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2209A -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209A
KR20110122209A KR1020117022634A KR20117022634A KR20110122209A KR 20110122209 A KR20110122209 A KR 20110122209A KR 1020117022634 A KR1020117022634 A KR 1020117022634A KR 20117022634 A KR20117022634 A KR 20117022634A KR 20110122209 A KR20110122209 A KR 20110122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imide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971B1 (ko
Inventor
츠네토시 혼다
히로유키 야츠야나기
다카시 고니시
다이스케 다카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마테리알덴시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4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5924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마테리알덴시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9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48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sulfonamide groups further bound to another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36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amides of sulfonic acids
    • C07C303/4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amides of sulfonic aci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n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황산디알킬 또는 탄산디알킬에 의해 알킬화함으로써,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고수율로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FLUORINE-CONTAINING N-ALKYL SULFONYL IMIDE COMPOU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ONIC COMPOUND}
본 발명은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084284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술폰산 유도체인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로서, 알킬기가 메틸기 (CH3) 이고, 퍼플루오로알킬기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CF3) 또는 노나플루오로부틸기 (C4F9) 인 N-메틸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및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가 알려져 있다.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으로는, 하기의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 가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비특허문헌 1 에는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 (CH3C(OCH3)3) 을 메틸화제로 하여, 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산을 메틸화하는 N-메틸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에는 퍼플루오로알킬기로서 트리플루오로메틸기 (CF3) 및 노나플루오로부틸기 (C4F9) 가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에는 디아조메탄 (CH2N2) 을 메틸화제로 하여, 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산을 메틸화하는 N-메틸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에는 퍼플루오로알킬기로서 노나플루오로부틸기 (C4F9) 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N-알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로서, 알킬기가 메틸기 (CH3) 및 에틸기 (C2H5) 인 N-메틸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및 N-에틸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가 알려져 있고, 그 제조 방법으로는 비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은염과 요오드화알킬의 반응에 의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CHEM. COMMUN., 2003, 2334-2335 Chemiker-Zeitung, 96. Jahrgang (1972) Nr.10 Inorganic Chemistry, Vol.4, No.10, 1965, 1446-1449
비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N-메틸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에서는, 메틸화제인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이 원료인 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산에 의해 분해된다는 부반응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부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디메틸에테르는 가연성이기 때문에, 취급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비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N-메틸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에서는, 메틸화제인 디아조메탄이 폭발성을 갖는 기체이기 때문에, 취급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비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N-알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은, 원료로서 사용하는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은염이 고가여서, 비용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은 적어,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 및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가 합성된 사례는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이온 액체는 특히 전지나 커패시터의 전해질, 반응 용매나 촉매 등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이 이온 액체의 종래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의 염과, 이미다졸륨브롬화물염과 같은 제 4 급 아민의 할로겐화물염을 염 교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그러나,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이온 액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목적물인 이온 액체가 염을 용해시키기 때문에, 부생성물인 염 (MX) 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이온 액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온 액체를 고순도ㆍ고수율로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 및 탄소수 3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수율이 높고, 취급이 용이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이란,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 및 N-알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순도 및 수율이 높은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단, 상기 식 (1) 에 있어서, Rf 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또, R 은 탄소수 1 이상의 알킬기이다.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Rf 가, 탄소수 2 또는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어도 된다. 또,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Rf 가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R 이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Rf 가 불소이고, R 이 탄소수 3 이상의 알킬기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 또는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에 의해 알킬화하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단,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 에 있어서, Rf 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또, 상기 식 (3) 에 있어서, M 은 Li, Na, K 중 어느 1 종의 원소이다. 또한, 상기 식 (4) 및 상기 식 (5) 에 있어서, R 은 탄소수 1 이상의 알킬기이다. 또,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상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에 대해 몰비 1 ∼ 50 배의 상기 식 (4)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 또는 상기 식 (5) 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을 첨가하여 알킬화해도 된다. 또,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용해도가 100 g/ℓ 이하인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알킬화해도 된다. 또한,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를 산성 조건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 후에 물을 첨가하여, 미반응의 상기 황산디알킬을 분해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상기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의해 알킬화하는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이, 트리알킬아민, 알킬이미다졸, 알킬피리딘, 알킬피롤리딘 또는 알킬피페리딘 등의 제 3 급 아민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의하면, 할로겐 및 알칼리 금속 프리인 고순도 이온 액체의 원료로서 기대되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 및 N-알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식 (4)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 또는 상기 식 (5) 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양호한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 가연성 가스의 사용 및 발생이 없어, 취급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알킬화제로 하여,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알킬화하기 때문에, 이미드 아니온과의 이온성 화합물을 한 단계의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은, 할로겐 및 알칼리 금속 프리인 이온 액체의 합성 원료이기 때문에, 고순도 이온 액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를 원료로 하여 이온성 화합물을 합성했을 때에, 융점이 100 ℃ 이하가 되는 다종류의 이온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4
단, 상기 식 (6) 에 있어서, Rf 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또, R 은 탄소수 1 이상의 알킬기이다.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있어서, R 이 탄소수 1 인 메틸기로는, N-메틸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FSO2)2NCH3), N-메틸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CF3SO2)2NCH3), N-메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H3), N-메틸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C3F7SO2)2NCH3),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알킬기 (R) 가 메틸기인 경우에는, 특히 탄소수 2 또는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 (Rf) 인 것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고, 또 이온 액체를 합성하는 원료로서 바람직하다. 즉, N-메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H3), N-메틸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C3F7SO2)2NCH3)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은, Rf 가 탄소수 1 ∼ 4 인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또한 R 이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인 것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고, 또 이온 액체를 합성하는 원료로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 이 탄소수 2 인 에틸기로는, N-에틸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CF3SO2)2NC2H5), N-에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2H5), N-에틸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C3F7SO2)2NC2H5), N-에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2H5) 를 들 수 있다. 또, R 이 탄소수 3 인 프로필기로는, N-프로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CF3SO2)2NC3H7), N-프로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3H7), N-프로필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C3F7SO2)2NC3H7), N-프로필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3H7) 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은, Rf 가 불소이고, 또한 R 이 탄소수 3 이상의 알킬기인 것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고, 또 이온 액체를 합성하는 원료로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 이 탄소수 3 인 프로필기로서, N-프로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FSO2)2NC3H7), R 이 탄소수 4 인 부틸기로서, N-부틸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FSO2)2NC4H9)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킬기 (R) 가 탄소수 1 의 메틸기인 경우에는, 탄소수 2 또는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 (Rf) 로 하고, 또 알킬기 (R) 가 탄소수 2 이상인 경우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 (Rf) 로 하고, 알킬기 (R) 가 탄소수 3 이상인 경우에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 (Rf) 로 함으로써,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원료로 하여 한 단계의 반응으로 이온성 화합물을 합성함으로써, 할로겐 및 알칼리 금속 프리인 이온 액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는, 이것을 원료로 하여 이온성 화합물을 합성했을 때에, 융점이 100 ℃ 이하가 되는 다종류의 이온 액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할로겐 및 알칼리 금속 프리인 고순도 이온 액체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법은, 하기 식 (7)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하기 식 (8)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원료로 하고, 이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에 대해 몰비로 1 ∼ 50 배의 하기 식 (9)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 또는 하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서 첨가하여 알킬화한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을 원료로 하고, 상기 식 (9)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 한 경우에는, 하기 식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와 황산 (H2SO4) 이 생성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6
또,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을 원료로 하고, 상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 한 경우에는, 하기 식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와, 이산화탄소 (CO2) 및 알코올 (ROH) 이 생성된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7
또한,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원료로 하고, 상기 식 (9)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 한 경우에는, 하기 식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와 황산염 (M2SO4) 이 생성된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8
또한,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원료로 하고, 상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 한 경우에는, 황산의 존재하와 같은 산성 조건하에서, 하기 식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와, 이산화탄소 (CO2) 와, 알코올 (ROH) 및 황산염 (M2SO4) 이 생성된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9
단, 상기 식 (7) 및 상기 식 (8) 에 있어서, Rf 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즉,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으로는,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산 ((FSO2)2NH),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 ((CF3SO2)2NH),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산 ((C2F5SO2)2NH),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산 ((C3F7SO2)2NH),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 ((C4F9SO2)2NH) 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으로는,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산염 ((FSO2)2NㆍM),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염 ((CF3SO2)2NㆍM),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산염 ((C2F5SO2)2NㆍM),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산염 ((C3F7SO2)2NㆍM),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염 ((C4F9SO2)2NㆍM) 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 (8) 에 있어서, M 은 Li, Na, K 중 어느 1 종의 원소이다. 즉,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산리튬 ((FSO2)2NㆍLi),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산나트륨 ((FSO2)2NㆍNa),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산칼륨 ((FSO2)2NㆍK),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리튬 ((CF3SO2)2NㆍLi),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나트륨 ((CF3SO2)2NㆍNa),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산칼륨 ((CF3SO2)2NㆍK),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산리튬 ((C2F5SO2)2NㆍLi),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산나트륨 ((C2F5SO2)2NㆍNa),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산칼륨 ((C2F5SO2)2NㆍK),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산리튬 ((C3F7SO2)2NㆍLi),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산나트륨 ((C3F7SO2)2NㆍNa),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산칼륨 ((C3F7SO2)2NㆍK),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리튬 ((C4F9SO2)2NㆍLi),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나트륨 ((C4F9SO2)2NㆍNa),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칼륨 ((C4F9SO2)2NㆍK) 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9) 및 상기 식 (10) 에 있어서, R 은 탄소수 1 이상의 알킬기이다. 즉, 상기 식 (9)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로는, 황산디메틸 ((CH3O)2SO2), 황산디에틸 ((C2H5O)2SO2), 황산디프로필 ((C3H7O)2SO2), 황산디부틸 ((C4H9O)2SO2)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로는, 탄산디메틸 ((CH3O)2CO), 탄산디에틸 ((C2H5O)2CO), 탄산디프로필 ((C3H7O)2CO), 탄산디부틸 ((C4H9O)2C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원료로 하는 경우, 즉, 상기 식 (13) 및 상기 식 (14) 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산성 조건하에서 알킬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의 알킬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을 원료로 하고, 상기 식 (9)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 한 경우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반응 용기 내에 원료인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을 투입하고, 다음으로 알킬화제인 황산디알킬을 원료에 대해 과잉으로 첨가한다. 다음으로, 반응 용기를 약 100 ℃ 정도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1 ∼ 4 시간 정도 교반하면서 알킬화시킨다. 다음으로, 생성물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를 여과 분리 등에 의해 단리한다.
상기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원료에 대해 몰비로 1 ∼ 5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화제의 첨가량이 몰비로 1 배 미만이면, 상기 식 (11) 에 나타내는 생성 반응이 충분히 촉진되지 않고, 또 석출되는 생성물의 처리가 곤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알킬화제의 첨가량이 몰비로 50 배를 초과하면, 제조 효율이 저하되어, 불필요한 비용이 증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알킬화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식 (11) 에 나타내는 생성 반응이 충분히 촉진된다. 또, 알킬화제인 황산디알킬은, 생성물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에 대하여 용해도가 100 g/ℓ 이하인 빈(貧)용매이기 때문에, 본 예와 같이 원료에 대해 몰비로 5 ∼ 30 배의 알킬화제가 첨가된 반응계에서는, 생성물이 반응계에 용해되지 않고 석출된다. 이로써, 반응계로부터 생성물의 분리가 용이해짐과 함께, 또한 상기 식 (11) 에 나타내는 생성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를 양호한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반응 온도는 0 ∼ 2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 ∼ 15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반응 시간은 0.5 ∼ 200 시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50 시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생성물의 반응계로부터의 분리 방법은, 상기 식 (6) 에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에 있어서, Rf 가 탄소수 2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또한 R 이 탄소수 1 의 메틸기인 경우에는, 생성물이 고체로서 반응계로부터 석출되기 때문에, 여과에 의해 용이하게 단리할 수 있다.
한편, Rf 가 탄소수 4 의 퍼플루오로부틸기이고, 또한 R 이 탄소수 2 의 에틸기인 경우에는, 생성물은 액체이기 때문에, 반응계로부터 분액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로서, 생성물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에 대한 빈용매를 반응계에 첨가해도 된다. 이 경우, 생성물에 대한 빈용매로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의 용해도가 100 g/ℓ 이하의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ℓ 이하의 용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생성물에 대한 빈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CH3CN), 디메틸술폭사이드 (CH3SO)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나 클로로포름 (CHCl3) 등의 염소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본 예와 같이,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의 용해도가 100 g/ℓ 이하인 빈용매를 반응계에 첨가함으로써, 생성물이 반응계에 용해되지 않고 석출되기 때문에, 반응계로부터 생성물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또한 상기 식 (11) 에 나타내는 생성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로서, 상기 식 (11) ∼ (14) 에 나타내는 생성 반응 후에 반응계에 물을 첨가하여, 미반응의 알킬화제를 분해한 후에 생성물을 단리해도 된다. 생성 반응 후의 반응계에 물을 첨가하면, 하기 식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에 의해, 미반응의 알킬화제인 황산디알킬이 분해되어, 알코올 및 황산이 생성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0
상기 식 (6) 에 있어서, Rf 가 불소 또는 탄소수 1 혹은 2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경우에는, 생성물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가 반응계에 잔존하는 황산디알킬에 대하여 용해성이 있기 때문에, 반응계로부터의 분리가 곤란해져, 수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생성물의 반응계로부터의 분리가 곤란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예와 같이, 반응 후에 물을 첨가하여 미반응의 황산디알킬 또는 탄산디알킬을 분해함으로써, 반응계에 잔존하는 황산디알킬 또는 탄산디알킬에 용해되는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 반응계에 첨가하는 물은, 생성물인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에 대한 빈용매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반응계로부터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알킬화제로서 공업 적으로 저렴하게 생산되는 황산디알킬 및 탄산디알킬을 사용하고 있고, 이 알킬화제를 원료에 대해 과잉으로 첨가한다고 하는 간략한 공정에 의해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를 양호한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생성물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의 빈용매인 황산디알킬 (또는 탄산디알킬), 아세토니트릴, 물 등을 반응계에 첨가하기 때문에, 생성물의 분리가 용이한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식 (11) ∼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생성물 이외에 황산, 이산화탄소, 황산염 및 알코올이 생성되지만, 가연 가스 등이 생성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원료 및 생성물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사용한 이온 액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온 액체의 제조 방법은,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의해 알킬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로는, 트리알킬아민, 알킬이미다졸, 알킬피리딘, 알킬피롤리딘 또는 알킬피페리딘 등의 제 3 급 아민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알킬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에틸메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킬이미다졸로는, 메틸이미다졸, 에틸이미다졸, 프로필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킬피리딘으로는, 3-메틸피리딘, 3-에틸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킬피롤리딘으로는, N-메틸피롤리딘, N-에틸피롤리딘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킬피페리딘으로는, N-메틸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로서 제 3 급 아민을 사용한 경우에는, 하기 식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 이미드 아니온과의 이온성 화합물이 한 단계의 반응으로 합성된다.
[화학식 7]
Figure pct00011
또,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로서 알킬이미다졸을 사용한 경우에는, 하기 식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 이미드 아니온과의 이온성 화합물이 한 단계의 반응으로 합성된다.
[화학식 8]
Figure pct00012
알킬화제로서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은,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를 알킬화제로 한 경우, 융점이 100 ℃ 이하가 되는 다종류의 이온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온 액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알킬화제로 하여,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알킬화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미드 아니온과의 이온성 화합물을 한 단계의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는, 할로겐 및 알칼리 금속 프리인 이온 액체의 합성 원료이기 때문에, 고순도 이온 액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탄소수 2,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N-알킬비스(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를 원료로 하여 이온성 화합물을 합성했을 때에, 융점이 100 ℃ 이하가 되는 다종류의 이온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먼저, 1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 ((C4F9SO2)2NH) 2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메틸 ((CH3O)2SO2) 65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4 배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4 시간 교반시킨 후, 실온하에서 1 시간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 상의 결정을 아세토니트릴 30 g 으로 세정한 후, 40 ℃ 에서 감압 건조시켰다. 이로써, 생성물로서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17 g (수율 83 %) 을 얻었다.
(실시예 2)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을 몰비로 1 배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반응을 실시한 결과, 생성물로서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15 g (수율 75 %) 을 얻었다.
(실시예 3)
원료 및 알킬화제에, 추가로 아세토니트릴을 10 g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반응을 실시한 결과, 생성물로서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18 g (수율 88 %) 을 얻었다.
(실시예 4)
먼저, 5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 ((C4F9SO2)2NH) 10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에틸 ((C2H5O)2SO2) 265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0 배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20 시간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1 ℓ 의 플라스크에 물 550 g 을 주입하고, 이어서 반응액을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40 ℃ 로 유지하면서 20 시간 교반시켰다. 이와 같이 잉여의 황산디에틸을 분해시킨 후, 분액함으로써, 생성물로서 N-에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2H5) 99 g (수율 94 %) 을 얻었다.
(실시예 5)
먼저, 5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산 ((C3F7SO2)2NH) 5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메틸 ((CH3O)2SO2) 20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5 배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20 시간 교반시킨 후, 실온하에서 1 시간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실시예 4 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여, 생성물로서 N-메틸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C3F7SO2)2NCH3) 4.7 g (수율 92 %) 을 얻었다.
(실시예 6)
먼저, 5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산 ((C2F5SO2)2NH) 5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메틸 ((CH3O)2SO2) 20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5 배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20 시간 교반시킨 후, 감압 증류를 실시하여 증류물 5 g 을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4 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여, 생성물로서 N-메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H3) 4.9 g (수율 95 %) 을 얻었다.
(실시예 7)
먼저, 1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H) 3.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탄산디메틸 ((CH3O)2CO) 14.0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30 배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90 ℃ 로 유지하면서 6 시간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반응액을 농축시켜,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2.5 g (수율 83 %) 을 얻었다.
(실시예 8)
먼저, 3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칼륨 ((C2F5SO2)2NK) 10.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메틸 ((CH3O)2SO2) 45.1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5 배였다. 다음으로, 진한 황산 2.3 g 을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20 시간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물 200 g 을 첨가하고 50 ℃ 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켜 여과를 실시하여, N-메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H3) 8.5 g (수율 90 %) 을 얻었다.
(실시예 9)
먼저, 3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칼륨 ((C2F5SO2)2NK) 10.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메틸 ((CH3O)2SO2) 45.1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5 배였다.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1 시간 교반시킨 결과 반응액 전체가 겔화되었기 때문에, 이후 교반하지 않고 19 시간 유지하였다. 계속해서, 물 200 g 을 첨가하고 50 ℃ 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켜 여과를 실시하여, N-메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H3) 5.2 g (수율 55 %) 을 얻었다.
(실시예 10) (N-메틸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교반자, 냉각관, 온도계를 구비한 100 ㎖ 의 플라스크에, 황산디메틸 ((CH3O)2SO2) 86.4 g (685.5 mmol),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칼륨 ((FSO2)2NK) 10.0 g (45.7 mmol), 디옥산 (O(CH2CH2)2O) 4.0 g (45.7 mmol) 을 주입하고, 100 ℃ 가열하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이온 교환수 150 g 에 쏟아 넣고, 70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분액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N-메틸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하층) 4.0 g (수율 45 %) 을 얻었다. 또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수층 (상층) 을 추출한 후, 용매를 농축시킴으로써 회수 목적물 2.6 g (총수율 74 %) 을 얻었다.
(실시예 11)
먼저, 1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칼륨 ((C4F9SO2)2NK) 5.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탄산디메틸 ((CH3O)2CO) 21.8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30 배였다. 다음으로, 진한 황산 2.4 g 을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95 ℃ 로 유지하면서 24 시간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물 50.0 g 을 첨가하고 50 ℃ 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여과를 실시한 후에, 감압 건조를 실시하여,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4.0 g (수율 83 %) 을 얻었다.
(실시예 12)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교반자, 냉각관, 온도계를 구비한 50 ㎖ 의 플라스크에, N-에틸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C2F5SO2)2NC2H5) 35.0 g (85.6 mmol) 를 주입하고, 80 ℃ 가열하에서 메틸이미다졸 7.4 g (90.2 mmol) 을 적하하고, 추가로 75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00 ℃ 가열하에서 2 ∼ 3 Torr 로 3 시간 진공 건조를 실시하여,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41.6 g (수율 99 %) 을 얻었다. 융점은 -3 ∼ -4 ℃ 였다.
(실시예 13)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의 합성)
교반자, 냉각관, 온도계를 구비한 50 ㎖ 의 플라스크에, N-에틸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C3F7SO2)2NC2H5) 40.0 g (78.6 mmol) 을 주입하고, 90 ℃ 가열하에서 메틸이미다졸 6.8 g (82.9 mmol) 을 적하하고, 추가로 95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00 ℃ 가열하에서 2 ∼ 3 Torr 로 3 시간 진공 건조를 실시하여,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ㆍ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45.5 g (수율 98 %) 을 얻었다. 융점은 32 ∼ 33 ℃ 였다.
(비교예 1)
먼저, 1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 ((C4F9SO2)2NH) 20 g 을 주입하고, 이어서 메틸화제로서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 (CH3C(OCH3)3) 58 g 을 첨가하였다. 또한, 원료에 대한 메틸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14 배였다. 또,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의 첨가와 동시에 디메틸에테르가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60 ℃ 로 유지하면서 3 시간 환류시킨 후, 반응액의 조성을 1H-NMR 및 19F-NMR 로 확인한 결과, 생성물 외에 원료인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 및 아세트산메틸이 확인되었다. 또, 과잉분인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은 모두 소실되어 있어, 아세트산메틸과 디메틸에테르로 분해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 29 g 을 추가 투입하여 20 시간 환류시킨 후, 아세트산메틸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이 농축물에 아세토니트릴 50 g 을 첨가하여 슬러리로 하여 여과하였다. 이로써, 생성물로서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8 g (수율 40 %) 을 얻었다.
(비교예 2)
먼저, 100 ㎖ 의 플라스크에, 원료로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산 ((C4F9SO2)2NH) 20 g 을 주입하고, 알킬화제로서 황산디메틸 ((CH3O)2SO2) 2 g 을 첨가하였다. 원료에 대한 알킬화제의 첨가량은, 몰비로 0.5 배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0 ℃ 로 유지하면서 교반하고, 생성물인 N-메틸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C4F9SO2)2NCH3) 의 반응률을 19F-NMR 로 추적하였다. 이 결과, 40 시간에 반응률이 25 % 에 이른 이후, 반응률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황산디알킬 또는 탄산디알킬을 알킬화제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을 양호한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Figure pct00013

    단, 상기 식 (1) 에 있어서, Rf 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또, R 은 탄소수 1 이상의 알킬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Rf 가, 탄소수 2 또는 3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Rf 가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R 이 탄소수 2 이상의 알킬기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Rf 가 불소이고, R 이 탄소수 3 이상의 알킬기인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5.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을,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 또는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에 의해 알킬화하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14

    단,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 에 있어서, Rf 는 불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또, 상기 식 (3) 에 있어서, M 은 Li, Na, K 중 어느 1 종의 원소이다. 또한, 상기 식 (4) 및 상기 식 (5) 에 있어서, R 은 탄소수 1 이상의 알킬기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 또는 상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함불소 술포닐이미드산염에 대해 몰비 1 ∼ 50 배의 상기 식 (4) 로 나타내는 황산디알킬 또는 상기 식 (5) 로 나타내는 탄산디알킬을 첨가하여 알킬화하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용해도가 100 g/ℓ 이하의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알킬화하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를 산성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 후에 물을 첨가하여, 미반응의 상기 황산디알킬을 분해하는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10.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에 의해 알킬화하는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되어 카티온을 생성하는 화합물이, 트리알킬아민, 알킬이미다졸, 알킬피리딘, 알킬피롤리딘 또는 알킬피페리딘 등의 제 3 급 아민류인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117022634A 2009-03-31 2010-03-31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16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4284 2009-03-31
JP2009084284A JP2010159242A (ja) 2008-12-12 2009-03-31 含フッ素n−アルキル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オン性化合物の製造方法
PCT/JP2010/002345 WO2010113492A1 (ja) 2009-03-31 2010-03-31 含フッ素n-アルキル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オン性化合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209A true KR20110122209A (ko) 2011-11-09
KR101316971B1 KR101316971B1 (ko) 2013-10-11

Family

ID=4282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6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6971B1 (ko) 2009-03-31 2010-03-31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15758B1 (ko)
KR (1) KR101316971B1 (ko)
CN (1) CN102365266B (ko)
WO (1) WO2010113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3652A (zh) * 2012-11-26 2014-06-0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三氮唑类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R3010407B1 (fr) * 2013-09-12 2015-09-04 Rhodia Operations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oxysulfures et fluores par sulfination
WO2020129991A1 (ja) 2018-12-19 2020-06-25 Agc株式会社 ポリマー、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RP970281B1 (en) 1996-05-28 2002-04-30 Merck & Co Inc Carbapenem antibio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WO2007091817A1 (en) * 2006-02-06 2007-08-16 Hee Jung Kim Anion receptor, and electrolyt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5266B (zh) 2013-11-06
CN102365266A (zh) 2012-02-29
KR101316971B1 (ko) 2013-10-11
WO2010113492A1 (ja) 2010-10-07
EP2415758A4 (en) 2013-07-10
EP2415758B1 (en) 2017-03-01
EP2415758A1 (en)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8451B2 (ja) 含フッ素n−アルキル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イオン性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370745B1 (ko) 이온성 액체
KR102118025B1 (ko) 플루오로설포닐기를 함유하는 이미드 염을 제조하는 방법
CA2537587C (en) Superhigh purity ionic liquid
JP5402634B2 (ja) 精製された含フッ素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の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KR100979460B1 (ko) 함불소알킬그룹이 치환된 이온성 액체의 직접 제조방법
US20070100181A1 (en) Olefin isomerization
KR101316971B1 (ko) 함불소 n-알킬술포닐이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US10065936B2 (en) Synthesis of sulfur containing ammonium and phosphonium borates
US9944593B2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fluoralkyl sulfonate salts
WO2011148971A1 (ja) 含フッ素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13