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2903A -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 Google Patents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903A
KR20110122903A KR1020100042235A KR20100042235A KR20110122903A KR 20110122903 A KR20110122903 A KR 20110122903A KR 1020100042235 A KR1020100042235 A KR 1020100042235A KR 20100042235 A KR20100042235 A KR 20100042235A KR 20110122903 A KR20110122903 A KR 2011012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and
connection
bands
hair ex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선
Original Assignee
황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선 filed Critical 황재선
Priority to KR102010004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903A/ko
Publication of KR2011012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0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7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다양한 분위기로 변형시킬 수 있게 구성한 붙임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이 신속용이하고 머리숱이 풍성하도록 함은 물론, 본 머리와 붙임머리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붙임머리에 대한 거부감없이 필요시 누구나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연결밴드를 복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각 연결밴드 사이에 공간부를 구성하여, 공기의 유통이 자유롭게 함은 물론 사용자의 본머리가 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각 연결밴드 사이에는 지지밴드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연결밴드에는 사람의 머리카락 혹은 인조모로 구성된 가모를 필요한 밀도로 부착하여 머리숱을 다층으로 풍성하게 구성하고, 연결밴드 양측 단부에는 연결구를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연결구를 통하여 착용밴드가 연결구성되게 함으로서,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머리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EXTENSION HAIR}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다양한 분위기로 변형시킬 수 있게 구성한 붙임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이 신속용이하고 머리숱이 풍성하도록 함은 물론, 본 머리와 붙임머리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붙임머리에 대한 거부감없이 필요시 누구나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경우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긴 머리를 지향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머리를 길게 유지시킬 경우 머리카락의 손질 및 관리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긴 머리가 불편을 느끼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일생상활에 바쁜 현대인의 경우 헤어스타일을 짧게 하여 편리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나 분위기에 따라 긴 머리, 퍼머, 웨이브 또는 염색을 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붙임머리를 착용, 욕구를 충족케 하고 있다.
상기에서 붙임머리를 본 머리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여러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붙임머리의 경우 땋기식 붙임머리, 링붙임머리, 튜브식 붙임머리, 실리콘으로 붙이는 붙임머리, 클립(똑딱이피스)형 붙임머리 등 여러형태가 있다.
땋기식 붙임머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서 머리배김이 없고 본머리처럼 깔끔하게 처리되나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링의 경우 본 머리와 붙임머리를 코바늘로 연결한 다음 집게로 집어주는 간단한 수단으로 처리되나 철로 구성된 링이 머리에 배김이 발생하면서 아프고, 두피에 상처가 유발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머리엉킴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튜브식 붙임머리의 경우 링붙임머리와 동일유사하나, 고데기나 매직기로 열을 가해 본드와 튜브를 녹여서 붙이는 방식으로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고, 모발 주위에 본드가 녹아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에 본드 제거제로 여러번 문질러 제거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붙임머리 제거시 본드제거제로 본드가 접착된 부위를 일일이 문질러서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실리콘으로 붙이는 붙임머리의 경우 본드를 녹여서 붙이는 형태이기 때문에 머리배김이 심하고, 관리를 잘하지 않으면 본드가 녹아서 머리카락이 바로 빠지거나 끊어지게 될 뿐 아니라 본드를 제거할 때에도 본드제거제로 지워야 함으로 2차적인 머리카락의 손상 및 두피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클립형 붙임머리의 경우, 본인이 자기머리에 직접 붙일 수 있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붙임머리의 경우 대부분 본인의 머리카락 길이를 길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붙임머리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됨으로 인하여 무거워지게 되고, 따라서 클립 하나가 무게를 지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착용한 상태에서는 붙임머리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항상 조심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국내특허공고 제1988-946호 "가발"로 특허등록된 제품이 있다.
즉 둥근 고리 형상의 지지링 상에 원하는 길이로 된 붙임머리를 일열로 배시되게 하여 가발을 구성하고,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 사용케 함으로서, 본 머리에 붙임머리가 더해져 머리숱의 량을 늘여주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가발의 경우 하나의 지지링 상에 필요한 붙임머리를 부착하는 수단으로서, 지지링 상에 붙여지는 붙임머리의 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풍성한 머리숱을 보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고, 풍성한 머리숱을 요구할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의 가발을 2개, 3개로 늘여야 하나, 사실상 적용이 곤란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52702호 "헤어익스텐션"으로 선등록된 제품이 있다.
즉 머리띠 형상의 상측프레임부와, 상기 상측프레임부 둘레를 따라 그 하측으로 넓은 폭으로 연장되어 나온 붙임머리 결착부로 이루어지는 헤어익스텐션 골격부와, 상기 골격부의 붙임머리 결착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유도하는 헤어익스텐션 가발 및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붙임머리 결착부 내측에 다수의 클립을 포함하여 제조한 헤어익스텐션(붙임머리)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헤어익스텐션의 경우 착용을 위하여 헤어익스텐션을 머리에 씌우고자 할 때 상측프레임부에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된 다수개의 붙임머리 결착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본머리에 하나하나 부착식으로 결착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착용에 불편함이 있고, 특히 하나하나로 구성된 단위붙임머리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붙임머리 결착부가 프레임 배면 하단에 넓은 폭으로 구성되어 있어, 붙임머리 결착부에 위치하는 본머리는 붙임머리 결착부 아래에 위치하면서 눌리게 될 뿐 아니라 붙임머리와 별도로 위치하여 어울어지지 못하게 되어 자연스러움이 반감된다.
특히 프레임에 넓은 면적으로 구성된 붙임머리 결착부가 두피부분을 넓은 면적으로 감싸게 되므로 무겁고 갑갑할 뿐 아니라,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원활한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더워서 착용하기가 꺼려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시정하고자 붙임머리의 착용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디서나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본머리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게 풍성한 머리숱을 제공토록 하고, 또한 붙임머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원활한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착용감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착용상태가 견고하여 활동성을 좋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연결밴드를 복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각 연결밴드 사이에 공간부를 구성하여, 공기의 유통이 자유롭게 함은 물론 사용자의 본머리가 공간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각 연결밴드 사이에는 지지밴드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연결밴드에는 사람의 머리카락 혹은 인조모로 구성된 가모를 필요한 밀도로 부착하여 머리숱을 다층으로 풍성하게 구성하고, 연결밴드 양측 단부에는 연결구를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연결구를 통하여 착용밴드가 연결구성되게 함으로서,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머리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붙임머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밴드를 복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연결밴드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이들을 지지밴드로 연결하여 처짐을 방지케 하고, 상기 각 연결밴드에는 필요한 길이의 가모를 원하는 밀도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밴드 양측 단부에는 연결구를 고정설치한 다음 착용밴드를 착탈식으로 연결구성되게 함으로서,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머리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붙임머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원활한 통기가 가능하여 착용감을 좋게 할 뿐 아니라, 풍성한 붙임머리가 본머리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게 하고, 착용상태가 견고하여 활동성을 좋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붙임머리에 사용되는 연결밴드와 착용밴드의 상태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연결밴드에 가모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측면구성도
도 4 : 도 1의 상태에서 연결밴드를 3단으로 구성되게 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연결밴드에 가모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 : 도 5의 측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에서 연결구를 클립으로 구성한 상태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의 붙임머리를 착용하기 전의 본머리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붙임머리(10)의 구성을 알 수 있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붙임머리(10)는 가모(30)가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밴드(20)와 연결밴드(20)를 연결하는 착용밴드(40)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밴드(20)는 복수개로 구성하되, 연결밴드(20) 사이에는 공간부(60)가 구성되게 하고, 복수개의 연결밴드(20)는 지지밴드(50)로 연결되게 하여 각 연결밴드(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케 한다는 것이 주요기술요지이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두개의 연결밴드(20)로 구성되는 붙임머리(10)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밴드(20)를 제1연결밴드(20-1)과 제2연결밴드(20-2)로 분리구성되게 하되, 상기 제1,2연결밴드(20-1)(20-2) 사이에는 공간부(60)가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지지밴드(50)로 이들이 서로 연결구성되게 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양측단부(21)는 이들이 일체형으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연결밴드(20)는 신축성있는 폴리우레탄섬유 소재로 된 밴드제품이나 신축성이 없는 일반밴드직물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인조모와 같은 가모(30)를 적절한 밀도로 고정설치할 수 있는 소재이면 만족하며, 또한 연결밴드(20)를 연결하는 지지밴드(50) 역시, 일반밴드직물이나 적절한 굵기의 합성섬유사로 된 실 등 여러소재를 사용하되, 하단에 위치한 연결밴드(20)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면 만족한다.
상기 각 연결밴드(20), 즉 제1,2연결밴드(20-1)(20-2)에는 원하는 길이의 가모(30)를 적절한 밀도로 고정설치한다.
이때 제1,2연결밴드(20-1)(20-2)에 설치되는 가모(30)의 길이는 전체적으로는 동일하게 구성하여 가모(30)의 하단부가 제1,2연결밴드(20-1)(20-2)의 공간부(60) 길이만큼 자연스럽게 층이 지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제2연결밴드(20-2)에 고정설치되는 가모(30)를 제1,2연결밴드(20-1)(20-2) 사이에 공간부(60) 길이만큼 길게 하여 가모(30)의 하단부가 나란히 일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밴드(20)에 고정설치되는 가모(30)의 길이 및 밀도는 소비자가 원하는 길이와 밀도로 제작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가모(30)를 염색 및 부분염색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긴 머리, 퍼머, 웨이브 등 다양한 헤어스타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붙임머리(10)를 구성하는 연결밴드(20)를 제1연결밴드(20-1)와 제2연결밴드(20-2) 및 제3연결밴드(20-3)로 구분되게 하되, 상기 각 연결밴드 사이에는 공간부(60)가 구성되게 함과 동시에, 지지밴드(50)로 이들이 연결되게 하여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양측 단부(21)는 이들이 일체형으로 연결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밴드(20)가 2단 및 3단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4단, 5단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밴드(20) 양측 단부(21)에는 연결구(70)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연결구(7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원형의 연결링을 사용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클립(일명 : 똑딱이클립)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밴드(20)와 착용밴드(40)를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연결밴드(20) 양측단부(21)에 연결되는 착용밴드(40)는 가는 줄이나 밴드로 구성되게 하되, 신축성있는 소재 혹은 신축성이 없는 일반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는 사용자의 머리크기에 신축적용될 수 있는 탄성소재이면서,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용밴드(40) 양측 단부에는 결속링(41)를 통하여 결속고리(42)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고리(42)에 통상의 연결고리(43)가 연결구성되게 하고, 상기 연결고리(43)를 통하여 착용밴드(40)와 연결밴드(20)가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분해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서, 착용밴드(40)와 연결밴드(20) 사이에 원형공간부(46)가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90)은 본머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붙임머리(10)는 다음과 같이 착용하게 된다.
즉 붙임머리(10)를 구성하는 연결밴드(20)와 착용밴드(40) 사이에 구성된 원형공간부(46)를 사용자의 머리 상단에 위치시키면 원형공간부(46) 내에 머리 일부가 끼워지게 되고, 동시에 착용밴드(40)는 이마 윗부분의 앞머리쪽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복수개로 구성된 연결밴드(20)는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단계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붙임머리(10)의 원형공간부(46)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본머리(90)를 뽑아 올린 다음 자연스럽게 두면 자중에 의해 뒷쪽으로 처지면서 본머리(90)가 연결밴드(20)를 커버하게 되고, 동시에 착용밴드(40)는 앞머리에 가려지면서 이들이 커버되므로 붙임머리(10)의 착용이 시각적으로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연결밴드(20)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60)에 위치하는 본머리(90) 역시 공간부(60)를 통하여 뒷쪽으로 뽑아낸 다음 정리하게 되면 본머리(90)와 가모(30)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게 되면서, 도 9에서와 같은 본머리(90) 상에 붙임머리(10)가 씌워지면서 도 8에서와 같은 자연스러운 긴 머리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붙임머리(10)는 착용이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붙임머리(10)를 구성하는 가모(30)가 다단으로 구성된 연결밴드(20)에 고정설치되어 있어 붙임머리(10)가 본머리(90) 상에 풍성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각 연결밴드(20)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60)를 통하여 본머리(90)를 뒷쪽으로 뽑아낼 경우 본머리(90)에 부착되는 붙임머리(10)의 결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벗겨질 염려가 없어 활동성을 좋게 하게 된다.
또한 착용밴드(40)를 신축성있는 탄성소재로 구성할 경우 사용자의 머리크기에 관계없이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붙임머리(10)를 본머리(90)에 착용하게 되더라도 연결밴드(20)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60)에 의해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착용감이 양호하며, 각 연결밴드(20)는 지지밴드(5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가모(30)의 자중에 의해 연결밴드(20)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므로 붙임머리(10)의 착용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항상 가지런히 정열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붙임머리는 종래 여러 형태의 붙임머리와 같이 본 머리에 직접 부착하는 수단이 아니라 붙임머리를 머리에 간편하게 씌우는 동작으로 붙임머리의 착용이 완료되므로, 본머리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붙임머리를 구성하는 가모가 다단의 연결밴드 상에 고정설치되어 있어 붙임머리의 착용상태가 본머리와 어우러져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풍성한 상태의 긴 머리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각 연결밴드 사이에 위치한 공간부를 통하여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착용감이 좋아 누구나 거부감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붙임머리 (20)--연결밴드
(20-1)--제1연결밴드 (20-2)--제2연결밴드
(20-3)--제3연결밴드 (21)--단부
(30)--가모 (40)--착용밴드
(41)--결속링 (42)--걸림고리
(43)--연결고리 (46)--원형공간부
(50)--지지밴드 (60)--공간부
(70)--연결구

Claims (4)

  1. 본머리에 씌워 헤어스타일을 다양하게 변형시키기 위한 붙임머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밴드(20)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부(60)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각 연결밴드(20) 사이에 지지밴드(50)를 연결하여 연결밴드(20)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고, 상기 각 연결밴드(20)에 가모(30)를 부착하여 가모(30)가 단계적으로 위치되게 하고, 각 연결밴드(20)의 양측 단부(21)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게 한 다음, 착용밴드(40)와 연결구성되게 함으로서, 연결밴드(20)와 착용밴드(40) 사이에 원형공간부(46)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밴드(20)는 제1연결밴드(20-1)와 제2연결밴드(20-2)로 구성되게 하되, 상기 제1,2연결밴드(20-1)(20-2)를 지지밴드(50)로 연결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밴드(20)는 제1연결밴드(20-1)와 제2연결밴드(20-2) 및 제3연결밴드(20-3)로 구성되게 하되, 상기 제1,2,3연결밴드(20-1)(20-2)(20-3)를 지지밴드(50)로 연결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밴드(20) 양측 단부(21)에 연결구(70)를 고정설치하고, 착용밴드(40)는 신축성있는 탄성소재로 구성하되, 착용밴드(40) 양측은 연결고리(43)를 고정설치하여, 연결밴드(20) 양측 단부(21)에 구성된 연결구(70)와 착탈식으로 조립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KR1020100042235A 2010-05-06 2010-05-06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Abandoned KR20110122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35A KR20110122903A (ko) 2010-05-06 2010-05-06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35A KR20110122903A (ko) 2010-05-06 2010-05-06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03A true KR20110122903A (ko) 2011-11-14

Family

ID=4539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35A Abandoned KR20110122903A (ko) 2010-05-06 2010-05-06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9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290A1 (ko) * 2013-06-13 2014-12-18 Park Ingoo 붙임머리
KR200487950Y1 (ko) 2017-06-09 2018-11-2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20190001071U (ko) 2018-11-15 2019-05-0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102486075B1 (ko) * 2022-07-19 2023-01-09 이동우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290A1 (ko) * 2013-06-13 2014-12-18 Park Ingoo 붙임머리
KR200487950Y1 (ko) 2017-06-09 2018-11-2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20190001071U (ko) 2018-11-15 2019-05-0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102486075B1 (ko) * 2022-07-19 2023-01-09 이동우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054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hairpiece and device resulting therefrom
US20150013710A1 (en) Hairpiece comprising a headband for hair extensions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00326455A1 (en) Detachable wig arrangement and method
US20130019889A1 (en) Hair extention hairpiece or wig device with flexible-grip cap base
US9138024B1 (en) Jeanie hair band extension system
US20120222692A1 (en) Elastic and Concealable Hair Piece Attachment
JP4650650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EP1843673B1 (en) Hair extension device
US20090255547A1 (en) Interchangeable Wiglet with Anchor Cap Apparatus and Method
US8517033B2 (en) Hairstyling tool
US20150114415A1 (en) Press and Go Wig and Lace Wig Snap Cap and Kit
US20070199571A1 (en) Detachable hairpie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60015107A1 (en) Hair extensions and topp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50034112A1 (en) Shera - The Interchangeable Wig
KR20060048968A (ko) 무이음매 자기부착형 모발연장 시스템
KR101177258B1 (ko) 가발제품의 내부 안쪽으로 볼륨 캡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볼륨업과 라인업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가발
KR20110122903A (ko)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KR100889632B1 (ko)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WO201822449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ne piece hair extensions
US20210085008A1 (en) Wig or hairpiece
US20110209719A1 (en) Hairpiece
KR101834312B1 (ko) 부분 가발
KR102049017B1 (ko) 전통 머리형상 적용대상 제품의 쪽머리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