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731A - 전자 부품용 접착제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용 접착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3731A KR20110123731A KR1020117017871A KR20117017871A KR20110123731A KR 20110123731 A KR20110123731 A KR 20110123731A KR 1020117017871 A KR1020117017871 A KR 1020117017871A KR 20117017871 A KR20117017871 A KR 20117017871A KR 20110123731 A KR20110123731 A KR 20110123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components
- adhesive
- epoxy
- weight part
- prefer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1 episulfid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GYZLOYUZLJXAJU-UHFFFAOYSA-N diglycidyl ether Chemical group C1OC1COCC1CO1 GYZLOYUZLJXAJU-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8065 acid anhydrides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7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lass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GHMLBKRAJCXXBS-UHFFFAOYSA-N resorcinol Chemical compound OC1=CC=CC(O)=C1 GHMLBKRAJCXX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AOBIOSPNXBMOAT-UHFFFAOYSA-N 2-[2-(oxiran-2-ylmethoxy)ethoxymethyl]oxirane Chemical compound C1OC1COCCOCC1CO1 AOBIOSPNXBMO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RAXXELZNTBOGNW-UHFFFAOYSA-N imidazole Natural products C1=CNC=N1 RAXXELZNTBOG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PAYRUJLWNCNPSJ-UHFFFAOYSA-N Anil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 PAYRUJLWNCNP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460 imid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WVRNUXJQQFPNMN-VAWYXSNFSA-N 3-[(e)-dodec-1-enyl]oxolane-2,5-dio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1CC(=O)OC1=O WVRNUXJQQFPNMN-VAWYXSNF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GOYGTBXFJBGGLI-UHFFFAOYSA-N 7a-but-1-enyl-3a-methyl-4,5-dihydro-2-benzofuran-1,3-dio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O)OC(=O)C21C=CCC GOYGTBXFJBGGL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827 glyco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0 inorganic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553 thiir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MYRTYDVEIRVNKP-UHFFFAOYSA-N 1,2-Divi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 MYRTYDVEIRVN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ALRKNHUBBKYCC-UHFFFAOYSA-N 2-(chloromethyl)pyridine-3-carbonitrile Chemical compound ClCC1=NC=CC=C1C#N FALRKNHUBBKY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883 imid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FSLODLOARCGLH-UHFFFAOYSA-N isocyanu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NC(O)=NC(O)=N1 ZFSLODLOARCG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BJFYLLAMSZSOG-UHFFFAOYSA-N n-(3-trimethoxysilylprop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NC1=CC=CC=C1 KBJFYLLAMSZS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14800 succinic anhyd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4 sulfur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MOUUZVZFBCRAM-OLQVQODUSA-N (3as,7ar)-3a,4,7,7a-tetrahydro-2-benzofuran-1,3-dione Chemical compound C1C=CC[C@@H]2C(=O)OC(=O)[C@@H]21 KMOUUZVZFBCRAM-OLQVQODUSA-N 0.000 description 1
- KOMNUTZXSVSERR-UHFFFAOYSA-N 1,3,5-tris(prop-2-enyl)-1,3,5-triazinane-2,4,6-trione Chemical compound C=CCN1C(=O)N(CC=C)C(=O)N(CC=C)C1=O KOMNUTZXSVSE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ECLRDQVFMWTQS-RGOKHQFPSA-N 1755-01-7 Chemical compound C1[C@H]2[C@@H]3CC=C[C@@H]3[C@@H]1C=C2 HECLRDQVFMWTQS-RGOKHQFPSA-N 0.000 description 1
- HDPLHDGYGLENEI-UHFFFAOYSA-N 2-[1-(oxiran-2-ylmethoxy)propan-2-yloxymethyl]oxirane Chemical compound C1OC1COC(C)COCC1CO1 HDPLHDGYGLEN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31 2-cyano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N 0.000 description 1
- BMRULEQJKZIMOY-UHFFFAOYSA-N 3-(2-ethenylphenyl)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C=C BMRULEQJKZIM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YPJEBKDLFIDL-UHFFFAOYSA-N 3-(2-phenylimidazol-1-yl)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N1C=CN=C1C1=CC=CC=C1 BVYPJEBKDLFI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ZVHEAJQGPRDLQ-UHFFFAOYSA-N 6-phenyl-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C=2C=CC=CC=2)=N1 GZVHEAJQGPRD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97 Calcium carb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1 Diallyl-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group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UDWYFHPNIMBFC-UHFFFAOYSA-N bis(prop-2-enyl) benzene-1,2-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C(=O)OCC=C QUDWYFHPNIMB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6691 bisphenol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51 cationic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22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BSISYHAICWAH-UHFFFAOYSA-N dicyandiamide Chemical compound NC(N)=NC#N QGBSISYHAICW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066 dodecenyl group Chemical group C(=CCCCCCCCCCC)*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85 fumed silic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5 high-speed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9 latent hard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AUOPRZOGIRSMI-UHFFFAOYSA-N n-(oxiran-2-ylmeth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OC1CNC1=CC=CC=C1 VAUOPRZOGIRS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6 polymethylpen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80 polyphen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3 slur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84 succ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LZWAWBPWVRRGI-UHFFFAOYSA-N tert-butyl 2-[2-[2-[2-[bis[2-[(2-methylpropan-2-yl)oxy]-2-oxoethyl]amino]-5-bromophenoxy]ethoxy]-4-methyl-n-[2-[(2-methylpropan-2-yl)oxy]-2-oxoethyl]anilino]acetate Chemical compound CC1=CC=C(N(CC(=O)OC(C)(C)C)CC(=O)OC(C)(C)C)C(OCCOC=2C(=CC=C(Br)C=2)N(CC(=O)OC(C)(C)C)CC(=O)OC(C)(C)C)=C1 CLZWAWBPWVRR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12 tertiary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NOCGWVLWPVKAO-UHFFFAOYSA-N trimethoxy(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1=CC=CC=C1 ZNOCGWVLWPVK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1/02—Polyalkylene 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2—Mounting semiconductor bodies in con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H01L23/295—Organic, e.g. plastic containing a fill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6—Material
- H01L2924/1578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non metallic, non metalloid inorganic material
- H01L2924/15788—Glasses, e.g. amorphous oxides, nitrides or fluo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전자 부품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에도,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및 경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인 전자 부품용 접착제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얇은 전자 부품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에도,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차 반도체 칩 등의 전자 부품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예를 들어 반도체 칩의 박편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접착제를 개재하여 전자 부품끼리, 전자 부품과 기판을 접착할 때에 전자 부품에 발생되는 휨의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또, 반도체 칩을 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기판 전체를 적외선 등으로 가열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이 사용되고, 패키지가 200 ℃ 이상인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 때문에, 패키지 내부, 특히 접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수분의 급격한 기화·팽창으로 인하여 패키지 크랙이 발생되어,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리플로우 크랙의 문제도, 점차 높은 레벨의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화물의 탄성률이 낮아지도록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설계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경화물의 탄성률이 낮은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내 (耐) 리플로우 크랙성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휨의 발생 방지와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 방지는 양립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 에는, 휨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 방지를 과제로 하여, 특정한 이미드 화합물과,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등의 액상 고무 화합물과, 라디칼 개시제와, 필러가 배합된 수지 페이스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지 페이스트를 경화시킨 경화물은 저응력인 점에서, 휨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수지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두께 수 십 ㎛ 정도의 얇은 반도체 칩을 기판에 접착하면, 경화된 수지의 탄성률이 높아, 칩의 휨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 에는, 특히 구리에 대한 내리플로우 크랙성이 향상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서, 에폭시 수지와 에피술파이드 수지를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그 에피술파이드 수지로서 비스페놀 A 형 에피술파이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한 내용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경화된 수지의 탄성률이 높아 두께 수 십 ㎛ 정도의 반도체 칩에서는 휨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얇은 전자 부품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에서도,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및 경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인 전자 부품용 접착제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 매카니즘을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그 결과, 리플로우 크랙에는, 기판 또는 전자 부품끼리의 접착력 부족에 의한 계면 박리와, 가교 부족에 의한 응집 박리의 2 가지의 발생 패턴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이 분석을 기초로, 더욱 예의 검토한 결과,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및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물이 유연해져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응집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하여, 응집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은 에폭시 화합물에 비하여 전자 부품이나 기판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계면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은 에폭시 화합물에 비하여 반응성이 높고,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가교도를 올려 탄성률을 높이는 효과도 갖는 점에서, 휨의 발생을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배합량으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이하,「에폭시 화합물 (A1)」이라고도 한다.) 을 함유한다.
상기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은,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골격,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 (A1) 을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유연성이 높아져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헥사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유연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점에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의 수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800, 바람직한 상한은 10000 이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의 수평균 분자량이 800 미만이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유연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0000 을 초과하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점도가 높아져, 전자 부품을 접착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의 수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5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0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90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500 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을 스탠다드로서 구한 값으로서, 예를 들어 Waters 사 제조의 측정 장치 (칼럼을 쇼와 전공사 제조 Shodex GPC LF-804 (길이 300 ㎜) × 2 개, 측정 온도를 40 ℃, 유속을 1 ㎖/min, 용매를 테트라히드로푸란, 표준 물질을 폴리스티렌으로 하는 조건) 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은, E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3 ℃, 5 rpm 의 조건에서 측정된 점도가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의 점도가 500 ㎜㎩ 이하이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도포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에포고세이 PT (요카이치 합성사 제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EX-841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한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에폭시기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과 반응함과 함께, 아크릴 폴리머 골격에 의하여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파단 강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응집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는, 주사슬에 아크릴 폴리머 골격을 갖고, 측사슬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0, 바람직한 상한은 1000 이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이 300 미만이면,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탄성률이 커져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이 1000 을 초과하면, 가교점이 적고,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응집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0 이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0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0 이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응집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0000 을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00 이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CP-30 (니치유사 제조, 에폭시 당량 530, 수평균 분자량 9000), CP-50S (니치유사 제조, 에폭시 당량 310, 수평균 분자량 20000), CP-20SAP (니치유사 제조, 에폭시 당량 750, 수평균 분자량 8000) 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함유량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4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40 중량부이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배합량이 4 중량부 미만이면, 응집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전자 부품을 접착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은, 에폭시 화합물에 비하여 전자 부품이나 기판에 대한 접착력이 높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에 대하여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을 소정량 함유함으로써, 기판과의 계면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률도 적정화할 수 있어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은, 에피술파이드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 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의 산소 원자를 황 원자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비스페놀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의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치환된 것), 수소 첨가 비스페놀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액상이고,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점도를 필요 이상으로 올리지 않는 점에서, 수소 첨가 비스페놀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첨가 비스페놀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YL-7007 (쟈판 에폭시 레진사 제조,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이다.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계면 박리에 의한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탄성률이 높아져,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과는 별도로 방향족 골격을 갖고, 또한 분자량이 150 ∼ 500 인 에폭시 화합물 (A2)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 (A2) 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고온에서의 탄성률을 높일 수 있어 접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 속도도 빨라지는 점에서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분자량이 150 미만이면, 열 경화 중에 휘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500 을 초과하면, 충분한 고온 탄성률 향상 효과나 경화 속도의 촉진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0 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분자량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구조식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당해 구조식에서 산출할 수 있는 분자량을 의미한다. 또, 에폭시 화합물 (A2) 가 중합체로서 구조식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는, 예를 들어 아닐린형 에폭시 화합물, 디시클로 펜타디엔형 에폭시 화합물, 레조르시놀형 에폭시 화합물, 나프탈렌형 에폭시 화합물, 비페닐형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점도를 낮출 수 있고, 도포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아닐린형 에폭시 화합물, 레조르시놀형 에폭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닐린형 에폭시 화합물은, 예를 들어 글리시딜옥시-N,N-글리시딜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닐린형 에폭시 화합물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EP-3900S, EP-3950 (모두 ADEKA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레조르시놀형 에폭시 화합물은, 예를 들어 m-레조르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o-레조르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레조르시놀형 에폭시 화합물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EX-201, EX-203 (모두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함유량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20 중량부이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고온에서의 탄성률 향상 등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유연성이 낮아져,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 (A2) 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경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경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알킬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숙신산 무수물 등의 산무수물 경화제나, 페놀계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디시안디아미드 등의 잠재성 경화제나, 카티온계 촉매형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접착 신뢰성이 높은 점에서 산무수물 경화제가 바람직하고,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산무수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산무수물을 사용하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유연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어,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산무수물은, 예를 들어 도데세닐 무수 숙신산, 테트라프로페닐 무수 숙신산, 메틸부테닐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산무수물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DDSA (신닛폰 리카사 제조, 도데세닐 무수 숙신산), YH-306 (쟈판 에폭시 레진사 제조, 메틸부테닐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경화제가 등량 반응하는 경화제인 경우, 모든 경화성 성분 (에폭시 화합물 (A1),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에폭시 화합물 (A2)) 의 경화성 관능기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이 30 당량, 바람직한 상한이 110 당량이다. 또, 상기 경화제가 촉매로서 기능하는 경화제인 경우, 모든 경화성 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이 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추가로 경화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촉진제를 함유함으로써 경화 속도나 접합 신뢰성 등의 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 3 급 아민계 경화 촉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 촉진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경화 속도나 경화물의 물성 등을 조정하기 위한 반응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가 바람직하다. 또,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 중에서도 에폭시와의 어덕트형인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와의 어덕트형인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를 사용하면, 저장 안정성을 유지한 채로 비교적 저온, 단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의 1 위치를 시아노에틸기로 보호한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이나, 이미다졸의 1 위치를 이소시아누르산으로 보호한 것 (2MA-OK, 시코쿠 화성 공업사 제조, 또는 PN-23J, 아지노모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함유량은, 모든 경화성 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이 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20 중량부이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나 접합 신뢰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 후에 미반응의 경화 촉진제가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추가로 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열팽창을 억제할 수 있어 전자 부품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이면,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에 첨가하여도 점도의 상승을 작게 할 수 있어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도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페닐트리메톡시실란, 3-(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실리카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헨셸 믹서 또는 V 형 믹서 등의 고속 교반 가능한 믹서 중에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란 커플링제를 믹서 중에 직접 첨가하는 방법이나, 헨셸 믹서 또는 V 형 믹서 등의 고속 교반 가능한 믹서 중에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알코올 수용액, 유기 용매 용액 혹은 수용액을 믹서 중에 첨가하는 건식법이나, 실리카 입자의 슬러리 중에 유기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는 슬러리법이나, 실리카 입자를 건조시킨 후에, 실란 커플링제를 스프레이 부여하는 스프레이법 등의 직접 처리법이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조제시에, 실리카 입자와 다른 성분의 혼합시에 실란 커플링제를 직접 첨가하는 인테그랄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실리카 입자를 표면 처리할 때의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으로는, 실리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이 0.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15 중량부이다. 상기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실리카 입자가 충분히 표면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의 실란 커플링제가 잔존하여,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는, 예를 들어 SE-4050-SPE (아도마텍스사 제조) 등의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5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400 중량부이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물의 열팽창을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4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하여 도포 안정성이 열등한 경우가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 중량부이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500 ㎚, 바람직한 상한은 20 ㎛ 이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이 500 ㎚ 미만이면, 실리카의 첨가에 의한 점도 상승이 현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이 20 ㎛ 를 초과하면, 최대 입경도 커져, 전자 부품을 접합할 때의 접합재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추가로 스페이서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자 부품을 적층하여 접착할 때, 전자 부품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형상은 구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는 애스펙트비의 바람직한 상한이 1.1 이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애스펙트비가 1.1 이하이면, 전자 부품을 적층할 때에 전자 부품끼리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애스펙트비란, 입자의 단경 길이에 대한 입자의 장경 길이의 비 (장경 길이/단경 길이) 를 의미한다. 애스펙트비의 값이 1 에 가까울수록 스페이서 입자의 형상은 진구에 가까워진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평균 입경은, 전자 부품 간의 간격이 원하는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200 ㎛ 이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 미만이면, 스페이서 입자의 입경 정도로까지 전자 부품 간의 간격을 줄이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고, 200 ㎛ 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 간의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평균 입경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9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는, 입경의 CV 값이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의 CV 값이 10 % 를 초과하면, 입경의 편차가 큰 점에서, 전자 부품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해진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입경의 CV 값은 6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CV 값이란 하기 식에 의하여 구해지는 수치이다.
CV 값 (%) = (σ2/Dn2) × 100
상기 식 중, σ2 는 입경의 표준 편차를 나타내고, Dn2 는 수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입자 또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입자를 구성하는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등의 비가교 수지나,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비닐벤젠 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디알릴프탈레이트 중합체,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중합체, 벤조구아나민 중합체 등의 가교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페이서 입자의 경도와 압축 회복률을 조정하기 쉽고,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가교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는 필요에 따라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에 표면 처리를 행함으로써,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점도를 용이하게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전자 부품용 접착제가 전체적으로 소수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페이서 입자의 표면에 친수기를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스페이서 입자의 표면에 친수기를 부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스페이서 입자로서 상기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입자의 표면을 친수기를 갖는 커플링제로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이 0.0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1 중량부이다. 상기 스페이서 입자의 함유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전자 부품끼리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끼리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거나, 다른 성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적어져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도포성이나 경화물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무기 이온 교환체를 함유하여도 된다. 무기 이온 교환체를 함유함으로써, 전자 부품용 접착제 중의 이온 불순물을 트랩하여 전자 부품의 전극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이온 교환체의 시판품은, 예를 들어 IXE 시리즈 (토아 합성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점도를 조정하는 목적에서 증점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상기 증점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에틸셀룰로오스, 탄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증점제의 함유량은, 모든 경화성 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이 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블리드 방지제, 접착성 부여제의 종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E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 10 rpm 의 조건에서 측정된 점도의 바람직한 하한이 5 ㎩·s, 바람직한 상한이 30 ㎩·s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점도가 5 ㎩·s 미만이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전자 부품 상에 도포했을 때, 도포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유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30 ㎩·s 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전자 부품 상에 균일하게 혹은 원하는 형상으로 도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전자 부품용 접착제 점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 ㎩·s,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s 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점도가 30 ㎩·s 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자 부품끼리를 본딩한 후, 전자 부품 간에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미충전 부분이 있는 경우, 실온에서 전자 부품 또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전자 부품용 접착제가 미충전 부분에 확산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E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 5 rpm 의 조건에서 측정된 점도를, 25 ℃, 0.5 rpm 의 조건에서 측정된 점도로 나눈 값 (틱소트로피값) 이 2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틱소트로피값이 2 이상이면, 기판에 수분이 잔존한 경우에도 수분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어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틱소트로피값이 5 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자 부품끼리를 본딩한 후, 전자 부품 간에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미충전 부분이 있는 경우, 실온에서 전자 부품 또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전자 부품용 접착제가 미충전 부분에 확산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경화물의 리플로우 온도에서의 탄성률의 바람직한 하한이 6 ㎫, 바람직한 상한이 35 ㎫ 이다. 상기 리플로우 온도에서의 탄성률이 6 ㎫ 미만이면,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35 ㎫ 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리플로우 온도에서의 탄성률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이 25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이 7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이 20 ㎫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의 바람직한 하한이 ―20 ℃, 바람직한 상한이 25 ℃ 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20 ℃ 미만이면, 전자 부품용 접착제에 충분한 내열성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25 ℃ 를 초과하면,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이 ―1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이 20 ℃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이 ―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이 15 ℃ 이고, 더욱더 바람직한 하한이 0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이 12 ℃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화합물 (A1),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및 경화제와,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혼합한 후, 상기 실리카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혼합 방법은, 예를 들어 호모 디스퍼, 만능 믹서, 밴버리 믹서, 또는 니더 등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는 반도체 칩 등의 전자 부품끼리의 접착이나, 전자 부품과 기판의 접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사용하면, 얇은 전자 부품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에도,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전자 부품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에도,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18 및 비교예 1 ∼ 4)
표 1, 표 2 및 표 3 에 나타낸 각 성분을 각 배합 비율로 배합하고, 호모 디스퍼를 사용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사용한 각 성분은 아래와 같다.
(1) 에폭시 화합물 (A1)
에포고세이 PT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요카이치 합성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900)
EXA-4850-150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골격 함유 에폭시, 다이닛폰 잉크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900)
EXA-4850-1000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골격 함유 에폭시, 다이닛폰 잉크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700)
EP-931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770)
(2)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CP-15 (니치유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11000, 에폭시 당량 1000)
CP-30 (니치유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9000, 에폭시 당량 530)
CP-50M (니치유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10000, 에폭시 당량 310)
CP-50S (니치유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20000, 에폭시 당량 310)
CP-20SAP (니치유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8000, 에폭시 당량 750)
(3)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YL-7007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쟈판 에폭시 레진사 제조)
(4) 에폭시 화합물 (A2)
EX-201 (레조르시놀형 에폭시 화합물,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분자량 222)
(5) 실리카 입자 (필러)
SE-4050―SPE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 1 ㎛, 아도마텍스사 제조)
SE-4050―SEE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 1 ㎛, 아도마텍스사 제조)
(6) 경화제
DDSA (도데세닐 무수 숙신산, 신닛폰 리카사 제조)
YH-306 (메틸부테닐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쟈판 에폭시 레진사 제조)
(7) 경화 촉진제
2MZ-A (이미다졸 화합물, 시코쿠 화성 공업사 제조)
PN-23J (에폭시 어덕트형 이미다졸 화합물, 아지노모토사 제조)
(8) 스페이서 입자
SP-210 (평균 입경 10 ㎛,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9) 실란 커플링제
KBM-573 (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10) 증점제
PM-20L (표면 실리코운 오일 처리 흄드실리카, 토크야마사 제조)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자 부품용 접착제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표 2 및 표 3 에 나타냈다.
(1) 경화 전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평가
(1-1) 점도의 측정
E 형 점도 측정 장치 (VISCOMETER TV-22, 토카이 산업사 제조, φ15 ㎜ 로터를 사용) 를 사용하여 25 ℃, 10 rpm 의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1-2) 도포 안정성의 평가
에어 디스펜서 (SHOT MASTER300, 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를 사용하여, 도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사용한 부품은 정밀 노즐 (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내경 0.3 ㎜), 10 ㎖ 시린지 (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이다. 토출 조건은 토출압 0.4 ㎫, 반도체 칩과 니들의 갭 200 ㎛ 로, 토출량 5 ㎎ 목표로 40 회 투여를 실시하였다.
도포 안정성에 대하여, 40 회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0.3 ㎎ 미만인 경우를「◎」, 40 회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0.3 ㎎ 이상 0.5 ㎎ 미만인 경우를「○」, 40 회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0.5 ㎎ 이상 1.0 ㎎ 미만인 경우를「△」, 40 회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1.0 ㎎ 이상인 경우를「×」로 평가하였다.
(2) 경화 후의 전자 부품용 접착제의 평가
(2-1) 리플로우 온도에서의 탄성률의 측정
전자 부품용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의 경화물에 대하여, 점탄성 측정기 (형식「DVA-200」,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5 ℃/분, 인장, 파지 폭 24 ㎜, 10 Hz 에서 ―60 ℃ 로부터 300 ℃ 까지 승온시켜 탄성률 (㎫) 을 측정하였다. 이 때, tanδ 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 (℃) 로 하였다.
(3) 전자 부품 접합체의 평가
(3-1) 반도체 칩의 휨 평가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10 ㎖ 시린지 (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에 충전하고, 시린지의 선단에 정밀 노즐 (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노즐 선단 직경 0.3 ㎜) 을 장착하고, 디스펜서 장치 (SHOT MASTER300, 무사시 엔지니어링사 제조) 를 사용하여, 토출압 0.4 ㎫, 반도체 칩과 니들의 갭 200 ㎛ 및 도포량 5 ㎎ 의 조건에서,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유리 기판 상에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도포시에는, 접합 부분의 중앙 영역의 도포량에 대한 접합 부분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외주 가장자리 영역의 도포량의 비가 4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페리페랄 형상으로 110 ㎛ 의 패드 개구부를 172 개 갖는 반도체 칩 (두께 80 ㎛, 가로세로 10 ㎜ × 10 ㎜, 메시 형상 패턴, 알루미늄 배선의 두께 0.7 ㎛, L/S = 15/15, 표면의 질화실리콘막의 두께가 1.0 ㎛) 을 준비하였다. 플립 칩 본더 (DB-100, 시부야 공업사 제조) 를 사용하여, 접착제층이 형성된 유기 기판 (다이쇼 전자사 제조, 두께 180 ㎛) 에 반도체 칩을, 상온에서 0.1 ㎫ 의 압력으로 5 초간 압압함으로써 적층하였다. 그 후, 110 ℃ 40 분, 170 ℃ 15 분간 가열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전자 부품 접합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전자 부품 접합체에 대하여, 레이저 변위계 (KEYENCE사 제조 LT9010M, KS-1100) 를 사용하여, 반도체 칩의 상면의 높이 위치를 측정하고, 반도체 칩의 대각선 상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의 최대차인 휨량을 구하였다.
(3-2) 내리플로우성 평가
얻어진 전자 부품 접합체를, 85 ℃ 및 상대 습도 85 % 의 항온 항습 오븐에 48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전자 부품 접합체를, 180 ℃ 이상이 20 초 이상이고, 또한 최고 온도가 260 ℃ 이 되는 IR 리플로우 로 (爐) 에 3 회 투입하였다. 리플로우 처리 후, 전자 부품 접합체 30 개 중에서의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 개수를 초음파 탐상 장치 (SAT) 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내리플로우성에 대하여, 리플로우 크랙 발생수가 0 개인 경우를「◎」, 리플로우 크랙 발생수가 1 개인 경우를「○」, 리플로우 크랙 발생수가 2 개인 경우를「△」, 리플로우 크랙 발생수가 3 개 이상인 경우를「×」로 평가하였다.
(3-3) 갭 유지성의 평가
얻어진 전자 부품 접합체에 대하여 샘플을 10 개 제작하고, 각 전자 부품 접합체의 적층 상태를 레이저 변위계 (KS-1100, KEYENCE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칩과 기판 상면의 단차를 측정하고, 측정치에서 칩 두께를 뺌으로써, 칩과 기판 사이의 거리를 구하였다. 칩-기판 간 거리가 10 개의 샘플 모두에서 5 ∼ 15 ㎛ 의 범위에 있는 경우를「○」, 하나라도 5 ∼ 15 ㎛ 의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는「×」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전자 부품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에도, 전자 부품의 휨의 발생과 리플로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폴리머, 에피술파이드 화합물 및 경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은, 수평균 분자량이 800 ∼ 1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폴리머는 에폭시 당량이 300 ∼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폴리머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 ∼ 5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은 수소 첨가 비스페놀형 에피술파이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경화제는 산무수물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향족 골격을 갖고,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 150 ∼ 500 인 에폭시 화합물을,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추가로, 실리카 입자를, 지방족 폴리에테르 골격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4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8 항에 있어서,
실리카 입자는 페닐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추가로, 스페이서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18390 | 2009-01-29 | ||
JPJP-P-2009-018390 | 2009-01-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3731A true KR20110123731A (ko) | 2011-11-15 |
Family
ID=4239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7871A Withdrawn KR20110123731A (ko) | 2009-01-29 | 2010-01-29 | 전자 부품용 접착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901207B2 (ko) |
JP (2) | JP4729130B2 (ko) |
KR (1) | KR20110123731A (ko) |
CN (1) | CN102292407B (ko) |
TW (1) | TWI481685B (ko) |
WO (1) | WO201008744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4009A (ko) * | 2016-03-30 | 2018-11-20 |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 인덕터용 접착제 및 인덕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21416B2 (ja) * | 2010-12-13 | 2015-05-20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熱伝導性接着剤 |
JP5176000B1 (ja) * | 2011-03-09 | 2013-04-03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電子部品用接着剤及び半導体チップ実装体の製造方法 |
JP2013079316A (ja) * | 2011-10-03 | 2013-05-02 | Sekisui Chem Co Ltd | 電子部品用接着剤 |
JP6009751B2 (ja) * | 2011-10-04 | 2016-10-19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フリップチップ実装用封止剤及び半導体チップ実装体の製造方法 |
JP6152043B2 (ja) * | 2012-11-30 | 2017-06-21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
JP6223155B2 (ja) * | 2013-11-29 | 2017-11-01 | サムスン エスディア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msung Sdi Co., Ltd. | 接着剤層用塗布組成物、半導体用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2851A (ja) * | 1998-08-31 | 2000-03-07 | Hitachi Chem Co Ltd | 樹脂ペー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
DE69921991T2 (de) * | 1999-02-08 | 2005-11-03 | The Yokohama Rubber Co., Ltd. | Harzzusammensetzungen |
US6559269B2 (en) * | 2001-03-09 | 2003-05-06 | The Yokohama Rubber Co., Ltd. |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novel latent curing agent |
JP2003268071A (ja) * | 2002-03-19 | 2003-09-25 | Toray Ind Inc | エポキシ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
US7022410B2 (en) | 2003-12-16 | 2006-04-04 | General Electric Company | Combinations of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US20060147719A1 (en) * | 2002-11-22 | 2006-07-06 | Slawomir Rubinsztajn | Curable composition, underfill, and method |
JP4027332B2 (ja) * | 2004-03-19 | 2007-12-26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半導体用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2006028250A (ja) * | 2004-07-13 | 2006-02-02 | Shin Etsu Chem Co Ltd |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
JP2006117824A (ja) * | 2004-10-22 | 2006-05-11 | Toray Ind Inc | 半導体装置用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用接着剤シート |
JP2006160953A (ja) * | 2004-12-09 | 2006-06-22 | Sekisui Chem Co Ltd | エポキシ系硬化性組成物及び電子部品 |
JP5124808B2 (ja) * | 2005-08-05 | 2013-01-23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
JP4640193B2 (ja) * | 2006-01-26 | 2011-03-02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エピスルフィド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
US7915743B2 (en) * | 2006-07-20 | 2011-03-29 | Sekisui Chemical Co., Ltd. | Adhesive for electronic compon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 laminate, and semiconductor device |
KR100988184B1 (ko) | 2007-07-19 | 2010-10-18 |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 전자 부품용 접착제 |
KR101547874B1 (ko) * | 2007-07-26 | 2015-08-27 |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 수지 조성물 |
US8420718B2 (en) * | 2008-07-24 | 2013-04-16 | Mitsui Chemicals, Inc. | Composition, polymerizable composition, resin,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ion |
-
2010
- 2010-01-29 WO PCT/JP2010/051253 patent/WO201008744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1-29 TW TW099102759A patent/TWI48168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1-29 CN CN201080004999.7A patent/CN10229240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1-29 US US13/146,571 patent/US890120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1-29 KR KR1020117017871A patent/KR2011012373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0-01-29 JP JP2010505501A patent/JP472913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2-25 JP JP2011039693A patent/JP2011116996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4009A (ko) * | 2016-03-30 | 2018-11-20 |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 인덕터용 접착제 및 인덕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292407A (zh) | 2011-12-21 |
JP4729130B2 (ja) | 2011-07-20 |
TWI481685B (zh) | 2015-04-21 |
WO2010087444A1 (ja) | 2010-08-05 |
JPWO2010087444A1 (ja) | 2012-08-02 |
JP2011116996A (ja) | 2011-06-16 |
US20120016057A1 (en) | 2012-01-19 |
TW201031726A (en) | 2010-09-01 |
CN102292407B (zh) | 2014-01-01 |
US8901207B2 (en) | 2014-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88337B2 (ja) | 電子部品用接着剤及び半導体チップ積層体の製造方法 | |
KR101031151B1 (ko) | 전자 부품 밀봉용 액상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부품 장치 | |
KR101044132B1 (ko) | 전자 부품용 액상 수지 조성물 및 전자 부품 장치 | |
JP5844963B2 (ja) | 電子部品用接着剤 | |
JP6340762B2 (ja) | アンダーフィル材を用いた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アンダーフィル材、及び電子部品装置 | |
JP4137827B2 (ja) | 導電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 |
KR20090045319A (ko) | 반도체 패키지와 그 제조 방법 및 봉지 수지 | |
KR20120130705A (ko) | 실페닐렌 구조 및 실록산 구조를 갖는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접착제 조성물, 접착 시트 및 반도체 장치 보호용 재료, 및 반도체 장치 | |
JP5114935B2 (ja) | 電子部品用液状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装置 | |
KR20110123731A (ko) | 전자 부품용 접착제 | |
JP5210011B2 (ja) | 電子部品用接着剤 | |
JP5534682B2 (ja) | 電子部品用熱硬化性接着剤及びこの接着剤を用いた電子部品内蔵基板の製造方法 | |
JP4339927B2 (ja) | 半導体チップの積層方法 | |
JP2008133354A (ja) | 半導体用接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接合体 | |
JP2002097257A (ja) |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 |
JP2006022195A (ja) | 硬化性樹脂組成物、接着性エポキシ樹脂シート及び回路基板接合体 | |
JP2009256466A (ja) | 電子部品用接着剤 | |
JP2012162710A (ja) | 半導体用接着剤 | |
JP6106389B2 (ja) | 先設置型半導体封止用フィルム | |
JP2008004751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2010239106A (ja) | 半導体チップ接合用接着剤 | |
JP2009269933A (ja) | 電子部品用接着剤 | |
JP2015054952A (ja) | エポキシ樹脂組成物、電子部品装置及び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 | |
JP4625342B2 (ja) | 電子部品装置及び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 | |
TW201422748A (zh) | 電子零件用接著劑及半導體晶片構裝體之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