30)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4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발포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특히 바람직하게는 PET, A-PET 및 PET-G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재질로 형성되어 박스본체(30)로부터 착탈 가능한 슬롯플레이트 구성을 통해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발생하였던 유기물 얼룩 및 이물 전사에 의한 기판 오염 그리고 미세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고 유리기판 표면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엠보싱이 구비된 고정돌기(2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롯플레이트(40)의 유리기판 고정부는 다수의 고정돌기(21)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고정돌기(21)에는 엠보싱(Embossing: 21a 내지 21d)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과 같이 고정돌기(21)의 일측 벽면 또는 양측 벽면에 다수의 엠보싱(21a 내지 21d)이 양각 형태로 구비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21)가 유리기판을 협지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21)와 유기기판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유리기판 포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판 품질 저하 문제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엠보싱은 반구 형상이 상호 대향(21a)하거나 또는 어긋나게 배치(21c)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며, 또는 반구 형상 대신 타원 형상(21d), 다각형 모양(21b)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유리기판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고려할 때 반구 형상(21a,21c)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기구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박스본체(1)와, 상기 박스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박스덮개(미도시)와, 상기 박스본체(1) 내부에 착탈식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롯캡(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판오염 및 표면 불량 야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박스본체(1)는 유리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가 박스본체(1) 내부에 박스본체(1)와 동일한 재질 즉, 발포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박스본체(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박스본체(1)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의 각 내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돌기(3)와 기판삽입홈(5)이 교호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박스본체(1)를 구성하는 벽체와 바닥판은 물론 고정돌기(3) 역시 발포 폴리에틸렌(EPE) 계열의 수지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계열의 수지와 같은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슬롯캡(50)은 필름 시트(Film Sheet)로 이루어지되, 그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 성형되어, 박스본체(1) 내부에 구비된 기판삽입홈(5)에 꼭 맞게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3)와 상기 기판삽입홈(5)의 표면에 밀착하며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슬롯캡(50)은 1.2㎜ 내지 1.8㎜ 범위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최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의 실시예와 같이 박스본체(1)의 고정돌기(3)와 동일한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다수의 끼움부(51)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슬롯캡(50)의 수평방향(X) 단면 형상은 물결 모양 내지 요철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슬롯캡(50)은 박스벽체의 고정돌기(3)와 기판삽입홈(5)의 전체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고정돌기(3)의 높이방향(Y) 길이와 동일한 높이방향(Y)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고, 끼움부(51)는 고정돌기(3)와 동일한 개수 만큼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만약 박스본체(1)의 고정돌기(3)가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었다면, 슬롯캡(50)의 끼움부(51) 역시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굴곡지도록 구성되며, 상호 이웃하는 끼움부(51) 사이의 이격 공간(이하, 끼움홈)은 박스본체(1)의 기판삽입홈(5)에 삽입 배치된다.
도 12는 도 11의 슬롯캡(50)이 결합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의 상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롯캡(50)의 끼움부(51)는 고정돌기(3)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밀착하며 감싸고 동시에 각 기판삽입홈(5)에 끼워짐으로써 박스본체(1) 내부에 장착 고정된다. 또한 각 고정돌기(3)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슬롯캡(5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끼움 상태에서 벗어나며 박스본체(1)로부터 탈거됨으로써 박스본체(1)에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박스본체(1)의 양측 벽체에 슬롯캡(50) 장착이 완료되면, 박스본체(1)에 수납되는 유리기판은 상호 대향하는 슬롯캡(50)의 각 끼움홈에 그 세로방향 모서리부가 끼워진 후 슬롯캡(50)이 씌워진 고정돌기(3)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박스본체(1)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롯캡(5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발포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특히 바람직하게는 PET, A-PET 및 PET-G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재질로 형성되어 박스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슬롯플레이트 구성을 통해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서 발생하였던 유기물 얼룩 및 이물 전사에 의한 기판 오염 그리고 미세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고 유리기판 표면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는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에 PET 수지 계열로 이루어진 얇은 필름 형상의 슬롯캡(50)을 간단히 끼움 장착하기만 하면, 종래 발포 플라스틱제 포장용 박스의 고정돌기와 기판삽입홈에 의해 발생하였던 유기물/기타이물 전사와 표면 미세 스크래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박스 세정시 간단히 슬롯캡(50)만을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어 잔류하는 이물을 남김없이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바 추후 박스 재사용시 기판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데,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를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로 별개로 구성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가 혼합된 구조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10,30 : 박스본체 20,40 : 슬롯플레이트
11a,11b,11c,11d : 돌출턱 12a,12b,12c,12d : 슬롯플레이트 삽입홈
21 : 고정돌기 21a,21b,21c,21d : 엠보싱
22 : 기판삽입홈 23a,23b : 슬롯플레이트 끼움부
31 : 걸림턱 41 : 슬롯플레이트 걸림부
50 : 슬롯캡 51 : 슬롯캡 끼움부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리기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벽체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박스본체와, 일면 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통해 상기 박스본체 내부로 수납되는 유리기판의 양측 모서리부를 지지함으로써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의 일측 벽체의 내벽면과 상기 일측 벽체에 대향하는 타측 벽체의 내벽면의 모서리부에는 벽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돌출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은 상기 일측 벽체와 상기 타측 벽체를 연결하는 또 다른 하나의 벽체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상기 박스본체와 분리 구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형 부재의 양측 높이방향 모서리부는 상기 요홈을 타고 승·하강되며 상기 박스본체에 착탈식 결합되며,
    상기 박스본체는 발포성 수지 재질로 발포 형성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비발포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2.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리기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벽체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박스본체와, 일면 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통해 상기 박스본체 내부로 수납되는 유리기판의 양측 모서리부를 지지함으로써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슬롯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는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벽체의 상단면에 단차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된 일면의 반대면의 상단부에 "┒" 단면 형상의 걸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 형상의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며 걸림동작함으로써 상기 박스본체에 착탈식 결합되며,
    상기 박스본체는 발포성 수지 재질로 발포 형성되고,
    상기 슬롯플레이트는 비발포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삽입홈이 일정한 폭을 갖도록 대략 직사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판삽입홈이 개구부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4.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리기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벽체와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의 각 내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돌기와 기판삽입홈이 교호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필름 시트로 이루어지되 요철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 성형되어, 상기 기판삽입홈에 꼭 맞게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기판삽입홈의 전체 표면을 밀착하며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슬롯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장용 박스는 발포성 수지 재질로 발포 형성되고,
    상기 슬롯캡은 비발포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5. 제1 항, 제2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포성 수지 재질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Amorphous-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6. 제1 항, 제2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재질은 발포 폴리에틸렌(EPE)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 (EPP)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일측 벽면 또는 양측 벽면에는 다수의 엠보싱이 양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KR1020100044369A 2010-05-12 2010-05-12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Ceased KR20110124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69A KR20110124913A (ko) 2010-05-12 2010-05-12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JP2011104842A JP5247851B2 (ja) 2010-05-12 2011-05-10 表示装置ガラス基板包装用ボックス
CN201110121485.6A CN102275686B (zh) 2010-05-12 2011-05-11 用于显示器玻璃衬底的包装盒
TW100116487A TWI460109B (zh) 2010-05-12 2011-05-11 用於顯示器玻璃基板的包裝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69A KR20110124913A (ko) 2010-05-12 2010-05-12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13A true KR20110124913A (ko) 2011-11-18

Family

ID=4510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369A Ceased KR20110124913A (ko) 2010-05-12 2010-05-12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47851B2 (ko)
KR (1) KR20110124913A (ko)
CN (1) CN102275686B (ko)
TW (1) TWI46010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376A (zh) * 2012-10-31 2013-03-06 深圳市美盈森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装面板包装箱
KR200471295Y1 (ko) * 2011-04-14 2014-02-12 보텍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유리기판 운송용 포장박스
CN106697601A (zh) * 2015-11-14 2017-05-24 衡阳市铭珠包装有限公司 一种双开式包装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7827B2 (ja) * 2012-01-24 2017-10-04 株式会社日本触媒 梱包体、梱包集合体及び梱包方法
CN102633064B (zh) * 2012-03-30 2014-07-16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包装缓冲材
TWI443050B (zh) * 2012-06-06 2014-07-01 Au Optronics Corp 包裝盒
KR101617275B1 (ko) * 2013-05-28 2016-05-0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기판 반송용 박스
CN103342461A (zh) * 2013-06-24 2013-10-09 句容骏成电子有限公司 一种ito玻璃在高温处理工艺中使用的周转工装
TWI554449B (zh) * 2013-09-30 2016-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包裝結構
JP2015085940A (ja) * 2013-10-28 2015-05-07 日立化成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用梱包箱及び粘着フィルム梱包セット
WO2016002978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보트
CN104709611B (zh) * 2015-03-27 2017-01-25 芜湖县宏鑫达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分离式固定的包装箱底托
CN110085647B (zh) * 2019-05-13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封装方法及封装系统
CN113078083A (zh) * 2020-01-03 2021-07-06 环晟光伏(江苏)有限公司 一种用于叠瓦、半片大尺寸硅片扩散用石英舟及扩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9A (ja) * 1992-06-22 1994-01-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硝子基板搬送用容器
JP3325385B2 (ja) * 1994-03-28 2002-09-17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H0864669A (ja) * 1994-08-25 1996-03-08 Hitachi Cable Ltd ウエハボックス
JPH08301354A (ja) * 1995-05-12 1996-11-19 Asahi Chem Ind Co Ltd 板状ガラス部品搬送箱
JPH09216685A (ja) * 1996-02-08 1997-08-19 Nippon Valqua Ind Ltd 基板用カセット
DE19630599A1 (de) * 1996-07-31 1998-02-05 Hoechst Ag Polyethylenterephthalat-Platte mit verbesserter Hydrolysestabilitä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3094305U (ja) * 2002-11-26 2003-06-13 博助 江 割れ物用運送箱
JP2004203436A (ja) * 2002-12-25 2004-07-22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4218755B2 (ja) * 2003-08-20 2009-02-04 旭平硝子加工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5193910A (ja) * 2003-12-26 2005-07-21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5193911A (ja) * 2003-12-26 2005-07-21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4417119B2 (ja) * 2004-01-08 2010-02-17 ディー・エー・ピ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ケース
TWI225457B (en) * 2004-02-26 2004-12-21 Yen-Ling Huang Transportation box for glass substrates containing disposable supporting boards
CN2711086Y (zh) * 2004-07-08 2005-07-20 常宏保丽龙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的封装结构
KR100842819B1 (ko) * 2004-10-05 2008-07-03 토시로 후지와라 기판반송용 용기, 이 반송용기의 내벽구조 및 이 반송용용기에 사용되는 바닥올림부재
JP3850852B2 (ja) * 2004-10-05 2006-11-29 俊郎 藤原 基板搬送用容器
JP2006159859A (ja) * 2004-12-10 2006-06-22 Boron International:Kk 多層構造の帯電防止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95Y1 (ko) * 2011-04-14 2014-02-12 보텍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유리기판 운송용 포장박스
CN102951376A (zh) * 2012-10-31 2013-03-06 深圳市美盈森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装面板包装箱
CN106697601A (zh) * 2015-11-14 2017-05-24 衡阳市铭珠包装有限公司 一种双开式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60109B (zh) 2014-11-11
CN102275686B (zh) 2014-05-07
JP2011235963A (ja) 2011-11-24
TW201200429A (en) 2012-01-01
JP5247851B2 (ja) 2013-07-24
CN102275686A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4913A (ko) 표시장치 유리기판 포장용 박스
JP2552625B2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CN201321216Y (zh) 易碎板片包装保护装置改良结构
CN111051218A (zh) 容器
JPH08301354A (ja) 板状ガラス部品搬送箱
CN103523398A (zh) 包装材及包装体
US20160272412A1 (en)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for display panel
KR101462975B1 (ko) 유리 기판 곤포 상자
JP5649923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US20200189825A1 (en) Container
CN201148247Y (zh) 缓冲垫体
US20050189253A1 (en) Glass substrate transport box containing disposable support boards
CN203581671U (zh) 补强构件及面板搬运容器
CN201046832Y (zh) 易碎板片包装箱改良结构
KR100835320B1 (ko) 카세트 케이스 곤포용 완충체
CN101850880A (zh) 包装结构
JP2004051131A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WO2006101289A1 (en) Apparatus for packing thin film display panel
TW201341278A (zh) 緩衝包裝盒
CN200941138Y (zh) 液晶模块的承载盘
TWI480211B (zh) 包裝組合及其包裝方法
JP3871924B2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5031857B2 (ja) ガラス基板のパックおよびアンパック方法
TWI412475B (zh) 偏光板用裝載箱
JP3904108B2 (ja) 梱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